KR101475453B1 - Jaywalking det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Jaywalking det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453B1
KR101475453B1 KR1020140109754A KR20140109754A KR101475453B1 KR 101475453 B1 KR101475453 B1 KR 101475453B1 KR 1020140109754 A KR1020140109754 A KR 1020140109754A KR 20140109754 A KR20140109754 A KR 20140109754A KR 101475453 B1 KR101475453 B1 KR 10147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signal
cross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우
Original Assignee
정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우 filed Critical 정지우
Priority to KR102014010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ywalking detection system. The jaywalking detection system includes a walk sensing unit including: a sensor install along a road and to sense a subject illegally crossing a road to output a crossing signal,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ros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a walk alarm unit installed close to the sensor to output an alarm signal to the subject through light or a sound when the cros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sensor; and a run sensing unit includ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in a vehicle running the road to receive the crossing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GPS terminal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display a run path of the vehicle, and to display a location of a corresponding sensor transmitting the crossing signal on the run path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run alarm unit to output an alarm signal to a driver when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ensor displayed on the GPS terminal is located at a front direction on the run path of the vehicle.

Description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Jaywalking detection system}[0001] JAYWALKING DETECTION SYSTEM [

본 발명은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 차량과 차량 간 통신을 사용하여 무단 횡단하는 횡단대상체의 정보를 주행차량이 인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less crossing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less crossing detection system which provides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of a crossing object that is endlessly crossing using vehicle- .

오늘날 우리 사회는 도로교통의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자동차가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이에 따른 교통사고는 매년 수십만 명의 사상자와 재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Today, our society is making rapid progress in road traffic, and cars are popular transportation means that traffic accidents are causing hundreds of thousands of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every year.

교통사고는 인구의 도시 집중화 및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에 따른 빈번한 이동, 그리고 주 5일 근무에 따른 레저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지역 간 인적 물적 교류가 증대되면서 교통 패턴 역시 크게 변화하고 있다.Traffic accidents are changing rapidly due to frequent mobility of the populatio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city and the increase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the rapid increase of the leisure population due to the five - day work week.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자동차의 등장으로 우리에게는 이로움을 주고 있지만 운전자와 횡단대상체 모두가 공유해야할 도로의 상당 부분은 자동차가 차지하게 되어 사람의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는 횡단대상체의 보행권은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는 교통사고라는 참혹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Although the benefits of automobiles that are indispensable in modern life are beneficial to us, most of the roads shared by drivers and transit objects are occupied by automobiles, so that the right of pedestrians who can be regarded as basic human rights is limited This has been a devastating result of a traffic accident.

통계에 의하면 횡단대상체 교통사고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대다수는 무단 횡단을 하다가 사고를 당하며, 이중 횡단대상체들의 무단 횡단 사고는 야간시간대(18시~24시)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횡단대상체 교통사고의 대부분이 횡단보도나 도로를 횡단하다가 발생하고 있어 차량과 횡단대상체의 특정도로 구간에서의 공존 여부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횡단대상체 교통사고의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운전자의 부주의와 방심운전 그리고 운전자의 자기중심적인 운전행위를 하는 가운데 흔히 발생하고 있으며, 횡단대상체가 무단 횡단이나, 횡단시설이 없는 도로를 부주의하게 횡단하는 등의 잘못된 보행 문화의 연출 등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According to statistics, transit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year by year, and the majority of them are accidents while crossing without permission, and crossing accidents among crossing objects occur most frequently at night time (18:00 ~ 24:00). Crossing Object Most of the traffic accidents occur when crossing a road or crossing a road, so the coexistence of a vehicle and a crossing object in a specific road section is very serious.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type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crossing objects is often done in the care of the driver, in the carelessness of the driver, and in the self-centered driving behavior of the driver. The crossing object may be traversed by unauthorized crossing or careless crossing of roads without crossing facilities The accident is caused by misrepresentation of pedestrian culture.

특히, 시골의 경우 노령화에 따른 노년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년층은 청장년층에 비해 운동신경이 무디어져 위험상황에 신속한 대피가 어려우며 야간에 시골의 국도 및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다 주행 중인 차량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Especially, in the case of rural areas, the elderly are increasing due to aging. The elderly people are less motivated than the younger generation, so it is difficult to evacuate quickly in dangerous situations. In the nighttime, they cross the country roads and roads without permission. Is frequently occurring.

종래에는 무단 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무단 횡단 방지 펜스 등을 설치하여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나 도로의 중앙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에 체인이나 칸막이와 같은 패널형태의 펜스가 고정하여 횡단대상체가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단 횡단 방지 펜스는 대부분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설치 공사도 도로의 중앙선상에 포스트를 설치하므로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횡단대상체의 진입을 차단하므로 만약 횡단대상체가 무리해서 무단 횡단 펜스를 넘어 무단 횡단을 한다면 더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운전자는 횡단대상체의 무단 횡단에 대한 어떠한 인지도 할 수 없어 상기 운전자가 방어 운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unauthorized traversing, an endless crossing prevention fence or the like is installed so that a post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boundary line of a road and a road or on a road is provided, and a fence having a panel shape such as a chain or a partition So as to prevent the traversing target from crossing the road unauthorizedly. 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anti-crossing fences are applied to roads with two-lane or more one-way roads. Also, since the posts are installed on the center line of the roads, problems such as labor and cost are incurred. Therefore, if a crossing object is unreasonably crossed over an unauthorized crossing fence, it is possible to cause a greater accident, and the driver can not recognize any kind of unauthorized crossing of the crossing object, .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횡단대상체의 무단 횡단을 방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국내 공개특허 제10-2002-0080221호에는 "도로 무단 횡단 방지 음향 메시지"가 개시되어 있고, 운전자의 횡단보도 무단통과를 방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국내 공개특허 제10-1999-0010849호에는 "차량의 횡단보도 무단통과 경고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prevent an unauthorized traversal of a traversing object in the above-mentioned viewpoint, th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80221 discloses an " acoustic message preventing road crossing "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th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010849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the passage of a vehicle by crosswalk.

그러나, 상기의 "도로 무단 횡단 방지 음향 메시지"는 무단 횡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보도 건널목 지면 상에 포토 센서가 구비된 별도의 기둥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돌출 형성된 기둥이 횡단대상체의 통행을 방해할 뿐 아니라, 장애자들의 보행에도 지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endless crossing of the road,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provide a separate pole provided with a photosensor on the floor of the crosswalk, Not only obstructs the passage of the handicapped, but also hinders the walking of the handicapped.

그리고, 상기 "차량의 횡단보도 무단통과 경고방법 및 그 장치"의 경우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 내에 별도로 뷰글러 등이 장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경고음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은 실시 자체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횡단대상체의 무단 횡단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ing the vehicle on the crosswalk,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arning sound output means including a controller equipped with a view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unattended vehicle can not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the unauthorized traversal of the traversing obj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확한 판단과 감지로 무단 횡단으로 인한 사고의 방지가 가능한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authorized traverse detec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caused by unauthorized traversal by accurate judgment and det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은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는 횡단대상체를 감지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횡단신호와 상기 감지부가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제1무선통신부와, 상기 감지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횡단신호가 출력되면 빛이나 소리를 통해 횡단대상체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보행경고부를 포함하는 보행감지유닛과; 상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제1무선통신부에서 송출된 횡단신호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며 상기 제2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횡단신호를 송출한 해당 감지부의 위치를 주행 경로 상에 표시하는 지피에스단말부와, 상기 지피에스단말부에 표시되는 해당 감지부의 위치가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상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주행경고부를 포함하는 주행감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dless crossing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sensing unit installed along a road for sensing a transverse object crossing the road and outputting a transverse signal;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to a traversing object through light or sound when the sensing unit outputs a traverse signal, A walking detection unit including a warning uni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running along the road and receives a transit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isplays a traveling route of the vehicle, A geosheet terminal unit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which has transmitted the transverse signal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n the traveling rou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displayed on the traveling- And a driving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when the driving warning unit is located in the driving direction detection unit.

상기 감지부는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기준조도값 이상일 때 동작하는 제1카메라와,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미만일 때 동작하고 열 화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제1카메라와 상기 제2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분석 및 횡단대상체의 횡단 여부를 판정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분석부 및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의 동작을 절환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석부는 기준영상과 상기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에서 촬영된 비교영상을 비교하여 횡단대상체의 횡단 여부를 판정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보행경고부는 도로 및 도로 주변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조명등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 및 상기 감지부에서 횡단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조명등 또는 상기 부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이상일 때 상기 부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미만일 때 상기 조명등이 점멸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주행경고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발광부와,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camera that operates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a second camera that operates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 imag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n image acquir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determining whether a traversing target is traversed and outputting a traverse signal; Wherein the image analyzing unit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compariso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raversing target is travers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outputs a traverse signal. The gait warning unit includes an illuminating lamp installed to emit light around the road and the road, a buzzer to output a warning sou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or the buzzer only when the sensing unit receives the traverse signal,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uzzer to operate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controls the illumination lamp to blink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driving warning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emitting light,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

상기 지피에스단말부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수신부와,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및 해당 감지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횡단신호를 송출한 해당 감지부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감지유닛은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이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는 속도제한부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비상등을 점멸되게 제어하는 점멸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PS terminal unit includes a GPS receiver for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display for displaying a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nd a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and a distanc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unit and the vehicle, And the travel detecting unit includes a speed limiting unit that limits the speed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accelerated above a set reference speed if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is within a set distance, And a blink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inking control unit to blink.

상기 보행감지유닛은 상기 감지부 주변의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대상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하는 횡단대상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횡단대상판별부에서 상기 횡단대상체가 사람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인체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횡단대상체가 동물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동물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gait dete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traverse object discriminating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traversing object traversing the road around the sensing unit is a person or an animal, and when the traversing object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traversing object is a person,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n animal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verse object is an animal.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은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는 횡단대상체에게 경고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대상체를 향하여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횡단대상체의 무단횡단 여부 및 경고를 제공할 수 있어 쌍방에 경각심을 일깨워줌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ndless travers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provide a warning to a traversing object crossing the road without interruption but also can provide the vehicle driver who is traveling toward the traversing object with an unauthorized traverse of the traversing object and warning,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raffic accident beforeh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의 구체적인 기수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angential traverse sens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nose configuration of the endless travers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ndless crossing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은 보행감지유닛(100)과; 주행감지유닛(200);을 구비한다.1 and 2 show an endless crossing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endless traverse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king detection unit 100; And a traveling detection unit (200).

상기 보행감지유닛(100)은 감지부(110)와, 제1무선통신부(130) 및 보행경고부(150)를 포함한다.The gait detecting unit 100 includes a sensing unit 110,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walking alert unit 150.

상기 감지부(110)는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는 횡단대상체를 감지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이나 전신주와 같은 지주(110a)에 설치되어 있다.The sensing unit 110 is installed along a road to sense a transverse object crossing the road and outputs a transverse signal.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nsing unit 110 is installed in a support 110a such as a street lamp or a telephone pole have.

상기 감지부(110)는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정보를 송출하는 조도센서(111)와, 상기 조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기준조도값 이상일 때 동작하는 제1카메라(112)와, 상기 조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미만일 때 동작하고 열 화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113)와, 상기 제1카메라(112)와 상기 제2카메라(113)에서 획득된 영상을 분석 및 횡단대상체의 횡단 여부를 판정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분석부(114) 및 상기 조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112)와 제2카메라(113)의 동작을 절환시키는 절환부(115)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110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111 for measuring illuminance and transmitting illuminance information, a first camera 112 operating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 second camera 113 that operates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11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acquires a thermal image; and a second camera 113 that operates when the first camera 112 and the second camera 113 An image analyzing unit 114 for analyzing the acquired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raversing object is traversed and outputting a traverse signal, and an image analyzing unit 114 for analyzing the acquired image, (115)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13).

상기 제1카메라(112)는 통상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카메라를 적용하며, 상기 제2카메라(113)는 열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대역의 복사를 감지하여 영상화하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적용한다. 상기 제1카메라(112)와 제2카메라(113)는 도로 및 도로 주변의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 영역이 비교적 넓은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amera 112 generally uses a general camera used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the second camera 113 uses an infrared camera that senses and imaged a radiation of an infrared band emitted from a heat source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amera 112 and the second camera 113 have a relatively wide photographing area so as to photograph the area around the road and the road.

상기 영상분석부(114)는 상기 제1카메라(112) 및 상기 제2카메라(113)를 통해 미리 촬영된 기준영상과, 상기 제1카메라(112) 및 상기 제2카메라(113)에서 주기적으로 촬영된 영상(비교대상 영상)을 비교하여 횡단대상체의 횡단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The image analyzing unit 114 analyzes the reference image photographed in advance through the first camera 112 and the second camera 113 and the reference image photographed periodically at the first camera 112 and the second camera 113 And compares the photographed images (comparison target images) to judge whether or not the traversing target is traversed.

상기 영상분석부(114)에는 제1카메라(112)에 의한 제1기준영상과, 제2카메라(113)에 의한 제2기준영상이 모두 저장되어 있으며, 조도정보에 따라 제1기준영상과 비교대상 영상을 비교하거나 제2기준영상과 비교대상 영상을 선택적으로 비교하도록 되어 있다.The image analyzer 114 stores both a first reference image by the first camera 112 and a second reference image by the second camera 113. The reference image is compared with the first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illumination information, The target image is compared or the second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target image are selectively compared.

상기 영상분석부(114)는 상기 제1카메라(112)에서 촬영된 비교대상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도로상에 횡단대상체가 없는 평상시의 영상(제1기준영상)과 제1카메라(112)에서 촬영된 비교대상 영상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횡단대상체가 횡단중인 것으로 판정한 뒤 횡단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분석부(114)는 촬영된 영상에서 픽셀(pixel)의 변화를 감지하여, 픽셀의 변화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에는 무단 횡단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image analyzing unit 114 stores the comparison object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112 in a database and displays the normal image (first reference image) without the traversing object on the road and the normal ima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ptured image and the comparison target image is compared, and if the difference exceeds the se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rsing target is traversing and then a traverse signal is output. The image analyzing unit 114 detects a change in a pixel in the photographed image, and recognizes the change in the pixel as an endless crossing when the change in the pixe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영상분석부(114)는 이미지 픽셀의 변화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즉, 보도에서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픽셀의 변화에 대하여는 무단 횡단으로 판정하지만, 차량이 도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횡단대상체가 보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모두 무단 횡단으로 판정하지 않도록 도로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픽셀 변화는 무단 횡단으로 인식하지 않는다.The image analyzing unit 114 preferably sets directionality with respect to a change in image pixels.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of the pixel in the direction from the sidewalk to the road crossing is endless, but the progress of the road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judge the endless crossing both when moving along the road or when the crossing object moves along the sidewalk Pixel change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are not recognized as endless traversal.

한편, 상기 영상분석부(114)는 상기 제1카메라(112)를 통한 횡단 여부 판정과 유사하게 상기 제2카메라(113)에서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도로상에 횡단대상체가 없는 평상시의 영상 즉, 기준영상과 제2카메라(113)에서 촬영된 영상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횡단대상체가 횡단중인 것으로 판정한 뒤 횡단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분석부(114)는 촬영된 영상에서 픽셀의 변화를 감지하여, 픽셀의 변화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에는 무단 횡단으로 인식한다. The image analyzing unit 114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13 in a database similar to the traverse determination through the first camera 112,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13 is compared. If the difference exceeds the se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rsing target is traversing and then the traversing signal is output. The image analyzing unit 114 detects the change of the pixel in the photographed image, and recognizes the change of the pixel as the endless crossing when the change of the pixel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일 예로, 같은 거리에서 쥐와 같은 작은 동물은 제2카메라(113)에서 촬영된 감지 영역이 작고, 사람의 경우에는 촬영된 감지 영역이 크므로 기 설정된 픽셀의 변화가 일정 이상이 감지되면 무단 횡단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영상분석부(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픽셀의 변화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n a small animal such as a mouse at the same distance, the sensing area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13 is small, and in the case of a person, the photographed sensing area is large. Therefore, The situation can be recogniz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analyzing unit 114 is set to have directionality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the pixels as described above.

상기 절환부(115)는 낮 동안에는 제1카메라(112)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밤 동안에는 제2카메라(113)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1카메라(112)와 제2카메라(11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The switching unit 115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camera 112 to acquire an image through the first camera 112 during the day and the second camera 113 to acquire an image through the second camera 113 during the night, And selectively drives the camera 113.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출력된 횡단신호와 상기 감지부(110)가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는 감지부(110) 또는 감지부(110)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감지부(110)에서 횡단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횡단신호와 함께 위치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는 감지부(110) 또는 지주(110a)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지점까지 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cros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sensing unit 110 is locate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10 or the sensing unit 110. When the sensing unit 110 outputs a sensing signal to the sensing unit 110, And is transmitted by radio.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can reach a signal from a point where the sensing unit 110 or the support 110a is installed to a poin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보행경고부(150)는 상기 감지부(1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110)에서 횡단신호가 출력되면 빛이나 소리를 통해 횡단대상체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도로 및 도로 주변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조명등(151)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153) 및 상기 조명등(151)과 상기 부저(15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155)를 포함한다.The walking warning unit 15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110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transit target through light or sound when the sensing unit 110 outputs a traverse signal. A buzzer 153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nd a controller 15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151 and the buzzer 153.

상기 조명등(151)은 감지부(110)가 가로등에 설치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어기(155)는 가로등에 설치된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상기 감지부(110)가 전신주에 설치되는 경우 횡단대상체기 빛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갖는 것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llumination light 151 may be omitted when the sensing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streetligh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5 preferab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mp installed in the streetlight. Alternatively, when the sensing unit 110 is installed on a telephone pole, it is preferable to separately provide the sensing unit 110 with brightness sufficient to recognize the light of the crossing target object.

그리고, 상기 제어기(155)는 상기 조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이상일 때 상기 부저(153)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미만일 때 상기 조명등(151)이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기(155)는 상기 조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일사량이 적은 흐린 날이나 황혼 즈음에 대응하는 조도값인 기준조도값보다 클 때에는 조명등(151)을 켜더라도 횡단대상체기 이를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명등(151)의 제어는 수행하지 않고 부저(153)의 동작만 제어하고, 이와 다르게 측정된 조도값이 기준조도값보다 작을 때에는 조명등(151)을 켜거나 점멸 동작되게 제어함으로써 횡단대상체가 이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55)는 조도값에 관계없이 조명등(151)과 부저(153)를 모두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5 controls the buzzer 153 to operate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controls the illumination lamp 151 to blink when the reference illumination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tion value. For example,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11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corresponding to a cloudy day or a twilight with a small solar radiation amount, the controller 155 may turn on the illuminating lamp 151,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uzzer 153 without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lamp 151 and to control the illumination lamp 151 to turn on or blink when the measured illumination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tion value So that the traversing object can recognize it. Further, the controller 155 can control both the illumination lamp 151 and the buzzer 153 to operate regardless of the illumination value.

한편, 상술한 예에서 상기 제어기(155)는 감지부(110)에서 횡단신호가 출력되기만 하면 조명등(151)과 부저(153)를 동작되게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기(155)는 제1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별도의 차량근접신호를 참조하여 조명등(151)과 부저(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와 후술하는 주행감지유닛(200)에 구비된 제2무선통신부(210)는 서로 무선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155 controls the illumination lamp 151 and the buzzer 153 to operate only when a cros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110. Alternatively,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151 and the buzzer 153 can be controlled by referring to a separate vehicle proximit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provided in the travel sensing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ble to exchange wireless signals with each other.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에 수신되는 차량근접신호는 감지부(110)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차량에 설치된 제2무선통신부(210)가 제1무선통신부(130)로부터 송출된 횡단신호를 수신한 뒤, 다시 제1무선통신부(130)로 송출하는 무선신호로서, 횡단신호가 송출된 감지부(110)와 가까운 거리에 차량이 주행하고 있고 해당 감지부(110) 쪽으로 차량이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즉, 상기 차량근접신호는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대상체에게 경고를 주기 위한 조명등(151) 또는 부저(153)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라 할 수 있다.The vehicle proximity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is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nstalled in the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ing unit 110 by receiving a cros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gain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running close to the sensing unit 110 to which the transverse signal is transmitted and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he sensing unit 110 It is a signal. That is, the vehicle proximity signal may be a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illumination lamp 151 or the buzzer 153 for giving a warning to a traversing object traversing the road.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에는 감지부(110)로부터 설정된 거리 밖에 있는 차량의 제2무선통신부(210)로부터 송출된 신호는 수신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제2무선통신부(210)에 차량근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기(155)는 조명등(151)과 부저(153)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can not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vehicle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ing unit 110, When the signal is not received, the controller 155 does not ne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151 and the buzzer 153.

상기 주행감지유닛(200)은 제2무선통신부(210)와, 지피에스단말부(230)와, 주행경고부(250)를 포함한다. The travel sensing unit 200 includes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GPS terminal unit 230, and a driving warning unit 250.

상기 제2무선통신부(210)는 상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에서 송출된 횡단신호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통신부와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무선통신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무선통신부(130)와 양방향통신이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무선통신부(210)에 횡단신호가 송출되면, 제1무선통신부(130)를 향해 차량근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installed in a vehicle traveling along the road and receives a transit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when a traver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vehicle proximity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wirelessly.

상기 지피에스단말부(230)는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며 상기 제2무선통신부(210)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횡단신호를 송출한 해당 감지부(110)의 위치를 주행 경로 상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지피에스수신부(231)와, 디스플레이(232)와, 거리산출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지피에스단말부(230)는 통상적인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적용할 수 있다.The GPS terminal unit 23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isplays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a crossing signal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o the sensing unit 110, A display 232, and a distance calculating unit 233, as shown in FIG. The GPS terminal unit 230 may apply conventional navigation.

상기 지피에스수신부(231)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지도정보 및 차량의 속도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2)는 지피에스수신부(231)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정보, 지도정보, 속도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및 횡단신호가 송출된 해당 감지부(110)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거리산출부(233)는 횡단신호를 송출한 해당 감지부(110)의 위치와 현재 차량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거리산출부(233)에서 산출된 거리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232)에 표시된다.The GPS receiver 231 acquire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an acquire not only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ut also surrounding map information and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display 232 displays not only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map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231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10 to which the traveling path and the transverse signal of the vehicle are transmitted have.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233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vehicle which transmitted the crossing signal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233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232 ).

상기 주행경고부(250)는 상기 지피에스단말부(230)에 표시되는 해당 감지부(110)의 위치가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상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발광부(251)와, 운전자에게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경고부(250)는 횡단신호가 송출된 위치가 주행중인 차량이 이미 지나쳐 온 후방인 경우 발광부(251)와 음성 출력부(253)는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running warning unit 250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when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10 displayed on the GPS satellite terminal unit 2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 light emitting unit 251 that emits light and a voice output unit 253 that outputs a warning voice to the driver. The running warning unit 250 is set such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251 and the audio output unit 253 do not operate when the position where the crossing signal is transmitted is behind the vehicle in which the traveling vehicle has already passed.

또한, 상기 주행감지유닛(200)은 상기 거리산출부(233)에서 산출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이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는 속도제한부(270)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비상등을 점멸되게 제어하는 점멸제어부(2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travel detecting unit 200 further includes a speed limiting unit 270 that limits the speed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accelerat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when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233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linking control unit 290 for controlling the emergency light provided in the vehicle to blink.

상기 속도제한부(270)는 차량의 제어계통에 연계되어 운전자가 가속하더라도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으로는 가속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여 도로를 횡단 중인 횡단대상체와의 충돌이나 기타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The speed limiter 270 limits the speed of the vehicle by preventing the speed limiter 270 from accelerating beyond a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even if the driver accelerates by being linked to the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so as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traversing object crossing the road, Can be prevented.

상기 점멸제어부(290)는 속도제한부(270)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제어계통에 연계되어 감지부(110) 주변의 보도를 따라 걷는 횡단대상체나 감지부(110) 주변의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대상체가 차량이 근접하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차량에 설치된 비상등을 주기적으로 점멸되게 제어한다.The blinking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blinking control unit 290 so that the blinking control unit 290 can control the blinking object to walk along the sidewalk around the sensing unit 110 or the crossing object traversing the road around the sensing unit 110, The emergency light installed in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be periodically turned on so as to recognize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상기와 같은 속도제한부(270)를 통해 감지부(110) 주변으로 차량이 근접하면 차량의 속도를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저속 운행에 따른 사고 회피율을 높일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점멸제어부(290)를 통해 감지부(110) 주변의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대상체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게 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sensing unit 110 through the speed limit unit 270,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peed or lower, thereby improving the accident avoidance rate due to low-speed opera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traversing target traversing the road around the sensing unit 110 to have a sense of warning,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from occurring.

한편,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은 야간에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횡단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110) 주변의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대상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하는 횡단대상판별부(190)가 보행감지유닛(100)에 더 구비되어 있다.In the meantime, the endless crossing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cros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image analyzing unit at night, a transverse crossing that determines whether a crossing object traversing the road around the sensing unit 110 is a person or an animal An object determining unit 190 is further provided in the gait detecting unit 100. [

상기 보행감지유닛(100)은 야간에 상기 횡단대상판별부(190)를 통해 횡단대상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분석부(114)로부터 횡단신호가 출력될 시 제1카메라(112)를 동작되게 하여 상기 감지부(110)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되어 있다.The gait detecting unit 100 may detect whether the traversing target is a person or an animal through the traversing object judging unit 190 at a time when the traverse signal is output from the image analyzing unit 114, 112 are operated to acquire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sensing unit 110.

상기 보행감지유닛(100)은 야간에 횡단대상체가 도로를 횡단하면, 상기 영상분석부(114)로부터 횡단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보행경고부의 조명등이 점멸되면서 횡단대상체를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112)는 감지부(110)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카메라(112)에서 획득된 영상은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 처리된 후 횡단대상판별부(190)에 의해 분석된다.When the traversing target crosses the road at night, the gait detecting unit 100 outputs a traverse signal from the image analyzing unit 114. 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walking warning unit blinks and illuminates the traversing target . In addition, the first camera 112 is adapted to acquire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sensing unit 110. The image obtained by the first camera 112 is stored in a separate memory and then analyzed by the traverse object determination unit 190.

상기 횡단대상판별부(190)는 제1카메라(112)에서 획득된 영상에 사람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사람인 것으로 판별하고, 고라니나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동물인 것으로 판별한다. The traverse object determining unit 190 determines that a human image exists in the image obtained by the first camera 112. If the image is similar to a wild animal such as an elk or wild boar, If it exists, it is judged to be an animal.

한편, 상기 횡단대상판별부(190)는 야생동물의 눈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제1카메라를 통해 화상화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횡단대상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횡단대상판별부(190)는 상기 제1카메라(112)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주변의 영역보다 밝은 두 지점이 인식되는 경우 횡단대상체를 동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사람의 경우 빛을 받아도 눈에서 빛이 반사되지 않으므로 판별이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ing object discrimination unit 190 can visualize the light reflected by the eyes of the wild animal through the first camera to acquire an image and analyze the acquir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crossing object is a human or an animal have. That is, if the two images, which are brighter than the surrounding area, are recognized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first camera 112, the traverse object determination unit 190 can determine the traversing object as an animal.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person, the light is not reflected from the eye, so it is easy to discriminate.

상기 보행감지유닛(100)은 상기 횡단대상판별부(190)에서 상기 횡단대상체가 사람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인체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횡단대상체가 동물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부(130)를 통해 동물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gait detect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verse object is a person in the transverse object discriminating unit 190, An animal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imal is an animal.

상기 인체감지신호와 상기 동물감지신호는 각각 제2무선통신부(210)에서 수신되는 경우, 지피에스단말부(230)는 디스플레이에 사람 형상의 이미지와 동물 형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and the animal detection signal are respectively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GPS terminal unit 230 displays a human-shaped image and an animal-shaped image on the displa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보행감지유닛
110 : 감지부 111 : 조도센서
112 : 제1카메라 113 : 제2카메라
114 : 영상분석부 115 : 절환부
130 : 제1무선통신부 150 : 보행경고부
151 : 조명등 153 : 부저
155 : 제어기 180 : 횡단대상판별부
200 : 주행감지유닛
210 : 제2무선통신부 230 : 지피에스단말부
231 : 지피에스수신부 232 : 디스플레이
233 : 거리산출부 250 : 주행경고부
251 : 발광부 253 : 음성 출력부
270 : 속도제한부 290 : 점멸제어부
100: Walking detection unit
110: sensing unit 111: illuminance sensor
112: first camera 113: second camera
114: image analysis unit 115:
130: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151: illumination light 153: buzzer
155: Controller 180: Crossing object discrimination unit
200: Driving detection unit
210: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231: GFS receiver 232: Display
233: distance calculating unit 250: running warning unit
251: Light emitting section 253: Audio output section
270: Speed limiting section 290: Flashing control section

Claims (4)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는 횡단대상체를 감지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횡단신호와 상기 감지부가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제1무선통신부와, 상기 감지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횡단신호가 출력되면 빛이나 소리를 통해 횡단대상체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보행경고부를 포함하는 보행감지유닛과;
상기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제1무선통신부에서 송출된 횡단신호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며 상기 제2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횡단신호를 송출한 해당 감지부의 위치를 주행 경로 상에 표시하는 지피에스단말부와, 상기 지피에스단말부에 표시되는 해당 감지부의 위치가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상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주행경고부를 포함하는 주행감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기준조도값 이상일 때 동작하는 제1카메라와,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미만일 때 동작하고 열 화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와, 상기 제1카메라와 상기 제2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분석 및 횡단대상체의 횡단 여부를 판정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분석부 및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의 동작을 절환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석부는 기준영상과 상기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에서 촬영된 비교영상을 비교하여 횡단대상체의 횡단 여부를 판정하여 횡단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보행경고부는 도로 및 도로 주변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조명등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 및 상기 감지부에서 횡단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조명등 또는 상기 부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이상일 때 상기 부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기준조도값 미만일 때 상기 조명등이 점멸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주행경고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발광부와,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피에스단말부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수신부와,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및 해당 감지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횡단신호를 송출한 해당 감지부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감지유닛은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이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는 속도제한부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비상등을 점멸되게 제어하는 점멸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rossing signal outpu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positional information of a point where the sensing unit is locate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crossing object installed along the road and crossing the road without any obstacle and outputting a crossing signal; And a walking warning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and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traversing object through light or sound when a cros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running along the road and receives a transit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isplays a traveling route of the vehicle, A geosheet terminal unit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which has transmitted the transverse signal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n the traveling rou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displayed on the traveling- And a driving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when the driving warning unit is located in the vehicle,
A first camera that operates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a second camera that operates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 imag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n image acquir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determining whether a traversing target is traversed and outputting a traverse signal; Wherein the image analyzing unit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compariso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raversing target is traversed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outputs a crossing signal,
Wherein the gait warning unit includes an illuminating lamp installed to emit light around the road and a road, a buzzer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illuminating lamp or the buzzer only when the transceiving signal is received by the sensing uni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uzzer to operate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nd controls the illuminating lamp to blink when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Wherein the running warning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emits light and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a warning voice,
The GPS terminal unit includes a GPS receiver for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display for displaying a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and a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and a distanc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unit and the vehicle, Including,
Wherein the driving detection unit includes a speed limiting unit that limits the speed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accelerated above a set reference speed if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is within a set distance, And a flash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감지유닛은 상기 감지부 주변의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대상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하는 횡단대상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횡단대상판별부에서 상기 횡단대상체가 사람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인체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횡단대상체가 동물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부를 통해 동물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it dete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traverse object discriminating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traversing object traversing the road around the sensing unit is a person or an animal,
Wherein the transit object discrimination unit transmits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it object is a person and when the transit object is judged to be an animal,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KR1020140109754A 2014-08-22 2014-08-22 Jaywalking detection system KR101475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54A KR101475453B1 (en) 2014-08-22 2014-08-22 Jaywalking det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54A KR101475453B1 (en) 2014-08-22 2014-08-22 Jaywalking dete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453B1 true KR101475453B1 (en) 2014-12-26

Family

ID=5267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754A KR101475453B1 (en) 2014-08-22 2014-08-22 Jaywalking det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5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62A (en) * 2016-06-28 2018-0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frastructure device, vehicle and jaywalking 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KR20210100901A (en) 2020-02-07 2021-08-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of jaywalking pedestrians
US11756416B2 (en) 2017-10-19 2023-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o vehicle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an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4054B2 (en) * 2004-06-08 2009-06-03 株式会社デンソー Pedestrian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KR100980486B1 (en) * 2010-02-12 2010-09-07 주식회사 삼도 Apparatus for warning previous sensing of corsswalk pedestrian and safe driving
KR101276385B1 (en) * 2011-12-27 2013-06-19 손승남 Safe notice system using camera at unsignalized pedestrian cross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354049B1 (en) * 2012-10-30 2014-02-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pedestrians jaywalking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4054B2 (en) * 2004-06-08 2009-06-03 株式会社デンソー Pedestrian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KR100980486B1 (en) * 2010-02-12 2010-09-07 주식회사 삼도 Apparatus for warning previous sensing of corsswalk pedestrian and safe driving
KR101276385B1 (en) * 2011-12-27 2013-06-19 손승남 Safe notice system using camera at unsignalized pedestrian cross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354049B1 (en) * 2012-10-30 2014-02-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pedestrians jaywalking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62A (en) * 2016-06-28 2018-0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frastructure device, vehicle and jaywalking 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KR101885519B1 (en) * 2016-06-28 2018-08-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frastructure device, vehicle and jaywalking 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US11756416B2 (en) 2017-10-19 2023-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o vehicle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an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KR20210100901A (en) 2020-02-07 2021-08-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of jaywalking pedestri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6147B2 (en) Wrong-way determination apparatus
US11355014B1 (en) System for warning about intersection danger based on situation prediction
KR20190046317A (en) Walking safety system
KR101276385B1 (en) Safe notice system using camera at unsignalized pedestrian cross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408029B1 (en) Crosswalk Safet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87609B1 (en) Pedestrian safety system
KR101245510B1 (en) Accident sensing and warning system on road
JP2009032260A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KR102296105B1 (en) A Crosswalk Pedestrian Safety Support System Based on Smart Sensor
KR1022115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Driving
KR101454127B1 (en) Available for recognized jaywalking advertising delivery system for pedestrians and drivers
KR101635477B1 (en) Safety system on a crosswalk for traffic signal
KR20170139811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JP2013092992A (en)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KR102263867B1 (en) System for protecting pedestrian in crosswalk
KR102226533B1 (en) Smart road lighting system composed of an integrated lighting po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75453B1 (en) Jaywalking detection system
KR102107791B1 (en) Safety speed control system for children's protection zone
CN114863718A (en)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1326184B1 (en) Indication system for traffic accident prevention
KR20170139800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for signal violation and overspeed, and system of the same
KR20190090221A (en) Intelligence safety device
KR20170139807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KR102419502B1 (en) Tunnel lighting system and tunnel interior roa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014527A (en) Speed-sensitive Road transversal person War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