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304B1 -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304B1
KR101474304B1 KR1020080072433A KR20080072433A KR101474304B1 KR 101474304 B1 KR101474304 B1 KR 101474304B1 KR 1020080072433 A KR1020080072433 A KR 1020080072433A KR 20080072433 A KR20080072433 A KR 20080072433A KR 101474304 B1 KR101474304 B1 KR 10147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face
face area
mark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1287A (en
Inventor
이승윤
김재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304B1/en
Publication of KR2010001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 영역의 크기가 작아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와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는 경우에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리키는 마크를 서로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얼굴 표정 인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display method which display a face expression recognition recognition result by displaying a case where a facial region is small in size and a face indicating an area including a face when the facial expression is recognized, A control method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led by the meth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function of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Description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지에 따라 얼굴 영역을 상이하게 가리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얼굴의 웃음 또는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facial laughter or blinking of eye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얼굴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나아가 상기 얼굴의 웃음(smile) 또는 눈 깜빡임(blink)과 같은 얼굴의 특정 표정을 인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도 개발되었다. Recently,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rovides a face recognition function has been developed, and further,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recognizes a specific facial expression such as a smile or a blink of the face has been developed.

인식한 얼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어야 상기와 같은 얼굴의 표정들을 인식할 수 있다. 종래 개발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얼굴 표정 인식 기능을 설정함에도, 인식한 얼굴의 크기가 작아 얼굴 표정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 얼굴 표정을 인식하지 않고 촬영하였다.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above-mentioned face can be recognized only when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is larger than a certain size. In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ven if the user sets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unction, the facial expression is not recognized when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is impossible because the recognized facial size is small.

본 발명은 얼굴 영역의 크기가 작아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 얼굴 표정 인식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effectively inform a user when a facial expression is not recognized due to a small size of a facial region.

본 발명은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나타내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 경우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마크(mark)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마크와 상이하고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mark)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inputting first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including a face, recognizing a face region from the first image data, determining a size of the recognized face region as a size Displaying a first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when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arge enough to recognize a facial expression, and if not, displaying the first mark, And displaying a second mark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함은 상기 얼굴의 웃음(smile) 또는 눈 깜빡임(blink)을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Recognition of the facial expression may be to recognize the smile or blink of the face.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a facial express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a first face region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smile of the 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in which the blinking of the eyes can be recognized.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다면 상기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모두 작다면, 상기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중 어느 하나 보다 작다면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3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중 큰 경계보다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크다면 상기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isplaying the first mark 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and a boundary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and displaying a boundary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and a size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And displays a thir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f the second mark is smaller than any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 The first mark may be displayed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화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마크 또는 상기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이 변화되어, 얼굴 영역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제1 마크 또는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에 따라 제1 마크 또는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a size of the face reg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first mark or the second mark 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changed face area. That is, the input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he size of the face region can be changed. The first mark or the second mark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change of the face reg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first mark or the second mark according to an image input in real time.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촬영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 스플레이할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can recognize the expression of the face, the second image data can be generated by displaying the first mark and recognizing the expression of the face. The second image data is input by a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second image data can be compressed to generate an image file. And restoring the second image data from the image file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은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나타내는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역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와,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하는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와,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마크(mark)의 표시를 제어하는 마크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ce recognition apparatus including a fa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face region from first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including a face, a siz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ize of the face region, And a mark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according to the size determination unit of the face area.

상기 얼굴의 표정은 웃음 또는 눈 깜빡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하거나, 또는 눈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The expression of the face may be laughing or blink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laughs or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region can recognize blinks.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라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없는 크기라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ize of the face area, the mark display controller displays a first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f the facial expression can not be recognized,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secon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와,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눈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ze determination unit of the face area may include a size determination unit of a first face area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area belongs to a size range of a first face area that can recognize the smile of the face, And a size determination unit of a second face region that determines whether the eye blinking is within a size range of a second face region that can recognize the blinking of eyes.

상기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에 모두 속한다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모두 속하지 않는다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 중 어느 하나에만 속한다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3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에만 속하는 경우와 상기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범위에만 속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제3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belongs to both the size range of the first face region and the size range of the second face region as a result of the size determination unit of the first face region and the size determination unit of the second face region,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first mark, and if not all,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second mark, and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ny one of the size range of the first face area and the size range of the second face area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thir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isplay the third mark by distinguishing the case of belonging only to the size range of the first face area and the case belonging to only the size range of the second face area.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는 표정 인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정 인식부는 상기 얼굴의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웃음 인식부 또는/및 상기 얼굴의 눈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눈 깜빡임 인식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zing unit may include a laughing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laughing of the face or an eye blinking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blinking of the face.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라면 상기 표정 인식부는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determined to be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can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ial region.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표정 인식부에서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인코더와,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in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and generating second image data, an encoder for compressing the second image data to generate an image file, And a decoder for restoring the second image data from the file.

본 발명은 얼굴 영역의 크기가 작아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특히, 복수의 얼굴들을 촬영하는 경우, 인식한 얼굴들 각각에 얼굴 표정 인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상기 얼굴들 모두에 대해 표정을 인식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일부에 대해서만 표정을 인식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등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기능의 사용자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forms the user of the situation when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small and the facial expression is not recognized. Particularly, when a plurality of faces are photographed, when a user recognizes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on each recognized face to recognize facial expressions for all of the facial expressions, It is possible to perform shooting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tention. Therefore, a desired image can be obtained, and th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the function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예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digital camera 100 is exemplified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광학부(11), 광학 구동부(12) 및 광학 구동 제어부(13)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camera 100 includes an optical unit 11, an optical driver 12, and an optical driver 13.

광학부(11)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촬상소자(21)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부(11)는 상기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 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optical unit 11 transmits an optical signal from the subject to the image pickup device 21. [ Specifically, the optical unit 11 may include a lens for condensing the optical signal, a diaphragm for adjusting the amount (amount of light) of the optical signal, a shutter for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optical signa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ens includes a zoom lens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view to be narrowed or widened according to a focal length, a focus lens for focusing the subject, and the like, each of which may be composed of one lens , And a plurality of lens groups.

광학 구동부(12)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 또는 셔터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optical driver 12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len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diaphragm,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and the like. The focus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lens. Further, the amount of ligh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perture or shutter opening / closing.

광학 구동 제어부(13)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정보들에 근거하여 광학부(11)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신호들은 광학 구동부(12)로 전달되어, 광학부(11)를 구동할 수 있다. The optical drive controller 13 receives the input image information or user input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70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optical unit 11 based on the information . The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optical driver 12 to drive the optical driver 11.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촬상 소자(21), ADC(22) 및 촬상 제어부(23)를 구비한다. The digital camera 100 includes an image pickup device 21, an ADC 22, and an image pickup control unit 23.

상기 광학부(11)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소자(21)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소자(21)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방식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경우, 상기 셔터 대신 촬상소자(2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영상의 촬영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section 11 reaches the light-receiving surface of the image pickup element 21 and forms an image of the object. The image pickup device 21 may b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I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f the image b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image pickup device 21 instead of the shutter.

ADC(22)는 촬상소자(21)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21)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ADC(22)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데이터를 RAW 데이터라 한다. 그리고 ADC(22)는 DSP(70)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ADC 22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1 to remove high 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uto gain control (AGC)),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Since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21 is an analog signal, the ADC 22 digitizes the analog signal to generate image data. For example, the image data is referred to as RAW data. Then, the ADC 22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DSP 70.

촬상 제어부(23)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정보들에 근거하여 촬상 소자(21)와 ADC(22)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image pickup control unit 23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in real time or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SP) 70 and controls the image pickup device 21 and the ADC 22 based on the information Signal.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조작부(30), 기록부(40), 통신부(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 The digital camera 1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30, a recording unit 40, a communication unit 50, and a display unit 60.

조작부(3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3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소자(21)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갖는 조작부(30)는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The operation unit 30 is a place where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such as a user can be input. The operation unit 30 includes a release button for generating a shutter-release signal for photographing a photograph by exposing the image pickup device 21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power button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power, A wide angle-zoom button and a telephoto-zoom button for widening or narrowing the angle of view, a mode selection of a character input mode, a shooting mode, a playback mode, a white balance setting function selection, . The operation unit 30 having such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that the user can input, such as a keyboard,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상기 기록부(40)는 영상 파일을 비롯하여 기타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파일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한 것으로, 예를 들어 JPEG 등의 형태로 압축 처리한 파일일 수 있다. 상기 기록부(40)는 내장형 메모리 또는 외장 형 메모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장형 메모리로 메모리 카드, 외장 하드 디스크 등이 있다. The recording unit 40 may store image files and other information. The image file may be a file obtained by compr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data, for example, a file compressed in the form of JPEG or the like. The recording unit 40 may take the form of a built-in memory or an external memory. External memory is a memory card, external hard disk, etc.

상기 외장형 메모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50)는 핸드폰, PDA 등의 모바일 통신 기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서버,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외부의 디지털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지털 촬영 장치(100)와 상기 외장형 메모리 또는 디지털 기기 사이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 방법으로는 유,무선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USB, RS-232, IEEE 139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nd an interface 50 for connecting the external memory. The interface 5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igital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personal computer, a computer server,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And transfers necessary information betwee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memory or digit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50. [ As the transmission method, both of them can be used, for example, USB, RS-232, IEEE 1394, or the like.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0)를 구비한다. 표시부(60)는 표시 제어부(61), 데이터 구동부(62), 주사 구동부(63), 패널(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61)는 상기 패널(64)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제어부(70)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62)와 주사 구동부(63)로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62)는 데이터 신호를 주사 구동부(63)는 주사 신호를 패널(64)에 제공한다. 패널(64)은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주사 신호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패널(64)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digital camera 100 also includes a display unit 60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gital camera 100 or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digital camera 100. The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 unit 61, a data driving unit 62, a scan driving unit 63, and a panel 64. The display control unit 61 converts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70 according to the display method of the panel 64 and outputs the converted image data to the data driving unit 62 and the scan driving unit 63. The data driver 62 supplies the data signal to the scan driver 63 and the scan driver 63 supplies the scan signal to the panel 64. The panel 64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and the scan signal. As the panel 64,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DD), or the like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얼굴을 포함하는 얼굴 영역의 크기가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하고,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마크를 상이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DSP(70)를 구비한다. The digital camera 100 recognizes a face from the image data,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area including the face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e, and if there is a case where the face can be recognized, And a DSP 7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o that the marks indicating the respective marks are displayed differently.

구체적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DSP(7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Specifically, one embodiment of the DSP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DSP(70)는 영상 신호 처리부(71), 얼굴 인식부(72),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 표정 인식부(74), 마크 표시 제어부(75)를 구비한다. The DSP 70 includes a video signal processor 71, a face recognizer 72, a face area size determiner 73, a facial expression recognizer 74, and a mark display controller 75.

영상 신호 처리부(71)는 광학부(11), 촬상 소자(21) 및 ADC(22)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71 converts the video signal inputted through the optical unit 11, the imaging device 21, and the ADC 22 according to the human's time. For example, a gamma correction, a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a color matrix, a color correction, and a color correction are performed on the image data to convert an image signal to a human's viewpoint. , Color enhancement, and the like.

얼굴 인식부(72)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을 인식한다. 얼굴 인식 방법으로 다양한 얼굴들의 휘도 정보들을 미리 기록한 템플릿을 형성하고, 상기 템플릿을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시키면서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휘도 데이터, 색상 데이터, 크로마 데이터로 변환하고,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살색을 나타내는 영역들에서의 수직 방향의 휘도 변화와, 상기 영역들의 화소들의 공간적인 분포를 기초로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눈, 입 등의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The face recognizing unit 72 recognizes a face from the image data. The face recognition method may form a template in which brightness information of various faces is recorded in advance, and recognize the face from the image data while matching the template with the image data. Or converting the image data into luminance data, color data, and chroma data, and recognizing the face based on the luminance ch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reas showing flesh color using the luminance data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ixels of the areas can do. Alternatively, a face can be recognized by detecting feature points of a face such as eyes, mouth, and the like.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에서 얼굴 인식부(72)에서 인식한 얼굴을 포함하는 일 영역(이하 '얼굴 영역'이라 한다)의 크기가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한다. 상기 얼굴 영역은 상기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 또는 상기 얼굴의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 등과 같이 제작자, 사용자 등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얼굴의 표정이라 함은 웃음(smile), 또는 눈 깜빡임(blink) 등이 있다. 복수의 얼굴 표정들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각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와 얼굴 인식부(72)에서 인식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The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one area including the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e area')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The face region may be arbitrarily set by a manufacturer, a user, etc., such as an area including the face or an area including the boundary of the face.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the face includes smile, blink, and the like. In the case of recognizing a plurality of facial expression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boundary of the facial region size for recognizing each facial expression and the size of the facial region recognized by the facial recognition unit 72.

구체적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는 제1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a)와 제2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b)를 구비한다. 3, the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 includes a first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a and a second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b.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a)는 얼굴의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와 얼굴 인식부(72)에서 인식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를 비교 판단한다. The first face region size determination unit 73a compares the size of the face region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72 with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in which the smile of the face can be recognized.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b)는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와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를 비교 판단한다. The second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b compares the size of the face area with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that can recognize blinking.

상기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라면, 상기 얼굴 영역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지므로, 표정 인식부(74)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마크 표시 제어부(75)에서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가 아니라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75)에서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acial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74 can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ial area,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area can be recognized. And controls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75 to display the first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f the face area size determining unit 73 determines that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not large enough to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75 controls to display the secon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도 4에 따르면, 얼굴 표정으로 웃음, 또는 눈 깜빡임을 인식하는 경우에 상 기 표정 인식부(74)는 웃음 인식부(74a)와 눈 깜빡임 인식부(74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case where laughter or blinking is perceived by facial expression,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74 may include a laughter recognition unit 74a and an eye blink recognition unit 74b.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a)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에는 웃음 인식부(74a)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웃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b)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에는 눈 깜빡임 인식부(74b)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in which the smile can be recognized, the smile recognition unit 74a recognizes the smile of the face region in the first face region size determination unit 73a .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in which the blinking can be recognized by the second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b, Eye blinking can be recognized.

얼굴의 웃음과 눈 깜빡임도 상기 얼굴 인식 방법과 같이, 웃는 얼굴과 눈 감은 얼굴 및 눈 뜬 얼굴의 휘도 정보에 대한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을 매칭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웃는 얼굴의 입 모양, 눈 모양, 눈 깜빡거리는 얼굴의 눈 모양 등에 관한 휘도 정보, 색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와 비교 판단함으로써 상기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다. The smile of the face and the blink of the eyes are stored in the database for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smile, the face of the eyes, and the eyes of the eyes as well as the face recognition method, and the input image data and the template are matched and recognized have. Or the luminance information and the color information concerning the mouth shape of the smiling face, the eye shape, the eye shape of the blinking face, and the like are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face expression can be recognized by comparison with the image data.

또는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a)와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b)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a)에서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가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a)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 당연히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도 크므로 마크 표시 제어부(75)에서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 키는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웃음 인식부(74a)와 눈 깜빡임 인식부(74b)에서 얼굴의 웃음 및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a)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73b)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지 않다면, 마크 표시 제어부(75)에서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도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한다. 또는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지 않으면서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다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75)에서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3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눈 깜빡임 인식부(74b)에서 얼굴의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a and the second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b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whe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in the first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a,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st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a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it is naturally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so that the first mark pointing to the face area in the mark display control part 75 is displayed . The laughter recognizing unit 74a and the blinking recognizing unit 74b can recognize the smile of the face and the blinking of the eyes.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not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a and the second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73b, 75 to display the secon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This is also true when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not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Or the thir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n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75)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not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size of the second face area, can do. The blinking of the face can be recognized by the blinking recognition unit 74b.

얼굴의 웃음 및/또는 눈 깜빡임을 인식하면 촬영을 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한 영상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76)에서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파일은 기록부(40)에 저장되며, 이후 플레이 백 모드에서 상기 인코더/디코더(76)에서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60)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f the smile of the face and / or the blink of the eyes are recognized, the image data can be generated by shooting. At this time, the generated image data can be compressed by the encoder / decoder 76 to generate an image file. The image file is stored in the recording unit 40 and then restored in the playback mode by the encoder / decoder 76 from the image file. The display unit 6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또한, DSP(7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77), 상기 구성부들의 연산 처리를 위한 데이터, 연산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7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78)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를 동작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The DSP 70 also includes a CPU 77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100, and a memory 78 for storing data for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constituent units and arithmetic processing results. In addition, the memory 78 stores a program for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100.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라이브 뷰 모드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마크를 다르게 표시한다. 따라서, 얼굴 영역을 인식하고, 나아가 얼굴 표정까지 인식할 가능성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을 행할 수 있다. The digital camera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cognizes the face region from the image data input in the live view mod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region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Mark the mark different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face area and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desired photograph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 따르면, 라이브 뷰(live-view) 모드를 실행한다(S11). According to FIG. 5, a live-view mode is executed (S11).

라이브 뷰 모드 동안 실시간으로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한다(S12).During the live view mode, the first image data is inputted in real time (S12).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을 인식한다(S13). 얼굴 인식 방법으로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분석하여 얼굴에 대응하는 템플릿과 비교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에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지 인식한다. 상기 템플릿은 다수의 얼굴들을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미리 정한 것이다. 또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색상 정보로부터 얼굴의 색상을 인식하거나, 휘도 정보로부터 입, 눈, 코 등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A face is recognized from the first image data (S13). As the face recognition method, luminance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data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a template corresponding to a face. Therefore, whether or not a face is included in the image implemented by the first image data is recognized. The template is predetermined by analyzing a plurality of faces to form a database. Alternatively, the face color can be recognized from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data, or the feature points of the mouth, eyes, nose, etc. can be extracted from the luminance information.

상기 인식한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 표정이 인식 가능한 크기인지 판단한 다(S14).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area is judged whether the facial expression is recognizable size (S14).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라면,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S15). 상기 제1 마크는 내부에 상기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일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arge enough to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a first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s displayed (S15). The first mark may be in the form of a box (□) including the face area inside.

그리고 얼굴의 표정을 인식한다(S16). Then, the facial expression is recognized (S16).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7). 예를 들어, 웃는 얼굴을 인식하면 자동을 촬영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얼굴의 웃음을 인식하면 촬영을 행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눈 깜빡임을 인식하면 연사 촬영을 행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눈 깜빡임을 인식하여 연사 촬영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복수의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Recognizes the facial expression, and generates at least one second image data (S17).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tt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shooting when recognizing a smiley face, if the smile of the face is recognized, the second image data can be generated by shooting. Or if the blinking of the eyes is recognized, a plurality of second image data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images can be generated by recognizing blinking and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그리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S18). Then, the second image data is compressed to generate an image file, and the image file is stored (S18).

상기 S14 단계에서,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가 아닌 경우,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S19). 상기 제2 마크는 상기 제1 마크와 같이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마크와 제1 마크는 상기 박스(□)의 색 또는 굵기 등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not large enough to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a secon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s displayed (S19). The second mark may be in the form of a box (□) including a face area like the first mark. However, the second mark and the first mark may display the color or thickness of the box (□) differently.

상기 제2 마크가 디스플레이됨은 얼굴 영역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이므로,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 다(S20). Since the display of the second mark does not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reg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of the user or the like (S20).

즉, 상기 제2 마크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7). 그리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한다(S18). That is, when the second mark is displayed, at least one second image data is generated when a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 (S17). The second image data is compressed to generate an image file and stored (S18).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계속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고(S12) 이후의 상가 과정들을 반복 실행한다. If the shutter-release signal is not inputted, the first image data is continuously inputted (S12), and the subsequent image-taking processes are repeatedly executed.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따르면, 우선 라이브 뷰(live-view) 모드를 실행한다(S21). 6, a live-view mode is executed first (S21).

그리고 영상 데이터를 입력한다(S22).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표시부에 소정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en, image data is input (S22). The input image data can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을 인식한다(S23). 얼굴 인식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A face is recognized from the image data (S23). The face recognition method is as described above.

인식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또는 크거나 같은지 판단한다(S24). 여기서,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는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얼굴 영역의 크기이다.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이외에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는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얼굴 크기이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area is larger than o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S24). Here,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is the size of the minimum face reg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smile. A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may be set in addition to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is a minimum face size capable of recognizing blinking of eyes.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 또는 크거나 같은 경우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5). 상기 제1 마크를 디 스플레이하는 방법도 다양하나, 일 예로 상기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박스로 표시할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arger than o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the first mark may be displayed (S25).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first mark may also be varied. For example, the first mark may be displayed as a box including the face area.

그리고 얼굴의 웃음 및 눈 깜빡임을 인식한다(S26).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가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크다면, 당연히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굴의 웃음뿐 아니라 눈 깜빡임도 함께 인식할 수 있다. And recognizes the smile of the face and the blink of the eyes (S26). In this embodiment,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ccordingly, 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Accordingly, not only the laughter of the face but also the blink of the eye can be recognized.

웃는 얼굴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촬영을 행하는 기능 및 눈 깜빡임을 인식하는 경우 연속 촬영을 행하는 기능을 설정한 경우, 얼굴의 웃음 및 눈 깜빡임을 인식하였으므로 연속 촬영을 행한다(S27). In the case of setting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shooting when detecting a smiley face and setting the function of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when recognizing the blinking of eyes, since the smile of the face and the blinking of the face are recognized, continuous shooting is performed (S27).

상기 S24 단계에서, 인식한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크거나 같지 않은 경우, 인식한 얼굴 영역의 크기가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또는 크거나 같은지 판단한다(S28).If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area is not greater than o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in step S24,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area is larger than or larger than or equal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S28).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다면 또는 크거나 같다면, 상기 얼굴 영역에 제3 마크를 디스플레이한다(S29). 상기 제3 마크도 상기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마크와 다른 색 또는 다른 선 굵기로 차별화할 수 있다.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the third mark is displayed on the face area (S29). The third mark may be displayed in a box shape including the face area, but may be differentiated from the first mark in a different color or different line thickness.

그리고 눈 깜빡임을 인식하고(S30), 연속 촬영을 행한다(S27). The blinking of the eyes is recognized (S30), and continuous shooting is performed (S27).

상기 S28 단계에서, 인식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지 않은 경우, 또는 크거나 같지 않은 경우, 제2 마크를 디스플레 이한다(S31). 상기 제2 마크도 상기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마크 및 상기 제3 마크와 다른 색 또는 다른 선 굵기로 차별화할 수 있다.In step S28, if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area is not greater than o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the second mark is displayed (S31). The second mark may be displayed in a box shape including the face area, but may be differentiated from the first mark and the third mark by different colors or different line thicknesses.

그리고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32),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을 행하고(S33),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영상 데이터를 입력한다(S22). Then, it is judged whether a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of the user or the like (S32). When the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ted, the shooting is performed (S33). Otherwise, the image data is inputted continuously (S22).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따라 동작 화면을 도 7과 8에서 도시한다. 7 and 8 show operation screens of the digital camera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2명의 사람들을 포함하는 제1-1 영상을 나타내는 제101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제1-1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1 영상에 따르면 뒤에 있는 사람의 얼굴과 앞에 있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한다. 앞 및 뒤에 있는 사람들의 얼굴들을 인식하여 인식한 얼굴들 각각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2)와 제3 마크(3)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뒤에 있는 사람은 인식한 얼굴 영역이 작아,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뒤에 있는 사람의 얼굴을 영역을 가리키도록 상기 뒤에 있는 사람의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의 2 마크(2)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앞에 있는 사람의 얼굴 크기는 도 6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는 크지 않으나,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므로 눈 깜빡거림은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이다. 따라서 앞에 있는 사람의 얼굴 영역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제3 마크(3)를 디스플레이한다.Referring to FIG. 7, the 101st image data representing the first image including two persons is input and the first image 1-1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1-1 video, the face of the person behind and the face of the person behind are recognized. Recognizes the faces of the persons before and after the face, and displays the second mark 2 and the third mark 3 together indicating the area including each of the recognized faces. However, the person behind does not recognize the expression of the face because the recognized face area is small. Thus, a box-shaped 2 mark (2) including the face area of the person behind the person behind is displayed so as to point to the area. However, the face size of the person in front is not larger than the border of the first face area size described in FIG. 6, but the eye blink is recognizable because it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Therefore, the third mark 3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box including the face area of the person in front.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1 영상을 확대하여 제1-2 영상을 구현하는 제1-2 영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1-2 영상에 나타난 사람들의 얼굴 크기도 확대된다. 앞에 있는 사람의 얼굴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로서, 얼굴의 웃음과 눈 깜빡임을 모두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크(1)를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first image data for enlarging the first-first image and implementing the first-second image are input. Therefore, the face size of the person shown in the 1-2 video is also enlarged. The size of the face region of the person in front is larg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a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and both the face smile and the eye blink can be recognized. Thus, the first mark 1 is displayed.

뒤에 있는 사람의 얼굴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는 작으나,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 경우로서, 얼굴의 눈 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마크(3)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 마크(1), 제2 마크(2) 및 제3 마크(3)는 동일한 박스 형태를 가지나, 색을 다르게 표시한 것일 수 있다. The size of the face region of the person behind is smaller than the border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but larger than the border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and the blinking of the face can be recognized. Thus, the third mark 3 is displayed. The first mark (1), the second mark (2), and the third mark (3) have the same box shape, but different colors may be displayed.

도 7와 8의 도면들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상기 셔터-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셔터-릴리즈 버튼(31),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32), 다양한 기능 버튼들(B1~B13), 플레이 백 모드를 실행하는 플레이 백 버튼(▷),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33)이 구비된다. 7 and 8 show a rear view of the digital camera 100. The shutter release button 31 for generating the shutter-release signal, the power button 32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Function buttons B1 to B13, a playback button () for executing a playback mode, a wide-angle zoom button and a tele-zoom button 33 are provided.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여 촬영하는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얼굴의 표정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얼굴 표정 인식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when the function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and photographing is se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zing function by informing the user whether or not the facial expression is recognized.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방법들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여 기록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 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methods are embodied by computer-readable co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obtain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SP)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SP의 얼굴 영역 크기 판단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ace area size determination unit of the DSP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DSP의 표정 인식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of the DSP shown in FIG. 2. FIG.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8은 도 6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shown in FIG.

Claims (15)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나타내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Inputting first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including a face;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a face region from the first image data; 인식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미리 결정된 얼굴 표정 인식 가능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size of the recognized face reg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acial expression recognizable size;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얼굴 표정 인식 가능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마크(mark)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first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when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face recognition recognizable size; And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얼굴 표정 인식 가능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마크와 상이하고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mark)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And displaying a second mark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ark and points to the face area when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facial expression recognizable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함은 상기 얼굴의 웃음(smile) 또는 눈깜빡임(blink)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zes a smile or an eye blink of the 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판단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a size of a first face reg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smile of the face;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눈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Determining whether a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a size of a second face reg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blink of the ey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다면 상기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first mark 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the first face region size and a boundary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모두 작다면, 상기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The second face area size and the second face area size are all small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second face area size,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중 어느 하나 보다 작다면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3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And displaying a thir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f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is smaller than any one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he size of the face reg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변화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마크 또는 상기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And displaying the first mark or the second mark 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changed fac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나타내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second mark data and generating second image data representing at least one image by recognizing a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기록 매체.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s recorded by a computer-executable program.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나타내는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역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A face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face area from first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including a face;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얼굴 표정 인식 가능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 및A siz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acial expression recognizing size; And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마크(mark)의 표시를 제어하는 마크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a mark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according to the size determination unit of the face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의 표정은 웃음(smile) 또는 눈 깜빡임(blin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is a smile or an eye blin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라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If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first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없는 크기라면, 상 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Wherein 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a size that can not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second mark indicating the face reg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는,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웃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판단하는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와,A siz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a first face region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smile of the face,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눈깜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큰지 판단하는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a second siz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size of the face region is larger than a boundary of the second face region size in which the blinking of the eyes can be recogniz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크다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1 마크를 디스플레이하고, 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ize of the first face area and the size of the second face area determine that the size of the face area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size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first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보다 작다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2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며, Wherein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secon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f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boundary of the second face area size is small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second face area size, 상기 제1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및 상기 제2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 중 어느 하나보다 크다면, 상기 마크 표시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가리키는 제3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Wherein the mark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third mark indicating the face area if the first face area size is greater than the boundary of the first face area size and the second face area siz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는 표정 인식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얼굴 영역의 크기가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라면 상기 표정 인식부는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if the size of the face region is a size capable of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e as a result of the size determination unit of the facial region,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facial region Processing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정 인식부에서 상기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나타내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1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video signal processor for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 in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nit and generating second image data representing at least one image;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인코더; 및An encoder for compressing the second image data to generate at least one image file; And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d a decoder for restoring the second image data from the image file.
KR1020080072433A 2008-07-24 2008-07-24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KR101474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433A KR101474304B1 (en) 2008-07-24 2008-07-24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433A KR101474304B1 (en) 2008-07-24 2008-07-24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87A KR20100011287A (en) 2010-02-03
KR101474304B1 true KR101474304B1 (en) 2014-12-18

Family

ID=4208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433A KR101474304B1 (en) 2008-07-24 2008-07-24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3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285A (en) 2003-04-15 2004-11-11 Nikon Gijutsu Kobo:Kk Digital camera
JP2007282119A (en) 2006-04-11 2007-10-25 Nikon Corp Electronic camera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7329784A (en) 2006-06-09 2007-12-20 Sony Corp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JP2008131405A (en) 2006-11-21 2008-06-05 Sony Corp Imaging unit, image processing unit, image processing methods for the units, and program making computer execute th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285A (en) 2003-04-15 2004-11-11 Nikon Gijutsu Kobo:Kk Digital camera
JP2007282119A (en) 2006-04-11 2007-10-25 Nikon Corp Electronic camera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7329784A (en) 2006-06-09 2007-12-20 Sony Corp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JP2008131405A (en) 2006-11-21 2008-06-05 Sony Corp Imaging unit, image processing unit, image processing methods for the units, and program making computer execute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87A (en)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57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474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831282B2 (en) Imaging device including a face detector
KR101401165B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expression evalu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4849988B2 (en) Imaging apparatus and output image generation method
US796122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posure by determining backlight situations and detecting a face
KR101537948B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se estimation of face
US8582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835091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55598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3995B1 (en) Method for Auto focusing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and apparatus applying the method
US86489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9967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10626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559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umbnail of moving picture
KR101605771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US20130222635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891674B2 (en) camera
KR101817659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171428A (en)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digital camera apparatus and electronic zoom
KR20110060296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3017218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47430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operating by the method
JP732118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amera assembly,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JP2010028370A (en) Ima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