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30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lis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li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302B1
KR101474302B1 KR1020070064620A KR20070064620A KR101474302B1 KR 101474302 B1 KR101474302 B1 KR 101474302B1 KR 1020070064620 A KR1020070064620 A KR 1020070064620A KR 20070064620 A KR20070064620 A KR 20070064620A KR 101474302 B1 KR101474302 B1 KR 10147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list
type
cont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0508A (en
Inventor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0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06F16/3323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using document space presentation or visualization, e.g. category, hierarchy or range presentation and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의 편리한 탐색을 위한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카테고리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의 유형에 따라, 제 1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상위 카테고리만이 다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제 2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하위 카테고리만이 다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여러 카테고리의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카테고리 탐색 과정을 생략하고 컨텐츠 목록 화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A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lassified by a plurality of category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lassifi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When a command of the first type is received, a content list different from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nd only the upper category is generated and displayed. When a command of the second type is received, only the content list and the sub- And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other contents list, the category searching process is omitt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contents classified into a combination of various categories, and only the contents list screen is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

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텐츠 목록 User interface, content list

Description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list}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메커니즘,FIG. 1 illustrates a content list display method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을 구현한 화면의 일 예,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의 동작 예,FIG. 4 shows an operation example of a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lis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의 편리한 탐색을 위한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nient search of con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용이 확대되고 관련기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또한 전송 및 저장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컨텐츠의 양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컨텐츠는 저장 위치나 컨텐츠의 성격, 사용자의 취향등에 따라 여러 종류의 카테고리로 분류 될 수 있고, 하나의 컨텐츠가 상위, 하위등의 복 수의 카테고리에 속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서는 각 카테고리별로 탐색 과정을 거쳐야한다. The use of multimedia contents is expanding and related devices are rapidly spreading. Also, as the transmission and storage technologies are developed, the amount of content that users use is increasing. Generally, content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according to storage location, nature of contents, user's taste, etc., and one content may belong to multiple categories such as upper and lower, For each category, you have to go through the search proces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기기상에서의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메커니즘이다.1 is a method of displaying a content list on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4 단계의 탐색 과정을 거쳐야 한다. 첫째로 재생 기기상에서 원하는 카테고리 1을 선택한다(110). 둘째로 선택된 카테고리 1내에서 원하는 서브 카테고리 2를 선택한다(120). 셋째로 컨텐츠 목록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130). 마지막으로 컨텐츠가 재생된다(140). 도시된 예에서는 카테고리 1과 이에 속하는 서브 카테고리 2로 구성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취향이나 컨텐츠의 성격등에 따라 서브 카테고리의 하위에 속하는 서브 카테고리 3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찾고자 하는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가 많으면 많을수록 사용자는 복잡한 탐색 과정을 거쳐야하며, 도시된 단계를 거쳐 화면에 출력된 컨텐츠 목록에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 이런 과정의 몇배에 해당하는 단계를 반복해야 한다. Referring to FIG. 1, in order to reproduce a desired content, the user must go through four stages of searching. First, the desired category 1 is selected on the playback device (110). Second, the desired subcategory 2 within the selected category 1 is selected (120). Third, a desired content is selected from a content list (130). Finally, the content is played (14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ategory 1 and the sub-category 2 belong to the category 1. However, there are sub-categories 3 belonging to the sub-category depending on the taste of the user or the nature of the content. The user has to go through a complicated search process as the number of categories to which the content to be searched belongs is larger, and if the content does not exist in the list of contents outputted on the screen through the shown step,

또한 기존 환경에서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때마다 전체 화면 전환이 일어나며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화면에서 빠져나와서 상위 레벨로 이동해야한다. In addition, in the existing environment, full screen switching occurs every time a category is selected, and in order to select an upper category, the user must exit from the current screen and move to a higher level.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컨텐츠의 양이 많고 여러 개의 카테고리 조합으로 컨텐츠가 분류되어 있는 경우, 여러 단계의 카테고리별 탐색 과정을 거쳐야하고, 커테고리를 선택할 때마다 전체 화면 전환이 일어나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화면에서 빠져나와서 상위 레벨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large in quantity and the content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y combinations in the pas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search process for each category at various stages, and a full screen change occurs every time the user selects a category, It is very inconvenient to go out from the current screen and move to the upper lev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여러 번의 컨텐츠의 탐색 과정 없이 바로 원하는 컨텐츠 목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access a desired content list without searching for a plurality of content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복수의 카테고리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명령의 유형에 따라, 제 1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상위 카테고리만이 다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제 2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하위 카테고리만이 다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y combination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And when a command of a first type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eived command, a content list different from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only in an upper category is generated and displayed, and when a command of the second type is received, Only the content list and the sub-category generate and display a different content lis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유형의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서 제 1유형의 방향키를 눌렀을 때, 상기 제 2유형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에서 제 2유형의 방향키를 눌렀을 때 발생하는 것이다.Preferably, the first type of command occurs when a user presses a directional key of a first type at an input device, and the second type of command occurs when the user presses a directional key of a second type at the input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유형의 방향키는 좌우 방향키이고 상기 제 2유형의 방향키는 상하 방향키이거나 그 반대인 것이다.Preferably, the first type of direction key is a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and the second type of direction key is an up and down direction key or vice versa.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이,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목록이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Preferably, the content list display method further includes display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ategory item to which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belongs on the scree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복수의 카테고리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카네고리와 대응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출력부;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상기 수신된 명령의 유형에 따라, 제 1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상위 카테고리만이 다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제 2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하위 카테고리만이 다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y combinations, the apparatus comprising: an output unit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arnegie; And when a command of a first type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eived command, a content list different from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only in an upper category is generated and displayed, and when a command of the second type is received,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only the content list and the sub-category to generate and display another content li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다(202). Referring to FIG. 2, a command of a user is received (202).

수신된 명령의 유형을 인식한다(204). 인식된 유형에 따라 다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한다. 이 실시예는 상위 카테고리와 하위 카테고리의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각 카테고리의 변경을 지시하는 두 유형의 명령이 처리된다. The type of the received command is recognized (204). Creates and displays a list of different content according to the recognized type.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lassified into a combination of an upper category and a lower category, in which two types of commands indicating the change of each category are processed.

제 1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하위 카테고리는 동일하나 상위 카테고리가 다른 컨텐츠의 목록을 생성한다(206). 제 2유형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상위 카테고리는 동일하나 하위 카테고리가 다른 컨텐츠의 목록을 생성한다(208).When a command of the first type is received, a list of contents having the same sub-category but different upper categories is generated (206). When a command of the second type is received, a list of contents having the same upper category but different lower categories than the contents lis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generated (208).

현재 화면의 컨텐츠 목록 대신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된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한다(410).A list of contents create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is displayed instead of the contents list of the current screen (41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을 구현한 화면의 일 예이다. FIG. 3 i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the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이 실시예에서, 카테고리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이 속하는 상위카테고리(310) 및 하위 카테고리(320)를 나타낸다. 또한 좌우 방향키(312, 314)는 상위 카테고리를 변경하라는 명령으로 인식되고, 상하 방향키(316, 318)는 하위 카테고리를 변경하라는 명령으로 인식된다. 이 예에서 카테고리는 상위 카테고리 및 하위카테고리의 두 단계로 구성되나 그 이상의 단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ategory indicates an upper category 310 and a lower category 320 to which a list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belongs.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312 and 314 are recognized as commands to change the upper category, and up and down direction keys 316 and 318 are recognized as commands to change the lower category. In this example, the category consists of two levels, upper category and lower category, but it can also be composed of more steps.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목록 화면(300)은 시스템 구동시나 컨텐츠 재생 중 메뉴 표시를 지시하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컨텐츠 재생 중 메뉴 버튼을 누르면 카테고리 선택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재생 중인 컨텐츠가 속한 컨텐츠 목록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 컨텐츠 목록은 재생중인 컨텐츠를 선택했던 목록일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list screen 300 may be displayed when an instruction to display a menu is received during system operation or content playback. In the prior art, when a menu button is pressed during content reproduction, a category selection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list to whic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belongs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list of contents will be the list that selected the content being played.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목록(330)은 텍스트 형태의 리스트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썸네일(Thumbnail) 기반의 목록 일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브라우징 가능한 다음 카테고리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왼쪽 방향키를 누르면 상위 카테고리를 '이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정보(312), 오른쪽 방향키를 누르면 상위 카테고리를 '김동률'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정보(314), 상 방향키를 누르면 하위 카테고리를 '1집'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정보(322), 그리고 하 방향키를 누르면 하위 카테고리를 '3집'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목록(330)이 어떤 상위 카테고리 및 하 위 카테고리의 조합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에 대한 것인가를 나타내는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list 330 is a text type lis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form and may be a thumbnail-based list. Also,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next browsable category items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formation 312 indicating that the upper category can be changed to 'transfer' when the left direction key is pressed, information 314 indicating that the upper category can be changed to 'Kim Dongpyo' when the right direction key is pressed, Information 322 indicating that the category can be changed to '1 Hom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ub-category can be changed to '3 Home' by pressing the down arrow key. Also, although not show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ntents list 330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s for contents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an upper category and a lower category may be displayed.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좌우 방향키를 사용하면 현재의 컨텐츠가 속하는 하위 카테고리인 '2집'을 유지하면서 상위 카테고리를 변경하여 브라우징할 수 있고,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면 현재의 컨텐츠가 속하는 상위 카테고리인 '이현우'를 유지하면서 하위 카테고리를 변경하여 브라우징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하 방향키를 누르면, 수신된 키 신호는 다음 하위 카테고리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인식되어, '이현우' '3집'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의 목록이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상 방향키를 누르면, 수신된 키 신호는 이전 하위 카테고리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인식되어, '이현우' '1집'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의 목록이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우 방향키를 누르면 수신된 키 신호는 다음 상위 카테고리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인식되어, '김동률' '2집'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의 목록이 화면에 표시 될 것이다. 좌 방향키를 누르면 수신된 키 신호는 이전 상위 카테고리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인식되어, '이적' '2집'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의 목록이 화면에 표시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등의 입력 장치에 구비된 사 방향키를 이용하여 한번의 조작만으로 다른 카테고리의 컨텐츠 목록을 볼 수 있다. 입력 장치나 키의 기능이 상기와 같은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wh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are used, browsing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an upper category while maintaining '2', which is a subcategory to which the current content belongs. If the up and down direction keys are used, You can browse by changing the subcategory while maintaining 'Hyunwoo Lee'. When the user presses the downward key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received key signal is recognized as a command instructing the change to the next subcategory, and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Hyunwoo Lee' '3rd house'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way, when the user presses the UP key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received key signal is recognized as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change to the previous sub category, and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 Lee Hyun Woo & Will be displayed. When the right arrow key is pressed, the received key signal is recognized as an instruction to change to the next higher category, and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Kim Dong-ryul' '2 rd'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 left key is pressed, the received key signal is recognized as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change to the previous upper category, and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and "second entry"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way,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s list of the other category by one operation using the four directional keys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such as the remote control. The functions of the input device and the key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it is obvious that the functions of the input device and the key are changeab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을 구현한 화면의 다른 예이 다.FIG. 4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the content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 구동시나 컨텐츠 재생 중 메뉴 표시를 지시하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 목록 윈도(416)가 표시되며, 포커스는 컨텐츠 목록 윈도(416)에 위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 이외에 다른 컨텐츠를 신속하게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면의 상단 부분(412)에 상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메뉴 정보가 표시되며, 화면의 좌측 부분(414)에는 하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메뉴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현재 선택되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416)이 '이현우' , '2집'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을 포함하고 있음이 표시되어 진다. 사용자가 좌우 방향키를 누르면 '김동률' 이나 '이적'의 '2집'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목록이 생성되어 표시되며, 상하 방향키를 누르면 '이현우'의 '1집'이나 '3집'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목록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an instruction to display a menu is received during system operation or content playback, a content list window 416 is displayed, and the focus can be controlled to be located in the content list window 416.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select and reproduce other contents other than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In this embodiment, menu information indicating an upper category is displayed in the upper part 412 of the screen, and menu information indicating a lower category is displayed in the left part 414 of the screen. Also, it is indicated that the content list 416 currently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cludes contents corresponding to 'Hyunwoo' and '2'. 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a list of contents stored in the 'second home' of 'Kim Dong-ryul' or 'Im in' is generated and displayed. If the up and down direction keys are pressed, contents stored in 'first home' A list is created and displayed.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파일을 재생하던 중 메뉴 버튼을 누르면, 현재 재생중인 상위 카테고리 '이현우'와 하위 카테고리 '2집'의 조합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의 목록(416)이 화면에 표시된다. 4, when a user presses a menu button while playing a content file, a list 416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an upper category 'Hyunwoo' and a lower category '2' is displayed on the screen .

첫 번째 화면(410)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키를 누르면 하위 카테고리 '2집'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상위 카테고리만 '김동률'로 변경된 컨텐츠 목록(426)이 화면에 표시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direction key on the first screen 410, the content list 426 changed to 'Kim Dong-ryul'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ile the sub-category 'second home' remains unchanged.

첫 번째 화면(410)에서 사용자가 아래 방향키를 누르면 상위 카테고리 '이현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위 카테고리만 '3집'으로 변경된 컨텐츠 목록(436)이 표시된다. In the first screen 410, when the user presses the down arrow key, the contents list 436 in which the upper category 'Hyunwoo' remains unchanged and only the lower category is changed to '3rd' is displayed.

두 번째 화면(420)에서 사용자가 현재 화면에 표시된 상위 카테고리 '김동률' 및 하위 카테고리 '2집'을 선택하면 하이라이트가 컨텐츠 목록의 최상위 항목(441)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세 번째 화면(440)이 나타난다. 반대로 세 번째 화면(440)에서 엑시트(exit) 입력이 들어오면 하이라이트가 컨텐츠 항목 전체로 이동하며 상위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두 번째 화면(420)이 표시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upper category 'Kim Dong Ryul' and the lower category '2nd hom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on the second screen 420, the third screen 440 in which the highlight moves to the top item 441 of the contents list and is displayed appear. Conversely, when an exit input is input in the third screen 440, the highlight moves to the entire contents item and a second screen 420 is displayed in which the upper category and the lower category can be selected.

세 번째 화면(440)에서 사용자가 방향키와 선택키를 이용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며 TRACK 1이 재생되거나(450), 리스트 화면에서 화면 전환없이 재생될 수 있다(460).If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content using the direction key and the selection key on the third screen 440, TRACK 1 is reproduced (450) and displayed on the list screen without switching (46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lis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목록 표시 장치(500)는 컨텐츠 목록이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출력부(510)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530)와, 수신된 명령에 따라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의 카테고리가 현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과 다른 컨텐츠 목록을 출력부(5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제어부(520)는 상술한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부(510)인 화면에 나타나도록 제어한다. 5, a content list display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unit 510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content list, an input unit 530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nd a control unit 520 for controlling the output unit 510 to display a content list different from the content list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is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The control unit 520 performs the content list display method described above to control the user interface to appear on the screen of the output unit 510.

또한 리모트 컨트롤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55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입력부(530)로 전송하며, 제어부(520)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명령이 무엇인지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컨텐츠 목록을 변경 하여 표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A user input device 550 such as a remote control receives a user's input and transmits the user's input to the input unit 530. The control unit 520 analyzes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to recognize the user's command, And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changing and displaying the content list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타나타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여러 카테고리의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카테고리 탐색 과정을 생략하고 컨텐츠 목록 화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convenience of use by omitting a category search process and providing only a content list screen to a user in a process of searching for content classifi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categories .

또한, 상위 카테고리 선택을 위한 화면 전환을 하지 아니함으로써, 현재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 파일과 다른 카테고리의 파일을 화면 전환없이 쉽게 재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not switching screens for selecting an upper category, it is possible to easily reproduce a file of a different category from the content file currently being reproduced without switching the screen.

또한 사용자는 방향키 조작만으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Also, it is very convenient for the user to receive a list of contents belonging to another category only by operating the direction key.

Claims (5)

복수의 카테고리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y combinations, 입력부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nd 상기 입력부에 제 1유형의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가 현재 선택된 상위 카테고리를 변경하고, 상기 입력부에 제 2유형의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선택된 하위 카테고리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위 카테고리와 상기 변경된 하위 카테고리에 동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When the first type user command is received in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currently selected upper category, and when the second type user command is received in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currently selected lower category, And displaying th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ontent simultaneously included in the changed sub-category on th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유형의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서 제 1유형의 방향키를 눌렀을 때, 상기 제 2유형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에서 제 2유형의 방향키를 눌렀을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Wherein the first type of command occurs when the user presses a directional key of a first type at an input device and the second type of command occurs when the user presses a directional key of a second type at the input device. How to list.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유형의 방향키는 좌우 방향키이고 상기 제 2유형의 방향키는 상하 방향키이거나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표시방법.Wherein the first type of direction key is a left / right direction key, and the second type of direction key is an up / down key or vice versa.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목록이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ategory item to which th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belongs on the screen Way. 복수의 카테고리 조합으로 분류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y combinations,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출력부;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categories;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And 제 1유형의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선택된 상위 카테고리를 변경하고, 제 2유형의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선택된 하위 카테고리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위 카테고리와 상기 변경된 하위 카테고리에 동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출력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표시 장치.When a first type of user command is received, changing a currently selected higher category, changing a currently selected lower category when a second type of user command is received, and changing at least on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display a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KR1020070064620A 2007-03-13 2007-06-2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list KR1014743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679 2007-03-13
KR20070024679 2007-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08A KR20090000508A (en) 2009-01-07
KR101474302B1 true KR101474302B1 (en) 2014-12-19

Family

ID=4048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620A KR101474302B1 (en) 2007-03-13 2007-06-2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li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3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4395A1 (en) * 2010-06-17 2011-12-22 Microsoft Corporation Sequential and non-sequential access to records within a list
KR101730500B1 (en) 2010-11-25 2017-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104438B1 (en) * 2013-01-31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08A (en)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a hierarchical menu based user interface
US8806380B2 (en) Digital device and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JP5147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one item from a list of items and related products
US70398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able cross-point navigation in a user interface
KR101160600B1 (en) Apparatus for enabling to control at least one meadia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544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searching contents
JP59683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recommendations
US20080007570A1 (en) Digital Content Playback
US20070250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list
US20120221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elements of a user interface
KR20090129628A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474895B1 (en) User interface for exploring media content
JP5050460B2 (en) Interface device, interface program, and interface method
EP1681617B1 (en) Method of selecting an element from a list by moving a graphics distinc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JP5323660B2 (en) Scroll display device
KR1014743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list
US8493320B2 (en) Display control device, content output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used in retrieval operation, and program
EP20099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dia program
KR101218906B1 (en) Display apparatus using set-top box and method for displaying selected contents using the set-top box
KR1007037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rface for playing contents at plural home network device
KR200800784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virtual display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