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930B1 - 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930B1
KR101470930B1 KR1020130047590A KR20130047590A KR101470930B1 KR 101470930 B1 KR101470930 B1 KR 101470930B1 KR 1020130047590 A KR1020130047590 A KR 1020130047590A KR 20130047590 A KR20130047590 A KR 20130047590A KR 101470930 B1 KR101470930 B1 KR 10147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xic
communication module
waste
toxic substanc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8748A (en
Inventor
황성일
최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3004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930B1/en
Publication of KR2014012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초음파 수위계를 포함하는 수위 검출기가 설치되며, 유독 폐기물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폐기물 챔버; 상기 폐기물 챔버가 설치된 영역 외부에서 폐기물 챔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유독물질 검출기; 상기 폐기물 챔버가 집합된 폐기물 처리 영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 상기 수위 검출기와 유독물질 검출기 및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와 연동되어 해당 영역의 상황 감시 및 유독 물질 누출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검출기에는 제1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유독물질 검출기에는 제2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에는 제3통신모듈이 포함되되, 상기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과 제3통신모듈은 상호 연동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독 폐기물 누출 감지를 정확하고 신뢰적으로 구현하여 유독 폐기물 누출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유독 폐기물 누출 감지를 수행하는 각 구성을 상호 연동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감지 구성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누출 감지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상이 발생된 감지 구성의 파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스템 관리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water level detector including an ultrasonic level meter, the at least one waste chamber storing toxic waste; A toxic material detector disposed to surround the waste chamber outside the area where the waste chamber is installed; One or more toxic material image readers installed in the waste treatment area where the waste chamber is collected; A management server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detect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and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to monitor a situation of a corresponding area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oxic substances are leaked; Wherein the level detector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includes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2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ar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in a communicable manner.
By this, accurate and reliable detection of toxic waste leaks can be realized, and toxic waste leaks can be quickly identified and responded.
In addition, by implementing each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oxic waste leak detection interoperatively,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ntinuously perform leak detection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one detection configuration, So that the efficiency of system management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본 발명은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일반적으로, 화학 공장, 제조 공장, 제철 공장 등의 산업시설을 가동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대량의 유독 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large quantities of toxic waste are inevitably generated in the course of operating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chemical plants, manufacturing plants, and steel mills.

이러한 유독 폐기물은 다양한 유해 물질, 수분 그리고 유분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독립적인 공간에 마련된 폐기물 챔버에 저장 및 관리되어 처리될 수 있다.These toxic wastes may contain various harmful substances, moisture and oil, and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a waste chamber provided in an independent space.

전술한 유독 폐기물은 챔버 외부로의 누출에 의한 인적 피해 및 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폭발에 의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The toxic waste mentioned above may cause problems such as personal injury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due to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and in serious cases, it may lead to a major accident due to an explosion.

따라서, 산업시설에는 유독 폐기물을 관리하고 이에 대한 감지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이 채택되어야 한다.Thus, industrial facilities must employ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s that improve safety by managing and detecting toxic waste.

이에 관련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35075호(폐가스 누출 감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2011.4.6. 공개)가 있었다.Prior art relating to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35075 (waste gas leakage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it, April 6, 2011).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은 대규모 가스 배관시설을 구비한 제철소 등의 대형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가스가 대형 관로를 통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폐가스의 누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폐가스 누출 감시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Her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iscloses a waste gas which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 the leakage of waste gas that can be generated in a process of moving waste gas generated in a large factory such as a steel mill having a large-scale gas piping facility through a large pipe, Leakage monitoring system.

상기 종래기술은 응축수 배출 관로들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응축수의 배출 변화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들, 감지센서들에 대응되며 각각 아이피 주소들을 구비하고 감지된 응축수 배출량을 송신하는 무선송신부들, 무선 송신부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전송받는 무선랜 공유기들, 무선랜 공유기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하여 응축수 배출 관로들의 가스 누출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들의 아이피 주소에 해당하는 응축수 배출 관로들의 위치와 가스 누출 상태를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휴대폰에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이메일을 전송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폐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The prior art includes wireless transmitters connected to exhaust ports of condensate discharge conduits and corresponding to detection sensors and sensing sensors for sensing the amount of change in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and having IP addresses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amount of condensed water,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determines the gas leakage state of the condensate discharge ducts through the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LAN router and the wireless LAN router,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ndensate discharge ducts corresponding to the IP address of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manager or an operator's mobile phone or transmitting an e-mail, thereby detecting a waste gas leak.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배출구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배출량을 측정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배출 관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의 누출만을 감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배출구 이외의 부분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누출은 감지할 수 없었으며, 전체적인 산업시설의 안전 관리에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lated art, the leakage amount of the gas generated at the portion other than the discharge port is detected by measuring the discharge amount through the sensor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and using this information to detect only the leakage of the gas that may occur in the discharge pip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ntire industrial facility is insufficien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독 폐기물 누출, 특히 유독 가스의 누출을 전체적 및 다차원적으로 감지 및 관리하여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drastical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by detecting and managing toxic waste leaks,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초음파 수위계를 포함하는 수위 검출기가 설치되며, 유독 폐기물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폐기물 챔버; 상기 폐기물 챔버가 설치된 영역 외부에서 폐기물 챔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유독물질 검출기; 상기 폐기물 챔버가 집합된 폐기물 처리 영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 상기 수위 검출기와 유독물질 검출기 및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와 연동되어 해당 영역의 상황 감시 및 유독 물질 누출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검출기에는 제1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유독물질 검출기에는 제2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에는 제3통신모듈이 포함되되, 상기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과 제3통신모듈은 상호 연동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마련되는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providing a level detector comprising an ultrasonic level meter, comprising at least one waste chamber for storing toxic waste; A toxic material detector disposed to surround the waste chamber outside the area where the waste chamber is installed; One or more toxic material image readers installed in the waste treatment area where the waste chamber is collected; A management server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detect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and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to monitor a situation of a corresponding area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oxic substances are leaked; Wherein the level detector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includes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2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can be achieved by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provided so as to b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in a communicable manner.

여기서, 상기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제3통신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제3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으로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3통신모듈은 상기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에서 획득한 신호와 병합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Her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metho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merge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ith signals obtained from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여기서, 상기 수위 검출기는 폐기물 챔버 내에 저장된 유독 폐기물의 수위가 폐기물 챔버 내부로의 폐기물 유입 또는 배출에 대한 설정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2통신모듈 및 제3통신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유독 물질 검출기는 설치 영역의 대기 중 특정 기체의 농도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기반으로 이상 발생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이상 발생이 감지될 경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제3통신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는 적외선 광원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고 입력된 적외선 광원을 특정 파장 별로 분할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일반 기체에 섞인 유독 기체의 파장에 대한 분포도를 영상 내에 표시하여 유독 기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유독 기체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1통신모듈, 제2통신모듈 및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level detector detects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level of the toxic waste stored in the waste chamber deviates from the setting range for the waste inflow or discharge into the waste chamber, 3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is arranged to detect an abnormality occurrence based on a resistance value that changes as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tmosphere of an installation area changes, and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Module transmits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material image reader acquires an image through an infrared light source, and divides the inputted infrared light source by specific wavelengths, The distribution of the toxic gas mixed with the general gas is displayed in the image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toxic gas And to transmit an abnormality occurrence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presence of the toxic gas is detected.

또한,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는 적외선 광원을 특정 파장 별로 분할하는 복수의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원형의 프레임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의 프레임의 회전 제어에 따라 리볼버 타입으로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that divide the infrared light source by specific wavelengths,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circular frame, So that the filter can be exchanged.

여기서,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는 상기 폐기물 챔버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의 설치 위치를 식별 및 저장하며, 일정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폐기물 챔버의 수위 검출기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에서 이상 발생 감지 신호가 전송될 경우, 해당 수위 검출기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의 설치 위치로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의 각도를 제어한 후, 해당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identifies and store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ste chamber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and is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or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of the waste chamber , The angle of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may be controll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l detector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and then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region may be acquir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유독 폐기물 누출 감지를 정확하고 신뢰적으로 구현하여 유독 폐기물 누출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다.First, accurate and reliable detection of poisonous waste leaks can be realized, and poisonous waste leaks can be quickly identified and responded to.

둘째, 유독 폐기물 누출 감지를 수행하는 각 구성을 상호 연동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감지 구성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누출 감지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상이 발생된 감지 구성의 파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스템 관리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Second, by implementing each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oxic waste leaks interoperatively,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ntinuously perform leak detection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one detection configuration, So that the efficiency of system management can be increased.

셋째, 산업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대형사고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ird,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major accidents that may occur in industrial facilities can be drastically reduc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 vie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또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예를 들면, 유독 폐기물 누출 감지, 감지 정보 분석, 통신, 정보의 수집 및 판단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타 구성과의 통신, 정보 저장, 인증, 제어, 처리, 등의 역할 및 장치 작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구성이 포함되지만,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포함된 핵심 구성을 제외하고는 세부 구성의 설명을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oxic waste leak detection, detection information analysi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judgment)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ncludes various configuration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age, authentication, control, processing, And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 view.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은, 수위 검출기(12)를 포함하는 폐기물 챔버(10), 유독물질 검출기(20),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 관리 서버(40)를 포함한다.1 and 2, a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 chamber 10 including a water level detector 12, a toxic substance detector 20, a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40).

여기서, 폐기물 챔버(10)는 유독 폐기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저장된 유독 폐기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기(12)가 폐기물 챔버(10)의 상부에 설치된다.Here, the waste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toxic waste, and a water level detector 12 for detecting the level of toxic waste stored therei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ste chamber 10.

수위 검출기(12)는 초음파 방식으로 해당 챔버 내부의 유독 폐기물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 수위계(미도시) 및 후술할 제2, 3통신모듈(24, 34)과 상호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14)을 포함한다.The water level detector 12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an ultrasonic level mete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level of toxic waste in the chamber by the ultrasonic method and second and third communication modules 24 and 34 ).

유독물질 검출기(20)는 설치 영역의 대기 중 특정 기체의 농도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기반으로 해당 영역의 이상 발생(유독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도 2 에서와 같이, 폐기물 챔버(10)가 설치된 영역의 외부에서 폐기물 챔버(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일측에 제1통신모듈(14) 및 제3통신모듈(34)과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24)이 구비된다.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is configured to detect an anomaly (toxic gas leakage) of a corresponding region based on a resistance value that changes as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tmosphere of an installation area changes. As shown in FIG. 2,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communicates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Respectively.

여기서, 유독물질 검출기(20)는 도 1 에서와 같이, 대기 중 기체의 농도 중,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등과 같은 기체의 농도를 저항값 변화로 검출하는 감지테잎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폐기물 챔버(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해당 폐기물 챔버(10)가 설치된 영역의 대기 중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may be provided as a sensing tape for detecting a concentration of a gas such as carbon monoxide, sulfur dioxide, or the like in the concentration of an in-atmosphere gas by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aste chamber 10, and may be replaced by various means capable of sensing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waste chamber 10 is installed.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는 적외선(IR) 광원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고 입력된 적외선 광원을 특정 파장 별로 분할하여 해당 촬영 영상 내에서 대기 중에 섞인 유독 기체의 분포도를 영상에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적외선 광원부, 특정 파장(유독 기체의 파장)을 분할하는 필터, 촬영 수단 및 제3통신모듈(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is configured to acquire an image through an infrared (IR) light source, divide the input infrared light source by specific wavelengths, and display the distribution map of the toxic gas mixed in the air in the captured image An infrared light source unit, a filter for dividing a specific wavelength (wavelength of a toxic gas), an image pickup means, and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관리 서버(40)는 수위 검출기(12)와 유독물질 검출기(20)와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와 연동되어 해당 영역의 상황 감시 및 유독 물질 누출 여부를 판단하고 관리하는 구성으로, 제3통신모듈(34)과 통신하는 관리서버통신모듈(미도시)를 포함한다.The management server 40 is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the water level detector 12,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and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to monitor the situation of the area and determine whether to leak toxic substances. And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module 34. [

여기서, 제1통신모듈(14)과 제2통신모듈(24)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제3통신모듈(34)과 통신하며, 제3통신모듈(34)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으로 관리 서버(40)와 통신하도록 마련된다.Her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communicate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uses a WiFi communication method To the management server (40).

제1통신모듈(14)과 제2통신모듈(24)은 비교적 근접한 거리에 설치되며 소용량 데이터를 취급하므로 저렴하고 신뢰적인 지그비 통신 방식을 채택하며, 제3통신모듈(34)은 제1, 2통신모듈(14, 24)과의 통신은 지그비 통식 방식으로 관리 서버(40)와의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구현된다.Sinc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are installed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and handle small capacity data,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adopts a cheap and reliabl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s 14 and 24 is implemented by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40 is implemented by the Wi-Fi communication method.

여기서, 제3통신모듈(34)은 제1통신모듈(14)과 제2통신모듈(24)에서 전송된 신호를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에서 획득한 신호와 병합하여 관리 서버(40)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merg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with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40 .

즉, 제1통신모듈(14)과 제2통신모듈(24)에서 전송된 신호는 비교적 소용량이므로 제3통신모듈(34)은 제1, 2통신모듈(14, 24)과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에서 획득되는 영상 신호는 비교적 대용량이며, 제1, 2통신모듈(14, 24)에서 전송된 정보를 획득된 영상 신호와 병합하여 관리 서버(40)에 전송해야 하므로 제3통신모듈(34)과 관리 서버(40)와의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채택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are relatively small in capacity,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4 and 24 in a Zigbee communication manner The image signals obtained by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are relatively large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4 and 24 is merged with the acquired image signals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 Communication between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and the management server 40 is adopted as a Wi-Fi communication method.

한편, 수위 검출기(12)는 폐기물 챔버(10) 내에 저장된 유독 폐기물의 수위가 폐기물 챔버 내부로의 폐기물 유입 또는 배출에 대한 설정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제1통신모듈(14)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제2통신모듈(24) 및 제3통신모듈(34)로 전송하며, 유독 물질 검출기(20)는 설치 영역의 대기 중 특정 기체의 농도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기반으로 이상 발생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이상 발생이 감지될 경우, 제2통신모듈(24)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1통신모듈(14) 및 제3통신모듈(34)로 전송하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는 적외선 광원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고 입력된 적외선 광원을 특정 파장 별로 분할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일반 기체에 섞인 유독 기체의 파장에 대한 분포도를 영상 내에 표시하여 유독 기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유독 기체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제3통신모듈(34)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1통신모듈(14), 제2통신모듈(24) 및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toxic waste stored in the waste chamber 10 is out of the setting range for the waste intake or discharge into the waste chamber, the water level detector 12 detects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and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detect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resistance value chang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specific gas changes in the atmosphere of the installation area And transmits an abnormality occurrence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30) acquires an image through an infrared light source, divides the inputted infrared light source by specific wavelengths, displays a distribution diagram of the wavelength of the toxic gas mixed with the general gas present in the atmosphere, and display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oxic ga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and the management server 40 can detect an abnormality occurrence signal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when the presence of the toxic gas is detected, Lt; / RTI >

여기서, 상기 제1, 2, 3 통신모듈(34)은 해당 감지 구성의 이상 신호 감지 시,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자신과 통신으로 연동된 각 감지 구성에 전파하도록 마련(각 통신모듈의 관리 서버와의 상호 연동적인 통신)되는데, 이는 하나의 감지 구성에 오작동 및 작동 불능 상황에서도, 유독 폐기물(유독 가스)의 누출을 사전에 감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mmunication modules 34 are configured to propagate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o each of the sensing configurations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mmunication modules 34 Interfaced communication of the toxic waste (poisonous gas) to detect a leak of toxic waste (poisonous gas) even in the case of malfunction and inoperability in one sensing configuration.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통신모듈(14)의 경우,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제2통신모듈(24)과 제3통신모듈(34)에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제2통신모듈(24)과 제3통신모듈(34)에서는 수위 검출기(12)의 감지 영역에서의 문제 발생을 인지하게되며, 자신의 감지 수단(유독물질 검출기, 유독물질 여상 판독기)에서의 감지 정보를 취합하여 관리 서버(40)에 보고하기 위해, 제3통신모듈(34)로 전송한다. 또한, 제3통신모듈(34)의 경우, 제1, 2통신모듈(14, 24)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서 이상 발생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를 구동시켜, 해당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와 제1, 2통신모듈(14, 24)에서 전송된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더하여 관리 서버(40)로 보고하게된다. 관리 서버(40)에서는 수집 및 취합되어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황 파악 및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유독 폐기물 누출 여부 또는 감지 수단의 이상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하나의 제3통신모듈(34)의 감지 및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1,2통신모듈(14, 24)은 이상 발생 신호를 자신의 영역에 할당된 제3통신모듈(34)에 인접한 다른 제3통신모듈(34)로 전송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제3통신모듈(34)의 이상 또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 if an abnormality occurrence detection signal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problem in the detection area of the water level detector 12 and collect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toxic substance detector, toxic substance sorter reader) To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for reporting to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40). In the case of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4 and 24,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is driven, And adds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and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4 and 24 to the management server 40. The management server 40 can identify the toxic waste leaking or the abnormality of the sensing means by performing the situation grasp and insp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collected and transmitted.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detection and communication of any one of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s 34,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4 and 24 assign an abnormality occurrence signal to its own area To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adjacent to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4), so that the abnormality of any one of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s (34) can be grasped.

한편,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는 적외선 광원을 특정 파장 별로 분할하는 복수의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필터는 원형의 프레임(미도시)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원형의 프레임의 회전 제어에 따라 리볼버 타입으로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not shown) that divide the infrared light source by specific wavelengths,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circular frame (not shown)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change the filter with the revolver type according to the rotation control of the frame.

이는, 감지 대상의 변화에 따라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를 범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면, 이산화황의 파장을 분할하는 필터와 일산화탄소의 파장을 분할하는 필터를 원형 프레임 상에 설치하고, 해당 기체의 분포도를 파악할 경우, 대응되는 필터를 원형 프레임의 회전 제어(리볼버 방식)를 통해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에 적용시킴으로써, 다양한 기체(유독 가스) 분포도의 영상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This is a configuration for universally using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object to be sensed. For example, a filter for dividing the wavelength of sulfur dioxide and a filter for dividing the wavelength of carbon monoxide are installed on the circular frame (Toxic gas) distribution map is easily obtained by applying the corresponding filter to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through the rotation control (revolver method) of the circular frame in order to grasp the distribution map of the gas You can.

여기서,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는 폐기물 챔버(10)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20)의 설치 위치를 식별 및 저장하며, 일정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폐기물 챔버(10)의 수위 검출기(12)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20)에서 이상 발생 감지 신호가 전송될 경우, 해당 수위 검출기(12)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20)의 설치 위치로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의 각도를 제어한 후, 해당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in,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identifies and store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ste chamber 10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and is provided rotatab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detect the water level detector 12 or the water level detector 12 of the waste chamber 10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the angle of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is controll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l detector 12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to acquire image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은, 수위 검출기(12)의 1차 감지와 유독물질 검출기(20)의 2차 감지 및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30)의 3차 감지, 즉 다차원적인 감지 수단을 적용함과 동시에 각 감지 수단의 통신을 상호 연동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유독 폐기물 누출 감지를 정확하고 신뢰적으로 구현하며, 유독 폐기물 누출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or 12, a secondary detection of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20 and a tertiary detection of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0,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nd reliably realize toxic waste leak detection, and to quickly identify and respond to toxic waste leaks by implementing communication of each sensing means interlockingly.

또한, 산업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대형사고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major accidents that may occur in industrial facilities can be dramatically reduced.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폐기물 챔버
12 : 수위 검출기 14 : 제1통신모듈
20 : 유독물질 검출기
24 : 제2통신모듈
30 :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
34 : 제3통신모듈
40 : 관리 서버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waste chamber
12: water level detector 14: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 Toxic substance detector
24: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0: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34: Third communication module
40: management server

Claims (5)

초음파 수위계를 포함하는 수위 검출기가 설치되며, 유독 폐기물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폐기물 챔버;
상기 폐기물 챔버가 설치된 영역 외부에서 폐기물 챔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유독물질 검출기;
상기 폐기물 챔버가 집합된 폐기물 처리 영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
상기 수위 검출기와 유독물질 검출기 및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와 연동되어 해당 영역의 상황 감시 및 유독 물질 누출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검출기에는 제1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유독물질 검출기에는 제2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에는 제3통신모듈이 포함되되,
상기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과 제3통신모듈은 상호 연동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는 상기 폐기물 챔버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의 설치 위치를 식별 및 저장하며, 일정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폐기물 챔버의 수위 검출기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에서 이상 발생 감지 신호가 전송될 경우, 해당 수위 검출기 또는 유독물질 검출기의 설치 위치로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의 각도를 제어한 후, 해당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waste chamber in which a level detector including an ultrasonic level meter is installed and stores toxic waste;
A toxic material detector disposed to surround the waste chamber outside the area where the waste chamber is installed;
One or more toxic material image readers installed in the waste treatment area where the waste chamber is collected;
A management server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detect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and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to monitor a situation of a corresponding area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oxic substances are leaked; / RTI >
The level detector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includes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ar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identifies and store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ste chamber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and is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or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of the waste chamber, Characterized in that an angle of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is controlle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ter level detector or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제3통신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제3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으로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3통신모듈은 상기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에서 획득한 신호와 병합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merg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ith a signal obtained from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and transmits the combined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검출기는 폐기물 챔버 내에 저장된 유독 폐기물의 수위가 폐기물 챔버 내부로의 폐기물 유입 또는 배출에 대한 설정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2통신모듈 및 제3통신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유독 물질 검출기는 설치 영역의 대기 중 특정 기체의 농도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기반으로 이상 발생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이상 발생이 감지될 경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제3통신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는 적외선 광원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고 입력된 적외선 광원을 특정 파장 별로 분할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일반 기체에 섞인 유독 기체의 파장에 대한 분포도를 영상 내에 표시하여 유독 기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며, 유독 기체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이상 발생 감지 신호를 상기 제1통신모듈, 제2통신모듈 및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 detector detects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level of the toxic waste stored in the waste chamber deviates from the set range for waste inflow or discharge into the waste chamber, Module,
The toxic substance detector is configured to detect an abnormality occurrence based on a resistance value that changes as a concentr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tmosphere of an installation area changes. When the abnormality is detected,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obtains an image through an infrared light source, divides the input infrared light source by specific wavelengths, displays a distribution diagram of the wavelength of the toxic gas mixed with the common gas present in the atmosphere, and display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oxic gas And transmits an abnormality occurrence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presence of the toxic gas is detected.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독물질 영상 판독기는 적외선 광원을 특정 파장 별로 분할하는 복수의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원형의 프레임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의 프레임의 회전 제어에 따라 리볼버 타입으로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 폐기물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xic substance image read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for dividing the infrared light source by specific wavelengths.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circular frame, Is capable of being exchanged.
Toxic waste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KR1020130047590A 2013-04-29 2013-04-29 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KR101470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90A KR101470930B1 (en) 2013-04-29 2013-04-29 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590A KR101470930B1 (en) 2013-04-29 2013-04-29 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48A KR20140128748A (en) 2014-11-06
KR101470930B1 true KR101470930B1 (en) 2014-12-09

Family

ID=5245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90A KR101470930B1 (en) 2013-04-29 2013-04-29 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93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5662B2 (en) * 2005-03-17 2007-09-04 Praxair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s
KR20100115512A (en) * 2009-04-20 2010-10-28 전찬구 Method and equipment for treatment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wasted insulation o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5662B2 (en) * 2005-03-17 2007-09-04 Praxair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s
KR20100115512A (en) * 2009-04-20 2010-10-28 전찬구 Method and equipment for treatment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wasted insulation 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48A (en)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745B1 (en) Leak gas leak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KR1016929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zardous Chemicals Release Detection And Response
CN103884377B (en) Monitor sensor in tunnel
KR101778132B1 (en) Biosafety Cabinet Combined with Internet of Things
CN201654940U (en) Aspiration gas detecting system
KR102080533B1 (en) Safety Diagnosis System for Underground
CN106990744A (en) A kind of grain depot intelligent management device
CN104101053A (en) Air conditioner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1211495A (en) Distributed type security system
CN108051547A (en) It is a kind of that there is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of real-time early warning
CN107197198A (en) A kind of air pollution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KR102077038B1 (en) Gas sensing system for confined space
US9794428B2 (en) Distributed sensing and video capture system and apparatus
KR20180023665A (en) 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KR101426835B1 (en) Image based gas leak detection system
KR100849399B1 (en) Multi-area gas leakage detection system using single gas detector
KR101470930B1 (en) Management system of toxic waste
KR101917805B1 (en)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construction site
CN102768264A (en) Automatic detection method and device of harmful gas
CN106151169A (en) A kind of oil product detec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10684146B2 (en) Parasitic gas detection system
KR20150140444A (en) Harmful substance alarming apparatus, harmful substance alarming method and harmful substance alarming system
KR20130085174A (en) Harmfulness gas transmitting apparatus
CN104460612B (en) Substation safety monitor system
KR1024082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vironment of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