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633B1 -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633B1
KR101470633B1 KR1020080044185A KR20080044185A KR101470633B1 KR 101470633 B1 KR101470633 B1 KR 101470633B1 KR 1020080044185 A KR1020080044185 A KR 1020080044185A KR 20080044185 A KR20080044185 A KR 20080044185A KR 101470633 B1 KR101470633 B1 KR 10147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master devic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8420A (en
Inventor
박준형
이재명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633B1/en
Publication of KR2009011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데이터의 수신 또는 데이터 및 데이터의 처리 명령을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1통신 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2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이루어지며,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는 서로 독립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특성 또는 데이터의 처리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댁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 제공,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재생 및 백업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ocal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data or data and data processing instructions to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comprising first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first network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second network with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1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manages data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rocessing command of data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home Per-user scheduling information provided, there is provided a multimedia contents transmission, playback, and backup.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댁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 제공,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재생 및 백업 등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home, transmission of multimedia contents, .

일반적으로, 오늘날 현대인은 이동 통신 기술의 사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통화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여러 가지 부가적인 컨텐츠를 내장할 수 있고, 고성능의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휴대폰, PDA, PMP 등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이동 통신 기술은 우리 생활에 더욱 큰 변화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today's modern people hav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o make calls anywhere, anytime.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mbed various additional contents, and can load multimedia contents with mobile phones, PDA, PMP, etc. by mounting a high-performance processor. In the futur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provide a bigger change in our lives.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에 따른 스케줄 정보 관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재생 및 백업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Meanwhi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chedule information management, multimedia content transmission, playback and backup according to user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다시 말해서,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의 관리가 부족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를 통해 수집, 및 제작 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것은 스토리지 크기의 제한으로 인한 백업에 대한 번거로움이 있으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도 충분한 현장감을 살리는 것은 크게 제한적이다.In other words, the management of the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insufficient, and the multimedia contents collected and produc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or the equipment capable of providing the multimedia contents are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torage size There is a lot of hassle to backup it, and it is very limited to make enough sense of presence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facilitates data transmiss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through short-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의 특성 또는 처리 명령에 따른 제어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facilitates control of data characteristics or processing commands.

또한, 본 발명은 댁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송, 재생 및 백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facilitates transmission, playback, and backup of multimedia contents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hom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의 관리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게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facilitates management of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user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데이터의 수신 또는 데이터 및 데이터의 처리 명령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1 통신 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2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이루어지며,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는 서로 독립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특성 또는 데이터의 처리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관리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 ID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고유 ID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 요청 메시지를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수신된 고유 ID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omprises a local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home network master apparatus transmits data or data processing commands through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communication means for establishing a first network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second network with at least one or more electric devices,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manages data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ata processing command through data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short- ,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stores the schedule information per user registered with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And transmits the per-user schedu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업로드 가능한 저장 공간 및 폴더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 공간 및 폴더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업로드 입력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transmits the storage space and folder information upload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storage space and fold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stored content data according to the data upload input of the user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stores the received content data.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data to the electr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따라 요리 관련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kitchen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transmit the cooking-relat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kitchen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댁내에서 멀티미디어 Th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컨텐츠의Content 전송 및 재생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e transmission and playback.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댁내에서 멀티미디어  Th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ultimedia 컨텐츠의Content 백업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ing backup.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댁내에서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의 관리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Th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management of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user at ho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 및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embodiment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고성능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고유의 ID정보를 구비함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 확인에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a high performance processor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have. Also,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s unique ID information, it can be used for user identif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Zigbee, WiFi, UWB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네트워크화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함으로 각 센서들이 통신 노드로 동작할 수 있는 네트워킹 기술이다.In addi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WiFi, and UWB. By allowing the sensors capable of sens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to be networked, It is a networking technology that can operate.

아울러,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레지덴셜 게이트웨어(Residential Gateway), 월패드(Wall Pad), 셋톱박스(Set-Top Box) 형태의 댁내 설치된 홈 네트 워크 관리 중심장치로서 집안에 설치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ID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ID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사용자에 특화된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30)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is installed in the home as a home network management center device installed in a residential gateway, a wall pad, a set-top box, When a network is establish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nfirm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with the corresponding ID information, and provide the user-specific schedule information 30 specific to the user .

이때,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30)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사용자를 연계할 수 있는 테이블과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30)가 함께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ID정보를 UserA로 하는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 ID정보가 A0102034이고, 오전 9:00시에 결혼기념일이라는 스케줄 정보(30)를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specific schedule information 30 is data stored i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or an external database server (not shown) and includes a table that can link the user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30) are stored together. For example, the user having the user ID information as UserA can confirm the schedule information 30, which is the anniversary date, at 9:00 am, as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0102034.

여기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1통신 수단과, 전기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2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includes first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first network tha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second network with the electric device or the external serv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이때,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는 서로 독립되어 운영되어, 서로 간에 간섭이 야기되지 않는다. 즉,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를 매개로 하여 서로 간에 통신이 수행될 뿐이다. At this time,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r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interference is not caused between them. That is,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re on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via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기능 선택 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와 제1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first network with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selection command from the user.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데이터 송수신 기능 선택 명령을 획득하기 이전에는, 데이터 수신 기능 또는 데이터 송신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음악 파일, 영상 파일 또는 문서 파일 등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B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btain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selection command, it can perform only the data reception function or the data transmission function. At this time, the data may include all data such as a music file, an image file, or a document file, which is multimedia data.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휴대한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제1통신 수단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First, when a user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ters the ho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ms a first network tha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hav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제2통신 수단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 만일, 데이터베이스가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에 통합되어 구성된다면, 생략가능하다.In addition, the home network master apparatus 20 ha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atabase server (not shown) by forming a second network. If the database is integrated and configured i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it is optional.

이때,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통해서 스케줄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즉, 스케줄 요청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또는 스케줄 확인 요청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스케줄 정보가 제공되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chedule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even when the user requests the schedule confirmation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e., when the schedule request command is input) or when there is no schedule confirmation request.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요청(일종의 데이터 송수신 명령 기능)을 받으면, 스케줄 정보 요청 메시지에 자신의 고유한 ID정보를 포함하여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에 전송한다.Upon receipt of a schedule information request (a kind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mmand func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ransmits its own ID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in the schedu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연결되어 있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서버 또는 자체 내부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고유 ID정보와 사용자의 ID의 매칭 관 계를 파악한다.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grasps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unique ID information and the ID of the user in the database provided in the external database server or the connected external database server.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를 등록한 사용자의 ID정보를 반환한다.And returns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who registered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database.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고유한 ID정보를 통해서 사용자의 ID정보가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 ID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모든 스케줄 정보를 수집한다.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collects all the schedule information registered with the corresponding user ID information when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is confirmed through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또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미리 약속한 포맷(Protocol)로 스케줄 정보를 구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transmits schedul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y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하여,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flects and displays the schedule information on the user interface based on the received data.

이에,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ID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기기별 고유 ID정보에 따라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해당 사용자에 특화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타인의 취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인증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스워드 방식 또는 생체정보 인증방식의 인증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be used as a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0 can provide the schedule information specific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evice-specific 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course, since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be handled by another person, a password system or a biometric informatio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ans capable of satisfying user authentication can be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2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2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12), 및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 텔레비전(32), 및 홈 시어터 장치(42)로 구성될 수 있다.2,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the television 32, And a theater device 42.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12)는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고성능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블루투스, Zigbee,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가 구매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별도의 카메라 및 캠코더 등을 이용해서 제작한 컨텐츠, 또는 기타 다양한 유통단계를 통해 구할 수 있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14)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합하도록 저용량, 고압축의 컨텐츠를 포함한다.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is equipped with a high performance processor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includes Bluetooth, Zigbee, It can be a device with built-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include multimedia contents purchased by a user, a camera buil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created using a separate camera and a camcorder, And can hold the multimedia contents 14. Such multimedia contents include low capacity and high compression contents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는 레지덴셜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 월패드(Wall Pad), 셋톱박스(Set-Top Box) 형태의 댁내 설치된 홈 네트워크 관리 중심장치로서 댁내에 설치되며 AV 관련 기기(예를 들면, 텔레비젼, 오디오 시스템, 홈 시어터 시스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AV 관련 기기는 AV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전용선,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또는 Zigbee와 같은 통신 기술을 통해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is installed in the home as a home network management center device installed in a residential gateway, a wall pad, a set-top box type home, (E. G., A television, an audio system, a home theater system). Here, the AV-related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an AV cable, an Ethernet, a dedicated line,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or a Zigbee.

이동 통신 단말기(12)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14)는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을 통해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에서 컨텐츠 재생(24)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ultimedia contents 1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can play the contents 24 i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through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도 1과 같이,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1통신 수단과, 전기 기기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2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includes first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first network that is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establishing a second network with an electric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12), 및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 디지털 텔레비전(32), 및 홈 시어터 장치(42)로 구성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data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the digital television 32, and the home theater device 42 An embodiment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2)는 제1통신 수단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First,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can communicate with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means by forming a first network tha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다음,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2)를 통해서 컨텐츠 공유 기능(컨텐츠 전송 명령 등)을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중에서 일부를 공유할 것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Next, the user selects a content sharing function (content transmission command, etc.)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 At this time, the user may select to share a part of a plurality of contents.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2)가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로 공유 선택된 컨텐츠 또는 전체 컨텐츠를 전송한다.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transmits the content or entire contents that are selected and shared with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는 이동 통신 단말기(12)에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받는다.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receives the multimedia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using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컨텐츠 전송이 완료되면,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는 컨텐츠(24)를 저장하고, 컨텐츠 리스트에 신규로 전송 받은 컨텐츠의 항목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MP3, 동영상, 게임, 사진 등의 신규 컨텐츠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stores the content 24 and displays the item of the content newly transmitted to the content list. For example, new content items such as MP3, movies, games, and pictures can be displayed.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는 텔레비전(32)과 연결되어 있거나 홈 시어터 장치(42)과 연결되어 수신된 컨텐츠(24)를 재생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는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재생 명령에 따라 내장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코덱 또는 에뮬레이션 환경을 이용해서 해당 컨텐츠를 텔레비전(32) 또는 홈 시어터 장치(42)과 같은 AV 관련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다. 즉,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2)는 수신된 컨텐츠가 재생가능한 특성을 지닌 경우, 이를 재생하여 텔레비전(32) 또는 홈 시어터 시스템(42)을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may be connected to the television 32 or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theater device 42 to reproduce the received content 24.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can automatically or reproduce the content from the AV related device such as the television 32 or the home theater device 42 using the built-in multimedia codec or emul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command from the user . That is, when the received content has a reproducible characteristic,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2 reproduces the received content and displays it visually or audibly through the television 32 or the home theater system 42.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2)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대형화된 디스플레이 또는 홈 시어터 장치를 통해 재생함으로 현장감있는 즐거움을 크게 즐길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enjoy the realistic pleasure by 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through the large-sized display or the home theater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3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3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16), 및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16)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고성능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블루투스, Zigbee,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동 통신 단말기(16)는 사용자가 구매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별도의 카메라 및 캠코더 등을 이용해서 제작한 컨텐츠, 또는 기타 다양한 유통단계를 통해 구할 수 있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유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스토리지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보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는 데이터 보관을 위해 수시로 용량을 만들기 위해, 중요도가 낮은 데이터를 검색하고 삭제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6)는 한정적인 스토리지 사이즈로 인해 제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17)의 용량을 고려해야 한다.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is equipped with a high performance processor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Zigbee, WiFi, and so on. Als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may be a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mera, a camera, a camcorder, Of multimedia content.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ze of the storage is limi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data can not be stored. Or to search for and delete data of low importance in order to make capacity from time to time for data storag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must consider the capacity of the limited multimedia contents 17 due to the limited storage size.

또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는 레지덴셜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 월패드(Wall Pad), 셋톱박스(Set-Top Box) 형태의 댁내 설치된 홈 네트워크 관리 중심장치로서 댁내에 설치되며 대용량 스토리지를 내장하거나 원격에 설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스토리지와 이더넷(Ethernet), 전용선,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및 무선랜과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는 네트워크 스토리지와 연동할 수 있는 확장가능한 스토리지에 멀티미디어 컨텐츠(27)를 저장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6)에서 발생하는 저장 용량 부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is a home network management center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in the form of a residential gateway, a wall pad, a set-top box, It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storage such as an Ethernet, a dedicated line,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nd a wireless LAN with built-in or remotely installed network storage. That is,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stores the multimedia contents 27 in the expandable storage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network storag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insufficient storage capacity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여기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6)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6a)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6)의 폴더(16b)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의 폴더(26b)로 옮겨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드래그&드롭 기능을 활용하여, 컨텐츠 전송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 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inputs the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the folder 16b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to the folder of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in the user interface 16a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26b). At this time, the drag and drop function can be utilized to provide convenience in contents transmission.

도 1과 같이,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6)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1통신 수단과, 전기 기기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2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에 설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의 제2통신 수단을 통해서 제2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1,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includes first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first network tha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and for communicating with an electric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nd communicating a second network. For example, a remote network storage server may form a second network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of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16), 및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로 구성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data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6)는 제1통신 수단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First,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can establish and communicate with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means by forming a first network tha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다음,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6)를 통해서 컨텐츠 백업 기능을 선택한다.Next, the user selects a content backup func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6)에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로 현재 업로드 가능한 공간 및 폴더 정보 등을 미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요청한다.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requests space and folder information currently uploadable to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in advance.

이에,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는 현재 폴더 정보 및 저장소 구조 정보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응답한다.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responds to the current folder information and the storage struc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6)는 저장소 구조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저장소 구조 정보를 확인하고, 데이터 업로드(즉, 컨텐츠 백업 명령)를 입력한다.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displays the storage structure information, the user confirms the storage structure information, and inputs a data upload (i.e., a content backup command).

이동 통신 단말기(16)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로 컨텐츠 데이터를 근 거리 무선 통신기술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transmits the content data to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ccordingly,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stores the received content data.

이동 통신 단말기(16)는 전송 결과를 바탕으로 변경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6)의 저장소 상태를 반영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 reflects the storage state of the changed home network master device 26 based on the transmission result.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한정된 스토리지 크기로 인해 요구되는 데이터 백업 문제가 해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data backup required due to the limited storage size of the multimedia content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olv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4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4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18), 및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and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18)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고성능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블루투스, Zigbee,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받은 음식의 레서피와 요리법 등과 같은 텍스트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1 to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is equipped with a high performance processor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Zigbee, WiFi, and so on. In addition, text data or multimedia data files such as recipes and recipes of downloaded foods can be stored.

또한,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며, 이 통신 수단과 별도로 또는 통합적으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식의 레서피와 요리법 등과 같은 텍스트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을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을 통해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에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8a)에서 표시되는 짜장면, 만두국, 케익의 레서피와 요리법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에 전송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의 요리 서비스가 크게 향상될 수 있게 한다.Also,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is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kitchen.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is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master apparatus separately or integrally with the communication means. That is, text data or multimedia data files such as food recipes and recipe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produced in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via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information on the jellyfish, the buns, the cake, and the recip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18a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may be displayed on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So that the user's cooking service can be greatly improv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18), 및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8)로 구성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data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28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8)가 인터넷 또는 다른 컴퓨터를 통해 요리관련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First,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downloads and stores the cooking-related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or another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18)가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에 근접하게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8)와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이때, 주방 디스틀레이 장치(28)는 별도의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미도시)에 의한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전원이 공급되어 네트워크 형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이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comes close to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form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and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At this time,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may provide a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 by a separate home network master device (not shown), and may be supplied with power to perform a network forming function.

다음, 이동 통신 단말기(18)가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로 요리관련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18)는 자동적으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 고, 사용자로부터의 컨텐츠 공유 또는 컨텐츠 전송 명령을 입력받은 이후에, 이 명령에 따라 전송할 수도 있다. 자동적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8)는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의 제품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요리관련 컨텐츠의 경우, 보다 화면이 크면서도 주방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는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동 통신 단말기(18)가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품 정보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transmits the cooking-related contents to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may automatically transmit the content, or may transmit the content sharing command or the content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may transmit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In this case,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oking-related conte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may determine that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cooking-related contents to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which is larger in size and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Such produc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or may be acquired from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가 요리관련 컨텐츠를 수신 받으면, 새로운 컨텐츠 목록이 표시된다.When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receives the cooking-related content, a new content list is displayed.

사용자는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에서 새로운 컨텐츠 목록을 재생한다.The user plays a new content list on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8)를 통해서, 사용자가 수집한 요리관련 컨텐츠를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에 제공하여 요리 서비스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cooking service can be greatly improved by providing the kitchen-related contents collected by the user to the kitchen display device 28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8.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ng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송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또는 (12), (16), (18))는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210),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기 기기(주방 디스플레이 장치(28) 등)의 제품 정보(전기 기기의 기능, 특성, 설치 위치 등), 및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220),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광대역 통신부(230),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부(240), 광대역 통신 및 근거리 무선 통신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0), 및 다수의 정보의 전송 및 처리 등을 담당하는 제어부(260)를 구성할 수 있다.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12), (16), or (18)) constituting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hoices from the user (Function, characteristics, installation position, etc.) of the electric device (kitchen display device 28, etc.)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and home network master device information, multimedia contents A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230 for performing broadband communicatio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40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display unit 250 for displaying broadband communication a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sults, And a control unit 260 for transferring and process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제어부(260)는 근거리 통신부(240)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고,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 제공,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송 및 신규 리스트 표시 등을 위한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검색된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라, 요리 관련 컨텐츠를 전기 기기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60 forms a local area network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40 and performs calculation and processing for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user, transmission of multimedia contents, and new list display, as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rched electric appliance, the cooking-related contents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electric applian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master apparatus constituting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20)는 제1통신 수단(500), 제어부(510),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부(520), 네트워크 판단부(530), 저장부(540), 및 제2통신 수단(550)을 포함할 수 있다.6, the home network master apparatus 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500, a control unit 510, a display device connection unit 520, a network determination unit 530, a storage unit 54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550.

제1통신 수단(5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500 may form a first network that i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부(520)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 접속부(520)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여러가지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지트(Composite), RGB,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HDMI), 비디오 및 오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등과 같은 여러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connection unit 520 can communicate with a display device (not shown) such as a TV. Here, the display device connection unit 520 may include various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TV. For example, various terminals such as Composite, RGB,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video and audio components, and the like.

컨텐츠 관리부(530)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한다. The content management unit 530 manages multimedia contents from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external device.

제어부(510)는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연산 및 처리를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0 can perform operations and processes to smoothly perform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저장부(540)는 댁내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전기 기기 또는 외부 서버의 제품정보를 저장하여, 효율적인 연결 및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저장부(540)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저장을 통한 백업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5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코덱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540 stores product information of an electric appliance or an external server forming the home network, and supports efficient connection and management. The storage unit 540 also performs a backup function by storing the received multimedia contents.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40 may store a codec or the like capable of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제2통신 수단(550)는 전기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550 may form a second network with an electrical appliance or an external serv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재생 및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chedule information, multimedia contents transmission, playback, and backup for each user.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일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2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embodiment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3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mbodiment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시스템의 제4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is show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ng a management system.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성하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which performs a home network.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이동 통신 단말기 20 :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home network master device

Claims (4)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데이터의 수신 또는 데이터 및 데이터의 처리 명령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ocal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data or data and data processing commands to a home network master device through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인 제1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1 통신 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와 제2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하는 제2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이루어지며, A first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first network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for forming a second network with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는 서로 독립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특성 또는 데이터의 처리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관리하고,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manages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processing command of the data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 ID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고유 ID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 요청 메시지를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수신된 고유 ID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별 스케줄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stores schedule information per user registered with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schedu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And the network master device transmits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us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nique I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업로드 가능한 저장 공간 및 폴더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 공간 및 폴더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업로드 입력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고,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transmits the storage space and folder information upload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storage space and folder information, transmits the stored content data according to the data upload input of the user, And the device stores the received content data. 제1항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마스터 장치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The dat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me network master device transmits the data to the electr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data.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주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따라 요리 관련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The dat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kitchen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cooking relat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kitchen display device.
KR1020080044185A 2008-05-13 2008-05-13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70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85A KR101470633B1 (en) 2008-05-13 2008-05-13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85A KR101470633B1 (en) 2008-05-13 2008-05-13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420A KR20090118420A (en) 2009-11-18
KR101470633B1 true KR101470633B1 (en) 2014-12-09

Family

ID=4160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185A KR101470633B1 (en) 2008-05-13 2008-05-13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6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30B1 (en) * 2013-03-07 2015-02-27 최용석 Online transfer and monitoring system for moving im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40B1 (en) * 2006-01-17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Bluetooth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external device from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40B1 (en) * 2006-01-17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Bluetooth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external device from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420A (en)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4153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US92885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EP2633647B1 (en) Authorizing a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a media rendering unit
CN105657483B (en) Multimedia play system, multimedia file sharing method and its control method
KR10164231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JP5307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ying data transfer
US8255564B2 (en) Personal video network
CN1866258B (en) Data-sharing system and data-sharing method
EP2664133B1 (en) Output of content from the internet on a media rendering device
EP30894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me-screen interaction
US9237375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11585977B (en) Media playback system control method, mobil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program
CN107332976B (en) Karaoke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ystem
US20040204041A1 (en) Wireless tablet for a personal wireless network
CN105323628B (en) Cross-screen play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browser end device and playing device
CN103036922A (en) Method for browsing media files continuously in different electronic terminals and electronic terminal
US20060075015A1 (en) Control point filtering
JP6448901B2 (en) Peripheral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opology
Koo et al. R-URC: RF4CE-based universal remote control framework using smartphone
KR101470633B1 (en)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4427635A (en) Data sharing device based on WiFi
CN104426914A (en) Audio or image wireless sharing method
EP2667626A1 (en)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files, digital media controller,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files
KR1010593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rol screen between DMS device and DMC / DPM device in DLAN
KR20220056218A (en) Display devices and displa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