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068B1 -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068B1
KR101470068B1 KR1020120043932A KR20120043932A KR101470068B1 KR 101470068 B1 KR101470068 B1 KR 101470068B1 KR 1020120043932 A KR1020120043932 A KR 1020120043932A KR 20120043932 A KR20120043932 A KR 20120043932A KR 101470068 B1 KR101470068 B1 KR 10147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lective
resin
printed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0784A (en
Inventor
한철대
김태일
Original Assignee
한철대
김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철대, 김태일 filed Critical 한철대
Priority to KR102012004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068B1/en
Priority to PCT/KR2013/003544 priority patent/WO2013162294A1/en
Publication of KR2013012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0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ome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이 적용된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기재; 상기 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고, 반사 비드가 돌출된 구조로 매입된 반사 필름; 상기 반사 필름 상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 비드가 돌출된 면에 형성된 잉크 정착층; 상기 잉크 정착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정착층, 인쇄층 및 투명 보호층은 상기 반사 비드의 돌출 구조와 대응되는 굴곡 구조로 형성된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픈 타입으로서 높은 반사 휘도를 가짐은 물론,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하며, 이와 함께 입체적 볼륨감을 갖는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 reflection sheet to which an open type bead manufacturing method is applied, and a product including the same.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elastic substrate; A reflective film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embed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reflective beads protrude; An ink fusing layer formed on the reflective film, the ink fus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where the reflective beads protrude; A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ink fixing layer;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print layer, wherein the ink fixing layer, the print lay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have a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reflective beads, and a product including the sam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pen type, not only has a high reflection brightness, but also an excellent discriminating power of a printed image, and also a three-dimensional volume feeling.

Description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이 적용된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 reflective sheet having an open type bead manufacturing method and a product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이 적용된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굴곡 구조의 오픈 타입 제조방식에 의해 반사 휘도는 물론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하면서 탄성 기재에 의해 볼륨감을 가지는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 reflection sheet and an articl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nd a product including the same.

반사 시트는 입사되는 광을 정반사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반사 시트는 식별용, 안전용 및 광고용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반사 시트는 의류, 신발, 가방, 도로의 표지판, 및 각종 광고물 등에 접착제나 재봉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고 있다. 반사 시트는 특히 환경 미화원, 소방대원 및 건설 현장 근로자 등과 같이 도로나 위험한 장소 등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의 의복에 부착되는 경우 착용자의 위치를 확인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보호 및 안전에 매우 효과적이다. The reflective sheet regularly reflects incident light to improve visibility. Accordingly, the reflective shee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dentification, safety, and advertisement. For example, reflective sheets are attached to clothes, shoes, bags, road signs, and various advertising materials by means of adhesives, sewing, and the like. Reflective sheeting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protecting and safeguarding the wearer as it can identify the wearer's position when attached to the garments of people working on roads or in dangerous places, such as in an environmentally benign environment, a firefighting team, or a construction site worker.

반사 시트는 통상 비드형과 프리즘형을 구분되고 있다. 비드형은 반사체로서 주로 유리(glass) 등의 투명 미세구를 사용한다. 그리고 프리즘형은 반사체로서 주로 삼각뿔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비드형과 프리즘형은 입사된 광을 같은 방향으로 재귀 반사시켜 야간 시인성 확보에 유리하다. The reflective sheet is usually divided into a bead type and a prism type. Bead-type reflectors are mainly made of transparent microspheres such as glass. The prism-type reflector has a triangular-pyramidal structure. Such a bead shape and a prism shape are advantageous for securing visibility at night by retroreflecting the incident light in the same directio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반사 시트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는 비드형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flective shee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which is a bead type.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반사 시트는 일반적으로 기재 시트(1), 상기 기재 시트(1) 상에 형성된 접착층(2), 및 상기 접착층(2) 상에 형성된 반사 필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 필름은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된 반사층(3), 상기 반사층(3) 상에 형성된 바인더층(4), 및 상기 바인더층(4)에 매입된 다수의 반사 비드(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층 구조의 반사 시트를 의류나 신발 등의 피착체에 부착 시, 통상 상기 기재 시트(1)를 박리 제거한 후, 열 가압을 통해 상기 접착층(2)을 피착체에 열융착시켜 부착한다. 1, the reflective sheet generally includes a base sheet 1, an adhesive layer 2 formed on the base sheet 1, and a reflective film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2. [ The reflective film includes a reflective layer 3 formed by depositing a metal such as aluminum (Al), a binder layer 4 formed on the reflective layer 3, and a plurality of reflective beads embedded in the binder layer 4 5). When the reflective sheet having such a laminated structure is adhered to an adherend such as clothing or shoes, the base sheet (1) is usually peeled off, and then the adhesive layer (2) is thermally fused to the adherend through thermal application.

또한, 상기 반사 비드(5)는 고굴절율의 유리 비드(glass bead)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반사 비드(5)는 높은 반사 휘도를 갖도록 직경의 대략 절반 정도가 돌출된 구조로 바인더층(4)에 매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픈 타입(open type)의 구조, 즉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반사 비드(5)가 바인더층(4)에 완전히 매입되어 있지 않고, 직경의 절반 정도만 매입되어 비드(5)의 표면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는 반사 휘도가 높다. As the reflective beads 5, a glass bead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s mainly used. The reflective beads 5 are embedded in the binder layer 4 with a structure in which approximately half of the diameter is protruded so as to have a high reflection luminance. 1, the reflective bead 5 is not completely embedded in the binder layer 4, but only about half of the diameter is embedd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bead 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reflection brightness is high.

최근에는 위와 같은 반사 시트에 다양한 색이나 무늬 등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인쇄층이 형성되고 있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 광고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recent years, a printing layer has been formed in order to realize images such as various colors and patterns on a reflective sheet as described above. When a print layer is formed, it can be usefully used for advertising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인쇄층이 형성된 반사 시트를 '인쇄 반사 시트'라 한다. 이때, 반사 시트에 인쇄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사 비드(5)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반사 비드(5)의 하부, 즉 도 1에서 바인더층(4)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sheet on which the print layer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a " print reflective sheet ". At this time, in forming the print layer on the reflective shee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form on the reflective beads 5. Thus, a printing layer is usually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flective beads 5, that is, the binder layer 4 in Fig.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37981호(특허문헌 1)에는 승화전사를 통하여 반사 비드(5)의 하부에 인쇄층을 형성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0016호(특허문헌 2)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5242호(특허문헌 3)에는 옵셋 인쇄를 통해 반사 비드(5)와 반사층(3)의 사이에 다색 인쇄층을 형성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37981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print layer is formed under the reflective beads 5 through sublimation transfer. In additio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0016 (Patent Document 2)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5242 (Patent Document 3), it is described that offset printing is carried out between the reflective beads 5 and the reflective layer 3, A technique of forming a print layer is proposed.

그러나 인쇄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위와 같이 반사 비드(5)의 하부에, 즉 반사 비드(5)와 반사층(3)의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한 경우,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1m 이내의 근거리에서는 인쇄된 이미지가 어느 정도 식별될 수 있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인쇄된 이미지가 사라져 식별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에 따라, 원거리에서는 반사력만 느껴질 뿐,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이 어려워 인쇄층 형성의 목적(효과)이 상실되고 상업적인 가치도 떨어진다. However, in forming the print layer, when the print layer is formed under the reflective beads 5, that is, between the reflective beads 5 and the reflective layer 3 as described abov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rinted image deteriorates. For example, at a distance of less than 1 meter, the printed image may be somewhat discernible, but as the distance increases, the printed image disappeared and the discernment significantly deteriorates. As a result, only the reflection power is felt at a long distance,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inted image, so that the purpose (effect) of forming the print layer is lost and the commercial value is also lowered.

또한, 일본 공개특허 JP2005-165302호(특허문헌 4)에는 인쇄층을 반사 비드(5)의 하부에 형성하되, 반사 시트의 두께 방향에서 관찰할 때, 상기 반사 비드(5)와 인쇄층이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한 반사 시트가 제시되어 있다. 즉, 반사 비드(5) 간의 사이에 인쇄 이미지를 위치시켰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반사 비드(5)의 영향으로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떨어진다.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165302 (Patent Document 4) discloses that a printed layer is formed below the reflective beads 5, and when the reflective beads 5 and the printed layer are observ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flective sheet, A reflective sheet is arranged so as not to be exposed. That is, the print image is positioned between the reflective beads 5. However, also in this c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rinted image is lowe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reflective beads 5. [

아울러, 상기 선행문헌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는 볼륨감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갖지 못하여 입체적 질감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printed reflective sheet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has a problem that the three-dimensional texture is deteriorated because it does not have a separate means for volume sensing.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3798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3798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0016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0016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5242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5242 일본 공개특허 JP2005-165302호JP-A-2005-165302

이에, 본 발명은 반사 비드의 상부에 인쇄층을 위치시키되, 반사 시트의 표면을 반사 비드와 대응되는 굴곡 구조의 오픈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서, 반사 휘도는 물론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하며, 이와 함께 볼륨감을 가져 우수한 입체적 질감이 구현되는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 lay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flective beads, and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sheet is formed as an open type having a ben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bead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rovide a printed reflection sheet and a product including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탄성 기재; An elastic substrate;

상기 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접착층;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elastic substrate;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고, 반사 비드가 돌출된 구조로 매입된 반사 필름; A reflective film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embed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reflective beads protrude;

상기 반사 필름 상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 비드가 돌출된 면에 형성된 잉크 정착층; An ink fusing layer formed on the reflective film, the ink fus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where the reflective beads protrude;

상기 잉크 정착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 및 A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ink fixing layer; And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포함하고,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printing layer,

상기 잉크 정착층, 인쇄층 및 투명 보호층은 상기 반사 비드의 돌출 구조와 대응되는 굴곡 구조로 형성된 인쇄 반사 시트를 제공한다. The ink fixing layer, the print lay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are formed in a ben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reflective bead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는 투명 보호층의 상부에서 가압 형성된 양각 또는 음각의 입체 문양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 기재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nted reflect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olid embossed or embossed pattern which is formed by pressure 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And an adhesive resin layer formed under the elastic substrate.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잉크 정착층의 경우에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inted reflective she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More preferably, in the case of at least the ink fix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T ≤ 1/2HT? 1 / 2H

(위 수학식에서, (In the above equation,

T : 잉크 정착층의 두께, 인쇄층의 두께 및 투명 보호층의 두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thickness of the ink fixing layer, a thickness of the printing layer, and a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H : 반사 필름의 표면에 돌출된 반사 비드의 높이이다.)
H: Height of the reflective bead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가 부착된 제품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to which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반사 휘도를 가짐은 물론,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륨감을 가짐으로 인하여 우수한 입체적 질감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a high reflection luminance, but also an excellent effect of discriminating the printed imag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cellent three-dimensional texture can be realized by having a sense of volu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사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의 단면도 및 제조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의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ive she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tate of use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 and FIG. 3 show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을 가지는 인쇄 반사 시트(100)는 탄성 기재(80); 상기 탄성 기재(80) 상에 형성된 접착층(10); 상기 접착층(10) 상에 형성된 반사 필름(20); 및 상기 반사 필름(20) 상에 형성된 잉크 정착층(30); 상기 잉크 정착층(30) 상에 형성된 인쇄층(40); 및 상기 인쇄층(40) 상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오픈 타입(open type)의 표면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필름(20)에는 통상과 같이 돌출된 구조로 다수의 반사 비드(22a)가 매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반사 비드(22a)의 돌출 구조와 대응되는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2, a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having a sense of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substrate 80; An adhesive layer (10) formed on the elastic substrate (80); A reflective film (20)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0); And an ink fixing layer (30) formed on the reflective film (20); A printing layer (40) formed on the ink fixing layer (30);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formed on the printing layer 40. And an open type surface structure. A plurality of reflective beads 22a are embedded in the reflective film 20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surface curved structures 100a and 100b, which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structures of the reflective beads 22a, .

본 발명에서 오픈 타입이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비드(22a) 상에 잉크 정착층(30), 인쇄층(40) 및 투명 보호층(50)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어 있되, 이들(30)(40)(50)이 반사 비드(22a)와 대응되는 굴곡 구조로 형성되어, 반사 비드(22a)가 오픈 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오픈 타입의 구조, 즉 반사 비드(22a)와 대응되는 표면 굴곡 구조(100a)(100b)에 의해 반사 비드(22a)의 상부에 인쇄층(40)에 형성되어 있음에도 반사 휘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인쇄층(40)에 형성된 이미지는 우수한 식별력을 갖는다. 즉, 양호한 반사 휘도를 가지면서 원거리에서도 인쇄층(40)의 식별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open type ink layer 30, the print layer 4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reflective beads 22a, 30, 40 and 50 are formed in a ben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beads 22a, so that the reflective beads 22a appear to be o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open type structure, that is, the surface curved structures 100a and 100b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beads 22a is formed on the print layer 40 on the reflective beads 22a, Does not fall. And the image formed on the print layer 40 has excellent discriminating power. That 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int layer 40 even at a long distance with a good reflection lumin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 기재(80)에 의해 입체적 볼륨감을 갖는다. 이때, 양각 또는 음각의 입체 문양(110, 도 3 참조)이 형성된 경우, 탄성 기재(80)의 볼륨감에 의해 우수한 입체적 질감을 갖는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has a three-dimensional volume feeling. At this time, when the embossed or embossed embossed pattern 110 (see FIG. 3) is formed, it has an excellent three-dimensional texture due to the volume feeling of the elastic substrate 80. Hereinafter, an exemplary form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상기 탄성 기재(80)는 입체적 볼륨감을 위한 것이며, 이는 예를 들어 반사 필름(20)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탄성 기재(80)는 탄력성(신축성)과 열전도성이 우수한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 기재(80)는 인쇄층(40) 등의 형성 과정에서 치수 안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갖게 하는 것이면 좋다. The elastic substrate 80 is for a three-dimensional volume sense, and may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reflective film 20, for example. The elastic substrate 8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excellent in elasticity (stretch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The elastic substrate 80 may be any material that ha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imensional stabil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rint layer 40 or the like.

상기 탄성 기재(8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발포체, 합성수지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계, 폴리염화비닐계 및 고무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탄성 기재(80)는 스펀지(sponge)와 같이 합성수지가 발포된 시트 상의 발포체(발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발포체는 다수의 미세 기공(pore)에 의해 탄력성(신축성)을 가지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스티렌계 및 아크릴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가 발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기재(80)는 폴리우레탄계나 폴리우레아계 등의 탄성체로부터 선택된 신축성의 합성수지 엘라스토머(elastomer) 시트 그리고 실리콘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및 고무 등으로부터 성형된 신축성의 연질 탄성 시트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elastic base material 8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elastic material selected from,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oam, a synthetic resin elastomer, a silicone, a polyvinyl chloride, a rubber, and the like. As a specific example,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may be a sheet-like foamed foam sheet in which a synthetic resin is foamed, such as a sponge. The foam may be a foam having elasticity (stretchability) by a plurality of micropores. The foam may be a polyolefin, a polyester, a polyurethane, a polyvinyl chloride, a polyimide, a polystyrene, May be used.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may be selected from an elastic elastomer sheet selected from elastic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 and polyurea resins, and a flexible elastic sheet formed from a silicone resin, a polyvinyl chloride resin, .

상기 접착층(10)은 접착성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층(10)은 탄성 시트(80)와 반사 필름(20)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이면 좋다. 접착층(10)은 천연수지 및 합성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LDPE 등),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계 및 폴리염화비닐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층(10)은 의류 등의 섬유 제품의 특성과 세탁 후의 원형 유지성 등을 고려하여, 탄력성(신축성)이 양호한 폴리우레탄계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10)은 위와 같은 접착제가 반사 필름(20)의 하부, 또는 탄성 기재(80)의 상부 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dhesiveness. The adhesive layer 10 may be one that provides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elastic sheet 80 and the reflective film 20. The adhesive layer 10 may include an adhesive selected from a natural resin and a synthetic resin. Specific examples of the adhesive layer 10 include polyethylene (LDPE), polyurethane, acrylic, epoxy, ethylene vinyl acetate (EVA) And the like. 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10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a polyurethane system having good elasticity (stretchabilit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a textile product such as clothes and circularity after washing. The adhesive layer 10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above adhesi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ubstrate 80.

상기 반사 필름(20)은 통상과 같이 다수의 반사 비드(22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반사 필름(20)은 반사율을 높이는 지지층(24)과 상기 지지층(24)의 상부에 형성된 반사 비드층(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 비드층(22)은 정연히 배열된 다수의 반사 비드(22a)를 포함한다. The reflective film 20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beads 22a as usual. Specifically, the reflective film 20 includes a support layer 24 for enhancing the reflectivity and a reflective bead layer 22 formed on the support layer 24. And the reflective bead layer 22 comprises a plurality of regularly arranged reflective beads 22a.

상기 반사 비드(22a)는 재귀 반사를 위한 광 굴절율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반사 비드(22a)는 투명으로서, 예를 들어 유리 비드(glass bead); 비유리질 세라믹 비드(ceramic bead); 및 아크릴계 등의 투명 합성수지재 비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반사 비드(22a)는, 바람직하게는 고굴절율을 가지는 유리 비드인 것이 좋다. 또한, 반사 비드(22a)는 구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이러한 반사 비드(22a)의 크기(직경)는 제한되지 않는다. 적용되는 제품이나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반사 비드(22a)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예를 들어 1.0㎛(마이크로미터) ~ 2.0m의 직경(D)을 가질 수 있다. 반사 비드(22a)는, 바람직하게는 10㎛ ~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40㎛의 직경(D)을 가질 수 있다.The reflective bead 22a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 refractive index for retroreflection. The reflective beads 22a are transparent, for example, glass beads; Non-vitreous ceramic beads; And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bead such as acrylic resin. The reflecting bead 22a is preferably a glass bead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The reflective beads 22a may have a spherical or elliptical shape, and preferably a spherical shape. The size (diameter) of such reflective beads 22a is not limited. The reflective beads 22a are preferably spherical in shape and may have a diameter D of, for example, 1.0 m (micrometer) to 2.0 m, although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 or purpose to be applied. The reflective beads 22a may have a diameter D of preferably 10 mu m to 1,000 mu m, more preferably 20 mu m to 40 mu m.

또한, 상기 지지층(24)은 위와 같은 반사 비드(22a)를 매입시켜 지지(고정)하는 결합력을 가지면 좋다. 지지층(24)은, 바람직하게는 결합력과 함께 반사 특성도 가지면 더욱 좋다. The support layer 24 may have a binding force to embed and fix (fix) the reflective beads 22a. The support layer 24 preferably has a reflective property as well as a bonding force.

상기 지지층(24)은, 제1구현예에 따라서 반사 특성을 갖도록 금속 페이스트(paste)가 고착(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페이스트는 금속 입자와 바인더(binder)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입자는 반사 특성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니켈(Ni), 아연(Zn), 주석(Sn)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 또는 이의 합금이 좋다. 아울러, 상기 바인더는 금속 입자 상호간을 결합시키면서 상기 반사 비드(22a)를 매입, 지지(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접착성을 갖는 것이면 좋다. 바인더는, 예를 들어 천연수지 및 합성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layer 24 may be formed by sticking (curing) a metal paste so as to have a reflec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t this time, the metal paste includes metal particles and a binder. The metal particles are for reflection characteristics and can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aluminum (Al), nickel (Ni), zinc (Zn), tin (Sn) . The metal particles are preferably aluminum (Al) or an alloy thereof. In addition, the binder binds and supports (fixes) the reflective beads 22a while bonding metal particles to each other, and may be any one having adhesiveness. The binder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natural resins and synthetic resins. Specific 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at least one adhesive resin selected from acrylic, urethane, silicone, epoxy,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and polyester .

또한, 상기 지지층(24)은, 제2구현예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층(24)은 구체적으로 반사 특성을 위한 금속 반사층과, 상기 금속 반사층 상에 형성된 바인더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층에는 반사 비드(22a)가 매입, 지지(고정)된다. 이러한 바인더층을 구성하는 바인더의 종류는 상기 금속 페이스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접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반사층은 바인더층의 하부에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금속 반사층을 구성하는 금속의 종류는 상기 금속 입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금속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반사층은 예를 들어 스퍼터링(sputtering), 전자-빔 증착(E-beam Evaporation), 화학 기상 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물리 기상 증착(PVD ; Physical Vapor Deposition) 등의 박막 증착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support layer 24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two laye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upport layer 24 may specifically include a metal reflection layer for reflection characteristics and a binder layer formed on the metal reflection layer. At this time, the reflective beads 22a are buried and supported (fixed) on the binder layer. As the kind of the binder constituting the binder layer, an adhesive resin as described in the above metal paste can be used. The metal reflection layer is formed by depositing a metal on the lower part of the binder layer, and the metal constituting the metal reflection layer is exemplified by the metal described in the metal particles. In this case, the metal reflective layer may be formed by sputtering, E-beam evapora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PVD) or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아울러, 상기 지지층(24)은, 제3구현예에 따라서 백색 안료 및 펄(pearl)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층(24)은 천연수지 및 합성수지로부터 선택된 바인더와 백색의 색상 구현을 위한 백색 안료 및/또는 반사력을 도모하는 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인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색 안료는 백색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층(24)이 위와 같이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 백색 바탕을 제공함으로 인해 보다 더 선명한 인쇄 이미지가 구현되고 식별이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layer 24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white pigment and a pear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pecifically, the support layer 24 may include a binder selected from natural resins and synthetic resins, and a pearl that provides a white pigment and / or a reflective force for white color implementation.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adhesive resins selected from acrylic, urethane, epoxy,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polyester,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binder. And the white pigm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white. When the support layer 24 includes a white pigment as described above, a clearer print image is realized and identification is facilitated by providing a white background.

상기 반사 비드(22a)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필름(20)에 돌출된 구조로 매입되어 있다. 반사 비드(22a)는 구체적으로 그의 직경(D)의 일부만 지지층(24)에 매입되고, 나머지는 지지층(24)의 표면으로 돌출(노출)된다. 이때, 반사 비드(22a)는 직경(D)의 1/3 내지 2/3 정도가 돌출된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반사 필름(20)의 표면, 즉 지지층(24)의 표면에 돌출된 반사 비드(22a)의 높이(H)는 직경(D)의 1/3 내지 2/3 정도가 좋다. 이하, 반사 필름(20)의 표면에 돌출된 반사 비드(22a)의 높이(H)를 "돌출 높이"로 약칭한다. 예를 들어, 반사 비드(22a)의 직경(D)이 90㎛라고 가정할 때, 상기 돌출 높이(H)는 30㎛ ~ 60㎛인 것이 좋다. 이러한 범위의 돌출 높이(H)를 가지는 경우, 양호한 반사 휘도와 함께 결합력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 높이(H)가 직경(D)의 1/3 미만인 경우, 양호한 반사 휘도를 도모하기 어렵다. 그리고 돌출 높이(H)가 직경(D)의 2/3를 초과하는 경우, 지지층(24)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반사 비드(22a)가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돌출 높이(H)는 직경(D)의 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반사 비드(22a)는 그의 직경의 절반은 지지층(24)매입되고, 나머지 절반은 지지층(24) 상에 돌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reflective beads 22a are embedded in the reflective film 20 as shown in the figure. Reflective bead 22a specifically embeds only a part of its diameter D in support layer 24 and the rest protrudes (exposes) to the surface of support layer 24.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ion bead 22a is protruded by 1/3 to 2/3 of the diameter D. Specifically, the height H of the reflective beads 22a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that is, the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24, is preferably about 1/3 to 2/3 of the diameter D, Hereinafter, the height H of the reflective beads 22a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will be abbreviated as "protrusion height ".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D of the reflective beads 22a is 90 占 퐉,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height H is 30 占 퐉 to 60 占 퐉. When the projection height H is in this range, a bonding force can be realized with a good reflection brightness. Specifically, when the projection height H is less than 1/3 of the diameter D,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good reflection luminance. If the protrusion height H exceeds 2/3 of the diameter D, the bonding force with the support layer 24 becomes weak and the reflection bead 22a may be detach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height H is 1/2 of the diameter D. That is, it is more preferable that half of the diameter of the reflective beads 22a is embedded in the support layer 24, and the other half is protruded on the support layer 24.

또한, 위와 같은 반사 필름(2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사 필름(20)은 통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필름(20)은 캐리어 필름 상에 수지를 도포하여 분리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분리층 상에 반사 비드(22a)를 적정 깊이로 매입시킨 후, 반사 비드(22a) 상에 지지층(24)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캐리어 필름과 분리층을 반사 비드(22a)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ive film 20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The reflective film 20 can b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usual. For example, the reflection film 2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resin on the carrier film to form a separation layer, then embedding the reflection bead 22a at an appropriate depth on the separation layer, Forming the support layer 24, and then separating the carrier film and the separation layer from the reflective beads 22a.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인쇄층(40)의 형성(인쇄)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반사 비드(22a)의 상부에 형성된다. 잉크 정착층(30)은, 구체적으로 반사 필름(20) 상에 형성되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비드(22a)가 돌출된 면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잉크 정착층(30)의 표면에는 인쇄층(40)의 형성 시, 즉 인쇄 시, 잉크가 안착된다. The ink fixing layer 30 is for forming (printing) the printing layer 40, which is formed on the reflective bead 22a. The ink fixing layer 30 is specifically formed on the reflective film 20 and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bead 22a protruding as shown in Fig. On the surface of the ink fixing layer 30, ink is seated when the printing layer 40 is formed, that is, when printing is performed.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이의 표면에 인쇄가 가능한 것이면 좋다. 잉크 정착층(30)은 반사 비드(22a)와의 결합력이 좋고, 잉크가 최적의 상태로 정착되게 할 수 있으면 더욱 좋다. 잉크 정착층(30)은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PU)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폴리비닐알콜(PVA) 수지 및 아크릴(acrylic)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ink fixing layer (30) may be any one capable of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ink fixing layer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fixing layer 30 has a good binding force with the reflective beads 22a and can fix the ink in an optimum state. The ink fixing layer 30 may be formed by co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n adhesive resin, for example, a silicone resin, a polyurethane (PU) resin, a melamine resin, a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PVA) resin, acrylic resin, and the like can be coated and formed.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열된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되, 여기에 잉크 프라이머(primer)가 더 포함된 잉크 정착용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크 프라이머는 잉크의 양호한 정착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바람직하게는 인쇄층(40)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에 포함된 성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잉크 프라이머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의 잉크 조성에 포함된 것으로서, 습윤제 및 계면활성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k fixing layer 30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ink fix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resin listed above as a base resin and further including an ink primer. At this time, the ink primer is for a good fixation of the ink, which can b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ink for forming the printing layer 40. The ink pri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a wetting agent and a surfactant, which are included in a common ink composition.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잉크 정착용 조성물은 상기 나열된 수지, 즉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PU)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폴리비닐알콜(PVA) 수지 및 아크릴(acrylic)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베이스 수지; 잉크 프라이머; 및 용매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잉크 프라이머 0.1 ~ 50중량부 및 용매 30 ~ 1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 프라이머는 습윤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습윤제는 0.05 ~ 30중량부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0.05 ~ 2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조성된 잉크 정착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잉크 정착층(30)을 형성하는 경우, 반사 휘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최적의 상태로 잉크가 정착되게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ink fixing composition may include the above listed resins, namely, silicone resin, polyurethane (PU) resin, melamine resin,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polyvinyl alcohol PVA) resin and acrylic resin, and the like; Ink primers; And 0.1 to 50 parts by weight of an ink primer and 30 to 15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The ink primer includes a wetting agent and a surfactant. The wett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and the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20 parts by weight. In the case where the ink fixing layer 30 is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ink fixing formed with such components and contents, the ink can be fixed in the optimum s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eflection brightness.

이때, 상기 습윤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부텐-1,4-디올 및 2-메틸-2-펜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펜탄올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wetting agent may be, for example, glycerin,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hexylene glycol, 1,3-butanediol, , 2-butene-1,4-diol and 2-methyl-2-pentanediol, and the surfactant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polyglycerin fatty acid ester, sorbitan fatty acid ester, and the like. The solv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butanol, and pentanol.

또한, 상기 잉크 프라이머는 습윤제 및 계면활성제 이외에 무기 필러(fille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기 필러는 예를 들어 실리카, 클레이, 탈크, 규조토,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알루미나,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무기 필러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무기 필러는 미세 크기가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2.0㎛ 이하, 구체적인 예를 들어 0.01㎛ ~ 2.0㎛의 미세 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nk primer may further include an inorganic filler in addition to a wetting agent and a surfactant. Examples of the inorganic filler include silica, clay, talc, diatomaceous earth, zeolite, calcium carbonate, alumina, zinc oxide, And the like. The inorganic fill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In addition, the inorganic filler has a fine size and can be used, for example, having a fine size of 2.0 탆 or less, specifically 0.01 탆 to 2.0 탆.

상기 잉크 정착층(30)의 형성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다양한 코팅(또는 인쇄)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정착층(30)은,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잉크 정착용 조성물을 스프레이(Spray) 코팅, 콤마 나이프(Comma Knife) 코팅, 그라비아(Gravure) 코팅 및 슬롯 다이(Slot Die) 코팅 등의 방법과 이를 이용한 UV코팅 방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1회 이상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잉크 정착용 조성물의 코팅 후, 40 ~ 50℃가 유지되는 숙성실에서 20시간 내지 30시간 정도 경화 건조시키는 것이 잉크의 안정적인 안착에 좋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ink fixing layer 30 is not limited, and it can be formed by various coating (or printing) methods. The ink fixing layer 30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a method such as spray coating, Comma Knife coating, gravure coating and slot die coating, And one or more UV coating methods using the same. Preferably, after coating the composition for ink fixing, it is preferable to cure and dry in an aging chamber maintained at 40 to 50 ° C for about 20 hours to 30 hours for stable deposition of ink.

상기 인쇄층(40)은 위와 같은 잉크 정착층(30) 상에 인쇄 방법으로 형성되며, 이를 구성하는 잉크의 조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잉크는 예를 들어 통상과 같이 C(Cyon), M(Magenta), Y(Yellow) 및 K(Black)의 4원색을 적어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색소체(염료나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잉크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4원색 색소체; 정착용 수지 및 잉크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크 프라이머의 종류는 상기 잉크 정착층(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착용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실리콘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비닐알콜(PVA)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printing layer 40 is formed on the ink fixing layer 30 by the printing method, and the composition of the ink constituting the printing layer 40 is not limited. The ink may have a composition including at least four primary colors of C (Cyon), M (Magenta), Y (Yellow) and K (Black) as usual, for example, and may further contain other colorants (dyes and pigments) can do. Specific examples of the ink include the four primary coloring matters; A fixing resin and an ink primer. At this time, the kind of the ink primer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ink fixing layer 30. The fixing resin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polyurethane (PU), silicone resin, melamine resin, polyvinyl chloride (PVC), and polyvinyl alcohol (PVA).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인쇄층(40)은 통상의 4원색 색소체(C, M, Y 및 K), 정착용 수지(예를 들어, PU) 및 잉크 프라이머를 혼합한 약재를 얻은 다음, 상기 약재와 경화제를 100 : 8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얻고, 이후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MEK)이 5 : 5의 중량비로 혼합된 희석 용제에 상기 혼합물을 희석한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잉크는 상기 혼합물 60 ~ 70중량%와 희석 용제 30 ~ 40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printing layer 40 may be obtained by obtaining a medicinal material obtained by mixing ordinary four primary coloring matters (C, M, Y and K), a fixing resin (for example, PU) and an ink primer, A mixture obtained by mixing a medicinal material and a curing agent in a weight ratio of 100: 8 is obtained, and then the mixture is diluted with a diluting solvent in which toluene and methyl ethyl ketone (MEK) a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5: 5 . At this time, the ink may be mixed with 60 to 70% by weight of the mixture and 30 to 40% by weight of the diluting solvent.

상기 잉크는 위와 같은 성분들 이외에 점도 조절제로서, 예를 들어 카르복실셀룰로오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잉크의 조성은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인쇄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성에 준할 수 있다. The ink may further contain, for example, carboxyl cellulose or the like as a viscosity control agent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of the ink is not limited, and it may conform to a composition commonly used in the printing field.

아울러, 상기 인쇄층(40)에는 다양한 색과 무늬 등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다. 인쇄층(40)에 구현되는 이미지는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문자, 도형, 그림,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인쇄층(40)은 다양한 인쇄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40)은 UV 옵셋 인쇄, UV 그라비아 인쇄, UV 씨링 인쇄, 스크린 인쇄, 디지털 실사 출력(솔벤트, 수성, UV 등), 인쇄된 이미지의 승화 또는 전사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various images may be implemented on the print layer 40 through various colors and patterns. The image embodied in the printing layer 40 is not limited, and may be expressed, for example, as a letter, a figure, a picture, a photograph, or a combination thereof. Further, the printing layer 40 can be formed by various printing methods. For example, the printing layer 40 may be formed by methods such as UV offset printing, UV gravure printing, UV shearing printing, screen printing, digital imaging output (solvent, aqueous, UV, etc.), sublimation or transfer of printed imag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투명 보호층(50)은 위와 같은 인쇄층(40)을 보호한다. 인쇄층(40)은 외력에 의해, 예를 들어 수분이나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인쇄된 이미지가 변형되거나, 벗겨지고 부스러질 수 있는데, 투명 보호층(50)은 인쇄층(40) 상에 형성되어 위와 같은 현상을 방지한다. 투명 보호층(50)은 투명성의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투명 보호층(50)을 구성하는 수지는 열 경화형 또는 UV 경화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황변 현상이 없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투명 보호층(5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PU),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투명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protects the print layer 40 as described above. The printed layer 40 may be deformed, peeled, or crush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an image print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moisture or impact.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may be formed on the print layer 40 Thereby preventing the above phenomen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s formed by coating a transparent resin. The resin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may be a thermosetting type or a UV curing type, and it is preferable that after the elapse of a long time, there is no yellowing phenomenon.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s coated with at least one transparent resin selected from, for example, a silicone resin, a polyurethane (PU),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polyvinyl chloride .

상기 투명 보호층(50)은, 바람직하게는 수분 침투가 방지되도록 방수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투명 보호층(50)은 베이스 수지로서 방수성에서 양호한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 수지 및 폴리우레탄(PU)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s preferably waterproof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To this e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one non-hydrophilic resin selected from a silicone resin and polyurethane (PU) having good waterproofing properties as a base resin.

또한, 상기 투명 보호층(50)은 별도의 방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보호층(50)은 상기 나열된 투명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되, 여기에 방수제가 더 포함된 투명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제는 벤토나이트, 실리콘계(오르가노 폴리실록산 등) 및 우레탄계(폴리우레탄 등)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repellent agent.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may be formed by coating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resin as a base resin, and further including a waterproofing agent. The waterproof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bentonite, silicone (organopolysiloxane, etc.), urethane (polyurethane, etc.), and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비드(22a)의 상부에 인쇄층(40)이 위치된 적층 구조를 가지되,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 비드(22a)의 돌출 구조와 대응되는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를 가짐으로 인하여, 반사 휘도는 물론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int layer 40 is positioned above the reflective beads 22a, and the surface curved structure 100a (corresponding to the projected structure of the reflective beads 22a) ) 100b, the reflection brightness is excellent as well as the discriminating power of the printed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비드(22a)의 상부, 즉 반사 비드(22a)가 돌출된 면에 잉크 정착층(30), 인쇄층(40) 및 투명 보호층(50)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잉크 정착층(30), 인쇄층(40) 및 투명 보호층(50)은 반사 비드(22a)와 대응되는 굴곡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의 표면은, 즉 관찰자가 바라보는 면(광이 입사되는 면)은 반사 비드(22a)의 돌출(노출) 구조와 대응되는 돌출 구조로서, 돌부(100a)와 요부(100b)로 구성된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를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반사 휘도를 가지면서 원거리에서도 인쇄층(40)의 식별이 가능하다. 즉, 오픈 타입에서 구현되는 높은 반사 휘도를 가지면서, 이와 함께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하다. More specifically,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 fixing layer 30,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not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ve beads 22a, that is, Layer 40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are laminated in this order on a transparent substrate 40. The ink fixation layer 30, the print layer 4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are formed on the reflective beads 22a, .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urface that the observer sees (the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is a protrud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xposed) structure of the reflective beads 22a, (100a) and (100b) composed of a concave portion (100a) and a concave portion (100b).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int layer 40 even at a long distance with excellent reflection brightness. That is, it has a high reflection luminance realized in the open type, and is excellent in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rinted image.

이때, 상기 잉크 정착층(30), 인쇄층(40) 및 투명 보호층(50)을 형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굴곡 구조로 형성하지 않고, 평면 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이는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은 양호할 수 있으나, 반사 시트(100)의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즉, 비드의 굴절현상을 막는 평면이 되어, 반사 휘도가 현저히 낮아진다. 또한, 상기 인쇄층(40)을 종래와 같이 반사 비드(22a)의 하부에 형성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서는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이 어렵다. When forming the ink fixing layer 30, the print layer 4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n a planar fashion instead of forming the curved structur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of the reflective sheet 100 can be remarkably deteriorated, which i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t becomes a plane which prevents refraction of the beads, and the reflection brightness is remarkably low. In addition, when the print layer 40 is formed below the reflective beads 22a as in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inted image at a long distance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반사 비드(22a) 상에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로 형성하는 경우, 오픈 타입의 구조로 되어 높은 반사 휘도를 갖는다. 즉, 반사 시트(100)의 표면이 광 입사 방향으로 돌출된 반사 비드(22a)의 형태, 보다 구체적으로 잉크 정착층(30), 인쇄층(40) 및 투명 보호층(50)이 비드 형태로 되어 높은 반사 휘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잉크 정착층(30)에 의해 잉크가 양호하게 안착되어 뚜렷한 이미지가 구현되고, 이와 함께 인쇄층(40)은 반사 비드(22a)의 상부에 위치되어 원거리에서도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하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rface bending structure 100a or 100b is formed on the reflective bead 22a as described above, it has an open type structure and has a high reflection luminance. More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reflective beads 22a in which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sheet 100 protrudes in the light incidenc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ink fixing layer 30, the print layer 4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n the form of beads Thereby maintaining a high reflection luminance. The ink fountain layer 30 is well seated with ink to provide a clear image, and at the same time, the print layer 4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flective beads 22a and is excellent in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rinted image even at a long distance.

이때,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를 통해 높은 반사 휘도를 도모할 수 있도록, 반사 필름(20)의 전체 표면 상에서 균일한 두께(T)를 가지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반사 필름(20)의 상부에 형성되되,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를 갖도록 반사 필름(20)의 표면을 따라 균일한 두께(T)(T30)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k fixing layer 3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flection film 20 to have a uniform thickness T (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flection film 20 so as to achieve high reflection brightness through the surface curved structures 100a, 100b. ). 2, the ink fixing layer 30 is formed on the reflective film 20 and is uniformly distributed along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so as to have the surface bending structures 100a and 100b. And the thickness T (T30).

또한,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fixing layer 30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

[수학식 1][Equation 1]

T ≤ 1/2HT? 1 / 2H

[위 수학식 1에서, In the above equation (1)

T : 잉크 정착층(30)의 두께(T30)이고, T is a thickness (T30) of the ink fixing layer 30,

H : 반사 필름(20)의 표면에 돌출(노출)된 반사 비드(22a)의 높이이다.]
H: Height of the reflective bead 22a protruded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구체적으로,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0 < T(T30) ≤ 1/2H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T(T30) ≤ 1/3H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반사 비드(22a)의 직경(D)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T)(T30)를 가지는 것이 좋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0 <T (T30) ≤1 / 2H, more preferably 0 <T (T30) ≤1 / 3H in the ink fixing layer 30. The ink fixing layer 30 may vary depending on the diameter D of the reflective beads 22a but may have a thickness T (T30) of less than the micrometer (占 퐉) It is good.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잉크 정착층(30)은 마이크로미터(㎛) 이하로서 30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 300㎛의 두께(T)(T30)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잉크 정착층(30)의 두께(T)(T30)가 0.1㎛ 미만인 경우, 두께가 너무 얇아 인쇄층(40)의 인쇄 시 잉크 정착 특성이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반사 휘도에 의해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다소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300㎛를 초과하는 경우, 두께가 너무 두꺼워 인쇄층(40)과 투명 보호층(50)을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로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함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반사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잉크 정착층(30)은 2.0㎛ ~ 100㎛의 두께(T)(T30)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k fixing layer 30 has a thickness (T) (T30) of 300 mu m or less, more specifically 0.1 mu m to 300 mu m, in a micrometer (mu m) or less. At this time, when the thickness T (T30) of the ink fixing layer 30 is less than 0.1 占 퐉, the thickness is too thin, so that the ink fixing property may not be good at the time of printing the printing layer 40. [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is too thin,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image printed by the reflection brightness may be somewhat lowered. When the thickness exceeds 300 m, the thickness is too thick,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print layer 4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with the surface bending structures 100a and 100b.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is too thick, the reflection brightness may be lower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k fixing layer 30 has a thickness (T) (T30) of 2.0 mu m to 100 mu m.

또한, 상기 인쇄층(40) 및 투명 보호층(50)의 경우에도 위와 같이 균일한 두께(T)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Also, in the case of the print layer 4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T is uniform.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층(40)의 경우에도 반사 필름(20)의 표면 상에서 균일한 두께(T)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층(40)은 잉크 정착층(30)의 전체 표면을 따라 균일한 두께(T)(T40)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인쇄층(40)은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이 좋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print layer 40,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rint film 40 has a uniform thickness T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More specifically, the print layer 4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uniform thickness T (T40) along the entire surface of the ink fixing layer 30. [ The print layer 40 preferably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2).

[수학식 2]&Quot; (2) &quot;

T ≤ 1/2HT? 1 / 2H

[위 수학식 2에서, In the above equation (2)

T : 인쇄층(40)의 두께(T40)이고, T is the thickness (T40) of the printing layer 40,

H : 반사 필름(20)의 표면에 돌출(노출)된 반사 비드(22a)의 높이이다.]
H: Height of the reflective bead 22a protruded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층(40)은 0 < T(T40) ≤ 1/2H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T(T40) ≤ 1/3H인 것이 좋다. 이러한 인쇄층(40)도 반사 비드(22a)의 직경(D)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T)(T40)로서, 예를 들어 300㎛ 이하, 이는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5.0㎛ ~ 300㎛의 두께(T)(T40)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인쇄층(40)의 두께(T)(T40)가 5.0㎛ 미만인 경우, 인쇄 두께가 너무 얇아 이미지 식별이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300㎛를 초과하는 경우, 두께가 너무 두꺼워 투명 보호층(50)을 표면 굴곡 구조(100a)(100b)로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인쇄층(40)은 10.0㎛ ~ 150㎛의 두께(T)(T40)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0 <T (T40) ≤1 / 2H, more preferably 0 <T (T40) ≤1 / 3H in the printing layer 40. Though the thickness of the print layer 40 may vary depending on the diameter D of the reflective beads 22a, the thickness T (T40) of micrometers (占 퐉) or less, for example, (T) (T40) of 5.0 mu m to 300 mu m. At this time, when the thickness (T) (T40) of the print layer 40 is less than 5.0 mu m, the print thickness may be too thin and image identification may not be good. And if it exceeds 300 탆, the thickness is too thick,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with the surface bending structure 100a (100b).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inting layer 40 has a thickness (T) (T40) of 10.0 mu m to 150 mu m.

아울러, 상기 투명 보호층(50)의 경우에도 반사 필름(20)의 표면 상에서 균일한 두께(T)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 보호층(50)은 인쇄층(40)의 표면을 따라 균일한 두께(T)(T50)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투명 보호층(50)은 아래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has a uniform thickness T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s formed with a uniform thickness T (T50) along the surface of the print layer 40. [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preferably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3).

[수학식 3]&Quot; (3) &quot;

T ≤ 1/2HT? 1 / 2H

[위 수학식 3에서, In the above equation (3)

T : 투명 보호층(50)의 두께(T50)이고, T: thickness (T50)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H : 반사 필름(20)의 표면에 돌출(노출)된 반사 비드(22a)의 높이이다.]
H: Height of the reflective bead 22a protruded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20.]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보호층(50)은 0 < T(T50) ≤ 1/2H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T(T50) ≤ 1/3H인 것이 좋다. 이러한 투명 보호층(50)도 반사 비드(22a)의 직경(D)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T)(T50)로서, 예를 들어 300㎛ 이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0.1㎛ ~ 300㎛의 두께(T)(T5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투명 보호층(50)의 두께(T)(T50)가 0.1㎛ 미만인 경우, 두께가 너무 얇아 인쇄층(40)의 보호 기능이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300㎛를 초과하는 경우, 두께가 너무 두꺼워 표면 굴곡 구조(100a)(100b)의 형성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고, 반사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투명 보호층(50)은 2.0㎛ ~ 100㎛의 두께(T)(T50)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s preferably 0 <T (T50) ≤1 / 2H, more preferably 0 <T (T50) ≤1 / 3H. Though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diameter D of the reflective beads 22a, the thickness T (T50) of the micrometer (占 퐉) or less, for example, And may have a thickness (T) (T50) of 0.1 mu m to 300 mu m. At this time, if the thickness T (T50)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is less than 0.1 mu m, the protective layer of the print layer 40 may be insufficient because the thickness is too thin. If it exceeds 300 탆, the thickness is too thick,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orm the surface curved structures 100a and 100b, and the reflection brightness can be lower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has a thickness (T) (T50) of 2.0 mu m to 100 mu 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포체나 고무 등으로 선택된 탄성 기재(80)에 의해 입체적 볼륨감을 가지는데, 이때 상기 탄성 기재(80)는 양호한 볼륨감을 갖게 하도록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탄성 기재(80)는 구체적으로 양호한 볼륨감이 도모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의 전체 두께를 '100'이라 할 때, 전체 두께의 50% ~ 80%를 차지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dimensional volume feeling by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selected as a foam or a rubber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has a thickness .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may have a thickness that occupies 50% to 80% of the entire thickness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100, have.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탄성 기재(80)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고주파 방식이나 고열 프레스 방식을 통해 의류 등의 피착체(P, 도 3 참조)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접착 수지층(90)이 피착체(P)에 열융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2,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resin layer 90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substrate 8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n adherend P (see Fig. 3) such as clothing through a high-frequency system or a high-temperature press system, wherein the adhesive resin layer 90 is adhered to the adherend P And then attached thereto.

상기 접착 수지층(90)은 접착성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 수지층(90)은 천연수지 및 합성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계 및 에폭시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sive resin layer 9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dhesiveness. The adhesive resin layer 90 may include an adhesive selected from a natural resin and a synthetic resin. Specific examples of the adhesive resin layer 90 include a polyvinyl chloride (PVC), a polyolefin, a polyurethane, an acrylic,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And the like.

이때, 상기 접착 수지층(90)은 의류 등의 섬유 제품의 특성과 세탁 후의 원형 유지성 등을 고려한다면, 탄력성(신축성)이 양호한 폴리우레탄계의 핫 멜트(hot melt)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접착 수지층(9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착체(P)에 열융착되어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융착성을 고려한다면 저융점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등과 같은 저융점 수지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hot melt adhesive of a polyurethane type having good elasticity (stretchabil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textile product such as clothes and the circularity after washing. In addition, the adhesive resin layer 90 may be thermally fused to the adherend P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low melting point resin adhesive in consideration of the heat sealing property. For example, a low melting point resin adhesive such as a polyolefin type such as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or ethylene vinyl acetate (EVA) may be used.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접착 수지층(90)의 하부에 형성된 기재 시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se sheet 60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resin layer 9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상기 기재 시트(60)는 접착 수지층(90)을 보호하면서 인쇄층(40) 등의 형성 과정에서 치수 안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갖게 하는 것이면 좋다. 기재 시트(60)는 예를 들어 종이재, 합성수지재 및 섬유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base sheet 60 may be one which protects the adhesive resin layer 90 and ha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imensional stabil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rint layer 40 or the like. The base sheet 60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paper, synthetic resin, and fiber materials.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기재 시트(60)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이미드계 및 아크릴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재 시트(6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P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 시트(60)는 다른 예를 들어 면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및 이들의 혼방 섬유 등으로부터 형성된 직포(woven)나 부직포(non-woven) 등의 섬유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se material sheet 60 may be a synthetic resin film containing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polyester, polyolefin,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polyimide, acrylic,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base sheet 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butylene naphthalate (PBN) (PP), polyurethane (PU), polyvinyl chloride (PVC), polyimide (PI), polycarbonate (PC), polyacrylic (PA), ethylene vinyl acetate A synthetic resin film containing one or more resins selected from the above can be used. As the base sheet 60, a fiber sheet such as a woven or non-woven fabric formed from other fibers such as cotton fibers, polyester fibers, nylon fibers and blend fibers thereof may be used.

또한, 상기 기재 시트(60)는 제품에 적용 시 박리,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피착체(P)에 부착 시, 상기 피착체(P)와 접착 수지층(90)이 열융착되어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기재 시트(60)는 접착 수지층(90)으로부터 박리,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재 시트(60)는 이형성(박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시트(60)의 적어도 한 면은 이형 처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 시트(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62)와, 상기 시트 베이스(62)의 적어도 한 면에 코팅된 이형층(64)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base sheet 60 can be peeled off and removed when applied to a product. Specifically, when adhered to the adherend P as described above, the adherend P and the adhesive resin layer 90 may be thermally fused and adher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base sheet 60 is adhered to the adhesive resin layer 90). &Lt; / RTI &gt; To this end, the base sheet 60 may have releasability (peelability). For example,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sheet 60 may be subjected to a release process. More specifically, the base sheet 60 may include a sheet base 62 and a release layer 64 co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heet base 62, as shown in Fig.

이때, 시트 베이스(6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이재, 합성수지재 및 섬유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층(64)은 접착 수지층(90)에 접착되며, 이는 예를 들어 이형성에서 유리한 실리콘 조성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eet base 62 can be selected from the above-mentioned paper materials, synthetic resin materials, and fiber materials. The release layer 64 is adhered to the adhesive resin layer 90, which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silicone composition advantageous in releasability.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의 단면도와 사용 상태도가 예시되어 있다.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tate of use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고주파나 고열 프레스에 의한 열 가압에 의해 피착체(P)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열 가압에 의해 피착체(P)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접착 수지층(90)의 하부에 형성된 기재 시트(60)는 박리,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재 시트(60)를 박리, 제거한 다음, 상기 접착 수지층(90)을 피착체(P)에 밀착시키고, 상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접착 수지층(90)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피착체(P)와의 접착력을 도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to an adherend P by heat pressing by a high-frequency or high-temperature press. More specifically,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hered to the adherend P by heat pressing.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base sheet 60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adhesive resin layer 90 can be peeled off. After the base sheet 60 is peeled off and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resin layer 9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nd P, and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from above. As a result, the adhesive resin layer 90 is melted by heat to achieve an adhesive force with the adherend P.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입체적 질감을 위한 입체 문양(110)이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입체 문양(1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의 표면, 즉 관찰자가 바라보는 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음각의 입체 문양(110)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입체 문양(110)은 투명 보호층(50)의 상부에서 가압되어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ree-dimensional pattern 110 formed thereon for three-dimensional texture as illustrated in FI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on the surface viewed by the observer. In FIG. 3, a stereoscopic pattern 110 of a negative angle is illustrate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10 is formed by being pressed at the top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상기 입체 문양(110)은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은 형판(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판(200)에는 상기 입체 문양(110)과 대응되는 몰딩(210)을 갖는다. 몰딩(210)이 양각이면 입체 문양(110)은 음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판(200)은 투명 보호층(50)의 상부에 가압 된다. 형판(200)은 투명 보호층(50) 상에 직접 적층되어 가압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10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 template 200 as illustrated in FIG. At this time, the template 200 has a molding 210 corresponding to the stereogram 110. When the molding 210 is embossed, the solid pattern 110 is formed at an engraved angle. The template 200 is pressed onto the top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The template 200 may be directly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0 and pressed.

위와 같이 형판(200)을 적층 가압하여 입체 문양(11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고주파나 열 공급수단을 통해 형판(200)에 열을 가하면서 입체 문양(110)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인쇄 반사 시트(100)의 말단을 깨끗하게 절단하고 마감을 하기 위해, 상기 형판(200)의 가장자리는 칼날과 같이 날카로운 형태가 될 수 있다.  In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10 by stacking and pressing the template 20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10 while applying heat to the template 200 through high frequency or heat supply means. Further, in order to cleanly cut the end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nd finish the edge, the edge of the template 200 may be sharp like a bla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각 또는 음각의 입체 문양(110)은 탄성 기재(80)에 의해 더욱 우수한 입체적 질감을 구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기재(80)에 의해 볼륨감을 가지는데, 이때 형판(200)의 가압 시, 탄성 기재(80)가 신축성 있게 수축되어 입체 문양(110)의 질감이 더욱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ssed or embossed embossed pattern 110 implements a more excellent three-dimensional texture by the elastic substrate 80. That is,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olume feeling by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when the template 200 is pressed, the elastic base material 80 is contracted flexibly, The texture of the metal sheet 110 is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 이외에,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별도의 기능성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조 방지를 위한 홀로그램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functional layer commonly us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For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 hologram layer for preventing forg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보호와 안전, 보안, 위조방지 및 광고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피착체(P)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착체(P)는 반제품 또는 완제품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의류, 신발, 가방, 인쇄물 및 각종 광고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는 피착체(P)로서 의류(옷)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For example,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otection of the wearer and security, security, anti-counterfeiting and advertising.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rend (P) is not limited. The adherend (P) includes a semi-finished product or an end product, and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clothing, shoes, bags, printed matter, and various advertisements. In Fig. 3, clothes (clothes) are shown as an example of the adherend (P).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쇄 반사 시트(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상기 본 발명의 인쇄 반사 시트(100)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피착체(P)와, 상기 피착체(P)에 부착된 상기 본 발명의 인쇄 반사 시트(100)를 포함한다. 이때, 피착체(P)는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 신발, 가방, 인쇄물 및 각종 광고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피착체(P)는 평판 상의 물체, 예를 들어 인쇄물, 광고용 패널, 의류, 가방 등이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More specifically,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dherend (P) and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dhered to the adherend (P). At this time, the adherend (P) is not limited and may be selected from clothes, shoes, bags, printed matter, various advertisement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adherend P may be a plate-like object, for example, a printed matter, an advertising panel, a garment, a bag, or the like.

또한, 상기 인쇄 반사 시트(100)는 재봉이나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피착체(P)에 부착되거나, 일정한 모양이 만들어진 반사 시트(100)의 가장자리를 피착제(P)의 표면에 재봉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기재(80)의 하부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피착체(P)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 반사 시트(100)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나 고열 프레스 등에 의해 열융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열융착은 예를 들어 탄성 기재(80)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90)을 통해 도모될 수 있다. The printed reflective sheet 100 may be attached to the adherend P by a method such as sewing or bonding or by sewing the edge of the reflective sheet 10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o the surface of the adherend P . For example,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substrate 80. [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may preferably be thermally fused and attached by a high-frequency or high-temperature press as described above. Thermal fusing may be accomplished, for example, through an adhesive resin layer 9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lastic substrate 80.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는, 위와 같은 부착 공정과 입체 문양(110) 형성 공정이 동시에 도모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착체(P) 상에 인쇄 반사 시트(100)를 적층한 다음, 인쇄 반사 시트(100)의 상부에서 형판(200)을 가압함과 동시에 고주파 등의 열을 가하여, 입체 문양(110)의 형성과 접착 수지층(90)을 통한 부착(열융착)이 동시에 도모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attachment process and the stereolithography process. 3,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is laminated on the adherend P, and then the template 200 is pres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nd at the same time, Heat can be applied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10 and the adhesion through the adhesive resin layer 90 (thermal fusion)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높은 반사 휘도를 가지면서 인쇄된 이미지의 식별력이 우수하다. 또한, 탄성 기재(80)에 의해 볼륨감을 가지면서 우수한 입체적 질감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100)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의 식별의 목적 그리고 의류 등의 상품의 가치 향상이나 광고의 목적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discriminating power of a printed image with a high reflection luminance. In addition, an excellent three-dimensional texture is realized with a sense of volume by the elastic substrate 80. Accordingly,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u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ication at night or in a dark place, the improvement of the value of goods such as clothes, and the purpose of advertisement.

10 : 접착층 20 : 반사 필름
22 : 반사 비드층 22a : 반사 비드
24 : 지지층 30 : 잉크 정착층
40 : 인쇄층 50 : 투명 보호층
60 : 기재 시트 80 : 탄성 기재
90 : 접착 수지층 100 : 인쇄 반사 시트
110 : 입체 문양 200 : 형판
D : 반사 비드의 직경 T : 두께
T30 : 잉크 정착층의 두께 T40 : 인쇄층의 두께
T50 : 투명 보호층의 두께 P : 피착체
10: adhesive layer 20: reflective film
22: reflective bead layer 22a: reflective bead
24: support layer 30: ink fixing layer
40: printing layer 50: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60: base sheet 80: elastic base
90: Adhesive resin layer 100: Printed reflective sheet
110: three-dimensional pattern 200: template
D: Diameter of reflective bead T: Thickness
T30: thickness of ink fixing layer T40: thickness of printing layer
T50: thickness of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P:

Claims (15)

광을 반사시키는 인쇄 반사 시트이고,
탄성 기재;
상기 탄성 기재 상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고, 반사 비드가 돌출된 구조로 매입된 반사 필름;
상기 반사 필름 상에 형성되되, 상기 반사 비드가 돌출된 면에 형성된 잉크 정착층;
상기 잉크 정착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 기재는 인쇄 반사 시트 전체 두께에 대해 50% ~ 8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잉크 정착층은 베이스 수지와; 습윤제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잉크 프라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정착층, 인쇄층 및 투명 보호층은 상기 반사 비드의 돌출 구조와 대응되는 굴곡 구조로 형성되어, 광이 입사되는 표면에 돌부와 요부로 구성된 표면 굴곡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잉크 정착층, 인쇄층 및 투명 보호층의 두께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수학식]
T≤ 1/2H
(위 수학식에서,
T: 잉크 정착층의 두께, 인쇄층의 두께 및 투명 보호층의 두께이고,
H: 반사 필름의 표면에 돌출된 반사 비드의 높이이다.)
A printed reflection sheet for reflecting light,
An elastic substrate;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elastic substrate;
A reflective film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embed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reflective beads protrude;
An ink fusing layer formed on the reflective film, the ink fus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where the reflective beads protrude;
A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ink fixing layer; And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printing layer,
The elastic base material has a thickness of 50% to 80%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Wherein the ink fixing layer comprises: a base resin; At least one ink primer selected from a wetting agent and a surfactant,
Wherein the ink fixing layer, the print lay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are formed to have a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reflective beads, and have a surface curved structure composed of protrusions and recesses on the surface on which light is incident,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ink fixing layer, the printing layer,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Mathematical Expression]
T? 1 / 2H
(In the above equation,
T: the thickness of the ink fix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H: Height of the reflective bead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반사 시트는 투명 보호층의 상부에서 가압 형성된 양각 또는 음각의 입체 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is formed with a depressed embossed or engraved steric patter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반사 시트는 탄성 기재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ed reflective shee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resin layer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기재는 합성수지 발포체, 합성수지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폴리염화비닐계 및 고무계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substrat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ynthetic resin foam, a synthetic resin elastomer, a silicone, a polyvinyl chloride, and a rub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정착층은 0.1㎛ ~ 30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k fixing layer has a thickness of 0.1 占 퐉 to 30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정착층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습윤제 0.05 ~ 30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0.05 ~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k fixing layer comprises 0.05 to 30 parts by weight of a wetting agent and 0.05 to 20 parts by weight of a surfacta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PU), 멜라민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비닐알콜(PVA) 및 아크릴(acrylic) 수지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e resin comprises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a silicone resin, a polyurethane (PU), a melamine resin, a polyvinyl chloride (PVC), a polyvinyl alcohol (PVA), and an acrylic resi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층은 실리콘 수지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resin and polyureth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층은 투명 수지와 방수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comprises a transparent resin and a waterproofing ag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UV 옵셋 인쇄, UV 그라비아 인쇄, UV 씨링 인쇄, 스크린 인쇄, 실사출력, 인쇄된 이미지의 승화 또는 전사의 방법을 통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 layer is formed by a method of UV offset printing, UV gravure printing, UV shearing printing, screen printing, actual output, sublimation or transfer of printed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필름은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 상에 돌출된 구조로 매입된 반사 비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층에는 백색 안료 및 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ve film comprises a support layer and a reflective bead buried in a protruding structure on the support layer, wherein the support lay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white pigment and a pearl.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반사 시트는 접착 수지층의 하부에 형성된 기재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반사 시트.
13.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to 12,
Wherein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further comprises a base sheet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resin layer.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인쇄 반사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Characterized in that a printed reflection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to 12 is attach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반사 시트는 고주파 또는 고열 프레스에 의해 열융착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inted reflection sheet is thermally fused and attached by a high-frequency or high-temperature press.
KR1020120043932A 2012-04-26 2012-04-26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KR1014700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932A KR101470068B1 (en) 2012-04-26 2012-04-26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PCT/KR2013/003544 WO2013162294A1 (en) 2012-04-26 2013-04-25 Printed reflective sheet manufactured using open-type beads and product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932A KR101470068B1 (en) 2012-04-26 2012-04-26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84A KR20130120784A (en) 2013-11-05
KR101470068B1 true KR101470068B1 (en) 2014-12-10

Family

ID=4948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932A KR101470068B1 (en) 2012-04-26 2012-04-26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0068B1 (en)
WO (1) WO201316229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98B1 (en) 2017-12-05 2019-06-12 주식회사 하이코 Fabric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an embossed coating layer is formed and fabrics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962B1 (en) * 2014-11-26 2016-11-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Random mosaic identification code
KR20170116290A (en)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잉크테크 Ink Compositions and Method for Ink Printing Using the Same
US11297885B2 (en) 2017-05-21 2022-04-12 Nike, Inc. Reflective articles of wear
US10555565B2 (en) 2017-05-31 2020-02-11 Nike, Inc. Reflective articles of wear
CN218535914U (en) * 2021-11-22 2023-02-28 浙江夜光明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Printed reflective fabric
CN115534430A (en) * 2022-09-29 2022-12-30 苏州金兔纺织科技有限公司 Breathable shading curtain fabric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6971A (en) * 2002-02-14 2003-08-26 Honan Denko Kk Heat reflecting sheet and sewn product thereof
KR200396846Y1 (en) * 2005-07-11 2005-09-27 안희종 Screen for advertisement including real picture
KR100897437B1 (en) * 2007-05-09 2009-05-14 김태일 Multi-function reflection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90091504A (en) * 2008-02-25 2009-08-28 (주)엘지하우시스 Insert molding lamination film having anti reflection coating layer of high hard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8449B2 (en) * 2001-12-13 2008-09-10 株式会社ダイセン工業 Foam molding machine having mounting structure of operation device
WO2009133876A1 (en) * 2008-04-30 2009-11-05 共同印刷株式会社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6971A (en) * 2002-02-14 2003-08-26 Honan Denko Kk Heat reflecting sheet and sewn product thereof
KR200396846Y1 (en) * 2005-07-11 2005-09-27 안희종 Screen for advertisement including real picture
KR100897437B1 (en) * 2007-05-09 2009-05-14 김태일 Multi-function reflection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90091504A (en) * 2008-02-25 2009-08-28 (주)엘지하우시스 Insert molding lamination film having anti reflection coating layer of high hard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98B1 (en) 2017-12-05 2019-06-12 주식회사 하이코 Fabric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an embossed coating layer is formed and fabrics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294A1 (en) 2013-10-31
KR20130120784A (en)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068B1 (en)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KR101417266B1 (en) Reflecting sheet printed using open type beads process
US10845514B2 (en) Retroreflective colored articles
JP5824494B2 (en) Process for reflective products
TWI502226B (en) Protective overlay bearing a graphic and retroreflective articles comprising the overlay, method of mak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and transfer article
JPWO2006109880A1 (en) Retroreflective sheet with printed image
KR101606326B1 (en) Open type color reflective sheet and manufacturing thereof
CN101484307B (en) Heat-transfer label assembly and apparatus for applying heat-transfer labels
US20170205545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bined photoluminescent and retroflective sheet material
KR101450132B1 (en) Color transfer paper for heating transcription using retro reflection film
KR100813322B1 (en) Retro-reflec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0539536A (en)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CN109313293B (en) Anti-counterfeiting reflector pl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40216B1 (en) Reflecting sheet having excellent wrapping property
WO2009091093A1 (en) Retro-reflec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841212B1 (en) Reflective coating sheet color printing method for fiber and printed reflective coating sheet that the same way.
KR101373433B1 (en) Reflecti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76334A (en) Retro-reflec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110027357A (en) Synthetic resin connecting sheet with waterproofed cut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