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870B1 -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 Google Patents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870B1
KR101467870B1 KR1020080033367A KR20080033367A KR101467870B1 KR 101467870 B1 KR101467870 B1 KR 101467870B1 KR 1020080033367 A KR1020080033367 A KR 1020080033367A KR 20080033367 A KR20080033367 A KR 20080033367A KR 101467870 B1 KR101467870 B1 KR 10146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data
image
area
search
com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7859A (en
Inventor
백수곤
이진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870B1/en
Publication of KR2009010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의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에서 검색하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33367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projection dat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first projection data of a first image captured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searching the image and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 panoramic image.

Figure R1020080033367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파노라마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obtaining a panorama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a computer.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플레이백 모드에서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도 한다. 특히 인접한 피사체들의 이미지인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를 결합함으로써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기도 한다.Generally,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stores an image file obtained by a photographing operation in a photographing mode on a storage medium, reproduces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 playback mode, and displays the image on a display unit. Of course, the image file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operation is also reproduced even in the photographing mode. In particular, a panoramic image is generated by acquiring and combin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which are images of adjacent objects.

종래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경우 파노라마 이미지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생성되었다. 즉, 사용자가 제1이미지를 얻은 후 사용자의 감각에 따라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이동하여 제1이미지와 연결될 제2이미지를 얻는 방식이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igital imaging apparatus, the panoramic image was created entirely depending on the user's senses. That is, after the user obtains the first image,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s moved according to the sense of the user to obtain the second imag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imag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경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 상호 관계가 전적으로 사용자의 감각에 의해서만 결정되기 때문에,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결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또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인 제3이미지를 얻을 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가 정확하게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si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determined solely by the sense of the user, a great effort of the user is required in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not correctly interconnected when the third image, which is the panoramic image, is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용이하게 파노라마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obtain a panoramic imag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의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에서 검색하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jection data which minimizes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of the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searching a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apparatus, and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 panoramic ima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일부분에 제1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가 되는 탐색 영역을 설정하는 탐색 영역 설정부, 상기 탐지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투사 데 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영역을 결합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합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n area setting unit for setting a first area in a part of the first image, a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first projection data in the first area, A search are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search area to be compared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a search area searching unit configured to search a second area having second projection data within the detection area with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a combining unit combining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nd display the panorama ima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setting unit may set the first area by a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지 영역 설정부는 상기 탐지 영역을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area setting unit may set the detection area larger than the first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교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비교투사 데이터와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를 비교하며,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상기 제2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unit may set a comparison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area in the search area, extract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and compare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nd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second region having the second projection data with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can be searched f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및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를 정규화하여, 상기 정규화된 제1 투사 데이터와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ing unit may normalize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nd compare the normalized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에서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뺄셈하여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unit may subtract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의 표준 편차를 구하여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unit can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by obtain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제2 투사 데이터, 및 비교 투사 데이터는 이미지의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jection data, the second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may be luminance values of pixels exis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프리뷰 영상의 일부분에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c)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1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e) 상기 제2 이미지의 일부분에 탐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g)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영역을 결합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combin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captured by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o generate a panoramic image, (a) setting a first area in a part of a preview image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b) photographing the first image, (c) extracting first projection data in the first area, , (d) capturing the second image, (e) setting a search area in a portion of the second image, (f) determ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G) combining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nd display the panoramic image,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를 결합하고자 하는 부분에 상기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may set the first area in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to which the second image is to be combi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탐색 영역을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e) may set the search area to be larger than the first are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교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f2) 상기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f3)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단계, (f4) 상기 비교 영역 중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 값을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f) includes the steps of: (f1) setting a comparison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area in the search area, (f2) extracting comparative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f3) comparing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with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f4) comparing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And searching for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3) 단계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및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를 정규화하며, 상기 정규화된 제1 투사 데이터 및 비교 투사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f3),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re normalized, and the normalized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re compa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에서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뺄셈하여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f) subtracts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to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투사 데이터 값의 표준 편차를 구하여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f) may calculat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projection data value to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제2 투사 데이터, 및 비교 투사 데이터는 이미지의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jection data, the second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may be luminance values of pixels exis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Further,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자동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the panoramic image can be obtained automat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는 셔터-릴리즈 버튼(101), 전원 버튼(103), 플래시(105), 보조광(107), 렌즈부(109),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111w), 망원(telephoto)-줌 버튼(111t), 디스플레이부(113), 및 버튼(121)을 구비할 수 있다. 1 and 2, the digital camera 10 includes a shutter-release button 101, a power button 103, a flash 105, an auxiliary light 107, a lens unit 109, a wide angle- A zoom button 111w, a telephoto-zoom button 111t, a display unit 113, and a button 121. The zoom button 111w,

셔터-릴리즈 버튼(101)은 정해진 시간 동안에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미도시)가 빛에 노출될 수 있도록 조리개(미도시) 및 셔터(미도시)를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다. The shutter-release button 101 is provided with a shutter-release button 101 for exposing an image sensor (not shown)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And a shutter (not shown) can be opened and closed.

셔터-릴리즈 버튼(10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13)에 녹색 불이 켜지 것과 같은 일정한 표시를 한다. 제1 셔터-릴리즈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The shutter-release button 101 can generate the first and second image pickup signals by the photographer input. When the first shutter-release signal as the half-shutter signal is inputte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cuses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and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13 performs a constant display such as a green light on the display unit 113 . When the first shutter-release signal is focused and the amount of light is adjusted, a second shutter-release signal as a full shutter signal is input to capture an image.

전원 버튼(10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The power button 103 is input to supply power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o operate.

플래시(10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flash 105 illuminates bright light instantly when taking a picture in a dark place. The flash mode may include automatic flash, forced flash, prohibited flash, red-eye reduction, and slow synchro flash.

보조광(10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The auxiliary light 107 supplies light to the subject so tha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utomatically and quickly catches the focus when the light amount is insufficient or at night.

렌즈부(10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상기 이미지 센서에 영상을 맺히도록 한다. The lens unit 109 receives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causes an image to be formed on the image sensor.

광각-줌 버튼(111w) 또는 망원-줌 버튼(11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11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1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The wide-angle zoom button 111w or the tele-zoom button 111t widens the angle of view or narrows the angle of view depending on the input, in particular, when changing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When the wide angle-zoom button 111w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telephoto-zoom button 111t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increased.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11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 스플레이부(11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The buttons B1 to B14 are provided in the rows and columns of the display unit 113. [ The buttons B1 to B14 provided in the row and column of the display unit 113 are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not shown) or a contact type switch (not shown).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touch sensors are provided on the buttons B1 to B14 to move up / down / left / right while touching the buttons B1 to B7 of the horizontal row or the buttons B8 to B14 of the vertical row, It is possible to select any value (e.g., color or brightness) of the items, or activate a submenu icon included in the main menu icon.

또한 버튼틀(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In addition, the button frames (B1 to B14) are provided with contact switches so that the main menu icon and the sub menu icon can be directly selected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 touch sensor requires a relatively weak touch compared to the contact switch input, but the contact switch input requires a relatively strong touch compared to the touch sensor inpu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113), 사용자 입력부(121), 촬상부(123), 영상 처리부(125), 저장부(12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를 구비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3, the user input unit 121, the image pickup unit 123, 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127,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 [

사용자 입력부(12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에 빛이 노출되도록 셔터 및 조리개를 열리고 닫히게 하는 셔터-릴리즈 버튼(10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0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111w) 및 망원-줌 버튼(111t)과, 문자 또는 메뉴 설정을 위해 키입력부(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1 includes a shutter-release button 101 for opening and closing a shutter and an iris for exposing light to an image sensor such as a CCD or a CMOS for a predetermined time, a power button 103 for inputting power, A wide angle-zoom button 111w and a telephoto-zoom button 111t for widening the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angle of view, a narrow angle of view, and a key input unit 121 for setting a character or a menu.

촬상부(123)는 렌즈부(109),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조리개, 이미지 센서 및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구비할 수 있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 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10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이미지 센서에 빛이 맺히도록 한다. 이때, 조리개는 그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제어부(129)에 의해 제어된다.The image pickup unit 123 may include a lens unit 109, a shutter, an aperture, an image senso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hutter is a mechanism that adjusts the amount of light that is exposed with the aperture. The lens unit 109 receives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causes light to be formed on the image sensor. At this time, the diaphragm adjusts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thereof.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diaphragm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9.

이미지 센서는 렌즈부(109)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에는 CMOS 이미지 센서와 CCD 이미지 센서 등이 있다.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image sensor accumulates the amount of light inputted through the lens unit 109,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Image acquisition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performed by an image sensor that converts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Image sensors us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 a CMOS image sensor and a CCD image sensor. In order to obtain a color image using a CCD image sensor, a color filter is required, and a filter (not shown) called CFA (Color Filter Array) is generally employed. CFA has a regularly arranged structure that passes only light that represents one color per pixel, and it has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The ADC converts the analog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CD into a digital signal.

영상 처리부(125)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CCD 및 CFA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는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여 그 변화되는 온도에 따라 암 전류를 발생하며, 이는 영상신호에 원하지 않는 블랙레벨(Black level)이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25)는 이와 같이 암 전류에 의해 발생된 블랙레벨을 제거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processes the digitally converted image signal so that it can be displayed. The devices used in the CCD and CFA filters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s and generate dark current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changes, which include undesired black levels in the video signal. The image processor 125 can remove the black level generated by the dark current as described above.

영상 처리부(125)는 또한 감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간의 시각은 베버 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고 한다. 영상 처리부(125)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 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 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 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may also perform gamma correction. Because human vision responds nonlinearly to brightness in accordance with Weber's law, when the bit depth is limite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is recorded linearly, Lt; / RTI > Therefore, in order to show the maximum picture quality at a given bit depth, it is necessary to encode using a non-linea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encod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nonlinearity of human vision is referred to as gamma correction. For example, the input brightness level of the 12-bit video signal may be corrected to an 8-bit brightness level, and the corrected input video signal may be output.

영상 처리부(12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5)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 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performs CFA interpolation for interpolating a Bayer pattern embodied with RGAG lines and GBGB lines of gamma-corrected predetermined data into RGB lines. The CFA interpol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first reconstructs the G channel in the pixels having only the R or B channel values, then fills empty values in the order of the B channel, the R channel, or the R channel and the B channel, , B Three channels can be restored.

영상 처리부(12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converts the interpolated RGB signals into YUV signals, edge-compensates the Y signals by filtering the Y signals by a high-pass filter, and calculates the color values of the U and V signals using a standard color coordinate system Correcting color correction is performed, and noise of these can be removed.

영상 처리부(12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Exif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Exif 파일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고, 저장부(12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12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compresses and processes the Y, U, and V signals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to generate an Exif file, and the generated Exif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7 . All the operation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 [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의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에서 검색하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영역 설정부(129-1), 데이터 추출부(129-2), 탐색 영역 설정부(129-3), 검색부(129-4), 합성부(129-5), 및 제어부(129-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 outputs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of the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o the second image And combine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 panoramic image. To this e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 includes an area setting unit 129-1, a data extracting unit 129-2, a search area setting unit 129-3, a searching unit 129-4, a combining unit 129- 5, and a control unit 129-6.

영역 설정부(129-1)는 제어부(129-6)의 제어하에 제1 이미지에서 제2 이미지를 결합하고자 하는 부분에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 먼저 촬영한 제1 이미지에 나중에 촬영한 제2 이미지를 결합하게 되는데 제2 이미지는 제1 이미지의 왼쪽 부분에 또는 오른쪽 부분에 맞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미지는 제1 이미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맞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촬영된 제1 이미지에서 다음 촬영될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의 어느 부분에 결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부분에 맞게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역 설정부(129-1)는 제1 이미지에서 제2 이미지가 결합되는 부분인 제1 영역을 설정한다. 제1 영역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결합하는데 기준이 되는 곳이다. The area setting unit 129-1 may set the first area in the portion to which the second image is to be combined in the first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9-6. In detail, when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re combined to generate a panoramic image, a first image captured first is combined with a second image captured later.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left part of the first image or on the right side Can be combined to fit the part. In addition, the second image may be fitt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first image.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the panoramic image, it is necessary to first determine to which part of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to be photographed next is to be combined in the photographed first image, and photograph the second image to fit the part. The area setting unit 129-1 sets a first area that is a part where the second image is combined in the first image. The first area is wher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combined.

영역 설정부(129-1)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촬영 전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되는 프리뷰 영상을 보면 서 앞으로 촬영될 제1 이미지의 어느 부분에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만들지를 결정하고 버튼부(B1~14)를 조작하여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영역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역(202)은 제1 이미지(201)의 오른쪽 부분에 설정되어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는 제1 영역(202)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제2 이미지가 결합되어 생성된다. 그러나, 제1 이미지(201)의 오른쪽이 아닌 왼쪽, 상부, 또는 하부에 제2 이미지를 결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제1 영역을 제1 이미지의 왼쪽, 상부, 또는 하부에 설정할 수 있다. 프리뷰 영상에는 제1 영역 설정을 위한 윈도우가 영역 설정부(129-1)의 제어하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보면서 버튼부(B1~14)를 조작하여 제1 영역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촬영 전 프리뷰 영상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제1 이미지 촬영 후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제1 이미지와 제1 영역 설정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보면서 버튼부(B1~14)를 조작하여 제1 영역 설정을 위한 윈도우를 움직일 수 있다. The area setting unit 129-1 can set the first area by the user. That is, before the first image capturing, the user views the preview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determines which portion of the first image to be photographed is to be combined with the second image to form a panoramic image, 14 can be operated to determine the first area. 4 shows a first image in which a first area is set.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region 202 is set in the right portion of the first image 201. [ The panoramic imag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second image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area 202. [ However, if it is desired to join the second image to the left, upper, or lower side of the first image 201, the first region may be set to the left,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rst image. The window for setting the first area can be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area setting unit 129-1 and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area by operating the button units B1 to 14 while viewing the preview window . The first region may be determined in the preview image before the first image capturing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determined after the first image capturing. That is, the first image and the window for setting the first area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units B1 to 14 while viewing the display unit 113, You can move the window for.

데이터 추출부(129-2)는 제어부(129-6)의 제어하에 제1 영역에서 제1 투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투사 데이터는 제1 영역에 존재하는 픽셀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YCbCr 포맷으로 저장된다. 이미지는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픽셀은 Y(휘도값), Cb, Cr(색상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제1 투사 데이터는 제1 이미지 내에서 설정된 제1 영역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이 가로로 50개의 픽셀을 가지며 세로로 100개 픽셀을 갖는 직사각형의 영역인 경우 제1 투사 데이터는 각각의 성분이 각각의 픽셀의 휘도값인 50x100 매트릭스 데이터이다. The data extraction unit 129-2 can extract the first projection data in the first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9-6. The first projection data is data representing a luminance value of a pixel existing in the first area. That is, in general, an image taken by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s stored in a YCbCr format. The image has a plurality of pixels, and each pixel has Y (luminance value), Cb, and Cr (color information). The first projection data is data representing a luminance value of pixels existing in the first area set in the first imag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first area is a rectangular area having 50 pixels horizontally and 100 pixels vertically, the first projection data is 50x100 matrix data in which each component is the luminance value of each pixel.

탐색 영역 설정부(129-3)는 제어부(129-6)의 제어하에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가 되는 제2 이미지 내의 일부분인 탐색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탐색 영역은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가 되는 제2 이미지의 일부분이다. 제1 영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영역을 제2 이미지에서 검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하에 설명하는 검색부(129-4)에 의해 제1 영역의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되는 투사 데이터를 제2 이미지에서 찾게 된다. 탐색 영역 설정부(129-3)는 제2 이미지의 일부분을 탐색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검색부(129-4)는 제2 이미지 전체를 제1 영역과 비교되는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탐색 영역만을 제1 영역과 비교되는 대상으로 삼는다. 제2 이미지 일부분인 탐색 영역만을 검색하게 되므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중첩되는 영역을 찾는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The search area setting section 129-3 can set a search area that is a part of the second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129-6. The search area is a part of the second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The same or similar area as the first area is searched in the second image. In this case, the searching unit 129-4 described below searches the second image for the projection data to be compared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of the first area do. The search area setting unit 129-3 sets a part of the second image as the search area so that the search unit 129-4 does not make the entire second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first area, It is compared with the domai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search for a region wher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overlap with each other, since only the search region which is a part of the second image is searched.

탐색 영역 설정부(129-3)는 탐지 영역을 제1 영역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탐지 영역을 제1 영역보다 작게 설정하는 경우 제1 영역의 투사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5는 제2 이미지(301)에서 탐지 영역(302)이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교 영역(303)은 제1 영역(도 4의 202)과 비교되는 영역으로 제1 영역(202)과 크기가 동일하다. 탐색 영역(302)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 영역(303) 보다 크게 설정된다. The search area setting unit 129-3 can set the detection area larger than the first area.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mpare the detection area with the projection data of the first area when the detection area is set smaller than the first area. Fig. 5 is an image showing that the detection area 302 is set in the second image 301. Fig. Referring to FIG. 5, the comparison area 303 is the same size as the first area 202 compared to the first area 202 (FIG. 4). The search area 302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comparison area 303 as shown in FIG.

검색부(129-4)는 제어부(129-6)의 제어하에 상기 탐지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즉, 검색부(129-4)는 제2 이미지의 탐지 영역 내에서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과 크기가 동일한 비교 영역을 설정해 가면서 상기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와 제1 투사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비교 데이터를 갖는 비교 영역을 찾는다. 비교 투사 데이터는 비교 영역의 투사 데이터이다. 탐색 영역 내에는 복수 개의 비교 영역이 설정가능하므로 비교 투사 데이터는 복수 개가 존재한다. 제2 투사 데이터는 복수 개의 비교 투사 데이터 중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비교 투사 데이터이다. The retrieving unit 129-4 can search the second area having the second projection data within the detection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9-6 with the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That is, the search unit 129-4 compares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while setting the comparison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mage in the detection area of the second image, 1 < / RTI > comparison data having the minimum difference from the projection data.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is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Since a plurality of comparison areas can be set in the search area, there are a plurality of comparative projection data. The second projection data is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in which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among the plurality of comparison projection data is minimized.

투사 데이터(제1 투사 데이터, 제2 투사 데이터, 비교 투사 데이터)는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므로 어느 두 영역의 투사 데이터의 차이가 없다면 상기 두 영역은 상기 두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며, 상기 두 영역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부(129-4)는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교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와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를 비교하며,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부(129-4)는 제1 영역의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의 차이를 구하게 되는데,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 투사 데이터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제1 영역과 비교 영역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왜곡이나 각종 노이즈로 인하여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휘도값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검 색부(129-4)는 제1 투사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나 그 차이가 최소가 되는 비교 투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으며, 투사 데이터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영역은 서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projection data (first projection data, second projection data, and comparative projection data) are data representing the luminance values of the pixels existing in the predetermined area,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projection data of the two areas,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values of the existing pixels are the same, and the two areas can be regarded as matching. More specifically, the search unit 129-4 sets a comparison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area in the search area, extracts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difference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o search the second area having the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The search unit 129-4 obt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data of the first are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It can be seen that it matches. However, since the 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not be the same due to lens distortion or various kinds of noise, the search unit 129-4 may compare the first projection data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regions where the difference of the projection data is minimum can be regarded as coinciding with each other.

검색부(129-4)는 제1 투사 데이터 값에서 상기 투사 데이터 값을 뺄셈하여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The retrieving unit 129-4 can subtract the projection data valu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retrieve the second projection data with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또한 검색부(129-4)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투사 데이터 값의 표준 편차를 구하여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Also, the search unit 129-4 can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by obtain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projection data value.

검색부(129-4)는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비교함에 있어서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비교 투사 데이터 값 각각 정규화하여 이들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제1 투사 데이터의 정규화는 제1 이미지에서 가장 밝은 픽셀의 휘도값으로 제1 영역 내의 픽셀들의 휘도값을 나누는 것이며, 비교 투사 데이터의 정규화는 제2 이미지에서 가장 밝은 픽셀의 휘도값으로 비교 영역 내의 픽셀들의 휘도값을 나누는 것이다.The searching unit 129-4 may compare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with each other by normalizing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respectively. The normalization of the first projection data is to divide the luminance value of the pixels in the first area by the luminance value of the brightest pixel in the first image and the normalization of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is performed by using the luminance value of the brightest pixel in the second image, It divides the luminance values of the pixels.

도 5를 참조하면, 검색부(129-4)는 탐지 영역(302) 내에서 비교 영역(303)을 설정해 가면서 비교 영역(303) 내의 비교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와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를 구한다. 검색부(129-4)는 탐지 영역 내의 비교 영역들 중 제1 영역의 제1 투사 데이터 값과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갖는 비교 영역(303)을 검색한다. 5, the search unit 129-4 extracts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in the comparison area 303 while setting the comparison area 303 in the detection area 302, Obtain the difference from the data. The retrieval unit 129-4 retrieves the comparison area 303 having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value that minimizes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of the first one of the comparison areas in the detection area.

합성부(129-5)는 제어부(129-6)의 제어하에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과 제2 이미지의 제2 영역을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13)에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부(129-4)에 의해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검색된 제2 이미지의 제2 영역을 합성부(129-5)에서는 결합한다. 도 6은 제1 이미지(201)와 제2 이미지(301)가 결합된 파노라마 이미지(401)를 나타낸다. 제1 영역(202)와 제2 영역(303)이 일치하므로 합성부(129-5)는 이들 영역이 겹치도록 제1 이미지(201)와 제2 이미지(301)를 결합한다. 제1 이미지(201)와 제 2 이미지(301)에서 이미지의 크기가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합성부(129-5)에 의해 제거된다. 즉,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201)의 제1 영역(202)의 하부(A1)와 제1 이미지(201)에서 제1 영역(202)을 포함한 오른쪽 부분(A2)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미지(301)에서 제2 영역(303)의 상부(B1), 하부(B2), 및 왼쪽 부분(B3)을 제거할 수 있다. 합성부(129-5)는 이와 같이 크기가 맞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여 제1 이미지(201)와 제2 이미지(301)를 결합함으로써 가로 세로가 균일한 파노라마 이미지(401)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mbining unit 129-5 combines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imag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9-6 to generate a panoramic image and displays the panoramic image on the display unit 113 Can be displayed.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image, which is searched by the searching unit 129-4 to match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image, is combined in the combining unit 129-5. 6 shows a panoramic image 401 in which a first image 201 and a second image 301 are combined. Since the first area 202 and the second area 303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ombining unit 129-5 combines the first image 201 and the second image 301 so that these areas overlap. The portion of the first image 201 and the second image 301 that does not match the size of the image is removed by the combining unit 129-5. 4 and 5, the lower portion A1 of the first region 202 of the first image 201 and the right portion A2 of the first image 201, including the first region 202, Can be removed.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B1, the lower portion B2, and the left portion B3 of the second region 303 in the second image 301 can be removed. The combining unit 129-5 may generate the panoramic image 401 having uniform horizontal and vertical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201 and the second image 301 by removing the portion that does not fit.

종래에 파노라마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촬영된 제1 이미지의 일부를 제2 이미지 촬영 전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제1 이미지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제2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즉, 제1 이미지는 제2 이미지 촬영을 위한 단순한 가이드 역할만을 하였으며, 사용자는 제2 이미지 촬영시 제1 이미지 일부분과 일치되도록 하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1 이미지와 중첩되게 제2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면 제1 이미지의 투사 데 이터와 제2 이미지의 투사 데이터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중첩되는 부분을 검색함으로써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한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create a panoramic image, a part of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before the second image photographing, and the user photographs the second image so as to overlap with a part of the displayed first image. That is, the first image only served as a simple guide for the second image capture, and the user made a considerable effort to match the first image portion during the second image captur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hotographs the second image so as to overlap with the first image, the projection data of the first image and the projection data of the second imag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 panoramic image is generated by searching for overlapping portions.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촬영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Next, a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ain algorithm of the operation method i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 ). ≪ / RTI >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파노라마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101), 프리뷰 영상에서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2),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103), 제1 영역의 제1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04),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105), 제2 이미지에서 탐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6), 탐색 영역에서 제1 투사 데이터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S106), 및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S107)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7,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lecting a panorama mode (S101), setting a first area in a preview image (S102), photographing a first image (S103), a step S104 of extracting the first projection data of the first area, a step S105 of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a step S106 of setting a search area in the second image, (S106) of searching for a second area having the projection data and the second projection data to be minimum, and combining and combin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 generate and display the panorama image (step S107).

먼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파노라마 모드가 선택된다(S101).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파노라마 모드가 포함된 메뉴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버튼부(B1~14)를 조작하여 파노라마 모드를 선택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의 제어에 의해 파노라마 모드가 설정된다. First, the panorama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user (S101). A menu including the panoramic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When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units B1 to 14 to select the panoramic mode, the panoramic mode is set by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 [

이어,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되는 프리뷰 영상의 일부분에 제1 영역을 설 정한다(S102). 제1 영역은 제2 이미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제1 이미지 상부에 제2 이미지를 결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제1 이미지의 상부에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를 결합하고자하는 제1 이미지의 부분에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영역 설정부(129-1)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촬영 전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되는 프리뷰 영상을 보면서 앞으로 촬영될 제1 이미지의 어느 부분에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만들지를 결정하고 버튼부(B1~14)를 조작하여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Next, a first area is set as a part of the preview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S102). The first region may be a portion to which the second image is combined. If it is desired to combine the second image on the first image, a first region may be set on top of the first image, It is possible to set the first area. The area setting unit 129-1 can set the first area by the user. In other words, before shooting the first image, the user checks the preview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determines which portion of the first image to be photographed is to be combined with the second image to make a panoramic image, ) Can be operated to determine the first area.

다음으로, 제1 이미지를 촬영한다(S103).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고자하는 경우에는 셔터-릴리즈 버튼(101)을 누름으로써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의 제어하에 제1 이미지가 촬영된다. Next, the first image is photographed (S103). When the user wants to obtain a desired image, a shutter-release signal is input by depressing the shutter-release button 101 and the first image is captured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 [

다음으로, 데이터 추출부(129-2)는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에서 제1 투사 데이터를 추출한다(S104). 제1 투사 데이터는 제1 영역에 존재하는 픽셀의 휘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추출부(129-2)는 제1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을 추출한다. Next, the data extracting unit 129-2 extracts the first projection data in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mage (S104). The first projection data is data representing a luminance value of a pixel existing in the first area. The data extracting unit 129-2 extracts a luminance value of pixels existing in the first area.

이후, 제2 이미지를 촬영한다(S105). 제2 이미지는 제1 이미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촬영한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일치하는 부분을 검색하므로 사용자는 제1 이미지의 일부분이 겹칠 수 있도록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으로 족하다. Thereafter, the second image is photographed (S105). The second image is photographed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arches for a matching portion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o that the user may take a second image so that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overlaps.

다음으로, 탐색 영역 설정부(129-3)는 제2 이미지에서 탐색 영역을 설정한다(S106). 탐색 영역은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가 되는 제2 이미지의 일부분으로 서, 탐색 영역의 크기는 제1 영역보다 크게 설정한다. Next, the search area setting unit 129-3 sets the search area in the second image (S106). The search area is a part of the second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size of the search area is set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area.

다음으로, 검색부(129-4)는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한다(S106). 상세하게는, 검색부(129-4)는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교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영역 중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데이터 값을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한다. Next, the searching unit 129-4 searches the second area having the second projection data with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in the search area (S106). More specifically, the search unit 129-4 sets a comparison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area in the search area, extracts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Compares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values and searches for a second area having a data value that minimizes a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in the comparison area.

검색부(129-4)는 제1 투사 데이터 및 투사 데이터를 정규화하며, 상기 정규화된 제1 투사 데이터 및 투사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The search unit 129-4 may normalize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projection data, and may compare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projection data.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에는 제1 투사 데이터 값에서 투사 데이터 값을 뺄셈하는 방법과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투사 데이터 값의 표준 편차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 A method of subtracting the projection data valu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a method of obtain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projection data value are described in the method of searching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have.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부(127)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 체를 포함한다. The program for causing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storage unit 127 as shown in FIG. 2, or may be a separat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Digital Versatile Disc) .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not be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rather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2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4는 제1 이미지에 제1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이다. 4 is an image in which the first area is displayed in the first image.

도 5는 제2 이미지에 탐색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이다.5 is an image in which the search area is displayed in the second image.

도 6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결합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나타낸다. 6 shows a panoramic image combined with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01: 셔터-릴리스 버튼100: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1: Shutter-release button

103: 전원 버튼 105: 플래시103: Power button 105: Flash

107: 보조광 109: 렌즈부107: auxiliary light 109: lens part

113: 디스플레이부 121: 사용자 입력부113: display unit 121: user input unit

123: 촬상부 125: 영상 처리부123: image pickup unit 125: image processing unit

129: 디지털 신호 처리부 129-1: 영역 설정부129: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29-1: area setting unit

129-2: 데이터 추출부 129-3: 탐색 영역 설절부129-2: Data extracting unit 129-3: Search area searching unit

129-4; 검색부 129-5: 합성부129-4; Search unit 129-5:

129-6: 제어부129-6:

Claims (18)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panoramic image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aken from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Where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comprises: 상기 제1 이미지의 일부분에 제1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An area setting unit setting a first area in a part of the first image; 상기 제1 영역에서 제1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A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first projection data in the first area;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 비교가 되는 탐색 영역을 설정하는 탐색 영역 설정부;A search area setting unit for setting a search area to be compared with the first projection data in the second image;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A search section for searching a second area having second projection data in which a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within the search area becomes minimum; And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영역을 결합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합성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And a combining unit for combining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nd display the panorama im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Wherein the area setting unit can set the first area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탐색 영역 설정부는 상기 탐색 영역을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크게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Wherein the search area setting unit sets the search area to be larger than the first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검색부는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교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비교투사 데이터와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를 비교하며,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상기 제2 영역을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The search unit sets a comparison region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region in the search region, extracts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region,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and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searches for the second area having the second projection data with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및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를 정규화하여, 상기 정규화된 제1 투사 데이터와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를 비교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Wherein the searching unit normalizes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nd compares the normalized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에서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뺄셈하여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Wherein the search unit subtracts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to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with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의 표준 편차를 구하여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Wherein the search unit obtains a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to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제2 투사 데이터, 및 비교 투사 데이터는 이미지의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에 대한 데이터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Wherein the first projection data, the second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re data on a luminance value of pixels exis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image.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결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a panoramic image by combin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taken from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프리뷰 영상의 일부분에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a) setting a first area in a part of a preview image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b)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b) photographing the first image; (c)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1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c) extracting first projection data in the first area; (d)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d) photographing the second image; (e) 상기 제2 이미지의 일부분에 탐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e) setting a search area in a portion of the second image; (f)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제2 투사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f) searching for a second area having second projection data in which a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in the search area is minimized; (g)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영역을 결합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g) combining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nd display the panorama image.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를 결합하고자 하는 부분에 상기 제1 영역을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Wherein the step (a) sets the first area to a portion to which the second image is to be combined in the first image.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e) 단계는 상기 탐색 영역을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크게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Wherein the step (e) sets the search area to be larger than the first area.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f) 단계는,The step (f) (f1) 상기 탐색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교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f1) setting a comparison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area in the search area; (f2) 상기 비교 영역의 비교 투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f2) extracting the comparative projection data of the comparison area; (f3)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f3) comparing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And (f4) 상기 비교 영역 중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 값을 갖는 제2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f4) searching for a second region having the second projection data value in which a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region and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is minimized.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f3) 단계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및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를 정규화하며, 상기 정규화된 제1 투사 데이터 및 비교 투사 데이터를 비교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Wherein the step (f3) normalizes the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nd compares the normalized first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f3) 단계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에서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을 뺄셈하여 상기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Wherein the step (f3) subtracts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to search for the second projection data having a minimum difference from the first projection data.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f3) 단계는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값과 상기 비교 투사 데이터 값의 표준 편차를 구하여 제1 투사 데이터와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상기 제2 투사 데이터를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Wherein the step (f3) searches the second projection data for which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first projection data is minimized by obtaining a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projection data value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value.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1 투사 데이터, 제2 투사 데이터, 및 비교 투사 데이터는 이미지의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휘도값에 대한 데이터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Wherein the first projection data, the second projection data, and the comparison projection data are data on a luminance value of pixels exis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an image.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0 to 17.
KR1020080033367A 2008-04-10 2008-04-1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KR101467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367A KR101467870B1 (en) 2008-04-10 2008-04-1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367A KR101467870B1 (en) 2008-04-10 2008-04-1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859A KR20090107859A (en) 2009-10-14
KR101467870B1 true KR101467870B1 (en) 2014-12-02

Family

ID=4155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367A KR101467870B1 (en) 2008-04-10 2008-04-1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8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8498B2 (en) 2009-06-09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Control device, camera system and program used in surveillance camera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383A (en) * 2005-06-18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hot of panorama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800660B1 (en) * 2006-09-21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383A (en) * 2005-06-18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hot of panorama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800660B1 (en) * 2006-09-21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859A (en)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an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913837B1 (en) Method for providing Panoramic image and imaging device thereof
KR200900867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20080101277A (en) Digiatal image process apparatus for displaying histogram and method thereof
KR201000429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face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68988B1 (en)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composition guide func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16136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101467870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KR101396355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iplaying slideshow of a number of continuous captured image and thereof method
KR1014219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using face detection function
KR101445610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KR101445608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KR101336239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being capblie of chaning auto focus area in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KR200901053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178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by face detec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113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ing image in digital image device
KR1014426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1014276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ace detection processing spee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178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1014368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200900269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ring images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113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capable of memo image addition
KR200900300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1014276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huma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469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when the image is speedly captu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