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148B1 -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148B1
KR101465148B1 KR1020140021338A KR20140021338A KR101465148B1 KR 101465148 B1 KR101465148 B1 KR 101465148B1 KR 1020140021338 A KR1020140021338 A KR 1020140021338A KR 20140021338 A KR20140021338 A KR 20140021338A KR 101465148 B1 KR101465148 B1 KR 10146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unit
moving picture
changed
output value
pictur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9808A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10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8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는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참조횟수 측정부;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출력 변경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 decoding moving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The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oving picture data is inputted, the apparatus for coding the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inputting the moving picture data, Measuring unit; And an output changing unit for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reference frequency.

Description

동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0001] APPARATUS FOR ENCODING / 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I 또는 P 프레임의 부호화 과정에서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B프레임 또는 P 프레임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참조되는 횟수가 적은 코딩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거나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 내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 decoding a moving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 decoding a moving image, The output value is changed to an arbitrary value or the output value of a coding unit in a B frame not referring to an I or P frame is changed to an arbitrary value.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영상 자체의 특성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량이 크기 늘어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되기보다는 효율적인 압축 방법에 의해 압축된다.Generally, the digital image data is compressed by an efficient compression method, rather than being used as it is because the amount of data i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digit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d the analog signal itself.

이러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시간적인 중복성을 줄이는 방식, 2)공간적인 중복성을 줄이는 방식, 3)발생 부호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줄이는 방식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Such a method of compressing digital image data can be divided into three methods, for example, 1) a method of reducing temporal redundancy, 2) a method of reducing spatial redundancy, and 3) a method of reducing us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generated codes And so on.

이러한 압축 방식들 중에서 시간적인 중복성을 줄이는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움직임 추정 및 보상 방법으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264 등 대부분의 동영상 압축 표준안에서 사용되고 있다.Of these compression methods, a typical method for reducing temporal redundancy is used in most moving picture compression standards such as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and H.264 as a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method.

압축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복호화된 신호의 화질이 향상되고 있으며,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를 다시 재부호화하는 경우 불법 복사의 방지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pression technology, the quality of the decoded signal is improved. In the case of re-encoding the signal in an unacceptable situation, prevention of illegal copying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 또는 P 프레임의 부호화 과정에서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B프레임 또는 P 프레임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참조되는 횟수가 적은 코딩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number of reference frames in a B frame or a P frame for each coding unit in a frame in an I or P frame encoding process, And a method for encoding / decoding a moving picture that changes the output value of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to an arbitrary valu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 내 코딩 단위를 임의로 추출하여 출력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 decoding a moving picture that arbitrarily extracts a coding unit in a B frame not referring to an I or P frame and changes the output valu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는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참조횟수 측정부; 및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출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ing: A reference cou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reference count referenced by the reference count; And an output changing unit for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count.

바람직하게, 상기 참조횟수 측정부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B 프레임들이나 P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상기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ference frequency measuring unit measures the reference frequency referred to by different B frames or P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 변경부는 연속 프레임에 의해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put changing unit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referred to by the consecutive frames and randomly changes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reference number.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 변경부는 동일 위치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put changing unit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the reference is referred to at the same position, and randomly changes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reference number.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 변경부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의 코딩 단위 출력값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그 출력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put changing unit randomly selects a coding unit output value of a B frame which does not refer to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and changes the output value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 변경부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put changing unit selects a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is selected.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는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복호화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크기를 갖는 블록 단위의 출력값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추출한 상기 블록 단위의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출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coding moving picture data, the apparatus including: a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received moving picture data upon receiving the encoded moving picture data; And an output changing unit for randomly extracting output values of block unit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decoded moving image data and randomly changing output values of the block units extracted.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 변경부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블록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블록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put changing unit selects a position in a unit of a block which is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a block unit to be changed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when selecting a coding unit to be changed.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은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when the moving picture data is input, a reference number referred to by different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 moving picture data; ; And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count.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B 프레임들이나 P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상기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asuring step measures the number of references referred to by different B frames or P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 moving image data.

바람직하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연속 프레임에 의해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odifying step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referred to by the continuous frame, and randomly changes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reference number.

바람직하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동일 위치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odifying step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the reference is made at the same position, and randomly changes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reference number.

바람직하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의 코딩 단위 출력값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그 출력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hanging step may randomly select a coding unit output value of a B frame not referring to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and change the output value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hanging step selects a position of a coding unit which is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hanged coding unit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when selecting the changed cod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방법은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단계; 및 복호화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크기를 갖는 블록 단위의 출력값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추출한 상기 블록 단위의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coding moving picture data, the method including decoding a received moving picture data upon receiving encoded moving picture data; And randomly extracting the output value of the block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decoded moving image data and randomly changing the extracted output value of the block unit.

바람직하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블록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블록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hanging step selects a position of a block unit which is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lock unit to be changed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when selecting a coding unit to be changed.

이를 통해, 본 발명은 I 또는 P 프레임의 부호화 과정에서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B프레임 또는 P 프레임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참조되는 횟수가 적은 코딩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복호화한 신호를 재부호화하는 경우 화질 열화가 발생하도록 하여 불법 복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in a B frame or a P frame for each coding unit in a frame in the encoding process of an I or P frame, and changes the output value of the coding unit in which the measured reference frequency is small to an arbitrary value Thus, when the decoded signal is re-encoded, image quality deterioration is caused to prevent illegal copying.

또한, 본 발명은 각 코딩 단위별로 B프레임 또는 P 프레임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참조되는 횟수가 적은 코딩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는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기존 알고리즘에 적용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referred to in a B frame or a P frame for each coding unit and changing the output value of the coding unit in which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is small, to an arbitrary value.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별 참조 횟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단위별 참조 횟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연속하는 프레임에서 동일한 코딩단위를 참조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연속하지 않는 프레임에서 동일한 코딩단위를 참조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같은 위치에서 동일한 코딩 단위를 참조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위치에서 동일한 코딩 단위를 참조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showing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by 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umber of references per co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ecoding moving pi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ferring to the same coding unit in successive frames.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ame coding unit is referred to in non-continuous frames.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ferring to the same coding unit at the same position.
10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of referring to the same coding unit at another posi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 de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ortion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hereto even though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does not mean that the different components have the same function.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example.

특히, 본 발명에서는 I 또는 P 프레임의 부호화 과정에서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B프레임 또는 P 프레임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참조 횟수에 따라 각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변경하여 해당 압축 신호를 재부호화하는 경우 현저한 화질 열화를 발생시켜 불법 복사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in a B frame or a P frame is measured for each coding unit in an I or P frame, and the output value is changed for each coding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reference number,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can prevent illegal copying by generating significant image quality degradation when re - encod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I 또는 P 프레임뿐 아니라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 내 코딩 단위를 임의로 추출하여 추출된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extract a coding unit in a B frame not referring to an I or P frame, and to change an output value of the extracted coding unit.

이때, 동영상 부호화에 있어서, 기존의 MPEG2, H.264, H.265 등과 같은 대부분의 동영상 코덱 표준에서는 코딩 단위(Coding Unit; CU)로 부호화가 이루어 지며, 이러한 코딩 단위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사각형 모양으로 정의될 수 있다.At this time, most of the moving picture codec standards such as MPEG2, H.264, H.265 and the like in the moving image coding are coded by a coding unit (CU), and these coding units are generally rectangular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는 영상 입력부(110), 부호화부(120), 참조횟수 측정부(130), 출력 변경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10, an encoding unit 120, a reference count measuring unit 130, an output changing unit 140, and the like. .

영상 입력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video input unit 110 may receive video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부호화부(120)는 입력 받은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코딩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The encoding unit 120 may encode the input moving image data using a predetermined coding standard method.

참조횟수 측정부(130)는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GOP(Group Of Picture) 단위로 코딩하기 위해 각 GOP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프레임들 즉, I 프레임(Infra Frame), B 프레임(Bidirectional Frame), P 프레임(Predicted Frame) 중 I 또는 P 프레임 내 코딩 단위별로 B 프레임이나 P 프레임으로부터의 참조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In order to code the encoded moving picture data on a GOP (Group Of Picture) basis, the reference count measuring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that is, an I frame (Infra Frame), a B frame (Bidirectional Fram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number of references from the B frame or the P frame for each coding unit in the I or P frame among the Predicted Frame.

즉, 참조횟수 측정부(130)는 입력 받은 동영상 데이터를 GOP 단위로 코딩하기 위해 다수 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GOP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GOP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프레임들 중 I 또는 P 프레임 내 코딩 단위별로 참조 횟수를 측정하게 된다.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입력 받은 동영상에 대하여 1차 부호화 과정을 진행한 후, I 및 P 프레임의 각 코딩 단위에 대한 참조 횟수를 측정함으로 수행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code the input moving picture data in units of GOPs, the reference number measuring unit 130 classifies the reference moving picture data into GOP unit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I or P frames The reference count is measured for each coding unit. The method of measuring the reference frequency can be performed by performing a primary coding process on the input moving image and then measuring the reference frequency for each coding unit of the I and P frames.

이러한 하나의 GOP는 다수의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12 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경우 I, B, B, P, B, B, P, B, B, P, B, B 등의 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I 프레임들 사이에 P 프레임들이 들어가고, I 프레임과 P 프레임들 사이에 B 프레임들이 들어가게 된다.The GOP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For example, the GOP may include I, B, B, P, B, B, P, B, B, P, . ≪ / RTI > That is, P frames are inserted between I frames, and B frames are inserted between I frames and P frames.

여기서, I 프레임은 다른 이미지들의 참조 없이 스스로 압축과 복원이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그리고 P 프레임은 이전의 I 프레임 정보와 이전의 P 프레임의 정보를 이용하여 압축과 복원이 이루어지며, B 프레임은 이전, 이후의 I 프레임과 P 프레임 모두를 사용하여 압축과 복원이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나타낸다.Here, the I frame represents data that is compressed and restored by itself without reference to other images. The P frame is compressed and restored by using the previous I frame information and the previous P frame information, and the B frame represents data for which compression and restoration are performed using both the previous and subsequent I frame and P frame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별 참조 횟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showing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by 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데이터의 각 픽셀마다 B 프레임이나 P 프레임으로부터의 참조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코덱에서는 참조 영상과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되는데, 특정 픽셀이 참조될 때마다 참조 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reference frequency from the B frame or the P frame can be measured for each pixel of the moving picture data. For example, in a codec, moving picture data is restored using a reference picture and a motion vector, and the reference count is counted every time a specific pixel is referred to.

이처럼 픽셀마다 측정된 참조 횟수는 서로 다른데, (a)는 원래의 동영상 데이터이고 (b)는 동영상 데이터 내 픽셀별 참조 횟수를 표시한 참조 맵(reference map)을 보여주고 있다. 즉, 코딩 단위마다 B 프레임이나 P 프레임으로부터의 참조 횟수가 다를 수 있다.In this way, the reference counts measured for each pixe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which (a) is the original moving picture data and (b) shows the reference map showing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by the pixel in the moving picture data. That is, the reference count from the B frame or the P frame may be different for each coding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단위별 참조 횟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umber of references per co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셀 단위의 맵을 기 설정된 크기의 코딩 단위로 평균할 수 있다. (a)는 코딩 단위 맵이고 (b)는 코딩 단위로 평균한 참조 맵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코딩 단위로 참조되는 것이 아니라, 코딩 단위의 일부 픽셀만 참조된다. 따라서 코딩단위의 참조 횟수를 계산할 때, 실제 참조되는 영역에 가중치를 두어 계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pixel-by-pixel map can be averaged over a coding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a) is a coding unit map and (b) shows a reference map averaged by a coding unit. In general, rather than being referred to as a coding unit, only some pixels of a coding unit are referred to. Therefore, when calculating the reference count of the coding uni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by weighting the actual reference area.

예컨대, 8 x 8 크기의 코딩 단위에서 총 64픽셀들 중 1/4에 해당하는 16픽셀들만 실제 참조에 사용된다면, 해당 코딩 단위를 0.25번 참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For example, if only 16 pixels corresponding to 1/4 of a total of 64 pixels in an 8x8 coding unit are used for actual reference, the corresponding coding unit can be regarded as being referenced 0.25 times.

출력 변경부(140)는 측정된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출력 변경부(130)는 측정된 참조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랜덤하게 임의의 값으로 치환 또는 변경할 수 있다.The output changing unit 140 may change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count. That is, the output changing unit 130 can randomly replace or change the output value of the coding unit in which the measured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여기서, 임의의 값은 0~255의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Here, an arbitrary value can be randomly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0 to 255.

예컨대, 참조회수가 2-3 이하인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전혀 다른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여도 시청자는 거의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다만 체감 화질 변화를 피하기 위하여 변경되는 코딩단위의 위치는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복호화기에서 이러한 일부 코딩 단위의 출력값이 변경된 압축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하게 되면, 이러한 디지털 신호를 다시 부호화하는 경우, 화질 급격히 저하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 방법의 장점은 복호화기와의 협력 없이 불법 복사 방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For example, even if the output value of the coding unit in which the true view count is 2-3 or less is changed to a totally different value, the viewer hardly perceives it.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positions of the changed coding units do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in order to avoid a change in image quality. When the decoder decodes compressed moving picture data whose output values of some of the coding units are changed and converts the decoded moving picture data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he quality of the picture is deteriorated when the digital signal is re-encoded. The advantage of the 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llegal copy protection can be prevented without cooperation with the decoder.

이때, 출력 변경부(140)는 측정된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하나의 GOP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프레임들에서 참조되는 횟수가 적을수록 출력값이 변경되는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changing unit 140 may increase the degree to which the output value is changed as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in other frames constituting one GOP is smaller,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count.

예컨대, 화소 값을 x라 할 때, 참조되는 횟수가 0일 때, x>128이면 0로, x<=128이면 255로 변경되고, 참조되는 횟수가 5일 때, x>128이면 10로, x<=128이면 240으로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ixel value is x, the reference number is changed to 0 when x> 128 and to 255 when x <= 128 when the reference number is 0. When the reference number is 5, x> 128, If x <= 128, it can be changed to 240.

또한, 출력 변경부(140)는 I 또는 P 프레임뿐 아니라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 내 코딩 단위를 임의로 추출하여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변경되는 B 프레임 내 코딩 단위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에 연속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질 열화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changing unit 140 may arbitrarily extract a coding unit in a B frame not referring to an I or P frame as well as an I or P frame to change the output value.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in the B frame thus changed is the same So that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이때, 출력 변경부(140)는 B 프레임 내에서 하나의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임의로 추출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의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changing unit 140 may arbitrarily extract an output value of one coding unit in the B frame, but may optionally extract output values of a plurality of coding units.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4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이하, 부호화 장치라고 한다)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S410).As shown in FIG. 4, an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ncoding apparatus) can receive moving picture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410).

다음으로, 부호화 장치는 입력된 동영상 데이터에 일반적인 코딩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하여, 그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로 각 프레임의 코딩단위 맵을 구할 수 있다(S420).Next, the encoding apparatus performs encoding using the general coding standard method for the input moving image data, and obtains a coding unit map of each fram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encoding (S420).

다음으로,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프레임들 즉, I 프레임, B 프레임, P 프레임 중 I 또는 P 프레임 내 코딩 단위별로 B 프레임이나 P 프레임으로부터의 참조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S430).Next, the encoding apparatus calculates the number of references from the B frame or the P frame per coding unit in the I or P frame among the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encoded moving picture data, that is, the I frame, the B frame, and the P frame (S430).

다음으로, 부호화 장치는 측정된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다(S440). 여기서, 부호화 장치는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하나의 GOP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프레임들에서 참조되는 횟수에 따라 출력값이 변경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부호화 장치는 하나의 GOP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프레임들에서 참조되는 횟수가 적을수록 출력값이 변경되는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Next, the encoding apparatus can change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number (S440). Here, the encoding apparatus can adjust the degree to which the output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in the other frames constituting one GOP based on the reference count. For example, the encoding apparatus can increase the degree to which the output value is changed as the number of times the reference frame is referenced in other frames constituting one GOP.

이때, 부호화 장치는 코딩단위의 출력값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는 코딩단위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에 연속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열화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ncoding device changes the output value of the coding unit, the position of the changed coding unit is not generated continuously at the same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e deterioration.

또한, 코딩단위 출력값 변경에 있어서, 참조 회수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참조된 회수, 참조되는 위치 등을 추가로 고려하여 코딩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코딩단위 출력값을 변경할 때, 도 7과 같이 특정 코딩 단위를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참조되는 경우가 도 8과 같이 비연속적으로 참조되는 경우에 비하여 체감 화질에 더 많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동일한 참조회수를 갖더라도 연속적으로 참조된 회수를 추가로 고려하여 코딩단위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다.Further, in changing the coding unit output value, the coding parameters can be adjus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number of references but also the number of consecutively referenced,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ding unit output value is changed, the case where the specific coding unit is referred to in consecutive frames as shown in FIG. 7 may be lower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case where the reference is consecutively referred to as in FIG. 8. The coding unit output value can be changed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consecutive references even if the same reference number is used.

또한, 코딩단위 출력값 변경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특정 코딩 단위를 동일한 위치에서 계속 참조하는 경우가 도 10과 같이 다른 위치에서 참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체감 화질에 더 많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동일한 참조회수에도 동일한 위치에서 계속 참조하는 회수를 추가로 고려하여 코딩단위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hanging the coding unit output value, the case where the specific coding unit is continuously referred to at the same position as shown in Fig. 9 may be further deteriorated in the bodily image qualit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reference is made at another position as shown in Fig.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coding unit output value can be chang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same reference position is continuously referred to at the same pos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5 is a second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이하, 부호화 장치라고 한다)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S510).As shown in FIG. 5, an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ncoding apparatus) can receive moving picture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510).

다음으로, 부호화 장치는 입력된 동영상 데이터에 일반적인 코딩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하여, 그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로 각 프레임의 코딩단위 맵을 구할 수 있다(S520).Next, the encoding apparatus performs encoding using the general coding standard method on the input moving image data, and obtains a coding unit map of each fram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encoding (S520).

다음으로,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프레임들 즉, I 프레임, B 프레임, P 프레임 중 I 또는 P 프레임 내 코딩 단위별로 B 프레임이나 P 프레임으로부터의 참조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S530).Next, the encoding apparatus calculates the number of references from the B frame or the P frame per coding unit in the I or P frame among the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encoded moving picture data, that is, the I frame, the B frame, and the P frame (S530).

다음으로, 부호화 장치는 측정된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다(S540).Next, the encoding apparatus can change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number (S540).

다음으로, 부호화 장치는 I 또는 P 프레임뿐 아니라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은 B 프레임의 코딩단위의 출력값을 임의로 추출하여 출력값을 변경할 수 있다(S550).Next, the encoder may arbitrarily extract an output value of a coding unit of the B frame not referring to the I or P frame, and change the output value (S550).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ecoding moving pi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는 영상 수신부(610), 복호화부 (620), 및 출력 변경부(6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apparatus for decoding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receiving unit 610, a decoding unit 620, and an output changing unit 630.

영상 수신부(6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부호화된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The image receiving unit 610 can receive the moving image coded by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복호화부(620)는 영상 입력부(610)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동영상을 복호화 할 수 있다.The decoding unit 620 can decode the encoded moving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input unit 610. [

출력 변경부(630)는 복호화된 동영상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코딩 단위의 출력값 또는 화소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출력 변경부(630)는 측정된 참조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값으로 치환 또는 변경할 수 있다.The output changing unit 630 may change the output value or the pixel value of the coding unit randomly extracted from the decoded moving image to an arbitrary value. That is, the output changing unit 630 can replace or change the output value of the coding unit whose measured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is smaller than the preset threshold value to an arbitrary value.

즉, 본 발명은 무작위로 추출한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임의의 변경함으로써 복호화한 신호를 재부호화하는 경우 화질 열화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변경되는 위치는 코딩단위 또는 화소단위로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변경되는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 연속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열화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mage quality deterioration to occur when a signal decoded by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of a randomly extracted coding unit is re-encoded. In this case, the changed position can be extracted in units of coding units or pixels, and the changed posi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inuously generated at the same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recognizing the deterio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코딩단위별로 참조되는 횟수를 고려하여 참조되는 횟수가 적은 코딩단위의 값을 임의로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복호화된 신호를 재부호하는 경우 급격한 화질열화가 발생하도록 한다. 변경되는 코딩단위는 I, P, B 프레임에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복호화기에서도 복호화된 신호를 출력하지 전에 무작위로 추출한 화소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복호화한 신호를 재부호화하는 경우 화질 열화가 발생하도록 한다.In this mann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f the coding unit having a small number of times to be referred to is arbitrari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o be referred to by each coding unit, so that sudden image quality deterioration occurs when the decoded signal is re-encoded.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can be selected from I, P, and B frames. Also, the decoder changes the pixel values randomly extracted before outputting the decoded signal to an arbitrary value, and causes image quality deterioration when the decoded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is re-encod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이하, 복호화 장치라고 한다)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10).As shown in FIG. 11, a device for decoding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coding device) can receive moving picture data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 1110).

다음으로, 복호화 장치는 수신된 부호화된 동영상을 복호화할 수 있다(S1120).Next, the decoding apparatus can decode the received encoded moving image (S1120).

다음으로, 복호화 장치는 복호화된 동영상에서 무작위로 코딩 단위의 출력값 또는 화소값을 추출하여 그 추출한 코딩 단위의 화소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S1130). 이 때 화소단위로 무작위로 추출한 화소값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xt, the decoding apparatus randomly extracts the output value or the pixel value of the coding unit from the decoded moving image, and changes the pixel value of the extracted coding unit to an arbitrary value (S1130).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ixel values randomly extracted on a pixel-by-pixel basis can be changed to an arbitrary valu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all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operated in one operation.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etc.,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or the like may be includ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영상 입력부
120: 부호화부
120: 참조횟수 측정부
130: 출력 변경부
610: 영상 수신부
620: 복호화부
630: 출력 변경부
110:
120:
120: reference count measuring unit
130:
610:
620:
630: Output changing section

Claims (16)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참조횟수 측정부; 및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출력 변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A reference cou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reference frequency referred to by different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when the moving picture data is input; And
An output changing unit for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reference frequency;
And an encoding unit for encoding the moving pic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횟수 측정부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B 프레임들이나 P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상기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And measures the reference frequency referred to by different B frames or P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부는,
연속 프레임에 의해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changing unit comprises:
And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referred to by the continuous frame, and randomly changes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frequenc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부는,
동일 위치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changing unit comprises:
And the output value is random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frequenc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부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의 코딩 단위 출력값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그 출력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changing unit comprises:
Wherein a coding unit output value of a B frame which does not refer to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is randomly selected and its output value is chang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부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chang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is selec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is selected.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복호화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크기를 갖는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추출한 상기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출력 변경부;
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변경부는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A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received moving picture data when the encoded moving picture data is received; And
An output changing unit for randomly extracting an output value of a coding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decoded moving image data and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of the extracted coding unit;
Wherein the output changing unit randomly changes an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a reference count referenced by different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moving picture data, A device for decoding a video.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부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utput chang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is selec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is selected.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Measuring the number of references referred to by different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 moving picture data; And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number;
Wherein the moving picture cod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B 프레임들이나 P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상기 참조 횟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asuring step comprises:
Wherein the reference number is referred to by different B frames or P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연속 프레임에 의해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Wherein the number of times of reference by the continuous frame is measured and the output value is randomly changed for each coding unit based on the reference numb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동일 위치에서 참조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And the output value is random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d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reference frequency.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I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B 프레임의 코딩 단위 출력값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그 출력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Wherein a coding unit output value of a B frame which does not refer to an I or P frame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inputted moving picture data is randomly selected and its output value is change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When selecting a coding unit to be changed, selecting a position of a coding unit to be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단계; 및
복호화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크기를 갖는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추출한 상기 코딩 단위의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방법.
A decoding step of decoding the received moving picture data when the encoded moving picture data is received; And
Randomly extracting an output value of a coding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decoded moving picture data and randomly changing an output value of the extracted coding unit;
Wherein the modifying step randomly changes the output value for each coding unit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references referred to by different frames for each coding unit in the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each GOP of the moving picture data, A method for decoding a moving pictur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변경되는 코딩 단위를 선택 시,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오지 않도록 변경되는 코딩 단위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When selecting a coding unit to be changed, selecting a position of a coding unit which is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ding unit to be changed does not continuously arrive at the same position.
KR1020140021338A 2013-02-28 2014-02-24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 KR1014651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17 2013-02-28
KR20130022017 201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808A KR20140109808A (en) 2014-09-16
KR101465148B1 true KR101465148B1 (en) 2014-11-26

Family

ID=5175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338A KR101465148B1 (en) 2013-02-28 2014-02-24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4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937A (en) * 2003-02-19 2005-11-01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system for copy protection
KR20060010804A (en) * 2003-05-16 2006-02-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System and method for discouraging copying by recurring quantization lo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937A (en) * 2003-02-19 2005-11-01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system for copy protection
KR20060010804A (en) * 2003-05-16 2006-02-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System and method for discouraging copying by recurring quantization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808A (en)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859C1 (en) Selection of motion vector precision
US9942557B2 (en) Method and system of video encoding optimization
US9325993B2 (en) Encoding or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461771B1 (en) An image compression method with random access capability
KR101811090B1 (en) Image coding device and image decoding device
EP2553935B1 (en) Video quality measurement
US20130114687A1 (en) Fixed intra run-level mode for cavlc in hevc
JP2008219870A (en) Moving picture coding method and moving picture encoder
TW201729591A (en) System and methods for reducing slice boundary visual artifacts in display stream compression (DSC)
JP2008504750A5 (en)
KR20150112011A (en) Spatially adaptive video coding
US20150146776A1 (en) Video image encoding device, video image encoding method
US20120002725A1 (en) Video coding apparatus and video coding control method
EP3306932A1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reference image, encoding device, and decoding device
US20130114684A1 (en) Electronic devices for selective run-level coding and decoding
KR2009012515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determining i frames for acquisition and base and enhancement layer balancing
US9432694B2 (en) Signal shaping techniques for video data that is susceptible to banding artifacts
US8520742B2 (en) Moving image compression-coding device, method of compression-coding moving image, and H.264 moving image compression-coding device
US2012005778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6028031A (en) Video coding device, video coding method, video decoding device and video decoding method
KR1014906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Video
KR1017033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ncoding an image
KR101465148B1 (en)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
JP2007166323A (en)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method
KR20060043050A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