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230B1 - 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 Google Patents

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230B1
KR101462230B1 KR1020130079592A KR20130079592A KR101462230B1 KR 101462230 B1 KR101462230 B1 KR 101462230B1 KR 1020130079592 A KR1020130079592 A KR 1020130079592A KR 20130079592 A KR20130079592 A KR 20130079592A KR 101462230 B1 KR101462230 B1 KR 10146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data
terminal device
smart
distribution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춘
양원철
김석진
김재희
진영규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2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mart-distribution interconnection gateway. The smart-distribution interconnection gateway comprises a first protocol conversion part and a second protocol conversion part. 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part is connected to a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converts DNP protocol data inputted from a feeder remote terminal unit into IEC61850 protocol data, and outputs the IEC61850 protocol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part converts IEC61850 protocol data inputted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into DNP protocol data, and outputs the DNP protocol data to the feeder remote terminal unit.

Description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본 발명은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applied to a distribution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기존 프로토콜인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 형식을 지원하는 배전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는 현재 국제표준 통신 프로토콜인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배전 운영시스템(SDMS,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및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FIED, Feeder Inteligent Electric Unit)로 대체될 예정이다.The distribution automation operating system and the 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that support the existing protocol, the Distributed Network Protocol (DNP) format, are currently deployed as a Smart Distribution Operating System (SDM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IEC61850 protocol format ,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MS), and smart distribution terminal equipment (FIED, Feeder Inteligent Electric Unit).

그러나 기 설치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를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로 모두 교체하는 데에는 비용 및 수량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체 단말장치의 교체전까지는 기 설치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를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와 혼용하여 운영해야 한다.However, since there is a problem of cost and quantity to replace all of the installed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s with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s, the installed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s must be operated with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before the replacement of all terminal devices.

이러한 경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는 DNP프로토콜 형식을 지원하고, 스마트 배전 운영시스템 및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는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상위 시스템에 따라 특정 단말장치만 운영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단말장치의 통합적인 운영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supports the DNP protocol format and the smart distribution operation system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support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only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s operated depending on the host system, There are constraints on integrated operation.

또한,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을 기반으로 정의되는 단말장치간의 자가복구 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In addition,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a self-recovery function between terminal devices defined based on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로토콜 변환을 통하여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와 스마트 배전 운영 시스템 및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간의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apable of data connection between a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a smart distribution operation system and a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through protocol conversion.

또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와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간 또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상호간에 자가복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apable of implementing a self-recovery function between a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and a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or between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배전 자동화망에 연결되어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망으로 출력하는 제1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배전 자동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제2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a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and converting data of a DNP protocol format input from a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into data of an IEC61850 protocol format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And a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ata of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input from the network into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상기 제1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데이터를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 망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state data inpu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into data of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상기 제2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배전 자동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 배전 운영 시스템(SDMS,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의 제어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may convert control data of a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SDMS) inpu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into data of a DNP protocol format and output the data.

상기 제1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로 출력하며, 상기 제2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상태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state data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into data of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and outputs the data to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onnected to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unit, Status data of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received from the device can be converted into DNP protocol format data and output.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의 상태 데이터는 배전설비 개폐상태, 고장상태 및 고장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는 상호 통신하여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및 정상구간의 자동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Wherein the status data of the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y open / close status, the failure status, and the failure direction, and the adjacent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automatically detect the failure section, Can be performed.

상기 제1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접한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2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인접한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상태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status data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into data of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to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apparatus adjacent to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s IEC61850 GOOSE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state data of the protocol format into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and output it.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및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의 상태 데이터는 배전설비 개폐상태, 고장상태 및 고장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및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는 상호간 통신하여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및 정상구간의 자동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Wherein the status data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facility open / close state, the failure state, and the failure direction, and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erform automatic separation of sections and automatic connection of normal sections.

본 발명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 변환을 통하여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와 스마트 배전 운영 시스템 및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간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다.The smart distribution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ink data betwee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the smart distribution operation system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through protocol conversion.

또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와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간 또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상호간에 자가복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lf-recovery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etwee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or betwee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실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distribution gateway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20)는 배전 자동화망에 연결되어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FRTU, FeederRemote Terminal Unit)로부터 입력되는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전 자동화망으로 출력하는 제1프로토콜 변환부(21) 및 배전 자동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IEC61850형식의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 출력하는 제2프로토콜 변환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 smart distribution gatewa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and is connected to a DNP protoc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NP protocol ") input from a distribution terminal 30 Type data into IEC61850 protocol format data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and data of IEC61850 format inputted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into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And a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22 for outputting 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30 to 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22.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20)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의 전단에 설치되어 배전 자동화망에 연결되거나 또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의 전단에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2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2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30 a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or integrated in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3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2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30, but it can be integrally formed i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30, And it is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thought range of.

먼저, 제1프로토콜 변환부(21)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부터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IEC61850 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1프로토콜 변환부(21)는 변환한 데이터를 배전 자동화망을 통하여 출력하며, 출력된 데이터는 배전 자동화망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40)(FIED, Feeder Inteligent Electronic Device), 스마트 배전 운영 시스템(10)(SDMS,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에 전달된다.First, 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21 receives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30, and converts it into data of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21 outputs the converted data through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The output data is transmitted to anoth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40 (FIED, Feeder Inteligent Electronic Device, and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SDMS).

제1프로토콜 변환부(21)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부터 입력받은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IEC61850 MMS 또는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전 자동화망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21 converts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inpu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30 into data of the IEC61850 MMS or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제1프로토콜 변환부(21)는 예를 들면,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에 연결된 배전설비 개폐상태, 고장상태 및 고장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전 자동화망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protocol converter 21 receives statu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y open / close status, the failure status and the failure direction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30, for example, and outputs it to the IEC 61850 GOOSE protocol format And output it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다음으로, 제2프로토콜 변환부(22)는 배전 자동화망으로부터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 출력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protocol converter 22 receives the data of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converts the data into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and outputs the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30.

제2프로토콜 변환부(22)는 배전 자동화망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운영 시스템(10)으로부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22 receives the control data for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30 from the smart distribution operation system 10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and converts the data into data in the DNP protocol format, (30).

또한, 제2프로토콜 변환부(22)는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부터 배전설비 개폐상태, 고장상태 및 고장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22 receives status data of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facility open / close state, the failure state, and the failure direction from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apparatus, Format data and output it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3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20)는 연결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부터 DNP프로토콜 형식의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The smart distribution gateway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tatus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from the connected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30 and converts it into data of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To the connected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다음으로,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는 전송받은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며, 배전설비 또는 배전선로에 고장발생 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간 상호 통신을 통해 고장상태, 고장방향 등의 정보를 인지하고 고장구간 자동분리 및 정상구간 자동연결을 통한 자가복구(Self-Healing)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onnected to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converts the data of the received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into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and outputs it.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distribution facility or the distribution lin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fault status and the fault direction and perform the self-healing function by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fault section and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normal section.

배전 자동화망에서의 자가복구 기능은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정의되어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DNP프로토콜 형식을 지원하는 배전자동화 단말장치간에는 자가복구 기능이 구현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20)를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설치하게 되면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간 상호 통신을 통하여 자가복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elf-recovery function i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is defined as data of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and data exchange is performed, the self-recovery function can not be implemented among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s supporting the DNP protocol format. Therefore, if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the self-restor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s.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smart distribution gateway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의 제1프로토콜 변환부(21)는 연결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부터 DNP프로토콜 형식의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접한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40)로 전송하며,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40)도 배전설비 개폐상태, 고장상태 및 고장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출력하여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21 of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receives the status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from the connected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30 and converts it into data of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To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40.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40 also outputs the statu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facility open / close status, the failure status, and the failure direction in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data To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30).

서로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와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40)는 전송받은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통해 고장상태, 고장방향 등의 정보를 인지하고 고장구간 자동분리 및 정상구간 자동연결을 통한 자가복구(Self-Healing)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30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40 adjacent to each other recognize the information on the failure state and the failure direction through the data of the IEC61850 GOOSE protocol type transmitted thereto and perform automatic division of the faulty section and automatic connection of the normal section Self-heal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배전 자동화망에서의 자가복구 기능은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정의되어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DNP프로토콜 형식을 지원하는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와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을 지원하는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간에는 자가복구 기능이 구현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를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설치하게 되면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와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간 상호 통신을 통하여 자가복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self-recovery function i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is defined as data of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and data exchange is performed, self-recovery fun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supporting the DNP protocol format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supporting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Could not be implemented. Therefore, when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the self-repair func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term " portion "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스마트 배전 운영 시스템
20: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
21: 제1프로토콜 변환부
22: 제2프로토콜 변환부
30: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40: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
10: Smart distribution operation system
20: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21: First protocol conversion section
22: second protocol conversion section
30: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40: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Claims (7)

배전 자동화망에 연결되어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망으로 출력하는 제1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배전 자동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IEC61850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제2프로토콜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 또는 인접한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2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인접한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IEC61850 GOOSE프로토콜 형식의 상태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의 상태 데이터와 상기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인접한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태데이터는 배전설비 개폐상태, 고장상태 및 고장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 연결된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인접한 스마트 배전 단말장치와 상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여 고장구간의 자동 분리 및 정상구간의 자동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
A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and converting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inpu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into data of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And
And a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ata of the IEC61850 protocol format inpu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into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The first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state data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into data of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and outputs it to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onnected to an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or an adjacent smart distribution terminal apparatus,
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status data of the IEC61850 GOOSE protocol format received from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onnected to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or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adjacent thereto into data of the DNP protocol format,
The status data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status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onnected to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or the adjacent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facility open / close status, the failure status, And smart distribution linking means for enabling automatic disconnection of a fault section and automatic connection of a normal section by interchanging state data with a smart distribution connection gateway connected to the adjacent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or the smart distribution terminal device adjacent thereto, Gatewa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배전 자동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 배전 운영 시스템(SDMS,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의 제어 데이터를 DNP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마트 배전 연계 게이트웨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rotocol conversion unit converts control data of a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SDMS) input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network into data of a DNP protocol format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79592A 2013-07-08 2013-07-08 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KR101462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592A KR101462230B1 (en) 2013-07-08 2013-07-08 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592A KR101462230B1 (en) 2013-07-08 2013-07-08 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230B1 true KR101462230B1 (en) 2014-11-17

Family

ID=5229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592A KR101462230B1 (en) 2013-07-08 2013-07-08 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23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2301A (en) * 2017-02-09 2017-05-24 山东理工大学 Fault-tolerant processing method suitable for distributed fault self-recovery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WO2018062616A1 (en) * 2016-09-28 2018-04-05 한국전력공사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application for analysis of power distribution operating system
CN108462684A (en) * 2017-12-20 2018-08-28 山东鲁能智能技术有限公司 A kind of IEC61850 stipulations conversion module and convers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695A (en) * 2009-12-11 2011-06-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Multi-functional gataway system for providing power information
KR20130033806A (en) * 2011-09-27 2013-04-04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operating smart power gr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695A (en) * 2009-12-11 2011-06-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Multi-functional gataway system for providing power information
KR20130033806A (en) * 2011-09-27 2013-04-04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operating smart power gri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NP 3.0과 IEC 61850 게이트웨이 기능 설계’, 송병권 외 1인, 전기전자학회 논문지 제12권 제3호(2008)*
'DNP 3.0과 IEC 61850 게이트웨이 기능 설계', 송병권 외 1인, 전기전자학회 논문지 제12권 제3호(200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616A1 (en) * 2016-09-28 2018-04-05 한국전력공사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application for analysis of power distribution operating system
CN106712301A (en) * 2017-02-09 2017-05-24 山东理工大学 Fault-tolerant processing method suitable for distributed fault self-recovery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CN108462684A (en) * 2017-12-20 2018-08-28 山东鲁能智能技术有限公司 A kind of IEC61850 stipulations conversion module and convers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2938B (en) Electronic patch apparatus
CN100375440C (en) Network connectivity backup system
US9136697B2 (en)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with protection functions
EP3067760B1 (en) Redundan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hvdc system
JP2012165636A (en) Smart substation management
KR101462230B1 (en) Gateway for smart distribution network
CN102231114A (en)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chip as well as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grade file
JP2014166091A (en) Merging unit and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
CN104461800A (en) Hard disk running state detection system
CN104505942A (en) Power distribution automatic feeder terminal based on data bus and network thereof
CN103605303A (en) Injection-molding-machine digital IO switch-over terminal junction box with redundancy detection function
CN102841634A (en) Server mainboard
US20190020192A1 (en) Power supply management circuit and power supply management method
JP5601353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KR20160142440A (en) Inverter controlling method
US20170293274A1 (en) Apparatus for managing dual level reset of microgrid gateway for new regeneratio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626106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Ethernet optical link fault
CN102638369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rbitrating main/standby switch
CN106487628B (en) MVB repeater based on two independent FPGAs
CN102236630A (en) Multi-equipment connecting system
CN101296218B (en) Integrated preposition communication equipment
US7547991B2 (en) Redundancy power for communication devices
CN114071523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doubl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US9268396B2 (en) Expansion circuit for server system and server system using same
CN203224777U (en) Automobile fault diagno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