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11B1 -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11B1
KR101460711B1 KR1020070109669A KR20070109669A KR101460711B1 KR 101460711 B1 KR101460711 B1 KR 101460711B1 KR 1020070109669 A KR1020070109669 A KR 1020070109669A KR 20070109669 A KR20070109669 A KR 20070109669A KR 101460711 B1 KR101460711 B1 KR 10146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on
indoor
option unit
loc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3878A (en
Inventor
김윤규
채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11B1/en
Publication of KR2009004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 설치된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할 뿐 아니라, 추후에 별도로 연결되는 옵션유닛을 등록하여 제어기를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옵션유닛의 등록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제어기를 이용한 모니터링 및 동작제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in which not only an installed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re controlled but also an optional unit which is separately connected later is registered and controlled through a controller. And it is easy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using the controller,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공기조화기, 실내기, 원격제어기, 로컬제어기, 옵션유닛 Air conditioner, indoor unit, remote controller, local controller, optional unit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0001]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 설치된 유닛 이외에도 별도로 추후 연결되는 옵션유닛을 등록 및 관리하며, 그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an optional unit that is separately connected lat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방, 난방, 공기정화를 위해 구비되어, 실내로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for cooling, heating, and purifying air, and is installed to discharge air of cold and hot into the room and purify the room ai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a human being. Such an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separately by an indoor unit constituted by a heat exchanger, an outdoor unit constituted by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the like, and controll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to a compressor or a heat exchanger.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외기에 적어도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is drive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indoor units to be driven so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ed operation state and the cooling / It is operated in heating mode.

공기조화기는 로컬제어기 또는 원격제어기를 더 구비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 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하고 제어한다.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local controller or a remote controller to remotely monitor and control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초기 설치된 실내기 또는 실외기 이외에 추후 옵션유닛을 별도로 추가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설치된 옵션유닛에 대해 실내기에 구비된 로터리 스위치 또는 딥스위치를 조작하여 설정해야하므로 옵션유닛의 설치 및 등록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으며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히 천정에 설치된 실내기에 옵션유닛이 연결되는 경우, 옵션유닛이 잘못 설치되는 경우 옵션유닛이 동작되지 않고, 재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실내기의 H/W 또는 S/W 변경 시 옵션유닛 또한 재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optional unit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initially installed indoor unit or outdoor unit, the air conditioner must be set by manipulating the rotary switch or the dip switch provided in the indoor unit with respect to the installed option unit manually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and registration are troublesome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long. In addition, when the optional uni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option unit is not operated when the option unit is installed incorrectly, and it is difficult to reinstall the indoor unit. When the H / W or S / W of the indoor unit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einstalled.

또한, 종래의 원격제어기 또는 로컬제어기에는 옵션유닛의 실제 연결 상태에 관계없이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조작 하는 경우 공기조화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기 또는 로컬제어기에서 옵션유닛이 실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or the local controller, the control menu for the option unit is displayed irrespective of the actual connec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air conditioner malfunctions when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ocal controll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roller can not confirm whether or not the option unit is actually connected.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옵션 유닛이 추가 설치되는 경우, 연결된 옵션유닛을 용이하게 등록하고, 옵션유닛의 연결 유무에 대응하여 제어기의 제어메뉴가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서, 옵션유닛의 관리 및 제어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option unit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a pre-installed air conditioner, an associated option unit is easily registered, and a control menu of the controller is activated corresponding to whether an option unit is connect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실외기팬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연결되는 옵션유닛을 감지하여, 상기 옵션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옵션유닛을 등록하고, 연결된 제어기로 상기 옵션유닛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fan,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The indoor unit senses the connected option unit, The option unit is registered according to data received from the option unit, and the data of the op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실외기팬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옵션유닛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실내기로 활성화신호를 전송하는 로컬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로컬제어기로부터 상기 활성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옵션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옵션유닛을 제어가능한 유닛으로 등록하고, 상기 옵션유닛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fan,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a local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to the indoor unit such that an option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command, wherein when the activ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ler, the indoor unit determines that the option unit is connected, The option unit is registered as a controllable unit, and the function of the option unit is activat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실내기에 구비되는 연결단자에 옵션유닛이 장착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옵션유닛이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인지 판단하여,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인 경우 옵션유닛으로 제품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수신되는 제품정보에 따라 상기 옵션유닛을 초기 등록하고, 옵션유닛의 제어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옵션유닛의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detecting an option unit mounted on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an indoor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option unit is a newly connected option unit, Registering the opti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activating a control function of the op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data of the option unit to th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로컬제어기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에 대한 활성화 신호를 실내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수신되는 옵션유닛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for an option unit connected to an indoor unit to an indoor unit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input to a local controller;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for the option unit to the indoor unit,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based on the data of the option unit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은 옵션유닛을 로컬제어기를 통해 초기등록하거나 또는 옵션유닛의 장착여부를 자동 감지하여 등록함으로서, 옵션유닛의 등록이 용이하고, 옵션유닛의 장착여부에 따라 로컬제어기 또는 원격제어기의 메뉴가 활성화 되고 장착 해제 시 메뉴가 비활성화 됨으로서, 연결되지 않은 옵션유닛에 대한 불필요한 조작을 방지하고, 옵션유닛의 연결 상태 확인이 쉬우며, 로컬제어기 또는 원격제어기를 이용한 관리 및 제어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register the option unit by registering the option uni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or by automatically detecting whether the option unit is mounted or not, The menu of the local controller or the remote controller is activated and the menu is deactivated at the time of unplugging,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unconnected option unit, checking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option unit is easy, The management and control using the controller are easy and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I01 내지 I03)와, 실내기와 연결되며 압축기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O01)로 구성되며, 실내기(I01 내지 I03) 및 실외기(O01)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기(C01),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는 로컬제어기(R01)를 포함한다. 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indoor unit I01 to I03 installed in the room, at least one outdoor unit O01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includ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 remote controller C01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s I01 to I03 and the outdoor unit 01, a local controller R01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transmitting the user command to the indoor unit do.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유닛, 공기청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가 연결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unit and an air purifying unit in addition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bu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by way of example, wit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connected.

실내기(I01 내지 I03)는 하나의 실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실외기(OO1)는 다수의 실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실외기(O01)와 실내기(I01 내지 I03)는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한다. At least one indoor unit I01 to I03 may be provided in one room, and the outdoor unit OO1 may be driven b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cooling / heating capacity may be varied corresponding to the indoor unit to be driven The operating number of the outdoor units and the number of operating the compressor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s are variable. The outdoor unit O01 and the indoor units I01 to I03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frigerant pipe so that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flow of refrigerant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

실외기(O0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The outdoor unit (O01) includes a compressor for receiving and compressing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outdoor air, an accumulator for extracting the gas refrigerant from the supplied refrigerant and supplying the gas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valves, oil collectors, and the like. .

실내기(I01 내지 I03)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기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를 포함하며, 그 외 복수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한다.The indoor units I01 to I03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an expansion valv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fan and the outdoor unit is expanded, and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또한, 실내기(I01 내지 I03)는 초기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구성 이외에 별도 의 옵션유닛이 연결되며, 원격제어기(C01) 또는 로컬제어기(R0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연결된 옵션유닛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indoor units I01 to I03 are connected to an optional unit in addition to the air conditioner unit that is initially installed, and control the connected optional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C01 or the local controller R01.

원격제어기(C01)는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실내기 및 실외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수신하여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로 전송함으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remote controller C0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displays a control command in response to an input user command, So that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can perform predetermined operations.

이때, 원격제어기(C01)는 다른 제어기, 즉 로컬제어기나 다른 원격제어기에 의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 상태 변경이 불가능 하도록 실내기 및 실내기에 대하여 잠금 설정이 가능하며, 실내기 및 실외기 제어에 있어서 로컬제어기보다 우선순위를 갖는다.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C01 can set a lock for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can not be changed by another controller, that is, a local controller or another remote controller. Priority.

여기서, 공기조화기는 원격제어기(C01)와 같이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제2 원격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원격제어기는 원격제어기(C01)에 소정의 통신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동작을 모니터링 한다. Here,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such as the remote controller C01, and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C01 in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ann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monitors the operation thereof.

로컬제어기(R01)는 복수의 실내기(I01 내지 I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사용자 명령 입력에 따라 연결된 실내기의 운전설정을 가변제어하고 그에 대응되는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로컬제어기(R01)는 실내기에 연결되는 유선리모컨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무선리모컨도 포함된다.The local controller R01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I01 to I03 to variably control the operation settings of the indoor units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 command input and receive and output the operation states of the corresponding indoor units. The local controller R01 may be a wired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may also include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in some cases.

원격제어기(C01) 또는 로컬제어기(R01)는 실내기(I01 내지 I03)에 옵션유닛이 연결되는 경우, 옵션유닛을 등록하고, 옵션유닛을 제어하는 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한다. 활성화된 메뉴를 통해 옵션유닛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명령을 옵션유닛이 연결된 실내기로 전송하여 해당 옵션 유닛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remote controller C01 or the local controller R01 activates and displays a menu for registering the op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option unit when the optional uni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I01 to I03. When a user command for the option unit is inputted through the activated menu,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unit to which the option unit is connected, so that the option unit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옵션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and an optional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I)에 연결되는 옵션유닛(OP01 내지 OP04)을 더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optional units OP01 to OP04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

옵션유닛(OP01 내지 OP04)은 실내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유닛,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소정의 가습공기를 토출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유닛, 실내의 오염도를 정화하는 공기청정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옵션유닛은 추가 설치되는 실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on units OP01 to OP04 are a ventilation unit for ventilating indoor air, a heater for heating room air, a humidifying unit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room by discharging predetermined humidified air, and an air purifying unit One. The op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indoor unit.

이러한 옵션유닛(OP01 내지 OP04)은 각 옵션유닛의 특성 상, 히터는 연결된 실내기가 난방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동작 되고, 실내기 냉방모드에서는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실내기가 추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결된 실내기와 동일한 모드로 동작되게 된다. 또한, 옵션유닛은 실내기가 동작 정지되어 전원 오프 된 상태에서는 동작되지 않으며, 실내기 동작 중에 운전될 수 있다. These option units OP01 to OP04 are operated when the indoor unit connected to the heater is operated in the heating mode and not operated in the indoor unit cooling mod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ption unit. When the indoor unit is additionally installed, the indoor unit is operated in the same mode as the connected indoor unit. Further, the option unit is not operated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the power is off, and the option unit can be operated while the indoor unit is operating.

실내기(I)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옵션유닛이 장착될 수 있으며, 옵션유닛이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I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optional units, and the optional units may be wired via a cable or wirelessly conn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실내기(I)는 장착된 옵션유닛(OP01 내지 OP04)에 대한 연결정보 및 동작상태 정보를 로컬제어기(R01)또는 원격제어기(C01)로 전송하고, 로컬제어기(R01)또는 원격제어기(C0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연결된 옵션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indoor unit I transmits connec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installed option units OP01 to OP04 to the local controller R01 or the remote controller C01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rom the local controller R01 or the remote controller C01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nected option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I)와 옵션유닛(OP01 내지 OP04)이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실내기(I)에 장착된 옵션유닛(OP01 내지 OP04)은 초기 등록 시, 실내기 자체 자동감지기능을 통해 초기 등록되거나, 또는 로컬제어기(R1)를 통해 등록될 수 있다. Further, the air conditioner can be interconnected in various ways between the indoor unit I and the option units OP01 to OP04. At this time, the option units OP01 to OP04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I may be initially registered through the automatic detection function of the indoor unit or may be registered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R1 at the time of initial registration.

도 3 은 도2의 옵션유닛과 실내기의 연결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option unit and the indoor unit of FIG. 2. FIG.

실내기와 옵션유닛의 연결구성의 제1실시예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내기(I1)와 제1 옵션유닛(OP1)이 제1 통신선(L1)을 통해, 직접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실내기(I1)는 제1통신선(L1)이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door unit I1 and the first option unit OP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L1, It is wired. At this time, the first indoor unit I1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L1 is connected.

제1 로컬제어기(R1)는 제2 통신선(L2)으로 실내기(I1)에 연결되는 유선 리모컨으로, 제1 실내기(I1)를 통해 제1 옵션유닛(OP1)의 연결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제1 옵션유닛(OP1)의 동작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제1 실내기(I1)로 전송한다. 원격제어기(C01)는 실외기(O01)를 통해 실내기(I1)로부터 제1옵션유닛의 연결정보,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명령을 제1 실내기(I1)로 전송하게 된다. The first local controller Rl receives and register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ption unit OP1 via the first indoor unit I1 with the wired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1 as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L2, Receives opera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option unit OP1,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first indoor unit I1. The remote controller C01 receiv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option unit from the indoor unit I1 through the outdoor unit O01 and transmits the control instruction to the first indoor unit I1.

실내기와 옵션유닛의 연결구성의 제2실시예는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내기(I2)가 제4 통신선(L4)을 통해 제2로컬제어기(R2)와 연결되고, 제2 옵션유닛(OP2)은 제3 통신선(L3)이 제4통신선(L4)과 연결되어 제2 실내기(I2) 및 제2 로컬제어기(R2)와 연결된다. 이때, 제2 옵션유닛(OP2)은 제2 로컬제어기(R2)에 직접연결된다. 제3통신선 또는 제4 통신선은 경우에 따라 동일한 통신선이거나 동일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선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 unit is such that the second indoor unit I2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al controller R2 via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L4 as shown in FIG. And the second option unit OP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door unit I2 and the second local controller R2 by connecting the third communication line L3 to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L4. At this time, the second option unit OP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local controller R2. The third communication line or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may be the same communication line as the case may be, or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제2 로컬제어기(R2)는 제2 실내기(I2)로부터 제2 옵션유닛(OP2)의 연결정보 또는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옵션유닛(OP2)으로부터 직접 연결정보 또는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econd local controller R2 receives connection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option unit OP2 from the second indoor unit I2 or receives connection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second option unit OP2 can do.

제2로컬제어기(R2)와 원격제어기(C01)는 제2옵션유닛(OP2)에 대한 제어명령을 제2실내기(I2)로 전송하고, 제2 실내기(I2)는 연결된 제2 옵션유닛(OP2)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cond local controller R2 and the remote controller C01 transmit a control command for the second option unit OP2 to the second indoor unit I2 and the second indoor unit I2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for the second option unit OP2 ).

도3의 (c)와 같이 실내기와 옵션유닛의 연결구성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3실내기(I3)와 제3로컬제어기(R3)가 제6통신선(L6)으로 연결되고, 제3 옵션유닛(OP3)은 제5통신선이 제6통신선(L6)과 연결되어, 제3 옵션유닛(OP3)이 제3실내기(I3)와 제3로컬제어기(R3)에 연결된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al unit as shown in FIG. 3 (c)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the third indoor unit I3 and the third local controller R3 are connected to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L6 The third option unit OP3 is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L6 and the third option unit OP3 is connected to the third indoor unit I3 and the third local controller R3 .

제3실내기(I3)와, 제3옵션유닛(OP3)은 덕트(D1)로 연결되어, 제3옵션유닛이 제3실내기(I3)에 연동되어 동작된다. 이때, 제3실내기(I3)는 덕트형이고, 제3옵션유닛(OP3)은 환기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The third indoor unit I3 and the third optional unit OP3 are connected to the duct D1 and the third optional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third indoor unit I3. At this time, the third indoor unit I3 may be a duct type, and the third option unit OP3 may be a ventilation unit.

제3로컬제어기(R3)는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3 실내기(I3)로부터 제3 옵션유닛(OP3)의 연결정보 또는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거나, 제3 옵션유닛(OP2)으로부터 직접 연결정보 또는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내기(I3)는 제3 로컬제어기(R3) 또는 원격제어기(C0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제3 옵션유닛(OP3)을 제어하게 된다. The third local controller R3 receiv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third option unit OP3 from the third indoor unit I3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he third indoor unit I3 controls the third option unit OP3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third local controller R3 or the remote controller C01.

상기와 같이 실내기와 옵션유닛은 복수의 방법으로 상호 연결되며, 실내기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의 초기등록은 실내기 자체 감지 또는 로컬제어기를 통한 초기등록이 수행된다. 이하, 실내기와 옵션유닛의 연결구성의 제1실시예에 따라 옵션유닛이 실내기에 연결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 unit are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methods. The initial registration of the option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s performed by the indoor unit itself or the initial registration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Hereinafter, the optional uni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al unit.

실내기의 자체 감지 기능을 통해 연결된 옵션유닛이 초기 등록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When the connected option unit is initially registered through the self-detection function of the indoor unit, the following occurs.

도 4 는 도2의 실내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tion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I)는 입력부(20), 출력부(30), 데이터부(40), 통신부(50), 연결감지부(60), 인터페이스부(70), 제어부(80)를 포함한다. 4, the indoor unit I includes an input unit 20, an output unit 30, a data unit 40, a communication unit 50, a connection sensing unit 60, an interface unit 70, 80).

실내기(I)의 입력부(20)는 버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80)로 인가한다. 이때, 실내기(I)의 형태에 따라 입력부(20)의 위치, 입력수단의 수가 가변되며, 버튼 이외에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20 of the indoor unit I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and applies data to the control unit 8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input means.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20 and the number of input means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door unit I, and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input means such as touch input means in addition to buttons.

출력부(3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 점등 또는 점멸하는 램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력부(30)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실내기(I)의 현재 동작상태, 설정값, 스케줄 정보, 실내 측정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실내기(I)의 정상 동작여부를 램프의 점등 또는 점멸, 램프의 색상을 가변하여 표시한다. 또한, 실내기 오동작하거나, 알람이 발생, 소정 동작 수행 시, 그에 대응하여 경고음, 알 람음, 기 설정된 효과음, 음성안내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The output unit 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display means, a lamp to be turned on or off, and a speaker. The output unit 30 displays on the screen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the set value,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indoor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I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whether the indoor unit I is operating normally by turning on or off the lamp, And displays the color of the image. In addition, when a malfunction of the indoor unit occurs, an alarm occurs, and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performed, a warning sound, a beep sound,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and a voice guidance are output through the speaker in response thereto.

데이터부(40)는 실내기 동작제어를 위한 설정데이터, 실내기 운전에 따른 스케줄 데이터, 실내기 내부의 실내열교환기, 실내팬, 팽창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원격제어기(C01) 또는 로컬제어기(R0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이 저장되고, 실내기 동작 수행결과에 대한 동작상태 데이터, 로그데이터, 오류발생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40)는 출력부930)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데이터, 화면구성 정보, 및 음악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data unit 40 stores setting data for indoor unit operation control, schedule data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peration,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indoor fan, and the expansion valve in the indoor unit. Also, control command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C01 or the local controller R01 are stored, and operation state data, log data, and error occurrence data on the result of the indoor unit operation are stored. In addition, the data section 40 stores image data,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music data output through the output section 930).

통신부(5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O01), 원격제어기(C0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로컬제어기(R01)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서, 실내기(I)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내기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50)는 원격제어기(C01), 실외기(O01), 로컬제어기(R01) 각각에 대해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경우 각각의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50)는 무선리모컨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블루투스,RF통신과 같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50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outdoor unit O01 and the remote controller C01 and communicates with the local controller R01 to transmit operation state data of the indoor unit I And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5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corresponding to each communication method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C01, the outdoor unit O01, and the local controller R01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When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the communication unit 5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infrared ray, Bluetooth, and RF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부(70)는 옵션유닛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단자(71 내지 74)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70)는 연결단자(71 내지 74)를 통해 옵션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제어부(80)로 인가하고, 제어부(80)의 제어명령을 옵션유닛으로 전달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I)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은 실내기(I)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70)는 연결단자가 4개 구비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연결단자(71 내지 74)에 옵션유닛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연결단자에 연결된 옵션유닛을 구분하여, 제어부(8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이 지정된 옵션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해당 연결단자를 통해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The interface unit 70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on terminal 71 to 74 to which the option unit is connected. The interface unit 70 appli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op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80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s 71 to 74 and transfers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80 to the option unit. Accordingly, the optional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indoor unit I. When four connection terminals are provided, the interface unit 70 may connect the optional units to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terminals 71 to 74, distinguish the option uni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To be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option unit.

연결감지부(60)는 인터페이스부(70)와 연결되어,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되는 연결단자에 옵션유닛의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연결감지부(60)는 인터페이스부의 각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의 장착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신호를 감지하여, 인터페이스부(70)의 각 연결단자에 대한 옵션유닛의 장착여부를 제어부(80)로 인가한다.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6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70 and detects whether the option unit is mounted on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interface unit. At this time, the connection sensing unit 60 senses a HIGH or LOW signal generated depending on whether an option unit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terminal of the interface unit is mounted, And whether or not the optional unit is mounted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80.

제어부(8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내열교환기, 실내팬, 팽창밸브를 제어하여 실내기가 냉 또는 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도록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70)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indoor fan, and the expansion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data to be input and output so that the indoor unit can discharge the cold or hot air to the room, and the optional unit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70 .

제어부(80)는 통신부(50) 또는 입력부(20)로부터 기 연결된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유닛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옵션유닛을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옵션유닛의 동작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로컬제어기(R01), 원격제어기(C01)로 전송하여, 옵션유닛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출력부(30)를 통해 옵션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며, 오동작시 소정의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출력부(3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option unit through the interface unit 70 so that the control unit 80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option unit 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50 or the input unit 20, When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is received via the unit 70,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local controller R01 and the remote controller C01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Also, the control unit 80 outpu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through the output unit 30,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30 to output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when malfunction occurs.

이때, 제어부(80)는 연결감지부(60)를 통해 인터페이스부(70)의 연결단자에 옵션유닛의 장착이 감지되면, 해당 옵션유닛이 기 등록된 옵션유닛인지 판단하여 신규 장착된 옵션유닛인 경우 초기 등록하고,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예를 들어, 제2 옵션유닛(OP02)이 제2연결단자(72)에 신규 장착된 경우, 제어부(80)는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제2 옵션유닛으로 옵션유닛의 제품정보를 요청하고, 제2옵션유닛으로부터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옵션유닛의 제품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옵션유닛을 자동으로 초기 등록한다. 제어부(80)는 신규 연결된 제2 옵션유닛의 종류, 모델명, 제조번호등과 같은 고유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주소정보, 옵션유닛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를 제품정보로서 수신하여, 제2 옵션유닛(OP02)을 초기 등록한다. At this time, if the installation of the optional unit is detected on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interface unit 70 through the connection detection unit 60, 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whether the option unit is the pre-registered option unit, Initial registration and activate the control function for the option unit. For example, when the second option unit OP02 is newly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72, the control unit 80 requests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to the second option unit through the interface unit 70 , And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option unit through the interface unit 70, the option unit is automatically initialized. The control unit 80 receives uniqu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model name, and serial number of the newly connected second option unit, address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nd control data for option unit control as product information, (OP02) is initially registered.

이때, 제어부(80)는 초기 등록된 옵션유닛에 대한 등록정보와 옵션유닛의 활성화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부(50)를 통해 원격제어기(C01)와 로컬제어기(R01)로 전송하여, 해당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가 활성화 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80 transmi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initially registered option unit and the data on the activation of the option unit to the remote controller C01 and the local controller R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Allows the control menu to be activated.

또한, 제어부(80)는 연결감지부(60)를 통해 기 연결된 옵션유닛의 연결 해제가 감지되는 경우, 연결 해제에 따른 옵션유닛의 비활성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제어기(C01)와 로컬제어기(R01)로 전송하여, 해당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가 비활성 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C01 and the local controller R01 to transmit data on the inactivity of the option unit due to the disconnection when the disconnection of the previously connected optional unit is det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60. [ So that the control menu for the option unit is deactivated.

한편, 로컬제어기를 통해 옵션유닛이 초기등록 되는 경우, 제어부(80)는 로컬제어기(R01)로부터 수신되는 옵션유닛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옵션유닛을 등록하여 데이터부(40)에 저장하고 연결된 옵션유닛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옵션유닛의 등록정보 및 활성화 데이터를 원격제어기(C01)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tion unit is initially registered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the control unit 80 registers the option unit in the data unit 40 according to the activation signal of the option unit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ler R01,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unit. Further, the control unit 80 transmi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activation data of the option unit to the remote controller C01.

이때, 제어부(10)는 연결된 옵션유닛이 기 등록된 옵션유닛인 경우에는 데이터부(40)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옵션유닛의 활성화에 따른 데이터 데이터를 원격제어기(C01) 또는 로컬제 어기(R01)로 전송한다.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ed option unit is the pre-registered option unit, the control unit 10 activates the control function for the option unit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40, To the remote controller C01 or the local controller R01.

도 5 는 도2의 로컬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제어기(R01)는 로컬제어기 입력부(120), 로컬제어기출력부(130), 로컬제어기데이터부(140), 로컬제어기통신부(150), 로컬제어기제어부(110)를 포함한다. 5, the local controller R01 includes a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a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30, a local controller data unit 140, a local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150, a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

로컬제어기입력부(12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터치입력수단을 더 포함한다. 로컬제어기출력부(130)는 로컬제어기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연결된 실내기의 동작상태, 실내기에 연결 옵션유닛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경고음 또는 효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램프를 포함한다.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further includes touch input means as the case may be. The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30 include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data inpu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ed indoor unit,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ion option unit in the indoor unit, a speaker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an effect sound, .

로컬제어기데이터부(140)는 로컬제어기를 통한 실내기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로컬제어기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로컬제어기출력부(130)의 화면 설정데이터가 저장되며, 통신부(50)를 통해 수신되는 실내기 및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설정데이터 및 동작상태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로컬제어기데이터부(140)는 신규 장착된 옵션유닛이 초기 등록되는 경우, 옵션유닛의 정보에 따른 등록정보가 저장된다. The local controller data unit 140 stores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setting data inpu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and screen setting data of the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30, The control setting data and the operation state data for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 unit which are received through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al unit are stored. In particular, when the newly installed option unit is initially registered, the local controller data unit 140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로컬제어기통신부(150)는 실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서, 로컬제어기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실내기 제어명령 및 옵션유닛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동작상태 및 옵션유닛의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The local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the indoor unit control command and the option unit control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by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the indoor unit, and receiv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optional unit.

로컬제어기제어부(110)는, 수신되는 실내기 및 옵션유닛의 동작상태가 로컬제어기 표시부(130를 통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로컬제어기 입력부(120)를 통 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로컬제어기 통신부(150)를 통해, 해당 실내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The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causes the operation states of the received indoor unit and the optional unit to be output to the screen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display unit 130 and to output a control command in response to the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And controls it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indoor uni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150. [

또한, 로컬제어기제어부(110)는 전술한 도4에서와 같이, 실내기 자동감지 기능을 통해 신규 연결되는 옵션유닛이 초기 등록된 경우, 실내기(I)의 통신부(50)로부터 로컬제어기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옵션유닛의 등록정보 및 활성화 데이터를 로컬제어기데이터부(140)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로컬제어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해당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4, when the option unit newly connected through the automatic indoor unit detection function is initially registered, the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local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150 from the communication unit 50 of the indoor unit I, Stored in the local controller data unit 140 and controls the control menu for the corresponding option unit displayed on the local controller display unit 130 to be activated.

또한, 로컬제어기제어부(110)는 실내기(I)로부터 옵션유닛의 연결해제에 따른 비활성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가 비활성 되도록 한다. Also, the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causes the control menu for the option unit to be deactivated when data on inactivity due to disconnection of the option unit from the indoor unit I is received.

한편, 로컬제어기는 실내기에 신규 장착된 옵션유닛을 초기 등록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tional unit newly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is initially registered, the local controller is as follows.

로컬제어기제어부(110)는 로컬제어기입력부(120)를 통해 옵션유닛 초기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옵션유닛의 설정을 변경하는 메뉴가 로컬제어기출력부(13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로컬제어기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내기에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을 초기 등록하고 실내기(I)로 옵션유닛에 대한 활성화신호를 전송한다. When an option unit initial registration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the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causes a menu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option uni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30, (120), and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for the optional unit to the indoor unit (I).

로컬제어기제어부(110)는 실내기(I)로부터 수신되는 옵션유닛에 대한 데이터에 대응하여 해당 옵션유닛을 설정하고, 실내기에 연결되지 않은 옵션유닛에 대해서는 해당 제어메뉴를 비활성화 하여, 사용자 입력을 통한 선택이 불가능 하도록 함으로서 설정을 제한하고, 연결되어 있는 옵션유닛에 대하여 초기 등록 및 설정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The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sets the corresponding op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data of the option unit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I and deactivates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for the option unit no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initial registration and setting change of the connected option unit can be performed.

도 6 은 도2의 로컬제어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ure 2;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제어기는 로컬제어기출력부(130)로 소정의 표시화면을 포함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로컬제어기입력부(120)가 전면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6, the local controller includes a predetermined display screen on the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30, and a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to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로컬제어기출력부(130)는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실내기 운전에 따른 설정값과 현재값을 표시하고, 옵션유닛에 대한 설정정보를 출력한다. The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30 divides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displays a set value and a current value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peration, and outputs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tion unit.

로컬제어기입력부(120)는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가변제어하는 온도조절버튼(B01,B02), 운전 또는 운전정지되도록 하는 운전정지버튼(B40), 실내기의 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운전선택버튼(B31), 옵션유닛을 등록 및 설정하는 부가운전버튼(B32), 옵션유닛 중 환기장치에 대한 제어 및 설정을 위한 환기버튼(B39), 기능설정버튼(B33), 상하좌우 커서 이동을 위한 이동키(B21 내지 B24), 설정종료버튼, 설정해제버튼(B38), 현재 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실내온도버튼(B35),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바람세기버튼(B36), 바람의 방향을 설정하는 바람방향버튼((B37), 예약모드를 설정 및 시간 조정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예약버튼(B34)를 포함한다.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includes temperature control buttons B01 and B02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set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an operation stop button B40 for operating or stopping operation, an operation selection button B31 for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indoor unit, An additional operation button B32 for registering and setting the option unit, a ventilation button B39 for controlling and setting the ventilation device among the optional units, a function setting button B33, a movement key B21- B24), a setting end button, a setting release button (B38), a room temperature button (B35) for displaying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a wind intensity button (B36) for controlling the wind intensity, a wind direction button (B37), a reservation button (B34) for setting a reservation mode and a command for time adjustment.

로컬제어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에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을 초기 등록할 수 있다. The local controller can initially register an option unit newly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로컬제어기입력부(120)의 복수의 버튼 중, 부가운전버튼(B32)이 입력되면, 로컬제어기제어부(110)는 부가운전 기능을 수행하는 옵션유닛 을 등록 및 설정하는 메뉴가 로컬제어기출력부(130)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환기버튼이 조작되면, 옵션유닛 중 환기장치를 등록 및 설정하는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다. When the additional operation button B32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s of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he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menu for registering and setting the option unit performing the additional operation function is local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controller output unit 130. When the ventilation button is operated, a menu for registering and setting the ventilation unit among the option units is displayed.

부가운전버튼(B32 조작 후, 이동키(B21 내지 B24)가 조작되거나, 부가운전버튼(B32)가 여러번 조작되면, '히터', '가습', '공기청정', FAN자동'으로 커서가 순차적으로 반복 이동된다.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이 히터인 경우, '히터'에 커서가 이동된 상태에서 설정해제버튼(B38)이 입력되면 '히터'가 설정 등록되고, 설정해제버튼(B38)이 재입력되면 설정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히터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히터가 운전되거나 또는 운전정지버튼(B40)의 조작에 의해 히터가 동작되거나 동작정지 된다. When the operation keys B21 to B24 are operated after the additional operation button B32 is operated or the additional operation button B32 is operated several times, the cursor is sequentially set to 'heater', 'humidification', 'air clean' If the newly connected option unit is a heater, the 'heater' is set and registered when the setting release button B38 is input while the cursor is moved to the 'heater', and the setting release button B38 is reentered When the heater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heater is automatically operated or the heater is operated or stopp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op button B40.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이 환기장치인 경우, 환기버튼(B39)이 조작되면, 환기메뉴가 표시되어 등록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환기버튼(B39) 조작 후 운전선택버튼(B31)이 조작되면, 환기운전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When the newly connected option unit is the ventilator, when the ventilation button B39 is operated, the ventilating menu is displayed and registration setting becomes possible. When the operation selection button B31 is operated after the ventilation button B39 is operated, the ventilation operation mode is set.

실내기 자동감지 기능에 따라 옵션유닛이 설정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로컬제어기(R01)를 통해 각 옵션유닛에 대하여 운전이 설정 되거나 변경된다. Even if the option unit is set according to the automatic indoor unit detection function, the operation is set or changed for each option uni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R01 as described above.

한편, 옵션유닛이 실제 연결되지 않거나 등록되지 않아 실제 동작되지 않는 부가기능에 대해서는 커서가 이동되지 않고 다음 항목으로 스킵된다. On the other hand, for an add-on that is not actually connected because the option unit is not actually connected or registered, the cursor is not moved but skipped to the next item.

도 7 은 도2의 로컬제어기의 제어화면의 환기메뉴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8 은 도2의 로컬제어기의 제어화면의 부가운전메뉴가 도시된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entilation menu of the control screen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 2, and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operation menu of the control screen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버튼(B39)이 조작되면, 로컬제어기출력부(130) 에는 환기메뉴가 표시된다. 이때, 환기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환기버튼(B39)이 조작되더라도, 환기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ventilation button B39 is operated, the ventilation menu is displayed on the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30. [ At this time, 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not connected, the ventilation menu is not displayed even if the ventilation button B39 is operated.

환기메뉴에서 환기운전모드가 선택되어 운전정지버튼(B40)조작에 따라 운전되도록 설정되면, 로컬제어기제어부(110)는 환기운전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I)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I)는 연결된 옵션유닛 중, 환기장치를 제어하여 설정에 따라 환기운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If the ventilation mode is selected in the ventilation menu and is set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op button B40, the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operation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indoor unit I. Accordingly, the indoor unit I controls the ventilation unit among the connected optional units so that the venti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tting.

여기서, 옵션유닛의 운전상태, 즉 '운전 중' 과 '운전정지' 인 상태에 대하여, 해당 옵션유닛의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환기장치가 운전중인 경우에는 도7의 (a)와 같이 화면에 환기메뉴화면에 '환기' 표시(11a)가 표시되고, 환기장치가 운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7의 (b)와 같이 환기메뉴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다(11b). Here, the operation status can be confirmed by displaying the menu of the option unit on the screen or not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option unit, that is, the status of 'during operation' and 'operation stop'. When the ventilator is in operation, a 'ventilation' indication 11a is displayed on the ventilator menu screen as shown in FIG. 7 (a), and when the ventilator is not operated, The screen is not displayed (11b).

환기메뉴화면에서 운전선택버튼(B31)이 조작되면, 도7의 (c)와 같이 환기운전모드의 선택항목이 표시되고, 이동키(B21 내지 B24) 또는 운전선택버튼(B31)의 조작에 따라 전열, 자동, 급속, 절전 중 어느 하나의 환기운전모드로 커서가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설정해제버튼(B38) 조작 시 운전모드가 설정된다. When the operation selection button B31 is operated on the ventilating menu screen, the selection item of the ventilation operation mod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C. When the operation keys B21 to B24 or the operation selection button B31 are operated, , The cursor is sequentially moved to one of the automatic, rapid, and power saving ventilation operation modes, and the operation mode is set when the setting release button B38 is operated.

또 다른 예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유닛의 운전상태, 즉 운전 중과 운전정지 인 상태에 대하여 표시할 뿐 아니라, 옵션유닛의 등록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display not only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that is, the state during operation and the operation stop, but also indicate whether or not the option unit is registered.

예를 들어, 옵션유닛이 연결되지 않아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부가운전의 해당 항목이 흐리게 표시되도록 하고, 커서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등록된 옵 션유닛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이 진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For example, if the option unit is not connected and is not registered, the corresponding item of the additional operation is displayed in a blurred state, and the movement of the cursor is disabled. For a registered option unit, make sure that the item is displayed in bold.

옵션유닛 중 히터가 추후 연결된 경우, 도8의 (a)와 같이 부가운전메뉴(13a)중 히터의 항목이 흐리게 표시되었다가, 실내기 자동 감지 기능 또는 로컬제어기를 통한 옵션유닛 초기등록에 절차에 따라 히터가 등록되면, 도 8의 (b)와 같이 히터 항목(14)이 진하게 표시되어 변경된 부가운전메뉴(13b)가 화면에 출력된다. 경우에 따라 등록되지 않는 옵션제품은 항목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운전 중인 경우에는 진한글자, 운전 정지된 경우에는 흐린 글자로 표시될 수 있다. If the heater is later connected to the option unit, the item of the heater in the additional operation menu 13a is dimmed as shown in (a) of FIG. 8, and the procedure of initializing the optional unit through the automatic detection of the indoor unit or the local controller When the heater is registered, the heater item 14 is displayed in dark and the changed additional operation menu 13b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 (b). In some cases, an option product that is not registered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item is not display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9 는 도2의 실내기의 옵션유닛 감지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an option unit sensing method of the indoor unit of FIG.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에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은 실내기의 자동 감지 기능을 통해 초기 등록된다. As shown in FIG. 9, the option unit newly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s initially registered through the automatic detection function of the indoor unit.

실내기(I)의 인터페이스부(70)에 구비된 연결단자를 통해 옵션유닛이 연결되면, 연결감지부(60)는 연결단자에 옵션유닛이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인가한다(S160). When the optional unit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interface unit 70 of the indoor unit I, the connection sensing unit 60 applie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indicating that the optional un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S160).

제어부(80)는 연결감지부(60)를 통해 연결이 감지된 옵션유닛이 기 등록된 유닛인지 판단하고, 새로 연결된 옵션유닛인 경우에는 해당 옵션유닛으로 제품정보를 요청한다(S170). 이때, 요청되는 옵션유닛의 제품정보는 옵션유닛의 종류, 모델명, 제조번호 등과 같은 데이터이다. 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whether the option unit sensed by the connection sensing unit 60 is a pre-registered unit. If the option unit is newly connected, the control unit 80 requests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option unit in step S170.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option unit is data such as the type, model name, manufacturing number, etc. of the option unit.

제어부(80)는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옵션유닛으로부터 요청된 제품정보가 수신되면(S180), 수신된 제품정보에 근거하여 옵션유닛을 초기 등록한다(S190). 제어부(80)는 초기 등록이 완료되면,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기능을 활성화 하고(S200), 옵션유닛의 데이터를 연결된 제어기로 전송한다(S210). 이때, 제어부(80)는 실내기에 연결된 로컬제어기(R01)와, 실외기(O01) 및 원격제어기(C01)로 신규 등록된 옵션유닛에 대한 등록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When the requested produc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ption unit through the interface unit 70 (S180), the control unit 80 registers the option unit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S190). When the initial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80 activates the control function for the option unit (S200) and transmits the data of the option unit to the connected controller (S21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80 transmi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local controller R01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ption unit newly registered to the outdoor unit O01 and the remote controller C01.

제어부(80)는 연결감지부(70)를 통해 연결된 옵션유닛의 연결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220). 옵션유닛이 정상 연결된 상태에서 로컬제어기(R01) 또는 원격제어기(C01)로부터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S230), 실내기는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옵션유닛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S240).The control unit 80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the optional unit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70 is connected (S220). When the option unit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local controller R01 or the remote controller C01, the indoor unit controls the option uni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S240) .

한편, 옵션유닛이 연결해제되는 경우(D220)에는 해당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기능을 비활성하고(S250), 옵션유닛이 연결해제 되어 비활성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원격제어기 또는 로컬제어기로 전송한다(S260). Meanwhile, when the option unit is disconnected (D220), the control function for the option unit is disabled (S250), and th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option unit is disconnected and disabled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ocal controller (S260).

또한, 실내기는 옵션유닛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 이거나 옵션유닛의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경우 이를 로컬제어기 또는 원격제어기로 전송한다. Further, the indoor unit transmits to the local controller or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option unit is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is variable.

한편, 연결된 옵션유닛이 신규 연결된 것이 아니라, 기 연결된 후 연결해제된 옵션유닛인 경유에는 데이터부(40)에 저장된 옵션유닛의 등록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옵션유닛의 제어기능을 활성화하고, 옵션유닛의 연결 및 활성화 데이터를 로컬제어기(R01) 또는 원격제어기(C01)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ed option unit is not newly connected, the control function of the option unit is activated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stored in the data unit 40, To the local controller R01 or the remote controller C01.

도 10 은 도9에서 감지된 옵션유닛의 정보를 원격제어기 또는 로컬제어기에서 등록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registering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sensed in FIG. 9 in a remote controller or a local controller.

전술한 도9와 같이 실내기가 연결되는 옵션유닛을 자동 등록하는 경우 로컬제어기 또는 원격제어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9, the local controller or the remote controller operates as follows.

로컬제어기(R01)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로부터 신규 등록된 옵션유닛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S270), 수신된 옵션유닛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옵션유닛을 등록하고(S280), 해당 옵션유닛의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메뉴를 활성화 시킨다(S290). 이때, 제어메뉴는 그 설정상태에 따라 진하게 또는 흐리게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변경 가능하다. 10, the local controller R01 registers the option unit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received option unit (S280) when the data on the newly registered option unit is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S270) The control menu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of the option unit is activated (S290). At this time, the control menu may be displayed dark or blurred depending on its setting state, which can be changed.

구비되는 버튼 조작에 따라 옵션유닛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S300), 해당 옵션유닛이 실내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그 연결상태를 우선 판단하고(S310), 정상 연결된 경우에는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을 실내기로 전송한다(S320). If a user command to the option unit is received in step S300,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option unit is determined first in step S310. If the option command is received in step S310, To the indoor unit (S320).

한편, 실내기로부터 옵션유닛 비활성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옵션유닛이 정상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옵션유닛의 제어메뉴를 비활성 시키거나 메뉴가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S330). 이때 옵션유닛의 연결상태 확인은,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된 경우 수행할 뿐 아니라,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시로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data on the option unit inactivity is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since the option unit is not normally connected, the control menu of the option unit is disabled or the menu is not displayed (S33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status confirmation of the option unit is performed not only when the control command for the option unit is received, but also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ven if the control command for the option unit is not inputted.

도 11 은 실내기에 연결된 옵션유닛을 로컬제어기를 통해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로컬제어기를 통해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이 등록되는 경우는 다음과같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ctivating an option unit connected to an indoor unit through a local controller. When a newly connected option unit is registered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the following is the case.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제어기는 옵션유닛에 대한 데이터가 로컬제어기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면(S340),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옵션유닛이 기 등록된 옵션유닛인지 판단하여,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인 경우 해당 옵션유닛을 초기 등록한다. 이때, 로컬제어기는 옵션유닛 초기 등록이 완료되면, 옵션유닛의 기능에 대한 제어메뉴를 활성화 시킨다(S350). 11, the local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op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is the pre-registered option unit, when the data for the option unit is input through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S340) In case of connected option unit, initialize the option unit. At this time, when the optional unit initial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local controller activates the control menu for the function of the option unit (S350).

로컬제어기는 초기 등록된 옵션유닛에 대한 활성화 신호를 실내기(I)로 전송한다(S360).The local controller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for the initially registered option unit to the indoor unit I (S360).

이때, 로컬제어기(R01)는 로컬제어기입력부(120)의 버튼 조작을 통해,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면(S370), 해당 옵션유닛이 연결된 실내기로 입력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At this time, the local controller R01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inputted to the indoor unit to which the option unit is connected through the button operation of the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20, when the control command for the optional unit is inputted (S370).

그 후, 로컬제어기는 옵션유닛의 상태변화에 대한 동작상태 데이터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각 유닛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가 갱신되어 화면에 표시된다(S390).Thereafter, when the operation status data on the status change of the option unit is received, the local controller update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each uni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39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로봇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옵션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도,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and an optional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2의 옵션유닛과 실내기의 연결구성이 도시된 도,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ption unit and the indoor unit of FIG. 2,

도 4 는 도2의 실내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이 도시된 블록도,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tion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of FIG. 2;

도 5 는 도2의 로컬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Figur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ure 2;

도 6 은 도2의 로컬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 2;

도 7 은 도2의 로컬제어기의 제어화면의 환기메뉴가 도시된 예시도,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ventilation menu on the control screen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 2,

도 8 은 도2의 로컬제어기의 제어화면의 부가운전메뉴가 도시된 예시도,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operation menu of the control screen of the local controller of FIG. 2,

도 9 는 도2의 실내기의 옵션유닛 감지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option unit sensing method of the indoor unit of FIG. 2,

도 10 은 도8에서 감지된 옵션유닛의 정보를 원격제어기 또는 로컬제어기에서 등록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registering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sensed in FIG. 8 in a remote controller or a local controller,

도 11 은 실내기에 연결된 옵션유닛을 로컬제어기를 통해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ctivating an option unit connected to an indoor unit through a local controll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C01: 원격제어기 I01 내지 I03, I: 실내기 C01: remote controllers I01 to I03, I: indoor unit

O01: 실외기 O01: outdoor unit

OP01 내지 OP04, OP1 내지 OP2: 옵션유닛OP01 to OP04, OP1 to OP2: Option unit

R01, R1,R2,R3: 로컬제어기R01, R1, R2, R3: Local controller

20: 입력부 30: 출력부20: input unit 30: output unit

40: 데이터부 50: 통신부40: data part 50: communication part

60: 연결감지부 7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60: connection detecting unit 70: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71,72,73: 연결단자 80: 제어부71, 72, 73: connection terminal 80:

110: 로컬제어기제어부 120: 로컬제어기입력부110: local controller control unit 120: local controller input unit

130: 로컬제어기출력부 140: 로컬제어기데이터부130: local controller output unit 140: local controller data unit

150: 로컬제어기통신부150: local controller communication section

Claims (16)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t least one outdoor unit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상기 실내기는 연결되는 옵션유닛을 감지하여, 상기 옵션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옵션유닛을 등록하고, 연결된 제어기로 상기 옵션유닛의 데이터를 전송하고,The indoor unit detects the connected option unit, registers the option unit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option unit, transmits the data of the option unit to the connected controller,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옵션유닛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유닛을 제어 가능한 유닛으로 등록하고,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controller registers the option unit as a controllable unit in response to data of the option unit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and activates a control menu for the op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실내기는 상기 옵션유닛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Wherein the indoor unit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option unit is connected; 상기 연결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옵션유닛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부;A connec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connection of the option uni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옵션유닛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option unit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연결감지부에 의해 옵션유닛이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옵션유닛으로 제품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되는 제품정보를 등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 control unit for requesting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op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registering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when the connection detection unit detects connection of the option unit; Wherein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n air conditioner.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유닛 등록 시,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기능을 활성화 하고, 상기 제어기로 상기 옵션유닛의 기능 활성화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function for the option unit when registering the option unit and transmits data on the function activation of the option unit to the controller.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감지부로부터 상기 옵션유닛의 연결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기능을 비활성 시키고, 상기 제어기로 상기 옵션유닛의 기능 비활성화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control unit disables the function of the option unit and transmits data on the function inactivity of the option unit to the controller when a connection failure of the option unit is detected from the connection detection uni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옵션유닛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옵션유닛의 상태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controller outputs status information of the option unit to the screen based on data of the option unit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옵션유닛이 연결된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로컬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controller is a local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o which the option unit is connected and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and transmits an input user command to the indoor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실내기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기 또는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로컬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controller is a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outdoor unit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or a local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t least one outdoor unit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옵션유닛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실내기로 활성화신호를 전송하는 로컬제어기를 포함하고, And a local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to the indoor unit so that an option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s activated corresponding to an input user command, 상기 실내기는 상기 로컬제어기로부터 상기 활성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옵션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옵션유닛을 제어 가능한 유닛으로 등록하고, 상기 옵션유닛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며,When the activ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ler, the indoor unit determines that the option unit is connected and registers the option unit as a controllable unit, activates the function of the option unit,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옵션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the local controller activates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the option unit.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옵션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동작상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local controller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indoor unit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the option unit and outpu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to the screen in response to data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Air conditioner.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실내기는 상기 로컬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옵션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옵션유닛의 동작상태를 상기 로컬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indoor unit controls the option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to the local controller.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실내기는 상기 옵션유닛의 동작상태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원격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indoor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tate of the option unit to a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outdoor uni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9, 상기 옵션유닛은 환기유닛, 공기청정유닛, 히터, 가습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op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ventilation unit, an air cleaning unit, a heater, and a humidifying unit. 실내기에 구비되는 연결단자에 옵션유닛이 장착됨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that an optional unit is mounted on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indoor unit; 상기 옵션유닛이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인지 판단하여, 신규 연결된 옵션유닛인 경우 옵션유닛으로 제품정보를 요청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option unit is a newly connected option unit and requesting product information as an option unit if the option unit is a newly connected option unit; 수신되는 제품정보에 따라 상기 옵션유닛을 초기 등록하고, 옵션유닛의 제어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Initializing the option unit according to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and activating a control function of the option unit; And 상기 옵션유닛의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And transmitting data of the option unit to a controller, 상기 옵션유닛 비활성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옵션 유닛의 제어메뉴를 비활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And deactivating the control menu of the option unit when data on the option unit inactivity is received. 로컬제어기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에 연결되는 옵션유닛에 대한 활성화 신호를 실내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for an option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o an indoor unit correspon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o the local controller;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메뉴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Activating a control menu for the option unit; And 상기 옵션유닛에 대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수신되는 옵션유닛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단계;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option unit to the indoor unit,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based on data of the option unit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를 포함하고,Lt; / RTI &gt; 상기 옵션유닛의 상태변화에 대한 동작상태 데이터가 수신되면, 각 유닛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updating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each unit when the operation state data for the state change of the option unit is received.
KR1020070109669A 2007-10-30 2007-10-30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4607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669A KR101460711B1 (en) 2007-10-30 2007-10-30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669A KR101460711B1 (en) 2007-10-30 2007-10-30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878A KR20090043878A (en) 2009-05-07
KR101460711B1 true KR101460711B1 (en) 2014-11-13

Family

ID=4085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669A KR101460711B1 (en) 2007-10-30 2007-10-30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31A (en) * 2017-09-19 2019-03-27 최진선 fume hood controller
KR20190070704A (en) 2017-12-13 2019-06-21 (주)세화하이테크 Ai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886B1 (en) * 2014-05-12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system
KR101747355B1 (en) 2015-12-23 2017-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188A (en) * 2002-12-02 2004-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s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network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7071428A (en) * 2005-09-06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nregistered indoor unit adding device in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188A (en) * 2002-12-02 2004-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s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network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7071428A (en) * 2005-09-06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nregistered indoor unit adding device in air conditio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31A (en) * 2017-09-19 2019-03-27 최진선 fume hood controller
KR101987787B1 (en) * 2017-09-19 2019-09-30 최진선 fume hood controller
KR20190070704A (en) 2017-12-13 2019-06-21 (주)세화하이테크 Air Purifier
KR102080556B1 (en) * 2017-12-13 2020-02-24 (주)세화하이테크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878A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8931B2 (en) HVAC schedule with designated off periods
US10422543B2 (en) Remote control of an HVAC system that uses a common temperature setpoint for both heat and cool modes
US7454269B1 (en) Programmable thermostat with wireless programming module lacking visible indicators
KR101472019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74777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H05264094A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ir conditioning controller
KR102206459B1 (en) An Air-Conditioner AND A Controlling Method
WO201519397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1460711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107316A (en) Air-conditioner system
JP2004309121A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KR102140067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JP4930493B2 (en) Air conditioner
KR20170090668A (en) Air-condition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028096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in emergency thereof
KR102192787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102206460B1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0765165B1 (en)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method
KR102155558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JP6687063B2 (en) Ventilation system
KR102101655B1 (en) Control system of venturi type variable air volume unit and method of the same
KR20100081848A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010982A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KR20100026347A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84404B1 (en) Air-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