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366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366B1
KR101460366B1 KR1020080064982A KR20080064982A KR101460366B1 KR 101460366 B1 KR101460366 B1 KR 101460366B1 KR 1020080064982 A KR1020080064982 A KR 1020080064982A KR 20080064982 A KR20080064982 A KR 20080064982A KR 101460366 B1 KR101460366 B1 KR 101460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power
saving mode
us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75A (ko
Inventor
구윤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3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절전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0)와, 상기 입력된 절전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0), 그리고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절전스케줄 정보 및 현재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밝기조절모드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원을 종료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환경 또는 사용상태를 사용자 스케줄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배터리, 절전모드, 스케줄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Pow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절전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네비게이션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인터넷 매체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CD 또는 DVD 등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가 온라인 상에서 공개되는 유씨씨(UCC: User Created Content)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공간을 초월하여 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가 제공되어 사용자는 이동하는 중에도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의 빠른 보급으로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전은 더욱 촉진되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중에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또는 무선 인터넷에의 접속을 위해 휴대성이 중요시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크기도 점차 소형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전원을 종료하지 않고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케줄 설정에 의한 전원종료 기능이 지원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원을 종료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시각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환경 또는 사용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원을 종료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시각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환경 또는 사용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절전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절전스케줄 정보 및 현재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밝기조절모드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절전스케줄 및 절전모드는 실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로 각각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는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설정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절전스케줄 정보 및 현재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밝기조절모드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입력된 절전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의 입력을 통해 설정된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은 (d)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e)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에 대한 설정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c2)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원을 종료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환경 또는 사용상태를 사용자 스케줄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는 입력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절전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는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의 진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음악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각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절전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시각에 일회적으로 또는 일정한 시간의 주기로 반복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절전모드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이다.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특정 절전모드에의 진입주기에 대한 정보, 특정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에 대한 정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절전모드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특정 절전모드에의 진입주기를 일회, 매일 또는 일주일 중 특정 요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을 오전 또는 오후의 특정 시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밝기조절모드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에서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절전모드 진입주기를 '한번'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번'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일회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절전모드에 진입시키기 위한 설정에 해당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한번'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진입시각에 일회적으로 절전모드에의 진입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절전모드 진입시각을 오전 10:00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절전모드 진입시각을 오전 또는 오후의 특정 시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절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지원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DMB 수신 프로그램, 이미지뷰어 프로그램, 텍스트뷰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밝기조절모드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밝기조절모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보다 어두운 밝기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딤머(Dimmer) 디스플레이 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이 0인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Movie', 'Music', 'DMB', 'Photo', 'Text'로 표현되는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Display OFF', 'Display Dimmer', 'Power OFF', '절전모드 없음'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밝기조절모드가 하나의 딤머 디스플레이 상태와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딤머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밝기레 벨에 따라 복수 개의 밝기조절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의 진입 또는 상기 절전모드로부터의 이탈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후술할 메시지출력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절전모드에 진입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가 제공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절전모드로부터의 이탈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한편,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저장부(2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2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절전스케줄 정보는 제어부(30)에 의해 현재시각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설정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면 후술할 메시 지출력부(40)를 통해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가 출력되고, 상기 선택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절전스케줄이 설정되어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이탈하여 정상모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정상모드에 진입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절전스케줄 정보에 따른 절전모드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메시지출력부(40)는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출력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를 팝업 창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출력부(40)는 오디오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면 알람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입력요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출력부(40)에 의한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에 대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진입 여부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메시지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절전모드에 진입하지 않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이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절전스케줄에 따라 절전모드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동작 상태에서의 사용자 방치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은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여기서,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각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절전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시각에 일회적으로 또는 일정한 시간의 주기로 반복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절전모드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이다.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특정 절전모드에의 진입주기에 대한 정보, 특정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S110).
이때,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어서,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의 입력을 통해 설정된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 13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20 단계를 재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1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다(S130).
이때, 상기 절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밝기조절모드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밝기조절모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보다 어두운 밝기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딤머(Dimmer) 디스플레이 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이 0인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이때,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15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140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는 상기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이탈하여 정상모드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정상모드에 진입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 1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한다(S15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200).
이때,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절전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DMB 수신 프로그램, 이미지뷰어 프로그램, 텍스트뷰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컨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는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의 진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음악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절전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S210).
이때,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때,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제 23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 220 단계를 재수행한다.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경우와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및 DMB 수신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매일 오후 12시 이후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을 낮게 설정하는 절전모드를 선택하고, 음악 재생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상기 절전스케줄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악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는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 진입시각을 현재시각과 비교함으로써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고, 상기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및 DMB 수신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에만 상기 절전모드 진입시각을 현재시각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 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절전스케줄이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의 입력을 통해 설정된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상기 절전모드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 24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절전모드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20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제 2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시각이 현재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에의 진입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이때,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25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상기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40 단계를 재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2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다(S250).
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절전스케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하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이때,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27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60 단계를 재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26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한다(S27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절전스케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원을 종료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환경 또는 사용상태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에서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화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입력부 20: 저장부
30: 제어부 40: 메시지출력부

Claims (11)

  1. 사용자로부터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절전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절전스케줄 정보 및 현재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그리고
    절전모드로의 집입 여부에 대한 선택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지지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는, 절전모드로의 진입시각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절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절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밝기조절모드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절전스케줄 정보 및 절전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메시지출력부를 통하여 선택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절전모드로 집입하거나 선택메시지 출력 후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5. 삭제
  6. 절전스케줄 정보 및 현재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에 있어서,
    절전모드로의 진입시각과, 각각의 오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절전모드를 포함하는 절전스케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절전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절전스케줄 정보에 따라, 절전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인가의 여부에 대한 선택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선택메시지에 의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선택메시지 출력 후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전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레벨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밝기조절모드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전원종료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스케줄 및 절전모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로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스케줄에 따른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방법.
  11. 삭제
KR1020080064982A 2008-07-04 2008-07-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KR101460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82A KR101460366B1 (ko) 2008-07-04 2008-07-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82A KR101460366B1 (ko) 2008-07-04 2008-07-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75A KR20100004675A (ko) 2010-01-13
KR101460366B1 true KR101460366B1 (ko) 2014-11-10

Family

ID=4181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982A KR101460366B1 (ko) 2008-07-04 2008-07-04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30B1 (ko) * 2014-11-07 202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 모드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6678B1 (ko) * 2014-12-04 2016-10-14 (주)이오시스템 근접 센서를 이용한 관측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85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19990054607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컴퓨터에서의 휴식모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23809A (ko) * 2001-09-14 200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85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19990054607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컴퓨터에서의 휴식모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23809A (ko) * 2001-09-14 200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75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0675B2 (en) Anticipatory power management for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US8271054B2 (en) Selective battery power management
US20100048139A1 (en) Battery power consumption control
US20100138838A1 (en) Method for executing scheduled task
KR20120049604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50019053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원 제어 방법
CN104020837B (zh) 音频播放电源管理方法及电源管理装置
US94081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d executing function profil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2083787A (zh) 应用程序运行模式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00328284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10099404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on-chip
KR10146036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CN112449052B (zh) 电量提示的调整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0644437B1 (ko) 음악 자동 정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악 정지방법
KR101521907B1 (ko)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JP2006270253A (ja) 記録再生装置
KR100693364B1 (ko)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KR101243534B1 (ko)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022962A (zh) 流量控制方法和流量控制装置
CN114358747B (zh) 日历事件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030023809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방법
EP1513147A3 (en) Video player
KR1006220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재생모듈의 제어 방법
JP2003348514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KR20070031069A (ko) 배터리 잔량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동작상태 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