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582B1 - portable charger - Google Patents

portable char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582B1
KR101456582B1 KR20140017902A KR20140017902A KR101456582B1 KR 101456582 B1 KR101456582 B1 KR 101456582B1 KR 20140017902 A KR20140017902 A KR 20140017902A KR 20140017902 A KR20140017902 A KR 20140017902A KR 101456582 B1 KR101456582 B1 KR 10145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unit
mode switching
delete delet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7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백호
Original Assignee
(주)인터케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케스트 filed Critical (주)인터케스트
Priority to KR2014001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82B1/en
Priority to PCT/KR2014/004374 priority patent/WO201512257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ortable charger having a shape and a size such as those of a name card or a credit card, having an emblem such as an advertisement, or the like, mark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on-the-go (OTG) interface. The portable charger comprises a hou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a circuit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housing. The circuit unit comprises a first connector receiving external power or data, a second connector outputting internal power or data, a third connector receiving data of a memory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a charging/discharging unit charging input power through the first connector and discharging charged power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and an interface control unit outputting input data to the second connector through a first connector or the third connector, or outputting input data to the memory through the first connector.

Description

휴대용 충전 장치{portable charger}Portable charger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명함 또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외면에 광고 등과 같은 표장(emblem)이 표시되며, USB(Universal Serial Bus) OTG(On-The-Go)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ing device having a shape and size such as a business card or a credit card, displaying an emblem such as an advertisement on an external surface thereof, and a USB (Universal Serial Bus) OTG -Go) interface function.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의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간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despite the development of battery technolog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phone, the battery charging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imited to a certain extent.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해 주어야 한다.Accordingly, in order for the user to continuously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charged periodically.

일 예로, 사용자가 집이나 사무실로부터 외출할 경우, 갑작스런 통화량의 증가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량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배터리가 방전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을 위하여, 편의점이나 기타 전자장치 충전소를 찾아야 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leaves the home or office,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due to a sudden increase in the call volume or an increase in the usage amou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y use a convenience store or other electronic device charging station .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킬 경우, 충전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므로, 급한 통화가 필요할 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rged by this method, the charging time takes a long time.

그러므로, 향후, 이동통신 단말기,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배터리가 갑자기 방전되었을 때,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충전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future, when a battery of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ame machine,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suddenly discharges, it can be easily and easily charg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 USB OTG interface function, and the like.

한국등록특허 제0433397호 : 보조전원장치 겸용 카드형장치 및 그 카드형장치를이용하는 호스트Korean Registered Patent No. 0433397: Card-type device serving both as an auxiliary power supply device and a host using the card-type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에 회로부를 배치함으로써, 명함 또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은 작은 크기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외면에 광고 등과 같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어 광고 및 홍보 효과가 뛰어나며,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고, 충전이 빠르며,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a small size such as a business card or a credit card by arranging a circuit part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o display a mark such as an advertisement on the outer surface,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charging device that ha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 USB memory function and a USB OTG interface function and is quick in charging and easy to carr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충전 장치는,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회로부는, 외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커넥터와, 내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커넥터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3 커넥터와,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를 통해, 방출하는 충/방전부와, 제 1 커넥터 또는 제 3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2 커넥터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ortab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space and a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housing, A second connector for outputting power or data therein, a third connector for receiving data of a memory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a second connector for charging the input power through the first connector,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the second connector or outputting the input data through the first connector through the charging / discharging part for discharging the charged power via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or the third connector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memory.

여기서, 상판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이 표시될 수 있다.Here, a predetermined emblem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그리고,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간격은, 약 1 - 10mm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about 1 - 10 mm.

이어, 제 2 커넥터는,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의 안착부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 출력 단자부와, 출력 단자부로부터 회로부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may include an output terminal por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is mounted on or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cable which is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from the output terminal portion.

여기서, 제 2 커넥터의 케이블은, 제 2 커넥터의 출력 단자부가 하우징의 안착부에 장착될 때,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제 2 커넥터의 출력 단자부가 하우징의 안착부로부터 분리될 때, 하우징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Here, the cable of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when the output termin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is mounted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when the output termin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

또한, 회로부는, 충전 모드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부로 출력하는 모드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unit may include a mode switching unit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a charging mode or a data communication mode and outputting the switching signal to the interface control unit.

그리고, 회로부는,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에 따른 현재 진행 중인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circuit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rent mode in accordance with mod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ing unit.

이어, 충/방전부는, 제 1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부와,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로 전송시키는 전원 승압부와, 배터리부 및 전원 승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includes a battery unit for charging a power source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a power source voltage step-up unit for stepping up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battery unit and transferring the power source to the second connector, . ≪ / RTI >

여기서, 충/방전부는, 배터리부와 전원 승압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battery prot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and the power source voltage up unit to control overcharge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그리고, 충/방전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may include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an internal power sourc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에 회로부를 배치함으로써, 명함 또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은 작은 크기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외면에 광고 등과 같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어 광고 및 홍보 효과가 뛰어나며,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고, 충전이 빠르며,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to a small size such as a business card or a credit card by displaying a circuit such as an advertisement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by arranging a circuit part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USB memory function and USB OTG interface function, and is fast in charging and easy to car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로부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현재 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폰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와 외부 PC와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와 스마트 폰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ry of Figure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splaying the current mode state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ttery charging method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phone charging method using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charging device and an external P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charg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충전 장치는,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상판(110)과 하판(12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portable charg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100 including a top plate 110 and a bottom plate 12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space therebetween, a top plate 110 and a bottom plate 120, And a circuit unit 200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circuit board 200.

여기서, 회로부(20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커넥터(210), 내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커넥터(220),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3 커넥터(230),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220)를 통해, 방출하는 충/방전부(미도시), 및 제 1 커넥터(210) 또는 제 3 커넥터(2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2 커넥터(220)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ircuit unit 200 includes a first connector 210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or data, a second connector 220 for outputting internal power or data, a third connector 220 for receiving data of a memory inserted from the outside, A charging / discharging unit (not shown) for charging the input power source through the connector 230 and the first connector 210 and discharging the charged power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20, (Not shown) that outputs input data to the second connector 220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10 or the third connector 230 or outputs the input data to the memory via the first connector 210 .

그리고, 상판(110) 및 하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이 표시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emblem may be display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여기서, 표장은,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의 결합과 거기에 색체를 결합한 것일 수 있다.Here, the mark may be a symbol, a character, a figure, a three-dimensional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 color body combined with it.

이러한 표장은, 명함, 신용카드, 홍보물 등에 관련되는 디자인 및 광고 등일 수 있다.Such a mark may be a design and an advertisement related to a business card, a credit card, a publicity material,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홍보 및 광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us, the fil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ublicity and advertising.

그리고,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의 간격 d은, 약 1 - 10mm일 수 있는데, 약 3 - 5mm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distance 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may be about 1 to 10 mm, preferably about 3 to 5 mm.

또한, 상판(110)과 하판(120)의 면적은, 명함 또는 일반 신용카드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The area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may be about the size of a business card or a general credit card.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휴대가 용이하다.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because of its light weight.

상판(110)과 하판(120)은, 불투과성 부재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투광성 부재 또는 반투광성 부재일 수 있다.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may be an impermeable member, but may be a light transmissive member or a semitransparent member, as the case may be.

예로서, 상판(110)과 하판(120)은,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상 올레핀 코폴리(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광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may be formed of an acrylic resi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polystyrene (P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cyclic olefin copoly ),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high permeability plastic such as resin, and the like.

그리고, 상판(110)과 하판(120)의 외면에는, 소정의 패턴이 배치될 수 있는데, 패턴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다.A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the pattern may display a predetermined emblem.

여기서, 표장은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의 결합과 거기에 색체를 결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a mark may mean a symbol, a letter, a figure, a three-dimensional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 color body combined therewith.

경우에 따라, 패턴은, 상판(110)과 하판(12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일 수 있는데,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In some cases, the pattern may be a projection project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where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projections is composed of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angle between the face and the second face may be obtuse or acute.

예를 들면, 패턴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atter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and the projections may be in a stripe shape.

경우에 따라, 패턴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패턴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pattern may be at least one of an embossing pattern, an engraving pattern, and a printing pattern, and in some cases, the patter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uorescent particles have.

그리고, 제 1 커넥터(210)는, 제 1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220)는, 제 2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nd, the first connector 21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이때, 제 1, 제 2 전자장치는,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일 수도 있는데,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ectronic devices may be a mobile terminal or a fixed terminal. Examples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and the fixed terminal may include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이어, 제 1 커넥터(210)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220)의 연결 핀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number of connection pins of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number of connection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the same.

일 예로, 제 1 커넥터(210)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소켓일 수 있고, 제 2 커넥터(220)는, USB 플러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210 may be a USB (Universal Serial Bus) socket,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a USB plug.

경우에 따라, 제 2 커넥터(220)도, USB 소켓일 수 있다.Optionally,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also be a USB socket.

다른 예로서, 제 1 커넥터(210)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220)의 연결 핀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number of connection pins of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number of connection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제 1 커넥터(210)의 연결 핀과 제 2 커넥터(220)의 연결 핀의 크기 또는 길이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of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connection pin of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have different sizes or lengths.

일 예로, 제 1 커넥터(210)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소켓일 수 있고, 제 2 커넥터(220)는, 5핀 마이크로 소켓 (5pin micro socket) 또는 5핀 마이크로 플러그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210 may be a USB (Universal Serial Bus) socket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a 5-pin micro socket or a 5-pin micro plug, It does not.

즉, 제 1 커넥터(210)와 제 2 커넥터(220)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 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have various types of connection pin structures.

또한, 제 1 커넥터(210)와 제 2 커넥터(220)는,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그 이유는, 충전 장치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기 위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thickness of the charging device is made thin.

또한, 제 1 커넥터(210)와 제 3 커넥터(230)는,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커넥터(210)의 개구부와 제 3 커넥터(230)의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third connector 2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opening of the third connector 230 are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

여기서, 제 1 커넥터(210)는, USB 소켓일 수 있고, 제 3 커넥터(230)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소켓일 수 있다.Here, the first connector 210 may be a USB socket, and the third connector 230 may be a SD (Secure Digital) memory socket.

그리고, 제 1 커넥터(210)와 제 3 커넥터(230)는, 하우징(100) 내에 고정 배치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220)는, 하우징(100) 내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third connector 230 may be fixedly disposed within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detachable within the housing 100.

여기서, 제 2 커넥터(220)의 탈착 방향은, 제 1 커넥터(210)와 제 3 커넥터(230)의 개구부의 배치 방향에 대해, 수직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 the attachment / detachment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penings of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third connector 2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로, 제 2 커넥터(220)는,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100)의 안착부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 출력 단자부(222)와, 출력 단자부(222)로부터 회로부(200)에 연결되는 케이블(2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20 includes an output terminal portion 222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mounted or separated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222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200 from the output terminal portion 222. [ And a cable 224 connected to the cable 224.

여기서, 제 2 커넥터(220)의 케이블(224)은, 제 2 커넥터(220)의 출력 단자부(222)가 하우징(100)의 안착부에 장착될 때, 하우징(10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220)의 출력 단자부(222)가 하우징(100)의 안착부로부터 분리될 때, 하우징(10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Here, the cable 224 of the second connector 220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when the output terminal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nector 220 is mounted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100, When the output terminal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nector 220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100, the output terminal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이어, 회로부(200)는, 충전 모드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는 모드 전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unit 200 may include a mode switching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a charging mode or a data communication mode and outputting the switching signal to an interface control unit (not shown).

여기서, 모드 전환부(미도시)는, 하우징(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에 배치되는 모드 전환 버튼(240)의 눌림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mode switching unit (not shown) can generate the switching signal by press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10 or the lower plate 120 of the housing 100.

이때, 모드 전환 버튼(240)은, 회로부(200)의 제 1 커넥터(210)와 제 3 커넥터(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third connector 230 of the circuit unit 200.

또한, 회로부(200)는, 모드 전환부(미도시)의 모드 전환에 따른 현재 진행 중인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a current mode in accordance with mode switching of a mode switching unit (not shown).

여기서, 표시부(미도시)는, 현재 진행 중인 모드에 따라,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를 포함하는데, 발광 다이오드(250)는, 하우징(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에 노출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not show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250 that emit light according to the current mode of operation. The light emitting diodes 25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late 110 or the lower plate 120 of the housing 100, Lt; / RTI >

이때, 발광 다이오드(250)가 노출되는 영역은,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 버튼(24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ea where the light emitting diode 250 is expos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of the mode switching unit.

예를 들면, 모드 전환 버튼(240)이 상판(110)에 배치되면, 발광 다이오드(250)도 상판(110)에 배치되고, 모드 전환 버튼(240)이 하판(120)에 배치되면, 발광 다이오드(250)도 하판(120)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is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10, the light emitting diode 250 is also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10. When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is disposed on the lower plate 120, (250) may also be disposed on the lower plate (120).

그 이유는, 모드 전환 버튼(240)과 발광 다이오드(250)가 상판(110) 또는 하판(120)에 함께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드 동작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ason is that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250 are disposed together in the upper plate 110 or the lower plate 120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그리고, 충/방전부(미도시)는,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220)를 통해, 방출할 수 있는데, 제 1 커넥터(2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부와,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220)로 전송시키는 전원 승압부와, 배터리부 및 전원 승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not shown) can charge the input power sour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10 and discharge the charged power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20, A power supply step-up unit for stepping up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and transmitting the stepped-up power to the second connector 220,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attery unit and the power supply step-up unit .

여기서, 배터리부는, 제 1 커넥터(2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unit can charge the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210 with a power source of 500 mA or less at maximum.

그 이유는, 배터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unit.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210)로부터 약 5V의 전원이 입력될 경우, 배터리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부는,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함으로써, 안정된 전압 및 전류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ower source of about 5 V is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210,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unit, the battery unit can be charged with a power source of up to 500 mA or less, have.

그리고, 충/방전부의 전원 승압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220)로 전송시킬 수 있다.The power supply voltage-up unit of the charge / discharge unit can increas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to the second connector 22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여기서, 전원 승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5V로 승압할 수 있다.Here, the power supply voltage boosting unit can boos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to about 5V.

그 이유는, 제 2 커넥터(220)에 연결되는 제 2 전자장치의 충전 전압이 약 5V이고, 충전 장치의 배터리부에 충전되는 전압이 약 5V 이하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20 is about 5 V and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is about 5 V or less.

일 예로,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이 약 3.7V인 경우, 전원 승압부는, 약 3.7V의 전압을 약 5V로 승압시켜, 제 2 커넥터(20)를 통해, 제 2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section is about 3.7 V, the power-up section can boost the voltage of about 3.7 V to about 5 V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0.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원 승압부를 배치하여, 5V 충전이 가능한 전자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전자장치의 보조 충전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by arranging a power-up part and applying it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harging at 5V.

다음, 충/방전부는, 배터리부와 전원 승압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보호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Next,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battery prot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and the power source voltage up unit to control overcharge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그 이유는, 배터리부가 과충전(overcharge), 과방전(overdischarge), 및 과전류(overcurrent)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damaged due to overcharge, overdischarge, and overcurrent.

이어, 충/방전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n, the charge /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voltage adjusting unit that adjusts a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an internal power source.

여기서, 전압 조정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1.8V와 약 3.3V로 조정할 수 있다.Here, the voltage adjusting unit can adju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about 1.8V and about 3.3V.

그 이유는, 충전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기타 모든 회로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hat it is used as a power source necessary for the interface control unit of the charging apparatus and all other circuits.

다음,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부가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can check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unit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rging state.

예를 들면,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충전이 완료되면, 표시부를 제어하고,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unit can display gre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그리고, 제어부는, 배터리부의 방전이 완료되면, 표시부를 제어하고,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unit can display it in r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여기서, 제어부는, 배터리부가 완전 방전하면, 강제로 부하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Here, when the battery unit is completely discharged, the control unit can forcibly cut off the loa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battery.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커넥터(210)에 전자 장치가 연결되면,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를, 제 2 커넥터(220)로 출력할 수 있다.When an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the interface control unit (not shown) transmits the data of the input electronic device via the first connector 210,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unit, And output to the second connector 220.

경우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커넥터(210)에 전자 장치가 연결되고, 제 3 커넥터(230)에 메모리 카드가 연결되면,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를, 제 3 커넥터(230)로 출력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If an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and a memory card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230, the interface control unit (not shown) The data of the input electronic device can be output to the third connector 230 via the connector 210 and stored in the memory card.

다른 경우로서, 인터페이스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커넥터(230)에 메모리 카드가 연결되면,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3 커넥터(230)를 통해, 입력되는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제 2 커넥터(220)로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memory card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230, the interface control unit (not shown) transmits the data of the input memory card via the third connector 230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unit To the second connector (220).

또 다른 경우로서, 인터페이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커넥터(210)에 전원이 입력되면,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배터리부로 충전할 수 있다.In another case, the interface control unit (not show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supplies the input power via the first connector 210 to the battery .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명함 또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은 작은 크기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외면에 광고 등과 같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어 광고 및 홍보 효과가 뛰어나며,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고, 충전이 빠르며,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to a small size such as a business card or a credit card, and can display a mark such as an advertisement on the outer surface, thereby being excellent in advertisement and promotion effect,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the same, charging is quick, and it is easy to carry.

도 2는 도 1의 회로부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ry of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는, 제 1 커넥터(210), 제 2 커넥터(220), 제 3 커넥터(230), 충/방전부(60), 인터페이스 제어부(70), 모드 전환부(80) 및 표시부(9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circuit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or 210, a second connector 220, a third connector 230, a charge / discharge unit 60, an interface control unit 70, a mode switching unit 80, and a display unit 90.

여기서, 제 1 커넥터(2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 2 커넥터(220)는, 내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 3 커넥터(230)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Here, the first connector 210 may receive external power or data, the second connector 220 may output internal power or data, and the third connecto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The data of the inserted memory can be received.

그리고, 충/방전부(60)는,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제 2 커넥터(220)를 통해, 방출할 수 있다.Then,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can charge the input power sour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10 and discharge the charged power source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20.

여기서, 충/방전부(60)는, 배터리부(62), 전원 승압부(64), 제어부(66)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may include a battery unit 62, a power supply voltage up unit 64, and a control unit 66.

충/방전부(60)의 배터리부(62)는, 제어부(66)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 1 커넥터(2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The battery section 62 of the charging / discharging section 60 can char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connector 21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section 66. [

이때, 배터리부(62)는, 제 1 커넥터(2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unit 62 can charge the power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210 with a power source of 500 mA or less at maximum.

그 이유는, 배터리부(6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battery unit 62 from being damaged.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210)로부터 약 5V의 전원이 입력될 경우, 배터리부(6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부(62)는, 최대 500mA 이하의 전원으로 충전함으로써, 안정된 전압 및 전류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unit 62 when a power source of about 5 V is input from the first connector 210, the battery unit 62 is charged with a power source of 500 mA or less at maximum, And the power source can be charged with current.

그리고, 충/방전부(60)의 전원 승압부(64)는, 제어부(66)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하여 제 2 커넥터(220)로 전송시킬 수 있다.The power supply voltage boosting unit 64 of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can increas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62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nector 220 by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6 have.

여기서, 전원 승압부(64)는,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5V로 승압할 수 있다.Here, the power supply voltage up unit 64 can boos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62 to about 5V.

그 이유는, 제 2 커넥터(220)에 연결되는 제 2 전자장치의 충전 전압이 약 5V이고, 충전 장치의 배터리부(62)에 충전되는 전압이 약 5V 이하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20 is about 5 V and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unit 62 of the charging device is about 5 V or less.

일 예로, 배터리부(62)에 충전된 전압이 약 3.7V인 경우, 전원 승압부(64)는, 약 3.7V의 전압을 약 5V로 승압시켜, 제 2 커넥터(220)를 통해, 제 2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unit 62 is about 3.7 V, the power supply voltage up unit 64 boosts the voltage of about 3.7 V to about 5 V, And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원 승압부(64)를 배치하여, 5V 충전이 가능한 전자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전자장치의 보조 충전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by applying the power up section 64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harging 5V.

다음, 충/방전부(60)는, 배터리부(62)와 전원 승압부(6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부(62)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보호부(67)를 포함할 수도 있다.Next, the charge / discharge unit 60 includes a battery protection unit 67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62 and the power source voltage up unit 64 to control the overcharge discharge of the battery unit 62 It is possible.

그 이유는, 배터리부(62)가 과충전(overcharge), 과방전(overdischarge), 및 과전류(overcurrent)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battery unit 62 from being damaged due to overcharge, overdischarge, and overcurrent.

이어, 충/방전부(60)는,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68)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60 may include a voltage adjusting unit 68 for adjus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62 to an internal power source.

여기서, 전압 조정부(68)는, 배터리부(6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약 1.8V와 약 3.3V로 조정할 수 있다.Here, the voltage adjusting unit 68 can adjust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62 to about 1.8V and about 3.3V.

그 이유는, 충전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부(70) 및 기타 모든 회로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hat it is used as a power source necessary for the interface control unit 70 of the charging apparatus and all other circuits.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1 커넥터(210) 또는 제 3 커넥터(2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2 커넥터(220)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로 출력할 수 있다.The interface control unit 70 outputs the input data to the second connector 220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10 or the third connector 230 or outputs the input data to the second connector 220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10 or the third connector 230, Data can be output to the memory.

일 예로,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1 커넥터(210)에 전자 장치가 연결되면, 모드 전환부(80)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를, 제 2 커넥터(220)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the interfac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switching of the input electronic device (not shown) via the first connector 210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unit 80. [ Can be output to the second connector 220.

경우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1 커넥터(210)에 전자 장치가 연결되고, 제 3 커넥터(230)에 메모리 카드가 연결되면, 모드 전환부(80)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를, 제 3 커넥터(230)로 출력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terfac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mode switching unit 80 in response to the mode switching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unit 80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memory card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230 , The data of the input electronic device can be output to the third connector 230 via the first connector 210 and stored in the memory card.

다른 경우로서,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3 커넥터(230)에 메모리 카드가 연결되면, 모드 전환부(80)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3 커넥터(230)를 통해, 입력되는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제 2 커넥터(220)로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terface controller 70 may connect the memory card to the third connector 230 via the third connector 230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unit 80,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data of the card to the second connector 220.

또 다른 경우로서, 인터페이스 제어부(70)는, 제 1 커넥터(210)에 전원이 입력되면, 모드 전환부(80)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 1 커넥터(2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배터리부(62)로 충전할 수 있다.The interface controller 70 controls the first connector 210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nector 210 via the first connector 210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unit 80. [ Can be charged by the battery unit 62. [

다음, 모드 전환부(80)는, 충전 모드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부(70)로 출력할 수 있다.Next, the mode switching unit 80 can generate a switch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mode or the data communication mode, and output the switching signal to the interface control unit 70.

여기서, 모드 전환부(80)는, 하우징의 상판 또는 하판에 배치되는 모드 전환 버튼의 눌림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mode switching unit 80 can generate the switching signal by press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plate of the housing.

그리고, 표시부(90)는, 모드 전환부(80)의 모드 전환에 따른 현재 진행 중인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display unit 90 can display the current mode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ing unit 80. [

여기서, 표시부(90)는, 현재 진행 중인 모드에 따라,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발광 다이오드는, 하우징의 상판 또는 하판에 노출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9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mode of operation,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exposed to the upper or lower plate of the hous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하우징(100)의 상판 또는 하판에, 모드 전환 버튼(240) 및 발광 다이오드(250)가 배치될 수 있다.3, the charging device 10 may include a mode switching button 240 and a light emitting diode 250 on an upper plate or a lower plate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여기서, 모드 전환 버튼(240)의 하부에는, 충전 모드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전환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상판 또는 하판에 배치되는 모드 전환 버튼(240)을 누르면, 모드 전환부(미도시)는, 모드 전환 버튼(240)의 눌림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 mode switching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a charging mode or a data communication mode may be disposed under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When a user presses the upper or lower plat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is pressed, the mode switching unit (not shown) can generate the switching signal by press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일 예로, 사용자가 모드 전환 버튼(240)을 1회 누르면, 충전 모드일 수 있고, 사용자가 모드 전환 버튼(240)을 2회 누르면, 데이터 통신 모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드 전환 버튼(240)을 3회 누르면, 충전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는 오프 모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mode change button 240 once, it may be in the charge mod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mode change button 240 twice, it may be in the data communication mode, The charging device may be turned off in an off mode.

이처럼,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버튼(240) 누름 횟수에 따라,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is pressed by the user.

그리고, 표시부인 발광 다이오드(250)는, 모드 전환에 따른 현재 진행 중인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iode 250, which is the display unit, can display the current mode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witching.

따라서, 모드 전환 버튼(240)과 표시부인 발광 다이오드(250)는, 하우징(100)의 동일한 면 위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250, which is a display unit, can be disposed together on the same side of the housing 100.

그 이유는, 모드 전환 버튼(240)과 발광 다이오드(250)가 하우징의 상판 또는 하판에 함께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드 동작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250 are disposed together on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of the housi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mode oper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현재 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current mode state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하우징의 상판 또는 하판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들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in the charging apparatus 10,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2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plate of the housing.

여기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들은, 현재 진행 중인 모드에 따라, 점등 및 점멸 방식이 다를 수 있다.Here, the light emitting diodes 250 may be turned on and off depending on the current mode.

이때,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들은, 나란히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25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parallel.

일 예로,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장치의 충전을 위해, 전원을 방전하는 방전 모드인 경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들은, 점등 및 점멸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ischarge mode for discharging power for charg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250 may not be turned on and off.

그리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배터리에 충전 중이거나, 또는 PC와 같은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충전 모드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인 경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들은, 제 1 커넥터 방향에서, 점등 및 점멸되거나 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 및 점멸될 수도 있다.And, in the case of a charging mode or a data communication mode in which power is being charg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or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250 are turned on and off in the first connector direction Or may be turned on and off sequential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이어,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OTG 모드인 경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들은, 제 1 커넥터의 반대 방향에서, 점등 및 점멸되거나 또는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 및 점멸될 수도 있다.Next, in the OTG mod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250 are turned on and off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onnector, or sequentially lit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It may flash.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ttery charging method of a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의 제 1 커넥터(210)는, 외부 전원에 연결된 충전 전용 어뎁터(300)의 플러그(310)에 연결되거나, 또는 PC 등과 같은 외부 장치의 USB 포트에 연결됨으로써,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5, the first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may be connected to a plug 310 of a charge-only adapter 30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be connected to a USB port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So that the battery can be charged with power.

여기서, 배터리 충전은, 모드 전환 없이, 제 1 커넥터(210)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커넥터(210)와 외부 전원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charg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when the external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without switching the mod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blocked, Can be interrupted.

그리고, 표시부인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250)들은, 현재 배터리 충전 중임을 외부에 알리도록, 점등 및 점멸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250, which are the display unit, can be turned on and off so as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battery is currently being charg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폰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phone charging method using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하우징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제 2 커넥터(220)를 스마트 폰(4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6, the charging device 10 may connect the second connector 220,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housing,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400 or the like.

그리고, 충전 장치(10)의 모드 전환 버튼(240)이, 사용자에 의해, 일 예로, 1회 눌려지면, 모드 전환부는 충전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충전 장치(10)는, 충전 모드가 활성화할 수 있다.When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is pressed once by the user, for example, the mode switching unit generates the charging mode switching signal, so that the charging apparatus 10 can set the charging mode Can be activated.

이어, 충전 장치(10)의 표시부인 발광 다이오드(250)는, 현재 모드가 스마트 폰 충전 중임을 외부에 알리도록, 점등 및 점멸할 수 있다.Then, the light emitting diode 250, which is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can be turned on and blinking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current mode is charging the smartphone.

이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스마트 폰 충전의 경우, 스마트 폰 충전을 위한 방전 모드로 전환한 후에, 스마트 폰(400) 충전을 위한 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device 10 can perform the discharging operation for charging the smartphone 400 after switching to the discharging mode for charging the smartphone in the case of charging the smartphone.

여기서, 스마트 폰(400)의 화면(410)에는, 현재 충전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Here, on the screen 410 of the smartphone 400, a message indicating that charging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may be displayed.

그리고, 방전 모드에서, 충전 장치(10)와 스마트 폰(400)의 연결이 해제되면, 일정 시간, 예를 들면, 약 10초 정도가 경과한 후에, 방전 모드를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다.In the discharge mod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rging device 10 and the smartphone 400 is released, the discharge mode can be automatically termin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10 seconds has elaps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와 외부 PC와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charging device and an external P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의 제 1 커넥터(210)에는, PC 전용 어뎁터(510)를 통해, PC(500)에 연결될 수 있다.7, the first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may be connected to the PC 500 through a PC-specific adapter 510. [

그리고, 충전 장치(10)의 제 3 커넥터(미도시)에는, 외부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An external memory card can be inserted into the third connector (not shown)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and connected thereto.

이어, PC(500)에 저장된 음성, 동영상, 및 문서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가, PC 전용 어뎁터(510)를 통해, 제 3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 있다.Then, data such as voice, moving picture, and document file stored in the PC 500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card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through the PC-specific adapter 510. [

여기서, 데이터 통신 모드는, 모드 전환 없이, 제 1 커넥터(210)에 PC(500)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커넥터(210)와 PC(500)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데이터 통신이 중단될 수 있다.Here, in the data communication mode, when the PC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without mode switching, data communica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 PC 500 If blocked, data communication may be automatically interrupt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와 스마트 폰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charging devic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하우징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제 2 커넥터(220)를 스마트 폰(4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8, the charging device 10 may connect the second connector 220,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housing,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400 or the like.

이어, 충전 장치(10)의 제 3 커넥터(230)에는, 외부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Next, an external memory card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connector 23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and connected thereto.

그리고, 충전 장치(10)의 모드 전환 버튼(240)이, 사용자에 의해, 일 예로, 2회 눌려지면, 모드 전환부는 OTG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충전 장치(10)는, OTG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Then, when the mode switching button 240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is pressed twice by the user, for example, the mode switching unit generates the OTG mode switching signal, whereby the charging apparatus 10 sets the OTG mode Can be activated.

이어, 충전 장치(10)의 표시부인 발광 다이오드(250)는, 현재 모드가 OTG 모드임을 외부에 알리도록, 점등 및 점멸할 수 있다.Then, the light emitting diode 250, which is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ing apparatus 10, can be turned on and off so as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current mode is the OTG mode.

이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스마트 폰(4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데이터 통신을 위한 OTG 모드로 전환한 후에, 스마트 폰(4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OTG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400, the charging device 10 performs the OTG mode operation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400 after switching to the OTG mode for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따라서,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음성, 동영상, 및 문서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가, 제 2 커넥터(220)를 통해, 스마트 폰(400)에 입력 및 저장될 수 있다.Thus, data such as voice, moving picture, and document file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card can be input and stored in the smartphone 400 via the second connector 220. [

여기서, 스마트 폰(400)의 화면(410)에는, 현재 저장되는 데이터 목록 및 데이터가 저장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Here, on the screen 410 of the smartphone 400, a data list currently stored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data is being stored may be displayed.

그리고, OTG 모드에서, 충전 장치(10)와 스마트 폰(400)의 연결이 해제되면, 일정 시간, 예를 들면, 약 10초 정도가 경과한 후에, OTG 모드를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다.In the OTG mod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rging device 10 and the smartphone 400 is released, the OTG mode can be automatically terminat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about 10 seconds has elap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 장치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에 회로부를 배치함으로써, 명함 또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은 작은 크기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외면에 광고 등과 같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어 광고 및 홍보 효과가 뛰어나며, USB 메모리 기능 및 USB OTG 인터페이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고, 충전이 빠르며, 휴대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to a small size such as a business card or a credit card, and can display a mark such as an advertisement on its outer surface by arranging a circuit portion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publicity effect. It combines various functions such as USB memory function and USB OTG interface function, and it is quick to charge and easy to carr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충전 장치 100: 하우징
110: 상판 112: 표장
120: 하판 200: 회로부
210: 제 1 커넥터 220: 제 2 커넥터
230: 제 3 커넥터
10: Charging device 100: Housing
110: Top plate 112: Mark
120: lower plate 200: circuit part
210: first connector 220: second connector
230: third connector

Claims (20)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외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커넥터;
내부의 전원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커넥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3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원을 상기 제 2 커넥터를 통해 방출하는 것으로서,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용 전원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를 포함하는 충/방전부;
상기 하우징의 상판 또는 하판에 배치되는 모드 전환 버튼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눌림에 의해, 충전 모드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전환부;
상기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제 3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커넥터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에 따른 현재 진행 중인 모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드 전환부의 모드 전환 버튼의 위치에 따라 배치위치가 결정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A housing including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space; And,
And a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housing,
The circuit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or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or data;
A second connector for outputting internal power or data;
A third connector receiving data of a memory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a voltage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power input from the battery unit to an internal power source for charging the power source inputt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and discharging the charged power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
A mode switching unit formed in the form of a mode switching button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plate of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a charging mode or a data communication mode by press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An interface for outputting data input through the first connector or the third connector to the second connector or outputting data input through the first connector to the memory based on a mode switching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unit, A control unit;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ngoing mode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ing unit and determining an arrang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of the mode switch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The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edetermined emblem is display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3 커넥터는,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의 개구부와 상기 제 3 커넥터의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third connector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Where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opening portion of the third connector are arrang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3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third connector are fixedly arrang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s detachable within the hou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탈착 방향은,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3 커넥터의 개구부의 배치 방향에 대해,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The portable charger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detached is perpendicular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opening of the third conn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40017902A 2014-02-17 2014-02-17 portable charger KR1014565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7902A KR101456582B1 (en) 2014-02-17 2014-02-17 portable charger
PCT/KR2014/004374 WO2015122572A1 (en) 2014-02-17 2014-05-15 Portable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7902A KR101456582B1 (en) 2014-02-17 2014-02-17 portable char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582B1 true KR101456582B1 (en) 2014-11-12

Family

ID=5228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7902A KR101456582B1 (en) 2014-02-17 2014-02-17 portable charg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6582B1 (en)
WO (1) WO2015122572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51Y1 (en) * 2014-11-26 2015-06-02 김범수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KR101556079B1 (en) * 2015-04-30 2015-09-25 (주)알토디자인 Card type smartphone charging apparatus
KR200480607Y1 (en) 2015-10-23 2016-06-14 주식회사 그린전산 Second battery with supporting rest for hand phone
KR101631467B1 (en) * 2015-02-02 2016-06-24 (주)쥬비트 Spare Battery
KR101645173B1 (en) * 2015-03-23 2016-08-08 은호중 A plate for foods
WO2017150923A1 (en) * 2016-03-02 2017-09-08 주식회사 마늘랩 Smart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smart card charger, and smart card rea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017A (en) * 2006-05-09 2007-11-15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Emergency battery of mobile device
KR20090042120A (en) * 2007-10-25 2009-04-29 오준수 Portable interface unit
KR20090006484U (en)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이랜텍 Gender changer involving spare battery for portable telephone
KR20130125914A (en) * 2012-05-10 2013-11-20 (주)알에프유텍크 Charging cash from internet with handheld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468U (en) * 2011-03-11 2012-09-20 이승조 Gender for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017A (en) * 2006-05-09 2007-11-15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Emergency battery of mobile device
KR20090042120A (en) * 2007-10-25 2009-04-29 오준수 Portable interface unit
KR20090006484U (en)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이랜텍 Gender changer involving spare battery for portable telephone
KR20130125914A (en) * 2012-05-10 2013-11-20 (주)알에프유텍크 Charging cash from internet with handheld suppor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51Y1 (en) * 2014-11-26 2015-06-02 김범수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KR101631467B1 (en) * 2015-02-02 2016-06-24 (주)쥬비트 Spare Battery
KR101645173B1 (en) * 2015-03-23 2016-08-08 은호중 A plate for foods
KR101556079B1 (en) * 2015-04-30 2015-09-25 (주)알토디자인 Card type smartphone charging apparatus
KR200480607Y1 (en) 2015-10-23 2016-06-14 주식회사 그린전산 Second battery with supporting rest for hand phone
WO2017150923A1 (en) * 2016-03-02 2017-09-08 주식회사 마늘랩 Smart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smart card charger, and smart card re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2572A1 (en)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582B1 (en) portable charger
KR1021508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accessory functions and related methods
US8711552B2 (en) Modular system having expandable form factor
NO312270B1 (en) Power supply system, especially for pluggable modules
CN111742459A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oltage magnitud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0119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charger therefor
GB2487095A (en) Protective case for handheld device charging from auxiliary battery
US20110140652A1 (en)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00301674A1 (en)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50042290A1 (en) Charging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CN115800470A (en) Charger with display function
US20160126761A1 (en) Power Management Systems for Product Demonstration Fixtures
KR20200050260A (en) A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powered by an external device
JP2009157877A (en) Cradl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o the same
CN106451693B (en) Treasured charges and OTG data line
KR101162362B1 (en) Battery pack with solar cell charger for portable device
CN103682863A (en) Voice reminding charging data wire and charging method of charging data wire
JP2003272582A (en) Card type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1520935B1 (en) Multi-function charging device with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nstalled in the diary
KR101453929B1 (en) portable charger and method for charging/discharging electricity thereof
CN105471038B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2075273A (en) Charger
EP2602905A2 (en) Power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use with multi-series-cell batteries
CN108306395A (en) A kind of shared accumulation power supply
CN210270974U (en) Digital currency hardware w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