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87B1 -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87B1
KR101456087B1 KR1020120158519A KR20120158519A KR101456087B1 KR 101456087 B1 KR101456087 B1 KR 101456087B1 KR 1020120158519 A KR1020120158519 A KR 1020120158519A KR 20120158519 A KR20120158519 A KR 20120158519A KR 101456087 B1 KR101456087 B1 KR 10145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information servic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7827A (en
Inventor
김영선
오휘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87B1/en
Publication of KR2014008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2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information being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방법으로서, 전력과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을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기 전력선의 중단에 설치되되, 이격된 장소에 분산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 수용가의 자동 원격 검침(AMR) 데이터를 수집하며, 일정범위 이내에 위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이 구비된 집중장치(DCU); 및 상기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과 연결되어 복수개의 집중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공간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공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포화상태에 이른 기존의 셀룰러 통신망이나 GPS를 이용하지 않고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구성하는 변대주상의 집중장치를 활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설비 구축에 대한 중복투자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막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ower line for transmitting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AMR) data of the customer is collected and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power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modem A device (DCU);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to grasp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communication distances between the plurality of concentrating devic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prov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n infrastructure for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redundant investm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facility and to reduce the cost by utilizing the concentration device of the substation constituting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using the existing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or GPS which has reached the saturation state .

Figure R1020120158519
Figure R1020120158519

Description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방법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에 분산되어 배치된 집중장치(DCU)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통신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집중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공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entrator (DCU) distributed on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entralized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system.

급격한 기술발전에 따라 현재 사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 중심의 사회로 변화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하여 현재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가 제공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더욱 개량되고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With the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 present society is changing into a society focused on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 variety of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currently being provided using such smart devices, an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cluding various contents will be provided.

여기서 공간정보 서비스란 이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다양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가령 실시간 길안내, 주변 장소 검색, 지역기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과 같이 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를 의미한다.Here,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a service providing various related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a content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such as real-time route guidance, .

이와 같은 공간정보 서비스는 단순한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에서 끝나지 않고 공공, 산업 분야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됨으로써 스마트 지식 사회 구현을 위한 인프라로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Such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n infrastructure for implementing a smart knowledge society by linking with various services in the public and industrial fields without ending communication for simple information transmission.

현재 휴대 가능한 스마트 기기들은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존의 셀룰러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위성 GPS 등을 이용하여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통신사마다 개별적인 통신망을 구축하므로 인해 중복적인 통신시설 설비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사의 통신망 네트워크 이용에 대한 비싼 통신 요금을 지불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Currently, smart devices that are portable ar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order to provide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y using the existing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or using satellite GPS,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is established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 in a redundant communication facility and pay an expensive communication fee fo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나아가서 현대의 시시각각 변화되는 다양한 정보를 습득해야되는 정보화 환경에 발맞추기 위해 현대인들은 일인당 하나 이상의 휴대용 스마트 기기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휴대용 스마트 기기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거의 포화상태에 있는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의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modern people have more than one portable smart devices per person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needs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which is changing in the present time. In addition, due to explosive increase of portable smart devices, There is a need for an alternative to buil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동통신사마다 개별적인 통신망을 구축함으로 인한 중복적인 통신시설 설비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이동통신사의 통신망 네트워크 이용에 대한 비싼 통신 요금을 지불해야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ace information service in which an individual communication network is established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nd solves the problem of paying expensive communication charges for network network use.

나아가서 휴대용 스마트 기기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거의 포화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n alternative to network constru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lmost saturated due to explosive increase of portable smart devic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전력과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을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기 전력선의 중단에 설치되되, 이격된 장소에 분산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 수용가의 자동 원격 검침(AMR) 데이터를 수집하며, 일정범위 이내에 위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이 구비된 집중장치(DCU); 및 상기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과 연결되어 복수개의 집중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공간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gri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ower line for transmitting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AMR) data of the customer is collected and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power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modem A device (DCU);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to grasp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communication distances between the plurality of concentrating devic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prov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공간정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server that provides content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집중장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말기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includes a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centration devic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tent server.

여기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광고 콘텐츠 서버, 네비게이션 콘텐츠 서버, 지역정보 콘텐츠 서버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er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content server, a navigation content server, a local information content server, or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rver.

그리고 상기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은, 3G, 4G, PSTN 또는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3G, 4G, PSTN or Internet network.

나아가서 상기 집중장치(DCU)의 무선 모뎀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와이 파이(Wi-Fi), 바이너리(Binary) CDMA,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 맥스(Wimax)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통신할 수 있다.Further, the wireless modem of the DCU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a Wi-Fi, a Binary CDMA, a Zigbee, a Bluetooth or a Wiimax Lt; / RTI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가 복수개의 집중장치(DCU)로부터 상기 집중장치와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거리 정보 수집 단계; 복수개의 상기 통신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using a centralized device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using a centralized device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gathering phase; A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plurality of pieces of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거리 정보 수집 단계는, 3개 이상의 집중 장치(DCU)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중장치와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위치 정보 산출 단계는, 상기 3개 이상의 집중 장치(DCU)로부터 수집된 3개 이상의 통신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삼각 측량 방식으로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collects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ized device and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each of three or more DCUs,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alculated by a triangulation method based on three or more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evice DCU.

나아가서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가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콘텐츠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공간정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providing of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ay include: providing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tent server; And providing the content server with content related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공간정보 서비스는, 광고 콘텐츠, 네비게이션 콘텐츠, 지역정보 콘텐츠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ay include advertisement contents, navigation contents, local information contents or social network service (SNS) content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포화상태에 이른 기존의 셀룰러 통신망이나 GPS를 이용하지 않고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구성하는 변대주상의 집중장치를 활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설비 구축에 대한 중복투자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막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implementing an infrastructure for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t is possible to utilize a convergence device in the vicinity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which does not use a conventional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or GPS, Thereby reducing economic losses due to redundant investment in construction and reducing costs.

나아가서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의 집중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광고, 공익정보, 위치기반 SNS 서비스 등의 다양한 위치 기반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oncentrator on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nd various location bas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advertisement, public interest information, and location based SNS service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각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의 집중장치가 변대주 상에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each device of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vergence device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concentrating device on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ide of an elevator,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are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에 분산되어 배치된 집중장치(DCU)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통신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집중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공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em for relaying commun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CU being distributed on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for providing a space information service for a terminal is disclosed.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발전과 송전 및 배전과 판매의 단계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단방향 전력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수요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가리킨다. 발전소와 송전/배전 시설과 전력 수요자를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양방향으로 공유하는 정보를 통하여 전력시스템 전체가 한몸처럼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The Smart Grid is an intelligent grid that optimizes energy efficiency by exchanging real-time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power supplier and the consumer by integrating IT technology into the existing unidirectional power grid, which was generated at the stage of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 The basic concept is that the entire power system operates efficiently as a whole through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ower plants,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ies and power users through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s and sharing in both directions.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 인프라에 지능형 능력이 추가되어 전력의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의 전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전력 인프라에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들의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전력 그리드에 통신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양방향 전력정보 교환을 통하여 합리적 에너지 소비를 유도하고, 고품질의 에너지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하여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으로 각광 받고 있다.Smart Grid is actively applying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ies to the power infrastructure to mor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manage and control the whole process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of electricity with intelligent capability added to the power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by combining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the power grid, suppliers and consumers can exchange real-time power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thereby inducing rational energy consumption through bidirectional power information exchange, providing high-quality energy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s optimized for next generation power grid.

이러한 전력의 발전과 소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FAN(Field Area Network)과 WAN(Wide Area Network)은 스마트 그리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To deliver this power generation and consumption information, Field Area Network (FAN) and Wide Area Network (WAN) provide a means of communication for smart grid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력 시스템과 제어 시스템들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통신 인프라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이 가능한데,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함에 있어서, 스마트 미터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인프라가 적용되고 있다.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power system and the control systems constituting the smart grid system can be configured by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Variou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for transmitting the smart metering data are applied in establishing the smart grid .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의 집중장치(DCU :Data Collecting Unit)에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모뎀을 구비시키고, 상기 집중장치(DCU)가 일종의 AP(Access Point)로서 기능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mod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in a concentrating device (DCU) on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centrating device (DCU) functions as an AP (Access Point)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a convergence device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전력과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을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10)과 상기 전력선의 중단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분산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 수용가의 자동 원격 검침(AMR)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정범위 이내에 위치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이 구비된 집중장치(DCU)(100) 및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10)과 연결되어 복수개의 집중장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공간정보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spa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10 including a power line for transmitting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and a plurality of distributed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s installed at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line, (DCU) 100 having a wireless mod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1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centrato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ceives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ased on th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provides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Device 300 as shown in FIG.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10)은 기본적으로 상기 전력선을 통한 PLC 통신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상기 전력선의 일단에는 이종의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등이 구비되어 3G, 4G, PSTN 또는 인터넷망 등의 다양한 여러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전력선으로 연결되는 복합적인 통신 네트워크이다.Here,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10 is basically capable of applying PLC communication through the power line. In addition, a gateway for us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ower line, and a 3G, 4G, PSTN, And various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ar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또한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30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공간정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콘텐츠 서버(300)는 광고 콘텐츠 서버, 네비게이션 콘텐츠 서버, 지역정보 콘텐츠 서버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등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ent server 400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server 400 that provides content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cooper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300. Here, the content server 300 may include a content server that provides a variety of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content server, a navigation content server, a local information content server, or an SNS (Social Network Service) server.

본 발명에 다른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집중장치(100)와 공간정보 서비스 장치(300)에 대하여 좀더 살펴보자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각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alized apparatus 100 and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300 in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의 (a)는 집중장치(100)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로서, 집중장치(100)는 수용가의 자동 원격 검침(AMR)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들을 포함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에 다른 집중장치(100)는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150)을 구비한다.2 (a)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concentrator 100. The concentrator 100 includes general configurations for collecting automatic remote meter reading (AMR) data of a customer, The concent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a wireless modem 150 for wireless communication.

집중장치(DCU)(100)의 무선 모뎀(150)과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무선 통신은, 와이 파이(Wi-Fi), 바이너리(Binary) CDMA,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 맥스(Wimax)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modem 15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the centralized unit (DCU) 100 may be performed using Wi-Fi, binary CDMA, Zigbee, Bluetooth, And Wimax can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상기 도 2의 (b)는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300)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로서,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300)는 개략적으로 단말기 위치 판단부(310)와 위치 정보 제공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b)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300.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300 roughly includes a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10 and a position information provision unit 330 And the like.

단말기 위치 판단부(310)는, 복수개의 집중장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데, 단말기 위치 판단부(310)가 집중장치(10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이후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10 determines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ased on th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concentrators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10 determines,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using the concentrato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위치 정보 제공부(33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해당 콘텐츠 서버(400)에 제공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특정 콘텐츠 이용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해당 콘텐츠 서버(400)로 제공하거나 해당 콘텐츠 서버(400)로부터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위치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해당 콘텐츠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 광고, 공익정보, SNS 서비스 또는 길안내 등 다양한 위치 기반의 공간정보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제공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해당 콘텐츠 서버(400)로 제공하게 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0 provides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server 400.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server 400 according to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from the content server 400 . That is, in order to provide contents for various location-bas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local advertisement, public interest information, SNS service or route guidance in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located, 4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의 집중장치가 변대주 상에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다.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concentrating device on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ide of a mobile terminal.

자동원격검침(AMR: Automatic Meter Reading)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집중장치(DCU: Data Collecting Unit)(100a, 100b,...100n)는 전기전송을 위한 전주, 특히 변압기가 위치하고 있는 변대주 상에 설치되고 있다.A data collecting unit (DCU) 100a, 100b, ..., 100n installed for automatic Meter Reading (AMR) is installed on a pole for electric transmission, Is being installed.

통상적으로 전주와 전주 사이의 거리 D는 대략 50m 이하로서, 전국적으로 설치된 변압기의 대수는 200만대를 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집중장치(100a, 100b,...100n)는 전국 단위로 약 90여만 대가 설치될 예정에 있어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도가 높다. Generally,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le and the pole is approximately 50 m or less, and the number of transformers installed nationwide exceeds 2,000,000. As a result, the concentrating apparatuses 100a, 100b, ..., It is expected to be installed, and it is highly utilized as a means for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휴대용 스마트 기기인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집중장치(100a, 100b,...100n) 간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복수개의 집중장치(100a, 100b,...100n)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위치 등의 공간정보의 인식이 가능하므로, 공간정보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entralized devices 100a, 100b, ..., 100n, which are portable smart devices, as well as a plurality of centralized devices 100a, 100b, ..., 100n to recognize th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reby enabling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의 집중장치(100a, 100b,...100n)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셀룰러 통신 등의 상용망이 아닌 스마트그리드 통신망을 사용함에 따른 설비투자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의 부담을 덜어낼 수 있고 나아가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통신 요금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communication servic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using the concentrators 100a, 100b, ..., 100n on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receive the communication service at a lower communication fe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concentrator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100)는 일종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AP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상기 도 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집중장치(100a, 100b, 100c)는 일정 범위의 통신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도 4에서 집중장치(100b)는 자신의 통신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시키고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자신의 통신 커버리지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해당 집중장치(100c)로 핸드오프(hand-off)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식 통신 장치를 위한 구역(셀)별 통신 방식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에서 이용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or 100 of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can function as an AP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4, each concentrator 100a, 100b, The centralized device 100b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ithin its own communication coverage range and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communication channel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concentrating apparatus 100c is performed. The communication method for each cell (cell)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the same as that used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concentrator of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300)는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인접하게 위치한 복수개의 집중장치(DCU)(100)로부터 집중장치(100)와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통신 거리 정보를 수집하는데, 여기서 상기 통신 거리 정보는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근접한 복수개의 집중장치(100)들로부터 실시간 수신하여 실시간 통신 거리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300 transmits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ized apparatus 100 and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from a plurality of DCUs 100 located adjacent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re the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is received in real time from a plurality of concentrators 100 close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collect real time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그리고 수집된 복수개의 통신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데, 이를 살펴보자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집중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ased on a plurality of collected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Fig. 2 shows an embodiment for judging information.

상기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인접한 순서대로 3개 이상의 집중 장치(DCU)(100a, 100b, 100c) 각각으로부터 집중장치(100a, 100b, 100c)와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통신 거리 정보(D1, D2, D3)를 수집하고, 3개의 통신 거리 정보(D1, D2, D3)를 기초로 삼각 측량 방식으로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100b and 100c from the three or more DCUs 100a, 100b and 100c in order adjacent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s in the embodiment of FIG. 5, D2 and D3 between the terminals 200 and calcul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y the triangulation method based on the three pieces of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D1, D2 and D3 can do.

상기 도 5는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가령 AOA(Angle of Arrival)이나 TODA(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단말기 측위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Various other methods may be applied.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methods may be applied. For exampl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AOA (Angle of Arrival) and TODA (Time Difference of Arrival) And various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to such a terminal positioning method,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300)가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위치 정보를 해당 콘텐츠 서버(400)에 제공하면, 해당 콘텐츠 서버(400)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공간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When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300 calculates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provides the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server 400, And provides the spatial information content service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공간정보 서비스는 광고 콘텐츠, 네비게이션 콘텐츠, 지역정보 콘텐츠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콘텐츠 등 위치 정보가 필요한 위치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ay include a variety of location-based service contents requiring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 contents, navigation contents, local information contents, or social network service (SNS) cont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의 집중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광고, 공익정보, 위치기반 SNS 서비스 등의 다양한 위치 기반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centralized device on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various location bas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advertisement, public interest information, and location based SNS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do.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100, 100a, 100b, 100c,...100n : 집중장치(DCU),
150 : 무선모뎀,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 공간정보 서비스 장치,
310 : 단말기 위치 판단부, 330 : 위치 정보 제공부,
400 : 콘텐츠 서버.
10: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100, 100a, 100b, 100c, ..., 100n: concentrator (DCU)
150: wireless modem,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310: Terminal position determining unit, 330: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Content Server.

Claims (10)

전력과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을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기 전력선의 중단에 설치되되, 이격된 장소에 분산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수용가의 자동 원격 검침(AMR) 데이터를 수집하며, 일정범위 이내에 위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이 구비된 집중장치(DCU); 및
상기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과 연결되어 복수개의 집중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공간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A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power lines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mmunication signals;
(AMR) data of a customer who is installed at a standstill of the power line and is dispersed at a spaced apart location and installed with power from the power line and collects AMR data, A concentrator (DCU) equipped with a wireless mod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to grasp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centrating devic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the space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servic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공간정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ent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집중장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말기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콘텐츠 서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ace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includes:
A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entralized devic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tent ser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광고 콘텐츠 서버, 네비게이션 콘텐츠 서버, 지역정보 콘텐츠 서버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server comprises:
An advertisement content server, a navigation content server, a local information content server, or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rve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은,
3G, 4G, PSTN 또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3G, 4G, PSTN, or Internet network.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장치(DCU)의 무선 모뎀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와이 파이(Wi-Fi), 바이너리(Binary) CDMA,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 맥스(Wimax)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wireless modem of the concentrator (DCU)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ny one of a Wi-Fi, a Binary CDMA, a Zigbee, a Bluetooth, and a WiMAX. Service system.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가 복수개의 집중장치(DCU)로부터 상기 집중장치와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거리 정보 수집 단계;
복수개의 상기 통신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A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n which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collects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device and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plurality of DCUs;
A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plurality of pieces of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And
And providing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거리 정보 수집 단계는,
3개 이상의 집중 장치(DCU) 각각으로부터 상기 집중장치와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 거리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위치 정보 산출 단계는,
상기 3개 이상의 집중 장치(DCU)로부터 수집된 3개 이상의 통신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삼각 측량 방식으로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includes:
Collecting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device and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each of three or more DCUs,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ep comprises: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based on three or more communication distan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three or more DCUs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공간 정보 서비스 장치가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콘텐츠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공간정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comprises:
Providing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tent server; And
And providing the content server with content related to the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서비스는,
광고 콘텐츠, 네비게이션 콘텐츠, 지역정보 콘텐츠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을 이용한 공간 정보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ace information service includes:
Advertisement contents, navigation contents, local information contents, or social network service (SNS) contents using the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KR1020120158519A 2012-12-31 2012-12-31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456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19A KR101456087B1 (en) 2012-12-31 2012-12-31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19A KR101456087B1 (en) 2012-12-31 2012-12-31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827A KR20140087827A (en) 2014-07-09
KR101456087B1 true KR101456087B1 (en) 2014-10-31

Family

ID=5173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519A KR101456087B1 (en) 2012-12-31 2012-12-31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8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124A (en) * 1997-10-16 2001-04-16 엘링 블로메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mobile station in a cdma cellular system
KR20050030714A (en) * 2003-09-25 2005-03-3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spection system of power meter for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KR20110057442A (en) * 2009-11-24 2011-06-01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120038249A (en) * 2010-10-13 2012-04-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terminal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by broadcas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124A (en) * 1997-10-16 2001-04-16 엘링 블로메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mobile station in a cdma cellular system
KR20050030714A (en) * 2003-09-25 2005-03-3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spection system of power meter for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KR20110057442A (en) * 2009-11-24 2011-06-01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120038249A (en) * 2010-10-13 2012-04-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terminal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by broadc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827A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traffic requirements of a smart grid communications network
Emmanuel et 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smart grid applications: A survey
Nafi et al. A survey of smart grid architectures, applications, benefits and standardization
Erol-Kantarci et al. Wireless multimedia sensor and actor networks for the next generation power grid
Depuru et al. Smart meters for power grid—Challenges, issues, advantages and status
Ahmed et al. A survey 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smart grid
Gungor et al. A survey on smart grid potential applications and communication requirements
Kabalci et al. Introduction to smart grid architecture
CN106597419B (en) The underground coal mine accurate positioning method synchronous without clock
KR20220030854A (en) Collecting method for power line status using IoT and system thereof
CN104319893A (en) Electric transmission line GIS based on AGPS and 4G and implementation method
CN201984132U (en) Distribution line fault positioning and on-line monitoring system
CN205880114U (en) Join in marriage power system fault indicating system based on loRa communication technology
CN107241743A (en) Power network private network is laid out building method
van Engelen et al. Choices for smart grid implementation
CN210438843U (en) Electric potential monitoring system
Mante et al. Energy monitoring using LoRaWAN-based smart meters and oneM2M platform
KR101456087B1 (e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DCU in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grid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4156611U (en) A kind of intelligent distribution network data management and analytical equipment
Bilgin et al. A novel data collection mechanism for smart grid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buses
CN201656568U (en) Perceived interactive service system of intelligent distribution network
CN102790427A (en) Electric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intelligent distribution network
Ghasempour Optimizing the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rchitecture in smart grid
CN105004945A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overhead line accurate load distribution on-lin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4333128B (en) A kind of power supply enterprise's distribution network system based on AGPS and 4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