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942B1 -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 Google Patents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942B1
KR101452942B1 KR1020130008595A KR20130008595A KR101452942B1 KR 101452942 B1 KR101452942 B1 KR 101452942B1 KR 1020130008595 A KR1020130008595 A KR 1020130008595A KR 20130008595 A KR20130008595 A KR 20130008595A KR 101452942 B1 KR101452942 B1 KR 10145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information
data
unit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6216A (en
Inventor
김병삼
김지영
염근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942B1/en
Publication of KR2014009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의 유형이 변경되더라도 새로운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없는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욱이, 저장고 내부의 식품, 저장고 위치, 저장고 내부에 배치된 센서 및 저장고 외부에 배치된 기기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정보를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어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새로 만들거나 변경할 필요없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 저장고의 환경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저장고 환경을 관리하고, 상기 환경관리센서의 위치, 수량 및 종류가 변동되면 이를 반영하는 환경관리부;와 각 저장고의 재고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식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상기 식품의 변경정보와 저장고의 변동정보가 반영되는 정보관리부;와 상기 저장고내의 환경을 조절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교체정보가 반영되는 기기제어부;와 상기 환경관리부, 재고관리부, 정보관리부 및 기기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커넥터클래스를 통하여 저장하는 DB접속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부에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부;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데이터 값을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temperatur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that supports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that does not need to configure a new warehouse management system even if the type of the warehouse is chang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food, the storage location, the sensor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room, and the information that is changed outside the storage room even if the devices are changed, so that a storage room management system that does not need to create or change a storage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d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orage environment by receiving data from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of each storage and managing the storage environment based on the data,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the data and managing the inventory of the food based on the information,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flect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tore through the user's command, and an external device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n the storage A DB connection unit that receives data from 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device control unit and stores the data through a connector class, and a DB connection unit that receives the sens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alyzing and distributing the data to the respective units; And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outputting a data value to the user.

Description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temperature storeroom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 temperature storeroom management system that supports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저온저장고를 관리하는 저장고 관리 시스템이란 유통망 전체의 원활한 흐름을 지원하며 저온저장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In general, 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low temperature storage is a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low temperature storage and supporting the smooth flow of the entire distribution network.

저장고 관리 시스템은 각 저장고를 운영하는 업체에서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근래의 저장고 관리 시스템은 보통 냉각 시스템을 지칭한다.Th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is constructed separately from the companies that operate each warehouse, and recent warehouse management systems usually refer to the cooling system.

저장고 관리 시스템은 각종 센서,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나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저장고 내부환경 및 저장고 내부의 식품의 신선도를 관리한다.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manages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torage and the freshness of the food in the storage based on various sensors, for exampl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저온저장고의 내부환경, 예를 들어 온도와 습도 및 CO2등은 저온저장고 내부에 위치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환경요소이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CO 2 ,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food inside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so it is very important to continuously monitor and keep it constant.

물론, 각 식품마다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습도 및 CO2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식품이 서로 다르게 저장되는 각 저장실마다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환경요소는 다를 수 있다.Of course, because of the different amount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CO 2 to maintain freshness in each food, the environmental factors to maintain food freshness in each storage room where the food is stored differently may be different.

현재, 기존의 저장고 관리 시스템은 저장고 내부에 위치하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식품에 맞는 환경요소를 수치데이터로 반영하여 이를 기초로 저온저장고 내부의 식품을 관리한다.Currently, the existing repository management system reflects the environmental factors appropriate to the food as numerical data in order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ood located in the repository, and manages the food inside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based on this.

그러나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된 수치데이터를 적용하다 보니 저장고를 운영함에 따라 변경되는 여러 가지 환경요소(이하 '가변요소'라 함) 예를 들어, 저온저장고의 환경을 감시하는 센서의 종류가 변하거나, 저온저장고 내부환경을 교정하기 위한 장비의 교체 및 저온저장고 내부에 위치한 저장실의 증가 등으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책을 수행하기 어려우며 단순한 제어밖에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ood, fixed numerical data is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ariable elements') that change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room.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hange of equipment for replacing equipment for calibrat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and the increase of the storage room inside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더욱이 이러한 가변요소를 야기하는 문제의 인식 및 가변상황에 따른 저장고 시스템의 수정은 관리자의 몫인데, 이렇게 저온저장고의 관리를 전적으로 관리자의 역량에만 의존하다 보니 저온저장고의 가변적인 상황에 즉각적인 대응을 하기 힘들며, 만약 짧은 시간이라도 저온저장고 내부환경의 신선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관리가 소홀해 지게 되면 상품의 품질이 하락하게 되며 식품 유통과정에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the manager's responsibility to recognize the problem causing such variable factors and modify th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variable situation. As the management of the low-temperature storage depends entirely on the capability of the manager, the immediate response to the variable situation of the low- If the freshness condition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is not satisfied or the management is neglected even for a short time, the qual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and the risk of the food distribution process is increased.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저온저장고의 내부환경을 자동화하여 운영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기존의 저장고 관리 시스템들은 설비하는 업체에 따라 저장고 관리 시스템이 모두 다르고, 저온저장고의 실제 배치형태에 따라 그 시스템이 운영되다 보니 만약 저장고의 유형이 변경될 경우 새로운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다시 구성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automating and operat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ow-temperature storage tank. However, existing storage management syste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the system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actual arrangement mode of the low-temperature storage tank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f the type of storage is changed, a new storage management system must be reconfigured.

게다가 현재의 저장고 관리 시스템은 설비 업체와 설비 업체에서 사용하는 외부기기 및 저온저장고 주위의 환경에 의존적이어서 각 요소가 변경될 경우 저장고 관리 시스템도 새롭게 구성되어야 했다.In addition, the current storage management system is dependent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xternal equipment and the low-temperature storage used by the facility and the facility, and when each element is changed, a storage management system has to be newly constructed.

또한, 이렇게 가변요소가 변경될 때마다 매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해야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가 커지며, 저장고를 관리하는 관리자 입장에서도 저장고 관리 시스템이 변경될 때마다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사용법을 숙지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lso, since the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configured every time the variable element is changed, resources are wasted. Also, for the manager who manages the repository, every time the repository management system is changed, And the lik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장고의 유형이 변경되더라도 새로운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없는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w-temperatur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that supports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that does not require a new warehouse management system even if the type of the warehouse is changed.

더욱이 저장고 내부의 식품, 저장고 위치, 저장고 내부에 배치된 센서 및 저장고 외부에 배치된 기기 등 저온저장고의 가변요소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정보를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어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새로 만들거나 변경할 필요없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even if the variable elements of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such as the foo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e storage location, sensors plac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devices placed out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re changed, the changed information can be applied and manag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 temperature storage management syste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은 각 저장고의 환경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저장고 환경을 관리하고, 상기 환경관리센서의 위치, 수량 및 종류가 변동되면 이를 반영하는 환경관리부;와 각 저장고의 재고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식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상기 식품의 변경정보와 저장고의 변동정보가 반영되는 정보관리부;와 상기 저장고내의 환경을 조절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교체정보가 반영되는 기기제어부;와 상기 환경관리부, 재고관리부, 정보관리부 및 기기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커넥터클래스를 통하여 저장하는 DB접속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부에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부;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데이터 값을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low-temperatur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from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of each warehouse, manages the warehouse environment based on the received data,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an inventory management sensor of each store and managing the inventory of the food based on the received data, and a change management unit A devi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that controls the environment in the storage and reflecting the replacemen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an environment controller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environment manager, the inventory manager, the information manager, and the device controller A DB connection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data through a connector class, And distributing the data to the respective units; And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outputting a data value to the user.

또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는 저장고의 수, 상기 저장고 내의 식품 정보, 상기 환경관리센서의 변동정보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unit outputs the number of storage rooms, the food information in the storage,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nsor, and the control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센싱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서 데이터의 갱신행위를 수행해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value of the sens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s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only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performs data update.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저온저장고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기, 냉각기 쿨러, 가습기 및 환기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xternal device is a power supply, a cooler cooler, a humidifier, and a ventilation fan necessary for driving the low-temperature storage.

또한, 센싱 데이터는 전원, 설정 온도 및 제상 주기로 이루어진 저장고 내부의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센서정보와 입고, 출고 및 적재되는 식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RF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data is RFID information including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side a storage compartment made up of a power source, a set temperature, and a defrost cycle, and information on goods receipt, goods release, and food to be loaded.

또한, 상기 교체정보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는 종류교체 정보와 외부 기기의 제어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교체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plac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type replacement information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 replacement information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기기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교체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어댑터 형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 unit is configured in an adapter type to reflect replacemen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 따르면 저장고의 유형이 변경되어 저장실의 수가 바뀌어도 이를 저장고 관리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새롭게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없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ow-temperatur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the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ype of the warehouse is changed and the number of storage rooms is changed, i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so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 new warehouse management system and it is economical .

또한, 저온저장고 내부의 식품 및 저온저장고 내부환경을 정의하거나 변경할 때 저장고 관리 시스템에서 수정하고 조회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새롭게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defining or chang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food and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inside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it is easy to use by the manager, and it is convenient that the system is not changed newly.

또한, 저온저장고 내부의 식품재고관리 기능을 직접 포함하고 있어 별도의 재고관리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고 입고 및 출고 정보와 현재 보관중인 식품들에 대해서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directly includes the food inventory management function i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there is no need of a separat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it is easy to manage the warehousing and warehousing information and the foods currently stored.

더욱이 다른 유형의 저온저장고에서도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저온저장고의 형태, 저온저장고 내부의 센서 종류, 센서의 수 및 센서의 위치에 대한 가변성을 지원하며, 보관된 식품의 적정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저온저장고 내에 설치되는 외부 기기가 고장으로 변경되거나 보관되는 식품의 변경으로 인해 다른기기로 교체될 경우에도, 어댑터를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계속적인 저장고의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operate flexibly in other types of low-temperature storage, and it supports the shape of the low-temperature storage, the type of sensor inside the low-temperature storage, the number of sensors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Even when an external device installed in a storage room is replaced with another device due to a change in food or a change in food stored in the storage, an adapter is configured so that the storage can be continuously managed without building a new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실 수에 맞추어 화면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배치에 맞추어 화면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의 가변요소에 맞추어 저장고 세부조회 화면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실의 정보조회 화면을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데이터 수집 환경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warehouse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orage ro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hang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orage detail view screen according to a variable element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information inquiry screen of a storag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creen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collection environment of a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스마트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warehouse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스마트 저장고 관리 시스템은 환경관리부(110), 재고관리부(120), 정보관리부(130), 기기제어부(140), DB접속부(150), 데이터 분배부(160) 및 유저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smart warehouse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includes an environment management unit 110,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120,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a device control unit 140, a DB connection unit 150, A distribution unit 160 and a user interface unit 170.

환경관리부(110)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고의 내부환경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및 CO2 등 식품의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를 감지하는 환경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저장고 환경을 관리한다.The environmental management unit 110 receives data from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that senses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freshness of food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CO 2 , for exampl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torage where the food is stored, .

이로써 환경관리부(110)는 환경관리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저장고의 내부환경을 알려주고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경보나 알람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획득한 데이터들은 추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기 위하여 시간과 수치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110 informs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current storage based on the da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and notifies the manager of an abnormal situation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At this time, time and numerical values may be recorded in the database in order to display the acquired data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t a later time.

한편, 환경관리센서는 식품의 종류에 의존적이다. 저장고에 보관하는 식품에 따라 감지하는 요소가 다를 것이며, 각 저장고의 환경에 따라 환경관리센서가 배치되는 위치, 수량 및 종류도 다를 것이다.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s are dependent on the type of food. Depending on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area, the factors to be detected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each storage location, the location, quantity and type of the environmental control sensor will also be different.

이러한 가변적인 센서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환경관리부(110)에서는 사용자의 센서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따라 환경관리센서의 위치, 수량 및 종류를 표시한다.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such a variable sensor, 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110 displays the position, quantity, and ty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when the user's sensor check command is input.

이처럼 본 발명의 환경관리부(110)는 각 저장고의 환경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저장고 환경을 관리하고, 환경관리센서의 위치, 수량 및 종류를 반영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저장고의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from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s of the respective storage basins, manages the storage environment based on the data, and outputs the data on the screen reflecting the location, quantity and ty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You can manage the environment.

재고관리부(120)는 저장고 내부로 입출고 되는 식품의 재고를 감지하는 재고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식품의 재고를 관리한다. 재고관리부(120)는 입고 및 출고정보에 대한 목록과 현재 보관중인 상품들의 목록을 보여주는데, 저장고로 입고 시에는 현재 보관목록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할 것이고 출고될 때는 현재 목록에서 제외하는 역할을 한다.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20 receives data from an inventory management sensor that senses the inventory of food delivered to and stored in the storage, and manages inventory of the food based on the received data.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20 displays a list of goods receipt and warehousing information and a list of products currently stored. When goods are received at the warehouse, new contents are added to the current storage list.

저장고로 입고 및 출고되는 상품의 감지는 무선통신,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 재고파악을 원하는 상품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되어야 할 것이다.Detection of goods to be warehoused and delivered to a storage room may be performed by radio communication, for exampl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정보관리부(130)는 저장고 내부로 입출고되는 식품의 정보 및 가변하는 저장고의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재고관리부(120)에서 저장고 내부로 입출고되는 식품의 재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저장실의 수나 배치되는 식품의 종류가 먼저 정의되어야 하는데 정보관리부(130)에서는 이러한 식품의 종류 및 저장고의 정보를 정의한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manages the information of the food items to be delivered to and stored in the storehouse and the information of the variable storehouse. In order to grasp the inventory of foods to be delivered to and stored in the store by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20, the number of the storage rooms and the type of food to be arranged must be defined first.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defines the types of the foods and the information of the stores .

예를 들어 저장고 내부에 위치하는 식품이 야채의 한 종류일 경우, 해당하는 야채의 이름과 해당 야채가 저장되는 저장고의 정보를 정보관리부(130)를 통해 저장한다. 이때, 정보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저장고의 정보는, 해당 야채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 및 습도 등의 가변하는 저장고의 환경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관리한다.For example, when the food located inside the storage is a kind of vegetable,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vegetable and the information of the storage where the corresponding vegetable is stored are stored through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storehouse stored in the information manager 130 includes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storehouse,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which are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vegetables, and the user directly input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또한, 저장고 내부에 위치하는 식품의 정보도 사용자가 정보관리부(130)를 통해 입력, 수정, 삭제 및 조회 등을 통해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user can manage information of the food located in the storage through input, modification, deletion, inquiry, etc. through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기기제어부(140)는 저장고의 내부환경을 조절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한다. 저장고의 내부는 식품의 적정 보관 온도와 보관 습도에 따라 온도와 습도가 다르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저장고에는 냉각기 쿨러, 가습기 및 환기 팬 등의 외부 기기가 가동되는데 기기제어부(140)에서는 이러한 외부 기기를 제어하여 식품에 최적화되는 내부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 unit 140 controls an external device that controls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torage room.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has diffe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pending on the appropriate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humidity of the food.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oler, a cooler, a humidifier, and a ventilator is operated in the storage, and the devic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to maintain the internal environment optimized for food.

기기제어부(140)는 시리얼 포트 또는 이더넷으로 통신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데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외부 기기에 부착된 컨트롤 패널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디지털 컨트롤러와 연동해야 한다. The device control unit 140 controls an external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a serial port or Ethernet. In order to control an external device, the device control unit 140 must operate with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or a digital controller of a control panel attached to an external device.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원하는 경우, PLC와 연동하여 직접적으로 냉각기 쿨러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온도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설정온도를 입력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If you want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you can direc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ler cooler in conjunction with the PLC or indirectly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by inputting the set temperature in conjunction with the temperature controller.

한편, 기기제어부(140)는 외부 기기의 교체정보를 반영하여 화면에 출력하는데, 외부 기기의 교체정보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는 종류교체정보와 외부 기기의 제어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교체정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control unit 140 reflects the replacemen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The replacemen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type replacement information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nal device, .

이는 외부 기기의 교체가 필요할 때 발생하는 교체정보로서, 외부 기기를 만드는 제조사, 모델 종류, 통신 타입 구동환경 및 설치 환경 등에 따라 구동되는 방법이 제각각 다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replacement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when the external device needs to be replac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f the external device, the model type, the communication typ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 기기가 다른 종류의 외부 기기로 교체되는 경우, 교체정보를 반영하기 위해서 외부기기를 구동하는 부분은 모듈화하여 시스템 내부에 포함시켜 놓고, 외부 기기와 연동하고 데이터를 주고받는 부분은 따로 분리하여 어댑터 형식으로 구성하였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device is replaced with another type of external device, the portion for driving the external device to reflect the replacement information is modularized and included in the system, The receiving part is separated into separate adapters.

이렇게 기기제어부(140)를 타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변동적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어댑터 형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새로운 외부 기기가 추가될 때 어댑터만 추가하거나 재구성하면 동작이 가능할 것이다.If the device control unit 140 is configured in an adapter type that can be operated by vary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new external device is added, the adapter can be added or reconfigured to operate.

DB접속부(150)는 환경관리부(110), 재고관리부(120), 정보관리부(130) 및 기기제어부(14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의 커넥터클래스를 통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The DB connection unit 150 receives data from 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110,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120,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and the device control unit 140 and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connector class of the database.

DB접속부(150)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기존 데이터를 획득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은 데이터베이스의 커넥터클래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The DB connection unit 150 accesses the database to acquire the existing data and add new data, but the connection with the database is performed through the connector class of the database.

이는 추후에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 커넥터클래스의 내부만 수정하면 데이터베이스와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in order to facilitate database and connection by modifying only the inside of the database connector class even if other databases are used later.

더욱이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접속하는 DB접속부(150)를 구성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부와 데이터베이스가 연결성이 없도록 구성하고 이로써,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해야할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커낵터클래스만 수정하면 연동이 가능하다.Further, the DB connection unit 150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database is configured so that each part constitu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base are configur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us, This is possible.

데이터 분배부(160)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부에 맞게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The data distribution unit 160 analyzes the sens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istributes the sensed data according to the respective units.

센싱 데이터는 전원, 설정 온도 및 제상 주기로 이루어진 저장고 내부의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센서정보와 입고, 출고 및 적재되는 식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RFID 정보로 이루어지는데 데이터 분배부는(160)는 이러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부에 매칭하는 정보를 분배한다.The sensing data is composed of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side the storage, which is composed of power source, set temperature, and defrost cycle, and RFI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goods receipt, goods issue, and food to be loaded. And distributes the matching information to each part.

유저 인터페이스부(17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데이터 값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The user interface unit 170 receives a user command and outputs a data value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환경관리부(110)에 정보조회를 요청하게 되면, 환경관리부(110)는 DB접속부(150)에 질의를 하고 질의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한 후 유저 인터페이스부(170)에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였다는 신호를 송신할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equests 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110 to inquire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70, 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110 queries the DB connection unit 150 and processes the received data through the query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70 has been processed will be transmitted.

이로써,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 값을 확인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confirm the processed data valu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70. [

이때,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되, 유저인터페이스부(170)에서 데이터의 갱신행위를 수행할 경우에만 센싱 데이터의 값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70)에 출력된다.At this time,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value of the sensing data is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70 only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170 performs data update.

만약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가 유저 인터페이스부(170)로 자동으로 전달된다면, 수신한 데이터가 유저 인터페이스부(170)로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 동안에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If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stored data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170, the user can perform other operations during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received data is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70 non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되 유저 인터페이스부(170)에 자동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고 처리과정을 단순화하였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d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but the data received automatically in the user interface unit 170 is not updated,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of data processing and simplifying the processing.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부(170)는 저장고의 가변요소 예를 들어 저장고의 수, 저장고 내의 식품 정보, 상기 환경관리센서의 가변정보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상태가 적용되어 화면에 출력 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terface unit 170 outputs the variable elements of the storage, for example, the number of storage rooms, the food information in the storage, the variable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nsor, and the control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저온저장고의 가변요소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어 실행되는 모습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variable elements of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rough FIG. 6 to be execu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고 수에 맞추어 화면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일반적으로 저온저장고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는 드물게 발생하는데, 이는 기존에 구축된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다른 저온저장고에 적용하거나 신축 및 보수 공사를 통해 새로운 저장고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orage sp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general, changes in the number of low temperature reservoirs occur infrequently, which can occur when a conventional storage management system is applied to another low temperature reservoir or when a new reservoir is generated through new construction or repair work.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만약 저장고 관리 시스템이 관리하는 저온저장고의 수가 4개에서 6개로 변경될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저장고의 수를 4개에서 6개로 조정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제 저온저장고의 환경이 변경되었을 때 변경된 저온저장고의 환경이 화면에 그대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f the number of cold storage pools managed by th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is changed from 4 to 6, the user can adjust the number of storage pools from 4 to 6 through the screen. When the environment of the actual low temperature storage is changed, the environment of the changed low temperature storag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it is.

저온저장고의 가변요소에는 저온저장고 내부에 배치되는 식품의 종류 및 수량 등이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한국 수확 후 관리 협회에서 제공하는 식품의 보관 정보를 바탕으로 저온저장고의 설정 온도 및 설정 습도를 변경한다. 이를 통해 보다 정형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저온저장고를 관리할 수 있다. The variable elements of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include kinds and quantity of food placed in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ood provid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stharvest Management, the set temperature and the set humidity of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are changed do.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age the low-temperature storage by using more formal information.

도 3은 식품의 배치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 관리자는 본 발명의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통해 현재 적재된 식품들의 위치를 화면에 매칭할 수 있으며, 저온저장고 내부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관리자가 확인하고 싶은 식품의 인근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 배치는 저장고 관리자가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접 배치한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chang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food. Fig. As shown in FIG. 3, the store manager can match the positions of the currently loaded foods to the screen through the storehous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cement of the food is directly arranged by the storage manager using 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의 가변요소에 맞추어 저장고 세부조회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orage detail view screen according to a variable element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온저장고 내부를 화면에 형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실제 저온저장고에 배치된 환경감지센서의 위치와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nterior of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can be shap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position and quantity of the environment sensor disposed in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can be grasped.

사용자는 실제 저온저장고에 배치되어 저온저장고의 내부환경을 감지하는 환경감지센서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센서 아이콘(115)을 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센서 아이콘(115)을 선택하면 이에 매칭하는 환경감지센서가 감지한 저온저장고의 정보를 화면에서 살펴볼 수도 있다.The user can place the sensor icon 115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environment sensors that are disposed in the actual low temperature reservoir and sens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When the user selects the sensor icon 115, The information of the low-temperature pool detected by the sensor can be viewed on th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장고의 정보조회 화면을 나타낸 도로써, 사용자가 도 4의 센서 아이콘(115)을 화면에서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감지센서가 감지한 저장실의 정보가 조회되어 화면으로 출력된다.FIG. 5 is a view showing an information inquiry screen of a low-temperature store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ensor icon 115 of FIG. 4 on the screen, The information of the storage room is retriev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KFRI_Storage의 저장실 정보와 Storage_B의 저장실 정보를 도시하였는데, KFRI_Storage의 저장실 정보조회 화면에는 온도, 습도, CO2의 정보가 출력되어 있고 Storage_B의 저장실 정보조회 화면에는 온도 및 습도의 정보가 출력되어 있다.FIG. 5 shows the storage room information of KFRI_Storage and the storage room information of Storage_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f temperature, humidity and CO 2 is outputted on the storage room information inquiry screen of KFRI_Storage, And humidity information are output.

이는, Storage_B의 저온저장고 내부에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배치되어 있지만 CO2를 감지하는 센서는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KFRI_Storage의 저온저장고에는 온도 습도 및 CO2 를 감지하는 센서가 모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This, because a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cold storage of Storage_B is disposed, but a sensor for detecting the CO 2 sensors are arranged both to because it does not arranged detect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 2 for KFRI_Storage Because.

이렇게 본 발명은 시스템이 가동될 때 저온저장고에 설치된 센서의 종류를 파악하여 각 저장고의 환경에 따라 가변적인 센서의 정보를 출력하여 준다.Thus, when the system is operated,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types of sensors installed in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and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variable senso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each reservoir.

한편, 저온저장고 환경에서 외부 기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품은 저온저장고에 보관되는데 저온저장고의 온도, 습도 및 CO₂등 내부환경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외부 기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는 설계 방안을 위해서 어댑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저장고 관리 시스템에 사용하는 형태로 구현하였다. On the other hand, external dev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environment. Food is stored in a low temperature reservoir, which requires external equipment to control the intern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CO2 in the low temperature reservoir. In order to change the desig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nal device, the adapter is used for 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PLC와 연동 또는 컨트롤러와 연동하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와 연동을 진행하였다.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there are two methods of interlocking with a PLC or interlocking with a controll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locking with a controller has been performed.

컨트롤러와 연동을 진행한 이유는 해당되는 컨트롤러와 연동을 시킨 이후에는 다른 저온저장고에서 비슷한 유형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즉각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ler is that, after interlocking with the controller in question, it can be used immediately if a similar type of controller is used in another cold storage.

한편, PLC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면 가능할 것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define a communication protocol in order to link with the PLC, and this is a generally known technology,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해서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컨트롤러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간접적으로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creen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can be indirectly controlled by changing the setting value of the controller in cooperation with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기기제어부(170)를 통해 저장고의 온도를 설정(172)할 수 있을 것이며 가습기를 온/오프(173) 할 수 있을 것이며 환기 팬 또한 구동(175)할 수 있을 것이다.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can be set 172 through the device control unit 170 and the humidifier can be turned on / off 173 and the ventilation fan can also be driven 17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데이터 수집 환경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300)을 통해 저장고 내부(200)의 정보를 저장고 외부공간(230)의 외부 기기들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collection environment of a storag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user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200 from the external devices of the storage space 230 through the low-temperatur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300 supporting the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llected and managed.

데이터 수집을 위해 센서와 RFID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PC가 존재하며 데이터 수집 PC와 스마트 저장고 관리 시스템이 서로 데이터를 교류하여 데이터를 습득한다.There is a data collection PC that collects sensor and RFID tag information for data collection. Data collection PC and smart storage management system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and acquire data.

이후, 저장고 내부(200)의 환경정보를 파악하며, 온도 및 습도의 모니터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재고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센서 배치에 따라 화면 구성이 이루어 졌는지, 컨트롤러와 연동을 통해 저장고의 환경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200 is grasp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onitored properly, the inventory management function is normally operated, the screen configu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nsor arrangement, Can be indirectly controlled.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고의 유형이 변경되어 저장실의 수가 바뀌어도 이를 저장고 관리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새롭게 저장고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없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ype of the storage room is changed and the number of storage rooms is changed, i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storage management system, so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 new storage management system and it is economical.

또한, 저장고 내부의 식품 및 저장고 내부환경을 관리 시스템에서 수정하고 조회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새롭게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ystem can modify and inquire the inside environment of the food and the warehouse inside the warehouse, so that it is easy for the management system administrator to use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system newly.

또한, 저장고 내부의 식품재고관리 기능을 직접 포함하고 있어 별도의 재고관리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고 입고 및 출고 정보와 현재 보관중인 식품들에 대해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directly includes the food inventory management function in the storage warehous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information on the goods receipt and warehouse and the foods currently stored without a separat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더욱이 다른 유형의 저장고에서도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저장고의 형태, 저장실 내부의 센서의 종류, 센서의 수, 센서의 위치에 대한 가변성을 지원하며, 보관된 식품의 적정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외부 기기가 고장으로 인한 변경 및 보관 식품의 변경으로 인해 다른기기로 교체될 경우에도, 어댑터를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계속적인 저장고의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operate flexibly in other types of storage rooms. It also supports the shape of the storage room, the type of sensor inside the storage room, the number of sensors, and the variability of the location of the sensor. Even when a device is replaced with another device due to a change due to a failure or a change in stored food, the adapter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storage can be continuously managed without building a new system.

110:환경관리부 115: 센서 아이콘
120: 재고관리부 130: 정보관리부
140: 기기제어부 150: DB접속부
160: 데이터 분배부 170: 유저 인터페이스부
172: 저장고의 온도를 설정 173: 가습기를 온/오프
175: 환기 팬 또한 구동
200: 저장고 내부 230:저장고 외부공간
300: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
110: environment management unit 115: sensor icon
120: Inventory management unit 130: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device control unit 150: DB connection unit
160: Data distribution unit 170: User interface unit
172: Set the temperature of the reservoir 173: Turn the humidifier on / off
175: ventilation fan also driven
200: inside the storage room 230: outside the storage space
300: Low Temperature Storage Management System

Claims (7)

각 저장고의 환경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저장고 환경을 관리하고, 상기 환경관리센서의 위치, 수량 및 종류가 변동되면 이를 반영하기 위한 환경관리부;와
각 저장고의 재고관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식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상기 식품의 변경정보와 저장고의 변동정보가 반영되기 위한 정보관리부;와
상기 저장고내의 환경을 조절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교체정보가 반영되기 위하여 외부기기를 구동하는 부분은 모듈화하여 시스템 내부에 포함시켜 놓고, 외부 기기와 연동하고 데이터를 주고받는 부분은 분리하여 어댑터 형식으로 구성하는 기기제어부;와
상기 환경관리부, 재고관리부, 정보관리부 및 기기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커넥터클래스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DB접속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부에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부;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데이터 값을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센싱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에서 데이터 갱신행위를 수행한 경우에만 상기 센싱 데이터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고,
상기 교체정보는 외부 기기의 교체정보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는 종류교체정보와 외부 기기의 제어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교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제어부는 상기 종류교체정보에 따라 어댑터가 추가 또는 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
An environment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of each storage and managing the storage environment based on the received data, and for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location, quantity, and ty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nsor;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an inventory management sensor in each storage and managing inventory of the food based on the received data;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food and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store through the user's command;
A part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n the storage room and driving an external device to reflect the replacemen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s modularized and included in the system, A device controller for separating and configuring an adapter type;
A database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device control unit and storing the data in connection with the database through the connector class;
A data distributing unit for analyzing the sensed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istributing the sensed data to the respective units; And
And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outputting a data value to the user,
The sens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sensing data is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only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performs the data updating operation,
The replac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type replacement information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 replacement information that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The devic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Wherei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management system supports a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는,
저장고의 수, 상기 저장고 내의 식품 정보, 상기 환경관리센서의 변동정보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storage spaces, the food information in the storage, the variation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nsor, and the control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are outputt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저온저장고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기, 냉각기 쿨러, 가습기 및 환기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tank is a power supply, a cooler cooler, a humidifier, and a ventilation fan necessary for driving a low temperature storage tank.
제 1항에 있어서 센싱 데이터는,
전원, 설정 온도 및 제상 주기로 이루어진 저장고 내부의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센서정보와 입고, 출고 및 적재되는 식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RF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FID information includes RFID information including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side a storage, which is composed of a power source, a set temperature, and a defrost cycle, and information on goods receipt, goods issue, and food to be loa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08595A 2013-01-25 2013-01-25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KR101452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95A KR101452942B1 (en) 2013-01-25 2013-01-25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95A KR101452942B1 (en) 2013-01-25 2013-01-25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216A KR20140096216A (en) 2014-08-05
KR101452942B1 true KR101452942B1 (en) 2014-10-23

Family

ID=5174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595A KR101452942B1 (en) 2013-01-25 2013-01-25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9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736965A (en) 2015-06-08 2019-07-26 Hussmann Corp Food display system integrating retailer services with consumer engagement
US20180197135A1 (en) * 2015-09-11 2018-07-12 Hillside Equity,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te Sensing, Monitoring, Analysis and Alerting of Environmental Attribut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21A (en) * 2002-10-24 2004-04-30 황해권 Digital temperature and humidity alarm system and method
KR20080096620A (en) * 2007-03-23 2008-10-31 진재민 Refrigerato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21A (en) * 2002-10-24 2004-04-30 황해권 Digital temperature and humidity alarm system and method
KR20080096620A (en) * 2007-03-23 2008-10-31 진재민 Refriger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216A (en)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680B2 (en) Interface module for chemical dispensing system
US9920944B2 (en) Wall module display modification and sharing
US20180187954A1 (en)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389389B1 (en) A cold chain realtime monitoring system by smart phone
US200902288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grading a building control system
US8140190B2 (en) Universal controller for a domestic appliance
US10240810B2 (en) Display device and application program
US10055699B2 (en) System for supermarket energy management
WO2012154968A2 (en) Visual rfid tags and interactive visual rfid networks
CN102375446A (en) Automatic receiving, inspection, inventory management and report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452942B1 (en) The low-temperature reservoir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ariable operating environment
US20200149797A1 (en) Food management system
KR20180080068A (en)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0876223B1 (en) Temperature sensing and control system
US9958198B2 (en) Embedded cargo sensors for a refrigeration system
KR101759593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00119398A (en) Intelligent Store Management Integration Solution
CN10836905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function networking
KR101434623B1 (en) Show case remote control system
US20220268473A1 (en) Apparatus management device and software generation method
JP3025744B2 (en) Centralized control device for showcases
US112091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climate control system speed controls
KR20210052371A (en)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KR20210052372A (en)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JPH07114657A (en) Centralized control unit for show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