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849B1 -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 Google Patents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849B1
KR101452849B1 KR1020140038600A KR20140038600A KR101452849B1 KR 101452849 B1 KR101452849 B1 KR 101452849B1 KR 1020140038600 A KR1020140038600 A KR 1020140038600A KR 20140038600 A KR20140038600 A KR 20140038600A KR 101452849 B1 KR101452849 B1 KR 10145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ssion
abutment
cap
manufacturing
multifunctional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한
황준호
박현위
Original Assignee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8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includ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tightening step of tighten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to an implant fixture planted on the alveolar bone of a patient; a protective cap mounting step of putting a protective cap on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wherein the protective cap covers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is put onto the abutment; an impression cap mounting step of separating the protective cap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fter a predetermined healing period of time and putting the impression cap onto the top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 impression taking step of embedding the impression cap in the impression obtained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while the impression cap is put on the abutment; an oral model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n oral model from the obtained impression; and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n upper prosthesis from the oral model.

Description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0001]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USING A MULTI-FUNCTION ABUTMENT SET [0002]

본 발명은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힐링 어버트먼트의 역할과, 스캔 핀의 역할을 수행하며 최종 보철물을 구성하게 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that functions as a healing abutment and serves as a scan pin and constitutes a final prosthesis .

일반적으로, 치아는 식생활과 관련된 저작 기능과, 사회적인 활동과 관련되는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안모를 좌우하기도 하여 심미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teeth play a role in correcting pronunciation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social activities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it is also important in terms of aesthetics because it affects facial expression.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수 있다.Since human teeth are replaced with permanent teeth once in childhood, new teeth are not created when teeth are lost. Therefore, dentistry restores lost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through prosthetic treatment, .

그런데 이런 일반적 치과치료방법은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및 뼈조직에 어느 정도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이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고, 틀니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치아에 비해 저작 능력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편감이나 이물감 등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is general dental treatment method can not be tolerated because it causes some damage to adjacent teeth, surrounding gums, and bone tissue. If dentures are used, it will lead to a reduction in chewing ability In addition, it had disadvantages such as discomfort or foreign body sensation.

이러한 보편적인 보철치료방법의 단점을 보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인공치아 이식방법이다. 이 방법에의하면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 할 수 있게 된다.An artificial tooth implantation method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is universal prosthetic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restore all the functions and aesthetics almost the same as natural teeth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teeth or tissues when the tooth is defective.

이와 같이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골유착 매식으로 인공치아가 마련되게 해줌으로써 자연치아의 인공 대체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해준다.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처(fixture), 지대주에 해당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인공치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픽스처는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 속에 심어져 인공치아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체이다. 어버트먼트(Abutment)는 지대주라고도 하며 잇몸 부위에서 치조골에 심겨져 있는 픽스처와 인공치아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way, the implants that have been spotlighted in the recent years can be used as artificial alternatives to natural teeth by providing an artificial tooth by osteosynthesis in the alveolar bone. Implants generally consist of three parts: a fixture corresponding to artificial root, an abutment corresponding to an abutment, and an artificial tooth. A fixture is a fixture that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of a missing tooth area, such as the root of a natural tooth, to support an artificial tooth. Abutment is also referred to as abutment, and is intended to connect the artificial teeth with the fixtures that are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t the gingival region.

인공치아는 어버트먼트에 의해 구강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Artificial teeth are fixed in the oral cavity by abutment and are designed to reproduce the same shape and function as natural teeth.

이러한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고자 할 때의 이식과정은 하기와 같다.The implantation process for recovering lost teeth using such an implant is as follows.

이식과정은 크게 외과적 술식 즉, 수술방식과 보철적 수복으로 구분되며, 수술에 앞서 적합성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혈액 검사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이식할 부위를 선정하여 그 부위의 골조직 질과 양을 평가하기 위해 구강검사 및 방사선 사진검사 등을 선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검사가 완료되면 외과적 술식에 들어가는데 이를 1차 수술이라 하며, 먼저 마취 하에 치근에 해당하는 인공치근을 치조골내에 이식하기 위해 잇몸을 절개하고 치조골 조직을 노출시킨 다음 인공치근을 삽입한 후 잇몸을 일단 봉합한다.The transplantation process is largely divided into surgical procedures, ie, surgical procedures and prosthodontic restorations. Basic tests such as blood tests are performed to check compliance before surgery, and the site of bone grafting In order to evaluate the amount, or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are preceded. When these series of examinations are completed, they are entered into a surgical procedure, which is referred to as a primary operation. First, in order to transplant an artificial root corresponding to a root into an alveolar bone under anesthesia, the gums are opened, the alveolar bone tissue is exposed, Suture the gums once.

그런데 종래의 임플란트는 주로 원통형 혹은 첨두가 둥근형태의 치근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절삭날의 형태나 크기가 임플란트의 직경이나 길이와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가공되어 있어 치조골에 식립시 골을 파고 들어갈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여 절삭기구를 이용하여 충분히 먼저 치조골을 확대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따른다. 그 결과 치조골과의 강력한 초기 고정력을 얻기 힘든 경우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mplants are mainly made of a cylindrical shape or a root-like shape having a rounded shape,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cutting edge are processed to a constant size irrespective of the diameter or length of the implant, The lack of ability leads to the inconvenience that the alveolar bone should be enlarged sufficiently before using the cutting tool.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trong initial fixation force with the alveolar bone.

그리고 나서, 골질에 따라 3 내지 6개월이 경과한 뒤 치은 관통부가 붙어있는 일체형 임플란트의 경우는 바로 인상을 채득해서 인공치를 제작할 수 있지만 분리형의 경우는 2차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봉합했던 잇몸을 재차 절개하고 이미 치조골내에 이식된 픽스처의 상면에 힐링 어버트먼트를 얹어놓고 치은이 완전히 치유되면 인상 채득하여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가공치를 연결하게 된다. 그렇지만 인상채득 시에는 인상용 코핑을 체결하기 위해서 힐링 어버트먼트를 빼고 방사선 촬영으로 적합을 확인하고 인상채득 후에 다시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n, in the case of an all-in-one implant with a gingival perforation after 3 to 6 months according to bone quality, it is possible to make an artificial tooth with the impression immediately, but in the case of the separated type, the second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 gingiva is completely healed, the abutment is tightened and the workpiece is connected to the abutment. However, when making an impression, it is troublesome to remove the healing abutment for confirming the suitability by radiography and conclude the healing abutment after the impression is made in order to conclude the impression coping.

관련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1218호 (등록일자 2008년 6월 19일) '임플란트 장치'가 있다.
A related art is Korean Patent No. 10-0841218 (registered date June 19, 2008) 'implant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한 힐링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수행하며, 인상 채득 또는 구강 스캔시 번거로운 탈부착 작업이 필요치 않은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which plays a role of a healing abutment for esthetic gingival formation and does not require troublesome attachment and detachment operation during impression taking or oral sca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보철물 제조시 픽스처에 탈부착 작업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치과용 보철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s to a fixture when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과용 보철물 제조시 X-ray 촬영 횟수를 감소시켜 X선 피폭량을 감소시키는 치과용 보철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for reducing the X-ray exposure dose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of X-ray imaging in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본 발명은,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체결 단계;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노출된 상부면을 감싸며 끼움결합되는 프로텍트캡을 끼우는 프로텍트캡 장착 단계; 치유 시간 경과 후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워진 프로텍트캡을 분리하고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임프레션 캡을 끼움 결합하는 임프레션 캡 장착 단계; 상기 임프레션 캡이 끼워진 상태에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인상을 채득하되 채득된 인상에 상기 임프레션 캡이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인상채득단계; 상기 인상채득된 인상으로부터 구강모델을 제조하는 구강모델 제조단계; 및 상기 구강모델로부터 상부보철물을 설계하여 제조하는 보철물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ing step for fasten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to a fixture placed on an alveolar bone of a patient; Attaching a protection cap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o surround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 impression cap mounting step of separating a protection cap fitted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fter the healing time and inserting an impression cap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 impression preparing step of making an impression by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impression cap is fitted, and making the impression cap embedded in the impression obtained; A mouth model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n oral model from the impression-impressed impression; And preparing a prosthesis by designing an upper prosthesis from the oral cavity model.

상기 구강모델 제조단계 이후에, 상기 제조된 구강모델의 3차원 형상을 스캔하는 구강모델 3차원 스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mouth model three-dimensional scanning step of scan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repared oral cavity model after the oral cavity model manufacturing step.

상기 보철물 제조단계는 상기 구강모델 3차원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캐드 및 캠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using CAD and cam using the oral model three-dimensional shape data.

상기 치아보철물 제조단계는 설계된 최종보철물의 형상을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dental prosthesis, the shape of the designed final prosthesis can be manufact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상기 치아보철물 제조단계는 구강 내의 픽스처에 체결된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동일한 하부 형상을 가지는 최종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dental prosthesis may be performed using a final abutment having the same lower shape as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ed to the fixture in the oral cavity.

삭제delete

또한,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는 그에 체결되는 프로텍트캡, 임프레션 캡, 및 임시치아캡과 세트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s constituted by a set of a protection cap, an impression cap, and a temporary tooth cap which are fastened to the multifunction abutment.

삭제delete

본 발명은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한 힐링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수행하며, 인상 채득 또는 구강 스캔시 번거로운 탈부착 작업이 필요치 않은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which serves as a healing abutment for esthetic gingival formation and does not require troublesome attachment and detachment operation during impression taking or oral scan.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 제조시 픽스처에 탈부착 작업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치과용 보철물 제조시 X-ray 촬영 횟수를 감소시켜 X선 피폭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attaching and detaching operations to a fixture when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dental prostheses, it reduces the number of X-ray exposures and reduces the amount of X-ray exposure.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임프레션 캡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임프레션 캡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임프레션 캡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임프레션 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multifunctional abu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ression ca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the impression ca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n impression ca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ultifunctional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pression cap are combin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은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하여 맞춤형 치아보철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어버트먼트의 탈부착 횟수를 최소화하여 치아보철물 제조에 소요되는 작업공수를 절감하고 탈부착에 따른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abutment attachment / detachment to the fixture placed on the alveolar bone, thereby reducing the work flow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dental prosthesis And the inconvenience due to detachment and attachment is reduced.

일반적으로 맞춤형 치아 보철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한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후, 인상 채득을 위하여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처로 부터 분리한 후 인상 채득용 임프레션 코핑을 픽스처에 체결하고, 인상을 채득한 후 임프레션 코칭을 분리하고, 다시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처에 체결한 후, 최종보철물을 제조되면 힐링 어버트먼트를 다시 픽스처에서 분리한 후, 최종보철물을 픽스처에 체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Generally, in order to manufacture a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a healing abutment for forming an aesthetic gum is fastened to a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n a healing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for making an impression, After the coping is fixed to the fixture, the impression is removed, the impression coaching is separated, the healing abutment is fixed to the fixture, and the final restoration is made, the healing abutment is again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a process of concluding it to a fixture.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도 불편하고, 의사의 입장에서도 작업공수가 많아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n operation must be performed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t is inconvenient in terms of the patient's position,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because a lot of work flow is required from a doctor's standpoint.

또한, 픽스처에 힐링 어버트먼트의 탈부착시 또는 임프레션 코핑의 부착시 등에도 정확한 체결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X-ray 촬영을 하게 되는데, 탈부착 회수를 감소시키게 되면 X-ray 촬영 횟수를 감소시켜 환자의 X-ray 피폭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In addition, when the fixture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healing abutment, or when the impression copings are attached, the X-ray is taken to confirm whether the X-ray is correctly fastened. If the number of times of detachment is reduced,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X-ray exposure.

본 발명은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하여 픽스처의 탈부착되는 회수를 감소시켜 환자와 의사에게 모두 유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거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useful for both a patient and a physician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fixtures are detached and attached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본 발명의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체결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움결합으로 탈부착 가능한 프로텍트캡과,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움결합으로 탈부착 가능한 임프레션 캡과,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움결합으로 탈부착 가능한 임시치아캡을 포함한다.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functional abutment to be fastened to a fixture placed on an alveolar bone, a protection cap removab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a temporary tooth cap removab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조방법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체결 단계(S110)와, 픽스처에 체결된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프로텍트캡을 끼우는 프로텍트캡 장착 단계(S120)와,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서 프로텍트캡을 분리하고 인상채득용 임프레션 캡을 끼우는 임프레션 캡 장착 단계(S130)와, 인상재를 이용하여 상기 임프레션 캡이 매립된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채득 단계(S140)와, 인상 채득후 환자의 구강 환경의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구강 3차원 스캔 단계(S150)와, 임프레션 캡이 분리된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임시치아를 끼우는 임시치아캡 장착 단계(S160)와, 채득된 인상으로부터 구강모델을 제조하는 구강 모델 제조 단계(S170)와, 환자의 구강 환경에 적합한 보철물의 형상을 설계하는 보철물 설계 단계(S180)와, 설계된 형상으로 보철물을 제조하는 보철물 제조 단계(S1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ing step (S110) of fasten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to a fixture placed on an alveolar bone, and a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ing step (S120) of inserting the cap into the cap, a step of mounting an impression cap (S130) for separating the protection cap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sandwiching the impression cap for impression taking, a step of attaching the impression (S140) for acquir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of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after the impression taking, a step S150 for performing an oral three-dimensional scan (S150) for acquir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data of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after the impression taking, (S160), a mouth model preparation step (S170) for manufacturing a mouth model from the obtained impression, and a step And a prosthesis and the design stage (S180) to design a water-like, prosthesis manufacturing step for manufacturing a prosthesis designed as a shape (S190).

이하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기능 어버트먼트 체결 단계(S110)는 미리 제조된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에서 환자의 구강 환경에 적합한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선택하여 체결하는 단계이다.The multifunction abutment fastening step S110 is a step of selecting and fasten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suitable for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in the previously prepared multifunction abutment set.

다기능 어버트먼트는 개별 치아 별로 미리 준비된 그룹에서 선택한다.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prepared for each individual tooth.

예를 들어, 전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 등 치아의 종류에 따라 다기능 어버트먼트가 준비되어 있으며, 각 치아의 종류에 대응하는 것 중에서도 높이와 직경이 다르게 준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a multifunctional abutment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eeth such as anterior teeth, canines, premolars, and molar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and the diameter are prepared differently from those corresponding to the kinds of teeth.

환자의 구강 환경에 맞는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선택한 후,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체결스크류를 이용하여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체결한다.After select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suitable for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s fastened to the fixture placed in the patient's alveolar bone using the fastening screw.

본 발명은 이렇게 체결된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한번도 분리하지 않고 최종보철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기능 어버트먼트가 최종보철물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는 경우 최종보철물이 환자의 구강 환경에 결합될 때 까지 다기능 어버트먼트가 한번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ufacturing a final prosthesis without ever separat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hus fastened, and further, when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constitutes a part of the final prosthesis, until the final prosthesis is coupled to the patient ' s oral environment It provides a way to ensure that multifunction abutments are never isolated.

다음으로 프로텍트캡 장착 단계(S120)를 수행한다.Next, the protection cap attaching step (S120) is performed.

프로텍트캡 장착 단계(S120)는 픽스처에 체결된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프로텍트캡을 끼움결합시키는 것이다.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프로텍트캡을 끼워 힐링어버트먼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protection cap mounting step S120 is to fit the protection cap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ed to the fixture.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s fitted with a protective cap to serve as a healing abutment.

다기능 어버트먼트는 픽스처에 체결스크류로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을 구비하며, 임프레션 캡 등 과의 끼움결합을 위한 홈, 방향성 식별을 위한 평탄면 등을 구비하여 매끈한 표면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screw to the fixture and has a groove for fitting with the impression cap or the like and a flat surface for directional identification,

이러한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음식물이 끼이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환자의 불편감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외부면이 매끈한 표면을 가지도록 하는 프로텍트캡을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우는 것이다.
Since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may have a problem of being stuck with food or may increase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on cap,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has a smooth surface,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다음으로, 임프레션 캡 장착 단계(S130)를 수행한다.Next, an impression cap mounting step (S130) is performed.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끼운후 치유 시간이 증가하게 되면, 잇몸이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차올라 심미적인 잇몸을 형성하게 된다.As the healing time increases after insert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he gums form aesthetic gums in the lower part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이후, 환자의 구강 환경의 인상을 채득하게 되는데 인상채득을 위한 준비로 다기능 어버트먼트에서 프로텍트캡을 분리한 후 임프레션 캡을 끼운다.Thereafter, the patient's oral environment is raised. In preparation for the impression preparation, the protection cap is detached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then the impression cap is inserted.

임프레션 캡의 구체적인 형상은 후술한다.The specific shape of the impression cap will be described later.

임프레션 캡은 끼움결합으로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워지면, 인상재와 함께 다기능 어버트먼트에서 빠져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impression cap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when fitted in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with the fit-in engagement.

다음으로 구강 3차원 스캔 단계(S150)가 수행된다. 구강 3차원 스캔은 환자의 구강 환경의 3차원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것으로,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oral three-dimensional scanning step S150 is performed. The oral three-dimensional scan is for obtaining three-dimensional data of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and can be performed using a mouth scanner.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환자의 구강 환경 스캔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후술하는 구강 모델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구강 모델을 3차원 스캔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If the oral environment scan of the patient using the oral scanner is not easy, it may be replaced with a three-dimensional scan of the oral model manufactured in the oral cavity model manufacturing step described later.

구강 3차원 스캔 단계(S150)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체결 단계(S110) 이후, 보철물 설계 단계(S180) 이전에만 수행되면 되는 것으로, 인상채득 단계(S140)와, 임시치아 장착 단계(S160) 사이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The oral three-dimensional scan step S150 may be performed only after the multifunction abutment engaging step S110 and before the prosthesis designing step S180 and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impression preparing step S140 and the temporary tooth attaching step S160 It does not have to be done.

다음으로 임시치아캡 장착 단계(S160)를 수행한다. 임시치아캡은 기능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임시적으로 심미감을 주기 위한 것으로 임시치아 장착 단계(S160)는 생략될 수 있다.Next, a temporary tooth cap mounting step (S160) is performed. The provisional tooth cap is not intended for functionality, but for temporary aesthetics, and the temporary tooth loading step (S160) may be omitted.

임시치아캡은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움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temporary tooth cap is removably attachable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구강 모델 제조단계(S170)는 인상채득 단계(S140)에서 채득된 인상을 이용하여 구강모델을 제조하는 것이다.The oral model manufacturing step S170 is to manufacture an oral model using the impression obtained in the impression preparing step S140.

인상채득단계에서는 임프레션 캡이 매립된 인상재를 얻게 되는데, 상기 인상재에 매립된 임프레션 캡에 선택된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동일한 규격의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대응하는 레플리카(Replica)를 끼운후 구강모델을 제조하여, 제조된 구강모델에 픽스처에 대응하는 레플리카가 매립된 상태의 구강모델을 제조하게 된다. 즉, 픽스처 레벨의 구강모델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e impression taking step, an impression material with an impression cap is obtained. A multifunctional abutment of the same size as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selected in the impression cap embedd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and a replica corresponding to the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The oral cavity model is manufactured, and the oral cavity model in which the replica corresponding to the fixture is embedded is manufactured on the manufactured oral cavity model. That is,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xture-level oral model.

이 때, 상기 레플리카와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는 스크류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임프레션 캡에 끼워지고, 석고 모델 작업 후 상기 임프레션 캡에서 분리한 후, 석고 모델 상에서 상기 스크류를 제거하여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모델을 레플리카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으로 픽스처 레벨의 구강모델을 제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plica and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re fitted to the impression cap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with a screw, and after removing the impression cap from the impression cap after the plaster model operation, the screw is removed from the plaster model, A fixture level oral model can be manufactured in a manner that separates the model from the replica.

다음으로 보철물 설계 단계(S180)를 수행한다.Next, the step of designing the prosthesis (S180) is performed.

보철물 설계는 구강 모델과, 취득된 환자의 구강 환경 3차원 데이터을 이용하여 인접치, 대합치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구강환경에 적합한 형상으로 설계하는 것이다.The design of the prosthesis is to design a shape suitable for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in consideration of the adjacent tooth, the abutment, and the like, using the oral model and the three-dimensional data of the oral environment of the acquired patient.

본 발명은 다기능 어버트먼트가 최종 보철물의 일부가 되는 경우의 설계 방법,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지 않는 독립된 별도의 최종 보철물의 설계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ign method when a multifunctional abutment becomes part of a final prosthesis, and a separate, separate final prosthesis design method that does not use a multifunctional abutment.

a) 다기능 어버트먼트가 최종 보철물의 일부가 되는 경우의 설계는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형태로 보철물의 형상을 설계하며,a) When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s part of the final prosthesis, the design is to design the shape of the prosthesis in the form that it is fastened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b)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별도의 최종보철물인 경우에는 픽스처에 직접 체결되는 형상을 가지는 보철물의 형상을 설계한다.b) In the case of a final prosthesis separate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he shape of the prosthesis having a shape that is directly fastened to the fixture is designed.

보철물의 형상 설계는 캐드를 이용할 수 있다.CAD can be used for the shape design of the prosthesis.

캐드를 이용할 경우, 픽스처에 체결가능한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형상을 라이브러리로 저장하고, 저장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When CAD is used, the shape of a multifunctional abutment that can be fastened to a fixture can be stored as a library, and the design time can be shortened by using the stored library.

또한, 표준 치아 형상의 데이터도 라이브러리(library)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tandard tooth shape data may be stored in a library and used.

다기능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와 표준 치아 형상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설계하는 경우, 선택된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해당 치아의 표준 형상을 불러온 후 환자의 구강환경에 적합하게 변형하는 작업만으로 보철물 형상 설계를 할 수 있게 된다.
When designing us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library and the standard tooth shape library, the selected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the standard shape of the corresponding tooth can be recalled and then deformed appropriately to the patient's oral environment. do.

보철물의 형상 설계가 완료되면, 설계된 형상에 따라 보철물 제조 단계(S190)를 수행한다.When the shape design of the prosthesis is completed, the prosthesis manufacturing step (S19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signed shape.

보철물의 형상 설계시에 캐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밀 가공 또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프린팅을 통해 보철물을 제조할 수 있다.
When the CAD is used in the shape design of the prosthesis, the prosthesis can be manufactured through precision processing using design data or printing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다음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에 관하여 살펴본다.Next, a multifunction abutment s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버트먼트(100)는 별도의 스크류(미도시)를 이용하여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미도시)에 체결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fixture (not shown) plac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separate screw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버트먼트(100)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의 다각형 홈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의 끼움돌기(112)를 구비하는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몸체(120)와, 상기 하부몸체(120)의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30)와, 상기 상부몸체(13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절개면(132)과, 상기 절개면(132)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134)과, 상기 상부몸체(130)에서 상기 체결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140)을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part 110 having a polygonal fitting protrusion 112 corresponding to a polygonal groove shape of a fixture placed in an alveolar bone, And a lower body 1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body 120 and formed in a shape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body 120 increase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20. The upper body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body 120 and has a tapered shape, A cutout surface 132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130 and a concave groove 134 formed on a surface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cutout surface 132; And a fastening hole 140 formed in the upper body 130 so as to pass through the fastening part 110.

또한, 상기 상부몸체(130)에는 가이드홈(136)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136)에는 후술하는 임프레션 캡(200)의 가이드돌기(226)가 끼움결합된다.
A guide groove 136 is formed in the upper body 130 and a guide protrusion 226 of the impression cap 2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6.

픽스처의 상부에는 다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픽스처에 결합되는 보철물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polygonal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so that it can be coupled with the prosthesis coupled to the fixture with a certain directionality.

일반적으로는 육각형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육각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각형, 팔각형 또는 D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Generally, a hexagonal groove is formed, but it is not limited to a hexagonal shape and may have a pentagonal shape, an octagonal shape, or a D shape.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의 체결부(110)는 픽스처의 상단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픽스처와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도록, 다각형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112)를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대표적으로 끼움돌기(112)가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The fastening part 110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and has a fitting protrusion 11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groove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fixtur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tting protrusion 112 has a hexagonal shape.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의 체결부(110)가 픽스처 상단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가 다각형 홈에 끼워져, 다기능 어버트먼트(100)가 방향을 가지고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When the fastening portion 110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the fit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and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a coupled state.

하부몸체(120)는 치은과 연조직의 회복 형태를 결정하는 부분으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body 120 is a part for determining the recovery form of the gingiva and the soft tissue, and has a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upper part.

상부몸체(130)에는 절개면(132)과 오목홈(134)이 구비된다.The upper body 130 is provided with a cut surface 132 and a concave groove 134.

절개면(132)은 상부몸체(13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된다. 즉 두 개의 절개면(132)은 서로 평행한 면으로 형성된다.The incision surface 132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130. That is, the two cut surfaces 132 are formed as parallel planes.

또한, 절개면(132)은 끼움돌기(112)의 두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면(132)은 임프레션 캡과의 결합시 임프레션 캡이 다기능 어버트먼트와일정한 위치를 찾아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임프레션 캡을 체결하지 않고 인상을 채득할 경우도 생기게 되는데, 이때 인상재와 다기능 어버트먼트가 절개면(132)을 기준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 surface 132 is formed parallel to the two surfaces of the fitting projection 112. The incision surface 132 plays a role in allowing the impression cap to be fitted in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to be fitted in place when the impaction cap is coupled with the impression cap. Also, in some cases, the impression may be obtained without fastening the impression cap. At this time,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incision surface 132.

이는 다기능 어버트먼트(100)가 픽스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면(132)을 통해 픽스처 오목홈의 방향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enable the multifunction abutment 100 to identify the orientation of the fixture concave groove through the incision surface 132 in a state where it is coupled to the fixture.

다시말해, 절개면(132)에 의해서 픽스처에 형성된 다각형 홈 형상이 어떠한 형태로 식립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polygonal groove formed on the fixture can be confirmed by the incision surface 132.

이러한 절개면(132)은 환자의 구강 환경을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경우, 다기능 어버트먼트(100)를 분리하지 않고 픽스처의 방향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When the patient's oral environment is scanned using an oral scanner, the incision surface 132 provides an effect of identify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ixture without separat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

절개면(132)이 없이 상부몸체(130)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게 되면, 다기능 어버트먼트로부터 픽스처의 방향성을 식별할 수 없게 된다.If the upper body 13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out the cut surface 132, the directionality of the fixture can not be identified from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또한 절개면(132)은 후술하는 임프레션 캡의 탈부착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도 가져온다.In addition, the incision surface 132 also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impression cap to be described l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몸체(130)의 높이(h1)는 2.8~4.0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130)는 임프레션 캡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높이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임프레션 캡과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높이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대합치와 접촉하게 되어 환자에게 불편을 줄 우려가 있다.The height h1 of the upper body 13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8 to 4.0 mm. When the heigh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rong coupling force with the impression cap. When the heigh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upper body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pposing portion, .

상부몸체(13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데, 이는 결합되는 임프레션 캡과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것이다.The upper body 130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part, which is for smooth coupling with the coupled impression cap.

상부몸체(130)의 테이퍼각은 3~9도 범위인 것인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 angle of the upper body 130 is in the range of 3 to 9 degrees.

테이퍼각이 3도 미만인 경우 임프레션 캡과의 결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테이퍼각이 9도를 초과하는 경우 임프레션 캡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the taper angle is less than 3 degrees, the coupling with the impression cap may not be smooth, and when the taper angle exceeds 9 degrees, the impression cap may not be firmly coupled.

또한, 상부몸체(130)에는 오목홈(134)이 구비되는데, 오목홈(134)은 절개면(132)과 90도를 이루는 면에 형성된다. 오목홈(134)은 임프레션 캡(200)의 돌기에 끼워져, 임프레션 캡(200)이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제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upper body 130 is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134. The concave groove 134 is formed on a surface forming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cut surface 132. [ The concave groove 134 is fitted in the projection of the impression cap 200 and serves to enable the impression cap 200 to be engaged in place without rotating relative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한편, 상기 하부몸체(120)의 높이(h2)는 1~9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height h2 of the lower body 12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9 mm.

하부몸체(120)는 대상치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높이가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lower body 120 may have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target teeth.

예를 들어, 하부몸체(120)의 높이가 3mm, 5mm, 7mm 인 것으로 3종류의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구비하여, 환자의 구강환경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lower body 120 is 3 mm, 5 mm, and 7 mm, and three kinds of multifunctional abutments are provid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임프레션 캡에 관하여 살펴본다.Next, an impression cap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임프레션 캡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임프레션 캡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임프레션 캡의 정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ression ca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an impression ca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an impression ca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캡(200)은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 또는 일측이 절개된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결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의 상부몸체(130)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홈(220)과,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다각형 판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다각플레이트(230)와,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T자리브(240)와,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의 오목홈(134)에 끼워지는 결합돌기(222)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impression cap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10 having a cylindrical or incised one side and a polygonal column, A polygonal plate 230 protruding in the form of a polygonal plat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0 and an engaging groove 2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body 130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And a coupling protrusion 222 fitted in the concave groove 134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다기능어버트먼트(100)의 가이드홈(136)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226)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돌기(226)가 상기 가이드홈(136)에 끼워지며 클릭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protrusions 226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36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so that the guide protrusions 226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36, .

몸체(210)의 일측이 절개된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은, 임플레션 캡(200)을 끼운 상태에서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의 체결스크류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측에 절개된 부분을 통해서 공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프레션 캡(200)의 상부를 통해서만 공구의 접근이 가능했던 기존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body 210 has an incised shape in order to facilitate access to the fastening screw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in a state where the impression cap 200 is inserted.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that the tool can be accessed only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impression cap 200 can be solved by making the tool accessible through the incised portion at one side.

상기 결합홈(220)은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절개면(132)의 에 대응하는 결합면(224)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면(224)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은 상기 결합면(224)과 평행한 평탄면(212)을 구비한다.The coupling groove 220 has a coupling surface 224 corresponding to the cut surface 132 formed in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2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urface 224 has And a flat surface 212 parallel to the mating surface 224.

도시한 실시예는 몸체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기둥(예를 들면 사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for example, a square column, a hexagonal column, or the like).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절개면은 다기능 어버트먼트 하단 체결부의 다각형상의 면과 일치하게 형성된 것인데, 이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의 방향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결합면(224)이 절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끼워지면, 몸체(210)의 외주면에 구비된 평탄면(212)도 다기능 어버트먼트 체결부의 다각형상의 면과 일치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평탄면(212)이 픽스처의 방향성을 표시하게 된다.The incision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lower fastening portion of the multifunction abutment for indicat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erefore, when the engaging surface 224 is fit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ut surface, the flat surface 21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0 coincides with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engaging portion, The surface 212 displays the directionality of the fixture.

또한, 상기 임프레션 캡(200)의 내주면에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결합돌기(222)을 구비한다.Further, a coupling protrusion 222 protruding in a semicircular shape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mpression cap 200.

결합돌기(222)는 상술한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오목홈(도 2의 134)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으로, 원활한 탈부착을 위하여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aging projection 222 is a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concave groove (134 in Fig. 2)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described above, and preferably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 for smooth detachment.

한편 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는 T자리브(240)는 상기 다각플레이트(23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단편부(244)와, 상기 단편부(224)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장편부(242)를 포함한다.The T-shaped bracket 24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210 includes a piece 244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plate 230 and a long piece 244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piece 224 242).

이 때, 상기 장편부(242)와 단편부(244)는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편부 또는 상기 장편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결합면(224)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ng piece 242 and the piece piece 244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iece piece or the long piece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coupling surface 224.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장편부(242)의 길이방향이 평탄면(212)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장편부(242)의 길이방향이 평탄면(212)과 평행하게 형성되면, 장편부(242)의 방향으로 평탄면(212)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piece 24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lat surface 21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piece 242 is formed parallel to the flat surface 212, the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212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piece 242 can be identified.

T자리브(240)는 다각플레이트(230)와 함께, 인상 채득시 인상재와 임프레션 캡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T-seam 240, along with the polygonal plate 230,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impression cap during impression taking.

또한 T자리브(240)는 브릿지 인상 채득시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T자리브(240)로 인해 넓게 형성된 교합테이블은 바이트 인가시 안정감을 주어 정확한 바이트 테이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T-seam 240 also facilitates connection during bridge impression. The widened occlusion table due to the T-edge 240 provides a sense of stability when the byte is applied and acts as an accurate byte table.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캡은 높이가 1cm 이하의 작은 크기를 가지게 되는데, 환자의 구강내에서 체결된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본 발명의 임프레션 캡(200)이 체결되어 있다면, 인접치아나 잇몸등에 의하여 평탄면(132)을 식별하기 곤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T자리브(240)의 방향을 통해 평탄면(132)의 방향(결국은 픽스처의 다각홈의 방향)을 식별할 수도 있게 된다.If the impression cap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ed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impression cap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lattened by the adjacent teeth or gums,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the surface 132, in which case the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132 (eventually the direction of the polygonal groove of the fixture)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T-

장편부(242)와 단편부(244)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지 않고,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면, 2개의 방향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없다.If the long piece 242 and the short piece 244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without being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they can not achieve this function because they exhibit two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캡(200)은 인접치아들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는 베리피케이션 지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접치아의 힐링어버트에 임프레션 캡을 각각 체결한 후, T자리브(240)를 레진등으로 연결함으로써 베리피케이션 지그를 제작할 수 있다.The impression cap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verification jig for confirm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djacent teeth. In this case, after the impression caps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healing abutments of the adjacent teeth, the verifying jig can be manufactured by connecting the T-shaped portion 240 with resin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캡(200)은 커터로 절단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환자의 구강환경에 따라서 임프레션 캡(200)의 높이가 과도한 경우 임프레션 캡(200)을 커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T자리브(240)와 다각플레이트(230)의 사이를 절단하거나, 다각플레이트(230)의 사이를 절단할 수 있다.The impression cap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be cut with a cutter. So that the impression cap 200 can be cut with a cutter when the height of the impression cap 200 is excessive according to the or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ut between the T-shaped portion 240 and the polygonal plate 230, or cut between the polygonal plates 230.

임프레션 캡(200)을 제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질로는 POM 수지(polyacetal resin)가 있다. 폴리아세탈은 포름알데히드(CH2O)와 트리옥산(CH2O)3을 중합(重合)하여 제조하는 유백색 열가소성 수지로, 크게 나누어 호모폴리머와 고폴리머 두 종류가 있다. 폴리아세탈은 결정성이 높고, 굽힘강도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치수 안정성, 내피로 특성,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금속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어 금속 기계 부품과 많이 대체되고 있는 재질이다.
As a representative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impression cap 200, there is a POM resin (polyacetal resin). Polyacetal is a milky white thermoplastic resin produced by polymerization (polymerization) of formaldehyde (CH 2 O) and trioxane (CH 2 O) 3, and there are two types of homopolymer and high polymer. Polyacetal has high crystallinity,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bending strength, dimensional stability, endothelial property and abrasion resistance. Therefore, polyacetal has properties most similar to those of engineering plastics, to b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임프레션 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ultifunctional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n impression cap.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의 체결부(110)가 픽스처 상단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가 다각형 홈에 끼워져, 다기능 어버트먼트(100)가 방향을 가지고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When the fastening portion 110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the fit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and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a coupled state.

다기능 어버트먼트(100)가 픽스처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프레션 캡(200)을 다기능 어버트먼트(200) 위에서 밀어 끼우게 되면, 결합홈(220)에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의 상부몸체(130)가 삽입되면서, 임프레션 캡(200)의 결합돌기(222)가 다기능 어버트먼트(100) 상부몸체(130)의 오목홈(134)에 삽입되어, 임프레션 캡(200)이 다기능 어버트먼트(2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When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is coupled to the fixture and the impression cap 200 is pushed on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200, When the body 130 is inserted and the engaging protrusion 222 of the impression cap 20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34 of the upper body 130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And is firmly coupled to the butt 200.

다기능 어버트먼트(200)는 티타늄 합금과 같은 의료용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임프레션 캡(200)은 재질 자체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임프레션 캡(200)이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와 끼움결합되는 구조이다.The multifunctional abutment 200 is formed of a medical metal material such as a titanium alloy and the impression cap 20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of the material itself so that the impression cap 20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s fitted with the butt 100.

이렇게, 임프레션 캡(200)을 다기능 어버트먼트(100)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인상재를 이용하여 인상을 취득하게 되면, 임프레션 캡(200)은 인상재에 매립된 채로 분리된다.In this way, when the impression is obtained by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while the impression cap 200 is fitted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100, the impression cap 200 is separated from the impression material while being embedd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따라서, 임프레션 캡(200)은 인상채득체에 잔류하게 되고, 잔류한 임프레션 캡(200)을 이용하여 픽스처의 방향성과 높이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impression cap 200 remains on the impression picker, and information such as the direction and height of the fixture can be acquired by using the remaining impression cap 200. [

100 : 다기능 어버트먼트 110 : 체결부
120 : 하부몸체 130 : 상부몸체
132 : 절개면 134 : 오목홈
140 : 체결공
200 : 임프레션 캡 210 : 몸체
212 : 평탄면 220 : 결합홈
222 : 결합돌기 224 : 결합면
230 : 다각플레이트 240 : T자리브
242 : 장편부 244 : 단편부
100: multifunctional abutment 110: fastening part
120: lower body 130: upper body
132: incision surface 134: concave groove
140: fastening ball
200: Impression cap 210: Body
212: flat surface 220: engaging groove
222: engaging projection 224: engaging surface
230: polygonal plate 240: T seat
242: long piece 244: short piece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체결 단계;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노출된 상부면을 감싸며 끼움결합되는 프로텍트캡을 끼우는 프로텍트캡 장착 단계;
치유 시간 경과 후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워진 프로텍트캡을 분리하고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임프레션 캡을 끼움 결합하는 임프레션 캡 장착 단계;
상기 임프레션 캡이 끼워진 상태에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인상을 채득하되 채득된 인상에 상기 임프레션 캡이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인상채득단계;
상기 인상채득된 인상으로부터 구강모델을 제조하는 구강모델 제조단계;
상기 구강모델로부터 상부보철물을 설계하여 제조하는 보철물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A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o the fixture placed o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Attaching a protection cap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o surround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 impression cap mounting step of separating a protection cap fitted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fter the healing time and inserting an impression cap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 impression preparing step of making an impression by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impression cap is fitted, and making the impression cap embedded in the impression obtained;
A mouth model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n oral model from the impression-impressed impression;
And a step of manufacturing a prosthesis by designing an upper prosthesis from the oral cavity mode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모델 제조단계 이후에,
상기 제조된 구강모델의 3차원 형상을 스캔하는 구강모델 3차원 스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mouth model preparation step,
And a mouth model three-dimensional scanning step of scan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repared oral cavity mod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제조단계는
상기 구강모델 3차원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캐드 및 캠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And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dental prosthesis using the CAD and the cam using the oral model three-dimensional shape dat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제조단계는
설계된 최종보철물의 형상을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Wherein the shape of the designed final prosthesis is manufact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제조단계는
치조골에 체결된 다기능어버트먼트와 동일한 하부 형상을 가지는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Wherein the dental prosthesis is fabricated using an abutment having the same lower shape as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ed to the alveolar b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체결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와,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움결합으로 탈부착 가능한 임프레션 캡을 포함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의 다각형 홈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의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과, 상기 상부몸체에서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임프레션 캡은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 또는 일측이 절개된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결합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상부몸체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홈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다각형 판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다각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T자리브와,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오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다기능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다기능 어버트먼트 체결 단계;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노출된 상부면을 감싸며 끼움결합되는 프로텍트캡을 끼우는 프로텍트캡 장착 단계;
치유 시간 경과 후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에 끼워진 프로텍트캡을 분리하고 상기 다기능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임프레션 캡을 끼움 결합하는 임프레션 캡 장착 단계;
상기 임프레션 캡이 끼워진 상태에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인상을 채득하되 채득된 인상에 상기 임프레션 캡이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인상채득단계;
상기 인상채득된 인상으로부터 구강모델을 제조하는 구강모델 제조단계;
상기 구강모델로부터 상부보철물을 설계하여 제조하는 보철물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using a multifunctional abutment to be fastened to a fixture placed on an alveolar bone of a patient and a multifunctional abutment set including an impression cap removably attachable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polygonal fitt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a polygonal groove shape of a fixture placed on an alveolar bone,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stening portion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An upper body integrally formed above the lower body and form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upper portion, a cut surfac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and a cut- And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upper body so as to penetrate the fastening portion,
The impression cap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having one side cut out or a polygonal columnar body having one side cut out, an engagement groove corresponding to an upper body shap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form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 T-shaped bracket formed in a T-shape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fitted to the concave groov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 multifunctional abutmen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o the fixture placed o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Attaching a protection cap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to surround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 impression cap mounting step of separating a protection cap fitted to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fter the healing time and inserting an impression cap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abutment;
An impression preparing step of making an impression by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impression cap is fitted, and making the impression cap embedded in the impression obtained;
A mouth model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n oral model from the impression-impressed impression;
And a step of manufacturing a prosthesis by designing an upper prosthesis from the oral cavity model.
KR1020140038600A 2014-04-01 2014-04-01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KR101452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600A KR101452849B1 (en) 2014-04-01 2014-04-01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600A KR101452849B1 (en) 2014-04-01 2014-04-01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849B1 true KR101452849B1 (en) 2014-10-23

Family

ID=5199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600A KR101452849B1 (en) 2014-04-01 2014-04-01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849B1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77B1 (en) *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abutment and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abutment library
KR101632378B1 (en) * 2015-02-13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EP3123975A1 (en) * 2015-07-31 2017-02-01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canbody device
KR101707905B1 (en) * 2016-10-17 2017-02-17 박동효 Abutment for implant
USD783819S1 (en) 2015-07-31 2017-04-11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Scanbody
KR101745575B1 (en) * 2016-02-15 2017-06-12 김주식 Impression cap for implant
KR101756225B1 (en) * 2016-06-02 2017-07-12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An abutment for scanning
KR101790839B1 (en) * 2015-01-14 2017-10-26 오세만 abutment for implant
WO2018042038A1 (en) * 2016-09-05 2018-03-08 Karl Bloier Scan body
KR101919894B1 (en) 2018-09-21 2018-11-19 왕기복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GB2567050A (en) * 2017-08-09 2019-04-03 Neoss Ltd Dental implant assembly
FR3074030A1 (en) * 2017-11-24 2019-05-31 Euroteknik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RESTORATIVE ASSEMBLY
KR102153861B1 (en) * 2020-05-25 2020-09-09 이노범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prosthesis using 3D printing and particle painting
WO2020260283A1 (en) * 2019-06-25 2020-12-30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s and methods to align dental components
KR20220136586A (en) * 2021-03-31 2022-10-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dental implant surgery using 3D scanning
KR102458008B1 (en) * 2022-04-27 2022-10-24 (주)덴탈릭스 Oral scan body with implant impression and bite jig functions at the same time
KR102607246B1 (en) * 2022-12-08 2023-11-29 신천호 Metohd for obtaining scan data and system for obtaining scan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1460B2 (en) * 2001-11-01 2005-10-04 Astra Tech Ab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KR20120050358A (en)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Implant operation tool
KR101303351B1 (en) 2012-03-20 2013-09-03 주식회사 메디트 Method for making dental model
KR101363062B1 (en) * 2013-07-23 2014-02-17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Impression cap for healing abu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1460B2 (en) * 2001-11-01 2005-10-04 Astra Tech Ab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KR20120050358A (en)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Implant operation tool
KR101303351B1 (en) 2012-03-20 2013-09-03 주식회사 메디트 Method for making dental model
KR101363062B1 (en) * 2013-07-23 2014-02-17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Impression cap for healing abutment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77B1 (en) *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abutment and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abutment library
KR101790839B1 (en) * 2015-01-14 2017-10-26 오세만 abutment for implant
KR101632378B1 (en) * 2015-02-13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EP3123975A1 (en) * 2015-07-31 2017-02-01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canbody device
US10159545B2 (en) 2015-07-31 2018-12-25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Scanbody
USD783819S1 (en) 2015-07-31 2017-04-11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Scanbody
KR101745575B1 (en) * 2016-02-15 2017-06-12 김주식 Impression cap for implant
KR101756225B1 (en) * 2016-06-02 2017-07-12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An abutment for scanning
WO2018042038A1 (en) * 2016-09-05 2018-03-08 Karl Bloier Scan body
KR101707905B1 (en) * 2016-10-17 2017-02-17 박동효 Abutment for implant
GB2567050B (en) * 2017-08-09 2020-04-15 Neoss Ltd Dental implant assembly
GB2567050A (en) * 2017-08-09 2019-04-03 Neoss Ltd Dental implant assembly
WO2019101905A1 (en) * 2017-11-24 2019-05-31 Euroteknika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restoration assembly
FR3074030A1 (en) * 2017-11-24 2019-05-31 Euroteknik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RESTORATIVE ASSEMBLY
KR101919894B1 (en) 2018-09-21 2018-11-19 왕기복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WO2020260283A1 (en) * 2019-06-25 2020-12-30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s and methods to align dental components
KR102153861B1 (en) * 2020-05-25 2020-09-09 이노범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prosthesis using 3D printing and particle painting
KR20220136586A (en) * 2021-03-31 2022-10-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dental implant surgery using 3D scanning
KR102528601B1 (en) * 2021-03-31 2023-05-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manufacturing permanent tooth prosthesis using 3D scanning
KR102458008B1 (en) * 2022-04-27 2022-10-24 (주)덴탈릭스 Oral scan body with implant impression and bite jig functions at the same time
KR102607246B1 (en) * 2022-12-08 2023-11-29 신천호 Metohd for obtaining scan data and system for obtaining scan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849B1 (en)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KR101731541B1 (en) An abutment for healing
JP2002520085A (en) Universal Impression Coping System
KR101446072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770995B1 (en) Scan cap for oral scan
KR101388185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473835B1 (en) Protect cap for healing abutment
EP3569184B1 (en) Dental implants
KR101472570B1 (en) Discriminating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fixture healing abutment
EP1359861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20190040590A (en) General-purpose abutment with reduced Surgery procedure
US20200315749A1 (en) Dental implants
KR101854349B1 (en) fitting jig for abutment
KR102280897B1 (e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101363062B1 (en) Impression cap for healing abutment
KR102068525B1 (e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US20160022385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406043B1 (en) Separated type healing abutment
KR101675503B1 (en) reference wire attached in mou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using thereof for dental implant
KR20170139414A (en) Medical implant
KR101820489B1 (en) Multi-purpose abutment with reduced Surgery procedure
KR101524192B1 (en) Cervical Shap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20210186664A1 (en) Bone-bonded artificial tooth structure
KR200392276Y1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