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751B1 - 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 Google Patents

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751B1
KR101452751B1 KR1020140015077A KR20140015077A KR101452751B1 KR 101452751 B1 KR101452751 B1 KR 101452751B1 KR 1020140015077 A KR1020140015077 A KR 1020140015077A KR 20140015077 A KR20140015077 A KR 20140015077A KR 101452751 B1 KR101452751 B1 KR 10145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load
signal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준
김진하
조태희
조재형
박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01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7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A powe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a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signal or a current signal which are applied to a loa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calculator for calculating effective power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which are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load by turning on the switch on the basis of the power and f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by turning the switch off.

Description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의 동작방법{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eter, a watt-hour meter, and a watt-

본 발명은 전력량계,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력량계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량계,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 및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t-hour meter, a watt-hour meter system and a watt-hour meter operating metho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watt hour meter, an electronic watt hour meter system, and an electronic watt hour meter system.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신기와 같은 가전제품에서는 그 회로 구성이 집적회로화되고 신호처리기술이 고정밀화 되어감에 따라, 동작 전원의 안정화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전제품의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Generally, in a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television receiver, the circuit configuration becomes integrated circuit, and the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becomes high-precision, so that the operating power is inevitably required to be stabilized. Therefore, the power supply of such household appliances adopt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한편,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하여 설치하게 되는 전력량계는 그 작동 방식이나 구조에 따라 기계식 전력량계와 전자식 전력량계로 구분된다. 특히 전자식 전력량계는 기계적인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기계식 전력량계에 비해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인 검침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회로의 집적화를 통해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전화선, 전용선, 전력선, 광케이블, 무선 등)를 이용한 원격 검침 기능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tt hour meter installed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 a home or a factory is divided into a mechanical watt hour meter and an electronic watt hour me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and structure. In particular, since the electronic watt hour meter does not have a mechanical moving part, it can provide a reliable and stable meter reading value as compared with a mechanical watt hour meter. In addition, the electronic watt hour meter can be miniaturized by integration of circuits, , Optical cable, wireless, etc.) can be easily applied, and the demand thereof is gradually increasing.

종례의 전력량계를 이용한 부하 차단 방식은 전력량계의 외부에 부설된 전류제한 장치를 이용하였다. The current limit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watt hour meter was used for the load cutoff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watt hour meter.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부하에 일정치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력량계가 이를 감지하고, 전류제한 장치가 감지된 전류에 기초하여 전기공급을 차단하였다. More specifically, when a current exceeding a predetermined value flows to an external load, the watt-hour meter senses it, and the current limiter cuts off the electric supply based on the sensed current.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부하제한 값이 변경되면, 변경된 부하제어에 맞는 전류제한 장치로 교체하여야 하였다. 또한 종례의 방식은 전류값에 기초하여, 전기공급을 차단함함에 따라서, 수지상 선로의 배전계통에서는 전력공급원이 같더라도 고객이 수전받는 인입점 위치에 따라 수지상 선로의 배전계통에서는 전력공급원이 같더라도 고객이 수전받는 인입점 위치에 따라, 선로 임피던스의 차이가 발생하여 전압이 상이하여 동일한 소비전력의 부하를 사용하더라도 고객별로 전기공급이 차단되거나, 차단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method has to be replaced with a current limiting device that is adapted to the changed load control when the load limiting value is changed. Also,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the current value, the electric power supply is cut off, so that even if the electric power source is the same in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dendritic line, the electric power source is the same in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dendritic li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lectric supply is not blocked or blocked by the customer even if a load of the same power consumption is used due to a difference in voltage due to a difference in line impedanc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inlet point where the customer receives electricity.

선행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8460호(발명의 명칭: 션트 저항을 이용한 3상 전력 시스템의 전력량계)Prior Ar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28460 (entitled "Watt-hour meter of three-phase power system using shunt resis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하에 인가되는 수전전압에 관계없이, 전기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력량계 및 전력량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t-hour meter and a watt-hour meter system that can interrupt the supply of electricity regardless of the receiving voltage applied to a lo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는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watt-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A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signal or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loa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the switch on the basis of the active power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oad or turning off the switch to cut off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lo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서버;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의 전력량계로 전달하는 데이터 집중 장치;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계는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att-hour me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 data concentrato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s to respective watt-hour meters; And a watt-hour meter, wherein the watt-hour meter includes a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signal or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switch, a loa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the switch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oad based on the electric power or turning off the switch to shut off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load do.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 또는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 또는 상기 개폐기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는 전송 받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o the data concentration device a voltage signal or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load, a current signal or a voltag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or an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or an on or off state of the switch , The data concentrator can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the switch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oa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r turning off the switch to cut off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load.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개폐기의 온 신호, 상기 개폐기의 오프 신호,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의 측정 시간, 영구차단 조건, 상기 개폐기의 오프 상태 이후 복귀 시간, 구간별 부하제한 프로세스 별도 설명 및 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measurement time of the on-off signal of the switch, an off signal of the switch, a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a permanent cutoff condition, a return time after the off-state of the switch,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은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내부에 배치된 개폐기를 오프 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watt-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lculating active power applied to a load by a calcul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smaller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and turning off the switch disposed inside if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not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switch.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 다시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urning on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Calculating the effe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by the calculation unit agai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smaller than the next cut-off power, and turning off the switch if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not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지 않고,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ff matches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 control unit does not turn on the switch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ff does not match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

상기 다음 차단전력은 상기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The next cut-off power may be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기가 포함된 전력량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t-hour meter including the switchgea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개폐기를 온 또는 오프시켜, 부하에 인가되는 수전전압에 관계없이, 부하에 인가되는 전기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can be turned on or off based on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so that the supply of electricity to the load can be cut off irrespective of the receiving voltage applied to the lo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를 온 오프 시켜, 부하에 인가되는 전기공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can be turned on and off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remotely control the supply of electricity to the lo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차단전력 및 부하차단 횟수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lectric power supply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various cut-off pow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cut-off of the lo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att-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att-hour meter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diagram of an electrical isol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watt-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량계 및 전력량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ow, a watt-hour meter and a watt-hour me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att-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100)는 검출부(110), 변환부(120), 연산부(130), 제어부(140), 개폐기(150) 및 통신부(16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력량계(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watt-hour me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unit 110, a conversion unit 120, an operation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switch 150, and a communication unit 160.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watt-hour meter 100 having components with fewer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다음은 전력량계(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each configuration of the watt hour meter 100 will be described.

검출부(110)는 전력량계(100) 외부의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110)에서 추출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는 아날로그(Analog)신호 일 수 있다. 검출부(11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검출부(11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의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The detection unit 110 detects a current signal or a voltage signal applied to a load outside the watt hour meter 100. The current signal or voltage signal extracted from the detecto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nalog signal. The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a current signal or a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a current signal or a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the measurement time of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변환부(120)는 추출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20)는 AC/DC 컨버터(Converter)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2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120 converts the extracted current signal or voltag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conver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C / DC converter. The conver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rt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연산부(130)는 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을 연산한다.The calculating unit 130 calculates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converted by the converting unit 120. [

제어부(140)는 전력량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개폐기(150)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상인 경우, 개폐기(150)를 오프 시킨다.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소정의 수치 미만 경우, 개폐기(150)를 온 시킨다. 또한 제어부(140)는 개폐기(150)가 오프 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개폐기(150)를 온 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t hour meter 100.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switch 150 based on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130. [ The control unit 140 turns off the switch 150 when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140 turns on the switch 150 when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lso, the controller 140 may turn on the switch 150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switch 150 was turned off.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 로그로 기록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이벤트 로그를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량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부(110)를 통해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record the event log when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exceeds the contracted pow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may store the event log in a separate storage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t-hour meter 10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the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through the detection unit 110.

개폐기(150)는 온 또는 오프되어 부하로 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150)는 스위치일 수 있다. 개폐기(150)가 온 되 부하에 전기가 공급된다. 패계기(150)가 오프되면 부하에 전기공급이 차단된다. 개폐기(150)는 제어부(140)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150)는 전력량계(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The switch 150 is turned on or off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oad. The switch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witch. The switch 150 is turned on an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load. When the turn signal meter 150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is cut off. The switch 150 may be turned on or off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40 or the server. The switch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watt hour meter 100.

통신부(160)는 DCU(데이터 집중 장치, 200)와 통신한다. 통신부(16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160)는 제어 신호를 DCU(200)를 통해 수신한다. 통신부(160)는 이벤트 로그를 DCU(200)를 통해 서버(300)로 송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communicates with a DCU (data concentrator) 200. The communication unit 16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The communication unit 16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DCU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60 transmits the event log to the server 300 through the DCU 2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att-hour meter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시스템은 전력량계(100), DCU(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력량계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watt hour me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t hour meter 100, a DCU 200, and a server 300.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and a watt-hour meter system having components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도 2에서는 서버(300), DCU(200) 및 전력량계(100)가 일대 일대 다 관계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FIG. 2, the server 300, the DCU 200, and the watt-hour meter 100 are shown in a one-to-many relationshi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통신부(16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한 부하에서의 유효전력을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개폐기(15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DCU(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10 to the DCU 200.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to the DCU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the active power in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to the DCU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also transmit the ON or OFF state of the switch 150 to the DCU 200. [

DCU(200)는 전력량계(100)에서 받은 각종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DCU(200)는 서버(30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를 전력량계(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신호는 개폐기(150)의 온 하라는 신호, 개폐기(150)를 오프 하라는 신호 또는 부하에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의 측정 시간 또는 개폐기의 오프 상태 이후 복귀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영구차단 조건, 구간별 부하제한 프로세스 별도 설명 또는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DCU 200 transmits various signals, data 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t hour meter 100 to the server 300. The DCU 200 also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er 300 to the watt hour meter 100.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gnal to turn on the switch 150, a signal to turn off the switch 150 or a measurement time of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in the load or a return time after the off state of the switch have. The control signal may also include a persistent shutdown condition, a separate description of the load limiting process per section, or status information.

전력량계(100)는 서버(3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로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제어부(140)는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부하에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추출부(110)를 통해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 추출 시간에 기초하여, 부하의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The watt hour meter 100 turns on / off the switch 15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turns on or off the switch 15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60. The control unit 140 extracts a current signal or a voltage signal from the load based on the control condi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may extract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through the extracting unit 11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extract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of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extraction tim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방법을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 3, an electric cutoff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단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 diagram of an electrical isol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검출부(110)는 부하의 전류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한다(S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의 전류 또는 전압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The detecting unit 110 detects the current or voltage signal of the load (S101). The detec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current or voltage signal of the loa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

변환부(120)는 검출된 전류 신호 및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103).The conversion unit 120 converts the detected current signal and voltag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S103).

연산부(13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전력을 산출한다(S105).The calculating unit 130 calculates the active power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S105).

제어부(140)는 산출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킨다(S107).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turns on or off the switch 150 based on the calculated active power (S107). The control unit 140 may turn on or off the switch 15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watt 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watt-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산부(130)가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 전력을 산출한다(S201).The calculating unit 130 calculates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S201).

제어부(140)가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03). 현재의 차단전력은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의 차단전력은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S203). The current cutoff power may be specified in advance. Also, the current cutoff power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not shown).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이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off) 시킨다(S205).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한다(S207). 제어부(140)가 개폐기(150)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함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카운터(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If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not smaller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the controller 140 turns off the switch 150 (S205). The control unit 140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S207). A separate counter (not shown) may be used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140 turns off the switch 150. [

제어부(140)는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09). 만일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온 시키지 않는다. 즉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부하차단 횟수는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부하차단 횟수는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counted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coincides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S209). If the counted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coincides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the controller 140 does not turn on the switch 150. That is, when the counted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coincides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the control unit 140 keeps the switch 150 of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imes of interruption of the load may be specifi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not shown).

카운트한 개폐기(150) 오프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온 시킨다(S2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소정의 시간은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후 연산부(13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을 다시 산출한다. If the counted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does not coincide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the control unit 140 turns on the switch 150 (S2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pecified in advance. The predetermined time may also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not shown). Thereafter, the calculation unit 130 again calculates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이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off) 시킨다. 다음 차단전력은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다음 차단전력은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차단전력은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다.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smaller than the next cutoff power and if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not smaller than the next cutoff power, the controller 140 turns off the switch 150 ). The next cut-off power may be specified in advance. Further, the next cut-off power may be stored in a separately provided storage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xt cutoff power is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개폐기(150)를 오프 시키는 기준 유효전력을 점차 낮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ethod shown in Fig. 4, the reference effective power for turning off the switch 150 is gradually lowered.

부하단에 체납 고객에 대하여, 첫번째 차단전력을 10kW 두번째 차단전력을 5kW라고 하고, 부하차단 횟수를 2회라고 가정하고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즉 첫번째 차단전력인 10kW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ssuming that the first cut-off power is 10 kW and the second cut-off power is 5 kW and the load cut-off frequency is 2,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at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the current cut- Is smaller than the first cutoff power of 10 k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만일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10kW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다. If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not less than 10 kW, the control unit 140 turns off the switch 150.

제어부(140)는 이때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개계기(150)는 처음 오프되었으므로,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는 1이 된다.The control unit 140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at this time. At this time, since the indicator 150 is turned off for the first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is 1.

이후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 즉 2와 같은지를 판단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is equ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that is, 2.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가 같지 않으므로,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온 시킨다. The controller 140 turns on the switch 150 since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is not equ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그 후 제어부(140)는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이 다음의 차단전력 즉 두번째 차단전력인 5kW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40 then determines whether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less than the next cut-off power, i.e., the second cut-off power, 5 kW.

만일 부하에 인가되는 유효전력이 5kW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다. If the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is not less than 5 kW, the control unit 140 turns off the switch 150.

제어부(140)는 이때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개계기(150)는 처음 오프되었으므로,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는 2가 된다.The control unit 140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at this time. At this time, since the indicator 150 is turned off for the first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is 2.

이후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 즉 2와 같은지를 판단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is equ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that is, 2.

개폐기(150)를 오프시킨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가 같으므로 제어부(140)는 개폐기(150)를 오프 상태로 유지 시킨다. Since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150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140 maintains the switch 150 in the off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전력량계 110: 검출부
120: 변환부 130: 연산부
140: 제어부 150: 개폐기
160: 통신부 200: DCU
300: 서버
100: watt hour meter 110:
120: conversion unit 130:
140: control unit 150:
160: communication unit 200: DCU
300: server

Claims (9)

내부에 배치된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되,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킨 후에 상기 연산부에 의해 다시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A switch disposed inside;
A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signal or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loa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And
The switch is turned on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oad based on the active power, or the switch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load, the switch is turned 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not smaller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the control unit judges whether the active power calculated again by the calculation unit is smaller than the next cut-off power, and turns off the switch when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not smaller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서버;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의 전력량계로 전달하는 데이터 집중 장치;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계는
개폐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에 인가된 전력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되, 차단시키되,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킨 후에 상기 연산부에 의해 다시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A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 data concentrato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s to respective watt-hour meters; And
Including a watt hour meter,
The watt-
switch,
A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signal or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loa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power applied to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signal or the voltag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turning on the switch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oad based on the pow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tive power calculated again by the calculation unit is smaller than the next cutoff power after turning on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And when the power is not less than the current breaking power, turning off the swit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 또는 상기 부하에 인가된 전력, 또는 상기 개폐기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voltage signal or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load, a current signal or a voltag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or a power applied to the load, or an ON or OFF state of the switch, to the data concentrator Watt hour meter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를 온 시켜 부하에 전기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켜 부하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turns on the switch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oa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r turns off the switch to cut off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loa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개폐기의 온 신호, 상기 개폐기의 오프 신호, 상기 전압 신호 또는 상기 전류 신호의 측정 시간, 영구차단 조건, 상기 개폐기의 오프 상태 이후 복귀 시간, 구간별 부하제한 프로세스 별도 설명 및 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량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measurement time of the on-off signal of the switch, an off signal of the switch, a voltage signal or the current signal, a permanent cutoff condition, a return time after the off-state of the switch, The watt-hour meter system comprising: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내부에 배치된 개폐기를 오프 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오프 시킨 횟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
다시 상기 연산부가 부하에 인가된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산출된 유효전력이 다음 차단전력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산출된 유효전력이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기를 다시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Calculating an effe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by the calcul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smaller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and turning off the switch disposed inside if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not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switch;
Turning on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Calculating the effective power applied to the load by the calculation unit agai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less than the next cut-off power, and turning off the switch if the calculated active power is not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지 않고,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횟수가 부하차단 횟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가 오프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제어부가 상기 개폐기를 온 시키는 단계인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turning on the switch by the control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ff coincides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cut off, the control unit does not turn on the switch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ff does not coincide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차단전력은 상기 현재의 차단전력보다 작은 전력량계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ext cut-off power is less than the current cut-off power.
KR1020140015077A 2014-02-10 2014-02-10 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KR101452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77A KR101452751B1 (en) 2014-02-10 2014-02-10 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77A KR101452751B1 (en) 2014-02-10 2014-02-10 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751B1 true KR101452751B1 (en) 2014-10-22

Family

ID=5199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77A KR101452751B1 (en) 2014-02-10 2014-02-10 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7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12A1 (en) * 2018-05-08 2019-11-14 Jeong Yeon Moon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437A (en) * 2003-02-28 2004-02-11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load controling device for multi load of Electronic WHMS
KR20050047600A (en)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Multi-functional electronic watt-hour meter for interrupting leakage of electricity and over-curr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50069641A (en)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우림데이시스 The electronic wattmeter which uses the multi func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KR20110024373A (en)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플레넷 Remote control apparatus of a power measurment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437A (en) * 2003-02-28 2004-02-11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load controling device for multi load of Electronic WHMS
KR20050047600A (en)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Multi-functional electronic watt-hour meter for interrupting leakage of electricity and over-curr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50069641A (en)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우림데이시스 The electronic wattmeter which uses the multi func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KR20110024373A (en)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플레넷 Remote control apparatus of a power measurment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12A1 (en) * 2018-05-08 2019-11-14 Jeong Yeon Moon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US11493544B2 (en) 2018-05-08 2022-11-08 Yeon Moon Jeong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9634B1 (en) Wireless branch circuit energy monitoring system
US88540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urrent drawn by a protected load in a self-powered electronic protection device
US96387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anch circuit current
US1002015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ause of a voltage outage load-side from a circuit breaker, auxiliary unit for a circuit breaker, electric system comprising a circuit breaker and one such auxiliary unit
WO2015047383A1 (en) Distributed arc fault protection between outlet and circuit breaker
JP2005228732A (en) Failure detection apparatus
KR101452751B1 (en) Power meter, power me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ower meter
JP2010019680A (en) Watthour meter
JP6509029B2 (en) Distribution board
KR101362777B1 (en) Concent rf communication
KR102058400B1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instantaneous current in power grid line
JP2017506496A (en) Standby power cut-off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KR20050080950A (en) Wire over load sensitive circuit and power supply cutoff apparatus having thereof
KR20140126934A (en) Intelligent outlet for power sav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8305595A (en) Circuit breaker
JP2008277227A (en) Circuit breaker unit
KR102006186B1 (en) Digital protective relay
CN209562145U (en) A kind of intelligent contactor system of motor
CN111103535B (en) Circuit breaker monitoring device
US11536754B2 (en) Electricity meter with fault tolerant power supply
JP2007325399A (en) Distribution board
KR200266349Y1 (en) Minuteness Current sensing power saver
GB2586729A (en) Faceplate switch
KR20030038948A (en) Minuteness Current sensing power saver
KR101261391B1 (en) Standby-Power Cut-off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