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399B1 -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399B1
KR101451399B1 KR1020110106240A KR20110106240A KR101451399B1 KR 101451399 B1 KR101451399 B1 KR 101451399B1 KR 1020110106240 A KR1020110106240 A KR 1020110106240A KR 20110106240 A KR20110106240 A KR 20110106240A KR 101451399 B1 KR101451399 B1 KR 10145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ap
information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116A (ko
Inventor
정상국
강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0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3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방법 및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이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1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고,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에서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단말로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및 방법이 제공되고,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대응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SCRAPPING INFORMATION OF CONTENTS, AND DEVICE FOR TRANSMITTING THE SCRAPP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제공되는 대표적인 콘텐츠의 하나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양방향 통신 서비스와 융합되어 IPTV 서비스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최근 이러한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셋톱박스 내부에는 PVR(Personal Video Recording) 또는 DVR(Digital Video Recording) 저장 장치가 내장되어 실시간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셋톱박스에서 이용되는 콘텐츠의 일부를 녹화하는 개인 녹화 서비스, 이어보기 등의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IPTV 환경하에서 콘텐츠를 녹화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08-0063703호에는 셋톱박스와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PV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동 통신 기술 및 네트워크의 발전과 더불어, IPTV 서비스는 셋톱박스만을 이용하는 단순한 구조에서 다양한 형태의 단말들과 연동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기기에서 독립적으로 이용하던 서비스를 사용자 또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N 스크린(Screen) 서비스 내에서 IPTV는 녹화된 콘텐츠를 다른 단말로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편리하게 콘텐츠를 스크랩하고, 스크랩된 콘텐츠를 단말간에 공유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스크랩과 함께 스크랩된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단말간에 공유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사용자 별로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스크랩된 콘텐츠 및 스크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서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수신하는 스크랩 정보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전송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서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요청 관리부, 상기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일부에 대한 스크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는 스크랩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크랩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랩 정보는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단말과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것인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선 및 무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어느 단말에서 실시간 및 VOD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하고, 제공된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3 자가 스크랩된 콘텐츠 목록을 통합 도는 조합하거나, 스크랩된 콘텐츠 목록에 포함된 콘텐츠의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단말간의 서비스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랩된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만을 관리 및 공유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를 유지함으로써, 작은 리소스만으로도 보다 효율적으로 다중 단말로 스크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콘텐츠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원본 콘텐츠의 구매를 유도하는 구성 및 단말들의 접속에 대한 인증 처리의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제 1 단말로부터 스크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크랩 정보를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제 2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된 제 2 단말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로 구매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및 스트림 서버(30)를 포함한다. 이 때, 스크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및 스트림 서버(30)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을 통해 개시된 단말(21) 내지 단말(2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도면 1의 내용에 의해 본원에서 설명하는 단말의 종류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스트림 서버(30)와 복수의 단말(21 내지 23)간에 송수신되는 콘텐츠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송수신되는 콘텐츠에 대한 다수의 정보를 관리하고, 이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스트림 서버(30)와 복수의 단말(21 내지 23)간의 콘텐츠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단말로 제공 가능한 콘텐츠의 목록 정보 또는 목록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를 어느 하나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과 스트림 서버(30)간에 송수신되는 콘텐츠에 대한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들간의 콘텐츠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의 특성 및 니즈(needs)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다.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는 스트림 서버(30)에서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된 콘텐츠로부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스크랩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고, 이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스트림 서버(30)와 복수의 단말(21 내지 23)간의 스크랩 콘텐츠 또는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의 이동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를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다른 하나의 단말로 직접 전송하는 것과 구별하여,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만을 단말과 단말간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스크랩 콘텐츠와 비교하여 데이터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크랩 정보만으로도 스크랩 서비스와 관련된 통합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스크랩 정보에는 스크랩 콘텐츠를 식별하는 정보 및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코멘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공유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게 제공된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은 스트림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일부를 스크랩한다. 또한,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은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기 저장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 또는 소정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한다. 나아가,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은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갱신하거나, 또는 소정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스트림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로 콘텐츠 및 스크랩 콘텐츠의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스트림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 단말로부터 콘텐츠 또는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의 데이터 스트림 또는 스크랩 콘텐츠의 데이터 스트림을 어느 하나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림 서버(30)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또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또는 스크랩 콘텐츠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어느 하나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림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로부터 요청된 콘텐츠 종류, 스크랩 콘텐츠의 종류 또는 단말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를 요청한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유선 단말기용 스트림 서버가 스트림 서버(30)로서 선택되고, 콘텐츠를 요청한 단말이 무선 단말인 경우, 무선 단말기용 스트림 서버가 스트림 서버(30)로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요청된 콘텐츠가 주문형 콘텐츠인 경우, NPVR(Network Personal Video Recorder)이 스트림 서버(30)로서 선택되고, 요청된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실시간 콘텐츠를 담당하는 스트림 서버가 스트림 서버(30)로서 선택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림 서버(30)는 앞서 언급된 스트림 서버들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통합 스트림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이러한 도 1에 개시된 스크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통신부(11), 콘텐츠 제공 관리부(12), 스크랩 정보 관리부(13),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14) 및 저장부(15)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는 관리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통신부(11)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 및 스트림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데이터의 일 예에는 신호, 정보, 메시지, 콘텐츠 스트림과 같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노드들간에 이동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는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로 콘텐츠의 목록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11)는 스트림 서버(30)와 콘텐츠에 관리에 대한 설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내부의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고,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내부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로 전달하고,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로부터 전달된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를 복수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부(11)는 복수의 단말 또는 스트림 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로 전달하고,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복수의 단말 또는 스트림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추가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 통신부(11)를 경유할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유추되어야 한다.
통신부(1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부(15)에 저장하고, 저장부(15)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5)에는 통신부(11)로 입출력되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에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5)에 저장된 데이터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들로 입력 및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의 일 예에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제 1 단말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러한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제 1 단말로 전송한다. 이 때, 주소 정보의 일 예에는 콘텐츠가 저장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포함된다.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1 단말로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전송하고,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 정보를 제 1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목록 정보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12)에 관리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며, 이러한 콘텐츠 목록 정보의 일 예에는 복수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의 리스트가 포함된다. 또한, 선택 정보는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제 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제공 가능한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 목록 정보로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의 정보에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식별자,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여 복수의 단말로 획득된 콘텐츠를 전달하는 스트림 서버의 주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영상 표시 장치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각각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에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기에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비퍼, 무전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로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를 전송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소 정보는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주소 정보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로부터 스트림 서버(30)로 전송되거나, 또는 제 1 단말로부터 스트림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단말에서 스트림 서버(30)로 주소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주소 정보는 제 1 단말에서 스트림 서버(30)로 전송되는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또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이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림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유선 단말기용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하고, 제 1 단말이 무선 단말인 경우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무선 단말기용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이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를 복수의 스트림 서버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스트림 서버로 전달하고, 통합 스트림 서버에서 전달된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콘텐츠가 주문형 콘텐츠 또는 실시간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림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콘텐츠가 주문형 콘텐츠인 경우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NPVR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하고,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실시간 콘텐츠를 담당하는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콘텐츠가 주문형 콘텐츠 또는 실시간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를 복수의 스트림 서버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스트림 서버로 전달하고, 통합 스트림 서버에서 전달된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NPVR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에서 주문형 콘텐츠를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단말로 제공하는 스트림 서버의 일 예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콘텐츠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예를 들어, 방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를 의미하고, 주문형 콘텐츠는 시간의 구속 없이 사용자(또는 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간 콘텐츠의 일 예에는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 스트림이 포함되고, 주문형 콘텐츠의 일 예에는 구매 가능한 영화 데이터, 구매 가능한 교육 방송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로부터 요청된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실시간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이피지(EPG)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피지 서버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가 수행하는 동작을 대신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피지 서버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로부터 전달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 제 1 단말로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제공하고, 제 1 단말이 콘텐츠 목록 정보에서 소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콘텐츠가 저장된 주소 정보를 스트림 서버(30)로 전송함으로써, 스트림 서버(30)가 제 1 단말로 선택한 콘텐츠를 전송할 것을 스트림 서버(30)에게 명령할 수 있다.
스트림 서버(30)는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 때, 콘텐츠는 제 1 단말이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로 요청했던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스트림 서버(30)는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단말로 콘텐츠의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림 서버(30)는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 1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림 서버(30)는 제 1 단말의 단말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기초하여 스트림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서버(30)는 제 1 단말의 단말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콘텐츠를 IP 프로토콜 기반의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 1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주소 정보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12) 또는 제 1 단말에서 스트림 서버(3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콘텐츠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내부의 소정 저장 공간,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외부의 저장 공간, 제 1 단말과 구별되는 다른 단말의 내부의 저장 공간 또는 스트림 서버(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랩 정보 관리부(13)는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제 1 단말로 콘텐츠가 전송됨에 따라,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에서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콘텐츠는 스트림 서버(30)에 의해 저장된 위치로부터 획득되어, 제 1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스트림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스트림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된 콘텐츠로부터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의 콘텐츠의 일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랩 콘텐츠는 시간의 상한 및 하한 또는 프레임의 순번으로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랩 콘텐츠는 제 1 단말에 콘텐츠가 재생되던 중 제 1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이 때, 입력된 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의 스크랩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입력된 신호는 재생되던 콘텐츠의 일부를 정의하는 시간 정보 또는 프레임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재생되던 콘텐츠의 일 프레임(또는 정지 영상)의 정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랩 정보에는 스크랩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스크랩 콘텐츠의 코멘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의 식별 정보는 콘텐츠와 비교하여 스크랩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스크랩 콘텐츠의 제목 정보, 색인 정보(예를 들어, 스크랩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간과 재생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스크랩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콘텐츠의 코멘트 정보의 일 예에는 스크랩 콘텐츠의 제목, 설명, 평가, 태그(tag) 등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정보들이 포함된다.
제 1 단말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로부터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제 1 단말에서 콘텐츠 목록 정보로부터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된 콘텐츠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생성하고,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같은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에는 콘텐츠를 재생하고, 스크랩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스크랩 플레이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스트림 서버(30)로 재생중인 콘텐츠를 스크랩하기 위한 소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은 스트림 서버(30)로 재생중인 콘텐츠와 관련하여 트릭 플레이(trick play)를 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개시된 트릭 플레이에 기반하여 사용자로부터 재생된 콘텐츠에서 스크랩하고자 하는 구간의 시간 시간과 종료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트릭 플레이는 일반적인 플레이와 구별하여 영상의 재생 속도, 재생 방향 또는 재생 시간에 변화는 가하는 플레이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단말은 트릭 플레이에 해당하는 제어 권한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은 콘텐츠의 재생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콘텐츠에 대한 정지(pause), 되감기(rewind)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림 서버(30)는 트릭 플레이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제 1 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제 1 단말은 트릭 플레이 명령에 대비되는 플레이 명령, 다시 말하면 일반적인 플레이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서버(30)는 제 1 단말로부터 수신된 트릭 플레이 명령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스트림 전송을 중단하고 트릭 플레이 명령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일부 스트림을 제 1 단말로 제공하고, 제 1 단말로부터 수신된 플레이 명령에 대응하여 중단된 콘텐츠의 스트림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단말로 스크랩 정보를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1 단말에 의해 등록된 스크랩 정보를 제 1 단말과 다른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콘텐츠로부터 스크랩된 콘텐츠를 의미한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단말로 콘텐츠 스크랩 목록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스크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제 2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는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스크랩 콘텐츠를 포함하며, 이러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의 일 예에는 복수의 스크랩 콘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의 리스트가 포함된다. 또한, 선택 정보는 복수의 스크랩 콘텐츠로부터 제 2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랩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단말은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크랩 콘텐츠의 리스트를 영상 표시 장치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제공 가능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에는 스크랩 콘텐츠의 식별 정보, 스크랩 콘텐츠의 코멘트 정보, 스크랩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 스크랩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획득하여 복수의 단말로 획득된 스크랩 콘텐츠를 전달하는 스트림 서버의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의 주소 정보는 스크랩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주소 정보는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로부터 스트림 서버(30)로 전송되거나, 또는 제 2 단말로부터 스트림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단말에서 스트림 서버(30)로 주소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주소 정보는 제 2 단말에서 스트림 서버(30)로 전송되는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또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스크랩 정보를 제 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의 코덱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스크랩 정보를 제 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이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림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트림 서버로 스크랩 콘텐츠의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이 유선 단말인 경우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유선 단말기용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단말이 무선 단말인 경우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무선 단말기용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이 요청한 스크랩 콘텐츠가 주문형 콘텐츠 또는 실시간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림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트림 서버로 상기 스크랩 콘텐츠의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스크랩 콘텐츠가 주문형 콘텐츠인 경우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NPVR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하고, 스크랩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실시간 콘텐츠를 담당하는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원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요청된 스크랩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실시간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이피지(EPG)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피지 서버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가 수행하는 동작을 대신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피지 서버는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로부터 전달된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받은 경우,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제공하고, 제 2 단말이 콘텐츠 목록 정보에서 소정 스크랩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제 2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림 서버(30)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 때, 스크랩 콘텐츠는 제 2 단말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로 요청했던 스크랩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스트림 서버(30)는 스크랩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의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림 서버(30)는 스크랩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크랩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 2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림 서버(30)는 제 2 단말의 단말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서버(30)는 제 2 단말의 단말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IP 프로토콜 기반의 획득된 콘텐츠를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 2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가 스크랩 정보에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코멘트를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정보에 코멘트를 추가하는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가 스크랩 정보의 스크랩 콘텐츠를 확정 또는 축소하거나, 또는 스크랩 콘텐츠에 다른 스크랩 콘텐츠를 페이링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가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새로운 스크랩 콘텐츠를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업데이트된 스크랩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복수의 단말로 공유한다.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스크랩 정보를 제 1 단말 또는 제 3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제 1 단말 또는 제 3 단말로 공유할 수도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스크랩 정보 또는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 2 단말로 허여하기 위하여, 제 2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제 2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정보는 일반적으로 제 2 단말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단말에 대한 증을 수행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인증 수행 서버로 송신하고, 인증 수행 서버로부터 제 2 단말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 사전에 암호화 키를 할당하고,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제 2 단말로 할당된 상기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 2 단말을 인증할 수도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정보 또는 스크랩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지원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정보 및 이러한 스크랩 정보가 제 3 단말에서 이용되었던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단말은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로부터 전송된 이어보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단말에서 업데이트 또는 이용되었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스크랩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 및 이러한 스크랩 콘텐츠가 제 3 단말에서 어느 영역까지 재생되었는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단말은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로부터 전송된 이어보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단말에서 재생되었던 영역 이후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 2 단말로 구매 관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정보 또는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단말이 전송된 스크랩 정보 또는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전체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로 전송한 경우, 스크랩 공유 정보 관리부(14)는 수신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제 2 단말이 원하는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구매 관련 메시지를 제 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제 1 단말로부터 스크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크랩 정보를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3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 3을 통해 본원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S301), 제 1 단말로 콘텐츠 목록 정보를 송신한다(S302). 제 1 단말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선택 정보와 함께 선택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스트림 서버(30)로 송신하고(S303), 스트림 서버(30)는 선택한 콘텐츠의 스트림을 제 1 단말로 전송한다(S304).
제 1 단말은 스트림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의 스트림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던 중 트릭 플레이 명령을 스트림 서버(30)로 송신하고(S305), 스트림 서버로부터 트릭 플레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콘텐츠로부터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 및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생성한다(S306). 제 1 단말은 생성한 스크랩 정보를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송신한다(S307). 제 1 단말은 스크랩 콘텐츠 및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고, 스트림 서버(30)로 플레이 명령을 송신한다(S308).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S309), 제 2 단말로 제 1 단말로부터 등록된 스크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0).
도 4는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4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 4를 통해 본원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은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고(S401),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제 1 단말의 스크랩 정보를 저장하고(S402), 스트림 서버(30)는 제 1 단말의 스크랩 콘텐츠를 저장한다(S403).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S404),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전송한다(S405). 제 2 단말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스크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선택 정보와 함께 선택한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스트림 서버(30)로 송신하고(S406), 스트림 서버(30)는 선택한 스크랩 콘텐츠의 스트림을 제 2 단말로 전송한다(S407).
제 2 단말은 스트림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스크랩 콘텐츠의 스트림을 이용하여 스크랩 콘텐츠를 재생하던 중 트릭 플레이 명령을 스트림 서버(30)로 송신하고(S408), 스트림 서버로부터 트릭 플레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409). 이를 통해, 제 2 단말은 스크랩 콘탠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거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단말은 스크랩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거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스트림 서버(30)로 스탑 명령을 송신한다(S410).
도 5는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제 2 단말을 인증하고, 인증된 제 2 단말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5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 5를 통해 본원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은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고(S501),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제 1 단말의 스크랩 정보를 저장하고(S502), 스트림 서버(30)는 제 1 단말의 스크랩 콘텐츠를 저장한다(S503).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S504), 제 2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제 2 단말로 인증 완료 응답을 송신한다(S505).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인증이 완료된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S506),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전송한다(S507). 제 2 단말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스크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선택 정보와 함께 선택한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스트림 서버(30)로 송신하고(S508), 스트림 서버(30)는 선택한 스크랩 콘텐츠의 스트림을 제 2 단말로 전송한다(S509).
제 2 단말은 스크랩 콘탠츠에 대한 새로운 스크랩 정보 또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업데이트 정보로서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송신한다(S510). 제 2 단말은 스크랩 콘탠츠에 대한 새로운 스크랩 정보 또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업데이트 정보로서 스트림 서버(30)로 송신한다(S511).
도 6은 도 1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로 구매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6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 6을 통해 본원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60)로부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S601), 단말(60)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전송한다(S602). 단말(60)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스크랩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선택 정보와 함께 선택한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스트림 서버(30)로 송신하고(S603), 스트림 서버(30)는 선택한 스크랩 콘텐츠의 스트림을 단말(60)로 전송한다(S604).
단말(60)은 스크랩 콘텐츠의 스트림을 이용하여 스크랩 콘텐츠를 재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스크랩 콘텐츠가 포함되는 콘텐츠를 처음부터 볼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콘텐츠 처음부터 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05). 이 때, 콘텐츠 처음부터 보기 요청 메시지는 스크랩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단말(60)은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구매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S606), 수신된 구매 관련 메시지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로 구매 관련 영상을 전송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구매를 취소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스트림 서버(30)로 스크랩 콘텐츠 종료 명령을 송신하고(S607),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구매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스트림 서버(30)로 처음부터 보기 명령을 전송한다(S608). 스트림 서버(30)는 단말(60)로부터 처음부터 보기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스크랩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단말(60)로 전송한다(S609).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도 7의 단말(70)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70)이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의 형태로 한정해석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70)은 통신부(71), 콘텐츠 요청 관리부(72), 콘텐츠 재생 관리부(74), 스크랩 정보 관리부(74) 및 스크랩 정보 송신부(75)를 포함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단말(70)은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70)에는 사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70)에는 일반적인 단말이 포함하는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70)에는 영상 및 음성 처리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71)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및 스트림 서버(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데이터의 일 예에는 신호, 정보, 메시지, 콘텐츠 스트림과 같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노드들간에 이동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모두 포함된다. 통신부(7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단말(70) 내부의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고, 단말(70) 내부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7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 장치에는 통신부(71)로 입출력되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에는 단말(7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들로 입력 및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의 일 예에는 단말(7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통신부(71)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된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 내의 통신부(1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 또는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콘텐츠 요청 관리부(72)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로부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수신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요청 관리부(7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요청된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이피지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피지 서버로부터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콘텐츠 요청 관리부(72)는 요청된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를 대신하여 이피지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
콘텐츠 재생 관리부(74)는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스크랩 정보 관리부(7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콘텐츠의 일부에 대한 스크랩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에 대응하여 콘텐츠로부터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생성한다. 스크랩 정보 송신부(75)는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스크랩 정보는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단말(70)과 다른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70)은 앞서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대하여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을 통하여 단말(70)에 대해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제 1 내지 제 3 단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을 준용한다. 다시 말하면, 도 7의 단말(7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 또는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의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81에서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82에서 콘텐츠 제공 관리부(12)는 제 1 단말로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83에서 스크랩 정보 관리부(13)는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에서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84에서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13)는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85에서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13)는 제 2 단말로 스크랩 정보를 전송한다.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2: 콘텐츠 제공 관리부
13: 스크랩 정보 관리부
14: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
70: 단말

Claims (19)

  1.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서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수신하는 스크랩 정보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제 2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코덱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스크랩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크랩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스트림 서버로 전송되는 트릭 플레이(trick play)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스크랩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스크랩 정보를 상기 복수의 단말과 공유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을 인증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는 상기 스크랩 콘텐츠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스크랩 콘텐츠의 코멘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로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로 수신된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스트림 서버로 전달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스트림 서버에 의해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 상기 제 1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스트림 서버에 의해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스크랩 정보 또는 상기 스크랩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지원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상기 제 1 단말이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림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가 주문형 콘텐츠 또는 실시간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트림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스트림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트림 서버로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실시간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이피지(EPG) 서버로 전달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로 구매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단말로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스크랩 콘텐츠 목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스크랩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단말로 수신된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
  16. 삭제
  17.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서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스크랩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코덱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스크랩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이고,
    상기 스크랩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스트림 서버로 전송되는 트릭 플레이(trick play)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
  18. 재생된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요청 관리부;
    상기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콘텐츠의 일부에 대한 스크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스크랩된 스크랩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생성하는 스크랩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된 스크랩 정보를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스크랩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랩 정보는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단말과 다른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스크랩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다른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단말의 코덱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스크랩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크랩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스트림 서버로 전송되는 트릭 플레이(trick play)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스크랩 정보 생성 단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청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가 실시간 콘텐츠인 경우, 이피지(EPG) 서버로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피지 서버로부터 상기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스크랩 정보 생성 단말.
KR1020110106240A 2011-10-18 2011-10-18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KR10145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40A KR101451399B1 (ko) 2011-10-18 2011-10-18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40A KR101451399B1 (ko) 2011-10-18 2011-10-18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16A KR20130042116A (ko) 2013-04-26
KR101451399B1 true KR101451399B1 (ko) 2014-10-16

Family

ID=4844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240A KR101451399B1 (ko) 2011-10-18 2011-10-18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3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761A (ko) * 2007-03-13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비디오 영상 중 일부분에 관한 메타데이터를제공하는 방법, 상기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및 이들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KR20090040813A (ko) * 2007-10-22 2009-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KR20100062789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761A (ko) * 2007-03-13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비디오 영상 중 일부분에 관한 메타데이터를제공하는 방법, 상기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및 이들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KR20090040813A (ko) * 2007-10-22 2009-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KR20100062789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16A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1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with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US105750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user content through a set-top box
US91916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ating generic requests into device specific reques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99677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111533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using mirroring applications
US20120319825A1 (en) Methods, systems, and means for restricting control of a home entertainment device by a mobile device
US9338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playback on a display device
KR20150105342A (ko) 동시 콘텐츠 데이터 스트리밍 및 상호 작용 시스템
CN102724566A (zh) 用于使用多个iptv设备进行内容重放的方法和装置
US201903493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Private Devices to Public Devices According to Connection Parameters
US111533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without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US201903493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providing a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CN113542904A (zh) 一种视频投屏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099776B1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CN111756669B (zh) 登录请求处理方法、移动设备及智能硬件设备
KR101909257B1 (ko) 단말로부터 요청된 가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1451399B1 (ko)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JP5322094B2 (ja) クライアント制御型動画通信端末向けVoDシステム
JP3966343B2 (ja) 配信管理方法、配信管理装置、及び配信管理システム
KR102092731B1 (ko) 페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94147B1 (ko) 타 서비스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P379159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without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KR20150074440A (ko)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