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756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756B1
KR101450756B1 KR1020080030676A KR20080030676A KR101450756B1 KR 101450756 B1 KR101450756 B1 KR 101450756B1 KR 1020080030676 A KR1020080030676 A KR 1020080030676A KR 20080030676 A KR20080030676 A KR 20080030676A KR 101450756 B1 KR101450756 B1 KR 10145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codeword
received
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303A (ko
Inventor
김은용
이주미
전주환
류탁기
이상민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756B1/ko
Priority to US12/384,177 priority patent/US8331423B2/en
Publication of KR2009010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1Ground-based stations combining by calculations packets received from different stations before transmitting the combined packets as part of network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Fourier transform demodulators, e.g. 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변조 차수에 따라 전송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와, 링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로 상기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부호화하는 부호기와, 상기 부호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중계국은 서로 다른 송신 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들이 실제 영역(Real Domain)에서 더해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신호를 중계하여 시간 자원의 추가 없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계 방식, 링 도메인(Ring domain),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변조 및 부호화 기법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시간 자원 없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정보를 교환하는 두 노드의 전체 링크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무선통신시스템은 중계국을 이용하여 상기 두 노드가 교환하는 신호를 중계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를 교환하는 두 노드는 단말과 단말 또는 단말과 기지국을 포함한다.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중계국은 제 1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제 2 노드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상기 제 1 노드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분할 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은 네 번의 독립적인 시간 자원을 사용하여 중계서비스를 지원하므로 두 노드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두 배의 시간 자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중계 서비스에 따른 추가 시간 자원을 줄이기 위해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삭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중계국이 단말과 단말 사이의 정보를 중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 1(100), 단말 2(110) 및 중계국(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 1(100)은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단말 2(110)로 전송할 신호를 중계국(120)으로 전송한다(131단계). 또한, 상기 단말 2(110)는 상기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중계국(120)으로 상기 단말 1(100)로 전송할 신호를 전송한다(131단계). 이때, 상기 단말 1(100)과 단말 2(110)는 상기 중계국(120)과의 채널 정보의 역수를 전송 신호에 곱하여 상기 중계국(1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중계국(120)은 상기 단말 1(100)과 단말 2(11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들이 더해진 신호 자체를 검출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120)은 두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상기 검출한 신호를 상기 단말 1(100)과 단말 2(110)로 전송한다(133단계).
상기 단말 1(100)은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상기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자신이 상기 중계국(120)으로 전송한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단말 2(110)가 전송한 신호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단말 2(110)는 상기 중계국(120)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상기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자신이 상기 중계국(120)으로 전송한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단말 1(100)이 전송한 신호를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를 교환하는 노드들이 동일한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중계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국은 상기 두 노드들의 전송 신호가 더해진 형태로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정보를 교환하는 노드들이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들에 대한 부호워드(Codeword)들의 선형성(linearity)이 실제 환경(real Domain)에서 보장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송 용량을 높이기 위해 변조 차수를 높이는 경우, 정보를 교환하는 노드들이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들에 대한 부호워드들의 선형성이 실제 환경(real Domain)에서 보장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은 정보를 교환하는 노드들의 전송 신호가 더해진 형태로 신호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간 자원의 추가 없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변조 차수를 이용한 콘볼루션 부호(Convolution code)를 이용하여 중계국으로 전송할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변조 차수를 적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부터 수신받은 신호의 합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장치는, 중계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채널 환경에 따른 변조 차수로 변조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로 부호화하는 부호기와, 상기 부호기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 장치는,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이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을 수신받은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수신받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이 합해진 수신 신호에 대해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부호워드 생성기와,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에서 생성한 부호워드를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로 복호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복호기와, 상기 복호기에서 생성한 변조 심볼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중계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채널 환경에 따른 변조 차수로 변조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 심볼을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로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한 변조 심볼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방법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이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이 합해진 수신 신호에 대해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워드를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로 복호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 심볼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로 변조 심볼을 부호화하여 중계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중계국은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들이 실제 영역(Real Domain)에서 더해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신호를 중계하여 시간 자원의 추가 없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시간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중계 서비스는 정보를 교환하는 노드들 간의 송수신하는 신호를 중계국을 통해 중계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때, 중계국은 단말과 단말 간 송수신하는 신호를 중계하거나 기지국과 단말 간 송수신하는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중계국에서 단말과 단말 간 송수신하는 신호를 중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기지국과 단말 간 송수신하는 신호도 동일하게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통신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무선통신시스템이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시간 자원 없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 1과 단말 2는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중계국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중계국은 두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중계한다.
이 경우, 중계국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신호들이 합해진 형태로 검출한다. 이에 따라, 단말 1과 단말 2는 상기 중계국에서 검출한 신호가 부호워드가 되도록 중계국으로 전송할 신호를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한다. 즉, 단말 1과 단말 2는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 차수를 이용한 콘볼루션 부호(Convolution code)를 이용하여 중계국으로 전송할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2의 (a)는 단말 1(200)과 단말 2(210)에서 중계국(220)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도 2의 (b)는 중계국(220)에서 단말 1(200)과 단말 2(210)로 신호를 전송할 때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1(200)은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상기 단말 2(210)로 전송할 데이터 1을 상기 중계국(22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1(200)은 변조기(201)와 콘볼루션 부호기(Convolution Encoder)(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조기(201)는 미리 정해진 변조 차수에 따라 상기 단말 2(210)로 전송할 데이터 1을 변조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은 채널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203)는 상기 변조기(201)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기(201)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여기서, 상기 콘볼루션 부호는 콘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 등을 위한 링 도메인의 부호를 의미한다.
상기 단말 2(210)는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상기 단말 1(200)로 전송할 데이터 2를 상기 중계국(22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2(210)는 변조기(211)와 콘볼루션 부호기(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조기(211)는 미리 정해진 변조 차수에 따라 상기 단말 1(200)로 전송할 데이터 2를 변조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는 채널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상기 변조기(211)는 상기 단말 1(200)의 변조기(201)와 동일한 변조 차수를 사용한다.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213)는 상기 변조기(211)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기(211)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상기 중계국(220)은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1(200)과 상기 단말 2(210)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 1과 데이터 2가 합해진 형태로 상기 단말 1(200)과 상기 단말 2(21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단말 1(200)과 단말 2(210)는 링 도메인에서의 선형성을 갖는 채널 부호기를 통해 형성한 심볼 스트림을 전송하므로 상기 중계국(220)은 데이터 1과 데이터 2가 더해진 형태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220)은 부호워드 생성기(221)와 콘볼루션 복호기(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221)는 상기 단말들(200, 210)을 구성하는 변조기들(201, 211)의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데이터 1과 데이터 2가 더하진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221)는 상기 변조기들(201, 211)의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콘볼루션 복호기(223)로 제공할 부호워드의 경판정 값을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221)는 상기 변조기들(201, 211)의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콘볼루션 복호기(223)로 제공할 부호워드의 연판정 값을 생성한다.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223)는 상기 단말들(200, 210)을 구성하는 변조기들(201, 211)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221)로부터 제공받은 부호워드를 복호한다. 이때,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223)는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221)로부터 제공받은 부호워드에 대한 복호를 통해 상기 데이터 1과 데이터 2가 링 도메인에서 더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01
)을 생성한다.
상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220)은 두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223)에서 생성한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02
)을 상기 단말 1(200)과 단말 2(21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 1(200)은 상기 중계국(220)으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
Figure 112008023951473-pat00003
)과 상기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 1의 변조 심볼(w1)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2(210)가 전송한 상기 데이터 2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1(200)은 신호 검출기(205), 모듈로 연산기(207) 및 복조기(2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 검출기(205)는 상기 중계국(220)으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
Figure 112008023951473-pat00004
)에서 상기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 1의 변조 심볼(w1)을 제거하여 상기 단말 2(210)가 전송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모듈로 연산기(207)는 상기 신호 검출기(205)에서 검출한 신호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데이터 2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05
)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모듈로 연산기(207)는 상기 변조기(201)의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복조기(209)는 상기 모듈로 연산기(207)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데이터 2의 변조 심볼(
Figure 112008023951473-pat00006
)을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2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 2(210)는 상기 중계국(220)으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07
)과 상기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 2의 변조 심볼(w2)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1(200)이 전송한 상기 데이터 1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2(210)는 신호 검출기(215), 모듈로 연산기(217) 및 복조기(2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 검출기(215)는 상기 중계국(220)으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
Figure 112008023951473-pat00008
)에서 상기 첫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 2의 변조 심볼(w2)을 제거하여 상기 단말 1(200)이 전송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모듈로 연산기(217)는 상기 신호 검출기(215)에서 검출한 신호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데이터 1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09
)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모듈로 연산기(217)는 상기 변조기(211)의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복조기(219)는 상기 모듈로 연산기(217)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데이터 1의 변조 심볼(
Figure 112008023951473-pat00010
)을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1을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1과 단말 2는 부호워드의 선형성을 보장하기 위해 변조기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통해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이때, 상기 단말 1과 단말 2의 송신 단은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단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단은 변조기(301), 콘볼루션 부호기(303), 선부호기(305), 채널 추정기(307), OFDM 변조기(309) 및 RF(Radio Frequency)처리기(3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조기(301)는 전송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변조 차수에 따라 변조한다.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303)는 상기 변조기(301)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기(301)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즉,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303)는 이진 신호가 아닌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303)는 상기 변조기(301)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 부호화 등을 위한 링 도메인의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상기 선부호화기(305)는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303)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채널 추정기(307)로부터 제공받은 중계국과의 채널의 역채널 정보로 선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채널 추정기(307)는 중계국과의 채널을 추정하여 상기 선부호화기(305)로 제공한다.
상기 OFDM 변조기(309)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선부호화기(305)로부터 제공받은 선부호화된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부(311)는 상기 OFDM 변조기(309)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이하 설명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들이 합해진 형태로 검출한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국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은 수신기(400)와 송신기(410)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기(400)는 RF처리기(401), OFDM 복조기(403), 부호워드 생성기(405) 및 콘볼루션 복호기(4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4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RF처리기(401)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형태의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OFDM 복조기(403)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RF처리기(401)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OFDM 복조기(4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는 상기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OFDM 복조기(4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경판정 값을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는 상기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OFDM 복조기(4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연판정 값을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는 정보 비트가 이진수가 아니므로 각각의 심볼마다 여러 개의 연판정 값을 산출해야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1과 단말 2이 4-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의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한 경우, 중계국이 수신받는 단말 1과 단말 2의 데이터들이 합해진 형태의 심볼들은 {0, 1, 2, 3, 4, 5, 6}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는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0, 1, 2, 3} 중 하나의 값을 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는 {0,1},{0,2},{0,3},{1,2},{1,3},{2,3}의 연판정 값들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연판정 값은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한 로그 우도율(Log Likelihood Ratio)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23951473-pat00011
여기서, 상기 x는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생성한 심볼들 중 어느 하나의 심볼을 나타내고, 상기 Es는 수신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며, 상기 No는 잡음의 세기를 나타내고, 상기 xi max는 수신 신호의 심볼이 가질 수 있는 값(xR)들에 대해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할 때 i가 되는 심볼 값들 중 수신신호에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4PAM 변조 방식을 사용할 때 수신신호가 4.8이고 i가 0, 1, 2, 3인 경우, 상기 xi max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23951473-pat00012
여기서, 상기 xR은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신호의 심볼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을 나타내고, 상기 y는 수신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407)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로부터 제공받은 부호워드를 복호한다. 이때,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407)는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405)로부터 제공받은 부호워드에 대한 복호를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가 링 도메인에서 더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13
)을 생성한다.
상기 송신기(410)는 콘볼루션 부호기(411), OFDM 변조기(413) 및 RF처리기(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볼로션 부호기(411)는 단말 1과 단말 2와의 채널 정보에 따라 결정된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400)의 콘볼루션 복호기(407)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와 동일하다.
상기 OFDM 변조기(413)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을 통해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411)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처리부(415)는 상기 OFDM 변조기(413)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국은 두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단말 1과 단말 2로 중계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 1과 단말 2의 수신 단은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하기 도 5와 같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단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단은 RF처리기(501), OFDM 복조기(503), 콘볼루션 복호기(505), 신호 검출기(507), 모듈로 연산기(509) 및 복조기(5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501)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OFDM 복조기(503)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통해 상기 RF처리기(501)로부터 제공받은 기저 대역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505)는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OFDM 복조기(5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복호한다. 이때,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505)는 상기 OFDM 복조기(5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대한 복호를 통해 상기 중계국이 전송한 신호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14
)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는 단말이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나타낸다.
상기 신호 검출기(507)는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505)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과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한 변조 심볼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검출기(507)는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505)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과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한 변조 심볼을 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모듈로 연산기(509)는 상기 신호 검출기(507)에서 검출한 신호를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의 변조 심볼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는 단말이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나타낸다.
상기 복조기(511)는 상기 모듈로 연산기(509)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복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복원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중계국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15
)을 콘볼루션 부호로 부호화하여 두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중계국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16
)을 이진 신호로 변형하여 두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은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은 수신기(600)와 송신기(610)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기(600)는 RF처리기(601), OFDM 복조기(603), 부호워드 생성기(605), 콘볼루션 복호기(607) 및 복조기(6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6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RF처리기(601)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형태의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OFDM 복조기(603)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통해 상기 RF처리기(601)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605)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OFDM 복조기(6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605)는 상기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OFDM 복조기(6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경판정 값을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605)는 상기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OFDM 복조기(6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연판정 값을 생성한다.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607)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605)로부터 제공받은 부호워드를 복호한다. 이때,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607)는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605)로부터 제공받은 부호워드에 대한 복호를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가 링 도메인에서 더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상기 복조기(609)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볼루션 복호기(607)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복조하여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에 대한 이진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송신기(610)는 이진 부호기(611), 변조기(613), OFDM 변조기(615) 및 RF처리기(6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진 부호기(611)는 GF(Galois Field)를 통해 생성한 이진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조기(609)로부터 제공받은 이진 신호를 부호화한다.
상기 변조기(613)는 상기 부호기(611)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 차수에 따라 변조한다. 이때, 상기 변조기(613)는 단말 1과 단말 2와의 채널 정보에 따라 결정된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기(611)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한다.
상기 OFDM 변조기(615)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을 통해 상기 변조기(61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처리부(617)는 상기 OFDM 변조기(615)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국은 두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단말 1과 단말 2로 중계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 1과 단말 2의 수신 단은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하기 도 7과 같이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단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단은 RF처리기(701), OFDM 복조기(703), 제 1 복조기(705), 이진 복호기(707), 변조기(709), 신호 검출기(711), 모듈로 연산기(713) 및 제 2 복조기(7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701)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OFDM 복조기(703)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통해 상기 RF처리기(701)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 1 복조기(705)는 상기 OFDM 복조기(7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복조한다.
상기 이진 복호기(707)는 GF를 통해 생성한 이진 부호를 통해 상기 제 1 복조기(705)로부터 제공받은 복조된 신호를 복호한다.
상기 변조기(709)는 상기 이진 복호기(707)로부터 제공받은 복호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변조기(709)가 생성한 변조 심볼은 상기 중계국의 콘볼루션 복호기(607)에서 생성했던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과 동일하다.
상기 신호 검출기(711)는 상기 변조기(709)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과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한 변조 심볼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모듈로 연산기(713)는 상기 신호 검출기(711)에서 검출한 신호를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의 변조 심볼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는 상기 변조기(709)에서 사용하는 변조 차수와 동일하다.
상기 복조기(715)는 상기 모듈로 연산기(713)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복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복원한다.
이하 설명은 단말 1과 단말 2에서 부호워드의 선형성을 보장하기 위해 변조기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통해 변조 심볼을 부호화하여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단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단은 801단계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 확인한다.
만일,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송신 단은 803단계로 진행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 전송할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변조 차수에 따라 변조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는 중계국과의 채널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전송 신호를 변조한 후, 상기 송신 단은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여기서, 상기 콘볼루션 부호는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 부호화 등을 위한 링 도메인의 콘볼루션 부호를 나타낸다.
상기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 후, 상기 송신 단은 807단계로 진행하여 중계국과의 채널에 대한 역채널 정보로 상기 부호화된 전송 신호를 선부호화 한다.
상기 전송 신호를 선부호화 한 후, 상기 송신 단은 8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부호화한 전송 신호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송신 단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선부호화한 전송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송신 단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송신 단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1과 단말 2가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국은 하기 도 9와 같이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형태로 신호를 검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중계국은 901단계에서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형태의 신호를 수신받는다.
만일, 상기 단말들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903단계로 진행하여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수신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경판정 값을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연판정 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와 동일한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다.
삭제
상기 부호워드를 생성한 후, 상기 중계국은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워드에 대한 복호를 통해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즉, 상기 중계국은 상기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한 복호를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다.
상기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 후, 상기 중계국은 9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부호화한 변조 심볼을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부호화된 변조 심볼을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들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국은 두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단말 1과 단말 2로 중계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 1과 단말 2의 수신 단은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하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 단은 1001단계에서 중계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 단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신호를 복호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차수는 단말이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와 동일하다.
삭제
상기 변조 심볼을 생성한 후, 상기 수신 단은 10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변조 심볼과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한 변조 심볼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단은 상기 생성한 변조 심볼과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한 변조 심볼을 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수신 단은 10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출한 신호에 대한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의 변조 심볼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단은 상기 수신신호를 복호할 때 사용한 변조 차수와 동일한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변조 심볼을 확인한 후, 상기 수신 단은 10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 심볼을 복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수신 단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중계국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17
)을 콘볼루션 부호로 부호화하여 두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중계국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한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
Figure 112010007113681-pat00018
)을 이진 신호로 변형하여 두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은 하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중계국은 1101단계에서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은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형태의 신호를 수신받는다.
만일, 상기 단말들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1103단계로 진행하여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수신받은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경판정 값을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합해진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의 연판정 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단말 1과 단말 2가 전송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와 동일한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다.
삭제
상기 부호워드를 생성한 후, 상기 중계국은 11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 차수를 고려한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워드에 대한 복호를 통해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즉, 상기 중계국은 상기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한 복호를 통해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상기 변조 심볼을 생성한 후, 상기 중계국은 11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 심볼을 복조하여 이진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1109단계로 진행하여 GF(Galois Field)를 통해 생성한 이진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1107단계에서 생성한 이진 신호를 부호화한다.
상기 이진 신호를 부호화한 후, 상기 중계국은 11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109단계에서 부호화한 이진 신호를 변조한다.
상기 이진 신호를 변조한 후, 상기 중계국은 11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한 이진 신호를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변조한 이진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들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국은 두 번째 시간 자원을 통해 단말 1과 단말 2로 중계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 1과 단말 2의 수신 단은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하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수신 단은 1201단계에서 중계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 단은 1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신호를 복조한다.
삭제
상기 수신신호를 복조한 후, 상기 수신 단은 1205단계로 진행하여 GF를 통해 생성한 이진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조한 신호를 복호한다.
이후, 상기 수신 단은 1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호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생성한 변조 심볼은 상기 중계국의 콘볼루션 복호기에서 생성했던 상기 단말 1과 단말 2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이 링 도메인에서 합해진 신호의 변조 심볼과 동일하다.
상기 변조 심볼을 생성한 후, 상기 수신 단은 1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변조 심볼과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한 변조 심볼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단은 상기 생성한 변조 심볼과 첫 번째 시간 자원 동안 중계국으로 전송한 변조 심볼을 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수신 단은 1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출한 신호에 대해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의 변조 심볼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단은 상기 수신신호를 복호할 때 사용한 변조 차수와 동일한 변조 차수를 이용하여 모듈로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변조 심볼을 확인한 후, 상기 수신 단은 1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조 심볼을 복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수신 단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단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단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 단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 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삭제

Claims (26)

  1.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중계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채널 환경에 따른 변조 차수로 변조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의 변조 차수를 고려한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on code)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부호화하는 부호기와,
    상기 부호기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기는, 콘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 중 어느 하나의 부호화를 위한 링 도메인의 콘볼루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변조 심볼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부호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기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RF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기로부터 제공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중계국과의 채널에 대한 역 채널로 선부호화하여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선부호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이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을 수신받은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수신받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이 합해진 수신 신호에 대해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부호워드 생성기와,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에서 생성한 부호워드를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로 복호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복호기와,
    상기 복호기에서 생성한 변조 심볼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RF 처리부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이 신호를 변조한 변조 차수를 고려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수신부를 통해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수신받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이 합해진 형태의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는,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생성한 부호워드의 경판정(Hard Decision) 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워드 생성기는,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생성한 부호워드의 연 판정(Soft Decision) 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복호기에서 생성한 변조 심볼을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기와,
    상기 OFDM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노드들로 전송하는 RF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중계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채널 환경에 따른 변조 차수로 변조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데 사용한 변조 차수를 고려한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 심볼을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한 변조 심볼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볼루션 부호는, 콘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 중 어느 하나의 부호화를 위한 링도메인의 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부호화한 변조 심볼을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볼을 부호화한 후, 상기 부호화한 변조 심볼을 중계국과의 채널에 대한 역 채널로 선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선부호화한 신호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중계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 자원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이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신호들이 합해진 수신 신호에 대해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워드를 링 도메인(Ring Domain)의 콘볼루션 부호(Convolutin code)로 복호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 심볼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워드를 생성하기 전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신호들에 대한 변조 차수를 고려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은,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워드에 대한 경판정(Hard Decision) 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은,
    변조 차수를 이용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부호워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워드의 연 판정(Soft Decision) 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 전송하는 과정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변조 심볼을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노드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80030676A 2008-04-02 2008-04-0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45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76A KR101450756B1 (ko) 2008-04-02 2008-04-0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US12/384,177 US8331423B2 (en) 2008-04-02 2009-04-01 Relaying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76A KR101450756B1 (ko) 2008-04-02 2008-04-0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03A KR20090105303A (ko) 2009-10-07
KR101450756B1 true KR101450756B1 (ko) 2014-10-15

Family

ID=4113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76A KR101450756B1 (ko) 2008-04-02 2008-04-0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31423B2 (ko)
KR (1) KR101450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6006B2 (en) 2013-10-23 2016-12-06 Google Inc. Re-programmable secure cryptographic device
KR102559576B1 (ko) 2017-01-10 2023-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1187A2 (en) * 2004-12-30 2006-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bi-directional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60132429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27486A (ko) * 2004-07-02 2007-03-09 카엠 오이로파 메탈 악티엔 게젤샤프트 매체 이송용 도관
KR20080005876A (ko) * 2006-07-10 2008-01-15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분할 고속 콘볼루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71B1 (ko) * 2006-11-29 201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486A (ko) * 2004-07-02 2007-03-09 카엠 오이로파 메탈 악티엔 게젤샤프트 매체 이송용 도관
WO2006071187A2 (en) * 2004-12-30 2006-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bi-directional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60132429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80005876A (ko) * 2006-07-10 2008-01-15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분할 고속 콘볼루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03A (ko) 2009-10-07
US20090252080A1 (en) 2009-10-08
US8331423B2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671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4358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63410B1 (ko) 릴레이 시스템에서 신호점 재배열 또는 중첩 변조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 수신 다이버시티 장치 및 방법
JP4915450B2 (ja) ネットワーク符号化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符号化装置
RU25117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5423798B2 (ja) 符号化および復号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719840B1 (ko) 시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915806B1 (ko)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분산적 공간 다중화 및 분산적공간 다이버시티 수행 장치 및 방법
US20170155472A1 (en) Method for dynamic and selective fd-dsdf transmission of a digital signal for a mamrc system with several full-duplex relays, and corresponding program product and relay device
US20100054173A1 (en) Relay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353664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中継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1200635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중계국 장치, 무선 단말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4857330B2 (ja)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方法
JP5734990B2 (ja) Ofdmシステムにおけるalamoutiブロック符号を復号するための方法と受信器
CN109565371B (zh) 针对marc/mamrc系统利用全双工中继器和有限反馈对数字信号的动态和选择性fd-dsdf传输
CA2275643C (en) Receiver decoder circuitry, and associated method, for decoding a channel encoded signal
KR10145075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JPWO2009084207A1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7005347B (zh) 用于柔性、选择性ssdf中继的方法和设备
Ullah et al. Compress-and-forward relaying: Prototyping and experimental evaluation using SDRs
JP5379298B2 (ja) 中継局における結合処理の方法および機器ならびに基地局における対応する処理の方法および機器
KR100940217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중계 장치 및방법
KR101279711B1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480589B2 (ja) 通信装置、その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9113763A1 (en) Cooperative reception d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signal point rearrangement or superposition modulation in re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