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469B1 -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469B1
KR101450469B1 KR1020130099762A KR20130099762A KR101450469B1 KR 101450469 B1 KR101450469 B1 KR 101450469B1 KR 1020130099762 A KR1020130099762 A KR 1020130099762A KR 20130099762 A KR20130099762 A KR 20130099762A KR 101450469 B1 KR101450469 B1 KR 10145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ame
play
user
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봉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턴온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턴온게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턴온게임즈
Priority to KR102013009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469B1/ko
Priority to PCT/KR2014/003417 priority patent/WO201502604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6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location of the game device or player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에서,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게임에 연관하여,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 USER GAME PLA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일의 단말에서 다수의 유저가 함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하고,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에 따라 유저별로 각각의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다양한 게임이 온라인 상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게임 제공 장치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말로 게임을 제공하여, 다수의 유저들이 함께 동일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온라인을 통한 게임 제공 장치에서 각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단말에서의 게임 플레이 간 동기화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온라인을 통한 게임 제공 장치는 실시간 충돌(또는, 반응)을 수반하는 다이나믹한 게임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단일의 단말에서 다수의 유저가 함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하여, 유저별 게임 플레이 간의 통신 딜레이를 제한 함으로써, 유저별 게임 플레이의 동기화를 최적화 함에 따라, 실시간 충돌(또는, 반응)을 수반하는 다이나믹한 게임을 다수의 유저가 용이하게 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에 따라 다수의 유저별로 각각의 플레이 정보(예컨대,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점수, 아이템, 단계 등)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함으로써, 게임 플레이에 대한 결과를 소모하지 않고, 유저별로 기존 플레이 정보에 반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게스트 참여를 허용하여, 게임에 가입되지 않은 유저도 게임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게 하고, 게임 종료 후 게스트가 게임에 대한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함으로써, 가입 전의 플레이 정보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게임 참여 또는 가입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에서,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게임에 연관하여,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는 각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및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승패 또는 기여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와 상기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상기 가상공간 전체에서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거나, 또는 각 캐릭터에게 할당된 상기 가상공간의 일부에서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입장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1 단말과 '방문 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2 단말이 접촉하거나, 또는 설정된 간격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에 대한 초대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초대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허용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말로 제공된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한, 게스트의 상기 게임 참여를 허용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게스트에게 상기 게임에 대한 가입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입 수락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을 상기 제1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친구 목록에 대한 가입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가입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단말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게임은 대결 플레이를 통해 승패가 결정됨에 따라 종료되는 대결 방식의 게임, 또는 협업 플레이를 통해 정해진 미션을 달성함에 따라 종료되는 협동 방식의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에서,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게임에 연관하여,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단말에서 다수의 유저가 함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하여, 유저별 게임 플레이 간의 통신 딜레이를 제한 함으로써, 유저별 게임 플레이의 동기화를 최적화할 수 있고, 실시간 충돌(또는, 반응)을 수반하는 다이나믹한 게임을 다수의 유저가 용이하게 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에서의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에 따라 다수의 유저별로 각각의 플레이 정보(예컨대, 점수, 아이템, 단계 등)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함으로써, 게임 플레이에 대한 결과를 유저별로 기존 플레이 정보에 반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에서의 게스트 참여를 허용하여, 게임에 가입되지 않은 유저도 게임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게 하고, 게임 종료 후 게스트가 게임에 대한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함으로써, 가입 전의 플레이 정보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게스트 유저의 게임 참여 또는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간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 및 요청에 대한 응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간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 및 요청에 대한 응답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결과에 따른 단말별 플레이 정보 관리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인용 게임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제공하는 게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제공하는 게임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게임 가입을 유도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게임(예컨대, 대결 플레이를 통해 승패가 결정됨에 따라 종료되는 대결 방식의 게임, 또는 협업 플레이를 통해 정해진 미션을 달성함에 따라 종료되는 협동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말(101) 및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1)은 n(n은 자연수)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2개의 제1 단말(103) 및 제2 단말(10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제1 단말(103) 및 제2 단말(105)은 각각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로의 온라인 접속을 통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로부터 각각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함으로써, 게임을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103)은 유저로부터 멀티 유저 명령이 입력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발생하여 제2 단말(105)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105)은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입력받아 제1 단말(103)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103) 및 제2 단말(105)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를 통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 또는 상기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103)은 제2 단말(105)에서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로부터 다수의 유저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는 단말별 게임 가입시,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예컨대,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점수, 아이템, 단계 등)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함으로써, 단말별 플레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는 복수의 단말(101) 예컨대, 제1 단말(103) 및 제2 단말(105)로부터의 온라인 접속에 따라, 제1 단말(103) 및 제2 단말(105)로 게임 데이터를 각각 제공 함으로써, 게임을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는 제1 단말(103)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105)에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다수의 유저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제1 단말(103)로 제공 함으로써, 단일의 단말(제1 단말)에서 다인용(제1, 2 단말의 유저)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107)는 다인용 게임 화면을 제공받은 제1 단말(103)에서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예컨대, 승패, 기여도)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단말(103)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제2 단말(105)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게임 플레이에 대한 결과를 유저별로 기존 플레이 정보에 반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200)는 인터페이스(201), 프로세서(203) 및 데이터베이스(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1)는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에서,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게임에 연관하여,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5)로부터 확인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는 각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점수, 아이템 및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201)는 '입장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단말과 '방문 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단말이 접촉하거나, 또는 설정된 간격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단말에서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01)는 제1 단말(입장 허용' 상태를 유지) 및 제 2 단말('방문 준비' 상태를 유지) 내 움직임 센서값(예컨대, 자이로센서의 수치값)이 설정된 기준값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제2 단말에서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인터페이스(201)는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에 대한 초대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초대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제2 단말로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하고,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허용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제2 단말에서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데이터베이스(205)로부터 확인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유저 게임 플레이를 지원하는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 함에 따라, 단일의 단말에서 다수의 유저가 함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03)는 단일의 단말에서의 다수 유저 게임 플레이를 지원하여, 유저별 게임 플레이 간의 통신 딜레이를 제한 함으로써, 유저별 게임 플레이의 동기화를 최적화 하고, 실시간 충돌(또는, 반응)을 수반하는 다이나믹한 게임을 다수의 유저가 용이하게 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 구성시, 프로세서(203)는 상기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와 상기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상기 가상공간 전체에서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거나, 또는 각 캐릭터에게 할당된 상기 가상공간의 일부에서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제1 단말에 제공된 다인용 게임 화면에서,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게임 플레이에 대한 결과를 소모하지 않고, 유저별로 기존 플레이 정보에 반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3)는 제1 단말의 다인용 게임 화면에서, 게임이 종료되면, 승패 또는 기여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점수(또는, 아이템, 단계 등)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03)는 '승'한 단말과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점수를 설정된 점수만큼 증가시키고, '패'한 단말과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점수를 설정된 점수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게임이 플레이되는 동안 각 단말의 기여도에 비례하는 점수만큼, 단말과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점수를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03)는 상기 제1 단말로 제공된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한, 게스트의 상기 게임 참여를 허용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게스트에게 상기 게임에 대한 가입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상기 가입 수락에 연동하여,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을 제1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친구 목록에 대한 가입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가입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단말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제1 단말에서의 게스트 참여를 허용하여, 게임에 가입되지 않은 게스트 유저도 게임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게 하고, 게임 종료 후 게스트가 게임에 대한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5)에 관리한다. 게스트 유저에 대한 가입 전의 플레이 정보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게스트 유저의 게임 참여 또는 가입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5)는 단말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간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 및 요청에 대한 응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2 단말(301, 303)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로의 온라인 접속을 통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로부터 게임을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입장 허용' 상태의 제1 단말(301)과 '방문 준비' 상태의 제2 단말(303)이 접촉하는 경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301)에서 발생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제2 단말(303)에서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301)과 제2 단말(303)이 설정된 간격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단말(301) 및 제 2 단말(303) 내 움직임 센서값(예컨대, 자이로센서의 수치값)이 설정된 기준값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제1 단말(301)에서 발생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제2 단말(303)에서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간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 및 요청에 대한 응답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2 단말(401, 403)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로의 온라인 접속을 통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로부터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임을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401) 내 친구 목록에 대한 초대 명령 입력(405)에 따라, 상기 초대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제2 단말(403)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에 관한 메시지(407)를 제공하고, 제2 단말(403)로부터 메시지(407)에 대한 허용 응답(예컨대, YES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제2 단말(403)에서 제1 단말(401)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2 단말(501, 503)로부터의 온라인 접속에 연동하여, 제1, 2 단말(501, 503)로 게임 데이터를 제공 함으로써, 게임을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2 단말(501, 503)에서의 로그인 단계를 통해, 제1, 2 단말(501, 503)에 각각 대응하는 제1, 2 플레이 정보(예컨대,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점수, 아이템, 단계 등)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고, 확인된 제1, 2 플레이 정보, 게임 배경 등을 포함하는 게임 데이터(505, 507)를 제1, 2 단말(501, 503)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입장 허용' 상태의 제1 단말(501)과 '방문 준비' 상태의 제2 단말(503)이 설정된 조건(예컨대, 제1,2 단말 간 접촉)을 만족하는 경우, 제1 단말(501)에서 발생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제2 단말(503)에서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2 단말(503)에서 제1 단말(501)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상기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Nick' 캐릭터와 상기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루니'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다인용 게임 화면(509)을 구성하여 제1 단말(501)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501)에서 다인용 게임을 플레이한 후,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예컨대, 승패, 기여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게임 기준에 따라 각 캐릭터 별 획득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종료 결과로서, 'Nick' 캐릭터가 '승(WIN)'하고, '루니' 캐릭터가 '패(LOSE)'한 경우, 'Nick' 캐릭터 및 '루니' 캐릭터에 대한 획득 점수로서, 각각 '+150', '-50'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상기 계산된 캐릭터 별 획득 점수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결과에 따른 단말별 플레이 정보 관리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601)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603)에서,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제1 단말(601)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제2 단말(603)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예컨대, 상기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Nick' 캐릭터와 상기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루니'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제1 단말(6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Nick', '루니' 캐릭터별 각 점수('250', '720')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601)에서 다인용 게임을 플레이한 후, 게임이 종료되면, 'Nick' 캐릭터가 '승(WIN)'하고, '루니' 캐릭터가 '패(LOSE)'한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Nick' 캐릭터 및 '루니' 캐릭터에 대한 획득 점수로서, 각각 '+150', '-50'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기존 점수 '250'에 상기 획득 점수 '150'를 가산한 '400'의 점수를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점수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기존 점수 '720'에 상기 획득 점수 '-50'를 가산한 '670'의 점수를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점수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601)에서의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에 따라 다수의 유저별로 제1, 2 플레이 정보(예컨대, 점수)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함으로써, 게임 플레이에 대한 결과를 유저별로 기존 플레이 정보에 반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인용 게임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에서, 상기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제1 단말에 연관된 캐릭터와 제2 단말에 연관된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제1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가상공간 전체에서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캐릭터에게 할당된 상기 가상공간의 일부에서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제1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ick' 캐릭터(즉, 제1 단말에 연관된 캐릭터)가 가상공간의 하부에서 플레이하도록 하고, '루니' 캐릭터(즉, 제2 단말에 연관된 캐릭터)가 가상공간의 상부에서 플레이하도록, 가상공간이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ick' 캐릭터가 가상공간의 좌측부에서 플레이하도록 하고, '루니' 캐릭터가 가상공간의 우측부에서 플레이하도록, 가상공간이 좌측부 및 우측부로 분리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제공하는 게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대결 방식의 게임을 지원하는 다인용 게임 화면을 제1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과 연관된 캐릭터(801)와 제2 단말과 연관된 캐릭터(803)가 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제공한 후, 대결 플레이를 통해 보유 공들을 던져서 모두 상대편으로 보내는 캐릭터(801)가 '승'하고, 상대의 캐릭터(803)가 '패' 한 것으로 결정하여, 승패가 결정됨에 따라, 게임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승패 결과에 따라, 캐릭터별로 점수(또는, 게임머니) 또는 보상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승'한 캐릭터(801)가 '패'한 캐릭터(803) 보다 더 많은 점수 또는 보상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제공하는 게임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협동 방식의 게임을 지원하는 다인용 게임 화면을 제1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과 연관된 캐릭터(901)와 제2 단말과 연관된 캐릭터(903)가 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제공한 후, 협업 플레이를 통해 모든 고기들을 제1 캐릭터(901)가 타이밍에 맞게 터치(touch)하여 넘겨주고, 제2 캐릭터(903)가 다시 타이밍에 맞게 터치하여 모든 고기들을 받아먹음으로써, 미션이 달성 됨에 따라, 게임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기여도에 따라, 캐릭터별로 점수(또는, 게임머니) 또는 보상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고기를 상대적으로 많이 받아먹은 캐릭터(903)가 고기를 상대적으로 적게 넘겨준 캐릭터(901) 보다 더 많은 점수 또는 보상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에서 게임 가입을 유도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로 제공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한, 게스트의 게임 참여를 허용하고,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게스트에게 게임에 대한 가입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로 제공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해, 제1 단말과 연관된 캐릭터(1001) 및 게스트의 캐릭터(1003)가 플레이하도록 하고, 게스트의 캐릭터(1003)가 '승'한 경우, 제1 단말에 가입 여부로서, 예컨대 아이템 받기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상기 아이템 받기를 수락(예컨대, YES 선택)하는 경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을 제1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친구 목록에 대한 아이템 받기 명령(즉, '성춘향의 '아이템 받기'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템 받기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단말 즉, '성춘향' 단말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성춘향'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01에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로부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에서의 상기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입장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단말과 '방문 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단말이 접촉하거나, 또는 설정된 간격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에 대한 초대 명령 입력에 따라, 초대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제2 단말로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허용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단계 1103에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2 단말에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제1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는 각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및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상기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와 상기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상기 가상공간 전체에서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거나, 또는 각 캐릭터에게 할당된 상기 가상공간의 일부에서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 1105에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다인용 게임 화면이 제공된 제1 단말에서 게임이 종료되면, 승패 또는 기여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로 제공된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한, 게스트의 상기 게임 참여를 허용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게스트에게 상기 게임에 대한 가입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제1 단말에서 상기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는 상기 가입 수락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을 상기 제1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친구 목록에 대한 가입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가입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단말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시스템
101: 복수의 단말
107: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Claims (18)

  1. '입장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단말과 '방문 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단말이 접촉하거나, 또는 설정된 간격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에서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에 따라, 게임에 연관하여,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는, 각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및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승패 또는 기여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점수를 업데이트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와 상기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상기 가상공간 전체에서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거나, 또는 각 캐릭터에게 할당된 상기 가상공간의 일부에서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에 대한 초대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초대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허용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말로 제공된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한, 게스트의 상기 게임 참여를 허용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게스트에게 상기 게임에 대한 가입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입 수락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을 상기 제1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친구 목록에 대한 가입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가입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단말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확인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대결 플레이를 통해 승패가 결정됨에 따라 종료되는 대결 방식의 게임, 또는 협업 플레이를 통해 정해진 미션을 달성함에 따라 종료되는 협동 방식의 게임을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10. '입장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단말과 '방문 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단말이 접촉하거나, 또는 설정된 간격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상기 제2 단말에서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에 따라, 게임에 연관하여,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플레이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인용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는, 각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 및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승패 또는 기여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점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와 상기 제2 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를 정해진 동일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시키고,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모두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상기 가상공간 전체에서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또는
    각 캐릭터에게 할당된 상기 가상공간의 일부에서 상기 각각의 캐릭터가 플레이하도록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에 대한 초대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초대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허용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다인용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 제공된 상기 다인용 게임 화면을 통한, 게스트의 상기 게임 참여를 허용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상기 게스트에게 상기 게임에 대한 가입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게스트와 연관된 게스트 단말에 대응하는 플레이 정보를 상기 종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플레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수락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단말 내 친구 목록을 상기 제1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친구 목록에 대한 가입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가입 명령에 연관된 친구에 대응하는 단말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대결 플레이를 통해 승패가 결정됨에 따라 종료되는 대결 방식의 게임, 또는 협업 플레이를 통해 정해진 미션을 달성함에 따라 종료되는 협동 방식의 게임을 포함하는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방법.
KR1020130099762A 2013-08-22 2013-08-22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45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762A KR101450469B1 (ko) 2013-08-22 2013-08-22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PCT/KR2014/003417 WO2015026044A1 (ko) 2013-08-22 2014-04-18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762A KR101450469B1 (ko) 2013-08-22 2013-08-22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469B1 true KR101450469B1 (ko) 2014-11-05

Family

ID=5228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762A KR101450469B1 (ko) 2013-08-22 2013-08-22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0469B1 (ko)
WO (1) WO201502604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360A1 (ko) * 2016-05-20 2017-11-23 염의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네트워크 게임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20200012641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4005599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메타록 메타버스 3차원 환경과 인터넷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용자 중심 개방형 프로토콜 큐브메타버스 구축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570A (ko) * 2000-04-14 2001-11-08 고즈끼 가게히꼬 게임 시스템, 게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정보기억 매체
KR20130082604A (ko) * 2011-12-09 2013-07-22 (주)네오위즈게임즈 커뮤니티 및 협력 기능이 강화된 축구 게임 서버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3879A (en) * 1996-01-19 1998-10-20 Sheldon F. Goldberg Network gaming system
US7677970B2 (en) * 2004-12-08 2010-03-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matching of game players on-l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570A (ko) * 2000-04-14 2001-11-08 고즈끼 가게히꼬 게임 시스템, 게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정보기억 매체
KR20130082604A (ko) * 2011-12-09 2013-07-22 (주)네오위즈게임즈 커뮤니티 및 협력 기능이 강화된 축구 게임 서버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360A1 (ko) * 2016-05-20 2017-11-23 염의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네트워크 게임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1875913B1 (ko) * 2016-05-20 2018-07-06 주식회사 엑소게임즈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다중 접속 네트워크 게임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US11033815B2 (en) 2016-05-20 2021-06-15 Xogames Inc. Method for playing multiplayer-network game performed by user device and user device
KR20200012641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7196B1 (ko) * 2018-07-27 2023-12-21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4005599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메타록 메타버스 3차원 환경과 인터넷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용자 중심 개방형 프로토콜 큐브메타버스 구축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044A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5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eed-up quest offers to users during idle time
US10987593B2 (en) Dynamic interfaces for launching direct gameplay
KR101756191B1 (ko) 게임 서비스의 관리 서버, 게임 서비스의 제공 방법
JP6140107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通信ゲームの処理方法
US114687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
KR101450469B1 (ko) 다인용 게임 플레이 지원 장치 및 방법
US201300178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g-based grouping of online communities
JP6274748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サーバ、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4922743B2 (ja) ゲームシステムと連動したアバター提供システム
US11210332B2 (en) Mapped views of digital content
JP2011045792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web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6602616B2 (ja) ゲームシステム
IL275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games
JP7403053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075883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06436B1 (en) Providing content based on presentation control device
JP2022136282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KR102074304B1 (ko) 실시간 상태 분석 기반의 유저 정착을 위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377903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JP6768112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20130099429A (ko) 소셜 네트워크 게임과 연동되는 온라인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45656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910775B2 (ja) ゲームサーバ、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2523618B1 (ko) 게임로그를 활용한 베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55844A (ko) 게임 내 이용자 간 자동 매칭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