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809B1 -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809B1
KR101448809B1 KR1020140003048A KR20140003048A KR101448809B1 KR 101448809 B1 KR101448809 B1 KR 101448809B1 KR 1020140003048 A KR1020140003048 A KR 1020140003048A KR 20140003048 A KR20140003048 A KR 20140003048A KR 101448809 B1 KR101448809 B1 KR 10144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tance
alarm sound
workers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00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도목 작업시, 작업 소음으로 인하여 접근중인 작업자를 확인할 수 없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간 거리가 위험 반경 내에 존재할 경우에 작업자에게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거나, 점등램프를 통해 알려줄 수 있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Felling Accident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도목 작업시, 작업 소음으로 인하여 접근중인 작업자를 확인할 수 없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간 거리가 위험 반경 내에 존재할 경우에 작업자에게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거나, 점등램프를 통해 알려줄 수 있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업종별 재해율이 임업이 2.46%로 전 산업평균 0.65%보다 3.7배가 높은 실정이며, 그 중 산림사고는 한 해 1,984명이며 그 중 벌도목에 의한 사고가 600명에 달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숲가꾸기, 소나무림 재해저감사업 등으로 산림사업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이에 따른 근로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벌도목에 의한 사고가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어 작업자간의 안전 거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이는 벌목 현장에서 수목으로 인하여 시야 미확보 및 기계톱 소음으로 작업자 간의 안전거리 확인이 어려우며, 간벌목이 잔존목에 걸려 사업현장에 방치되거나 지니가는 작업자에게 떨어져 증대사고가 발생되므로 매달린 제거목의 위치 파악도 중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산림사업 현장에서 벌채목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은 사망 또는 중상으로 이어져 전문기능인력의 손실을 초래하여 이에 따른 안전 장치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벌도목 작업시, 작업 소음으로 인하여 접근중인 작업자를 확인할 수 없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간 거리가 위험 반경 내에 존재할 경우에 작업자에게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거나, 점등램프를 통해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 간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신호음이 크고 빨리, 멀어질수록 작고 늦게 울리도록 하여 청각적으로 알려주거나, 점등램프의 색깔을 달리하여 제공하여 가까워지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피에스부로부터 위치값을 획득하지 못하는 지역일 경우에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통제센터서버로 알리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절대 위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지피에스부(110)와;
상기 지피에스모듈에서 획득된 절대 위치 좌표를 통제센터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송수신부(13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경보음 신호를 이어폰(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14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점등 신호를 발광램프(300)로 제공하기 위한 램프동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벌도목 작업시, 작업 소음으로 인하여 접근중인 작업자를 확인할 수 없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간 거리가 위험 반경 내에 존재할 경우에 작업자에게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거나, 점등램프를 통해 알려줄 수 있어 작업자들 간의 안전거리 확보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 간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신호음이 크고 빨리, 멀어질수록 작고 늦게 울리도록 하여 청각적으로 알려주거나, 점등램프의 색깔을 달리하여 제공하여 가까워지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피에스부로부터 위치값을 획득하지 못하는 지역일 경우에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외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가 안전모에 장착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간 무선통신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위치가 통제센터의 패널에 출력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배터리부가 장착전/후의 램프 점등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통제센터서버로 알리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절대 위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지피에스부(110)와;
상기 지피에스모듈에서 획득된 절대 위치 좌표를 통제센터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송수신부(13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경보음 신호를 이어폰(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14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점등 신호를 발광램프(300)로 제공하기 위한 램프동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통제센터서버로 알리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절대 위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지피에스부(110)와;
상기 지피에스모듈에서 획득된 절대 위치 좌표를 통제센터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송수신부(130)와;
상기 지피에스부로부터 획득된 지피에스신호를 받아 작업자의 고도와 위치를 분석하여 경사도를 감안한 거리값을 계산하여 작업자간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거리계산부(160)와;
작업자간의 거리별 경보음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음간격설정부(170)와;
경보음간격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경보음 간격에 따라 경보음을 생성하여 이어폰(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140)와;
작업자간의 거리별 점등 신호를 발광램프(300)에 제공하여 작업자가 다른 작업자와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램프동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안전모(400)에 장착되되, 안전모의 귀마개 내부에 이어폰이 위치하며, 안전모의 안전망 상측에 발광램프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선신호송수신부(1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지피에스부로부터 위치값을 획득하지 못하는 지역일 경우에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통신불량알림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90)와;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며, 배터리부의 용량 부족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상태알림부(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제센터서버(500)는,
작업자들의 위치 좌표값을 획득하여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화면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외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가 안전모에 장착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지피에스부와 무선신호송수신부의 안테나가 케이스 외부에 장착되며, 경보음이나 점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200)과 점등램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100)는 안전모(400)에 장착되되, 안전모의 귀마개 내부에 이어폰(200)이 위치하며, 안전모의 안전망 상측에 발광램프(300)를 위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안전모에 본 발명의 장치가 장착되고 귀마개 안에 이어폰이 내재되어 위험시 경보음을 출력시키며, 안전모 앞쪽의 안전망 위쪽에 발광램프가 구성되어 위험시 램프가 점멸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100)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통제센터서버로 알리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절대 위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지피에스부(110)와;
상기 지피에스모듈에서 획득된 절대 위치 좌표를 통제센터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송수신부(13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경보음 신호를 이어폰(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14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점등 신호를 발광램프(300)로 제공하기 위한 램프동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지피에스부(110)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통제센터서버(500)로 알리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절대 위치 좌표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접속부(120)는 지피에스모듈에서 획득된 절대 위치 좌표를 통제센터서버(5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들이 착용하고 있는 안전모에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들간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무선신호송수신부(13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만으로는 정확한 거리값을 산정하기 어려우므로 지피에스 신호를 받아 작업자의 고도와 위치를 파악하여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한 경사도를 감안한 거리값으로 위험 반경을 계산하게 된다.
보통 위험 반경을 30미터로 설정하게 되는데, 상기 설정된 거리값 정보를 메모리부(도면부호 미기재)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요소들간의 제어 흐름을 중앙제어부(도면부호 미기재)를 통해 제어하게 된다.
상기 경보음발생부(140)는 작업자 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경보음 신호를 생성하여 이어폰(200)으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벌목 중 작업자의 접근을 미연에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계 소음에 의해 경보음을 인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램프동작부(150)에서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램프(300)로 제공하여 발광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른 작업자들의 접근을 경보음 및 램프 점등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피에스부로부터 획득된 지피에스신호를 받아 작업자의 고도와 위치를 분석하여 경사도를 감안한 거리값을 계산하여 작업자간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거리계산부(160)와;
작업자간의 거리별 경보음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음간격설정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리계산부(160)는 지피에스부로부터 획득된 지피에스신호를 받아 작업자의 고도와 위치를 분석하여 경사도를 감안한 거리값을 계산하여 작업자간의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또한, 경보음간격설정부(170)는 작업자간의 거리별 경보음 간격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보음발생부(140)는 경보음간격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경보음 간격에 따라 경보음을 생성하여 이어폰(200)으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40미터 근접시 띠~~ 띠~~와 같이, 간격을 설정하게 되며, 20미터 근접시 띠~ 띠~ 띠~ 와 같이 간격을 설정하게 되며, 10미터 근접시 띠띠띠띠 와 같이 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즉, 거리가 가까울수록 좀 더 빠르게 경보음을 울리거나 경보음 크기를 더욱 강하게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램프동작부(150)는 작업자간의 거리별 점등 신호를 발광램프(300)에 제공하여 작업자가 다른 작업자와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40미터 근접시 녹색 점등, 20미터 근접시 황색 점등, 10미터 근접시 적색 점등으로 작업자에게 제공하게 되어 경보음을 듣지 못하더라도 점등 색깔로 작업자가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간 무선통신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신호송수신부(1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하여 방지장치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방지장치는 지피에스 정보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작업자간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간의 거리 정보가 30~40미터 이내일 경우에 이어폰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피에스부로부터 위치값을 획득하지 못하는 지역일 경우에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통신불량알림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울창한 산림에서도 지피에스 수신은 대부분 양호하나 브이자형 계곡부 아래의 경우에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도 존재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피에스 수신이 안되는 지역은 통신불량알림부의 동작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추출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변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위험을 알려주믄 음성메시지를 이어폰으로 제공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통보하여 주게 된다.
또한, 지그비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통신, 미통신이 반복되는 곳은 띠 ~ 띠, 황색 점등을, 통신이 양호한 곳은 좀 더 빠르게 띠띠띠, 적색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하면 작업자는 무선 통신 상태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출력은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지그비 통신를 체크하여 경보음과 점등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배터리부가 장착전/후의 램프 점등 예시도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90)와;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며, 배터리부의 용량 부족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상태알림부(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지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배터리상태알림부를 통해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며, 배터리부의 용량 부족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여 작업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에 배터리를 부착하면 장치 후면에 노란색으로 점등되고 장치가 작동되며, 배터리 용량이 부족하면 빨간색 점등으로 바뀌어지므로 작업자가 벌목하기 전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위치가 통제센터의 패널에 출력되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제센터서버(500)는 작업자들의 위치 좌표값을 획득하여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화면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화면표출부의 동작에 의해 숲가꾸기 현장의 공사감독자가 작업자 인원 및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사고 발생 시 긴급 신호를 발생시켜 조기 대응할 수 있도록 산림현장업무지원시스템과 연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벌도목 작업시, 작업 소음으로 인하여 접근중인 작업자를 확인할 수 없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간 거리가 위험 반경 내에 존재할 경우에 작업자에게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거나, 점등램프를 통해 알려줄 수 있어 작업자들 간의 안전거리 확보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200 : 이어폰
300 : 발광램프
400 : 안전모
500 : 통제센터서버

Claims (7)

  1.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100)에 있어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통제센터서버로 알리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절대 위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지피에스부(110)와;
    상기 지피에스부(110)에서 획득된 절대 위치 좌표를 통제센터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송수신부(13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경보음 신호를 이어폰(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140)와;
    작업자간의 거리가 위험 반경 내일 경우에 점등 신호를 발광램프(300)로 제공하기 위한 램프동작부(150)와;
    지피에스부로부터 위치값을 획득하지 못하는 지역일 경우에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통신불량알림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2.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통제센터서버로 알리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절대 위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지피에스부(110)와;
    상기 지피에스부(110)에서 획득된 절대 위치 좌표를 통제센터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송수신부(130)와;
    상기 지피에스부로부터 획득된 지피에스신호를 받아 작업자의 고도와 위치를 분석하여 경사도를 감안한 거리값을 계산하여 작업자간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거리계산부(160)와;
    작업자간의 거리별 경보음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음간격설정부(170)와;
    경보음간격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경보음 간격에 따라 경보음을 생성하여 이어폰(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140)와;
    작업자간의 거리별 점등 신호를 발광램프(300)에 제공하여 작업자가 다른 작업자와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램프동작부(150)와;
    지피에스부로부터 위치값을 획득하지 못하는 지역일 경우에 위험을 알려주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통신불량알림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안전모(400)에 장착되되, 안전모의 귀마개 내부에 이어폰이 위치하며, 안전모의 안전망 상측에 발광램프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수신부(1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90)와;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며, 배터리부의 용량 부족 상태를 발광램프에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상태알림부(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센터서버(500)는,
    작업자들의 위치 좌표값을 획득하여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화면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20140003048A 2014-01-09 2014-01-09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44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048A KR101448809B1 (ko) 2014-01-09 2014-01-09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048A KR101448809B1 (ko) 2014-01-09 2014-01-09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809B1 true KR101448809B1 (ko) 2014-10-13

Family

ID=5199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048A KR101448809B1 (ko) 2014-01-09 2014-01-09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8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496A (ko) * 2014-12-15 2016-06-23 송길훈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CN109212517A (zh) * 2017-07-04 2019-01-15 安德烈·斯蒂尔股份两合公司 园艺和/或林业系统
KR20200086400A (ko) * 2019-01-08 2020-07-17 현대건설주식회사 듀얼 ap와 비콘 간 통신 커버리지를 활용한 건설장비 접근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295A (ko) * 2001-03-19 2002-09-30 이상호 근접 경보발생 시스템
KR20050097843A (ko) * 2004-04-02 2005-10-10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안전복
JP2007272487A (ja) * 2006-03-31 2007-10-18 Tcm Corp 作業エリアにおける相対位置認識システム
KR20110007442A (ko) * 2009-07-16 2011-01-24 오원신 지그비 모바일을 이용한 위치추적 및 안전 확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295A (ko) * 2001-03-19 2002-09-30 이상호 근접 경보발생 시스템
KR20050097843A (ko) * 2004-04-02 2005-10-10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안전복
JP2007272487A (ja) * 2006-03-31 2007-10-18 Tcm Corp 作業エリアにおける相対位置認識システム
KR20110007442A (ko) * 2009-07-16 2011-01-24 오원신 지그비 모바일을 이용한 위치추적 및 안전 확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496A (ko) * 2014-12-15 2016-06-23 송길훈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KR101639746B1 (ko) * 2014-12-15 2016-07-14 송길훈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CN109212517A (zh) * 2017-07-04 2019-01-15 安德烈·斯蒂尔股份两合公司 园艺和/或林业系统
CN109212517B (zh) * 2017-07-04 2023-10-03 安德烈·斯蒂尔股份两合公司 园艺和/或林业系统
KR20200086400A (ko) * 2019-01-08 2020-07-17 현대건설주식회사 듀얼 ap와 비콘 간 통신 커버리지를 활용한 건설장비 접근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7798B1 (ko) * 2019-01-08 2021-07-16 현대건설주식회사 듀얼 ap와 비콘 간 통신 커버리지를 활용한 건설장비 접근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314B1 (ko)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US20180122218A1 (en) Proximity alarm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170107090A1 (en) Comprehensive worksite and transportation safety system
US20190206233A1 (en) Automated sensing of firefighter teams
KR102274216B1 (ko) 스마트 안전모 동작 시스템
CN205794962U (zh) 具有人员定位和信息管理的智能安全帽
KR20200030802A (ko) 이동체 접근 경보 시스템
CA282872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commended operation of a timber-working device having an associated hazard zone
KR101448809B1 (ko)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2652305B1 (ko) 안전 헤드웨어 상태 검출 시스템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039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rn prevention
KR20170055370A (ko) 이격 거리별 능동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하는 중장비 안전 경보 시스템
JP7361441B2 (ja) 作業車両の安全システム
CN104602140A (zh) 应用于救援的移动终端及系统
CN104464196A (zh) 一种安全游泳系统
US9214076B2 (en) Firefighter's safety monitoring and alarm
CN107737429B (zh) 一种智能消防系统
CN11194896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工地危险源监控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047341B1 (ko) 사용자 위기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6936546B2 (ja) 安全帯フックかけ忘れ防止監視システム
KR20210155243A (ko) 활선 경보 안전모 및 활선 경보 안전모 시스템
CN106228764A (zh) 具有移动远方告警的智能警示牌
KR102057239B1 (ko) 추락방지 시스템
CN110219472A (zh) 一种建筑工人安全防护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