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187B1 -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187B1
KR101447187B1 KR1020070125669A KR20070125669A KR101447187B1 KR 101447187 B1 KR101447187 B1 KR 101447187B1 KR 1020070125669 A KR1020070125669 A KR 1020070125669A KR 20070125669 A KR20070125669 A KR 20070125669A KR 101447187 B1 KR101447187 B1 KR 10144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obile devic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875A (ko
Inventor
여해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187B1/ko
Priority to US12/328,016 priority patent/US8554177B2/en
Publication of KR2009005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는, 액정 표시부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소정의 패턴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부, 상기 터치 센서부에서 센싱되는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 상기 패턴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설정 패턴 정보를 비교하는 패턴 비교부, 및 상기 패턴 비교부에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 액정 표시부, 터치, 패턴, 잠금

Description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unlocking of mobile device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서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생활 필수품으로 인식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개인 정보들이 모바일 기기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결제 기능 및 증권 거래 기능 등 보안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 개인 정보들이 모바일 기기에 저장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잠금 기능을 활용하여 개인 정보에 대한 타인의 접근을 제한하는 일이 중요시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기기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모바일 기기에 잠금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S101), 키 패드를 통해 숫자 암호를 입력하면(S102)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 된 숫자 암호와 동일한가 확인한다(S103). 입력 암호와 설정 암호가 동일하면 잠금 설정이 해제되어 사용자는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S104).
그러나,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항상 임의 자리의 숫자 암호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꺼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모바일 기기는 액정 표시부가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상당 부분이 액정 표시부에서 소비되고 있기 때문에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종래에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 혹은 터치 센서의 기능을 통해서 모바일 기기의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그러나, 별도의 제어 스위치 및 단순한 터치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므로 주머니나 가방 속에 넣어 보관하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불필요하게 스위치가 눌려져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터치 입력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서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기기의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잠금 해제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는, 액정 표시부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소정의 패턴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부, 상기 터치 센서부에서 센싱되는 입력 패턴에 대한 정 보를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 상기 패턴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설정 패턴 정보를 비교하는 패턴 비교부, 및 상기 패턴 비교부에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은, 액정 표시부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소정의 패턴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입력 패턴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설정 패턴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경우에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터치 입력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서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기기의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10)는 터치 센서부(11), 패턴 인식부(13), 패턴 비교부(15), 전원부(17) 및 제어부(19) 등을 구비한다.
상기 터치 센서부(11)는 모바일 기기(100, 도 3 참조)의 액정 표시부(101)에 구비되며, 액정 표시부(101) 상에 터치 입력되는 소정의 패턴(P, 도 3 참조)을 센싱한다. 터치 센서부(11)는 액정 표시부(101)를 통해 멀티 터치 입력되는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10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MP3플레이어, PMP 등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 인식부(13)는 터치 센서부(11)에서 센싱되는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패턴 인식부(13)는 액정 표시부(101)의 좌표 상에서 입력 패턴의 시작점, 끝점, 꺽이는 점 등의 테이터를 기초하여 입력 패턴(P)의 형태를 인식한다.
패턴 인식부(13)는 액정 표시부(101) 상에 패턴을 그리는 모양, 시간, 강도 등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인식한다.
상기 패턴 비교부(15)는 패턴 인식부(10)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P)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설정 패턴 정보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패턴 비교부(15)는 입력 패턴(P)과 설정 패턴에 대한 패턴 모양, 시간, 강도 등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한다.
상기 전원부(17)는 액정 표시부(101)와 터치 센서부(11)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부(17)는 액정 표시부(101)에 구비되는 백라이트(미도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부(17a)와, 제 1 전원부(17a)와 구분되어 터치 센서부(11)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17b)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9)는 패턴 비교부(15)에서 입력 패턴(P)과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 1 전원부(17a)가 액정 표시부(10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는 모바일 기기(100)의 전원 버튼 동작시 제 2 전원부(17b)가 터치 센서부(1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모바일 기기(100)에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액정 표시부(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체크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타이머(18)를 구비한다.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잠금 해제 장치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에서 특정 패턴을 입력시 액정 표시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모바일 기기(100)에 아무런 조작이 가해지지 않으면, 액정 표시부(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면 액정 표시부(101) 상에 특정 패턴(P)을 터치 입력한다(S201). 이때, 패턴 입력은 액정 표시부(101) 상에 패턴을 그리는 모양뿐만 아니라 그리는 시간 및 누르는 강도 등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입력 패턴(P)을 직선 형태로 그리는 경우, 직선의 중간 지점에서 좀 더 시간을 두고 그리거나 좀 더 세게 눌러 그릴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패턴으로 개인의 서명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액정 표시부(101)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패턴(P)을 터치 센서부(11)에서 센싱하고(S202), 패턴 인식부(13)에서 입력 패턴(P)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S203). 즉, 터치 인식부(13)에서 액정 표시부(101) 상에 패턴을 그리는 모양, 시간, 강도 등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인식한다. 이때, 터치 센서부(11)는 액정 표시부(1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부(17a)와 독립적으로 모바일 기기(100)의 전원 버튼 동작시 제 2 전원부(17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액정 표시부(10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부(11)의 센싱 동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패턴 비교부(15)에서 입력 패턴(P)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설정 패턴 정보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S204). 즉, 패턴 비교부(15)에서 입력 패턴(P)과 설정 패턴에 대한 패턴 모양, 시간, 강도 등의 데이터가 동일한지를 비 교한다.
이때, 입력 패턴(P)과 설정 패턴이 동일하면, 제 1 전원부(17a)가 액정 표시부(101)의 백라이트에 전원을 인가하여(S205)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S206). 그러나, 입력 패턴(P)과 설정 패턴이 동일하지 않으면, 제 1 전원부(17a)가 액정 표시부(101)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S207)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할 수 없다(S208).
즉,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에 미리 설정해 둔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을 액정 표시부(101)에 터치 입력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의 액정 표시부(101)에 전원을 인가하여 승인된 사용자만이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0)에 저장된 개인 정보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액정 표시부(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종래의 암호화 숫자를 입력하는 번거로운 조작이 없이 패턴 인식을 통한 승인된 사용자만이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 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기기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잠금 해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잠금 해제 장치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에서 특정 패턴을 입력시 액정 표시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기기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잠금 해제 장치 11 : 터치 센서부
13 : 패턴 인식부 15 : 패턴 비교부
17 : 전원부 17a : 제 1 전원부
17b : 제 2 전원부 19 : 제어부
100 : 모바일 기기 101 : 액정 표시부

Claims (15)

  1. 액정 표시부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소정의 패턴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부;
    상기 터치 센서부에서 센싱되는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패턴 인식부;
    상기 패턴 인식부에 의해 분석된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패턴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패턴 비교부;
    상기 패턴 비교부에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전원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잠금 동안 상기 터치 센서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패턴 비교부에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와 함께 상기 모바일 기기의 액정 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액정 표시부를 통해 멀티 터치 입력되는 패턴을 센싱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액정 표시부 상에 패턴을 그리는 모양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분석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액정 표시부 상에 패턴을 그리는 시간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분석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액정 표시부 상에 패턴을 그리는 강도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분석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바일 기기에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액정 표시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부와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상기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잠금 해제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11. 액정 표시부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소정의 패턴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입력 패턴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패턴에 대한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경우에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모바일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잠금 동안 상기 센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패턴이 동일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와 함께 상기 모바일 기기의 액정 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턴 인식 단계는 상기 액정 표시부 상에 패턴을 그리는 모양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분석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턴 인식 단계는 상기 액정 표시부 상에 패턴을 그리는 시간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분석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턴 인식 단계는 상기 액정 표시부 상에 패턴을 그리는 강도에 반응하여 다양하게 분석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바일 기기에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액정 표지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방법.
KR1020070125669A 2007-12-05 2007-12-05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KR10144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69A KR101447187B1 (ko) 2007-12-05 2007-12-05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US12/328,016 US8554177B2 (en) 2007-12-05 2008-12-04 Apparatus for unlocking mobile device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69A KR101447187B1 (ko) 2007-12-05 2007-12-05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75A KR20090058875A (ko) 2009-06-10
KR101447187B1 true KR101447187B1 (ko) 2014-10-10

Family

ID=4072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69A KR101447187B1 (ko) 2007-12-05 2007-12-05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4177B2 (ko)
KR (1) KR101447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245B1 (ko) * 2008-07-3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KR101611302B1 (ko) * 2009-08-10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661373B (zh) * 2009-09-29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接触面型进行识别解锁的方法及装置
US20120196573A1 (en) * 2009-10-09 2012-08-02 Ne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security lock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9053562B1 (en) 2010-06-24 2015-06-09 Gregory S. Rabin Two dimensional to three dimensional moving image converter
US20170140169A1 (en) * 2013-04-01 2017-05-18 Passtouch, Llc System and method for signature pathway authentication and identification
KR101684970B1 (ko) * 2010-08-18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8796B1 (ko) * 2011-08-22 2013-05-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션 패턴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130055169A1 (en) * 2011-08-25 201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TWI474703B (zh) 2011-09-30 2015-02-21 Ibm 提供時間比例式密碼/盤問鑑定的方法與電腦裝置
US20130082918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responsively changing application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TW201324303A (zh) * 2011-12-05 2013-06-16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觸摸屏的電子裝置及其解鎖方法
US9058479B2 (en) * 2012-04-17 2015-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ss-pattern authentication for computer-based security
KR101949440B1 (ko) * 2012-05-17 2019-02-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단말기의 사용자 패턴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298672A1 (en) * 2012-09-27 2014-10-09 Analog Devices Technology Locking and unlocking of contacless gesture-based user interface of device having contactless gesture detection system
US20140143856A1 (en) * 2012-11-20 2014-05-22 Google Inc. Operational shortcuts for computing devices
US9250706B1 (en) 2012-12-26 2016-02-02 Padraig Galvin Signature system
US9992021B1 (en) 2013-03-14 2018-06-05 GoTenn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ivate and point-to-point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JP6042753B2 (ja) * 2013-03-18 2016-12-1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装置及び操作ロック解除方法
US9164559B2 (en) * 2013-11-14 2015-10-20 Novasolix, Inc. Low power semi-reflective display
JP6184931B2 (ja) * 2014-10-29 2017-08-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ロック制御方法
CN104978143B (zh) * 2015-06-19 2020-03-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解锁方法及终端
CN106470261A (zh) * 2015-08-18 2017-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点亮终端屏幕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60026962A (ko) 2016-02-24 2016-03-09 최재원 다중 인터페이스 화면 구현 방법
US9852287B1 (en) 2016-10-04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password pattern checker to enforce stronger, unrepeatable passwords
CN107045604A (zh) * 2017-02-22 2017-08-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200052496A (ko) * 2018-11-06 2020-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685A (ja) * 1993-08-13 1995-03-03 Ricoh Co Ltd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60075250A1 (en) * 2004-09-24 2006-04-06 Chung-Wen Liao Touch panel lock and unlock function and hand-hel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2679A (en) * 1974-06-06 1976-06-08 Rca Corporation Handwriting identification technique
KR100331316B1 (ko) 1998-06-17 2002-05-09 윤종용 터치방식을사용하는이동단말기의액정화면및백라이트제어방법그에따른이동단말기
JP4939682B2 (ja) * 1999-04-27 2012-05-30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表示装置
US6707942B1 (en) * 2000-03-01 2004-03-16 Palm 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ressure information for improved computer controlled handwriting recognition, data entry and user authentication
JP2003140804A (ja) * 2001-10-30 2003-05-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3228445A (ja) * 2002-02-04 2003-08-15 Sony Corp 携帯情報端末、並びにロック制御システム
JP4131229B2 (ja) 2003-11-25 200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のロック解除方法
US20060012577A1 (en) * 2004-07-16 2006-01-19 Nokia Corporation Active keypad lock for devices equipped with touch screen
US20060283973A1 (en) * 2005-06-09 2006-12-21 Bean John H Jr Energy saving shower head
KR100722278B1 (ko) 2005-08-26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35663B1 (ko) 2005-10-06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널입력의 패턴인식을 이용한 명령일괄처리 방법
CN101776367B (zh) * 2005-12-12 2012-09-05 Lg电子株式会社 用于致冷器的控制单元及其控制方法
US8009147B2 (en) * 2007-09-27 2011-08-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touch interfaces for user authentication, partitioning, and external device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685A (ja) * 1993-08-13 1995-03-03 Ricoh Co Ltd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60075250A1 (en) * 2004-09-24 2006-04-06 Chung-Wen Liao Touch panel lock and unlock function and hand-hel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49156A1 (en) 2009-06-11
US8554177B2 (en) 2013-10-08
KR20090058875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187B1 (ko)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KR101872278B1 (ko) 디스플레이 카드의 동작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카드
EP2997517B1 (en) Portable device including a fingerprint scan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92078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esture
KR102126816B1 (ko) 지문 인식 장치 및 방법
TWI469038B (zh) 具有觸摸屏的電子設備及其螢幕解鎖方法
CN106959841A (zh) 一种应用中功能的调用方法及装置
KR101452565B1 (ko) 이동 단말에서의 점진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20196573A1 (en) Mobile device, and security lock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EP3401822B1 (en) Informatio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20170133478A (ko) 카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N101860622A (zh) 一种手机解锁装置及方法
US7657731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device
WO200508119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盗難防止方法
US10282528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use restriction therefor
JP2002207525A (ja) 指紋センサ付き携帯情報端末
KR101143786B1 (ko) 지문인식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그의 제어방법
JP2001092554A (ja) 情報処理装置
US10657514B2 (en) Settlement terminal device
KR101285613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홀드 제어장치 및 방법
JP5633233B2 (ja) 端末装置、携帯電話機、動作管理方法及び動作管理プログラム等
TWI525525B (zh) 行動裝置及其致能方法
JP4302600B2 (ja) 移動体、非接触媒体の起動方法、起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7003627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생체인식 터치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6155261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