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57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57B1
KR101446657B1 KR1020120120715A KR20120120715A KR101446657B1 KR 101446657 B1 KR101446657 B1 KR 101446657B1 KR 1020120120715 A KR1020120120715 A KR 1020120120715A KR 20120120715 A KR20120120715 A KR 20120120715A KR 101446657 B1 KR101446657 B1 KR 10144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el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4789A (en
Inventor
김영찬
김형준
김성겸
허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젠시스
Priority to KR102012012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657B1/en
Publication of KR2014005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구역(zone)별 적어도 하나의 셀 ID(Cell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AP(Acess Point)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셀ID 정보 중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셀 ID가 감지된 경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위치관리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A zone-specific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location management method are disclosed. The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at least one cell identifier information for each zone and at least one WIFI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etecting the WiFi AP and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Wi-Fi AP when the cell ID corresponding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zone agreed to the service provision is detecte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judg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can do.

Description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0001]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셀 ID(Cell Identifier) 및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location manag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loca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zone is entered using a cell ID (cell identifier) and a WiFi ≪ / RTI >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술은 LBS(Location Based Service, 이하 LBS라 한다)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LBS 기반 위치 추적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의 셀(Cell)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차 범위가 넓어서 정확한 위치 파악이 힘들다.Conventionally, the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of a mobile terminal is based on LBS (Location Based Service). However, since the LBS-based location track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locate the location because the error range is wide.

또한, 종래의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039호와 같이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도 있으나, 이 경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의 위치를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게 되므로 결정된 위치와 실제 단말의 위치 사이에 큰 오차가 발생되며 동일한 수신감도를 가지는 와이파이가 복수 개 감지되는 경우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technique of locating a terminal using Wi-Fi (WIFI)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37039. However,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an access point, A large error is generated between the determined position and the actual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when a plurality of Wi-Fi having the same receiving sensitivity is detected.

한편, 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학부모들은 자녀의 안전과 관리를 위해 자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 이를 반영하여, 지그비(Zigbee) 또는 RFID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학교 정문을 통과하는 학생이 소지한 휴대 단말기 또는 인식 카드를 정문에 부착된 인식 리더기를 통해 인식하여 해당 부모의 휴대 전화로 통보해주는 서비스들이 최근에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별도의 인프라 설치 비용이 크게 들며 학교 정문등과 같은 특정한 위치를 지나는 경우만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On the other hand, parents who have student children have a great desire to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ir child to ensure their safety and care. In consideration of this, a portable terminal or a recognition card carried by a student passing through the front door of the school is recognized through a recognition reader attached to the front door using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Zigbee or RFID, Although these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recently, they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can be installed only when they are located at specific locations such as the front gate of the school,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infrastructure installation cost.

또한, 최근에는 백화점, 시장 등과 같이 특정 구역에 소비자가 진입하는 경우 소비자에게 제품판매정보, 할인정보 등과 같이 특정 구역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특정 구역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when a consumer enters a specific area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market,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consumer has entered a specific zone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zone,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find a way to do th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셀 ID(Cell Identifier) 및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zone-specific loca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zone is entered using a cell ID (cell identifier) and a WiFi (WIFI).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셀 ID(Cell Identifier) 및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zone is entered using a cell ID (cell identifier) and a WiFi (WIFI).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구역(zone)별 적어도 하나의 셀 ID(Cell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AP(Acess Point)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셀ID 정보 중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셀 ID가 감지된 경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위치관리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zone management system for each zone, including at least one cell identifier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and at least one WiFi access point And a cell ID corresponding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zone agreed in the service provision among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s detected, the wireless base station detects the WiFi AP and detects the detected at least one Wi-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is located within the provision area.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셀 ID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셀 ID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할 수 있다.Wherei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t least on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at least one cell ID information, And may start to detect the WiFi AP if it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셀 ID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를 상기 위치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셀 ID 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와이파미 AP를 감지하도록 하는 와이파이 AP 감지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와이파이 AP 감지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n at least one cell ID is detected, and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cell I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Wi-Fi AP det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ct the Wi-Fi AP,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Wi- You can start to detect Wi-Fi APs.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상기 위치관리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database further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Wi-Fi AP for each zo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Wi-Fi AP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detected Wi-Fi APs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WiFi APs ar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And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corresponding WiFi APs stored in the database,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Position.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와아파이 AP들의 위치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searches the database for lo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i-Fi AP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determined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반경들을 이용하여 설정된 수신가능구역들의 공통부분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Wherei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sets a radius around the location of each of the searched Wi-Fi APs using the received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ived Wi-Fi APs, and sets a common portion of the settable coverage areas using the set radiu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determined.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미확인 와이파이 A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결정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업데이트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lo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re is an unconfirmed Wi-Fi AP that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among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d by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And an update server for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AP and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in the database.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stablished terminal.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ID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셀 ID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 및 AP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location management system for each zone may include a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a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ID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식별정보 및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셀 ID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셀 ID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셀 ID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 및 AP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zone-specific location management system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to the cell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on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on terminal,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using the collected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Fi AP collection sensitivity information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base And a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는, POI(Point of Interest) 정보,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may receive the AP information using POI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room can be generated and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room.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지된 셀 ID 정보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지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location by z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rts to detect the WiFi AP when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Fi AP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at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Wi-Fi AP from the Wi-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may comprise determining tha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은 셀 ID 정보와 와이파이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특정 구역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특정 구역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location management method can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entered a specific zone by using the cell ID information and the Wi-Fi AP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zone can be provide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specific zon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은 특정 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셀 ID가 검색된 경우에만 와이파이 AP를 감지하므로, 와이파이 AP의 검색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Fi AP is detected only when the cell ID corresponding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zone is detect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만 소지하고 있으면 특정 구역의 진입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위치파악용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기지국의 정보(셀 ID 정보) 및 와이파이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location management method can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zone is entered if on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ssessed,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infrastructure because it uses information (cell ID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already built and Wi-Fi.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 및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도시한 표이다.
도 4는 도 1의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감지된 와이파이 AP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도시한 표이다.
도 7은 도 6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미확인 와이파이 AP가 감지된 이동통신단말기들 각각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도시한 표이다.
도 9는 도 8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zone-specific lo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zone-based lo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showing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of FIG. 1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zone-based lo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zone is entered using the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Wi-Fi APs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FIG. 6 is a table show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of FIG.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information of FIG. 6. Referring to FIG.
8 is a table show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n unidentified Wi-Fi AP is detecte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using the information of FIG. 8.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100)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특정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 및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도시한 표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zone-specific location management system 100 of FIG. FIG.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aging a zone-based lo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able showing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110 of FIG. 1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이동통신단말기(120), 위치관리서버(170),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150),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140) 및 업데이트 서버(16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3, the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database 11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a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150, A server 140 and an update server 160. [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구역(zone)별 적어도 하나의 셀 ID(Cell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AP(Acess Point)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셀 ID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20)에 저장될 수도 있는데, 상기 셀 ID가 이동통신단말기(120)에 저장되는 경우에 대하여는 관련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AP의 실제위치에 대한 정보인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가 더 저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5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atabase 110 may store at least one cell identifier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and at least one WIFI access point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10 may b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case where the cell ID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addition, the database 110 may further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which is information on the actual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Wi-Fi AP, and an embodimen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셀 ID 정보는 기지국의 식별정보를 의미한다. 즉, 이동통신사들은 각각 복수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SK텔레콤의 3G 기지국들, SK텔레콤의 LTE 기지국들, KT의 3G 기지국들 등)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기지국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기지국의 고유한 식별정보가 상기 셀 ID 정보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구역별로 상기 셀 ID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코엑스몰에서 감지되는 모든 셀 ID 정보,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에서 감지되는 모든 셀ID 정보 등과 같이 각각의 구역별로 셀 ID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cell ID information indic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That is, each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ha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example, 3G base stations of SK telecom, LTE base stations of SK telecom, 3G base stations of KT, etc.) and each base station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the cell I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ell I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10 for each zone. For example, the cell I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10 such as all cell ID information detected in COEX Mall, all cell ID information detected at the Hyundai Department Store trade center, Cell ID information can be stored separately.

와이파이(WIFI ; Wireless Fidelity)는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 이하 'AP'라 한다)인 무선접속장치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칭하는 기술이다. 상기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접속할 수 있는 지점인 AP가 필요하며, AP가 있으면 상기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기기가 수신 전파를 잡아 인터넷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AP 역할을 하는 장치로는 무선 인터넷 공유기, 무선 인터넷 전화기 등이 있다. 상기 와이파이 AP들 각각은 고유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BSSID, SSID 등)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기기에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고유한 식별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와이파이 AP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Wireless Fidelity (WIFI) refers to a local area network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within a certain distance by using a radio wave or an infrared transmission method in a place where an access point (AP) Technology. In order to use the Wi-Fi, an access point (AP) is required. If there is an access point, the Wi-Fi supporting device can receive an incoming radio wave and attempt to access the Internet. Examples of the device serving as the Wi-Fi AP include a wireless Internet router and a wireless Internet telephone. Each of the Wi-Fi APs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BSSID, SSID, etc.), selects one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by the device supporting the Wi-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Internet wirelessly.

상기 셀 ID 정보 및 상기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셀 ID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와 상기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셀 ID 또는 상기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The cell ID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Wi-Fi APs can be collected using various methods. Hereinafter, an embodiment for collecting the cell ID information and an identification One embodiment capable of collect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ell ID and the Wi-Fi APs may be collected using various other methods.

상기 셀 ID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ID 수집단말기(130)를 이용할 수 있다. ID 수집단말기(130)는 ID 수집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셀 ID를 감지할 수 있는 단말기로, 예를 들어 GPS 기능을 가지고 셀 ID를 감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전용단말기일 수 있다. ID 수집단말기(130)가 특정구역 내에서 감지되는 모든 상기 셀 ID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150)는 상기 수집된 모든 셀 ID 정보를 상기 특정 구역의 셀 ID 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may be used to collect the cell ID information.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is a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cell ID of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For example,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cell ID have. When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collects all of the cell ID information sensed in a specific area, the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150 collects all the collected cell ID information as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area, 110).

또한, 상기 셀 ID들 각각의 위치정보(즉,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ID 수집단말기(130)를 이용할 수도 있다. ID 수집단말기(130)가 상기 셀 ID를 수집하는 경우,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150)는 ID 수집단말기(130)의 위치정보, ID 수집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셀 ID의 식별정보 및 ID 수집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셀 ID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셀 ID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D 수집단말기(130)의 위치정보는 ID 수집단말기(130)의 GPS 기능 등을 이용하여 파악된 ID 수집단말기(13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셀 ID 정보는 ID 수집단말기(130)의 현재 위치에서 수집된 상기 셀 ID 정보이다. 이와 같이, 상기 셀 ID의 위치정보가 생성된 경우,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50)은 ID 수집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may be used to coll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ell IDs (i.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collects the cell ID, the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15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the identific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can be generated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nformation and ID collecting terminal 130.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is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identified using the GPS function of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The cell ID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D collecting terminal 130, Is the cell ID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ell. In this wa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is generated, the first database management module 150 can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cell I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130 in the database 110.

이상과 같은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셀 ID 정보를 구역별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the cell ID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10 in various areas by various methods.

그리고, 상기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식별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할 수 있다. AP 수집단말기(135)는 AP 수집 단말기(135)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할 수 있는 단말기로, 예를 들어 GPS 기능을 가지고 와이파이를 감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전용단말기일 수 있다. AP 수집단말기(135)가 특정구역 내에서 감지되는 모든 상기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140)는 상기 수집된 모든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구역의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may be used to coll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Wi-Fi APs.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sens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and the Wi-Fi AP,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edicated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Wi-Fi with a GPS function . When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coll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ll the Wi-Fi AP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14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ll the collected Wi-Fi APs to the Wi- And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10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할 수도 있다. AP 수집단말기(135)가 상기 와이파이 AP를 수집하는 경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40)은 AP 수집단말기(135)의 위치정보,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P 수집단말기(135)의 위치정보는 AP 수집단말기(135)의 GPS 기능 등을 이용하여 파악된 AP 수집단말기(135)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는 AP 수집단말기(135)의 현재 위치에서 수집된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이다.Also,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may be used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Wi-Fi APs. When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collects the Wi-Fi AP,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module 14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the identific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Information of the Wi-Fi AP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acquisition terminal 135. FI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is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identified by using the GPS function of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ing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AP collection terminal 135.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40)은 실내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POI 정보는 특정 구역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어, 백화점, 코엑스몰, 강남역 지하상가 등과 같이 특정 구역에 대한 정보이다. AP 수집단말기(135)가 특정 구역 내에서 감지되는 모든 상기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140)는 상기 수집된 모든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구역의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module 140 may further use POI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to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Fi AP located in the room. The POI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COEX mall, a Gangnam station underground shopping mall, and the like. When the AP collecting terminal 135 coll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ll the Wi-Fi AP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14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ll the collected Wi-Fi APs to the Wi- And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10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40)은 실내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POI 정보는 특정 구역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어, 백화점, 코엑스몰, 강남역 지하상가 등과 같이 특정 구역에 대한 정보이다.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40)은 상기 POI 정보,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엑스몰에서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는 코엑스몰 내부의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백화점에서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는 백화점의 각 층별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module 140 may further use POI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room. The POI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COEX mall, a Gangnam station underground shopping mall, and the like.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module 140 receives the POI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135,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135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room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when coll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135 in the COEX Mall,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includes information on a specific location in the COEX Mall can do. As another example, when coll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135 at the department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Wi-Fi AP may include information on specific locations of each floor of the department store have.

이와 같이,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가 생성된 경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40)은 AP 수집단말기(135)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In this manner,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is generated,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module 140 can store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in the database 110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135.

이상과 같은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실외 또는 실내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located outdoors or indoors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10 by various methods.

이하에서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가 특정 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located within a specific zone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10 will be described.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셀 ID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20)가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셀 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S210). 즉, 이 경우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셀 ID 정보가 이동통신단말기(120)에도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an detect the cell ID inform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mpares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with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210). That is,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10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s well.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셀 ID와 와이파이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등 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20)에는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셀 ID 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항상 실행되거나 특정 시간에 실행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되거나 상기 셀 ID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실행되는 등의 다양한 설정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cludes both a cell ID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Wi-Fi sig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comparing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with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by various settings, such as being executed all the time, executed at a specific time, execu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executed when the cell ID information is detected.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이란 상기 구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구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소유자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구역들(예를 들어, 시장, 백화점 등) 중 관련정보를 수신할 구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구역이 서비스제공구역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소유자가 학생이고 학부모가 단말기를 통해 학생이 특정 구역에 진입한 경우 알림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은 상기 학부모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area means an area where a user agrees to provide the service through a terminal provid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area. For example, the ow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select a zone to receive the related information among the zones (e.g., market, department store, etc.) in which the service is available and the selected zone may be a service providing zone hav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ow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a student and a parent wants to receive a notification service when a student enters a specific area through a terminal, the service providing area can be set by the parent through the terminal.

위치관리서버(170)는 일정 시간 단위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셀 ID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20)에 송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에 저장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20)에 저장된 상기 셀 ID 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만 와이파이 AP를 감지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ransmits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stores the cell ID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cell ID information may be upd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hen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start to detect the WiFi AP.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detects the Wi-Fi AP only when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used to detec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다른 실시예로,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상기 셀 ID 정보를 감지한 경우,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20)에는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로 송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항상 실행되거나 특정 시간에 실행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되거나 위치관리서버(17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실행되는 등의 다양한 설정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20)에서 감지된 셀 ID 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로 송신하는 시기에 대하여도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detects the cell ID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transmit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y various settings such as being executed all the time, executed at a specific time, execu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execute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 In addition, various settings can be made for the timing of transmitting the cell I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

위치관리서버(170)가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를 수신한 경우(S210), 위치관리서버(170)는 상기 수신된 셀 ID 정보가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10). 이와 같이, 상기 수신된 셀 ID 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위치관리서버(170)는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위한 와이파이 AP 감지요청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20)로 전송하고,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상기 수신된 AP 감지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상기 AP 감지요청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는 와이파이 AP를 감지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receives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 step S210,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cell I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210). If the receiv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ransmits a WiFi AP det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o detect the WiFi AP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start to detect the Wi-Fi AP in response to the received AP detection request signal. That is,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does not detect the WiFi AP until the AP det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ed for detecting the WiFi AP Can be minimized.

도 3의 예와 같이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가 "ID1, ID2, ID5"인 경우,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ID1"인 경우 S220 단계를 수행하게 되고,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도 3에 포함되지 않은 "ID3"인 경우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120)는 다시 셀 ID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예를 들어, S210 단계에서 복수의 셀 ID 정보들이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셀 ID 정보들 중 하나의 셀 ID 정보라도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면, S22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If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is "ID1, ID2, ID5 ",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20 if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is" ID1 " ID3 "not included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llects the cell ID information again without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cell ID information is received in step S210, even if one of the receiv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ep S220 is performed.

이동통신단말기(120)에서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로 송신하여 위치관리서버(170)에서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S220), 위치관리서버(170)는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0). S230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위치관리서버(170)는 이동통신단말기(120)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40). 만약, S220 단계에서 복수의 AP 식별정보들이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AP 식별정보들 중 하나의 AP 식별정보라도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AP 식별정보에 대응하면, 위치관리서버(170)는 이동통신단말기(120)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120)는 다시 셀 ID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detects the WiFi AP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WiFi AP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from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110 (S230). I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110 in step S230,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provides the service (S240). ≪ / RTI > If a plurality of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step S220 and on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20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I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does not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returns to step Cell ID information is collected.

도 3의 예와 같이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 식별정보가 "AP1, AP2, AP3, AP5, AP7, AP11, AP12, AP15"인 경우, S220 단계에서 수신된 AP 식별정보가 "AP1"인 경우 위치관리서버(170)는 이동통신단말기(120)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S220 단계에서 수신된 AP 식별정보가 도 3에 포함되지 않은 "AP9"인 경우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120)는 다시 셀 ID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AP3, AP5, AP7, AP11, AP12, and AP15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as shown in FIG. 3, if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220 is" AP1 "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If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220 is "AP9 " not included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llects the cell ID information again.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치관리서버(170)는 상기 서비스제공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이 시장 또는 백화점인 경우 매장정보, 길안내 정보, 고객행사정보, 할인정보 등을 이동통신단말기(120)로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이 학교 또는 학원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소유자인 학생이 학교 또는 학원에 도착했는지 또는 이탈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학생의 학부모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정보뿐 아니라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rough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service providing area is a market or a department st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provide store information, route guidance information, customer event information, and discoun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f the service providing area is a school or a school,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student who is the own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has arrived at the school or the school, or the like,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student's parents.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various servi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ding area.

이하에서는, 보다 정확하게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에 진입하였음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method for accurately determin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has entered the service providing area by gras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ore accurately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1의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특정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120)에 감지된 와이파이 AP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도시한 표이며, 도 7은 도 6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zone-based lo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zone is entered using the zone-based location management system 100 of FIG. 1. FIG. Of the Wi-Fi APs. FIG. 6 is a table show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of FIG. 5, and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information of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4의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중 S410 단계는 도 2의 S210 단계와 동일하므로, S410 단계와 관련된 설명은 도 2의 S210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Referring to FIG. 1 to FIG. 7, step S410 of the zone management method of FIG. 4 is the same as step S210 of FIG. 2, so that description of step S410 is replaced with explanation of step S210 of FIG.

S441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20)는 복수의 와이파이 AP들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와이파이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등 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20)에는 상기 감지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로 송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항상 실행되거나 특정 시간에 실행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되거나 위치관리서버(17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실행되는 등의 다양한 설정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20)에서 감지된 와이파이 AP들의 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로 송신하는 시기에 대하여도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If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in step S44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an detect a plurality of WiFi APs,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tected WiFi APs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cludes all mobile terminals capable of detecting Wi-Fi,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detected WiFi APs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y various settings such as being executed all the time, executed at a specific time, execu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execute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 In addition, various settings can be made for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Wi-Fi APs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도 5에는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일 실시예로 스마트폰에서 5개의 와이파이 AP들이 감지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AP들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AP들을 모두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에 대하여 수신감도도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20)에서 감지된 와이파이 AP들의 수신감도정보를 수치화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위치관리서버(170)로 전송한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위치관리서버(170)는, 이동통신단말기(120)가 감지한 상기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20).FIG. 5 illustrates a case where five Wi-Fi APs are detected in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 FIG. In this mann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apable of detecting Wi-Fi APs can detect all of the Wi-Fi APs that can be connected thereto, and can also detect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each of the detected Wi-Fi APs.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data transmitted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digitiz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S420).

이동통신단말기(120)가 감지한 상기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위치관리서버(170)가 수신한 경우, 위치관리서버(170)는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sen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ransmits the Wi-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an be determin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iFi APs stored in the database 1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관리서버(170)는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도 3,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위치관리서버(170)는 식별정보가 'AP1'인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하고, 식별정보가 'AP2'인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식별정보가 'AP3, AP5, AP9'인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위치관리서버(170)는 상기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i-Fi APs to the database 110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S430).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FIGS. 3, 5 and 6,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searches the database 110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who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1'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can be retrieved from the database 110. Similar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Wi-Fi APs who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3, AP5, AP9' can be retrieved from the database 110. [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110 on the basis of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received Wi-Fi APs,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to locate the Wi- You can search.

위치관리서버(170)는 상기 검색된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관리서버(170)는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하고(S440), 상기 설정된 반경들을 이용하여 설정된 수신가능구역들의 공통부분을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S450).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검색된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수신감도정보를 다양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S440 및 S450 단계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WiFi AP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For example,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sets a radius around the location of each of the searched Wi-Fi APs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ived Wi-Fi APs (S440) The common portion of the settable receivable zones may be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S4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Wi-Fi AP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ay be applied to various algorithms, Information, and steps S440 and S450 are merely one embodiment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S430 내지 S450 단계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 AP9) 중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만이 도 3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고, 와이파이 AP(AP9)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steps S430 through S4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hrough 7. Fig. Only the Wi-Fi APs AP1, AP2, AP3 and AP5 among the Wi-Fi APs AP1, AP2, AP3, AP5 and AP9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re stored in the database 110 of FIG. (AP9)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110 of Fig.

그러므로, 위치관리서버(170)는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들(AP1, AP2, AP3, AP5)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의 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의 위치는 지도상에 좌표로 표시될 수 있다. 위치관리서버(170)는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 각각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감도는 0 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감도가 높을수록(상기 수신감도가 0 에 가까울수록)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상기 와이파이 AP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하고, 상기 수신감도가 낮을수록(상기 수신감도가 -100 에 가까울수록) 이동통신단말기(120)는 상기 와이파이 AP에 멀리 위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 각각에 대하여 반경을 살펴보면, 상기 수신감도가 가장 높은 와이파이 AP(AP2)의 반경이 가장 작고 상기 수신감도가 가장 작은 와이파이 AP(AP3)의 반경이 가장 크다.Therefore,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searches the database 110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AP1, AP2, AP3, and AP5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P1, AP2, AP3, and AP5 of the Wi- And the positions of the Wi-Fi APs AP1, AP2, AP3, and AP5 as shown in FIG. 7 may be displayed in coordinates on a map.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can set the radius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of the Wi-Fi APs AP1, AP2, AP3, and AP5. The reception sensitivity can be represented by a value between 0 and -100. The higher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clos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to 0), the clo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to the WiFi AP, The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clos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to -100), the more dista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to the Wi-Fi AP. 7, the radius of each of the Wi-Fi APs AP1, AP2, AP3, and AP5 is the radius of the Wi-Fi AP (AP2) having the smallest reception sensitivity, AP3) is the largest.

위치관리서버(170)는 도 7과 같이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 각각에 대하여 반경을 이용하여 수신가능구역을 확정한 후,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 각각의 수신가능구역의 공통부분(빗금부분)을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와이파이 AP들(AP1, AP2, AP3, AP5)이 모두 감지될 수 있는 위치가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와이파이 AP들 사이의 간격을 넓게 도시하였으나 상기 와이파이 AP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은 좁은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와이파이 AP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120)에 감지되는 와이파이 AP들의 개수가 매우 많으므로, 감지되는 와이파이 AP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이동통신단말기(120)의 위치의 정확도도 올라갈 수 있다.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determines the coverage area using the radius for each of the Wi-Fi APs AP1, AP2, AP3, and AP5 as shown in FIG. 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an determine the common portion (hatched portion) of each of the available coverage areas. It is very likely that the location where the Wi-Fi APs AP1, AP2, AP3, and AP5 can be detected i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 In FIG. 7, alth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Wi-Fi APs is shown broad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Wi-Fi APs are generally formed in a very dense mann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plurality of Wi- 120 can be accurately locat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Wi-Fi APs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very large,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an be increased as the number of detected Wi-Fi APs increases.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120)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치관리서버(170)는 상기 서비스제공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rough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7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도 8은 미확인 와이파이 AP가 감지된 이동통신단말기들 각각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도시한 표이며, 도 9는 도 8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8 is a table show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n unconfirmed Wi-Fi AP is detected, and FIG. 9 show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nidentified Wi-Fi AP using the information in FIG. It is a conceptual diagram.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와이파이 AP, 즉 미확인 와이파이 AP(예를 들어, 도 3, 도 5 및 도 6에서 와이파이 AP(AP9))가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위치관리서버(140)에 수신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1 to 9, Wi-Fi APs not stored in the database 110, that is, unconfirmed Wi-Fi APs (for example, Wi-Fi APs 9 in FIGS. 3, 5 and 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ase where th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140 from the terminal 120. FIG.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중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미확인 와이파이 AP(AP9)가 존재하는 경우, 업데이트서버(160)은 위치관리서버(170)에서 결정된 이동통신단말기(120)들의 위치 정보와 미확인 와이파이 AP(AP9)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미확인 와이파이 AP(AP9)의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4개의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에서 미확인 와이파이 AP(AP9)가 검출되었고,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의 수신감도정보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다고 가정한다. 상기 수신감도는 0 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감도가 0 에 가까울수록 수신감도가 높고 상기 수신감도가 -100 에 가까울수록 수신감도가 낮음을 의미한다.When there is an unidentified Wi-Fi AP (AP9) which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110 among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update server 160 updates the Wi-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AP9)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s (120)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AP9).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n unidentified Wi-Fi AP (AP9) is detected in fou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1, # 2, # 3, # 4) , # 3, and # 4 are assumed to be as shown in FIG. The reception sensitivity can be represented by a value between 0 and -100, and the clos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to 0, the higher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clos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to -100, the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위치관리서버(170)에서 결정된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의 위치는 지도상에 좌표로 도시될 수 있다. 업데이트서버(160)는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 각각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감도가 높을수록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AP9)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하고, 상기 수신감도가 낮을수록 미확인 와이파이 AP(AP9)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멀리 위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 각각에 대하여 반경을 살펴보면, 상기 수신감도가 가장 높은 이동통신단말기(#2)의 반경이 가장 작고 상기 수신감도가 가장 작은 이동통신단말기(#3)의 반경이 가장 크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1, # 2, # 3, and # 4, as shown in FIG. 9,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1, # 2, # 3, 3, and # 4) may be shown in coordinates on the map. The update server 160 can set the radius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1, # 2, # 3, and # 4. The higher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closer the unidentified WiFi AP (AP9) is 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more unidentified WiFi AP (AP9) is located far awa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9, the radii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1, # 2, # 3, and # 4 are the smallest, the radi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2 having the highest reception sensitivity is the smallest, The radi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3 having the smallest sensitivity is the largest.

업데이트서버(160)는 도 9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 각각에 대하여 반경을 이용하여 수신가능구역을 확정한 후,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 각각의 수신가능구역의 공통부분(빗금부분)을 미확인 와이파이 AP(AP9)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들(#1, #2, #3, #4)이 모두 미확인 와이파이 AP(AP9)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가 미확인 와이파이 AP(AP9)의 위치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들 사이의 간격을 넓게 도시하였으나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가 감지되는 이동통신단말기들은 좁은 범위내에 위치할 것이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The update server 160 determines the receivable area using the radius for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1, # 2, # 3 and # 4 as shown in FIG. 9, # 2, # 3, and # 4) can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AP9). It is very likely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1, # 2, # 3, and # 4) are located in the WiFi AP (AP9) whose location is unidentified for detecting the unconfirmed WiFi AP (AP9). In FIG. 9, although the interval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shown broad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which the unidentified Wi-Fi APs are detected are located within a narrow range.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unidentified Wi- Can be found accurately.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1)

삭제delete 구역(zone)별 적어도 하나의 셀 ID(Cell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AP(Acess Point)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셀ID 정보 중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셀 ID가 감지된 경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위치관리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셀 ID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셀 ID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cell identifier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and at least one WiFi access point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When the cell ID corresponding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zone agreed to the service provision is detected among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Wi-Fi AP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Wi-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And,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at least on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tores the received at least one cell ID information, and starts to detect the WiFi AP when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구역(zone)별 적어도 하나의 셀 ID(Cell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AP(Acess Point)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셀ID 정보 중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셀 ID가 감지된 경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위치관리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셀 ID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를 상기 위치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셀 ID 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도록 하는 와이파이 AP 감지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와이파이 AP 감지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cell identifier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and at least one WiFi access point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When the cell ID corresponding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zone agreed to the service provision is detected among the cell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Wi-Fi AP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Wi-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ransmitting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n at least one cell ID is detected,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n the cell I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WiFi AP det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ct the WiFi A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d starts to detect the Wi-Fi AP in response to the Wi-Fi AP detection request signal.
제2항 및 제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구역별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를 상기 위치관리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4. The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and 3,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Wi-Fi AP for each zone is further sto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Detects the Wi-Fi AP,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detected Wi-Fi APs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iFi AP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using the 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management system for each zo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와이파이 AP들의 위치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4,
Searches the database for lo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i-Fi AP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by u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반경들을 이용하여 설정된 수신가능구역들의 공통부분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6. The lo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5,
Setting a radius around the position of each of the searched Wi-Fi APs using the received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ived Wi-Fi APs, and setting a common portion of the settable coverage areas using the set radii to a position Wherein the loca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미확인 와이파이 A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결정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업데이트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5.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re is an unidentified Wi-Fi AP that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among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d i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unidentified Wi- Further comprising an update server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and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in the database.
제2항 및 제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The lo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and 3,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stablished terminal.
제2항 및 제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ID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셀 ID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 및
AP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4. The zo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or 3,
A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system for each zone.
제2항 및 제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은,
ID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식별정보 및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셀 ID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셀 ID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셀 ID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 및
AP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4. The zo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or 3,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generated cell ID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is generate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a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는,
POI(Point of Interest) 정보,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11.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comprises:
The loc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room using the POI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 And stores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room.
삭제delete 위치관리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셀 ID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지된 셀 ID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가 대응하는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지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Transmitting, at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cell ID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a databas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transmitted cell ID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cell I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hen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arting to detect the WiFi AP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t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Fi AP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WiFi AP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셀 ID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된 셀 ID 정보를 위치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지된 셀 ID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셀 ID 정보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위치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 감지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와이파이 AP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지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Transmitting the detected cell ID information to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n at least one cell ID is detec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ing i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ther cell I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cell ID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a database;
Whe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cell I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ell ID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onds to the WiFi AP det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t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Fi AP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WiFi AP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3항 및 제1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지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서비스제공구역의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수신감도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receiving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Receiving, at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comprises: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s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of the service provid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corresponding WiFi APs stored in a databas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using the 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AP들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와이파이 AP들 각각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반경들을 이용하여 설정된 수신가능구역들의 공통부분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mprises:
Searching the database for lo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i-Fi APs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Setting a radius around a position of each of the searched Wi-Fi APs using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ived Wi-Fi APs; And
And determining a common portion of the receivable zones set using the set radiuses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은,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AP들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미확인 와이파이 AP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가 존재하는 경우, 업데이트 서버에서, 상기 결정된 이동통신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서버에서, 상기 미확인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Determining whether an unidentified Wi-Fi AP that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exists among the Wi-Fi AP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identified Wi-Fi AP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in the update server when the unconfirmed Wi-Fi AP exists;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 the update serve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confirmed WiFi AP in the database.
제13항 및 제1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은,
상기 위치관리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제공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one of claims 13 and 14,
Whe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stablished terminal, How to manage the location of each zone.
제13항 및 제1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은,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ID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셀 ID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AP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one of claims 13 and 14,
Storing, in the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Storing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s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in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3항 및 제1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은,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ID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식별정보 및 상기 ID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셀 ID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셀 ID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셀 ID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셀 ID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AP 수집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one of claims 13 and 14,
In the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 collection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cell ID collected using the ID collection terminal,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toring, in the first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 cell ID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generated cell I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P collection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i-Fi AP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구역별 위치관리방법은,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POI(Point of Interest) 정보,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 및 상기 AP 수집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와이파이 AP의 수신감도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파이 AP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에서,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AP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구역별로 상기 와이파이 AP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역별 위치관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In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by using POI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Fi APs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an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Wi-Fi APs collected using the AP collection terminal,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Wi-Fi AP;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t the second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 WiFi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in the database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Fi AP located in the room.
KR1020120120715A 2012-10-29 2012-10-2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KR101446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715A KR101446657B1 (en) 2012-10-29 2012-10-2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715A KR101446657B1 (en) 2012-10-29 2012-10-2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89A KR20140054789A (en) 2014-05-09
KR101446657B1 true KR101446657B1 (en) 2014-10-06

Family

ID=5088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715A KR101446657B1 (en) 2012-10-29 2012-10-2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39A1 (en) * 2018-10-08 2020-04-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tio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location of target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location measurement method thereof
US11997559B2 (en) 2018-10-08 2024-05-28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Locatio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location of target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location measurement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676A (en) * 2018-10-08 2020-04-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of target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215895A1 (en) * 2020-04-24 2021-10-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about specific terminal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193A (en) * 2010-07-08 2012-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ing error by using wlan signal
KR20120040810A (en) * 2010-10-20 2012-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peripheral wlan signal, apparatus, system, access point, positioning server and terminal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193A (en) * 2010-07-08 2012-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ing error by using wlan signal
KR20120040810A (en) * 2010-10-20 2012-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peripheral wlan signal, apparatus, system, access point, positioning server and terminal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39A1 (en) * 2018-10-08 2020-04-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tio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location of target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location measurement method thereof
US11997559B2 (en) 2018-10-08 2024-05-28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Locatio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location of target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location measurement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89A (en)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618B1 (en) A method for searching the position of multi sim mobile station
JP4866361B2 (en)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server, method of building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location-based service using the same
US8805352B2 (en) Determining virtual location based upon scanned wireless signals
CN101461187B (en) Hotspot location database system, mobile terminal for use in such 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intaining and updating such a system
EP29558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beaconing with positioning
US9245160B2 (en) Method for setting up a beacon network inside a retail environment
KR20100024445A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formation registration server,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1202587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location-based service using access point
CN101356845A (en) Location-aware multimodal communication system
KR1013618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access point interworking with mobile card payment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therein
KR101560200B1 (en) System for Positioning Device using Crowd network
Jeong et al. SALA: Smartphone-assisted localization algorithm for positioning indoor IoT devices
WO20090754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osition of moving object
US10321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KR101687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Error Range
KR1014466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López-Pastor et al. Evaluation of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for added-value services in a mall
KR101046421B1 (en) Method and system of taking position information
Gilski et al. Survey of radio navigation systems
KR1014240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location using WIFI
JP2012005048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768685B1 (e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ferencing Location
Rahimi et al. Indoor geo-fencing and access control for wireless networks
KR101188538B1 (en) Alarm system based on the position and mobile device with alarm system based on the position and alarm service based on the position
TW202135546A (en) Passive asset tracking using observations of wi-fi access p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