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079B1 - 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 - Google Patents

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079B1
KR101445079B1 KR1020130019081A KR20130019081A KR101445079B1 KR 101445079 B1 KR101445079 B1 KR 101445079B1 KR 1020130019081 A KR1020130019081 A KR 1020130019081A KR 20130019081 A KR20130019081 A KR 20130019081A KR 101445079 B1 KR101445079 B1 KR 10144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nkage
yarn
fabric
dyeing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5642A (en
Inventor
이규리
이재동
Original Assignee
이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리 filed Critical 이규리
Priority to KR102013001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079B1/en
Publication of KR2014010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0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로 생지원단을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하는 바닥면형성단계; 열 고정되어 수축된 전처리 또는 가공지원단을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하는 사용면형성단계; 및 상기 원단의 특성에 따라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열을 받지 않은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입체구조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주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면(또는 겉감;face)에 접착된 바닥면(또는 안감)을 사용면과 색상이 같거나 또는 다르게 하여 자수나 퀼팅 또는 그라비아 접착 및 초음파 융착 등으로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에서 열수 또는 비수를 이용한 생지의 열 수축으로 다양한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fluidic device, comprising: a bottom surface forming step of using a biofilm as a bottom surface (lining: or shrinkage surface) A use surface forming step in which a heat-set and contracted pre-treatment or machining aid is used as a surface (or face); And a double-layered body having a volume feeling due to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support which the unheated support is subjected to during the dyeing process through the water, after bonding and assembl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Structure forming step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double wrink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surface (or lining) bonded to a use surface (or a surface) is bonded and matched with the surface of the used surface by using embroidery, quilting, gravure bonding or ultrasonic welding, In the mediating dyeing process,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bi-dimensional structure having various volume senses by heat shrinkage of the raw paper using hot water or non-water.

Description

이중 주름지 및 그 제조방법{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ouble wrinkled paper and double wrinkled textiles,

본 발명은 이중 주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면(또는 겉감;face)에 접착된 바닥면(또는 안감)을 사용면과 색상이 같거나 또는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자수나 퀼팅 또는 그라비아 접착 및 초음파 융착 등으로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에서 열수 또는 비수를 이용한 생지의 열 수축으로 다양한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이중 주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wrink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wrink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a bottom surface (or lining) adhered to a use surface (or a face) Or gravure bonding and ultrasonic welding, and forming a double-layered structure having various volume senses by thermal contraction of raw paper using hot water or non-water in a dyeing process mediated by wat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일반적으로 이중 주름지는, 원사의 수축률을 이용하여 제직한 후, 염가공 처리한 후쿠로(HUKURO), 후쿠로 자카드(HUKURO JQD) 등이 있으며, 가공된 원단과 생지원단을 무늬가 생기도록 접착을 하고, 열가공으로 수축을 시켜 제조되는 이중구조의 원단이 있다,In general, the double wrinkles are formed by using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and then subjected to a salt processing process such as HUKURO and HUKURO JQD. The processed fabric and the raw support are adhered to form a pattern And a double structure fabricated by shrinkage by thermal processing,

가공된 원단과 생지원단을 접착 후, 열가공 수축 후에 수축지를 분리하면 주름원단이 되고, 분리하지 않으면 후쿠로(HUKURO; 자루) 모양의 이중구조 원단이 된다.After bonding the processed fabric to the raw support, heat shrink the shrinkage paper after shrinking, and it becomes a wrinkle fabric. If it is not removed, it becomes a double structure fabric like HUKURO (sack).

원사의 수축률로 인하여 염가공으로 제조된 후쿠로는 디자인에 한계가 있으며, 디자인에 조금은 자유로운 후쿠로 자카드는 기계적 특성과 원사사용의 한계로 인하여 생산량과 제품의 개발에 한계가 있다.Due to the shrinkage rate of yarn, Fukuro manufactured by cheap yarn is limited in design. Fukurojacard, which is a little free of design, has limitations on the production amount and product development due to its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use of yarn.

열처리 가공된 가공원단과 생지원단을 무늬가 생기도록 접착을 한 후, 열가공으로 수축을 시켜 제조되는 이중 주름지 원단은 다양한 방법과 소재로 계속 개발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double-wrinkled fabric, which is produced by heat-treating the processed fabric and the raw support so that the pattern is adhered and then shrinking by thermal processing,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with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이러한 이중 주름지 원단은 종래에는 합성섬유 가공원단과 열처리 되지 않은 합성섬유 생지원단을 무늬가 형성되도록 점착 또는 접착을 하거나 박음질하여 석영관 적외선 히터와 석면 망 벨트를 이용한 열박스를 통과시키거나, 기타의 열롤러 등 직접 열을 이용하여 이중 주름지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안감이 열에 의하여 수축이 되고 가공원단은 수축이 되지않아 생기는 수축률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Such a double wrinkle fabric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to pass through a heat box using a quartz tube infrared heater and an asbestos webbing belt by adhering, bonding or staking synthetic fiber fabrics and untreated synthetic fibers to form a pattern, The difference in the shrinkage ratio between the lining and the processed fabric due to heat shrinkage was measured while the double wrinkled cloth was transferred using direct heat such as heat roller.

또한, 열처리된 합성섬유 가공원단과 열처리 되지 않은 합성섬유 생지원단 사이에 보충물을 삽입한 후 무늬가 생기도록 열 접합하여 열수나 스팀 건열가공을 하여 제조되는 주름직물의 제조방법이나, 열처리 되지 않은 합성섬유 원사를 봉사로 사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누빈 후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주름직물의 제조방법 및 열수축직포나 부직포 또는 필름에 문양을 인쇄하여 원단과 접착하여 열 롤러나 열박스를 통과하면서 수축이 된 안감을 분리하여 주름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등 수많은 주름모양을 갖는 원단이 개발되었다.Also,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wrinkle fabric which is manufactured by inserting a supplement between a heat-treated synthetic fiber processing support and a non-heat-treated synthetic fiber support, hea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rinkle fabric produced by heat-treating a synthetic fiber yarn in a desired shape after being sieved, and a method of producing a wrinkle fabric by heat-shrinking the woven fabric by printing a pattern on the woven fabric or nonwoven fabric or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rinkled fabric by separating the wrinkled fabric.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종래의 이중 주름지는, 보충물이 삽입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감을 분리하여 사용하는데, 수축 후 겉면과 수축지를 분리하여 주름지로만 사용할 경우 한 장의 원단에 주름이 음각 양각으로 접혀 시간이 지나면 변형이 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uble wrinkles thus produced are mostly separated from the lining except that the replenishment is inserted. When the wrinkles ar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 shrinkage paper after the shrinkage, the wrinkles are folded in an embossing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fter the folding time, deformation occurs and the merchantability is lowered.

또한, 열가공 수축에 있어서 일반사로 제직된 생지는 거의 수축이 되지 않아 고수축지를 사용하게 되고, 점착 사용 후 분리시킨 안감지는 수축지로는 재사용이 불가하며, 안감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원사색상이 그대로인 생지는 변색이 가능하고, 세탁시 원단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중요한 것은 기존의 수축지로는 건열에서 수축이 가능한 화섬유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Further, in the thermal processing shrinkage, the raw paper woven in the general yarn is hardly shrunk, so that it uses the high shrink paper, and the lining which has been separated after the use of the adhesive is not reusable as a shrinkage paper. The raw paper can be discolored and distorted during washing.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use only conventional fibers that can shrink in dry heat.

이렇게 수축된 생지는 겉감과는 달리 생지(Ingrey) 상태에서 적외선히터 등 직접 열을 이용한 수축공정의 특성상 장력과 폭 맞춤이 일정치 않아, 태, 품질, 규격 등의 최종체크가 일정치 않으며, 건열로 수축만 된 상태로 있어 염색공정에서 이루어지는 불순물 제거가 이루어 지지 않고, 특히 직물의 생지에 남아있는 유제나 호제 수용성 오일 또는 분말 등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욕중에서 첨가하는 첨가제를 투여할 수가 없어 상품성이 떨어지는데 이는 섬유제품에 부가가치를 부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염색가공이 없기 때문이다.
The shrinkage of the raw material is unstable due to the nature of the shrinking process using direct heat such as infrared heater in the state of Ingrey, unlike the case of the surface, and the final check of the quality,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the impurities in the dyeing process, and in particular, the emulsion remaining on the raw material of the fabric, the water-soluble oil or the powder, etc., are not removed. In addition, the additive to be added in the bath can not be administered, resulting in poor merchantability because there is no dyeing process that plays a decisive role in imparting added value to the textile produ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가적인 설비의 투자없이 오래전부터 해 오던 기존설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이중 주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 wrinkle which can be manufactured using existing equipment whi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investing additional equip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원단의 겉면이 전처리 또는 가공지 등 기타 열 고정되어 수축된 원단이나 수축률이 작은 생지원단을 사용면(겉감;face)으로 하고, 소재와 관계없이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의 원단이나 수축률이 큰 생지원단을 바닥면(안감)으로 하여 자수나 퀼팅 또는 그라비아 접착 또는 초음파 융착이나 나염 등으로 다양한 무늬로 합포를 한 후, 원단가공시 꼭 거쳐야 하는 염색공정에서 물을 매개로 하는 생지의 열수축으로 다양한 이중 주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bric is treated with pretreatment or other processing such as shrinkage of the fabric and shrinkage of the fabric or shrinkage of the support surface is used as the outer surface (face; face), regardless of the raw fabric and heat shrinkage rate regardless of the material shrinkage rate The large longevity support is made by embroidering, quilting, gravure bonding, ultrasonic welding, or printing with various patterns, and then heat-shrinking the water-based dyes in the dyeing proces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variety of double wrink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은,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로 생지원단을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하는 바닥면형성단계;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 wrinkles,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floor surface (lining: or shrinking surface) in a raw state without heat;

열 고정되어 수축된 전처리 또는 가공지원단을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하는 사용면형성단계; 및A use surface forming step in which a heat-set and contracted pre-treatment or machining aid is used as a surface (or face); And

상기 원단의 특성에 따라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열을 받지 않은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입체구조형성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The double support structure having a volume feeling due to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support which is not heat-treated by the dyeing process through the water after the bonding, And a second stereostructure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stereo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은,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수축률이 작은 생지원단이나 가공지를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하는 사용면형성단계;Also, the method of producing a double wrin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 surface forming step of using a raw material support or processed paper having a boiling water shrinkage ratio of less than 0 to 1% and a low shrinkage ratio as a used surface (surface: face);

상기 사용면으로 사용되는 생지원단이나 가공지의 수축률 보다 비등수 수축률이 3%이상의 차이로 수축률이 큰 생지원단을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하는 바닥면형성단계;A bottom surface forming step of using as a bottom surface (lining: or shrinking surface) a raw material support having a shrinkage ratio of 3% or more and a boiling water shrinkage rate that is higher than a shrinkage rate of the raw support or used paper used as the use surface;

상기 원단의 특성에 따라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수축률이 크게 차이가 나는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차이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입체구조형성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The difference in the shrinkage rate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material support in which the shrinkage rate varies greatly through the water-based dyeing process after bonding and assembl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And a double stereostructure forming step of forming a bi-stereoscopic structure.

상기 바닥면(안감)의 수축사로 사용되는 원사는 염색가공시 수축이 되는 자연섬유나 일반 화섬사 또는 고축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원단의 형태로 제직되는 특징이 있다.The yarn used as the contraction yarn of the bottom surface (li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ven in the form of a fabric by selectively using any one of natural fiber, general synthetic fiber, and high-density yarn to be shrunk during dyeing.

상기 사용면(겉감)은 소재와 관계없이 염색공정이 가능한 원단으로서 자연섬유, 화섬지, 수축율이 작은 생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The use surface (surface) is a fabric capable of dyeing process irrespective of a material, and has a feature of selectively using any of natural fiber, synthetic fiber, and synthetic paper having a small shrinkage ratio.

상기 바닥면(안감)의 조직으로, 직물은 위사나 경사의 본수를 조절하고, 서큘러 니트(Circular knit)와 같은 니트류는 선염사 또는 수축률이 작은 원사와 수축률이 큰 원사의 Feeder수를 조절하여 염색함으로써 염색시 원사의 수축률 차이에 의하여 무늬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The knitted fabric, such as circular knit, adjusts the number of feeders of the yarn having a low shrinkage ratio or a yarn having a high shrinkage ratio, The pattern is formed by the difference in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during dyeing.

상기 바닥면(안감)의 제직시, 선염사 또는 이종의 원사를 적당한 비율과 무늬를 넣어서 제직함으로써 볼륨을 형성하면서도 체크(check)무늬 또는 줄(stripe)무늬의 수축지로 사용할 수 있고, 겉감과 안감의 수축률 차를 이용하여 염색 후 가공을 하게 되면 양면(double face)으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When the bottom surface (lining) is woven, the yarn can be used as a shrinkage paper of a check pattern or a stripe pattern while forming a volume by weaving a yarn yarn or a different kind of yarn in an appropriate ratio and pattern, The shrinkage difference of the shrinkage ratio can be used as a double face if it is processed after dyeing.

상기 본딩하는 방법으로는, 자수 또는 퀼팅 및 그라비아 접착 또는 초음파 융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합포하는 특징이 있다.The bonding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by any one or more of embroidery, quilting, gravure bonding and ultrasonic welding.

실을 이용한 합포를 할 때, 누비나 자수실의 색상은, 사용면(겉감)과 동일한 색상을 사용하거나, 생지원단과 같은 종류의 원사를 사용하여 염가공시 같이 염색이 되도록하거나, 바탕색과는 관계없이 이종의 선염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The color of the quilting and embroidery thread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used surface or the yarn of the same kind as that of the raw material support so that the yarn is dyed like a cheap yar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any one of the different types of dye yarns.

상기 그라비아 접착은, 접착제 조합에 있어서 염색에 반응없이 접착만 가능하거나, 염색에 반응하여 접착부분이 겉감색 보다 더 진하게 하여 염색되어 주름무늬와는 별도로 접착된 부분이 진한무늬를 만들거나, 색상을 추가하여 접착부분 무늬를 차별화시키는 특징이 있다.The gravure bonding may be performed only in a combination of adhesives without reaction to the dyeing, or in a case where the adhesive portion is denser than the outer color in response to the dyeing, and the portion bonded separately from the wrinkle pattern is made darker, In addition, there is a feature that the adhesive portion pattern is differentiated.

상기 염색공정에서 염색탕 안에서의 장력과 염색온도 및 시간 그리고 승압, 감압의 조건으로 염색 조건을 맞추어 같은 생지원단이라 할지라도 사용면(겉감)과 바닥면(안감)을 같이 사용하거나, 가성소다에 수축이 되는 면 종류처럼 약품을 첨가하여 수축률을 이용함으로써 사용면(겉감)과 바닥면(안감)을 같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In the dyeing process, the same tension and dyeing temperature and time in the dyeing bath as well as the dyeing conditions under the conditions of pressure increase and decompression can be used to use the same surface (outer) and bottom surface (lin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hrinkage by adding medicines like the shrinking cotton type, so that the use surface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lining) are used together.

상기 염색공정은 염색 중 염료를 패딩하여 염색하는 서모졸(thermosol)염색방법이나 물나염 방법에 B/O(Boil Off; 열로서 삶기만 한것), B/W(Bleached White; 표백)만의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The dye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thermosol dyeing method in which a dye is padded and dyed during dyeing, or a B / O (Bleached White) or B / W (Bleached White) .

상기 실을 이용한 합포를 할 때, 염색가공시 장력이나 열수에 접합부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생산량이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 디자인의 선이 가늘고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클 때이거나 원단이 망사처럼 원단의 접착면이 적을 때는 퀼팅이나 자수기계와 같은 실을 이용한 박음질접착을 하고, 선이 넓고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적을 때나 원단의 밀도가 높아 접착력이 좋을 때는 그라비아 본딩이나 나염기 초음파융착을 하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production and cost in order to prevent the spliced portion from dropping in tension or hot water during dye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use a cloth which has a thin line of design and a large swelling portion, When it is small, it is stitched with a thread such as quilting or embroidery machine, and when it has a wide line and a small swelling part, it has a high denseness and a gravure bonding or an ultrasonic welding when the adhesive strength is good.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주름지는,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로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되는 생지원단;Further, the double wrinkling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bottom surface (lining: or shrinking surface) in a raw state without receiving heat;

열 고정되어 수축된 원단으로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되는 전처리 또는 가공지원단; 및A pretreatment or processing aid which is used as a surface (face: face) as a heat-shrunk fabric; And

상기 원단의 특성에 따라 본딩하여 합포한 다음,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열을 받지 않은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A double stereoscopic structure having a volume feeling due to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support which is not heat-treated by the dyeing process through the water after the bonding,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주름지는,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되는 수축률이 작은 생지원단이나 가공지;Further, the double wrinkled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rinkage percentage which is less than 0 to 1% in boiling water shrinkage and is used on a use surface (outer surface: face), and has a small shrinkage percentage;

상기 사용면으로 사용되는 생지원단이나 가공지의 수축률 보다 비등수 수축률이 3%이상의 차이로 높고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되는 수축률이 큰 생지원단; 및A support member having a high shrinkage percentage which is higher than the shrinkage rate of the raw support or the used paper used as the above-mentioned use surface by a difference of 3% or more and a bottom surface (lining: or shrinking surface); And

상기 원단의 특성에 따라 본딩하여 합포한 다음,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수축률이 크게 차이가 나는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The yarn is shrunk due to heat shrinkage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yarn supporting unit in which the shrinkage rate greatly differs as a result of the dyeing process through the water after the yarn is bonded and bon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And has a feature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축직물로 사용되는 안감으로는 고수축사인 화섬유가 사용되지만, 염색공정에서는 일반 건열수축에서 수축되지않는 자연섬유나 일반 화섬사도 수축직물로 사용을 할 수가 있고 경편, 위편물도 가능하며 일반직물류도 조직 및 염가공 방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수축지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lining used as the shrinkable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fiber luster fiber is used, but in the dyeing process, natural fibers and general synthetic fibers that do not shrink due to general heat shrinkage can be used as shrinkage fabrics, It is possible to knit and logistics of general occupation can be used according to tissue and salt processing method, so that it can be used as various shrinkage paper.

또한, 추가적인 설비의 투자없이 오래전부터 해 오던 기존설비를 이용하여 이중 주름지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double wrinkles by using existing facilitie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investing additional facilities.

또한, 접착된 안감과 겉감의 색상이 같거나 또는 다르게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는 이중입체구조의 원단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double-stitched fabric having various colors and patterns is formed with the same color of the bonded lining and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은,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로 생지원단을 바닥면(또는 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하는 바닥면형성단계와, 열 고정되어 수축된 전처리 또는 가공지원단을 사용면(또는 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하는 사용면형성단계 및 상기 원단의 특성에 따라 자수 또는 퀼팅 및 그라비아 접착 또는 초음파 융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열을 받지 않은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입체구조형성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uble-ply wrin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forming step of using a raw support as a bottom surface (or a lining or a shrinking surface) in a raw state without heat, and a bottom surface forming step of using a heat- (Or surface or face), and a method of dyeing with a water-mediated process after bonding by embossing or quilting, gravure bonding, or ultrasonic weld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volume feeling due to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support which is not heated while being heated by the dyeing process.

또한, 상기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의 생지원단 대신에는 하기 사용면으로 사용되는 생지원단의 수축률 보다 비등수 수축률이 3%이상의 차이로 수축률이 큰 생지원단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열 고정되어 수축된 전처리 또는 가공지원단 대신에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수축률이 작은 생지원단이나 가공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raw support in the raw state without receiving the heat, a raw support having a boiling water shrinkage ratio of 3% or more and a large shrinkage percentage may be used, Instead of pretreatment or machining support, a raw support or paper with a boiling water shrinkage of less than 0 to 1% and a low shrinkage rate may be used.

이는 열을 받지 않아 수축이 없었던 생지원단 부분은 수축이 되고, 열 고정되어 수축된 가공원단은 수축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지원단 부분의 수축에 비례하여 겉감이 부풀어 올라, 자수 또는 퀼팅 그리고 그라비아 본딩 및 나염방법으로 합지한 원단이 본딩 모양에 따라 다양한 입체무늬가 형성되며, 생지원단이 겉감(face)과 동종 또는 이종의 원단이라도 같은 색상이나 또는 다른 색상으로 발현됨으로 안감과 겉감의 색상이 같거나 다른 동색염색, 농담염색 이색염색 등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는 이중입체구조의 원단이 만들어진다.This is because the part of the life support part which is not shrunk due to the heat is not shrunk because of the shrinkage of the part of the life support part and the shrinkage of the processed fabric which is heat-shrunk and shrunk, the outer part is swollen in proportion to the shrinkage of the life support part, the embroidery or quilting,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patterns are formed depending on the bonding shape of the fabric bonded by the printing method. Even if the support member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face, the same color or different color is expressed, so that the color of the lining and the outer surface are the same or different Dyed with the same color, dyed with different colors and patterns of different colors and patterns, such as two-dimensional fabric is made.

이렇게, 겉감과 안감이 소재와 관계없이 합포를 하여 염색을 하게 되면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섬유간 복합소재로 작용하여 상호 간에 종류, 물성, 기능, 형태 등 특성이 다른 이종의 섬유소재가 되어 혼용소재로 염색하게 된다. 이렇게 2개의 포지를 붙여 사용하게 되면, 이용하는 포의 조합에 따라 치수가 안정화 되어 안감이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재단과 봉제가 용이하게 되고, 방추성(紡錐性; crease resistance)과 세탁과 착용성(WASH & WEAR)이 좋게 된다. 이는 원단이 연신, 가연, 연사, Air Jet Textured, Interlace, Core yarn, Covering 등의 여러 가지 사가공 공정과 이섬도 혼섬사 이형단면 혼섬사 이수축혼섬사 등 복합소재로 제직이 되어있고, 겉감이 생지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가공된 원단과 생지 사이에는 복수의 섬유소재로 염색을 하게 된다고 본다In this way, when the outer and lining are dyed together with the material, regardless of the material, it acts as a composite material between the outer and inner lining, so that they are mutually different fiber materials having different kinds, physical properties, ≪ / RTI > When the two poses are used together, the dimensions are stabiliz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cloths used and the lining is unnecessary, so that the cutting and sewing are facilitated and the crease resistance, WASH & WEAR). It i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such as stretching, twisting, twisting, air jet textured, interlace, core yarn and covering, and composite fabrics such as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mbroidery. Even if the same material is used, the fabric is dyed with a plurality of fiber materials between the fabric and the raw fabric

일반적으로 원사의 수축율은 원사의 종류만큼 다양하고 수축하기 위한 원사를 이용시 적게는 6~7% 정도에서 일반사는 10% 이상에서, 고수축사는 30% ~ 60% 이상까지도 수축이 이루어지나, 원사의 종류, 굵기, 밀도, 직,편물의 조직 그리고 제직시 원사의 장력에 따라 직축률이 달라지며, span의 유무에 있어서도 수축률이 달라진다. 따라서 수축률은 원사의 선정 및 사가공 그리고 제직의 조직과 Loop 장 그리고 염가공시 발생하는 장력과 염색온도 및 시간 그리고 승압 감압 등 염색 및 가공의 조건하에서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다. 원사의 제조 기술에 따라 연신, 저연신, 열처리, 수축열처리, 공중합폴리머, 초고속 방사기술을 조합하면 종류에 따라 보통사, 고축사, 초고수축사, 저수축사, 자발신장사 등 수축률이 각기 다른 원사가 제조되어 원단 제직시 적당한 원사를 이용하여 원하는 수축률을 조절할 수 있다. Generally, the shrinkage rate of the yarn is as varied as that of the yarn, and when the yarn for shrinking is used, the shrinkage is performed in a range of 6 to 7%, 10% or more in the general yarn and 30% to 60% The shrinkage rat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thickness, density, knitting, organization of the knitted fabric, and the tension of the yarn at the time of weaving, and the shrinkage ratio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an. Therefore, the shrinkage rate can be slightly different under the conditions of dyeing and processing such as selection and processing of yarn, weaving, loops and yarns, tension and dyeing temperature and time, and pressure and pressure reduc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yarn, if a combination of stretching, low-elongation, heat treatment, shrinkage heat treatment, copolymer polymer, and ultra-high speed radiation technology is used, the yarn having different shrinkage ratios such as ordinary yarn, high-stature yarn, And the desired shrinkage ratio can be controlled by using a suitable yarn when the fabric is manufactured.

따라서, 원단의 원사의 종류에 따라 제직공정에서 형태를 이루는 조직을 더하여 염색 조건을 맞추면 같은 생지원단이라 할지라도 겉감과 안감을 같이 사용할 수 있고 가성소다에 수축이 되는 면 종류처럼 약품을 첨가하여 축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직물은 위사나 경사의 본수를 조절하고, 경편 및 위편물은 선염사 또는 수축률이 작은 원사와 수축률이 큰 원사를 Feeder수를 조절하여 편직하고, 환편물은 접착가공이 원활하도록 개폭하여 사용하고, 개폭기에서 생산하여 바로 작업에 투입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ype of yarn of the fabric, if the dyeing condition is adjusted by adding the tissue forming the form in the weaving process, even the same life support unit can use the outer cloth and the lining together and add chemicals such as shrinkage to the caustic soda, May be used. The yarn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feeders, and the circular knitting yarn is used in a wide range to smooth the bonding process. It can be produced in an aerator and put into operation immediately.

이렇게 제직된 생지를 수축용 안감으로 사용하게 되면 한가지 원사로만 구성된 생지와는 달리 또 다른 무늬의 수축지로 사용할 수 있고, 겉감과 안감의 수축율 차를 이용하여 염색 후 가공을 하게 되면 양면(double face)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원단의 제직 종류에도 직물 그리고 경편과 위편 등 무수히 많은 종류의 직기로 원단이 개발 생산이 되고 있지만 제직공정이 다른 종류의 원단을 다양한 무늬로 합포를 한 후 염색을 하면서 다른 한쪽을 수축시키면 더욱 다양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원단을 개발할 수 있다.If the woven fabric is used as a shrinking lining, it can be used as a shrinkage paper of another pattern unlike a raw material composed of only one yarn. If the shrinkage ratio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and the lining is used for processing after dyeing, ) Can be used. Although the fabrics have been developed and produced by many kinds of looms, such as fabrics, warp knitting yarns and top knit fabrics, the weav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dyeing different kinds of fabrics in various patterns and shrinking the other one High value added fabrics can be developed.

생지 상태의 원단을 바닥면(안감)으로 하고, 전처리 또는 가공지 등 기타 열 고정되어 수축된 원단이나 수축률이 작은 생지원단을 사용면(face)으로 하여 두 물체의 사이에 접촉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자수나 퀼팅은 실을 이용하여 겉감과 안감을 다양한 무늬로 박음질을 하고, 그라비아 본딩 및 나염방법으로 합지한 원단방식 등은 두 가지 물체 사이에 다양한 접착제를 중간층으로 개재시키어 합포작업을 시행한다.It is recommended that the fabric be used as the bottom surface (lining) and be used as pretreatment or processing paper or other heat-shrinkable fabric or as a supporting face with a small shrinkage ratio, Quilting uses a thread to stitch out the outer and inner lining in various patterns, and gravure bonding and laminating method, such as fabric method, are used to interpose a variety of adhesives between the two objects in the middle layer.

또한, 후로킹이나 듀드롭 등도 접착가능한 약품이 통과할 수 있는 망사 치폰 등을 겉감으로 사용하여 겉감과 안감을 나염과 동시에 다양한 무늬로 접착을 하고, 사용하는 약품에 금분 은분 등 안료와 혼합하여 원 단위에 무늬를 넣을 수도 있고 바인더를 사용하여 포일가공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using a netting chiffon which can pass adhesive chemicals such as hooking and dew-drop, it is used as outer material, and it is bonded with various patterns at the same time as the outer surface and the lining are printed, and the medicine to be used is mixed with pigment such as gold powder, Or a foil may be formed using a binder.

겉감과 생지를 디자인 합포를 함에 있어서는, 디자인의 선이 가늘고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클 때나 원단이 망사처럼 원단의 접착면이 적을 때는, 퀼팅이나 자수기계 등 실을 이용한 박음질접착을 하고, 선이 넓고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적을 때나 원단의 밀도가 높아 접착력이 좋을 때에는, 그라비아 본딩이나 나염기 초음파융착을 하게 되는데 이는 염색가공시 장력이나 열수 등에 접합부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생산량이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함이다.When designing the outer material and the cloth, when the line of the design is thin and the inflated part is large, or when the cloth is a mesh like the mesh, when the fabric is adhered to the cloth, it is stitched with quilting or embroidery machine. When the rising part is small or the density of the fabric is high and the adhesive strength is good, gravure bonding or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to prevent the spliced portion from falling off in tension or hot water during dyeing, and to reduce the production amount and cost.

실을 이용한 합포를 할 때, 실 색상은 겉감과 동일한 색상을 사용하던지 생지와 같은 종류의 원사를 사용하여 염가공시 같이 염색이 되도록하거나 바탕색과는 관계없이 선염사로 할 수도 있다.When the yarn is mixed, the yarn color may be the same color as the outer cloth, or the yarn of the same kind as the yarn may be used to dye the yarn as if it is declared as a cheap yarn, or to be a yarn yarn yarn regardless of the background color.

상기 그라비아 본딩에서는 접착제 조합에 있어서 염색에 반응없이 접착만 가능한 방법과, 염색에 반응하여 접착부분이 겉감색보다 더 진하게 하여 염색되어 주름무늬와는 별도로 접착된 부분이 진한무늬를 만들 수도 있다.In the above gravure bonding,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adhesive can be adhered without any reaction to dyeing in the combination of the adhesives, and a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denser than the color of the outer surface in response to dyeing and is separately adhered to the crease pattern.

초음파 융착이나 나염방법에 있어서는 겉감과 생지의 밀도를 참고하여 염가공시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In case of ultrasonic welding or printing method, refer to the density of the surface and raw paper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discount.

상기의 합포작업은 각 분야에서 각기 다른 합포방법으로서 공장마다 재료마다 진행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 조금씩 다른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above-mentioned consolidation work can be carried out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facilitator for each material as a different procuring method in each field.

이렇게 기존의 건열방식과 달리 염색공정에서 주름가공은 형태의 안정성이 좋게 되는데 이유를 살펴보면, 모든 섬유는 상당히 긴 쇄상분자(선상중합체)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쇄상분자량은 1 ~ 2만이며 고분자 물질이라 부른다. 이 쇄상분자는 대체적으로 섬유축에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지만 그 구성은 연속 규칙 정련하게 배열해 있는 결정영역과 분자가 흩어져 불규칙하게 배열이 되어있는 비결정 영역으로 되어있다. 이 영역은 확연히 구별되지 않고 비교적 배열이 양호한 부분에서 서서히 배열이 나빠지는 부분으로 이동해 감으로 이결정영역 비결정영역의 상대적 비율은 섬유의 앞 공정에 따라 달라진다. 천연섬유, 재생섬유, 그리고 합성섬유도 말할 것 없이 섬유는 물을 흡수하면 분자운동이 비교적 자유롭게 되며, 폭 방향으로 팽윤하면 동시에 길이 방향은 수축한다. 직물의 수축은 이양자가 종합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직물이나 편포는 그것이 제품이 되기까지 방적, 직편, 정련, 표백, 염색가공과 같은 공정에서 개개의 섬유 또는 실이 일부는 영구적으로 늘어나게 되고, 다른 일부는 잔유 왜곡으로 되어 실에 잠재하게 된다. 이것이 수분, 열, 습도 등과 만나면 일반적으로 수축현상이 일어난다. 이것은 팽윤에 의해 섬유 내부에 존재했던 응력의 일부해제, 분자운동, 섬유집합체의 변화 등이 서로 관련을 갖고 일어나며, 섬유간 또는 실 상호 간에 느슨해져 안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여 수축한다.Unlike the conventional dry method, the wrinkle processing in the dyeing process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form. The reason is that all the fibers are composed of a very long chain molecule (linear polymer), and the chain molecular weight is 1 to 20,000. I call it. These chain molecules are generally arranged parallel to the fiber axis, but their constitution is an amorphous region in which crystal regions arranged to refine the continuous rule and molecules are scattered and irregularly arranged. This region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but rather moves from a relatively well arranged region to a poorly arranged region, so that the relative ratio of the amorphous region of the crystalline region differs depending on the previous process of the fiber. Regardless of natural fibers, regenerated fibers, and synthetic fibers, fiber absorbs water to make the molecular motion relatively free, and when it swells in the width direction, it shrin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shrinkage of the fabric can be seen to be caused by the synthesis of the transpositions. Thus, until a product or fabric becomes a product, some of the individual fibers or yarns are permanently stretched in processes such as spinning, straightening, refining, bleaching, and dyeing, while others become latent yarns in residual yarn. When this happens with moisture, heat, humidity, etc., shrinkage usually occurs. This is due to the release of some of the stresses in the fiber due to swelling, molecular motion, changes in the fiber aggregate, etc.,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shrink between the fibers or between the yarns to return to a stable state.

일반적으로 염료가 들어가는 곳은 비교적 조직이 성글은 비결정영역이며 섬유의 특정 작용기와 염료의 특정작용기 사이에 결합이 형성되어 염착이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place where the dye enters is relatively amorphous region, and a bond is formed between a specific functional group of the fiber and a specific functional group of the dye.

열박스에서 건열로만 수축이 이루어질 경우, 직접적으로 고온의 열을 받는 부분과 그 반대면의 온도차 그리고 원단의 겉면과 안(원사의 내부)쪽의 온도차로 인하여 뒤틀림 현상이 생길 수 있으나, 물을 흡수하게 되면 열수나 비수 등이 원단의 전체에 고르게 확산이 되어 건열만의 공정보다 훨씬 안정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heat box is shrunk only by dry he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part directly receiving the heat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opposite surfac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inside of the inside of the fabric may cause warping, The hot water and the non-water are diffused evenly throughout the fabric, so that a product which is more stable than the dry heat process can be obtained.

염료가 섬유에 염착하기 위해서는 염료와 섬유 사이에 화학적 결합과 물리적 결합이 필요한데 섬유구조상 결정영역과 비결정영역 중 염욕의 온도를 올리면 비결정영역의 밀도가 거칠어져 염료분자가 비결정영역에 확산이 가능해지며 섬유의 팽윤에 의해서도 확산이 가능하다.In order to dye the dye on the fiber, a chemical bond and a physical bond are required between the dye and the fib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ye and the amorphous region are increased in the fiber structure, the density of the amorphous region becomes coarse and the dye molecule becomes diffused in the amorphous region. It is possible to diffuse by swelling.

수용성 직접염료와 같이 물리적 힘에 의하여 섬유와 결합하는 염료와 화학적 힘에 의하여 섬유와 결합하는 염료, 불용성이지만 색소를 화학적으로 가용성으로 만든 후 섬유에 흡착시키는 염료, 불용성 염료를 수중에 분산시켜 섬유에 고용결합시키는 분산염료 등이 있어 섬유의 소재에 따라 염색방법이 달라진다. 친수성 섬유는 염색이 용이하지만 소수성이 클수록 난염성임으로 난염성 섬유에 대해서는 고온, 고압으로 염색하는 방법과 특수한 염료전달체를 사용하거나 염색액을 원단에 부착시켜 가열증기로 증열하거나 고온으로 처리하는 thermosol 방법 등이 있다. 이렇게 섬유에 염료가 선택적으로 염착이 되면 겉감과 안감이 이종의 원사일 때 동색 및 이색 그리고 농담염색이 가능해진다.Dyes that bind to fibers by physical forces, such as water-soluble direct dyes, dyes that bind to fibers by chemical forces, dyes that are insoluble but adsorb to the fibers after making the dye chemically soluble, And disperse dyes which are bond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dyeing method differs depending on the fiber material. Hydrophilic fibers are easy to dye, but they are difficult to dye with larger hydrophobicity. Therefore, they can be used for dye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sistant fibers, using special dye transfer materials, thermosol method . When the dye is selectively dyed on the fiber, the outer and inner lining are made of the same kind of yarn, so that the same color and dichromaticity and jade dyeing becomes possible.

따라서, 염색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소재를 접착하여 염색을 하게 되면 외관의 변화와 이색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염색을 하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공정상 얻어지는 열수 및 비수 그리고 고압의 형태에서 섬유는 팽윤이 되었다가 수축이 된다.
Therefore, if two or more kinds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dyeing properties are adhered and stained, changes in appearance and a dichroic effect can be obtained. In the form of hydrothermal and non-water and high pressure obtained in the process of dyeing, the fiber swells and contracts.

이욕이단법(2 bath 2 step) (二浴二段法)2 bath 2 step (two bath two step method)

분산염료에 의한 polyester는 고압염색기에서 행하고 반응염료에 의한 염색은 winch에서 견뢰도 양호한 농색염색에 적합하나 용수 및 에너지 소비량이 많다.
The polyester with disperse dye is applied in high pressure dyeing machine and the dyeing with reactive dye is suitable for dyeing with high color fastness in winch. However, water and energy consumption are high.

일욕이단법(1 bath 2 step) (一浴二段法)One bath 2 steps (one bath two steps)

polyester duator gn cotton을 염색한다. 담색 중색에 좋으며 용수 및 에너지 소비량 양호하나 도중에 약제를 첨가해야 함.
dye polyester duator gn cotton. Good for pale purple color. Good water and energy consumption.

일욕일단법 (1 bath 1 step) (一浴一段法)One bath one step (one bath one step)

분산염료와 직접염료를 동시에 투입하여 polyester는 분산염료에 의한 carrier염색을 하고 cotton은 직접염색을 한다. 공정이 짧고 용수사용량 적으나 견뢰도 문제가 있으므로 담색에 제한적으로 적용한다.
Disperse dyes and direct dyes are injected at the same time. The polyester is dyed carrier by disperse dye and cotton is dyed directly. Since the process is short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is small, there is a problem of fastness.

예를 들어 겉감이 폴리에스터이고 생지가 나일론일 경우 산성염료로 염색시 폴리에스터가 염색되지 않아 two-tone효과를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uter fabric is polyester and the nylon fabric is nylon, the polyester may not be dyed with the acid dye, resulting in a two-tone effect.

분산염료로 염색시에도 염착량에서 나일론과 폴리에스터가 차이가 있어 이색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각 부분을 따로 염색함으로써 이색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Even when dyeing with disperse dyes, there is a difference in nylon and polyester in salt setting, and a dichroic effect can be obtained. Alternatively, a dichroic effect may be obtained by separately dyeing each part.

동일 섬유인 경우에도 미연신사, 반연신사, 연신사를 혼용하는 경우 그 각각의 염색성이 차이가 있어 two-tone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염색방법에 따라 동색염색 농담염색 이색염색 등으로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는 이중입체구조의 원단이 만들어진다.In the case of the same fiber, when the non-drawn yarn, the non-drawn yarn, and the drawn yarn are mix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yability of the two yar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dyeing method, the fabric of the double structure having various colors and patterns is made by the same color dyeing, the dyeing of the dyeing, and the dyeing of the different color.

하나의 이중지 원단을 가지고도 여러 가지의 염색방법이 있으며 전처리나 염색가공 공정에 있어서 동일한 소재, 같은 가공조건을 적용하여도 각 공장마다 나타나는 제품의 품질이 다르다.Even with one double fabric, there are various dyeing methods. Even if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processing conditions are applied in the pretreatment or dyeing process, the quality of each product is different.

아래와 같이 큰 틀에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 주로 많이 사용하는 원단으로서,The following 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large frame, mainly used as a fabric,

폴리에스터 면 분산염료/직접염료,반응성염료 Polyester cotton disperse dyes / direct dyes, reactive dyes

폴리에스터 울 분산염료/산성염료Polyester Wool Disperse Dyes / Acid Dyes

폴리에스터 트리아세테이트 분산염료Polyester triacetate disperse dye

폴리에스터 나일론 분산염료/산성염료,분산염료Polyester nylon dispersion dyes / acid dyes, disperse dyes

폴리에스터 CD 폴리에스터 분산염료/케치온Polyester CD Polyester disperse dye / ketone

나이론 면 산성염료 /직접염료
Nylon Acid Dyes / Direct Dyes

겉감이 polyester 진색이고 안감이 nylon 일 경우, 수축지는 같은 종류의 진색이나(동색염색) 연색(농담염색) 또는 다른 종류의 색상이 가능하다(이색염색). If the outer fabric is polyester and the lining is nylon, the shrinkage may be of the same type or color (same color) or different color (different color).

겉감이 Nylon이고 수축지는 Polyester 일 경우, 같은 종류의 진색이나(동색염색) 연색(농담염색) 또는 겉감의 색상이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겉감보다 밝은 색의 다른 종류의 색상(이색염색)이 가능하다.If the outer surface is nylon and shrinking polyester, it is possible to use another kind of color (dyed coloring) which is lighter than the outer color, such that the color of the same kind or the color of the same color (dyed color) or the color of the outer surface does not change.

이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은,In this case,

1. 직접염료/산성염료를 사용하는 1욕 1단계 염법1. One-bath, one-step salt using direct dye / acid dye

2. 직접염료/산성염료를 사용하는 1욕 2단계 염법2. One-bath, two-step salt with direct dye / acid dye

3. 반응염료/산성염료를 사용하는 2욕법3. 2-bath method using reactive dye / acid dye

4. 반응염료만으로 염색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4. Dyeing with reactive dyes only.

상기와 같이 소재의 구분에 따라 각 공장마다의 방법에 따라 염료를 선정하여 염가공을 진행하여도 염색성이 다른 이종의 원사나 가공방법이 다른 원단을 완전한 동일색상이 되도록 염색한다는 것은 불가능한데, 이는 소재별 염료가 다르고 염색된 상태하에서 빛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반사율의 차가 있기 때문이다.As mentioned above, it is impossible to dye the dyes so that the dy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each factory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materials,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flectance that differ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light under different dyes and dyed materials.

특히나 화원사에 있어서는 동종의 원사라 하더라도 로트(lot)로 인한 컬러(color) 차가 있고, 제직 조건에 따라 컬러 차가 있음으로 생산 투입전 샘플작업을 하여 진행할 원단조건이 맞는지 확인하여야 한다.Especially, in case of Hwawon Company, there is color difference due to lots even in the same kind of yarn, and there is a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eaving condition.

겉감과 생지의 소재가 동일할 때, 겉감과 다양한 무늬로 본딩을 한 후, 염가공을 실시하면, 수축지와 동색으로 염색이 된다. When the material of the table cloth and the raw material are the same, it is dyed in the same color as the shrinkage paper when the salt processing is performed after bonding with the outer surface and various patterns.

겉감과 생지의 소재가 동일하며, 겉감을 전처리 되었을 경우, 안감과 다양한 무늬로 본딩을 한 후, 염가공을 실시하면, 수축지와 동색으로 염색이 되며, 염색을 하지않고 나염을 진행하면, 무시와 수세과정에서 수축이 일어나 염색과 동일한 조건이 된다.When the outer material is the same as the material of the outer material, when the outer material is pretreated, it is bonded with the lining and various patterns, and when it is subjected to the salt processing, it is dyed with the same color as the contraction paper. And shrinkage occurs during the washing process, resulting in the same conditions as dyeing.

섬유에서의 염색공정은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고 필요한 물질을 첨가하여 주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The dyeing process in fibers is a process of removing unnecessary substances and adding necessary materials.

축률을 이용한 이중지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겉감은 이미 전처리나 염색 또는 나염가공 등이 되어 있는 겉감에, 생지를 본딩하여 염가공을 실행할 때, 겉감에 변색이나 손상이 가지 않는 범위에서 염가공과 같은 방법의 후처리가 필요하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ouble paper using the shrinkage, when the outer surface is subjected to pretreatment, dyeing, or kneading, the outer surface is subjected to salt processing by bonding the raw paper, Post treatment is required.

염색기의 종류로는 거의 모든 직물을 두루 처리할 수 있는 액류염색기가 무난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꺼염색기도 장력조절만 하면 가능하고, 전처리 조건하에서도 여러 가지 일반기기를 이용한 염색조건으로 가능하며 염료를 패딩하여 염색하는 서모졸(thermosol) 염색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물나염 방법에 의한 염색도 가능하고 B/O(Boil Off; 열로서 삶기만 한것), B/W(Bleached White; 표백)만의 가공으로도 이중지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Dyeing machine is a kind of dyestuff which can handle almost all kinds of dyes. In some cases, it can be done only by adjusting tension of dyed dyeing machine. Dyeing condition is possible by using various general equipments even under pretreatment condition. B / O (Boil Off), B / W (Bleached White), Bleached White (Bleached White), and the like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work with double paper even by machining.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는 이중입체구조의 원단은 수축된 수축지가 염색후 최종세팅할 때, 치수 형태를 안정시키기 위해 텐터 열고정을 실행하면, 장력과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여, 태, 품질, 규격 등이 일정하고 여러 가지 약품을 첨가하면 직물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면 건열에서의 수축보다 상품성이 좋게 된다.The fabric of double structure with various colors and patterns has the effect of tension and pressure even when the tenter heat fixation is performed to stabilize the dimensional form when the shrinkage shrinkage paper is finally set after dyeing. When this constant and various chemicals are added, uniform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results in better merchantability than shrinkage in dry heat.

건열에서 제조된 수축지는 색상이 없는 생지라서 표면 원단과 색상이 달라, 수축 후 일부는 겉감과 분리 제거하는 별도의 공정을 거치게 되나, 염색가공되어 수축된 수축지는 원하는 색상으로 되어있어 분리작업이 필요 없고, 안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정이 축소되고 생산비용이 절감된다.The shrinkage produced from dry heat does not have a hue, so the color differs from that of the surface fabric. After shrinkage, some of the shrinkage is processed through a separate process of separation and removal from the outer surface. And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lining,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또한, 염색공정에서 열수 또는 비수를 이용한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후가공은 일반적인 염색이후 텐터까지 일괄공정으로 쉽게 진행할 수가 있어 기존의 건열구조 제조방법에서 필요한 설비나 추가설비가 없이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in the dyeing process, post-processing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ouble wrinkle using hot water or non-water can easily proceed to a tenter in a batch process after general dye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work without the facilities and additional equipments required for a conventional dry heat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

Claims (14)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로 생지원단을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하는 바닥면형성단계;
열 고정되어 수축된 전처리 또는 가공지원단을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하는 사용면형성단계; 및
상기 원단을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열을 받지 않은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입체구조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A bottom surface forming step of using the raw support as a bottom surface (lining: or shrinking surface) in a raw state without receiving heat;
A use surface forming step in which a heat-set and contracted pre-treatment or machining aid is used as a surface (or face); And
After the fabric is bonded and kneaded, a bi-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volume feeling is formed due to the shrinkage rate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support which is not heat-treated while being subjected to a dyeing process through water A method of making a double wrinkle comprising a dual steric formation step.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수축률이 작은 생지원단이나 가공지를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하는 사용면형성단계;
상기 사용면으로 사용되는 생지원단이나 가공지의 수축률 보다 비등수 수축률이 3%이상의 차이로 수축률이 큰 생지원단을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하는 바닥면형성단계;
상기 원단을 본딩하여 합포한 후,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수축률이 크게 차이가 나는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차이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입체구조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A use surface forming step in which the shrinkage ratio of boiling water is less than 0 to 1% and the shrinkage ratio is low, or a support surface or a processed paper is used as a surface (face: face);
A bottom surface forming step of using as a bottom surface (lining: or shrinking surface) a raw material support having a shrinkage ratio of 3% or more and a boiling water shrinkage rate that is higher than a shrinkage rate of the raw support or used paper used as the use surface;
The double support structure having a volume feeling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that the support member performs in the dyeing process greatly differs in shrinkage rate through the water-mediated dyeing process after bonding the fabric by bonding, Forming a double-stitched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안감)의 수축사로 사용되는 원사는 염색가공시 수축이 되는 자연섬유나 일반 화섬사 또는 고축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원단의 형태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yarn used as a contraction yarn of the bottom surface (lining) is woven in the form of a fabric by selectively using any one of natural fibers, general synthetic yarns, and high-density yarns to be shrunk during dyeing proces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면(겉감)은 소재와 관계없이 염색공정이 가능한 원단으로서 자연섬유, 화섬지,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수축율이 작은 생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 surface (outer surface) is a fabric capable of dyeing process irrespective of a material, and is a natural fiber, a synthetic fiber, or a dyed fabric having a boiling water shrinkage ratio of less than 0 to 1%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rinkle pa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안감)의 조직으로, 직물은 위사나 경사의 본수를 조절하고, 서큘러 니트(Circular knit)와 같은 니트류는 선염사 또는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수축률이 작은 원사와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수출률이 작은 원사 보다 3%이상의 차이로 수축률이 큰 원사의 Feeder수를 조절하여 염색함으로써 염색시 원사의 수축률 차이에 의하여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itted fabric, such as a circular knit, has a shrinkage ratio of less than 0 to 1% and a shrinkage ratio of less than 0% The yarn having a shrinkage rate of less than 0 to 1% and having a shrinkage factor of 3% or more higher than that of a yarn having a low export rate, and the yarn is dyed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feeders, G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안감)의 제직시, 선염사 또는 이종의 원사를 섞어 무늬를 넣어서 제직함으로써 볼륨을 형성하면서도 체크(check)무늬 또는 줄(stripe)무늬의 수축지로 사용할 수 있고, 겉감과 안감의 수축률 차를 이용하여 염색 후 가공을 하게 되면 양면(double face)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ottom surface (lining) is woven, the yarn can be used as a shrinkage paper of a check pattern or a stripe pattern while a volume is formed by mixing yarn yarns or different types of yarn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ouble wrinkle pa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하는 방법으로는, 자수 또는 퀼팅 및 그라비아 접착 또는 초음파 융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ethod for bonding may be embossed by any one of embroidery, quilting, gravure bonding, and ultrasonic welding.
제 7 항에 있어서,
실을 이용한 합포를 할 때, 누비나 자수실의 색상은, 사용면(겉감)과 동일한 색상을 사용하거나, 생지원단과 같은 종류의 원사를 사용하여 염가공시 같이 염색이 되도록하거나, 바탕색과는 관계없이 이종의 선염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lor of the quilting and embroidery thread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used surface or the yarn of the same kind as that of the raw material support so that the yarn is dyed like a cheap yar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ifferent types of dye yarns is selectively us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아 접착은, 접착제 조합에 있어서 염색에 반응없이 접착만 가능하거나, 염색에 반응하여 접착부분이 겉감색 보다 더 진하게 하여 염색되어 주름무늬와는 별도로 접착된 부분이 진한무늬를 만들거나, 색상을 추가하여 접착부분 무늬를 차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gravure bonding may be performed only in a combination of adhesives without reaction to the dyeing, or in a case where the adhesive portion is denser than the outer color in response to the dyeing, and the portion bonded separately from the wrinkle pattern is made darker,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pattern is further differentiated to differentiate the adhesive portion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공정에서 염색탕 안에서의 장력과 염색온도 및 시간 그리고 승압, 감압의 조건으로 염색 조건을 맞추어 같은 생지원단이라 할지라도 사용면(겉감)과 바닥면(안감)을 같이 사용하거나, 가성소다에 수축이 되는 면 종류처럼 약품을 첨가하여 수축률을 이용함으로써 사용면(겉감)과 바닥면(안감)을 같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yeing process, the same tension and dyeing temperature and time in the dyeing bath as well as the dyeing conditions under the conditions of pressure increase and decompression can be used to use the same surface (outer) and bottom surface (lining) Wherein a shrinkage ratio is used by adding chemicals such as a shrinking cotton type so as to use the used surface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lining) toge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공정은 염색 중 염료를 패딩하여 염색하는 서모졸(thermosol)염색방법이나 물나염 방법에 B/O(Boil Off; 열로서 삶기만 한것), B/W(Bleached White; 표백)만의 가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ye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thermosol dyeing method in which a dye is padded and dyed during dyeing, or a B / O (Bleached White) or B / W (Bleached White) And a second wrinkled paper she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을 이용한 합포를 할 때, 염색가공시 장력이나 열수에 접합부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생산량이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 디자인의 선이 가늘고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클 때이거나 원단이 망사처럼 원단의 접착면이 적을 때는 퀼팅이나 자수기계와 같은 실을 이용한 박음질접착을 하고, 선이 넓고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적을 때나 원단의 밀도가 높아 접착력이 좋을 때는 그라비아 본딩이나 나염기 초음파융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production and cost in order to prevent the spliced portion from dropping in tension or hot water during dye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use a cloth which has a thin line of design and a large swelling portion, A double-folded wrinkled paper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itched with a thread such as a quilting or embroidery machine when it is small, and gravure bonding is performed when the line is wide and the swelling portion is small or the density of the fabric is high, Way.
열을 받지 않은 생지 상태로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되는 생지원단;
열 고정되어 수축된 원단으로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되는 전처리 또는 가공지원단; 및
상기 원단을 본딩하여 합포한 다음,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열을 받지 않은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A living support which is used as a floor (lining: or shrinking surface) in the form of an untreated raw material;
A pretreatment or processing aid which is used as a surface (face: face) as a heat-shrunk fabric; And
The raw support is bonded to the raw fabric, and then a water-mediated dyeing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a bi-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volume feeling due to the shrinkage of the raw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support, Lt; RTI ID = 0.0 > wrinkles.
비등수 수축률이 0 ~ 1%미만으로 사용면(겉감: 또는 face)으로 사용되는 수축률이 작은 생지원단이나 가공지;
상기 사용면으로 사용되는 생지원단이나 가공지의 수축률 보다 비등수 수축률이 3%이상의 차이로 높고 바닥면(안감: 또는 수축면)으로 사용되는 수축률이 큰 생지원단; 및
상기 원단을 본딩하여 합포한 다음, 물을 매개로 하는 염색공정을 거치면서 수축률이 크게 차이가 나는 상기 생지원단이 염색공정에서 받게 되는 열 이력에 의하여 생기는 원사의 수축률 때문에 볼륨감을 갖는 이중입체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주름지.
A shrinkage percentage of less than 0 to 1% in boiling water shrinkage and a shrinkage rate of less than 20%;
A support member having a high shrinkage percentage which is higher than the shrinkage rate of the raw support or the used paper used as the above-mentioned use surface by a difference of 3% or more and a bottom surface (lining: or shrinking surface); And
The double-layered structure having a volume feeling due to the shrinkage ratio of the yarn caus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raw material support which the shrinkage rate greatly differs through the dyeing process through the bonding of the raw fabric by bonding and then, Lt; RTI ID = 0.0 > wrinkles. ≪ / RTI >
KR1020130019081A 2013-02-22 2013-02-22 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 KR101445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81A KR101445079B1 (en) 2013-02-22 2013-02-22 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81A KR101445079B1 (en) 2013-02-22 2013-02-22 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42A KR20140105642A (en) 2014-09-02
KR101445079B1 true KR101445079B1 (en) 2014-10-02

Family

ID=5175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81A KR101445079B1 (en) 2013-02-22 2013-02-22 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07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626B1 (en) * 1984-03-12 1986-05-24 노귀영 Raising fabric
KR980009644A (en) * 1998-02-05 1998-04-30 신용교 Differential shrink patter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KR20060123315A (en) * 2003-12-26 2006-12-01 카네카 코포레이션 Step pile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20006229A (en) * 2010-07-12 2012-01-18 김용운 The formation of wrinkles in fabric dyeing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626B1 (en) * 1984-03-12 1986-05-24 노귀영 Raising fabric
KR980009644A (en) * 1998-02-05 1998-04-30 신용교 Differential shrink patter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KR20060123315A (en) * 2003-12-26 2006-12-01 카네카 코포레이션 Step pile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20006229A (en) * 2010-07-12 2012-01-18 김용운 The formation of wrinkles in fabric dyeing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42A (en) 201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adbent Basic principles of textile coloration
US4136221A (en) Suede-like raised woven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4695255B (en) PTT fiber fabric transfer printing method
KR10191469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Pile Knit Fabric with Improved Standing State of Pile
KR100974443B1 (en) Wrinkled double texti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388217A (en) Dacron jacquard fabric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Patra et al. Novel varieties of denim fabrics
US3885015A (en) Method of processing a heat-shrinkable sheet-like material
KR101445079B1 (en) Product Methods of Double Wrinked Textiles and Double Wrinked Textiles thereof
KR101076087B1 (en) Process Of Producing Photo Printing Fabrics Having Good Colorfastness And Touch
KR101421349B1 (en) Method to manufacture the woven fabrics for Hanbok to use and the woven fabrics for Hanbok is produced thereby
Matthews Encyclopaedic Dictionary of Textile Terms: Volume 2
KR101645968B1 (en) Preparation methods of fancy yarn and fabric using a patterned film
CN108790332A (en) A kind of water-drop-shaped mesh screen cloth and production method
KR100332193B1 (en) Hi pile warp knitting fabric for tricot warp machin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JP4002102B2 (en) High stretch dy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4327259A (en) Production of fabric having solid pattern
KR20110013955A (en) Process of producing polyester composite yarn using for jacquard fabrics having roof type pattern
KR20100130710A (en) Process of jacquard fabrics having roof-type pattern using for home interior
JPH08134754A (en) Production of double-piled warp-knit blanket
KR2011003077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uperfine yarn fabric with high dying fastness and high absorbent textiles thereby
KR101070754B1 (en) Plain weave fabric with using nep thread
KR101928245B1 (en) Poyester composite yarn having irregular melange effect and apparel materials using the same
Mia et al. Finishing effects on coloured knit fabrics through implementation of effective parameters
JP2008214849A (en) Woven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