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235B1 -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 - Google Patents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235B1
KR101444235B1 KR1020120077868A KR20120077868A KR101444235B1 KR 101444235 B1 KR101444235 B1 KR 101444235B1 KR 1020120077868 A KR1020120077868 A KR 1020120077868A KR 20120077868 A KR20120077868 A KR 20120077868A KR 101444235 B1 KR101444235 B1 KR 10144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tisol
frequency
crps
functio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1120A (en
Inventor
안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팜
Priority to KR102012007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235B1/en
Publication of KR2014001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2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ormones or other non-cytokine inter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such as growth factors, including receptors to hormones and growth factors
    • G01N33/743Steroid horm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42Pain, e.g. neuropathic pain, psychogenic pa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PS-1 질환의 진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울증을 동반하는 CRPS-1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성통증-우울증-부신내분비축의 기능 이상의 상호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타액으로부터 코티졸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iagnosis of CRPS-1 dise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using the correlation of function of chronic pain-depression-adrenal endocrine axi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CRPS-1 disease accompanying depression To a method of evaluating cortisol levels from saliva as an indicator of HPA axis function.

Description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CRPS―1 질환 진단 방법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A method for diagnosing CRPS-1 disease using correlation of pituitary contractile function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

본 발명은 CRPS-1 질환의 진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CRPS-1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발통-부신내분비축의 기능 이상의 상호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타액으로부터 코티졸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iagnosis of CRPS-1 diseas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CRPS-1 disease by using a correlation between functions of the spontaneously-adrenal endocrine axis, axis as an indicator of the function of the cortisol.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dms 만성 난치성 통증질환의 일종으로서 통증 세기 분류상 가장 극심한 만성통증으로 분류된다.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dms is a type of chronic refractory pain disorder classified as the most severe chronic pain classified by pain intensity classification.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의 정확한 진단과 경과 판단을 위한 유용한객관적 검사실 검사는 아직까지 없기에 진단을 위해 임상에서는 환자의 증상과 징후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과진단되거나 보상을 위해 악용되는 사례가 있고, 이를 막기 위해 기준을 강화시키거나 검사실 검사결과를 주로 신뢰한다면 치료 경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조기치료시기를 놓치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될 수 있다.Since there is no useful objective laboratory test for the accurate diagnosis and progression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he clinic depends entirely on the patient 's symptoms and signs for diagnosis. Therefore, there are cases that are diagnosed or abused for reimbursement. If you strengthen the standard to prevent it, or if you mainly trust the test results, it may affect the progress of the treatment. Can be deprived.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한 여러 진단 기준들이 제시되어 왔으며 현재는 임상적인 목적이나 연구 목적으로 주로 2004년에 제시된 국제통증연구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의 변형된 진단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좀 더 개선된 진단 기준 및 객관적 검사실 검사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Because of these problems, several diagnostic criteria have been suggested for accurate diagnosis. Currently, modified diagnostic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 are used for clinical and research purposes. . However, the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diagnostic criteria and objective laboratory tests is required.

CRPS는 극히 다양한 증상들의 스펙트럼이 존재한다. 즉, 모든 CRPS 환자들이 같은 증상들로부터고통을 받는 것은아니며,같은증상이 있더라도 그 정도는각각다르다.시간과,날짜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CRPS 환자들의 전반적인 상태에대해 단지 하나의 순간적인 상태만을 반영할 뿐인 객관적인 징후들보다도 환자가 진술하는 증상들이 더욱 환자 상태를 전반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다는 주장이 대체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CRPS 환자를 진단할 때 환자에 의해서 진술된 증상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소송이나 보상과 관련된 경우에서는 증상을 모방하거나 과도하게 호소하는 경우도 있을수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CRPS has a spectrum of extremely diverse symptoms. In other words, not all CRPS patients suffer from the same symptoms, and even if they have the same symptoms, they differ in magnitude. There is only one momentary state for the overall condition of CRPS patient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symptoms described by the patient are more likely to be evaluated overall than the objective signs that are reflected. Therefore, the symptoms described by the patien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of CRPS patients.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cases involving lawsuits and compensation, as they may mimic symptoms or appeal excessively.

특히, 군대에서 이러한 CRPS 환자들이 많은데, 이는 병사에게 병역면제라는 현실적인 이득이 존재하고 있고, 징집이라는 피동적 객체로서의 정신 신체적 불편함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성 통증 환자를 진료하는 현장에는 항상 정신과 진료가 연계되어 있고, 이는 우울증과 군내 자살이라는 문제 또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re are many such CRPS patients in the army because there is a real benefit of military service exemption to soldiers, and a combination of mental and physical discomfort as a passive object of conscription. Psychiatric treatment is always linked to the field of chronic pain patients because depression and suicide in the home are also related.

그러므로, 통증의학과 임상현장에서 쉽게 접근하고 해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예측 인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objective and scientific predictor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and interpreted in clinical medicine and clinical practice.

이에, 본 발명자들은 CRPS 및 부신내분비축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하되,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코티졸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자발통의 빈도를 진단 및 예측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CRPS-부신내분비축(HPA axis)의 기능 이상의 상호관계를 이용하는 새로운 CRPS 질환의 진단 방법을 고안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s lesion can be diagnosed and predicted by evaluating the cortisol level as an index of the HPA axis func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PS and the adrenal endocrine axis, We have devised a new diagnostic method for CRPS disease that exploits the interaction of the function of the endocrine axis (HPA axis).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and HPA axis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disease.

상기의 과제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타액으로부터 코티졸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Methods for assessing cortisol levels from saliva as an indicator of HPA axis function are provided to provide information needed to diagnose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disease.

특히, 상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질환은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에 영향을 받는 우울증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1형 또는 제2형을 가라지 않는다.
Particularly, the complex site pain syndrome disease includes depression which is affected by the HPA axis function and does not involve the first type or the second type.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코티졸 수준 평가는 1 내지 7일의 일부 또는 전 기간동안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한 코티졸의 농도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코티졸의 농도는 기상 직후, 기상 후 30분 및 기상 후 1시간별로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기상 후 30분에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한다.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tisol level evaluation is characterized by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measured from the saliva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gas phas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 a part or all of the period of 1 to 7 days, The cortisol concentration is preferably measured from the saliva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3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1 hour after the gas phase, and most preferably measured from the saliva collected 3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는 가장 대표적으로 자발통(spontaneous pain attack)의 빈도에 관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diagnosis of the complex site pain syndrome diseases which can be obtain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typical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ain attacks.

특히, 본 발명자들은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질환에 있어서 코티졸 수준과 자발통의 빈도는 반비례하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는 바,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Particular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r the first time established that the level of cortisol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vomiting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mplex site pain syndrome disease,

코티졸 수준이 낮은 경우는 CRPS-1 질환에서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감소 및 자발통 빈도의 증가로 판단하고, The lower cortisol level was judged to be due to a decrease in the function of the pituitary gland (HPA axis) and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alsy in CRPS-1 disease,

코티졸 수준이 높은 경우는 CRPS-1 질환에서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의 증가 및 자발통 빈도의 감소로 판단할 수 있다.
The higher cortisol levels can be attributed to increased pituitary contractile function and reduced frequency of spontaneous palsy in CRPS-1 disease.

이처럼, 본 발명은 일정 기간동안 코티졸의 기상 후 농도 변화를 기준으로 CRPS 질환에서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 및 자발통 빈도 평가가 가능하여,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 이상을 지표로 CRPS의 진단에 필요한 주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valuating the HPA axis function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ituitary palsy in the CRPS disease based on the change in post-gas phase concentration of cortisol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에 대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진통제 복용 중(On med), 복용 중지 후 72시간(Off-Med), 및 덱사메타손 복용 후 8시간째(off-med/Dex)의 코티졸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환자를 자발통횟수를 근거로 K-mean clustering mothod를 이용하여 두 집단 (자발통 횟수 0-4회/일, 5회이상/일)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에 대한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각 환자집단에 대한 CARauc(A), CARi(B) 및 slopeβ(C)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implified diagram illustrating the protocol for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ortisol profile of the pain medication (On med), 72 hours after off-dosing (Off-Med), and 8 hours after dosing with dexamethasone (off-med / Dex).
FIG. 3 shows the results of a daily cortisol profile for each group by dividing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0 to 4 times / day and 5 times / day for the number of spontaneous vasoconstriction) using a K-mean clustering mothod based on the number of spontaneous pain.
FIG. 4 is a graph showing differences in CARauc (A), CARi (B) and slope beta (C) for each patient group.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하와 같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진단"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진단은 급성 심근경색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급성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발병 여부에 유용하다."Diagnosis" means identifying the presence or characteristic of a pathological condition.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nosis is to confirm the onse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specially, it is useful for the occurrence of acute 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대상" 또는 "환자"는 인간, 소, 개, 기니아 피그, 토끼, 닭, 곤충 등을 포함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임의의 단일 개체를 의미한다. 또한, 임의의 질병 임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임상 연구 시험에 참여한 임의의 대상 또는 역학 연구에 참여한 대상 또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상이 대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였다."Subject" or "patient" means any single entity that requires treatment, including human, cow, dog, guinea pig, rabbit, chicken, In addition, any subject who participates in a clinical study test that does not show any disease clinical findings, or who participates in epidemiological studies or used as a control group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o humans.

"시료" 또는 "샘플"은 대상 또는 환자의 조직으로부터 얻은 유사한 세포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의 공급원은 신선한, 동결된 및/또는 보존된 장기 또는 조직 샘플 또는 생검 또는 흡인물로부터의 고형 조직; 혈액 또는 임의의 액형 조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액(saliva)을 사용한다."Sample" or "sample" refers to a collection of similar cells obtained from a subject or tissue of a patient. The source of the tissue or cell sample may be a solid tissue from fresh, frozen and / or preserved organ or tissue sample or biopsy or aspirate; Blood or any liquid type tissue. In the present invention, saliva is used.

"표지" 또는 "라벨"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시약, 예를 들어 핵산 프로브 또는 항체에 컨쥬게이팅 되거나 융합되고 컨쥬게이팅 되거나 융합된 시약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표지는 그 자체가 검출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또는 형광 표지), 효소 표지의 경우에, 검출가능한 기질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화학적 변형을 촉매 할 수 있다."Label" or "label " means a compound or composition that facilitates the detection of a reagent, such as a reagent conjugated, conjugated, conjugated, or fused to a nucleic acid probe or antibody. The label may itself be detected (e. G., A radioactive isotope label or a fluorescent label), in the case of an enzyme label, to catalyze the chemical modification of the detectable substrate compound or composition.

"유효량"은,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또는 생화학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적절한 양이다. 유효량은 한번 또는 그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저해제 화합물의 유효량은 질병 상태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완화, 개선, 안정화, 되돌림, 속도를 늦춤 또는 지연시키는데 적절한 양이다. 만약, 수혜동물이 조성물의 투여에 견딜 수 있거나, 조성물의 그 동물에의 투여가 적합한 경우라면,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함"을 나타낸다. 투여된 양이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량"으로 투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존재가 수혜 환자의 생리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변화를 초래한 경우라면 상기 제제는 생리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An "effective amount" is an appropriate amount that affects a beneficial or desired clinical or biochemical outcome. An effective amount may be administered one or more times.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ive amount of an inhibitor compound is an amount sufficient to temporarily alleviate, ameliorate, stabilize, reverse, slow down, or delay the progression of a disease state. If the recipient animal is capable of endur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r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to the animal is suitable, the composition will be "pharmaceutically or physiologically acceptable ". If the dose administered is physiologically significant, it can be said that the formulation is administer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formulation is physiologically relevant if the presence of the formulation results in a physiologically detectable change in the recipient.

"치료"는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는 비제한적으로, 증상의 완화, 질병 범위의 감소, 질병 상태의 안정화 (즉, 악화되지 않음), 질병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으로), 검출가능하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거나의 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생존율을 늘이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치료는 치료학적 치료 및 예방적 또는 예방조치 방법 모두를 가리킨다. 상기 치료들은 예방되는 장애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장애에 있어서 요구되는 치료를 포함한다. 질병을 "완화(Palliating)"하는 것은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질병상태의 범위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적 징후가 감소되거나 및/또는 진행의 시간적 추이(time course)가 늦춰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Treatment" means an approach to obtaining beneficial or desired clinical results.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neficial or desired clinical resul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lleviation of symptoms, reduction in the extent of disease, stabilization of the disease state (i. E., Not worsening), slowing or slowing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Either partially or totally), detectable or undetected, whether or not an improvement or temporary relief or reduction Also, "treatment" may mean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compared to the expected survival rate when not receiving treatment. Treatment refers to both therapeutic treatment and prophylactic or preventative measures. Such treatments include treatments required for disorders that have already occurred as well as disorders to be prevented. &Quot; Palliating " a disease may reduce the extent of the disease state and / or undesirable clinical symptoms and / or delay or slow the time course of the progression, It means to lose.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About" means that the reference quantity,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age, dimension, size, quantity, weight or length is 30, 25, 20, 25, 10, 9, 8, 7, ,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 dimension, size, quantity, weight, or length that varies from one to three, two, or one percent.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words " comprising "and" comprising ",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include the stated step or element, or group of steps or elements, but not to any other step or element, And that they are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CRPS-1 질환의 진단에 관한 정보제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iagnosis of CRPS-1 disease.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은 제1형과 제2형으로 나누어지며, 제2형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신경손상에 의해 발생한다는 점만 다를 뿐 진단, 치료 등이 모두 제1형과 같다.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is divided into Type 1 and Type 2, and Type 2 complex site pain syndrome is caused by nerve injury, Respectively.

환자들이 호소하는 가장 일반적인 통증은 타는 듯 하고(burning), 깊고(deep), 예리하고(sharp), 예민(sensitive)하다는 것이다.다른 만성통증 질환들처럼 기계적 자극, 대기 온도의 변화, 정서적인 스트레스 등에 의해 악화되기도 한다.이학적 검사로는 브러시, 압진, pin prick, 냉자극, 열자극 등으로 유발통 및 감각이상을 확인한다. 그리고, 통증이 있는 부위에 경미한 부종부터 명백한 오묵부종(pitting edema)까지 다양한 정도로 나타날 수 있다. 실제적인 부종이 없는 경우라도 부종감 또는 팽창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부종의 정도는 경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척수신경 자극기 등의 치료에 의해 호전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The most common types of pain that patients are exposed to are burning, deep, sharp, and sensitive. Like other chronic pain disorders, mechanical stimuli,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emotional stress The physical examination includes brushing, pushing, pin prick, cold stimulation, heat stimulation, etc., to confirm the trigeminal and sensory abnormalities. It can range from mild edema to painful pitting edema. It is not uncommon to have swelling or swelling even in the absence of actual edema. The degree of edema may vary with the progression and is often improved by treatment with a spinal cord stimulator.

CRPS은 통증으로 인한 신체기능의 장애를 유발하고 정상적인 일상생활 능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수면장애, 정서불안 우울증 등의 심인성 질환을 아울러 동반한다. 특히, 우울증은 CRPS 환자 중 절반이상에서 나타나며 CRPS만성통증의 치료경과 및 예후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만성통증 치료 후에도 우울증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우울증을 가진 환자는 사회활동 및 대인관계에서도 상당한 결함을 보이고 높은 빈도의 자살시도가 동반되기도 한다. CRPS causes disability of physical function caused by pain and reduces normal daily life ability as well as accompanying psychological diseases such as sleep disorder, emotional unrest, and depression. In particular, depression occurs in more than half of the CRPS patients and also negatively affects CRPS chronicity and after treatment. Depression is seen repeatedly after chronic pain treatment, and depressed patients show considerable deficiencies in societ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re accompanied by a high frequency of suicide attempts.

CRPS 환자들이 다른 만성 통증환자들처럼 우울증, 불안, 수면장애 등이 동반될 수 있고 장해율이나 보상을 높게 받기 위해, 또는 전역이나 보훈혜택을 노리고 증상을 과다 표현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신경정신과적 검사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Neuropsychiatric tests are often used in patients with CRPS because they can be accompanied by depression, anxiety, sleep disturbances, and other disabilities as well as other chronic pain patients, .

그러므로, CRPS의 진단에 임상적 증상이나 징후가 절대적이지만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보조적인 검사들도 시행되어야 한다. 진단에 보조적인 검사로 단순 방사선 검사, 삼상 골스캔, 체열촬영, QSART 등이 있다. 하지만 CRPS환자들에서 진단에 보조적인 검사들 각각 이의미 있게 나타나는 경우가 50%정도 이므로, 진단에 참고하는 수준으로 생각해야 하고 치료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것이나 예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도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진단할 수 있는 단일 검사는 없으며,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 및 징후들을 조사하고, 임상검사 및 기타 정밀검사를 종합하여 진단한다
Therefore, clinical symptoms or signs are crucial for the diagnosis of CRPS, but additional tests should be conducted to objectively demonstrate this. As a secondary diagnostic test, there are simple radiological examinations, three - phase bone scan, thermography, and QSART. However, in 50% of the patients with CRPS, only 50% of the patients are diagnosed with secondary diagnosis. Therefore, they should be regarded as reference level for diagnosis, and it is not always accurate to judge the appropriateness of treatment or to predict the prognosis . In other words, there are no single tests that can be diagnosed, and the symptoms and signs that appear to the patient are examined, and clinical examination and other detailed tests are integrated and diagnosed

본 발명은 이러한 CRPS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CRPS-부신내분비축(HPA axis)의 기능 이상의 상호관계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method of exploiting the correlation of the function of the CRPS-adrenal endocrine axis (HPA axis) in order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effective information in the diagnosis of such CRPS disease.

특히, 자발통의 빈도와 부신내분비축(HPA axis)의 기능 이상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기초로 CRPS 질환을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종래의 복잡하고 복합적인 진단 방법과 비교하여, 타액으로부터 코티졸의 수준 및 일중 변화를 측정하는 용이한 방법을 이용하는 바,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나아가 효과적으로 CRPS-1 질환을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provides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of CRPS disease based on the new fi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spontaneous pain and dysfunction of adrenal endocrine axis (HPA axis). In addition, by using an easy method for measuring the level and the change in the cortisol level from the saliva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omplicated and complex diagnosis method, it is possible to more simply and conveniently us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CRPS-1 disease .

CRPS-부신내분비축(HAP axis)의 기능 이상의 상호관계CRPS-interrelationship of functional abnormalities of adrenal endocrine axis (HAP axis)

(1) HPA axis와 CRPS의 관계(1) Relationship between HPA axis and CRPS

CRPS 환자는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되며 이러한 극심한 통증은 환자에게 견딜 수 없는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극심한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를 통하여 뇌의 뇌변연계(limbic system)에 전달되어지며 이는 내분비계의 중심축이랄 수 있는 HPA(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에 작용하게 되며, 결국 HAP axis의 호르몬 생성, 부비 일주기리듬 및 호르몬 생성 균형에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통증은 통각수용체에 의해서 인지되어지며 전기, 화학적 신호 형태로 바뀐 후, 척수신셩을 통하여 대뇌에 전달되어지며 대뇌변연계를 거쳐 부신내분비축(HAP axis)의 활성화로 인하여 부신에서 흔히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티졸의 분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통증은 LC/NE(locus ceruleus-norepinephrine)-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키며 최종적으로 에피네프린 농도 및 염증인자[IL-6, CRP(C-reactive protein), IL-1-beta, TNF-alpha]의 농도상승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속적인 통증과 염증인자는 HAP axis의 되먹임에 의한 호르몬 농도 조절을 방해함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코티졸 농도를 유지되어지며, 높은 코티졸 농도는 기억력 및 정서안정을 주관하며 아울러 부신내분비축의 지나친 활성화를 억제하는 뇌조직, 해마 및 편도체의 기능을 저해한다.Patients with CRPS complain of severe pain, and these extreme pain can result in unbearable physical and mental stress on the patient. Theoretically, these extreme stresses are transmitted to the brain's limbic system through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hich acts on the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 (HPA),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he endocrine system, And changes in hormone production, bovine circadian rhythm and hormone production. Pain is recognized by pain receptors, converted into electrical and chemical signals, transmitted to the cerebrum through chuck receptors, activated through the cerebral limbic system and activated by the adrenal endocrine axis (HAP axis) The secretion of cortisol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pain activates the LC / NE locus ceruleus-norepinephrine-autonomic nervous system and ultimately the concentration of epinephrine and the concentration of IL-6, C-reactive protein, IL-1-beta and TNF-alpha It is known to induce a rise. Continuous pain and inflammation factors maintain a high cortisol level by interfering with hormonal control by the feedback of the HAP axis. High cortisol levels are responsible for memory and emotional stability, as well as brain tissue that inhibits excessive activa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axis , Hippocampus and amygdala.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CRPS 및 부신내분비축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하되,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코티졸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CRPS and the adrenal endocrine axis, and is characterized by evaluating the cortisol level as an index of the HPA axis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CRPS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타액으로부터 코티졸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relates to a method for assessing cortisol levels from saliva as an indicator of HPA axis function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CRPS disease.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 "코티졸(cortisol)"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The "cortisol", known as the stress hormone, is a steroid hormone secreted by the adrenal cortex.

부신의 하루주기 리듬은 뇌신경, 시상하부(hypothalamus), 뇌하수체 (pituitary)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개인의 수면주기에 의하여 결정되어진다. 정상적으로 밤에 수면을 취한 후, 아침에 일어나면 뇌신경에서는 기상(wake up)을 인지하며, 이 신호는 시상하부의 시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us, SCN)에 도달하게 되고 시교차상핵에서는 생체시계 유전자(bioclock gene)가 활성화 되며, 이 신호는 다시 뇌실옆핵(paraventricular nucleus PVN)에 전달된다. 뇌실옆핵에서는 이 자극에 반응하여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을 생성, 분비하게 된다. 뇌하수체에서 생성, 분비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농도는 기상 후 15분에 정점(peak)에 이른다. 혈액에 분비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은 부신에 작용하여 부신피질의 코티졸의 생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Adrenal rhythm is known to be regulated by cranial nerves, hypothalamus, and pituitary, and is fundamentally determined by the individual's sleep cycle. After sleeping normally at night, it wakes up in the morning when it wakes up in the morning. This signal reaches the suprachiasmatic nucleus (SCN) of the hypothalamus, and bioclock gene is activated, and thi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araventricular nucleus PVN. In the nucleus of the ventricle, the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is produced and secreted in response to this stimulus. The concentration of adrenocorticotropic hormone produced and secreted by the pituitary gland reaches its peak at 15 minutes after the meteoric rise. Adrenocorticotropic hormone secreted into the blood acts on the adrenal glan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corticosteroid cortisol.

따라서, 최정상 코티졸 농도는 기상 후 30분정도에 나타나며 이때 의 코티졸 농도가 하루 중 가장 높다. 이와 같이 아침에 잠에서 깨어난 후 30분 정도에 코티졸 농도가 정상에 이르는 현상을 기상에 따른 코티졸 반응(cortisol awakening response 이하 CAR)이라 한다. CAR은 일반적인 수면 환경, 빛, 수면시간 동안 깨는 현상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건강상태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refore, the peak cortisol concentration is about 3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the cortisol concentration at that time is the highest in the day. The cortisol response (cortisol awakening response below CAR) is the phenomenon that cortisol reaches its normal level in about 30 minutes after waking up in the morning. It is known that CAR is not affected by general sleeping environment, light, sleeping time, and health condition.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코티졸의 수준을 평가, 구체적으로는 기상에 따른 코티졸 반응(CAR) 및; 코티졸 일중 리듬, 바람직하게는 일중 코티졸 감소(diurnal cortisol decline) 리듬을 평가함으로써 부신내분비축(HPA axis)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고, 나아가 CRPS의 자발통 빈도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of this cortisol is evaluated, specifically, cortisol reaction (CAR) according to the gas phase; Evaluating the function of the adrenal endocrine axis (HPA axis) by evaluating the cortisol intracavitary rhythm, preferably the diurnal cortisol decline rhythm, and further evaluating the frequency of the vital pain of the CRPS.

코티졸 일주기리듬 평가는 코티졸 일중 리듬(diurnal rhythm)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지표임과 동시에 부신내분비축 기능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지표로, 상기 지표는 기상직후의 타액내 코티졸 농도인 기상지표; 기상에 따른 코티졸 반응기의 타액내 코티졸 농도인 CAR지표; 취침직전의 타액내 코티졸 농도인 취침지표 등을 포함한다.
The cortisol circadian rhythm evaluation is an indicator for determining whether cortisol diurnal rhythm is normal or not, and at the same time, it is an indicat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ndocrine endocrine function is normal. CAR index,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the saliva of the cortisol reactor depending on the vapor phase; Sleep index,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saliva immediately before bedtime,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서 측정하는 코티졸은 "타액" 내 존재하는 것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cortisol measur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sent in "saliva".

그 동안 호르몬의 농도는 혈액에서 주로 측정하였다. 내분비학 관점에서 보면 혈액은 호르몬의 표적기관이 아니라 단순한 호르몬의 이동매체이다. 대부분의 혈중 단백질계열 호르몬 (성장호르몬, 인슐린 등)은 물에 잘 용해되며 혈중에서는 활성화된 형태로 존재하지만 부신피질, 성선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는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다른 매체 (운반단백질)와 결합하여 혈중에 존재한다. 스테로이드가 운반매체와 결합되어 있을 때는 표적기관의 호르몬 수용체에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활성 상태'라 하며 생리적인 기작을 유도할 수 없다. 혈중 스테로이드 대부분(95-99%)은 이러한 불활성 상태로 존재하며 극히 일부 (1-4%)만 운반매체와 결합되어있지 않은 상태(활성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중 스테로이드의 농도는 활성 상태의 호르몬의 농도라기보다는 대부분 불활성 상태의 농도라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was measured mainly in the blood. From an endocrinology standpoint, blood is not the target organ of the hormone but a mere hormonal transport medium. Most blood protein-based hormones (growth hormones, insulin, etc.) are well soluble in water and are present in an active form in the blood, but steroids produced in the adrenal cortex and gonads are not well soluble in water, And is present in the blood. When steroids are combined with the carrier medium, they are inactive and can not induce a physiological mechanism because they do not act on the hormone receptor of the target organ. Most of the steroids in the blood (95-99%) are present in this inactive state, and only a few (1-4%) are known to be in an unbound state (active state) with the carrier medium.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steroid in the blood can be said to be the most inactive state rather than the active hormone concentration.

이에 반하여,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는 혈액과 달리 모두 운반매체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활성 상태이며 조직외액(extracelluar fluid)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상태의 스테로이드가 단순 확산방식(passive diffusion)에 의해 타액샘으로 이동한 것 이다. 따라서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농도는 조직 안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상태의 스테로이드로 인식되고 있다.In contrast, the steroids contained in saliva are in an active state that is not bound to the carrier medium, unlike blood, and active steroids contained in the extracellular fluid of the saliva are activated by passive diffusion, .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steroid in saliva is recognized as the active steroid in the tissue.

또한, 타액은 혈액과 달리 의료진의 도움 없이도 개인의 수면주기에 맞추어 일반인이 쉽게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호르몬 하루주기 리듬에 대한 연구를 쉽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타액을 이용할 경우 혈액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활성상태의 스테로이드의 농도와 개인의 호르몬 하루주기 리듬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unlike blood, saliva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study the daily rhythm of the hormone of the individual because it can be easily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in accordance with the sleep cycle of the individual without the help of the medical staff. In other words, the use of saliva has the advantage of easy access to the concentration of active steroids, which was difficult to access to blood, and to the individual's daily rhythm of hormones.

본 발명은 타액 내 존재하는 코티졸의 농도를 측정하는 바, 상기와 같은 장점을 효과로 발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present in the saliva, and the above advantages can be effectively exhibited.

다만,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농도는 혈액의 1/100-1/1000 정도로 매우 낮은 문제점이 다소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소량의 코티졸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타액 정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centration of steroid contained in the saliva is as low as 1 / 100-1 / 1000 of the blood, it is preferable to use a saliva purification method such as the following method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mall amount of cortisol contained in the saliva Can be used.

(a) 채취한 타액에 pH 12~14의 강염기를 처리하는 단계;(a) treating the collected saliva with a strong base of pH 12-14;

(b) 가열 후 냉각시키는 단계; 및(b) heating and cooling; And

(c) 중화 단계; 및(c) a neutralization step; And

(d) 점액당단백질(뮤코당) 제거단계.(d) Mucoadhesive protein (mucosal) removal step.

이 때, 상기 (b)단계 이후, 원심분리에 의해 타액으로부터 pH 및 열에 의하여 변성된 소화효소 및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d)단계 후, 완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한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한국특허 공개공보 10-2012-0066598호를 참조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ep of removing the digestive enzymes and bacteria denatured by the pH and heat from the saliva by centrifugation after the step (b), and the step (d) Is further preferably performed. For a more detailed method, refer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6598.

코티졸 수준 측정Cortisol level measurement

본 발명에서 상기 코티졸 농도 측정은 기상 후, 바람직하게는 기상 후 1시간 이내의 타액으로부터 측정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상 직후, 기상 후 30분, 기상 후 1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tisol concentration is measured from saliva after the gas phase, preferably within 1 hour after the gas phase. More preferably, it can be carried out immediately after the gas phase, 30 minutes after the gas phase, and 1 hour after the gas phase.

일정기간 동안, 제한은 없으나 1 내지 7일의 일부 또는 전 기간에 동안,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기상 후 최초 1시간 동안 나타나는 타액 코티졸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다.During a period of time, the concentration change of salivothiazol, which occur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during the first hour after the meteorological phase, is measured for some or all of the periods of 1 to 7 days, without limita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6일 동안의 코티졸 농도를 측정하되, 항우울제 복용 유무와 관련하여 1일(on-med), 5일(off-med), 6일(om-med)째날, 기상 직후, 기상 후 30분, 기상 후 1시간 간격으로 타액 샘플을 수집하여 타액 중의 코티졸의 농도(수준)를 측정하였다.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tisol concentration for 6 days is measured, and on-med, 5-off-med, 6-day (om-med)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level) in the saliva was measured by collecting saliva samples immediately after the meteorological phase, 30 minutes after the meteorological phenomenon and 1 hour after the meteorological day.

코티졸 농도 측정에서 정확도를 가장 잘 수득하는 것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다. 샘플은 다음에 시험 시설로 보낼 수도 있고, 결과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래의 장소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팸파일럿(Palm Pilot)으로 공급할 수 있다. 타액 샘플은 특정한 방식으로 취급할 필요가 없고 실온에서 장기간 안정하므로, 기상 후 1시간 이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코티졸 수준을 도표로 만들고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 It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best obtain the accuracy in cortisol concentration determinations. The sample may then be sent to the test facility, and the results may be obtained, for example, via the Internet. In addition, measurements can be made at the original location and supplied as a Palm Pilot. Saliva samples do not have to be handled in any particular way and are stable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ere is a way to plot and place cortisol levels over time within 1 hour after meteorological.

또한, 객관적 측정치를 개인에게 제공하므로, 시험을 관리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할 필요 없이, 개인이 코티졸 농도변화에 따른 판단이 가능하게 한다.
It also provides objective measures to individuals, allowing individuals to make decisions based on changes in cortisol concentrations without having to consult a health care professional who manages the test and interprets the results.

본 발명에서 코티졸 농도 측정은 당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면역 측정법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thods available in the art can be used to measure the cortisol concentration. That is, although there is no limitation, preferably, a radioimmunoassay method can be used.

예를 들어, 효소를 표지자로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EIA), luminol이나 그 유도체 또는 aminobutyl-ethylisoluminol(ABEI)로 감도를 증가시킨 화학섬광면역측정법(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IA), 또는 형광물질표지자(fluorescent label)를 이용한 형광면역측정법(fluorescence immunoassay; FI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방사면역측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For example, enzyme immunoassay (EIA) using enzymes as markers,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IA) with increased sensitivity to luminol or its derivatives or aminobutyl-ethylisoluminol (ABEI), or fluorescent label Fluorescence immunoassay (FIA) using fluorescence immunoassay (FIA) may be use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radioimmunoassay.

방사면역측정법은 높은 감도(sensitivity)와 정밀도(precision), 정확도(accuracy)를 나타내며, 반응 후의 분명하고 명백한 검출을 가능케 해주는 등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는 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면역 측정법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액상-이중 항체(liquid-phased-double antibody)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측정과정은 액상-이중항체 방법을 이용한 호르몬 측정에 관한 논문(Salivary cortisol and DHEA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age-related differences, diurnal,and correlations with serum levels. Yonsei Med J. 2007;48:379-88)을 참조할 수 있다. The radioimmunoassay has many advantages such as high sensitivity, precision, and accuracy and allows clear and clear detection after the reaction. Most preferably, the radioimmunoassay can be used For this, a liquid-phased-double antibody method can be used. More detailed measurement procedures are described in the literature on the measurement of hormones using the liquid-double antibody method (Salivary cortisol and DHEA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age-related differences, diurnal, and correlations with serum levels. Yonsei Med J. 2007; 48: 379 -88). ≪ / RTI >

대부분의 호르몬 분석은 주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면역 측정법을 이용하는데, 다양한 이물질이 항원-항체 반응과정에 교란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실제 호르몬 수치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의 방사면역측정법은 보다 정확한 농도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Most of the hormone analyzes mainly use immunoassay using an antigen-antibody reaction. Sinc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ct as a factor of disturbance in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process and often show different results from actual hormone levels, Immunoassays allow more accurate concentration measurements.

판단judgment

상기와 같은 일 구체예로서 측정한 코티졸 데이터들로부터 CRPS 질환 관련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CRPS disease-relat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cortisol data measured.

특히, 본 발명자들은 자발통 빈도가 CRPS-1 환자에서 전체 코티졸 수준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즉,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의 기능의 지표인 코티졸 수준과 통증의 빈도는 반비례함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r the first time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vaulting is correlated with a reduction in total cortisol levels in CRPS-1 patients. In other words,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cortisol level, an index of function of the HPA axis,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pain.

그러므로 CRPS 질환에 있어서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 이상은 자발통의 빈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방법에서, Therefore, based on the above finding that the abnormality of the pituitary gland contraction (HPA axis) in CRPS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vomiting,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코티졸 수준이 낮은 경우는 CRPS-1 질환에서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감소 및 자발통 빈도의 증가로 판단하고, 코티졸 수준이 높은 경우는 CRPS-1 질환에서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의 증가 및 자발통 빈도의 감소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판단 기준은 이하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lower cortisol level was judged to be due to decreased HPA axis function and increased frequency of spontaneous palsy in CRPS-1 disease. The higher cortisol level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pituitary contractile function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neumothorax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 criteria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바람직하게는, 기상 후 30분(AC30min)의 코티졸 농도 변화를 이용하여 자발통의 빈도를 판단한다.
Preferably,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s vocal cords is determined using a cortisol concentration change of 30 minutes (AC 30 min) after the gas phase.

이처럼, 본 발명은 일정 기간동안 코티졸의 기상 후 농도 변화를 기준으로 CRPS 질환에서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 및 자발통 빈도 평가가 가능하여,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 이상에 따른 통증, 우울증 등을 포함하는 CRPS의 진단에 필요한 주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valuating the HPA axis function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ituitary palsy in the CRPS disease based on changes in post-gas phase concentration of cortisol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provide the key information needed for the diagnosis of CRP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험 준비Preparation for experiment

1. 환자들1. Patients

국군병원(Armed Forces Capital Hospital ,AFCH)의 마취통증의학교실의 허가를 받아 CRPS-1(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1형)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등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당업계에서 이용되고 있는 CRPS-1에 대한 현재 진단 기준을 충족하였다[Huygen FJ et al., Eur J Appl Physiol 2004;91:516-24.]. 고혈압, 당뇨 또는 다른 전신성 장애는 보이지 않았다.현재 중재성 치료법(예를 들어, 교감신경 차단술)을 받고 있거나 또는 30일 이내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 또는 전신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를 받은 경우의 환자 (n = 12)는 제외시켰다. Patients diagnosed with CRPS-1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were admitted with permission from the Armed Forces Capital Hospital (AFCH) anesthesiology department. All patients met the current diagnostic criteria for CRPS-1 being used in the art [Huygen FJ et al., Eur J Appl Physiol 2004; 91: 516-24.]. Patients (n = 12) who are currently undergoing interventional therapy (eg, sympathetic blockade) or who have received glucocorticoid therapy or systemic glucocorticoid therapy within 30 days have not shown any signs of hypertension, diabetes or other systemic disorders I excluded.

CRPS-1 환자들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공정에 대한 지시사항을 따랐다. 총 22명의 환자(평균 연령 21.9 ± 2.6 살)들은 80시간 약물 치료를 받고 본 발명의 공정에 참여하였다. 상기 22명으로부터 수득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환자들의 동의를 얻고 헬싱키 선언에 따라 수행되었고 프로토콜은 국군병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CRPS-1 patients followed the instructions for the inventive process shown in FIG. A total of 22 patients (mean age 21.9 ± 2.6 yea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80 hours of medicati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above 22 patients were analyzed.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Helsinki Declaration, with the consent of the patients, and the protocol was approved by the Clinical Study Deliberation Committee of the Military Hospital.

2. 질환 중증도(2. Severity of disease ( diseasedisease severityseverity )의 정량분석)

VAS(visual analog scale)와 같은 몇몇 CRPS-1 관련 측정에 있어서는, 22명의 환자에서 온도 차이 및 1일 자발통(spontaneous burning pain) 발발 횟수(즉, 자발통 빈도)를 첫날 확인 받았다. 그들의 VAS 점수, 예를 들어, 10-cm 표지없는 VAS (0, 통증없음; 10, 참을 수 없는 통증) 상에서 심부통증(즉, 최소 통증 레벨) 및 자극-독립적인(stimulus-independent) 자발통(즉, 최대 통증 레벨) 점수를 매겼다. 연일(실험 전날과 실험첫날) 환자들의 VAS 점수를 기록하고 평균 VAS 점수를 표 1에 요약하여 기재하였다
In some CRPS-1-related measurements, such as the VAS (visual analog scale),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number of spontaneous burning pain outbreaks (ie, spontaneous vestibular frequency) in 22 patients were confirmed on the first day. (Ie, minimal pain level) and stimulus-independent spontaneous vocalizations (ie, pain) on their VAS score, eg, a 10-cm unlabeled VAS (0, no pain; , Maximum pain level). The VAS scores of the patients were recorded each day (the day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and the average VAS scores were summarized in Table 1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1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1

환자들은 자신의 통증을 심부통증에서부터 자발통 구별이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그러므로, 약복용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러한 VAS 점수는 결정하기 어려웠다. Patients complained of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their pain from deep pain and spontaneous vomiting.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is VAS score without taking medication.

손발을 포함하는 기초 피부 온도(basal skin temperature) 및 손발을 포함하지 않은 영역에 상응하는 기초피부 온도을 실험 전일에 측정하였다.The basal skin temperature including limbs and the basal skin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area not including limbs were measured on the day before the experiment.

각 환자는 상온에서(25℃) computer-assisted infrared thermograph (Model IRIS 5000, Medicore Co., Seoul,Korea)로 기초 피부 체온을 측정하기 전에 적어도 20분 동안 대기실(25℃)에서 머물렀다. 온도 측정을 기록하기 전에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내부의 눈금을 이용하여 카메라에 눈금을 매겼다. Each patient stayed in the waiting room (25 ° C) for at least 20 minutes before measuring the basal skin temperature with a computer-assisted infrared thermograph (Model IRIS 5000, Medicore Co., Seoul, Korea) at room temperature (25 ° C). Before record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the camera was calibrated using the scale inside the software system.

온도계의 온도 민감도는 0.08~30℃였고 빌트인 디지털 비디오는 320·240 픽셀(총 76,800 픽셀)이었다. 비디오온도기록계 기록으로부터 각 손발의 평균 온도를 계산하였다. 손발을 포함하는 평균 온도로부터 이를 포함하지 않은 평균 온도를 빼어 절대 차이를 결정하였다.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the thermometer was 0.08 ~ 30 ℃ and the built-in digital video was 320 · 240 pixels (total 76,800 pixels). The average temperature of each limb was calculated from the video temperature recorder record. The absolute difference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mean temperature from the mean temperature including limbs.

건강 상태,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아 CAR을 기록하였다. 심리적인 느낌 및 스트레스성 사건 역시 뒷날 코티졸 수준 및 CAR에 관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에게 타액(침) 샘플 수집 전날에 자발통의 빈도를 기록하게 하였다. 최초 부위로부터 퍼진 CRPS-1 타입은 이전 연구 방법에 따라 결정되었다[Maleki J, et al., Pain 2000;88:259-66].Health status, stress, and other factors. Because psychological feelings and stressful events may also be related to late-on cortisol levels and CAR, patients were instructed to recor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vomiting on the day prior to saliva sample collection. The type of CRPS-1 spread from the initial sit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method [Maleki J, et al., Pain 2000; 88: 259-66].

통증-관련 측정은 상기 표 1에 요약하였고, 1차 타액 수집 때 환자에게의 약 복용은 아래에 기재한 바와 같다.Pain-related measurements are summarized in Table 1 above, and drug dosing to the patient at primary saliva collection is as described below.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2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2

3. 타액 수집(3. saliva collection SalivaSaliva collectioncollection ))

CRPS-1 환자 22명 각각으로부터 타액 샘플의 3가지 다른 세트를 연속하여 수집하였다(도 1).Three different sets of saliva samples were successively collected from each of the 22 CRPS-I patients (Fig. 1).

1세트 샘플을 약물 치료 중 상태 동안 수집하였고(on-Med, 단계 1), 약물 복용을 중단 후 72시간때 2번째 배치를 수집하였다(off-Med, 단계 2). 단계 2의 밤시간대의 타액 샘플 수집 후, 2230시간때 환자들에게 1mg 덱사메타손을 복용시켰다. 3번째 세트의 타액 샘플을 다음날 아침에 수집하였다(off-Med /Dex, 단계 3)One set of samples was collected during on-medication (on-Med, step 1) and the second batch was collected 72 hours after discontinuation of the drug (off-Med, step 2). Patients were dosed with 1 mg dexamethasone at 2230 hours after saliva sample collection at night time in step 2. A third set of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the following morning (off-Med / Dex, step 3)

제1 단계 및 2단계에서, 타액 샘플들을 일어나는 즉시 수집하였고(0 min), 기상 후 30 및 60분 후, 그리고 4, 10 및 16 시간 후(즉, 10:00, 16:00 및 22:00 h) 수집하였다. 3단계에서, 타액들을 기상 후 0, 30 60 분에 수집하였다.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immediately (0 min), 30 and 60 minutes after the wake, and 4, 10 and 16 hours after the wake (i.e. 10:00, 16:00 and 22:00 h). In step 3, saliva was collected at 0, 30 and 60 min after the meteorological phase.

AFCH에서 연령-매칭된 의료 보조원들을 건강한 대조군으로 등록하고 (n = 28, age = 21.3 ± 1.8 years), 배제 기준(exclusion criteria)을 이전 연구로부터 수용하였다. Age-matched medical assistants at AFCH were enrolled as healthy controls (n = 28, age = 21.3 ± 1.8 years) and exclusion criteria were accepted from previous studies.

건강한 대상들에게 지시대로 타액 샘플을 수집하고, 참여자들 모두에게 타액 수집 전 30분 이내에 흡연, 어떠한 수분 섭취, 양치를 못하게 하였다. 군 막사의 다른 거주자들과 동일하게, 환자 및 정상인 대조군들에게 06:00에 일어나도록 하였다.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as instructed by healthy subjects and all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smoke, drink no water, or brush their teeth within 30 minutes prior to saliva collection. As with the other residents of the military barracks,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were allowed to wake up at 06:00.

1,2,3단계에서 제1 타액 샘플들을 기상 후 5분 내에 수집하였고, 밤 시간의 타액 샘플은 일석 점호(22:00h) 후 5분 이내에 수집하였다The first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within 5 minutes after the meteorological phase in stages 1, 2 and 3, and the saliva samples at night were collected within 5 minutes after the one-month mark (22: 00h)

데브리스 제거 후, 수집된 샘플들을 -70℃에 저장하고, 뮤신(mucin)을 추출하기 위해 샘플들을 녹여서 원심분리하였다(10,000 x g for 15 min at 4℃). 상청액을 수집하고 -70℃에 저장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After debridisation, the collected samples were stored at -70 ° C and the samples were dissolved and centrifuged (10,000 xg for 15 min at 4 ° C) to extract mucin.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stored at -70 [deg.] C for analysis.

4. 타액 코티졸 측정4. Measurement of saliva cortisol

타액 내 코티졸 농도는 방사면역검정법(radioimmunoassay, RIA)에 의해 측정하였다. Cortisol concentrations in saliva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RIA).

2.8 ~ 13.4 nmol/L의 코티졸 농도의 품질 관리를 평가하는 inter-assay의 변이 계수(CVs, coefficients of variation)는 각각 8.5% 및 10.2%였다(n = 21). 동일한 경우에 대한 inter-assay의 변이 계수(CVs)는 10% 미만이었다(n = 15). 코티졸에 대한 분석 민감도는 0.3 nmol/L 였다.
The inter-assay coefficients of variation (CVs) were 8.5% and 10.2%, respectively, to assess quality control of cortisol concentrations from 2.8 to 13.4 nmol / L (n = 21).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s) of the inter-assay for the same case was less than 10% (n = 15). The analytical sensitivity for cortisol was 0.3 nmol / L.

5. 데이터 분석5. Data Analysis

전형적인 CAR은 정해진 시간에 각 타액 샘플을 수집한 대상들에서 각 개인들의 기준상 최소 2.5 nmol/L에서 기상 후 코티졸 수준의 증가로 정의한다. 이 값은 본 실험에서 정상적 코티졸 반응에 대한 지수로서 사용되었다. A typical CAR is defined as an increase in cortisol level after at least 2.5 nmol / L on a baseline for individuals on each saliva sample collected at a given time. This value was used as an index for the normal cortisol reaction in this experiment.

CAR의 추가적 분석을 위해, 기상 후 30분 내 코티졸 수준의 순(net) 증가를 계산하였다(CARi). 기상 후 처음 60분에 전체 코티졸 분비 역시, 윈도우용 GraphPad Prism version 5.01 (GraphPad Software Inc.,Sandi ago, CA, USA)을 이용하여 기상 후 즉시로부터 60분까지 시간 간격에 따른 코티졸 곡선 하 영역으로 계산하였다(CARauc). 일중 코티졸 분비는 기상 직후부터 밤시간까지의 간격에 따른 코티졸 곡선 하 영역으로 계산하였다(DCauc).For further analysis of CAR, the net increase in cortisol level within 30 minutes after the weather was calculated (CARi). The total cortisol secretion was also calculated in the first 60 minutes after the weather using the GraphPad Prism version 5.01 for Windows (GraphPad Software Inc., Sandi ago, CA, USA) (CARauc). Daily cortisol secretion was calculated as the area under the cortisol curve (DCauc) according to the interval from the time immediately after the wake up to the night time.

게다가, 일중 코티졸 기울기(slope β)를, 기상 후 및 밤시간의 피크에서의 코티졸 값 사이에 선형 회귀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In addition, the daily cortisol slope < RTI ID = 0.0 > (beta) < / RTI > was calculated using linear regression between the cortisol values at the peak after the gas phase and at night.

작은 β 값에 의해 더 가파른 기울기가 나타났고, 이는 코티졸이 더 빠르게 감소함을 의미한다. 보다 완만한 기울기(큰 β 값)는 늦은 감소을 의미한다.A smaller β value indicates a steeper slope, which means that cortisol decreases more rapidly. A more gentle slope (large β value) means a slow decrease.

환자 그룹에서 약물 복용 중 상태(on-Med) 및 중단 상태(off-Med) 사이의 CARauc, CARi 및 slope β에서의 차이를 약물 중단상태의 각 값에서 약물 복용 상태의 값을 빼서 계산하고, ΔCARauc, ΔCARi 및 Δslope β로 표시하였다. The difference in CARauc, CARi and slope beta between the medication-taking state (on-Med) and the interrupted state (off-Med) in the patient group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value of the medication-taking state from each value of the drug- , ΔCARi and Δslope β.

Shapiro-Wilk normality test는 코티졸 값 및 추가적인 파라미터들(즉, CARauc, CARi 및 slope β)들은 정상적으로 분포함을 보여주었다.The Shapiro-Wilk normality test showed that cortisol values and additional parameters (ie, CARauc, CARi and slope β) were normal.

코티졸 프로파일 상 약물복용의 영향 또는 자발통의 빈도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he effects of taking drugs on the cortisol profile or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vomiting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평균 코티졸 수준, CARauc, CARi 및 slope β에서의 그룹간 차이를, 5% 유의 수준에서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test), 쌍대 t 검증(paired t test) 또는 양측 t 검증(two-tailed t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원 분산분석이 유의한 차이(p < 0.05)를 보일때, Tukey’s post hoc test를 수행하여 특이적 그룹 차이를 확인하였다. 통계적 계산을 SAS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 < 0.05은 유의한 값으로 간주하였다.
Group differences in mean cortisol levels, CARauc, CARi, and slope β were measured by one-way ANOVA test, paired t test or two-tailed t test at 5% significance level test). When the ANOV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Tukey's post hoc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specific group differences. Statistical calc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p <0.05 was regarded as a significant value.

실시예Example 1 : One : 일중Daytime 코티졸 프로파일( Cortisol profile ( DiurnalDiurnal cortisolcortisol profilesprofiles ) 분석) analysis

1-1. 약물 1-1. drug 복용중일때When taking 및 약물 중단 후 72시간일때 환자들의  And 72 hours after drug withdrawal 일중Daytime 코티졸 프로파일( Cortisol profile ( DiurnalDiurnal cortisolcortisol profilesprofiles ))

약물 복용중인 CRPS-1 환자(on-Med), 약물 중단 후 72시간일때 환자(off-Med), 덱사메타손 투여 후 추가적 8시간때 환자(off-Med/Dex) 및 건강한 대조군의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을 도 2에 도시하였다.Median doses of CRPS-1 (on-Med), 72 hours after drug withdrawal (off-Med), 8 hours after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off-Med / Dex) 2.

on-Med 및 off-Med 상태에서의 CRPS-1 환자의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을 일원 반복 측정 ANOVA[group (on-Med, off-Med) x time (6 different time points)]을 이용하여 독립변수로 코티졸 농도로 하고 분석하였다. One-way repeated measures of CRPS-1 patient's cortisol profile in on-Med and off-Med status were analyzed using ANOVA [group (on-Med, off-Med) x time (6 different time points) And analyzed.

그 결과, 유의미한 그룹 효과가 있었고(F1, 249 = 57.0, p < 0.001), 이는 off-Med 상태에서 보다 높은 코티졸 수준을 반영하였다. 더욱이, 눈에 띄는 상호작용 효과(F5, 249 = 6.2, p < 0.001)는 on-Med 및 off-Med 상태 사이의 코티졸 분비의 상이한 패턴을 의미하였다. 또한, 시간의 효과(F5, 249 =29.7, p < 0.001)는 코티졸 수준에서의 일중 변화를 반영함을 관찰하였다(도 2)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effect (F1, 249 = 57.0, p <0.001), reflecting higher cortisol levels in the off-Med state. Moreover, the prominent interaction effect (F5, 249 = 6.2, p < 0.001) meant a different pattern of cortisol secretion between the on-Med and off-Med state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effect of time (F5, 249 = 29.7, p < 0.001) reflects the change in daytime at the cortisol level (Figure 2)

이러한 결과들은 CRPS-1 환자에서 코티졸 수준과 on-Med 및 off-Med 상태 사이의 일중 코티졸 분비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daily cortisol secretion between cortisol level and on-Med and off-Med status in CRPS-1 patients.

나아가, on-Med 상태에서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을 일원 반복 측정 ANOVA을 이용하여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Furthermore, the daily cortisol profiles were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using the one-time repeated measures ANOVA in the on-Med state.

건강한 대조군이 환자 그룹보다 높은 코티졸 수준을 보이는 유의미한 그룹 효과가 있었고(F1, 288 = 59.2, p < 0.001),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F5, 288 = 7.5, p < 0.001)도 나타났다(도 2).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effect (F1, 288 = 59.2, p <0.001)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5, 288 = 7.5, p <0.001)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with higher cortisol levels than the patient group (Fig.

off-Med 상태에서는,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 그룹에서 높은 코티졸 수준을 보이는 유의미한 그룹 효과가 있었지만(F1, 288 = 11.9, p < 0.001), 상호작용 효과는 눈에 띄지 않았다(F5, 288 = 1.4, p = 0.24)(도 2). In the off-Med state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effect (F1, 288 = 11.9, p <0.001) with a high cortisol level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to the healthy control (F5, 288 = 1.4 , p = 0.24) (Figure 2).

상기 결과들은 on-Med 상태에서의 환자 그룹의 일중 코티졸 분비 패턴 및 코티졸 수준이 건강한 대조군 그룹과 현저하게 상이하지만, off-Med 상태에서의 환자 그룹의 코티졸 분비 패턴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슷함을 가리킨다.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aily cortisol secretion pattern and cortisol level of the patient group in the on-Med stat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healthy control group, but the cortisol secretion pattern of the patient group in the off-Med state is similar to that of the healthy control.

또한, 쌍대 t 검증(paired t test)(df = 21)으로 코티졸 농도가 off-Med 상태에서 on-Med 상태에서 상응하는 시간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0 min (t = 3.65, p < 0.001), 30 min (t = 6.32, p <0.001) 및 60 min (t = 4.58, p < 0.001) 및 기상 후 10 h (t = 4.31, p < 0.001). on-Med 상태에서 기상 후 코티졸 농도: 4 h (t = 0.80, p = 0.43) 및 16 h (t = 2.07, p = 0.051)는 off-Med 상태에서 각 시간의 경우와 비슷하였다(도 2).We also found that cortis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ff-Med state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time in the on-Med state with paired t test (df = 21): 0 min (t = 3.65, p < 0.001), 30 min (t = 6.32, p <0.001) and 60 min (t = 4.58, p <0.001) In the on-Med state, cortisol concentrations after 4 h (t = 0.80, p = 0.43) and 16 h (t = 2.07, p = 0.051) .

이러한 결과는 CRPS-1 환자에서 트리사이클릭 항 우울제 및 항 간질제 약물(Appendix A)과 함께 오피오이드(opioids)를 조합하여 처리하지 않으면 밤시간이 아닌 기상 후 시간에서 코티졸 수준이 증가하게 됨을 의미한다.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opioids in combination with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anti-epileptic drugs (Appendix A) in CRPS-1 patients would result in an increase in cortisol levels at post-meteorological time rather than at night .

그리고, off-Med/Dex 상태에서, 기상 후 각 시간대 측정된 코티졸 농도는 무시해도 될 정도였다(즉, 코티졸 농도 범위가 1.0 ~ 1.2 nmol/L)(도 2). 이는 CRPS-1 환자에서 기상 후 코티졸 분비(CAR)는 덱사메타손에 의해 억제됨을 의미한다.
In the off-Med / Dex state, the cortisol concentration measured at each time point after the gas phase was negligible (that is, the cortisol concentration range was 1.0 to 1.2 nmol / L) (FIG. 2). This means that post-metathorotic cortisol secretion (CAR) in CRPS-1 patients is inhibited by dexamethasone.

실시예Example 2 :  2 : CRPSCRPS -1 -One 환자에서In patients 통증-관련 측정 및 코티졸 분비 활성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in-related measures and cortisol secretory activity

통증-관련 수적 측정(즉, CRPS 증상 시작 기간, VAS 점수, 온도차 및 자발통 빈도)은 환자들사이에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표 1)Pain-related numeric measurements (ie, duration of onset of CRPS, VAS score, temperature difference, and spontaneous pain frequency) varied widely among patients (Table 1)

CRPS-1 환자에서 통증-관련 측정(pain-related measures)이 코티졸 분비 활성과 연관되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변수 및 코티졸 분비 활성 지수, 즉 on-Med 상태에서 피크 코티졸 농도, CARauc, CARi, DCauc 및 slope β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표 2). To determine whether pain-related measures in CRPS-1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cortisol secretory activity, these parameters and cortisol secretion activity index, peak cortisol concentration in the on-Med state, CARauc, CARi, DCauc And slope β (Table 2).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3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3

그 결과, VAS 점수, CRPS 증상 시작 기간, 온도차도 코티졸 분비 활성의 어떠한 지수와도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 >0.05, Spearman's correlation test)As a result, VAS score, CRPS symptom onset period, and temperature difference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index of cortisol secretion activity (p> 0.05, Spearman's correlation test)

그러나, 자발통의 빈도는 기상 후 30분(AC30min)의 코티졸 농도와 매우 현저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C30min-연관 지수, CARauc, CARi 및 slope β (p < 0.05, Spearman's correlation test).However,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vomit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rtisol concentration at 30 min (AC30min) after waking: AC30min-related index, CARauc, CARi and slope β (p <0.05, Spearman's correlation test).

무감독의 분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unsupervised partitional clustering algorithm,) k-평균을 사용하여 환자그룹을 AC30min 및 자발통 빈도를 기초로 서브그룹으로 군을 나누었다.Unsupervised partitional clustering algorithms (k-means) were used to group groups of patients into subgroups based on AC30min and spontaneous frequency.

클러스터링 분석으로 환자 그룹이 2개의 서브 그룹으로 나뉘었다. 한 그룹의 중앙 코티졸 값(평균)은 5.2 nmol/L이었고, 자발통 빈도 범위는 0 ~ 4(서브그룹 0-4, n = 14)이었다. 다른 그룹의 중앙 코티졸 값은 12.7nmol/L, 자발통 빈도 범위는 최소 5(subgroup ≥ 5, n = 8)로 나타났다. 상기 두 환자 서브그룹은 AC30min 관점에서는 현저히 상이하였다(p < 0.001).
By clustering analysis, the patient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The median cortisol level (mean) in one group was 5.2 nmol / L,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flow was 0-4 (subgroup 0-4, n = 14). The median cortisol value in the other group was 12.7 nmol / L, and the frequency range of spontaneous flow was at least 5 (subgroup ≥ 5, n = 8). The two patient sub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AC30min viewpoint (p < 0.001).

실시예Example 3 :  3: 일중Daytime 코티졸 프로파일 상  Cortisol profile 자발통의Spontaneous 빈도 영향 Frequency impact

CRPS-1 환자에서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 상에서 자발통의 빈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on-Med 및 off-Med 상태에서 각 환자 서브그룹의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과 건강한 대조군을 비교하였다(도 3).To determine the effect of frequency of spontaneous vomiting in the daytime cortisol profile in CRPS-1 patients, the daily cortisol profile of each patient subgroup in the on-Med and off-Med status wa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Figure 3).

on-Med 상태에서 환자 서브그룹(0-4 and ≥ 5) 및 건강한 대조군에서의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을, 반복-측정 ANOVA 테스트 [group (subgroup 0-4, subgroup ≥ 5, controls) x time (6 different time points)]를 이용하여 코티졸 농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비교하였다.The intradermal cortisol profiles in the patient subgroup (0-4 and ≥ 5) and in the healthy controls in the on-Med state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measures ANOVA test [group (subgroup 0-4, subgroup ≥ 5, controls) x time time points) were used to compare cortisol concentra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그리고, 중요한 그룹 효과(F2, 282 = 45.7, p < 0.001) 및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F10,282 = 5.4, p < 0.001)를 확인하였다.We also found significant group effects (F2, 282 = 45.7, p <0.001)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10,282 = 5.4, p <0.001).

또한, on-Med 상태에서 환자 서브그룹에서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의 반복-측정 ANOVA은 subgroup ≥ 5 에서보다 subgroup 0-4에서 보다 높은 코티졸 수준으로 나타나는 유의미한 그룹 효과(F1, 120 = 14.8, p < 0.001)를 보였다.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F5, 120 = 1.8, p = 0.12) (도 3A). In addition, the repeated-measures ANOVA of the intrathecal cortisol profile in the patient subgroup in the on-med state showed a significant group effect (F1, 120 = 14.8, p <0.001), which appeared at a higher cortisol level than in the subgroup 0-4, Respectively.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F5, 120 = 1.8, p = 0.12) (Figure 3A).

off-Med 상태에서 환자 서브그룹에서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을, 반복-측정 ANOVA[group (subgroup 0-4, subgroup ≥ 5, controls) x time (6 different time points)] 를 이용하여 코티졸 농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The cortisol profile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off-med state using the daily cortisol profile in the patient subgroup and the repeated-measures ANOVA [group (subgroup 0-4, subgroup ≥ 5, controls) x time (6 different time points) And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그 결과, 유의미한 그룹 효과(F2,282 = 13.1, p < 0.001)는 확인되었으나, 상호작용 효과(F10, 282 = 1.9, p > 0.05)는 나타나지 않았다. As a result, significant group effect (F2,282 = 13.1, p <0.001) was confirmed, but interaction effect (F10, 282 = 1.9, p> 0.05) did not appear.

off-Med 상태에서 환자 서브그룹에서 일중 코티졸 프로파일의 반복 측정 ANOVA은 subgroup ≥ 5 에서보다 subgroup 0-4에서 보다 높은 코티졸 수준으로 나타나는 유의미한 그룹 효과(F1, 120 = 9.9, p < 0.001)를 보였고, 유의미한 시간 효과(F1, 120 = 19.3, p < 0.001)도 보였으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F5, 120 = 1.4, p = 0.22)(도. 3B)Repeated measures of the intrathecal cortisol profile in the patient subgroup in the off-Med state showed a significant group effect (F1, 120 = 9.9, p <0.001) in subgroup 0-4 at higher cortisol levels than in subgroup ≥ 5, Mean time effect (F1, 120 = 19.3, p <0.001) was also observed, but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F5, 120 = 1.4, p = 0.22)

이러한 비교 실험결과는 on-Med 및 off-Med 상태에서 subgroup ≥ 5의 환자들이 subgroup 0-4 환자보다 더 낮은 전체 코티졸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자발통 빈도가 CRPS-1 환자에서 전체 코티졸 수준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se comparative results indicate that patients with subgroup ≥ 5 in on-Med and off-Med status have lower total cortisol levels than subgroup 0-4 patients, suggesting that the frequency of spontan- Of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실시예Example 4 :  4 : CARaucCARauc , , CARiCARi  And slopeslope β 상에서  beta phase 자발통Jabbit 빈도의 영향 Influence of frequency

CARauc, CARi 및 slope β 상에서 자발통의 빈도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 서브그룹, 각 서브그룹 및 건강한 대조군 사이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 subgroups, each subgroup, and the healthy control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effect of spontaneous pain in CARauc, CARi and slope beta.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4A는 on-Med (t = 2.62, p < 0.05) 및 off-Med (t = 2.82, p < 0.01)상태 모두에서 subgroup 0-4 환자의 CARauc (df = 20)가 subgroup ≥ 5에서의 경우보다 현저히 높았다. 일원 ANOVA 분석은 on-Med (F2, 47 = 20.12, p < 0.001) 및 off-Med (F2, 47 = 9.51, p < 0.001)상태 모두에서 subgroup 0-4 환자 및 subgroup ≥ 5 환자, 건강한 대조군 상 CARauc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Figure 4A shows that CARauc (df = 20) of subgroup 0-4 patients in subgroup ≥ 5 in both on-Med (t = 2.62, p <0.05) and off- Respectively. One-way ANOVA analysis showed subgroup 0-4 patients and subgroup ≥ 5 patients in both on-Med (F2, 47 = 20.12, p <0.001) and off-Med (F2, 47 = 9.51, p < CARauc showed a remarkable difference.

Tukey’s post hoc test는 on-Med 상태에서 환자의 두 서브그룹에서 CARauc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았다(p < 0.05 for all of the analyses). 그러나, off-Med 상태에서 환자의 0-4 서브그룹에서 CARauc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았다(p < 0.05). 흥미롭게도, off-Med 상태의 subgroup ≥ 5 환자에서 CARauc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슷하였다(p > 0.05). Tukey's post hoc test showed that CARauc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wo subgroups of patients in the on-Med state compared to the control (p <0.05 for all the analyzes). However, in the off-Med state, CARau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0-4 subgroup of patien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p <0.05). Interestingly, CARauc was similar to healthy controls in off-med subgroup ≥ 5 patients (p> 0.05).

off-Med 상태에서, subgroup 0-4 환자는 subgroup ≥ 5 환자의 경우와 비교하여 CARi (df = 20)값이 매우 높았다(t = 2.55, p < 0.05). 그러나, on-Med 상태의 두 서브그룹에서의 CARi 값은 비슷하였다(t = 1.71, p > 0.05) (도 4B)In the off-Med state, the CARi (df = 20)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group 0-4 patients than in the subgroup ≥ 5 patients (t = 2.55, p <0.05). However, the CARi values in the two subgroups of on-Med status were similar (t = 1.71, p> 0.05) (Fig. 4B)

subgroup 0-4 (21.4%)의 3명 환자와 subgroup ≥ 5 (50% )의 4명 환자들은 on-Med 상태동안 전형적인 CARi (CARi ≥ 2.5 nmol/L)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off-Med 상태에서 subgroup 0-4의 모든 환자들은 전형적인 CARi를 보였다. subgroup ≥ 5의 2명의 환자가(25%) off-Med 상태에서 전형적인 CARi를 보이지 않았고, 이 환자들은 또한 on-Med 상태에서도 전형적인 CARi를 보이지 않았다.  Three patients with subgroup 0-4 (21.4%) and four patients with subgroup ≥ 5 (50%) did not show typical CARi (CARi ≥ 2.5 nmol / L) during the on-Med state. However, in the off-Med state, all patients in subgroup 0-4 showed typical CARi. Two patients with subgroup ≥ 5 (25%) did not show typical CARi in the off-Med state, and these patients also did not show typical CARi even in the on-Med state.

일원 ANOVA 분석은 subgroup 0-4, subgroup ≥ 5, 및 대조군 그룹간 on-Med 상태(F2, 47 =12.72, p < 0.001) 및 off-Med 상태(F2, 47 = 8.44, p < 0.001)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one-way ANOVA analysis was significant in subgroup 0-4, subgroup ≥ 5, and between control group on-med status (F2, 47 = 12.72, p <0.001) and off-Med status (F2, 47 = 8.44, p <0.001) Respectively.

Tukey’s post hoc test는 on-Med 상태에서 subgroup 0-4, subgroup ≥ 5의 환자들이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CARi값이 매우 낮음을 보였다(p < 0.05 for all of the analyses). 그러나 off-Med 상태에서 subgroup 0-4 환자들의 CARi값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았던 반면(p < 0.05), subgroup ≥ 5 환자들의 CARi값은 대조군과 비슷하였다(p > 0.05).Tukey's post hoc test showed that patients with subgroup 0-4 and subgroup ≥ 5 had very low CARi values in the on-Med state (p <0.05 for all the analyzes). However, in the off-med state, CARi values in subgroup 0-4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p <0.05), whereas CARi values in the subgroup ≥ 5 pati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0.05).

도 4C는 slope β (df = 20) on-Med 상태(t = 2.16, p < 0.05) 및 off-Med 상태(t = 2.70, p < 0.05)의 두 경우에 subgroup 0-4 환자들이 subgroup ≥ 5 환자들과 비교하여 slope β (df = 20)값이 매우 작음을 보여준다. Figure 4C shows that in two cases of slope beta (df = 20) on-Med status (t = 2.16, p <0.05) and off-Med status (t = 2.70, p <0.05) The slope β (df = 20) values are very small compared with patients.

일원 ANOVA 분석은 slope β값에 대한 subgroup 0-4, subgroup ≥ 5, 및 대조군 그룹간 on-Med 상태(F2, 47 =16.53, p < 0.001) 및 off-Med 상태(F2,47 = 7.31, p < 0.05)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One-way ANOVA analysis showed that the subgroup 0-4, subgroup 5, and on-Med status (F2, 47 = 16.53, p <0.001) and off-Med status (F2,47 = 7.31, p &Lt; 0.05).

Tukey’s post hoc test는 on-Med 상태에서 subgroup 0-4, subgroup ≥ 5의 환자들이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slope β값이 현저히 큼을 보였다(p < 0.05 for all of the analyses). 또한, off-Med 상태에서 subgroup 0-4 환자들의 slope β값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컸던 반면(p < 0.05), subgroup ≥ 5 환자들의 slope β값은 대조군과 비슷하였다(p > 0.05).Tukey's post hoc test showed that patients with subgroup 0-4 and subgroup ≥ 5 had significantly greater slope β values than healthy controls (p <0.05 for all the analyzes). In the off-med state, the slope β value of the subgroup 0-4 patient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 <0.05), while the slope β value of the subgroup ≥ 5 patients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p> 0.05).

환자들 서브그룹사이의 CARauc 및 CARi값의 차이는 CRPS-1 환자의 HPA 축 기능상 자발통 빈도의 하향 조절성을 의미한다. off-Med 상태의 subgroup ≥ 5 환자들 및 대조군에서는 CARauc, CARi 또는 slope β값은 차이가 없었고, 이는 subgroup ≥ 5 환자의 HPA 축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The difference in CARauc and CARi values between the subgroups of patients implies down-regulation of the frequency of HPA axis functional spontaneous vestibular function in CRPS-1 patients. In the off-Med subgroup ≥ 5 patients and contro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auc, CARi or slope β values, indicating that the HPA axis of subgroup ≥ 5 patients did not function normally.

두 서브그룹에서, 약물 복용을 중단한 후에는 CARauc 및 CARi 값은 증가하였고 slope β값은 감소하였다. In both subgroups, CARauc and CARi values increased and slope β values decreased after discontinuation of drug administration.

각 환자 서브그룹에서 증가한 CARauc 및 CARi 값(ΔCARauc 및 ΔCARi), 그리고 감소한 slope β값(Δslope β)은 표 3에 요약하여 기재하였다.The CARauc and CARi values (ΔCARauc and ΔCARi), and the decreased slope β value (Δslope β), which are increased in each patient subgroup, are summarized in Table 3.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4
Figure 112012057111068-pat00004

전체적으로 ΔCARi은 자발통 빈도와 음성적 상관관계에 있고 (Spearman’s r = -0.53, p = 0.01), ΔCARauc (r = -0.11, p = 0.63) 또는 Δslope β (r = 0.026, p = 0.91)는 자발통 빈도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Overall, ΔCAR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ain (Spearman's r = -0.53, p = 0.01), ΔCARauc (r = -0.11, p = 0.63) or Δslope β It is not relevant.

subgroup ≥ 5 환자에서의 ΔCARi는 subgroup 0-4 (t = 2.23, df = 20, p < 0.01 by two-tailed t test) 환자들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값을 보였다. ΔCARi in patients with subgroup ≥ 5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atients in subgroup 0-4 (t = 2.23, df = 20, p <0.01 by two-tailed t test).

비록 환자들 서브그룹간 ΔCARauc 및 Δslope β에서 차이가 존재하여도 상기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p > 0.05 for all of the analyses by two-tailed t test)(표 3).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atients subgroups ΔCARauc and Δslope β,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for all the analyzes by two-tailed t test) (Table 3).

ΔCARi 및 자발통 빈도 사이의 음성적 상관관계와 서브그룹간 ΔCARi에서의 현저한 차이는 자발통의 빈도 역시 기상후 반응에서 HPA 축의 감소를 포함함을 내포하고 있다.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ΔCARi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lesion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ΔCARi between subgroups suggests that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vocalization also includes a decrease in the HPA axis in the post-metaphyseal response.

Claims (9)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타액으로부터 아침기상 30분 후의 코티졸 농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아무런 약물이 투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침기상 30분 후의 코티졸 농도가 평균 16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5회 이상의 자발통(spontaneous pain attack) 빈도 증가 및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감소로 결정하고,
아침기상 30분 후의 코티졸 농도가 평균 25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0~4회의 자발통 빈도의 감소 및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의 증가로 결정하는 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rtisol concentration 30 minutes after the morning air phase from saliva as an index of the HPA axis function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disease,
In the absence of any drug administration,
An average of 16 nmol / L of cortisol concentration 30 minutes after the morning wake was determined by an increase in frequency of spontaneous pain attacks five times or more and a decrease in the HPA axis function of the pituitary gl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30 minutes after the morning wake has an average value of 25 nmol / L, it is determined by decreasing frequency of 0 to 4 times of spontaneous vomiting and increase of pituitary contraction function.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타액으로부터 아침기상 30분 후의 코티졸 농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진통제인 프레가발린 (pregabalin), 트리돌(tridol) 및 아세타미노펜(acetaminophe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물이 투여된 상태에서,
아침기상 30분 후의 코티졸 농도가 평균 5.2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5회 이상의 자발통(spontaneous pain attack) 빈도 증가 및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감소로 결정하고,
아침기상 30분 후의 코티졸 농도가 평균 12.7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0~4회의 자발통 빈도의 감소 및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의 증가로 결정하는 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rtisol concentration 30 minutes after the morning air phase from saliva as an index of the HPA axis function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disease,
With one or more drug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algesics pregabalin, tridol and acetaminophen administered,
The mean cortisol concentration was 5.2 nmol / L at 30 min after the morning wake, and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ain attacks was 5 or more and the decrease of HPA axis function was determined.
When the cortisol concentration 30 minutes after the morning wake has an average value of 12.7 nmol / L, it is determined by decreasing the frequency of 0 to 4 times of spontaneous vomiting and increasing the pituitary contraction function.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지표로서 타액으로부터 코티졸 농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진통제인 프레가발린 (pregabalin), 트리돌(tridol) 및 아세타미노펜(acetaminophe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물이 투여된 상태 및 상기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두 상태에서 측정한, 아침 기상 후 최초 한 시간 동안에 분비되는 코티졸의 총분비량(CARauc) 차이가 평균 635.9 +/- 82.5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0~4회의 자발통 빈도의 감소 및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의 증가로 결정하며,
CARauc가 평균 482.3 +/- 164.9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5회 이상의 자발통(spontaneous pain attack) 빈도 증가 및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감소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두 상태에서 측정한, 아침기상 직후부터 기상 30분후 까지 코티졸의 순수증가량(CARi) 차이가 평균 10.1 +/- 2.0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0~4회의 자발통 빈도의 감소 및 뇌하수체 부신축 기능의 증가로 결정하며,
CARi의 차이가 평균 3.4 +/- 2.1 nmol/L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5회 이상의 자발통(spontaneous pain attack) 빈도 증가 및 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 기능의 감소로 결정하는 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cortisol concentration from saliva as an index of HPA axis function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disease,
Wherein at least one drug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algesics pregabalin, tridol and acetaminophen is administered and in the absence of the drug,
When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ecretion amount (CARauc) of cortisol secreted during the first hour after the morning wake was 635.9 +/- 82.5 nmol / L, which was measured in the above two conditions, th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spontan- It is decided by the increase of the stretching function,
When CARauc has a mean value of 482.3 +/- 164.9 nmol / L, it is determined b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ain attacks 5 times or more and by decreasing the HPA axis function; or
When the difference in the net increase of cortisol (CARi) from 10 to +/- 30 nm after the morning wake was 10.1 +/- 2.0 nmol / L, the frequency of 0 ~ It is determined by the increase of function,
And the difference in CARi is 3.4 +/- 2.1 nmol / L, which is determined b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pain attacks more than 5 times and decreasing the function of the HPA axis in the pituitary glan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티졸 농도 평가는 1 내지 7일의 일부 또는 전 기간동안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기상 후 1시간 이내에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측정한 코티졸의 농도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rtisol concentration is evaluated by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measured from the saliva collected within 1 hour after the gas phas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 a part or all of the period of 1 to 7 day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질환은 제1형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said complex site pain syndrome disease is Type I complex site pain syndro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77868A 2012-07-17 2012-07-17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 KR1014442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68A KR101444235B1 (en) 2012-07-17 2012-07-17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68A KR101444235B1 (en) 2012-07-17 2012-07-17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20A KR20140011120A (en) 2014-01-28
KR101444235B1 true KR101444235B1 (en) 2014-09-26

Family

ID=5014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68A KR101444235B1 (en) 2012-07-17 2012-07-17 A Diagnosis Metho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Using Correlation of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23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6771A1 (en) * 2000-12-04 2002-06-13 Diagno International Bv Computerized identification of normal and abnormal diurnal cortisol secretion patterns and levels of testosterone from human saliva samples
KR20100068894A (en) * 2008-12-15 2010-06-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dicator using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in saliva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adrenal gland and the functional evaluation method of adrenal gland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6771A1 (en) * 2000-12-04 2002-06-13 Diagno International Bv Computerized identification of normal and abnormal diurnal cortisol secretion patterns and levels of testosterone from human saliva samples
KR20100068894A (en) * 2008-12-15 2010-06-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dicator using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in saliva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adrenal gland and the functional evaluation method of adrenal gland using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군진의학협회 2011년 군진의학학술대회 초록집 pp. 37-38 (2011. 10. 12.) *
대한군진의학협회 2011년 군진의학학술대회 초록집 pp. 37-38 (2011. 10. 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20A (en)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loksuz et al. Cytokine levels in euthymic bipolar patients
Engeland et al. Salivary biomarkers in psychoneuroimmunology
Catley et al. A naturalistic evaluation of cortisol secretion in persons with fibromyalgia and rheumatoid arthritis
Bower et al. Diurnal cortisol rhythm and fatigue in breast cancer survivors
Carroll et al. Negative affective responses to a speech task predict changes in interleukin (IL)-6
Flood-Page et al. A study to evaluate safety and efficacy of mepolizumab in patients with moderate persistent asthma
Penev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morning testosterone levels in older men
Matsuoka et al. Inflammatory subtypes in cough-variant asthma: association with maintenance doses of inhaled corticosteroids
Corcoran et al. HPA axis function and symptoms in adolescents at clinical high risk for schizophrenia
Furlan et al. Salivary cortisol, alpha-amylase and heart rate variation in response to dental treatment in children
Sanders et al. Excess risk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ssociated with cigarette smoking in young adults
Chaudieu et al. Abnormal reactions to environmental stress in elderly persons with anxiety disorders: evidence from a population study of diurnal cortisol changes
Thoma et al. Altered salivary alpha-amylase awakening response in Bosnian War refugee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Lúdvíksdóttir et al. Habitual coughing and its associations with asthma, anxiety, and gastroesophageal reflux
Ludviksdottir et al. Different airway responsiveness profiles in atopic asthma, nonatopic asthma, and Sjögren's syndrome
Bakkeheim et al. Reduced basal salivary cortisol in children with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Kitamura et al. Intrinsic circadian period of sighted patients with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 free-running type
Du et al. Sputum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and salivary cortisol as new biomarkers of depression in lung cancer patients
Paslakis et al. Discrimination between patients with melancholic depression and healthy controls: comparison between 24-h cortisol profiles, the DST and the Dex/CRH test
Pedrinolla et al. An indoor therapeutic garden for behavioral symptoms in Alzheimer’s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aba et al. Analysis of salivary cortisol level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level and differences in circadian rhythms of shift‐working nurses
Demarble et al. The relation between hostility and concurrent levels of inflammation is sex, age, and measure dependent
Devine et al. Glucocorticoid and inflammatory reactivity to a repeated physiological stressor in insomnia disorder
Chiu et al. Trajectories of sleep changes during the acute phase of traumatic brain injury: a 7-day actigraphy study
Park et al.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function in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