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569B1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 Google Patent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569B1
KR101443569B1 KR1020087020245A KR20087020245A KR101443569B1 KR 101443569 B1 KR101443569 B1 KR 101443569B1 KR 1020087020245 A KR1020087020245 A KR 1020087020245A KR 20087020245 A KR20087020245 A KR 20087020245A KR 101443569 B1 KR101443569 B1 KR 10144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forming
channel
matrix
adjust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8037A (en
Inventor
모니샤 고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9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T 개의 송신 안테나(102i)와 NR 개의 수신 안테나(104j)로 구성된 비대칭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서 빔 형성을 위한 복수의 실시예를 제공하는데(여기서, NT>NR), 상기 안테나는 각각의 안테나에서의 송신 전력이 성능에 있어서 감지할 수 있는 손실 없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OFDM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빈(bins)보다 더 적은 빔 형성 벡터를 선택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embodiments for beamforming in an asymmetri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400 consisting of N T transmit antennas 102 i and N R receive antennas 104 j , where N T > N R ), the antennas ensure that the transmit power at each antenna is the same without any appreciable loss in performance. Techniques are also provided for selecting fewer beamforming vectors than frequency bins in an OFDM system.

Description

동일한-전력 전송으로 비대칭 빔 형성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0001]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 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FOR SAME-POWER TRANSMISSION [0002]

본 발명은 모든 안테나에 걸친 송신 전력이 동일하도록 하기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대칭적인 빔 형성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symmetric beam forming techniques in a wireless network to ensure that the transmit power across all antennas is the same.

채널 행렬의 특이 값 분해(SVD:singular-value-decomposition)를 이용하는 빔 형성 기술은 복수의 안테나가 이용 가능한 경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빔 형성 행렬은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력이 동일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그러나 여러 경우에서 송신 안테나(NT)의 수가 수신 안테나(NR)의 수보다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큰 특이 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의 부분집합만을 사용한다면 안테나에 걸쳐서 동일하지 않은 전송 전력을 발생시킨다. 대부분의 송신 체인이 피크 전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A beamforming technique using singular-value-decomposition (SVD) of a channel matrix is a well known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when multiple antennas are available. If the number of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is the same, the beamforming matrix is intended to make the power transmitted from each antenna equal. However, in many cases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N T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eceive antennas N R. In this situation, using only a subset of the eigenvectors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singular value would result in unequal transmit power across the antenna. This situation is undesirable because most transmit chains have limited peak power.

본 발명은, 비대칭 시스템에서 모든 안테나에 걸친 송신 전력이 동일하도록 하기위해 빔 형성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다수 실시예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mber of embodiments of techniques for implementing beamforming techniques to ensure that the transmit power across all antennas is the same in an asymmetric system.

복합 송신 안테나로부터 복합 수신 안테나까지의 빔 형성은 채널 다이버시티를 추출하는 잘 알려진 방법이다. 송신 안테나(NT)의 수가 수신 안테나(NR)의 수와 동일한 경우, 빔 형성을 위한 채널 행렬의 고유벡터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의 전략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대칭 상황(NT>NR)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방법은 빔 형성 벡터로서 가장 큰 고유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고르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이 갖는 문제점은 이것이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동일하지 않은 송신 전력을 발생시킨다는 사실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RF 체인이 피크-전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것은 문제가 된다.Beamforming from a complex transmit antenna to a complex receive antenna is a well known method of extracting channel diversity. It is known that using an eigenvector of the channel matrix for beamforming is an optimal strategy when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N T is equal to the number of receive antennas N R. For an asymmetric situation (N T > N R ), a commonly used method is to select an eigenvector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eigenvalue as a beamforming vector. The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it generates unequal transmit power from each antenna. This is a problem because in most cases the RF chain is limited in peak-power.

즉, 다수의 RF 프런트 앤드(front-ends)가 다수의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각각의 체인이 동일한 전력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이유는, 대부분의 RF 증폭기가 피크 전력에 의해 제한되어서 전체 송신 전력이 일정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다른 체인의 전력을 낮추면서 하나의 체인의 전력을 상승시키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한데, 여기서 상기 신호는 당연히 큰 피크 대 평균 비를 가지고 RF 증폭기는 이들이 선형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백-오프를 갖는다.That is, when multiple RF front-ends are used in a transmitter with multiple antennas, it is a good practice to have each chain transmit the same power. The reason is that it is not easy to raise the power of one chain while lowering the power of another chain in order to keep the total transmit power constant because most RF amplifiers are limited by peak power. This is even more so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where the signal naturally has a large peak-to-average ratio and the RF amplifier has a back-off to keep them operating in a linear range.

수신 안테나보다 더 많은 송신 안테나를 갖는 가장 현재에 사용되는 빔 형성 방법은 각각의 송신 체인에서 동일하지 않은 송신 전력을 갖는다. 단일 송신 스트림의 NT X 1의 경우를 위한 동일한 전력 전송의 문제점이 해소되었다(K.K. Mukkavilli, A. Sabharwal, E. Erkip 및 B. Aazhang, "On beamforming with finite rate feedback in multiple-antenna system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 49, no. 10, pp.2562--2579, Oct.2003, and D.J. Love and R.W. Heath, Jr., "Grassmanian beamforming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system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 49, no. 10, pp. 2735--2747, Oct. 2003 참조).Most currently used beamforming methods with more transmit antennas than receive antennas have unequal transmit power in each transmit chain. The problem of equal power transmission for the case of N T X 1 of a single transmit stream has been solved (KK Mukkavilli, A. Sabharwal, E. Erkip and B. Aazhang, "On beamforming with finite rate feedback in multiple-antenna systems, &Quot; Grassmanian beamforming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system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 49, no. 10, pp. 2562--2579, Oct.2003, IEEE Trans. Inform. Theory, vol. 49, no. 10, pp. 2735--2747, Oct. 2003).

그러나 둘 이상의 송신 스트림을 위한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했다. However, the problem for more than one transmission stream has not been solved.

본 발명은 성능에 있어서 감지할 수 있는 손실 없이 각각의 안테나에서의 송신 전력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비대칭적 빔 형성을 위한 여러 실시예를 제공한다. 또한, OFDM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빈보다 더 적은 빔 형성 벡터를 선택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된다. 이러한 후자의 기술은 송신기가 채널 인식을 갖고 상기 벡터를 계산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가정하는 것 대신에 벡터가 피드 백되는 실시예에서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everal embodiments for asymmetric beamforming that ensure that the transmit power at each antenna is the same without appreciable loss in performance. Techniques are also provided for selecting less beamforming vectors than frequency bins in an OFDM system. This latter technique is useful in embodiments where the vector is fed back instead of assuming that the transmitter has channel awareness and can calculate the vector.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The preferred embodiment includes:

기술 1: 억지 기법의 정규화(brute force normalization);Technique 1: Brute force normalization;

기술 2: 오직 ±1 ±j 값으로의 양자화;Technique 2: Quantization to only ± 1 ± j values;

기술 3: 사고율 확률에 기초한 최적화;Technique 3: Optimization based on accident rate probability;

기술 4: 하이브리드 최적화;Technique 4: Hybrid optimization;

기술 5: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최적화를 Technique 5: Frequency domain optimization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Provides technology that includes.

본 발명은 개방 및 폐 루프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즉 상기 전자의 개방 루프 시스템은 채널의 인식을 가지고 Q를 추정하며 Q를 조정하기 위한 앞에서 기술된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하는 송신기를 가지며, 상기 후자의 폐 루프 시스템은 상기 수신기가 이러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만든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o open and closed loop systems, that is, the open-loop system of electrons has a transmitter that uses one of the techniques described above for estimating Q and adjusting Q with the recognition of the channel, The loop system causes the receiver to perform this operation.

도 1은 피드백 채널을 갖는 비대칭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1 illustrates an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feedback channel;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폐 루프 비대칭 통신 시스템을 위한 빔 형성 행렬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Figure 2 illustrat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beamforming matrix for a closed loop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비대칭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한 전력을 갖는 빔 형성 행렬을 결정하고 피드백하기 위한 폐 루프 장치를 예시한 도면.3 illustrates a closed loop device for determining and feedbacking a beamforming matrix having the same power in an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수정된 비대칭 폐 루프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Figure 4 illustrates a modified asymmetric closed-loop commun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양자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의 성능을 도시한 도면.Figure 5 illustrates the performance of various techniques for quantization;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폐 루프 실시예를 오직 예로써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다. 당업자는 이러한 실시예가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개별적인 구성요소의 위치 및 배열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구체화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오직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적용을 어떠한 의미로도 제한하려고 의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즉, 상기 상세한 설명은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에서 이루어져서는 안 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예컨대, 송신기가 Q를 추정하고 조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첨부된 청구범위와 이의 동등물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 번호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에 관한 것이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only, a specific closed loop embodiment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Skilled artisans will appreciate that these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disclosed herei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embodi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That is,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taken in any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for example, the transmitter can estimate and adjust Q. In the drawings, like numbers refer generally to the same or like features.

본 발명은 복합 송신 안테나 빔 형성 기술과 복합 수신 안테나 결합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 다이버시티 이점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저 복잡성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빔 형성 기술 모두는 상기 송신기에서 채널 정보를 요구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low complexity techniques for achieving the spatial diversity benefits provided by the combined transmit antenna beam forming technique and the multiple receive antenna combining technique. All of the beamforming technique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 channel information at the transmitter.

도 1은 이동 스테이션{(랩탑,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PDA)}를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WLAN)의 일부가 될 수 있고 이러한 WLAN을 위한 액세스 지점이 될 수 있는 두개의 무선 스테이션(101, 105)을 포함하는 폐 루프를 예시한다. 상기 무선 스테이션(101, 105)은 광역 무선 네트워크의 일부가 될 수 있고 무선 퍼스널 영역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스테이션(101, 105)은 가령, IEEE 802.11과 같은 무선 표준 또는 임의의 다른 표준에 따를 수 있으며, 상기 순응은 부분적이거나 완전하다. 그러나 무선 스테이션(101, 105)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 이 안테나의 수는 비대칭인 것으로 가정된다.Figure 1 illustrates two wireless stations 101, 102, 103, 104 that can be part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hat includes a mobile station (laptop,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105 may be part of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and may be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uch stations 101 and 105 may be, for example, wireless, such as IEEE 802.11, Standard or any other standard, and the compliance is partial or complete. However, each of the wireless stations 101, 105 has a plurality of antenna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antennas is asymmetric.

N T 개의 송신 안테나와 N R 개의 수신 안테나를 지닌 송신 빔 형성 및 수신 결합 다중-안테나 시스템(개방 및 폐 루프)이 주어지면, 거기서 N R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고 빔 형성 행렬이 Q로 정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 다음 상기 신호 모델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Given a transmit beam forming and receive combining multi-antenna system (open and closed loop) with N T transmit antennas and N R receive antennas, where an N R data stream is transmitted and the beamforming matrix is defined as Q I suppose. The signal model is then given by:

Figure 112008058940031-pct00001
Figure 112008058940031-pct00001

여기서 n 은 노이즈 벡터이고, 상기 수신된 벡터(r)는 N R X 1 벡터이고, 상기 채널 행렬(H)(103)은 N R X N T 행렬이고, 상기 빔 형성 행렬(Q)은 N T X N R 행렬이고, xN R X 1 벡터이다. 상기 채널(H)은 완벽하게 알려진 것으로 가정된다. 상기 전송된 벡터는 y=Q x 인데, 이는 N T X 1 벡터이다. OFDM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모델은 각각의 주파수 빈을 위해 반복된다. 주파수 선택 채널에서, HQ는 각각의 주파수 빈에 대해 상이하다. Where n is a noise vector and the received vector r is an N R X 1 vector and the channel matrix H 103 is N R X N T Wherein the beamforming matrix (Q) is N T X N R Matrix, and x is an N R X 1 vector. The channel (H) is assumed to be perfectly known. The transmitted vector is y = Q x , which is the N T X 1 vector. In an OFDM system, the signal model is repeated for each frequency bin. In the frequency selective channel, H and Q are different for each frequency bin.

도 1에서, 폐 루프 시스템(100)이 가정되고, 현재 채널 상태 정보는 디코딩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스테이션(STAs)(101, 105) 사이에서 전송된다. STA 각각(101, 105)은 각각 NT(102i) 및 NR(104j)인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시스템(100)을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대역폭은 "피드백 대역폭"으로 명명되고,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이 값 분해(SVD)를 이용하여 결정 되는 빔 형성 행렬(Q)에 의해 현재 채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채널 추정기(106)에 의해 추정된 이후에, 피드백 채널(107)을 통해 수신기(105)에서 송신기(101)로 피드백된다. 상기 송신기(101)는 각각의 나가는 신호를 다중 공간 채널로 전송하기 위해 빔 형성 행렬(Q)을 이용한다.1, a closed loop system 100 is assumed and curr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etween stations (STAs) 101 and 105 to reduce decoding complexity. Each of the STAs 101 and 105 includes a number of antennas N T (102 i ) and N R (104 j ), respectively, which form the system 100. The communication bandwidth used for this purpose is referred to as the " feedback bandwidth ", and in some preferred embodiments, a channel estimator 106 (e.g., a quadrature demodulator) that represents curr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by a beamforming matrix Q determined us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The feedback from the receiver 105 to the transmitter 101 via the feedback channel 107 is fed back. The transmitter 101 uses a beamforming matrix Q to transmit each outgoing signal on a multi-spatial channel.

주어진 행렬(A)의 고유벡터(P)의 행렬이 스퀘어 행렬이 아닌 경우에{(예컨대, 상기 행렬

Figure 112008058940031-pct00002
이 단일 고유벡터(1,0)만을 갖는 경우}, P는 행렬이 역행렬을 가질 수 없으므로 A는 고유 분해(eigen decomposition)를 갖지 못한다. 그러나 A가 m이 n보다 큰 m X n 실수 행렬일 경우에, A는 소위, 방정식 A=UDVT의 특이 값 분해를 이용하여 써질 수 있다. 여기서 U는 m X n 행렬이고 V는 n X n 스퀘어 행렬이며, 이 둘은 UTU=VTV=I 및 D가 n X n 대각선 행렬이 되도록 직교 열을 갖는다. 복소수 행렬(A)에 대해서, 상기 특이 값 분해는 방정식 A=UHDV로의 분해이고, 여기서 U 및 V는 단위 행렬이고, UH는 U의 켤레 전치 행렬(conjugate transpose)이고 D는 대각선 행렬이며, 이의 구성요소는 상기 초기 행렬의 특이 값이다. A가 복소수 행렬일 경우에, 양의 특이 값을 갖는 이러한 분해가 항상 존재한다.If the matrix of eigenvectors (P) of a given matrix (A) is not a square matrix {
Figure 112008058940031-pct00002
Has only a single eigenvector (1, 0)}, P does not have eigen decomposition because A can not have an inverse matrix. However, if A is an m X n real matrix with m greater than n, then A can be written using so-call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of the equation A = UDV T. Where U is an m X n matrix and V is an n X n square matrix, both of which have orthogonal columns such that U T U = V T V = I and D are n X n diagonal matrices. For the complex matrices A,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s decomposition into the equation A = U H DV, where U and V are unitary matrices, U H is a conjugate transpose of U and D is a diagonal matrix , Its component is the singular value of the initial matrix. When A is a complex matrix, this decomposition with positive singular values always exists.

H=USVH가 상기 채널 행렬(H)의 SVD 분해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 Q를 위한 최적의 선택은 Q=[V 1 V 2 ... V R]이고, 여기서 Vi는 행렬 V의 I번째 열이다.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력이 동일해야하는 요건은 상기 빔 형성 행렬(Q)의 각 행이 동일한 전력을 갖는다는 제약으로 된다. 상기 고유벡터(Vi)가 정규직교(orthonormal)이기 때문에, R=T일 경우, 전송된 벡터(v)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전송된 전력을 갖는다. 그러나 R<T일 경우에는, 이것은 더 이상 사실이 아니다.Let H = USV H be the SVD decomposition of the channel matrix H. The optimal choice for Q is then Q = [ V 1 V 2 ... V R ], where V i is the I th column of the matrix V. The requirement that the power transmitted from each antenna be the same is a constraint that each row of the beamforming matrix Q has the same power. Since R e = T, since each eigenvector V i is orthonormal, each component of the transmitted vector v has the same transmitted power. However, in the case of R <T, this is no longer tru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200)을 예시한다. 단계 201에서, 상기 채널(H)이 추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정된 채널 추정기/전력 이퀄라이저/[피드백] 장치(300)가 제공된다. 그러나 피드백이 송신기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정된 채널 추정기/전력 이퀄라이저 장치만이 제공된다. 양쪽 어느 경우에, 메모리(301)는 상기 장치에 포함되고, H(301.1)는 단계 201에서 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단계 202에서, 빔 형성 행렬(Q)(301.2)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되고 상기 메모리(301)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단계 203에서 상기 빔 형성 행렬(Q)(301.2)은 다음의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하여 조정되는데, 각각의 기술은 상기 송신된 벡터가 동일한 전력 성분을 갖는다는 사실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분리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된 빔 형성 행렬(301.3)은 상기 장치(300)의 메모리(301)에 저장된다.Figure 2 illustrates a method 2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201, the channel H is estimated. In a preferred embodiment, a modified channel estimator / power equalizer / feedback device 300 is provided. However, if feedback is not required by the transmitter, only a modified channel estimator / power equalizer device is provided. In either case, the memory 301 is included in the device, and H (301.1) is stored in this memory in step 201. In step 202, a beamforming matrix (Q) 301.2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nd stored in the memory 301. Next, in step 203, the beamforming matrix (Q) 301.2 is adjusted using one of the following techniques, each of which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mitted vector has the same power And includes separate preferred embodiments.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301.3 is stored in the memory 301 of the device 300.

기술 1: 억지 기법의 정규화.Technique 1: normalization of deterrent techniques.

Q=[V 1 V 2 ... V R ]로 시작한다. 그 다음, 단위 전력이 되도록 Q의 각 행을 정규화한다. 결과적인 빔 형성 행렬은 v의 동일한 전력 성분을 보장한다.Q = [ V 1 V 2 ... V R ]. Then, each row of Q is normalized to be unit power. The resulting beamforming matrix ensures the same power component of v .

기술 2: 오직 ±1 ±j 값으로의 양자화.Technique 2: Quantization to only ± 1 ± j values.

다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Q로 시작한다. 그 다음, Q1=sign[Re(Q)+jsign(Im(Q))]는 빔형성 행렬인데, 이 행렬은 동일한 전력 성분을 가질 뿐 아니라, 각각의 성분이 4개의 값 중에서 하나만 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적은 수의 비트가 피드백을 위해 사용되게도 한다.Again, begin with Q as defined above. Then, Q1 = sign [Re (Q) + jsign (Im (Q))] is a beamforming matrix that not only has the same power component but also can have only one of the four values , So fewer bits are used for feedback.

기술 3: 사고율 확률에 기초한 최적화.Technique 3: Optimization based on accident rate probability.

동일한 전력 행을 갖는 빔 형성 행렬을 획득하기 위한 앞서 기술한 기술은 임의의 최적성 기준을 포함하지 않는다. Q의 각 요소가 ±1 ±j 임을 가정하면서 시작한다. 그 다음, Q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은 |det(HQ)|를 최대화시키는 것이다. 4NTNR의 가능성 있는 Q 행렬이 존재하기 때문에, 억지 기법의 검색은 너무 복잡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단순화는 (1)Q의 페이즈가 문제되지 않기 때문에, Q11은 1+j로 임의로 설정되고 (2)서로 직교인 이러한 열만을 검색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앞서 기술된 두개의 바람직한 단순화를 이용하면, 상기 검색 공간이 극적으로 줄어든다. 예컨대, 4 X 2의 경우에, 엔트리 ±1 ±j를 갖는 벡터에 직교인 오로지 9개의 벡터만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상기 검색 공간은 65536에서 64*9=576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SVD가 실행될 필요가 전혀 없다.The previously described technique for obtaining a beamforming matrix having the same power row does not include any optimality criterion. Assume that each element of Q is ± 1 ± j. Then, the criterion for selecting Q is to maximize | det (HQ) |. Since there is a probable Q matrix of 4 NTNR , the search for the deterrent scheme will be too complicated. The preferred simplification includes that (1) the phase of Q is not a problem, Q 11 can be arbitrarily set to 1 + j and (2) search only those column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Using the two preferred simplifications described above, the search space is dramatically reduc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4 X 2, there are only nine vectors that are orthogonal to the vector with entries ± 1 ± j. Therefore, the search space is reduced from 65536 to 64 * 9 = 576.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for the SVD to be executed.

기술 4: 하이브리드 최적화.Technique 4: Hybrid optimization.

상기에서의 기술 3은 여전히 다수의 가능성에 걸쳐서 최적화를 요구한다. 추가적인 단순화는 제1 벡터를 위한 기술 2를 이용하고 즉, 상기 SVD 행렬의 제1 벡터를 양자화하고 그 다음, 다른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기술 3을 이용하는 것이다. 4 X 2의 경우에 대해, 이것은 상기 SVD 실행을 요구하고, 이 다음에 9개의 가능성 있는 선택에 걸친 최적화가 후속한다.Technique 3 above still requires optimization over a number of possibilities. An additional simplification is to use technique 2 for the first vector, i. E., To quantize the first vector of the SVD matrix and then use technique 3 to determine another vector. For the case of 4 X 2, this requires the SVD implementation, followed by optimization over the nine possible choices.

기술 5: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최적화.Technique 5: Optimization across the frequency domain.

단일 빔 형성 행렬이 p 개의 채널 주파수 빈을 위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최적화 기준은

Figure 112008058940031-pct00003
을 최대화하는 Q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 검색 공간은 이전과 같다. 또 다시, SVD는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In the case where a single beamforming matrix is selected for p channel frequency bins,
Figure 112008058940031-pct00003
Quot; Q &quot; This search space is the same as before. Again, SVD is not required at all.

지금부터 도 2를 참고하면, 수신기(105)를 포함하는 폐 루프에서 빔 형성 행렬(Q)을 결정하고 송신기(101)로 Q를 피드백하기 위한 방법이 예시된다. 단계 201에서 상기 수신기는 행렬(H)에서 채널 상태를 추정한다. 그 다음, 단계 202에서 빔 형성 행렬(Q)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H로부터 추정된다. 단계 203에서, 본 발명의 기술 1 내지 5 중 임의의 기술은 성분이 동일한 전력을 갖고 단계 204에서 조정 빔 형성 행렬이 송신기에 피드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행렬(Q)을 조정하도록 사용된다.Referring now to FIG. 2, a method for determining a beamforming matrix Q in a closed loop including a receiver 105 and feeding Q back to the transmitter 101 is illustrated. In step 201, the receiver estimates the channel state in a matrix H. Then, in step 202, the beamforming matrix Q is estimated from H (as described above). In step 203, any of the techniques 1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adjust the matrix Q so that the components have the same power and in step 204 the steered beamforming matrix is fed back to the transmitt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상태 행렬(H)과 관련된 데이터(301.1), 초기 빔 형성 행렬과 관련된 데이터(301.2) 및 상기 조정 빔 형성 행렬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1)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폐 루프에서 채널 추정과 피드백을 위한 장치(300)를 예시한다. 상기 장치(300)는 채널(H)을 위한 수신된 신호(303)를 받아들이는 전력 이퀄라이저 구성요소(302)를 더 포함하고, 채널 추정기 모듈(302.1)로부터 채널 행렬(H)을 생성하고 채널 상태 행렬/데이터(301.1)로서 메 모리(301)에 이를 저장하기 위해 채널 추정기 모듈(302.1)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 이퀄라이저 구성요소(302)는 초기 빔 형성 행렬을 형성하는 빔 형성 행렬 조정 모듈(302.2)을 더 포함하고 본 발명의 기술 1 내지 5 중 미리 선택된 하나의 기술에 따른 초기 빔 형성 행렬을 조정하고(203), 상기 조정된 행렬(Q)과 관련된 데이터를 조정된 빔 형성 행렬/데이터(301.3)로 상기 메모리(301)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력 이퀄라이저 구성요소는 상기 송신기(101)로의 피드백 채널(107)을 통해 피드백 신호(304)로서 상기 조정된 빔 형성 행렬(Q)을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302.3)을 포함한다.FIG. 3 includes a memory 301 for storing data 301.1 related to the channel state matrix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301.2 related to the initial beamforming matrix, and data associated with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An apparatus 300 for channel estimation and feedback in a closed l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The apparatus 300 further includes a power equalizer component 302 that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303 for the channel H and generates a channel matrix H from the channel estimator module 302.1, And a channel estimator module 302.1 for storing it in memory 301 as matrix / data 301.1. The power equalizer component 302 further comprises a beamforming matrix adjustment module 302.2 that forms an initial beamforming matrix and adjusts the initial beamforming matrix according to one of the techniques pre- (203) and stores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adjusted matrix (Q) in the memory (301) with adjusted beamforming matrix / data (301.3). Finally, the power equalizer component includes a feedback module 302. 3 that feeds back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Q as a feedback signal 304 via a feedback channel 107 to the transmitter 101.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채널 추정기/피드백 장치(300)로 인터페이스하고 채널 상태(H)(103)에 관한 송신기(101)로부터 수신된 신호(303)를 여기로 제공하도록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101)와 수신기(105)를 포함하는 폐 루프 비대칭 통신 시스템(400)을 예시한다. 상기 채널 추정기/피드백 장치(300)는 상기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채널 행렬(H) 및 관련된 데이터(301.1)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채널 행렬(H)로부터의 초기 빔 형성 행렬(301.2)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기술 1 내지 5 중 미리 선택된 하나의 기술에 따른 초기 빔 형성 행렬을 조정하고(203) 상기 조정된 빔 형성 행렬(Q)(301.3)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채널 추정기/피드백 장치(300)는 상기 피드백 채널(107)을 이용하여 송신기(101)에 상기 조정된 빔 형성 행렬(Q)(304)을 피드백한다(204). 위에서 보인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400)은 가령, IEEE 802.11과 같은 임의의 통신 표준을,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따를 수 있고 무선 통신 네 트워크의 임의 유형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비대칭 무선 통신 네트워크/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nterfaces with a channel estimator / feedback device 300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Loop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400 including a transmitter 101 and a receiver 105. The channel estimator / feedback device 300 estimates the channel and generates and stores the channel matrix H and associated data 301.1 in the memory and obtains an initial beamforming matrix 301.2 from the channel matrix H And adjusts the initial beamforming matrix according to a technique preselected in the techniques 1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203), and outputs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Q) 301.3 to the memory . Finally, the channel estimator / feedback apparatus 300 feeds back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Q) 304 to the transmitter 101 using the feedback channel 107 (204). As shown above, the communication system 400 may follow any or all of th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802.11, for example, and may be part of any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pply to all asymmetr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systems.

도 5는 비트-인터리브드 코디드 모듈레이션(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을 이용하는 주파수-선택 시스템에서 4 X 2 시스템을 양자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의 성능을 예시한다. 특히 더 높은 비율로(비율 5/6 64QAM) 상기 기술이 동일하지 않은 전송 전력을 갖는 최적의 빔 형성에 비교하여 볼 때 아주 작은 성능 손실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Figure 5 illustrates the performance of various techniques for quantizing a 4 X 2 system in a frequency-selective system using 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 It can be seen that this technique has a very small performance loss, especially at a higher rate (ratio 5/6 64QAM) compared to optimal beamforming with unequal transmit power.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 즉, 폐 루프와 연계해서 설명되었지만, 수정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구체화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가 깨달을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상기 송신기는 채널의 인식을 갖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임의의 피드백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particular embodiment, that is, a closed loop,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embodied in the appended claims. In particular, the transmitter may have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and perform the method without requiring any feedback from the receiv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든 안테나를 통한 송신 전력이 동일하도록 하기위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대칭적인 빔 형성 기술에 이용가능 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vailable for asymmetric beamforming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to ensure that the transmit power across all antennas is the same.

Claims (16)

무선 채널{(H)(103)}을 통한 벡터의 비대칭 빔 형성 전송을 위한 방법으로서,A method for asymmetric beamforming transmission of a vector over a wireless channel {(H) (103)}, -NT개의 송신 안테나(102i)와 NR개의 수신 안테나(104j)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을 제공하는 단계와(여기서, NT > NR > 0),And step (here, N T> N R> 0) to provide a -N T transmit antennas (102 i) and the N R receive antennas (104 j),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400 having, - 동일한 전력 행을 갖는 빔 형성 행렬을 획득하기 위한 조정 기술들 중 하나의 조정 기술을 미리 선택하는 단계와,- preselecting one of the adjustment techniques for obtaining a beamforming matrix having the same power row, - 빔 형성 행렬(Q)(301.2)의 각 행이 동일한 전력을 갖도록 미리 선택된 조정 기술로 Q를 조정하는 단계와,- adjusting Q with a pre-selected adjustment technique such that each row of the beamforming matrix (Q) 301.2 has the same power, - 조정된 빔 형성 행렬(301.3)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H)(103)}을 통해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벡터를 송신기(101)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transmitting the vectors as N R data streams by the transmitter 101 through the channel {(H) (103)} using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301.3, 전송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은 동일한 전력을 갖고,The transmitted N R data streams have the same power, 미리 선택된 조정 기술은 빔 형성 행렬을 조정하기 위한 억지 기법의 정규화, ±1 ±j 값으로의 양자화(여기서 j는 0보다 큼), 사고율 확률에 기초한 최적화, 하이브리드 최적화 및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최적화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The preselected adjustment technique consists of normalization of the suppression scheme to adjust the beamforming matrix, quantization with a value of ± 1 ± j (where j is greater than 0), optimization based on probability of accident rate, hybrid optimization and frequency domain optimization &Lt; / RTI &gt; 무선 채널을 통한 벡터의 비대칭 빔 형성 전송을 위한 방법.A method for asymmetric beamforming transmission of a vector over a wireless channe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조정 기술을 미리 선택하는 단계에서 미리 선택된 억지 기법의 정규화(brute force normalization)에 따라 송신기(101)에서 실행되는, 무선 채널을 통한 벡터의 비대칭 빔 형성 전송을 위한 방법.Wherein the adjusting is performed at the transmitter (101) in accordance with a preselected brute force normalization in a pre-selecting adjustment techniqu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Wherein the adjusting comprises: - 수신기(105)에서 상기 채널(H)을 추정하는 단계와,- estimating the channel (H) at a receiver (105) - 수신기(300)에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와,- performing the adjusting step at a receiver (300) - 조정된 빔 형성 행렬을 상기 송신기(101)에 피드백(107)하는 단계를- feedback (107)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to the transmitter (101) 더 포함하는, 무선 채널을 통한 벡터의 비대칭 빔 형성 전송을 위한 방법. &Lt; / RTI &gt;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asymmetric beamforming vector over a wireless channel.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전송되고 빔 형성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수신기(105)에 의해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채널을 통한 벡터의 비대칭 빔 형성 전송을 위한 방법. And combining the transmitted and beamformed N R data streams by the receiver (105). A method for asymmetric beamforming transmission of a vector over a wireless channel. NT>NR>0의 관계를 갖는 NT개의 송신 안테나와 NR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빔 형성 장치(300)로서,A beam forming apparatus (300) for a multi-antenna system having N T transmit antennas and N R receive antennas with a relationship of N T > N R > 0, - 빔 형성 전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정보(301.1 내지 301.3)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301)와,A memory 301 for storing information 301.1 to 301.3 for equalizing the beam forming power, - 수신된 신호(303)의 수신,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에 따라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에 걸친 빔 형성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상기 정보의 추정 및 상기 메모리에 정보(301.1 내지 301.3)의 저장을 위한 전력 이퀄라이저 구성요소(302)를 포함하고,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303, estimating the information to equalize the beamforming transmit power over the N R data streams in accordance with a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 and for storing information 301.1 to 301.3 in the memory Power equalizer component 302,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은 빔 형성 행렬을 조정하기 위한 억지 기법의 정규화, ±1 ±j 값으로의 양자화(여기서 j는 0보다 큼), 사고율 확률에 기초한 최적화, 하이브리드 최적화 및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최적화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The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 consists of normalization of the suppression scheme to adjust the beamforming matrix, quantization with a value of ± 1 ± j (where j is greater than 0), optimization based on probability of accident rate, hybrid optimization and frequency domain optimization &Lt; / RTI &gt;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빔 형성 장치.A beam forming apparatus for a multi-antenna system.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메모리(301)는 채널 상태 정보(301.1), 빔 형성 정보(301.2) 및 조정된 빔 형성 정보(301.3)를 포함하고,The memory 301 comprises channel state information 301.1, beamforming information 301.2 and adjusted beamforming information 301.3, 상기 전력 이퀄라이저 구성요소(302)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301.1)의 상기 메모리에서의 추정 및 저장을 위한 채널 추정기 모듈(302.1)과, 상기 빔 형성 정보(301.2)의 상기 메모리에서의 결정 및 저장을 위한, 그리고 상기 조정된 빔 형성 정보(301.3)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조정된 빔 형성 정보(301.3)의 상기 메모리에서의 조정 및 저장을 위한 빔 형성 행렬 조정 모듈(302.2)을 포함하는,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빔 형성 장치. The power equalizer component 302 includes a channel estimator module 302.1 for estimation and storage of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301.1 in the memory and a channel estimator module 302.1 for determining and storing in the memory of the beamforming information 301.2 And for adjusting and storing in the memory the adjusted beamforming information (301.3) to equalize the transmit power of the N R data streams to the adjusted beamforming information (301.3) (302.2). &Lt; / RTI &gt; 제 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전력 이퀄라이저 구성요소(302)는 상기 조정된 빔 형성 정보(301.3)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303)를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모듈(302.3)을 더 포함하는,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빔 형성 장치.Wherein the power equalizer component (302) further comprises a feedback module (302.3) for providing a feedback signal (303) comprising the adjusted beamforming information (301.3). 송신 빔 형성 및 수신 결합 다중-안테나 시스템(400)으로서,A transmit beamforming and receive combining multi-antenna system (400) comprising: - NT > NR ≥1인, NR개의 수신 안테나(104j)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105)와,- one or more receivers (105) comprising N R receive antennas (104 j ), where N T > N R &gt; - NR개의 수신 안테나(104j)로의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빔 형성 전송을 위한 NT개의 송신 안테나(102i)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101)와,And N R receive antennas (104 j) into the N R data streams transmitted beam forming the N T transmit antennas (102 i) at least one transmitter (101) comprising for the, - -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에 따라서, 전송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에 걸친 빔 형성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기(101)에 의해 사용될 조정된 빔 형성 행렬과 메모리(301)에 빔 형성 행렬(301.3)의 저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 추정기/전력 이퀄라이저 장치(300)를 포함하고,In accordance with a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 an adjusted beamforming matrix to be used by one or more transmitters 101 and a beamforming matrix (e.g., a beamforming matrix) to be used in the memory 301 are used to equalize the beamforming transmit power over the transmitted N R data streams. (300) for providing a storage of a channel estimator (301.3), wherein the channel estimator /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은 조정된 빔 형성 행렬을 출력하기 위한 억지 기법의 정규화, ±1 ±j 값으로의 양자화(여기서 j는 0보다 큼), 사고율 확률에 기초한 최적화, 하이브리드 최적화 및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최적화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The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s include normalization of the suppression scheme to output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quantization with a value of ± 1 j (where j is greater than 0), optimization based on probability of accident rate, hybrid optimization and frequency domain optimization &Lt; / RTI &gt; 송신 빔 형성 및 수신 결합 다중-안테나 시스템.Transmit beamforming and receive combining multiple-antenna system. 삭제delete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하나 이상의 채널 추정기/전력 이퀄라이저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101)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은 억지 기법의 정규화인, 송신 빔 형성 및 수신 결합 다중-안테나 시스템.Wherein at least one channel estimator / power equalizer device (300) is operably coupled to one or more transmitters (101), and the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 is a normalization of the suppression technique.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하나 이상의 채널 추정기/전력 이퀄라이저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105)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피드백 모듈(30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모듈(302.3)은 상기 전송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에 걸친 빔 형성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사용을 위해 피드백 채널(107)을 통해 송신기(101)로 피드백될, 조정된 빔 형성 행렬(301.3)을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303)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빔 형성 및 수신 결합 다중-안테나 시스템.At least one channel estimator / power equalizer device 300 is one or more of the further include the associated feedback module (302.3) operable to receiver 105, the feedback module (302.3) is over the N R of the data stream the transmitted Configured to provide a feedback signal (303) comprising an adjusted beamforming matrix (301.3) to be fed back to the transmitter (101) via a feedback channel (107) for use to equalize the beamforming transmit power, Beam forming and receiving combining multi-antenna system. 빔 형성 송신기 장치로서,A beam forming transmitter apparatus comprising: - NT>NR>0의 관계를 갖는 NR개의 수신 안테나(104j)로의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채널을 통한 벡터의 빔 형성 전송을 위한 NT개의 송신 안테나(102i)와,And N T> N R> N R receive antennas (104 j) N T transmit antennas for the transmission beamforming vector of a channel through the N R data streams to the (102 i) having a relationship of 0, - - 채널의 추정값과, 빔 형성 행렬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빔 형성 행렬을 조정하여,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에 따라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에 걸친 빔 형성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전력 이퀄라이저 구성요소(302)와,A power equalizer component 302 that determines an estimate of the channel and a beamforming matrix from which the beamforming matrices are adjusted to equalize the beamforming transmit power over the N R data streams in accordance with a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 )Wow, - 동일한 전력을 갖는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벡터를 전송하기 위해 조정된 빔 형성 행렬을 이용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a transmitter using an adjusted beamforming matrix to transmit the vector as N R data streams having the same power,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은 조정된 빔 형성 행렬을 출력하기 위한 억지 기법의 정규화, ±1 ±j 값으로의 양자화(여기서 j는 0보다 큼), 사고율 확률에 기초한 최적화, 하이브리드 최적화 및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최적화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The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s include normalization of the suppression scheme to output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quantization with a value of ± 1 j (where j is greater than 0), optimization based on probability of accident rate, hybrid optimization and frequency domain optimization &Lt; / RTI &gt; 빔 형성 송신기 장치.Beam forming transmitter device. 결합 수신기 장치로서,A combined receiver device, - NT>NR>0의 관계를 갖는 NR개의 데이터 스트림 채널을 통해 벡터의 NT개의 송신 안테나(102i)를 갖는 송신기(101)에 의해 빔 형성 전송의 수신 및 결합을 위한 NR개의 수신 안테나(104j)와,- N T> N R> N for receiving and combining the beamforming transmission by a transmitter 101 having N R streams of data channels of N T the vector transmission antenna via (102 i) having a zero relationship R and receive antennas (104 j), - 전송된 NR개의 데이터 스트림에 걸친 빔 형성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송신기(101)에 의한 사용을 위해 피드백될, 조정된 빔 형성 행렬을,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에 따라서, 제공하는 채널 추정기/전력 이퀄라이저/피드백 장치(300)를 포함하고,- providing the adjusted beamforming matrix to be fed back for use by the transmitter 101 making the beamforming transmit power over the transmitted N R data streams equal to the channel estimator / An equalizer / feedback device 300, 미리 선택된 동일화 기술은 조정된 빔 형성 행렬을 생성하기 위한 억지 기법의 정규화, ±1 ±j 값으로의 양자화(여기서 j는 0보다 큼), 사고율 확률에 기초한 최적화, 하이브리드 최적화 및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최적화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The pre-selected equalization techniques include normalization of the suppression technique to generate an adjusted beamforming matrix, quantization (where j is greater than 0) to ± 1 ± j values, optimization based on accident rate probabilities, hybrid optimization and frequency domain optimization &Lt; / RTI &gt; 결합 수신기 장치.Coupled receiver device. 삭제delete
KR1020087020245A 2006-02-22 2007-02-20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KR1014435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558906P 2006-02-22 2006-02-22
US60/775589 2006-02-22
US80947406P 2006-05-30 2006-05-30
US60/809474 2006-05-30
PCT/IB2007/050546 WO2007096820A1 (en) 2006-02-22 2007-02-20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037A KR20080098037A (en) 2008-11-06
KR101443569B1 true KR101443569B1 (en) 2014-09-23

Family

ID=3813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245A KR101443569B1 (en) 2006-02-22 2007-02-20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90211B2 (en)
EP (1) EP1989791B1 (en)
JP (1) JP5210178B2 (en)
KR (1) KR101443569B1 (en)
AR (1) AR059861A1 (en)
AU (1) AU2007219200B2 (en)
BR (1) BRPI0707993B1 (en)
CA (1) CA2642893C (en)
MY (1) MY153443A (en)
RU (1) RU2426232C2 (en)
TW (1) TWI433484B (en)
WO (1) WO200709682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0864B1 (en) * 2007-04-03 2012-03-06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 and method of beamforming with reduced feedback
WO2008134420A2 (en) * 2007-04-25 2008-11-06 Marvell World Trade Ltd. Power amplifier adjustment for transmit beamforming in multi-antenna wireless systems
KR101520667B1 (en) 2007-09-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llocation method of pilot subcarriers in mimo system
US20100284359A1 (en) * 2007-12-28 2010-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463620B2 (en) 2008-02-26 2014-04-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shift-by-wire failure of vehicles with automatic transmission
US8582672B2 (en) 2009-02-12 2013-11-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spatial multiplexing with incomplete channel information
US8644368B1 (en) 2009-09-23 2014-02-04 Marvell International Ltd. Transparent implicit beamform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76722B2 (en) 2010-05-05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Expanded search space for R-PDCCH in LTE-A
US9071286B2 (en) * 2011-05-26 2015-06-30 Cohere Technologies, Inc. Modulation and equalization in an orthonormal time-frequency shifting communications system
US8917787B2 (en) * 2011-03-22 2014-12-23 Hitachi,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downlink precode for communication system with per-antenna power constraints
WO2012138971A2 (en) * 2011-04-06 2012-10-11 Sejent Corporation Measuring instantaneous bit rate in a network connection
WO2013070175A1 (en) * 2011-11-09 2013-05-1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ddressing multip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284935B1 (en) 2012-06-20 2013-07-10 한국과학기술원 Outage-based robust beam design method for mimo interference channel with channel uncertainty
US9661579B1 (en) 2013-05-03 2017-05-23 Marvell International Ltd. Per-tone power control in OFDM
US9843097B1 (en) 2013-07-08 2017-12-12 Marvell International Ltd. MIMO implicit beamforming techniques
US9281884B2 (en) * 2014-04-07 2016-03-08 Imagination Technologies, Llc Reordering of a beamforming matrix
CN105429686B (en) * 2015-11-05 2018-10-12 江苏中兴微通信息科技有限公司 The molding transmitting device of the asymmetric mixed-beam of divergence type and method
CN105306125B (en) * 2015-11-16 2018-10-16 江苏中兴微通信息科技有限公司 Asymmetric shared mixed-beam is molded R-T unit
US11228987B2 (en) * 2020-04-09 2022-01-1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haring a total power budget between at least two transmit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531A1 (en) 2004-09-10 2006-03-16 Qinghua Li Interpolation in channel state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4481B1 (en) * 2000-11-16 2014-01-21 Alcatel Lucent Feedback technique for wireless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EP1445886B1 (en) * 2003-01-31 2015-05-20 Ntt Docomo, Inc. Multiple-output multiple-in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MIMO receiver and MIMO receiving method
JP4413540B2 (en) * 2003-01-31 2010-02-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Multi-input multi-output propagation path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iving station
JP4039413B2 (en) * 2003-11-05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7680461B2 (en) 2003-11-05 2010-03-16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US7362822B2 (en) 2004-09-08 2008-04-22 Intel Corporation Recursive reduction of channel state feedb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531A1 (en) 2004-09-10 2006-03-16 Qinghua Li Interpolation in channel state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9791A1 (en) 2008-11-12
CA2642893A1 (en) 2007-08-30
KR20080098037A (en) 2008-11-06
BRPI0707993A2 (en) 2011-05-17
AR059861A1 (en) 2008-05-07
TWI433484B (en) 2014-04-01
AU2007219200B2 (en) 2011-02-17
JP2009527973A (en) 2009-07-30
TW200742310A (en) 2007-11-01
AU2007219200A1 (en) 2007-08-30
US20090221241A1 (en) 2009-09-03
RU2008137643A (en) 2010-03-27
WO2007096820A1 (en) 2007-08-30
EP1989791B1 (en) 2016-08-24
BRPI0707993B1 (en) 2020-02-18
MY153443A (en) 2015-02-13
RU2426232C2 (en) 2011-08-10
JP5210178B2 (en) 2013-06-12
US8190211B2 (en) 2012-05-29
CA2642893C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569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US9843376B2 (en) Precoding with a codebook for a wireless system
EP1540830B9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radio communication
US20160226567A1 (en) Precoding in High-Order MIMO
US8369438B2 (en) Iterative tree search-based precoding technique for multiuser MIMO communication system
Jindal Finite rate feedback MIMO broadcast channels
CN101390302B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Kim et al. Recursive covariance design for multiple antenna physical layer multicasting
Yellapantula et al. Antenna selection and power control in MIMO systems with continuously varying channels
MX2008010756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ical beamforming with equal-power trans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