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921B1 - 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921B1
KR101441921B1 KR1020070140927A KR20070140927A KR101441921B1 KR 101441921 B1 KR101441921 B1 KR 101441921B1 KR 1020070140927 A KR1020070140927 A KR 1020070140927A KR 20070140927 A KR20070140927 A KR 20070140927A KR 101441921 B1 KR101441921 B1 KR 10144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circuit board
terminal
portable terminal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2729A (en
Inventor
박인규
양수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921B1/en
Publication of KR2009007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회로기판들과, 상기 단자들 중 오픈 단자가 다른 단자에 의해 회로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연결의 정확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comprising circuit board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test section for testing the accuracy of the connection by inspecting whether an open one of the terminals is circuit- A substrate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ubstrate assembly are provided.

Description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oard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결합 되는 회로기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의 정확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means for testing the accuracy of circuit connections between circuit boards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hich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reception of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In an embodiment,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위의 다양한 하드웨어의 탑재를 위한 회로기판 역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회로기판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켜야 하고, 상기 결합 후에는 회로적인 연결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테스트해야 한다.In many cases, the circuit boards for mounting the above-described various hardware also have two or more. 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s must be physically coupled, and after the coupling, the circuit connections should also be tested to be accurat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회로적 연결에 대한 테스트 수단을 구비하는 회로기판 에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testing means for circuit connections of other types tha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테스트 수단이 상기 회로기판 어셈블리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test means in the circuit board assembl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집적화에 따라 보다 소형화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is more compact as the circuit board assembly is integrated.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오픈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단자들이 형성되는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1 단자들 각각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이 형성되는 제2 회로기판과, 상기 오픈 단자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픈 단자가 상기 제2 단자들 중 일 단자와의 접속에 의해 쇼트 되는지를 테스트 가능하게 하는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ircuit board assembly comprising: a first circuit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formed therein, each of the first terminals including at least one open terminal; A second circuit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o be attached are formed and a test section extending from the open terminal and capable of testing whether or not the open terminal is shorted by connection with a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s do.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위의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유저 인터 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ircuit board assembly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first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기판 어셈블리는 복수의 단자들 중 하나 또는 일부를 이루는 오픈 단자만이 오픈된 상태이고, 다른 단자들과의 접속에 의해 상기 오픈 단자의 회로적 연결 여부만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회로적 연결의 정확성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circuit boar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open terminals constituting one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open, and only the connection of the open terminals with the other terminals is tested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test section for testing the accuracy of circuit connections.

나아가, 테스트하는 단자의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테스트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s the number of terminals to be tested is minimized, the test can be made simple and quick.

상기 테스트부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회로기판 어셈블리가 소형화됨에 따라,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내장하는 휴대 단말기 역시 소형화될 수 있다.As the space occupied by the test unit is reduced and the circuit board assembly is miniaturized, the portable terminal incorporating the circuit board assembly can also be miniaturiz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ircuit board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120)가 외면에 배치된 단말기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110)의 양단은 손목이나 팔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150)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단말기 본체(110)는 통신망 내에서 기지국, 서버장치,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body 110 having a display 120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so as to display time information, and both ends of the terminal body 110 may be worn on the wrist, And is connected by a band 150 formed therein. The terminal body 11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 server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단말기 본체(110)의 외 측 영역은 제1장착부(111), 제1장착부(111)의 하측에 연결되며 밴드(1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장착부(112) 및 제1장착부(111)의 상측 에 연결되며 밴드(150)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3장착부(113)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1장착부(111) 내지 제3장착부(113)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outer region of the terminal body 110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12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111 which ar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nd 150, And a third mounting portion 11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150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nd 150.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to the third mounting portion 113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performing input / output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제1장착부(111)에는 디스플레이(120)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정보(신호, 명령 등) 출력뿐만 아니라 정보 입력을 위한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제2장착부(112)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되는 조작부(130)와 음성 등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 또는 마이크(160)가 구비된다. 제3장착부(113)에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또는 스피커(140)가 장착된다. 이러한 조작부(130)와 스피커(140) 및 마이크(160)의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는 편리한 입출력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120 is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 The display 120, including the touch screen, may be a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as well as outputting information (signals, commands, etc.).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12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ortion 130 formed to be rotat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bout a rotation axis, and an acoustic input portion or microphone 160 receiving voice or the like. The third mounting portion 113 is equipped with an acoustic output unit or a speaker 140 for outputting acoustic information.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unit 130, the speaker 140, and the microphone 160 allows the user to be provided with a convenient input / output environment.

도 1에 의하면, 제2장착부(112) 및 제3장착부(113)는 각각 제1장착부(111)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과 배치는 착용시 외관을 저해하는 돌출 부위를 최소화하고,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시 손가락에 의한 조작의 방향 또는 방법에도 적합한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12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113 are formed to be incli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respectively. Such a shape and arrangement minimizes the protruding portion which hinders appearance when worn, and is also suitable for the direction or method of operation by the finger when inputting or outputting information.

제2장착부(112) 및 제3장착부(113)는 밴드(150)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균등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밴드(150)와 제2장착부(112) 사이 및 밴드(150)와 제3장착부(113) 사이에 완만한 형상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112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113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surface of the band 15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band 15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12, So that a gentle change in shape can be induc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113.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조작부(130)는 밴드(150)의 폭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131)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휠(131)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회전축이 밴드(150)의 길이 방향과 평 행한 방향 등으로 배열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130 includes a wheel 131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nd 150.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wheel 131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heel 131 is rotatably installed so that its rotation axis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150, and the like.

휠(131)의 양단에는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푸시키(132,133)가 구비된다. 나아가, 휠(131)은 자체로 누름 조작에 의하여 입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pushed-in pins 132 and 133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heel 131 so as to be pushed. Further, the wheel 131 can be formed so as to be input by a pressing operation by itself.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휠(131)은 그 일부가 제2장착부(112)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휠(131) 및 푸시키(132,133)의 형상과 배치는 휠(131)을 회전시키기 위해 손가락이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100)를 소형화시키는데 유리하다. 푸시키(132,133)의 양단에는 비의도적인 누름에 의한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름방지수단 또는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서, 오입력 누름방지수단은 푸시키(132,133)와 균등한 높이로 형성되는 턱(돌출형상)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heel 131 may be arranged so that a part of the wheel 131 is submerged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12.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wheel 131 and the pawls 132 and 133 are advantageous for downsiz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while providing a sufficient length for the fingers to contact the wheel 131 to rotate. At both ends of the pawls 132 and 133, a push preventing means or a shape can be included so as to prevent erroneous input due to unintentional pressing. For example, the erroneous-pressing preventing means may be a jaw (protruding shape) formed at an equal height with the finger locks 132 and 133.

휠(131)은 손가락 등을 대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모드에서 포인터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각종 조절 가능한 양, 예를 들어 음량, 화면의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골이 형성된 원통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wheel 131 rotates forward or backward with a finger or the like to move the pointer or the cursor in various modes or to adjust various adjustable amounts such as the volume and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body.

디스플레이(120)는 휠(131)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 한 쌍의 푸시키(132,133)의 누름 동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숫자 또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20)에 숫자나 문자가 나열되면 사용자는 휠(131)과 푸시키(132,133)에 의하여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켜 해당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여 다이얼링을 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편집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휴대 단말기(100) 가 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대기 모드에서 현재의 시각이나 날짜 또는 제한된 몇 가지 항목이나 이미지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120 can output a plurality of numbers or characters that can be selected by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f the wheel 131 and pressing operation of the pair of fusiws 132 and 133. [ That is, when numbers or letter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the user moves the cursor or the pointer by using the wheel 131 and the push key 132 or 133 to select a corresponding number or character to perform dialing, can do. The display 12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current time or date or a limited number of items, images, and the like in the standby mod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conserve power.

휠(131)의 정회전과 역회전 및 푸시키들(132,133)은 커서나 포인터에 대한 4방향 지시를 의미할 수 있다. 휠(131)의 회전과 푸시키(132,133)의 클릭의 조합에 의하여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선택을 하는 경우, 그 항목으로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휠(131)을 눌러주면 해당 항목 또는 기능이 실행된다.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wheel 131 and the fusits 132 and 133 may mean a four-direction indication of a cursor or a pointer. When a selection of an item i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rotation of the wheel 131 and the click of the fusi 132 or 133, if the cursor or the pointer is moved to the item and the wheel 131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item or function is executed do.

밴드(150)는 가죽(leather) 또는 고무(rubber)나 플라스틱(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단일 층이 적층 되어 다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and 150 may be formed of leather or rubber or plastics, and may be constructed as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ingle layers are stacked.

밴드(150)에는 단말기 본체(110)와 기지국 사이 또는 단말기 본체(110)와 이어셋과 같은 외부의 독립 장치 또는 부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방사체(170A,17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방사체(170A,170B)의 배치는 작고 한정된 크기를 갖는 단말기 본체(110) 내부에 안테나 방사체가 내장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수신감도의 저하 문제 및 외관을 떨어뜨리는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The band 150 may be provided with antenna radiators 170A and 170B for wirelessly connecting to an external independent device or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the earphone or the earphone or between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base station.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radiators 170A and 170B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reception sensitivity and appearance which may occur when the antenna radiator is built in the terminal body 110 having a small and limited size have.

밴드(150)에는 손목이나 팔 등에 단말기 본체(11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패스너(fastener;151)가 구비될 수 있다. 패스너(151)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패스너(151)가 버클 형태로 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The band 15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er 151 for attaching the terminal body 110 to a wrist or an arm. The fastener 151 may be formed of a buckle, a snap-fit hook structure, or a velcro (trade name), and may be formed of a stretchable portion or a stretchable material .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er 151 is buckled.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FIG.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210)의 후면에는 단말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덮개(261)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lid 26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210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210.

본체(110)의 후면에는 UIM/SIM 카드(User Identity Module/Subscriber Indentity Module) 등을 수납되며, 덮개(161)는 상기 카드 등을 감싸도록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A UIM / SIM card (User Identity Module / Subscriber Identity Module) is housed i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cover 16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to enclose the card.

덮개(161)의 일 측에는 충전 가능한 전원공급부 또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단자(162)가 배치된다. 충전 단자(162)는 휴대 단말기(100)를 충전하기 위한 다른 외부 충전장치 또는 플러그 수단과 접속하여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 단자(162)의 배치는 사용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보일 수 있는 복잡한 형상이나 부품의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one side of the lid 161 is disposed a chargeable power supply or charging terminal 162 for charging the battery. The charging terminal 162 is connected to another external charging device or plug means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supply power to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The arrangement of the charging terminal 162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complicated shapes or parts that can be seen out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use.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회로기판 어셈블리(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기능적으로 제어부(200, 도 8)라 칭해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a circuit board assembly 200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circuit board assembly 200 electrically controls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be functionally referred to as a control unit 200 (FIG. 8).

본 도면에서는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에 조작부(130)와 스피커(140)가 연결된 상태만을 보이고 있으나, 디스플레이(120) 등도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당연하다.Although only the operation unit 130 and the speaker 140 are shown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ssembly 200 in this figure, it is obvious that the display 120 and the like are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ssembly 200.

도 4a는 도 3의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의 다른 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확대된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ide of the circuit board assembly 200 of FIG. 3, and FIG.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larged portion of FIG. 4A.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회로기판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회로기판들(210 내지 250)을 포함한다. 회로기판들(210 내지 250) 중 제1, 제3, 및 제3 회로기판들(210,230,250)은 리지드(rigid) 회로기판이고, 제2 및 제4 회로기판들(220,240)은 리지드 회로기판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flexible) 회로기판이다. 그러나, 회로기판들의 개수나 형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circuit board assembl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210-250. The first, third and third circuit boards 210, 230 and 250 of the circuit boards 210 to 250 are rigid circuit boards and the second and fourth circuit boards 220 and 240 are connected to the rigid circuit boards Flexible circuit bo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r shape of the circuit boards.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10)에는 무선통신 모듈 등과 같은 부품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회로기판(220)은 제3 회로기판(230)에 장착되는 스피커(140)를 제1 회로기판(210)과 연결해준다. 이와 달리, 제2 회로기판(220)에 직접 스피커(140)나 조작부(130)가 배치될 수도 있다. 3, components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20 is connected to the speaker 140 mounted on the third circuit board 230 And connects to the first circuit board 210. Alternatively, the speaker 140 or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second circuit board 220.

회로기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10) 및 제2 회로기판(220)은 각각 복수의 단자들(211, 221)을 가진다. 단자들(211, 221)은 에칭(ething) 등에 의해 회로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며, 도전성을 가진다. 4A and 4B, the first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20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211 and 221, resp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s. . The terminals 211 and 221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by etching or the like, and have conductivity.

회로기판들(210, 220) 사이의 접착 또는 결합과 단자들(211, 221) 사이의 회로적 연결을 위하여, 회로기판들(210, 220) 사이에는 접착 필름(260)이 개재된다. An adhesive film 260 is inter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s 210 and 220 for bonding or bonding between the circuit boards 210 and 220 and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211 and 221.

접착 필름(260)으로는 이방전도성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과 같은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방전도성필름에는 접착성을 가지는 기지에 금속 코팅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입자와 같은 전도성 입자(261)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이룬다. 접착성을 가진 기지는 회로기판들(210, 220)을 결합 또는 부착시키게 되고 전도성 입자(261)는 단자들(211, 2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회로기판들(210, 220)이 회로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접착 필름(260)은 핀(pin)을 이용하는 커넥터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지기에, 회로기판들(210, 220)이 이루는 두께를 보다 슬림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the adhesive film 260, an adhesive such as an 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may be used.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formed by dispersing conductive particles 261 such as metal-coated plastic or metal particles on a base having adhesiveness. The adhesive base bonds or adheres the circuit boards 210 and 220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261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s 211 and 221 so that the circuit boards 210 and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e connected. The adhesive film 260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a connector using a pin, and thus the thickness of the circuit boards 210 and 220 can be made slimmer.

도 5는 도 4b의 제1 단자들(211) 및 제2 단자들(221)을 보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irst terminals 211 and the second terminals 221 of FIG. 4B.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은 서로 간에 대응하는 개수와 간격을 가진 채로 배열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21 are arranged with a corresponding number and spacing therebetween.

제1 단자들(211) 중 하나 또는 일부를 이루는 단자(들)는 오픈 단자(271)로 형성된다. 오픈 단자(27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도전성 세그먼트(segment)들로 형성된다. 그에 의해, 오픈 단자(271)는 회로적으로 오픈(open)된 초기 상태를 갖게 된다.The terminal (s) constituting one or a part of the first terminals 211 is formed by an open terminal 271. The open terminal 271 is formed of at least two or more conductive segments. Thereby, the open terminal 271 has an initial state that is opened in a circuit.

오픈 단자(271)를 이루는 각 세그먼트에서는 연장라인(272)가 각각 연장한다. 연장라인(272) 역시 도전성으로 형성되며, 오픈 단자(271)가 제2 단자들(221) 중 일 단자에 의해 쇼트(short) 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하는 테스트 포인트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오픈 단자(271)와 연장라인(272)이 단자들(211, 221) 사이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테스트부(270)라고 칭한다.In each segment constituting the open terminal 271, an extension line 272 extends. The extension line 272 is also made conductive and is a test point that allows testing whether the open terminal 271 is shorted by one of the second terminals 221. [ In this specification, this open terminal 271 and the extension line 272 are referred to as a test portion 270 in that it is possible to test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211 and 221 is correctly performed.

테스트부(270) 역시 단자들(211)과 마찬가지로 회로기판(210) 상에서 일정 면적을 차지한다는 제1 단자들(211) 각각에 테스트부(270)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자는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기 에, 일부의 단자들에 대한 테스트만으로도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 전체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test unit 270 is formed on each of the first terminals 211 occupying a predetermined area on the circuit board 210 like the terminals 211. [ Sinc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21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ntir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21 are properly connected And that it can be tested.

상기 인식을 바탕으로, 테스트부(270)는 제1 단자들(211) 중 최 외곽에 배치되는 단자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 두 개에만 형성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최 외곽 양측에 테스트부(270)를 형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Based on the recognition, the test unit 270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the terminals dispos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first terminals 211, or only two terminals thereof. In this figure, a test portion 270 is formed on both outermost sides.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제1 단자들(211) 각각에 테스트부(270)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테스트부(270) 형성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테스트부(270)가 제1 단자들(211)의 최 외곽 단자를 오픈 단자(271)로 하여 형성됨으로써, 테스트부(270)가 제1 단자들(211)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어서 제1 단자들(211)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지는 않게 된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test portion 270 in each of the first terminals 211, the space for forming the test portion 270 can be minimized. The test portion 270 may be formed with the open terminals 271 at the outermost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s 211 so that the test portion 270 can be dispo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s 211 It does not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s 211.

도 6은 도 5의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에 대한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21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테스트부(270')의 오픈 단자(271')는 제1 단자들(211) 중 다른 단자들에 비하여 돌출한 형태를 가진다. 오픈 단자(271')는 역시 제2 단자들(222) 중 그에 대응하는 일 단자보다도 큰 길이를 가진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open terminal 271 'of the test portion 270' protrudes from the other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s 211. The open terminal 271 'also has a length greater than a corresponding one of the second terminals 22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단자들(211)에 제2 단자들(221)을 정렬함에 있어서, 오픈 단자(271')의 돌출된 부분을 기준선으로 삼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econd terminals 221 are aligned with the first terminals 21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jected portion of the open terminal 271 'can be used as a reference line.

연장라인(272)에 대응하여서는 제2 단자들(221)에 인접한 정렬라인(222)을 형성할 수 있다. 정렬라인(222)은 연장라인(272) 보다는 작은 길이를 가진다. 정렬라인(222) 역시 제1 회로기판(210)과 제2 회로기판(220) 사이의 정확한 정렬 여부 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The alignment line 222 adjacent to the second terminals 221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line 272. [ The alignment line 222 has a length less than the extension line 272. The alignment line 222 is also a referenc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20 are correctly aligned.

도 7은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 및 220) 사이의 연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210 and 220. Referring to FIG.

본 도면과 도 4a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단자들(211)이 형성된 제1 회로기판(210)에 접착 필름(260)을 먼저 부착하게 된다. 접착 필름(260)은 제1 단자들(211)이 차지하는 면적보다는 좀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4A and FIG. 6 together, the adhesive film 260 is first attach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210 on which the first terminals 211 are formed. The adhesive film 260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at occupied by the first terminals 211. [

접착 필름(260)에 제2 단자들(221)이 형성된 제2 회로기판(220)을 대응시켜, 제2 회로기판(220)을 제1 회로기판(210)에 가 압착한다. The second circuit board 220 having the second terminals 221 formed thereon is associated with the adhesive film 260 so that the second circuit board 220 is bond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210.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이 제대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살핀다. 이때, 오픈 단자(271)이 연장된 부분이나 정렬라인(222)을 활용하면 정렬 여부에 대한 판단이 보다 용이하다. 제대로 정렬이 안 되었다면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 사이의 위치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It is checked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210 and 220 are properly aligned. At this time, it is easier to judge whether the open terminal 271 is aligned by utilizing the extended portion or the alignment line 222. If alignment is not properly performed, adjustment of the pos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210 and 220 is necessary.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 사이의 정렬이 만족할만한 수준 이내라면,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을 최종적으로 압착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로써, 회로기판 어셈블리(200)가 완성된다.If the align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210 and 220 is within a satisfactory level,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210 and 220 are finally compressed and firmly coupled. Thereby, the circuit board assembly 200 is completed.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의 회로적 연결의 정확성 여부는 테스트부(270)를 통해 검사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라인(272)에 테스트기를 접속시키면 오픈 단자(271)가 회로적으로 쇼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픈 단자(271)에 대응하는 제2 단자들(221) 중 일 단자가 오픈 단자(271)와 제대로 대응되게 결합 되었다면, 오픈 단자(271)는 상기 일 단자에 의해 초기의 오픈 상태에서 쇼트된 상태로 전환될 것이다. 테스트 결과 여전히 오픈된 상태라면, 제1 단자들(211)과 제2 단자들(221) 사이의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되어, 불량품으로 처리해야 할 것이다.Whether or not the circuit connection of the circuit board assembly 200 is correct can be checked through the test unit 270. Connecting the tester to a pair of extension lines 272 can determine whether the open terminal 271 is shorted in a circuit. If one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s 221 corresponding to the open terminal 271 is properly coupled to the open terminal 271, the open terminal 271 is short-circuited in the initial open state by the one terminal . If the test result is still ope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s 211 and the second terminals 221 is not properly established, so that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s 221 should be treated as defective products.

이상에서는 손목에 체결 가능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바, 폴더, 슬라이드, 스윙, 스위블 등 어떠한 형태의 단말기라도 복수의 회로기판을 가지는 단말기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can be fastened to the wrist, any type of terminal such as a bar, a folder, a slide, a swing, and a swivel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o any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01), 근거리통신모듈(102), 디스플레이(120), 조작부(130), 음향출력부(140), 마이크(160), 전원공급부(180), 메모리(19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8,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1,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02, a display 120, an operation unit 130, an audio output unit 140, a microphone 160, a power supply unit 180, a memory 190, and a control unit 200.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0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 unit 200 furth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통신 또는 이동통신 모듈(101)은 안테나(170A)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01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170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조작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조작부(130)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3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provides the control unit 200 with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 130 may include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음향 입력부 또는 마이크(160)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0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0)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or the microphone 160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1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is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ted to be stored in the memory 190. The sound input unit 16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20)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the UI, and the GUI.

음향 출력부(140)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0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0)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The sound output unit 140 outputs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1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in the call signal reception mode, communication mode or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Converts the stored sound data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Also, the sound output unit 140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 140 includes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메모리(190)는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0)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19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memory 19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0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In addition, the memory 190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90 includes the concept of a generally known hard disk,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flash memory, a RAM, a ROM, and the like.

근거리통신모듈(102)은 휴대 단말기 이외 무선 헤드셋, 무선 데이터 포트 등과 휴대 단말기를 안테나(170B)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102)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스피커(140) 및 마이크(160)에 의하지 않고서 무선 이어셋을 통해 음성 통화 등을 할 수도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2 serves a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a wireless headset, a wireless data port, etc., oth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170B. The user may make a voice call or the like through the wireless earset without depending on the speaker 140 and the microphone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the short-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7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휴대 단말기(100)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그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 등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or the lik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thereof.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며,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4a는 도 3의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다른 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ide of the circuit board assembly of Figure 3,

도 4b는 도 4a의 확대된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larged portion of Figure 4a,

도 5는 도 4b의 제1 단자들 및 제2 단자들을 보인 개념도이고,FIG.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first terminals and the second terminals of FIG. 4B,

도 6은 도 5의 제1 및 제2 단자들에 대한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며,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FIG. 5,

도 7은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 사이의 연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하나 또는 일부를 이루는 오픈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단자들이 표면에 형성되는 제1 회로기판;A first circuit boar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formed on a surface thereof, the first circuit board including one or a plurality of open terminals; 상기 제1 단자들 각각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이 표면에 형성되는 제2 회로기판; 및A second circuit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re forme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s; And 상기 오픈 단자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픈 단자가 상기 제2 단자들 중 일 단자와의 접속에 의해 쇼트 되는지를 테스트 가능하게 하는 테스트부를 포함하고,And a test section extending from the open terminal and capable of testing whether the open terminal is short-circuited by connection with a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s, 상기 오픈 단자는 두 개 이상의 이격된 도전성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부는 상기 세그먼트들에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도전성 연장라인들을 포함하며, The open terminal comprising two or more spaced apart conductive segments, the test section comprising a pair of conductive extension lines each extending in the segments, 상기 제1 단자들 및 제2 단자들은 도전성 접착 필름에 의해 접착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Wherein the first terminals and the second terminals are bonded by a conductive adhesive fil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픈 단자는 상기 제1 단자들의 최 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Wherein the open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pair of terminals disposed at an outermos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단자들의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단자들의 대응하는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Wherein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s is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corresponding adjacent terminals of the second terminal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회로기판은 리지드(rigid) 회로기판이고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연성(flexible) 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Wherein the first circuit board is a rigi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is a flexible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대응하는 제2 단자보다 큰 길이를 갖는 기준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s is a reference terminal having a length greater than a corresponding second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기준 단자는 상기 오픈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Wherein the reference terminal is the ope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회로기판에는 상기 연장라인들에 대응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Wherein at least one alignment line extend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extension lines is formed in the second circuit board.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본체; 및A main body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제1항에 따르는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A circuit board assembly mounted to the body, the circuit board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유저 인터 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first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 및A b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portion rotatably disposed around the rotating shaft of the main body, 상기 유저 인터 페이스는 상기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user interface includes the operation unit.
KR1020070140927A 2007-12-28 2007-12-28 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41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7A KR101441921B1 (en) 2007-12-28 2007-12-28 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7A KR101441921B1 (en) 2007-12-28 2007-12-28 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9A KR20090072729A (en) 2009-07-02
KR101441921B1 true KR101441921B1 (en) 2014-09-19

Family

ID=4132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27A KR101441921B1 (en) 2007-12-28 2007-12-28 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92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10Y1 (en) * 2003-01-24 2003-04-14 주식회사 카서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of receiving signal electrical stimulation type possible wearing wrist
KR20070019907A (en) * 2005-08-13 2007-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10Y1 (en) * 2003-01-24 2003-04-14 주식회사 카서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of receiving signal electrical stimulation type possible wearing wrist
KR20070019907A (en) * 2005-08-13 2007-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9A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9670B2 (en) Portable terminal
KR101595384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1587138B1 (en) Mobile terminal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09871B1 (en) Portable terminal
EP2402139A2 (en) Mobile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bile terminal
CN101964446A (en) Portable terminal
US7054670B2 (en) Cellular phone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3738195B2 (en) Mobile phone terminal
KR20090083238A (en) Portable terminal
KR101441921B1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10136388A (en) Digital camera for handheld terminal, and digital camera system
JP4093052B2 (en) Mobile phone with assembly options
KR101454240B1 (en) Earj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215309B1 (en) Digital steel camera combined handphone
KR20110131750A (en) Mobile terminal
WO2006003483A1 (en) Slidable keypad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JP2003273988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74440B1 (en) mobile terminal
CN111313979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030654B1 (en) Portable terminal and circuit implementing method thereof
KR10158709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61912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inimizing mic noi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