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68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689B1
KR101441689B1 KR1020080035941A KR20080035941A KR101441689B1 KR 101441689 B1 KR101441689 B1 KR 101441689B1 KR 1020080035941 A KR1020080035941 A KR 1020080035941A KR 20080035941 A KR20080035941 A KR 20080035941A KR 101441689 B1 KR101441689 B1 KR 10144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fterimage
display
gra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0439A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689B1/en
Priority to CN2008101867691A priority patent/CN101494798B/en
Publication of KR2009011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4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잔상 제거 모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휘도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휘도로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a residual image removal mode request signal, a step of confirming a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a step of detecting at least one ima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영상표시기기, 잔상 제거 Image display device, afterimage removal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상이 생길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잔상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or remove an afterimag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residual image may occur.

영상표시기기에서 티브이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국하고 복조하여 음성 및 영상으로 분리하고 해당 음성 및 영상처리를 거쳐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기기로서 그 종류는 CRT(Cathod Ray Tube), 고화질/대화면 특성을 만족시키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lay Panel)등을 이용한 티브이가 있다. In a video display device, a television is a video device that selects and demodulates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separates the broadcast signal into audio and video, and outputs the broadcast and audio through a screen and a speaker There are TVs using CRT (Cathod Ray Tube), LCD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satisfies high definition / large screen characteristics, and PDP (Plasma dislay Panel).

특히 PDP티브이의 경우 그 구조적 특성상 기존의 CRT에 비해 상당히 얇게 제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LCD에 비해 휘도 특성이 뛰어나고 고선명 대형 화면의 구현이 가능한 단점이 있음에 따라 벽면 설치 등의 레이아웃 특성이 뛰어나 차세대 티브이로 각광 받고 있다. In particular, PDP TVs can be manufactured much thinner than conventional CRTs due to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y have excellent luminanc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LCDs and can realize high-definition large-screen displays. Therefore, they have excellent layout characteristics such as wall mounting, Be in the spotlight.

그런데 용도에 따라 또는 디스플레이 용도에 따라 영상에 따라 특정 글자를 오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와이드 화면을 설정하여 장시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LCD제품군의 경우는 경계부위에 장시간의 잔상을 남기게 되며, PDP티브이는 셀의 열화가 발생하여 제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다. However, when a specific character is displayed for a long time or a wide screen is set for a long tim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r according to the display purpose, the LCD product group leaves a long afterglow on the boundary portion, Which may cause fatal damage to the product.

또한 대부분의 영상표시기기는 라인별 또는 픽셀별 전압 인버젼을 걸어주는데, 이때 결과적으로 필드 별도로 전압 인버전이 걸리게 된다 이때 공통전압은 모두 동일한게 이상적이지만 실제로는 다소의 전압차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원인과 외부의 환경적인 원인에 의해 잔상 및 화면셀의 열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 정지화상이 오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되면 잔상이나 열화가 나타날 수 있다. In addition, most image display devices have a line-by-line or pixel-by-pixel voltage version, which results in a voltage-independent version of the result. In this case, the common voltages are all the same, The afterimage and the screen cell deteriorate due to an external environmental cause. If this still image is displayed for a long time, after-image or deterioration may occur.

예를 들어 터미널 또는 공항에 설치된 운행 스케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우 동일한 포맷의 표에 일부 문자 또는 숫자 기호 등만 변경되도록 함에 따라 스케줄 표의 구분(경계)선은 계속적인 동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티브이 전파 중 또는 영상에서 문자나 도형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장시간 동일 화면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화면의 전환이 발생해도 이전 화면의 영상이 남아서 잔상(image sticking)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operation schedule installed at a terminal or an airport, only a part of characters or numerical symbols are changed in a table of the same format, Display. In addition, since a screen displayed by a character or a graphic in the image of a TV transmission or an image often displays the same screen for a long time, the image of the previous screen remains and the image sticking phenomenon occurs even if the screen is switch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효과적인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n effective afterimage-remov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영상표시기기의 내부적 기능에 따라 영상의 종류 및 휘도에 따른 잔상 제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a residual image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brightness of an im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n internal func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일 양상은 잔상 제거 모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휘도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휘도로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video imag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afterimage removal mode request signal; confirming a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And displaying 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에 대한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값을 추출하고, 상기 휘도값에 대한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추출된 휘도에 따라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그레이 스케일링을 통해 추출된 휘도값의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displaying an afterimage-free image with respect to the image, a luminance unit for extracting a luminance value for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rayscaling to perform grayscaling according to the brightness extracted from the video signal processor and displaying the afterimage-free image of the brightness value extracted through gray scaling, do.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잔상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잔상 제거 모드 수행 중에도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afterimage removal function quickly and easily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performing the afterimage removal mode that minimizes the loss of the displayed image even during the afterimage removal mode .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ereinafter, an image display device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100)는 수신부(110), 처리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10, a processing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memory unit 150, and an interface unit 170.

상기 수신부(110)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부(120)는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A/D컨버터(122),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 및 영상 메모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130)는 영상 신호 출력부(131), 디스플레이부( 132), 음성신호 출력부(133) 및 스피커(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110 may include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nd a tuner unit 112. The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n image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an A / D converter 122, A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and an image memory unit 124. The output unit 130 includes a video signal output unit 131, a display unit 132, a voice signal output unit 133, And a speaker 134.

상기 외부신호 입력부(11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셋탑박스(Set Top Box),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신호 입력부(111)는 다수의 이미지 등을 저장하고 있어,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독출하여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32)에서 디스플레이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저장매체와의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set top box, a camcorder, or the like, and provides the signal to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lurality of images and the like and reads the image by a user's request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132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an external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edited image.

상기 튜너부(112)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고 그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된 영상/음성/데이터 신호를 디코딩 또는 분리하여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등으로 제공한다. The tuner unit 112 tunes at least one channe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and decodes or separates the video / audio / data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uned channel, ).

상기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상기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로부터 제공받는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그 채널의 영상/음성 신호를 필요에 따라 분리한 후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 등으로 제공한다.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는 영상/음성/데이터 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디멀티 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selects at least one channel among the channels provid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and the tuner unit 112 and separates the video / audio signal of the channel A post-MPEG decoder and a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and the like.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may include a demult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video / audio / data signals.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그 아날로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분리된 후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122)에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제공되고 그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출력부(133)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그 디지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모두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signal selected by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is an analog signal,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analog signal are separated, and the analog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ideo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22 An MPEG decoder and a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and the analog audio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If the signal selected by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is a digital signal, bot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can be provided to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상기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의 출력신호 중 영상/음성 스트림을 영상/음성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 러 처리하며, 그 처리된 영상신호는 영상 신호 출력부(131)로 제공되고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 신호 출력부(133)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제어부(140)가 제공하는 OSD데이터와 복원 및 처리된 영상신호를 믹스할 수 있다.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restore and process the video / audio stream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as video / audio data, The audio signal provided to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131 and processed is supplied to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The MPEG decoder and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may mix the OSD data provided by the controller 140 and the restored and processed video signals.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디스플레이모듈(132)에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출력되는 원 영상의 휘도와 가장 근접한 그레이 톤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그레이 톤을 원 영상에 모자이크 형태로 해당 픽셀(Dot)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잔상 제거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을 처리한다. In particular,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 the brightness of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module 132 and perform gray scaling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image,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adjacent gray tones. And processes the image for outputting the afterimage-free image so that the gray tone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pixel (Dot) in a mosaic form on the original image.

상기 영상메모리부(124)는 상기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의 디코딩 및 신호처리시 요구되는 메모리 영역을 제공한다. 특히 영상메모리부(124)는 메모리부(150)와 동일한 컨텐츠를 방영하는 다른 채널을 찾는 탐색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 기호이용단계와 영상비교단계가 수행될 때 둘 이상의 채널의 내용적 동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The image memory unit 124 provides a memory area required for decoding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Particularly, the image memory unit 124 can be used in a search step for searching for another channel broadcasting the same content as the memory unit 150. When the symbol use step and the image comparison step are performed, Used to compare.

영상신호 출력부는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3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고, 음성 신호 출력부(133)는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13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한다.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in a form that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2.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33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nd processe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23 in such a form that it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134. [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132)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잔상 제거 모드 수행에 따른 메뉴 및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그에 따른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module 13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menu and a progress stat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displays a residual image.

인터페이스부(170)는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나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로컬 키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라 잔상 제거 모드 동작에 따른 메뉴입력 및 동작 요청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for example, a local key button provided in a remote controller or a video display device.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various commands and information from a user, converts the command into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nu input and an operatio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n afterimage mode operation are received from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그레이 스케일링 시 영상의 휘도에 다른 적절한 그레이 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추출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7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gray tone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of an image during gray scaling from a user or receiving an extraction request signal.

제어부(140)는 튜너부(112),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및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를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의 다른 구성 요소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uner unit 112,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and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and also controls other component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can be designed and connected for control.

제어부(140)는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및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영상/음성 신호를 독출하여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store the video /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video / audio signal switching unit 121 and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23 in the memory unit 150, And can be provided to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by reading the stored video / audio signals.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간 또는 영상의 전환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며, 그에 따른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영상의 휘도에 따른 그레이 톤을 추출하기 위한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그에 따라 추출된 그레이 톤으로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40 checks whether the display time of the display image or the imag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s the afterimage removal mode accordingly. Further,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o perform gray scaling for extracting gray tone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image, and controls to display the afterimage-free image with the extracted gray tones.

메모리부(150)는 제어메모리부(152)와 데이터 메모리부(154)로 구성된다. 제어메모리부(152)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제어부(140)가 생성 및 관리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부(154)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emory unit 150 includes a control memory unit 152 and a data memory unit 154. The control memory unit 152 stores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or data generated and managed by the control unit 140. [ The data memory unit 154 also stores a data broadcast signal or the like receiv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는 튜너부(112) 또는 외부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부(120)에서 소정의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32)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제어부(140)에서 소정 시간 동안의 동일 영상 출력 또는 영상의 전환이 발생한 경우 엠펙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에서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모자이크 형태로 각 픽셀(Dot)에 영상을 소정 규칙에 의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unit 112 or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through the display unit 132 through the predetermined processing in the processing unit 120 . In this case, when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or the same video output or image switching for a predetermined time occurs in the control unit 140,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audio signal processor 123 perform the afterimage- So that the image is displayed on each pixel (Dot) by a predetermined rule.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fterimage removal opera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rough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 흐름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잔상 제거 동작을 위한 메뉴 선택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영상 추출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이다. FIG. 2 is a flowchart of a residual image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a menu for a residual image removal operation is selected in FIG.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in the afterimage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또는 튜너부(112) 또 는 외부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2)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신호 출력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205단계)The control unit 14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 video signal output mode for displaying the video signal requested by the user or received through the tuner unit 112 or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1 on the display unit 132 (Step 205)

영상 출력 모드 수행 중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210단계) 선택받은 조정 메뉴에 따른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215단계) 도 3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조정 메뉴에 따른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화면 예시도 이다. When a menu selection signal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during the video output mode in operation 210, the submenus according to the selected adjustment menu are displaye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sub menu according to an adjustment menu selected by a user.

영상 출력 모드시 메뉴를 선택받으면 도 3의 (a)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영상표시기기에 다양한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도 3의 (a)에서와 같이 다양한 메뉴 중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 3(b)에서와 같이 잔상 제거 메뉴를 선택 받는다.(225단계)When the menu is selected in the video output mode, a menu capable of adjusting various functions is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of FIG. 3 (a). 3 (b), the user selects the afterimage removal menu to perform the afterimage removal mode of various menus as shown in FIG. 3 (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받은 잔상 제거 메뉴에 따라 수행하고자 하는 잔상 제거 방식을 선택 받는다(230단계) 종래의 잔상 제거 방식에 따른 이동, 반전 등의 방식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 스케일링(gray scalimg) 방식을 도 3의 (c)에서와 같이 선택받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235단계)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그레이 스케일링 방식을 선택받지 않은 경우 해당 잔상 제거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240단계)Thereafter, the control unit 140 selects a residual image removal method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ed residual image removal menu (step 230).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moving and reversing according to the residual image removal metho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gray scaling method is selected as shown in FIG. 3C (step 235). If the gray scaling method is not selected, (Step 240)

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그레이 스케일링을 통한 잔상 제거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휘도를 확인하도록 한다.(245단계) 영상의 휘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종래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 signal for performing the afterimage-removing operation through grayscaling is inputted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40 checks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Step 245) ≪ / RTI > method.

제어부(140)는 상기 확인된 휘도에 따른 유사한 그레이 톤(tone)을 추출하기 위해 도 4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그레이 스케일링(gray scaling)을 수행한다.(250단계) 도 4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확인된 디스플레이 영상에 대한 휘도와 유사한 휘도의 그레이 톤을 검색하여 해당 그레이 톤으로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gray scaling to extract similar gray tone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brightness as illustrated in the screen example of FIG. 4. (Operation 250) FIG. And a gray-tone of a luminance similar to the luminance of the displayed display image is searched to perform the afterimage-removing mode with the corresponding gray-tone.

상기 그레이 스케일링 수행시 도 4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그레이 스케일링의 진행 상태 등을 나타낸는 바(Bar)를 디스플레이부(134)에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그레이 스케일링 시 사용자가 직접 영상의 휘도와 유사한 톤의 그레이를 검색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키 입력을 받아 그레이 톤을 추출할 수도 있다. When the gray scaling is performed, a bar indicating progress of gray scaling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4 as shown in a screen example of FIG. Alternatively, the user may receive a key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to search for gray in a tone similar to the luminance of the image in grayscaling, and extract the gray tone.

예를 들어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32)에 도 4의 예시도와 같이 가로/세로 형태의 바(bar)를 표시하되 상기 바는 양측단이 블랙(0,0,0), 화이트(255, 255, 255)로 그라데이션 된 상태로 영상의 휘도에 따른 그레이 톤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확인된 영상의 휘도에 해당하는 그레이톤의 휘도값과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화살표의 좌/우 이동을 통해 수동으로 그레이 톤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signal for performing gray scaling is inputted, a bar of a horizontal / vertical for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32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4, ), And white (255, 255, 255), so that a gray tone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an be extracted. At this time, the brightness value and the position of the gray tone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identified image can be displayed, and the user can manually extract the gray tone by moving the arrow through the key input.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상기 그레이 스케일링을 통해 추출된 그레이 톤으로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 한다.(255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영상표시기기의 각 픽셀에 상기 추출된 그레이 톤의 영상을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그레이 톤은 반투명(Blending)효과를 주어 좀 더 원 영상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operation 255,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the afterimage removal mode using the gray-tone extracted through the gray-scaling. (Step 255)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ed gray- 7 (a). In this case, the gray tone may be given a semi-transparent effect so as to further reduce the loss of the original image.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 7의 (a)와 같이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소정 시간 또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b)와 같이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은 픽셀에 대해 잔상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전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던 픽셀은 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자 요청 횟수 또는 임계치 횟수만큼을 반복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the afterimage-free image as shown in FIG. 7A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nd for the pixels that have not displayed the afterimage-removed image as shown in FIG. And the pixel which has displayed the previous afterimage-free image may display the original image repeatedly by the number of times requested by the user or by the threshold number of times.

이후 제어부(140)는 상기 잔상 제거 모드의 수행이 완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260단계) 잔상 제거 모드 수행이 완료됨을 확인한 경우 이전 영상의 출력을 계속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265단계)In operation 260,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afterimage removal mode has been completed. If the afterimage removal mode has been completed, the controller 140 continues to display the output of the previous imag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방법은 사용자 요청에 의해 영상표시기기의 다양한 메뉴중 잔상 제거 메뉴 및 그에 따른 그레이 스케일링 방식의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선택받은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휘도 및 상기 휘도와 근접한 그레이 톤을 추출하기 위해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fterimage-remo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afterimage-removing menu among the various menu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n performs the afterimage-removing mode of the gray- And performs gray scaling to extract the luminance and the gray tone close to the luminance.

이후 상기 그레이 스케일링을 통한 그레이 톤 추출이 완료되면, 원 영상에 모자이크 영상이 중첩되어 보이는 것과 같이 모자이크 형태로 각 픽셀(dot)에 상기 그레이톤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Then, when the gray-tone extraction through the gray-scaling is completed, the gray-tone image is displayed on each dot in a mosaic form as if the mosaic image is superimposed on the original image.

또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 흐름도이다. 상술한 일 실시 예에서와 유사한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간단히 언급하도록 한다. Or the flowchart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of a residual image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imilar operation to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briefly referred to.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영상 출력 모드 수행 중(405단계) 기 설정된 임계치 시간동안 동일한(또는 정지된) 영상이 출력되는 지를 판단한다.(410단계) 이후 제어부(140)는 동일한(또는 정지된) 영상이 임계치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에게 잔상 제거 모드를 수행함을 알리는 OSD를 디스플레이하고(415단계) 이후 상술한 일 실시 예의 동작과 유사한 잔상 제거 알고리즘을 수행한다.(420단계~440단계)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same (or stopped) image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during the video output mode (step 40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ame (or still)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for the threshold time, the OSD informing the user to perform the afterimage cancellation mode is displayed (step 415). Thereafter, the afterimage cancellation algorithm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Steps 420 to 440)

이때 또한 일 실시 예와 유사하게 영상의 휘도에 따른 그레이톤 추출 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수동 추출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similarly to the embodiment, manual extraction by user input is possible when extracting gray tones according to brightness of an im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방법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a residual image removing metho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어부(140)는 영상출력모드 수행 중(505단계) 화면 전환이 발생함을 감지하면(510단계) 화면 전환 이전의 영상이 임계치 시간동안 동일한(또는 정지된)영상을 디스플레이하였는지를 판단한다(515단계) If it is detected in step 510 that the same image has been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previous image is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step 515) )

제어부(140)는 판단결과 동일한 영상을 임계치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하지 않은 경우라면 전환된 화면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545단계) 반면 제어부(140)는 임계치 시간동안 동일 영상이 디스플레이됨을 확인한 경우 잔상 제거 모드 수행을 알리는 OSD를 디스플레이부(134)에 표시하고(520단계) 이후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한다.(525단계~545단계)If the same image is not displayed for the threshold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o display the image on the switched screen (step 545).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at the same image is displayed during the threshold time, The OSD indicating the removal mode execu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4 in step 520 and then the afterimage removal algorith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 흐름도. 2 is a flowchart of a residual image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을 위한 메뉴 선택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a menu for a residual image removal opera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 흐름도. 4 is a flowchart of a residual image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 흐름도. 5 is a flowchart of a residual image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 영상 추출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잔상 제거 동작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an afterimage-free image is extra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in the afterimage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잔상 제거 모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단계;A step of receiving a residual image removal mode request signal;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휘도를 확인하는 단계;Determining a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상기 확인된 휘도로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And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in at least a region for the predetermined time with the determined brightness, 상기 영상의 휘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휘도와 근접한 휘도의 그레이 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Wherein the step of verify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omprises performing gray scaling to extract a gray tone of brightness close to the brightness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제거 모드는 임의 영상이 제2영상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fterimage mode is performed when an arbitrary image is converted into a second image and display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제거 모드는 임의 영상이 소정 시간 동안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소정 주기 마다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fterimage mode is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when an arbitrary image is displayed as a still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시 OSD화면으로 그레이 스케일링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y scale image is displayed on the OSD screen when the gray scaling is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스케일링은 화면에 그레이 스케일링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그레이 톤의 휘도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yscaling is performed by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grayscaling on a screen and extracting a selected gray-toned luminance according to a user's input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모자이크 형태의 잔상 제거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image is a mosaic-type afterimage-removing image. 제 7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픽셀은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던 픽셀은 잔상 제거 영상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  8.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ixels displaying the image after-image removal for a predetermined time display the original image, and the pixels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are switched to the afterimage- Removal metho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제거 영상은 추출된 휘도에 해당하는 반투명(blending)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fterimage-removing image is a blen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brightness.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A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에 대한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displaying an afterimage-free image with respect to the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값을 추출하고, 상기 휘도값에 대한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부;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luminance value for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performing gray scaling on the luminance value;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추출된 휘도에 따라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그레이 스케일링을 통해 추출된 휘도값의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perform grayscaling according to the brightness extracted by the video signal processor and to display an afterimage-free image of the brightness value extracted through the gray scaling.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제1영상에서 제2영상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제2 영상의 휘도에 따른 그레이 스케일링을 통해 추출된 휘도의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afterimage-free image of luminance extracted through grayscaling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소정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And controls to display at least one image in at least a partial reg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controlling to display the afterimage-removed imag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추출된 휘도에 따른 그레이 톤을 반투명(Blending)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perform a Blending process and display the gray tone according to the extracted brightness. 제 10항에 있어서, 잔상 제거 영상은 모자이크 형태의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afterimage-free image is a mosaic-type imag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그레이 스케일링을 수행시 OSD화면으로 그레이 스케일링에 따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gray scaling on an OSD screen when the gray scaling is perform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잔상 제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픽셀은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던 픽셀은 잔상 제거 영상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Wherein the pixels displaying the image afterglow for a predetermined time display the original image and the pixels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are switched to the afterimage-free image for display.
KR1020080035941A 2008-04-18 2008-04-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KR101441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41A KR101441689B1 (en) 2008-04-18 2008-04-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CN2008101867691A CN101494798B (en) 2008-04-18 2008-12-26 Image retention removing device and method i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41A KR101441689B1 (en) 2008-04-18 2008-04-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439A KR20090110439A (en) 2009-10-22
KR101441689B1 true KR101441689B1 (en) 2014-11-03

Family

ID=4092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941A KR101441689B1 (en) 2008-04-18 2008-04-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1689B1 (en)
CN (1) CN10149479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77B1 (en) * 2013-09-05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mage display and driving mehtod thereof
KR102196112B1 (en) * 2014-06-02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247A (en) * 2002-06-2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KR20070012009A (en)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of pdp tv having pat
KR100760680B1 (en) * 2005-12-30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function of removing image sticking
KR100786128B1 (en) 2006-01-05 200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sticking, and image sticking removing method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14B1 (en) * 2005-07-29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afterimag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247A (en) * 2002-06-2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KR20070012009A (en)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of pdp tv having pat
KR100760680B1 (en) * 2005-12-30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function of removing image sticking
KR100786128B1 (en) 2006-01-05 200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sticking, and image sticking removing method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4798A (en) 2009-07-29
KR20090110439A (en) 2009-10-22
CN101494798B (en)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223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having function of screen quality improve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9991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image quality
US20060221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416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KR100642359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screen
JP2008102233A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EP18482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image aspect ratio conversion
JP4092590B2 (en) Panel-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plasma television
CN103034405A (en) Display method for screen display frames
KR100607264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screen ratio of the same
JP4876848B2 (en) Video scaling system and television receiver
KR20060116529A (en) Method for protecting a screen ocular spectrum of picture display device
KR10054387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utomatic eliminating image sticking for pdp
JP200530339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4750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87935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050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cular spectrum of a screen of an image display device
KR100830423B1 (en) Method for channel setting and changing of digital television
KR100633069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74831B1 (en) Method of learning language for video display appliance having screen protection function
KR100242113B1 (en) Korean character deleting device of tv set
KR100404218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for DTV
KR100728923B1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afterimage and afterimage reduction method thereof
EP2802141A1 (en) Channel registering apparatus and channel registering method
KR201000726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