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835B1 - 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 Google Patents

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835B1
KR101437835B1 KR1020120119550A KR20120119550A KR101437835B1 KR 101437835 B1 KR101437835 B1 KR 101437835B1 KR 1020120119550 A KR1020120119550 A KR 1020120119550A KR 20120119550 A KR20120119550 A KR 20120119550A KR 101437835 B1 KR101437835 B1 KR 10143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pr
airbag
ves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3523A (en
Inventor
박상섭
Original Assignee
박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섭 filed Critical 박상섭
Priority to KR102012011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835B1/en
Publication of KR2014005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8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6Power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3/00Devices for allowing seemingly-dead persons to escape or draw attention; Breathing apparatus for accidentally buried per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 소생술(CPR)을 실시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상반신 전면부에 착용시키는 조끼형태의 장치로서, 심장 박동 정지 환자 발생시에 신속하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심폐 소생술(CPR)을 실시하여 환자의 심장 박동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심장 박동 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신속하게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장 박동 정지 환자에 대하여 에어 펌프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한 자동 심폐 소생술 및 인위적인 압박에 의한 수동 심폐 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조끼 형태의 심폐 소생술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st type device to be worn on the front part of the upper part of a subject so that CPR can be performed. The CPR can be per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CP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storing heartbeat to a normal heartbeat, and a device for rapidly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patients suffering from cardiac arres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st type CPR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utomatic CPR by manual control of CPR and manual CPR by artificial compression.

Description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0001] Vestmen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s [0002]

본 발명은 심폐 소생술(CPR)을 실시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상반신 전면부에 착용시키는 조끼형태의 장치로서, 심장 박동 정지 환자 발생시에 신속하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심폐 소생술(CPR)을 실시하여 환자의 심장 박동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st type device to be worn on the front part of the upper part of a subject so that CPR can be performed. The CPR can be per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CPR It is designed to restore the beating to normal.

일반적으로 심폐 소생술이란 인공순환과 인공호흡을 통하여 인체 내의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하여 심장 박동 정지로 인한 인체 주요 장기의 비가역적 손상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심장 박동을 회복시켜서 심장 박동 정지 환자를 소생시킬 수 있는 치료 기술을 말한다. 그러나 심장 박동 정지의 발생은 예측이 어렵고 심장 박동 정지의 60 ~ 80%는 가정, 직장, 길거리 등의 의료시설 이외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심장 박동 정지가 발생한 후 4 ~ 6분이 경과 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시작되기 때문에 심장 박동 정지 발생을 처음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여야 심장 박동 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심장 박동 정지 발생현장에서부터 심폐 소생술이 시작되면 심장 박동 정지 환자가 생물학적 사망으로 진행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목격자에 의해 심폐 소생술이 적절히 시행된 경우에는 시행되지 않은 경우보다 심장 박동 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무려 2 ~ 3배 정도로 높게 나타난다.In gener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the maintenance of oxygen supply to tissues in the body through artificial circulation and artificial respiration to prevent irreversible damage to major organs of the body due to cardiac arrest, and ultimately to restore the patient's heart rate, This is a treatment technique that can revive a patient who has stopped. However, the occurrence of cardiac arrest is difficult to predict and 60-80% of cardiac arrest tends to occur outside the home, workplace, street, and other medical facilities. A person who first noticed a heartbeat stop can immediately resum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ecause the fatal brain damage begins 4 to 6 minutes after the heartbeat stop has occurred. I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initiated from the onset of cardiac arrest, it may delay the progression of the cardiac arrest to biological mortality, and i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properly performed by witnesses, the survival rate It is as high as 2 ~ 3 times.

심장 박동 정지 환자를 소생시키려면 심장 박동 정지가 발생한 후 되도록 빠른시간 내에 호흡을 유지하고 혈액을 순환시켜서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심폐 소생술은 인공호흡과 인공순환을 시행하여 인체 내의 조직으로 산소 공급을 유지하여 환자의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는 치료 기술이다. 이처럼, 심폐 소생술은 전문의료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반드시 익혀두어야 할 중요한 응급치료 기술이 되었고 심폐 소생술이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심장 박동 정지가 발생한 환자 중 상당수가 생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심장 박동 정지 환자 발생을 목격한 사람은 심장 박동 정지의 발생을 응급의료체계에 알리고, 심장 박동 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인공 호흡과 가슴 압박을 시행하여 신체 장기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심폐 소생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심폐 소생술 시행시 가슴압박 깊이는 5cm 이상, 압박 속도는 분당 100회 이상으로 적절한 압박과 이완의 힘에 작용이 되어야 한다. In order to revive a patient with heart palsy, oxygen should be supplied to the tissue by maintaining the breathing and circulating blood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heartbeat stop has occurr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a therapeutic technique that restores the patient's heartbeat by performing artificial respiration and artificial circulation to maintain oxygen supply to tissues within the body. As suc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irst-aid technique that must be mastered by both professionals and the general public, and CPR has become widespread, and many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cardiac arrest outside the hospital have survived. Therefore, a person who witnessed a heartbeat-stopping patient informs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of the occurrence of a heartbeat stoppage, and as a first-aid measure for a patient with a heartbeat stoppage, performs artificial respiration and chest compression to maintain the oxygen supply to the body org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hould be performed. When CPR is performed, the chest compression depth should be more than 5cm and the compression rate should be more than 100 times per minute.

심폐 소생술의 실행 순서는 심장 박동 정지 환자를 발견하면 첫째, 무호흡 또는 비정상 호흡(심장 박동 정지 호흡)인지 확인한다. 둘째, 119 신고 및 자동제세동기를 요청한다. 셋째, 맥박을 확인하기 위해 목 동맥을 살펴봐서 맥박이 없으면 외부에서 가슴을 압박함으로써 인공적으로 혈액순환이 되도록 해주어야 하며 성인의 경우 분당 100회 속도로 시행한다. 심장 압박과 인공호흡을 30 : 2 비율의 5주기로 시행하며 심폐 소생술은 정상적인 호흡과 순환이 회복될 때까지, 그리고 고도의 전문의료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때까지 중단하지 말고 계속 시행하여야 한다. The CPR procedure is to determine if a heart rate arrest patient is first, apnea or abnormal breathing (heart rate stop breathing). Second, call for 119 reporting and automatic defibrillation. Third, to check the pulse, we should look at the artery of the throat and if there is no pulse, press the chest from the outside to artificially circulate bloo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hould be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until normal respiration and circulation is restored, and with the assistance of a highly trained medical professional,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five cycles of 30: 2 ratio.

이와 같은 심폐 소생술에서 흉부 압박은 환자의 혈액 순환을 보조하는 방법으로 심장정지 상태에서는 인체의 뇌, 심장을 포함한 중요 장기로의 혈류가 멈추게 되므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여 일정한 정도의 혈액 순환을 유지시킬 수 있다. In such a CPR, chest compressions assist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patient. In the cardiac arrest state, the blood flow to the important organs including the brain and the heart of the human body is stopped, so that the patient's chest is pressed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blood circulation .

표준화된 2010년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흉부압박을 분당 최소 100회의 압박 수로 압박 깊이는 최소 5cm(2인치) 이상의 범위로 시행되도록 권장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흉부압박속도나 깊이가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했으며, 기관 내 삽관이 시행된 환자에게는 분당 8 ~ 10회의 환기를 보조하도록 권장되고 있으나 과 호흡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고 과 호흡은 흉강 내 압력을 높여서 관상동맥관류압을 낮추어 결과적으로 자발순환회복의 가능성을 낮춘다.The standardized 2010 CPR Guidelines recommend that chest compressions be performed at a minimum of 100 compressions per minute and compression depths of at least 5 cm (2 inches), but in practice, chest compressions and depths are often lowered , And 8 to 10 ventilations per minute are recommended f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racheal intubation. However, excessive respiration is often induced, and hyperventilation increases the pressure in the thoracic cavity to lower the coronary perfusion pressure, .

그러므로 심장정지와 익사 사고 등과 같은 사고 발생시 정상적인 호흡과 순환을 회복시키기 위한 응급조치인 심폐 소생술을 정확하게 시행하기 위한 보조적인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n auxiliary device is needed to accurately perform CPR, which is a first aid for restoring normal breathing and circulation when an accident such as a cardiac arrest or a drowning accident occur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31116호에 소생술이 필요한 환자를 소생하려고 시도하는 구조자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환자를 소생할 때 구조자를 보조하는 지령 및 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환자의 신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62951호에 환자의 흉부 상단에서의 제 1 압박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 환자의 흉부 하단에서의 제 2 압박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 및 측정된 제 1 압박 가속도와 제 2 압박 가속도를 기초로 CPR 수행시에 환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압박 깊이를 추정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하여 두 개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흉부 압박 깊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여 흉부 압박 깊이를 측정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오차를 줄일 수 있는 CPR에서 환자 흉부 압박 깊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78911호에는 심폐 소생술 시행자로 하여금 흉부압박과 환기를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시각 또는 청각으로 된 흉부압박 보조신호와 환기보조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시청각 신호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An apparatus, a method and a system for assisting a rescuer attempting to resuscitate a patient requiring resuscitation are disclosed in,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31116 as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figured to be placed in a patient's body in order to provide a command and an indicator for assisting a rescuer in resuscitating a patient and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2951, A first sensor for measuring a compression acceleration, a second sensor for measuring a second compression acceleration at the lower thoracic part of the patient, and a second sensor for measuring a first compression acceleration and a second compression acceleration based on the measured first compression acceleration and the second compression accelera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hest compression depth by using two acceleration sensors including a calculation device for estimating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hest,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atient's chest compaction depth in a CPR that can reduce errors that occur when measuring a chest compression depth using only a sensor. 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78911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PR using an audiovisual signal in order to provide a chest compressive assist signal and a ventilation assist signal in visual or auditory sense so that a CPR practitioner can accurately perform chest compressions and ventilation And a resuscitation assist device.

그러나, 상기의 선행 기술들은 심장 박동 정지 환자를 상대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때, 외부에서 전문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한 도움을 필요로 하며, 구조자가 스스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기에는 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require a wired or wireless assistance from an external expert when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gainst patients with heart palsy, and the rescuer has no choice but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imself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구조자가 능숙하게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라면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고, 구조자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기에 능숙하지 않다면 자동으로 조작하여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위급한 심장 박동 정지 환자를 응급구조 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scuer can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using the automatic and manual resuscit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are not proficient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you can perform CPR with automatic operation, so you can rescue emergency cardiac arrest patients in an emergency.

본 발명은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로서, 심장 박동 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신속하게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장 박동 정지 환자에 대하여 에어 펌프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한 자동 심폐 소생술 및 인위적인 압박에 의한 수동 심폐 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조끼 형태의 심폐 소생술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 resuscitation apparatu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rapidly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n patients suffering from heart pals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vest type CPR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utomatic CPR by automatic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pump and manual CPR by artificial compression.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심폐 소생술 장치의 해결 수단으로 인체의 흉부와 복부 부위를 포함하는 전면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조끼 형태의 심폐 소생술 장치는 조끼 형태의 본체와, 본체 전면의 중앙상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가슴 부위 정 중앙을 양손으로 잡고서 누르고 떼는 피스톤 운동을 반복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LED 표시등이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커넥트, 에어호스 및 에어펌프와, 환자의 흉부와 복부를 포함한 전면부에 본체를 착용을 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어깨부와 측면에 구비된 벨트 및 벨트 결합부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는 동안 압박의 압력과 횟수를 체크 할 수 있도록 본체 내부 에어백의 바닥면에 구비된 압력센서로 이루어진다.A vest type CPR device configured to cover a front part including a thorax and an abdomen of a human body as a solution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the form of a vest, A handle provided with an LED indicator for holding the center of the chest of the chest with both hands and allowing the piston movement to be repeatedly depressed and released, an air connector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airbag provided in the body, an air hose and an air pump A belt and a belt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allow the main body to be worn on the front portion including the chest and abdomen of the patient and the pressure and frequency of the pressure during CPR And a pressure senso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bag in the main body.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끼 형태의 심폐 소생술 장치는 환자의 상반신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반신 전면을 덮고서 환자의 등 뒤로 본체의 어깨부 및 측면에 구비된 벨트를 돌려 감아, 본체 전면의 측면에 구비된 벨트 결합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본체가 환자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환자를 눕힌 상태로 본체 전면의 중앙상부에 위치한 손잡이를 양손으로 꽉 쥐고서 환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누르고 떼면서 압박을 반복하여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Since the vest type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entire upper body of the patien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covered with the body, and the belt provided on the shoulder pa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is firmly fixed to a belt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tient. While holding the patient in a lying down state, hold the handle locat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main body with both hands and press the patient vertically It is done by repeating CPR and releasing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폐 소생술 장치는 에어펌프를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에어백에 주입하거나 빼는 작용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면서, 에어백의 팽창압력에 의한 피스톤 효과로 심폐 소생술을 자동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CPR with the piston effect by the inflation pressure of the airbag while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ction of injecting or removing the compressed air into or from the airbag using the air pump.

본 발명에 따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는 구조자가 장치의 가슴 정중앙 부분에 위치한 손잡이를 잡고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때, 압박 깊이가 최소 5㎝(2인치), 압박 횟수가 분당 최소 100회 이상이면 컨트롤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정상범위로 판단하고 LED 표시등에서 청색 등이 점멸되어 현재 심폐 소생술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시행하고 있음을 구조자에게 인지해 줄 수 있어서 올바른 심폐 소생술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고현장에서 심장 박동 정지 환자에게 간편하게 조끼 형태의 심폐 소생술 장치를 착용시키고 자동으로 제어되는 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심폐 소생술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심폐 소생술에 능숙하지 못한 비전문인도 당황하지 않고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학교, 예비군, 민방위 등의 교육현장에서 응급 소생술을 교육하거나 실습할 때 중요한 교보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자료로서의 효과도 있다.The vest-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scuer grasps the handl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hest of the device and perform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pressure is at least 5 cm (2 inches) If it is more than twice, the control control unit senses it and judges it as the normal range, and the blue light flashes on the LED indicator, so that the rescuer can recognize that the current CPR is performed correctly and correctly, thereby inducing correc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n be easily worn on a patient with a cardiac arrest at an accident site, and CP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an air pump tha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Resuscitation can be carried out, and school, When training for emergency resuscitation, or practice in the field of education, such as military, civil defense is also effective as an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gyobojae.

도 1은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측면 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착용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본 발명에 따른 심폐 소생술 장치는 인체의 전면부에 착용 가능한 조끼 형태의 본체(1)와 상기 본체(1)는 그 전면의 중앙상부에 LED표시등(33, 34) 및 데이터 연결단자(51)를 구비한 손잡이(11) 및 전면의 하단 일측부에 구비된 압축공기 주입구인 에어커넥터(12)와, 에어펌프(14) 및 에어커넥터(12)와 에어펌프(14)를 연결하는 에어호스(13)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 본체(1)의 어깨부와 측면부에는 벨트(21)가 구비되고 본체(1) 전면의 양측단에 벨트결합부(22)가 구비되어 있다. A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 in the form of a vest which can be worn on the front face of a human body and LED indicators 33 and 34 and a data connection terminal 51 on the central upper part of the body 1, And an air hose 12 for connecting the air pump 14 and the air connector 12 to the air pump 14. The air hose 11 is provided with a handle 11 having a handle 11 and a compressed air inlet,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belt 21 at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thereof and a belt engaging portion 22 at both side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

상기 본체(1)는 환자의 신체 상부의 전면부에 착용 가능한 조끼의 형태를 취하며 심폐 소생술이 행하여지는 심장 박동 정지 환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심폐 소생술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본체(1) 전면의 중앙상부에 구비된 손잡이(11)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 소생술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심폐 소생술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조자가 직접 손잡이(11)를 잡고서 수동으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게 하며, 구조자가 손잡이(11)의 양 측면부를 잡고서 위아래로 누르고 떼는 것을 반복하는 피스톤 작용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서 심폐 소생술을 수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main body 1 takes the form of a wearable vest in the front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patient, protects the body of the patient who stops the cardiac pace in which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performed, assists the CPR, The handle 11 provided at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allows the rescuer to directly hold the handle 11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nually in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o the patient using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scuer can manually perform CPR as pressure is applied by the piston action that repeats pressing and releasing both sides of the handle 11 up and down.

또한, 손잡이(11)의 중앙부에 형성된 청색LED(33)와 적색LED(34)는 구조자가 손잡이(11)를 잡고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때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는 적정한 기준값에 맞도록 올바르게 실시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나타내며,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에 형성된 데이터 연결단자(51)는 외부기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로는 외부 모니터 또는, 외부 컴퓨터 등이 있다. The blue LED 33 and the red LED 3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11 allow the rescuer to visualize whether or not the rescuer correctly performs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 data connection terminal 51 formed at one side of the handle 1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an external monitor or an external computer.

외부 모니터 및 외부 컴퓨터를 데이터 연결단자(51)를 통해서 본체(1)와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본체(1)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심폐 소생술의 압박 압력, 압박 깊이 등을 표시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tate of the main body 1 in real time by connecting the external monitor and the external computer to the main body 1 through the data connection terminal 51 and display the pressure and depression depth of the CPR Or transmit data.

상기 본체(1)의 어깨부 및 측면에 위치한 벨트(21)는 환자의 등과 어깨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1) 전면의 양 측단에 구비된 벨트 결합부(22)에 상기의 벨트(21)가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환자의 전면부에 착용 되어 본체(1)를 환자의 상반신과 완벽하게 고정하여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elt 21 located on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formed to surround the back and shoulder portions of the patient and is attached to the belt engaging portion 22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main body 1 can be completely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상기의 벨트(21)와 벨트 결합부(22)는 벨크로테이프, 지퍼, 단추 등과 같이 본체(1)와 환자를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에서 통상의 벨크로테이프로 예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belt 21 and the belt engaging portion 22 may be anything that is capable of tightly binding the main body 1 and the patient such as a velcro tape, a zipper, a button, and the like.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에어펌프(14)는 환자가 본체(1)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1) 내부에 위치한 에어백으로 압축공기를 주입 내지 배출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며 본체(1)의 형태는 부풀었다가 줄어드는 것을 반복되게 하고 이러한 반복작용을 통하여 환자의 상반신과 밀착된 본체(1)는 피스톤 효과에 의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게 되고 자동방식으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 air pump 14 automatically controls the injection or discharge of compressed air into the airbag in the main body 1 while the patient wears the main body 1 and the shape of the main body 1 is inflated and reduced The main body 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patient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operation causes the chest of the patient to be compressed by the piston effect and the CPR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도 2는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측면 내부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FIG. 2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본체(1)의 어깨부와 측면에 각각 형성된 벨트(21) 및 본체(1) 전면의 측단에 각각 형성된 벨트 결합부(22)와 상기 본체(1) 전면의 중앙상부에 손잡이(11)가 위치하며, 손잡이(11)는 청색LED(33)와 적색LED(34) 및 일측에 데이터 연결단자(51)가 형성되며 내부에 컨트롤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있다.A belt 21 formed on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a belt engaging portion 22 formed on th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a handle 11 disposed at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 And the handle 11 is formed with a blue LED 33 and a red LED 34 and a data connection terminal 51 at one side and a control control unit 60 inside.

또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에어백(41)이 내장되며, 상기 에어백(41)의 하단 바닥면에 압력센서(31)가 위치하고, 본체(1) 전면의 하단 일측에는 에어커넥터(12)가 구비되어 있다.A pressure sensor 3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bag 41 and an air connector 12 is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airbag 41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 Respectively.

구조자가 심장 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때에 본체(1)의 중앙부에 위치한 손잡이(11)를 양손으로 잡고서 피스톤 운동을 하듯이 압력을 가하게 되면, 에어백(41)의 하단 바닥면에 위치한 압력센서(31)에서 이를 감지하여 압력과 횟수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압력과 횟수는 상기 손잡이(11) 내부에 형성된 컨트롤 제어부(60)에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에 도달하면 청색 LED(33)를 동작시켜서 구조자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함에 있어서 적절한 압력과 횟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압력센서(31)에서 감지한 압력과 횟수가 기준값에 일정 세기 또는 일정 횟수에 미달하거나 초과하게 되면 컨트롤 제어부(60)가 적색LED(34)를 동작하여 구조자가 이를 인지하여 수정할 수 있게 한다.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시에 기준값은 가슴압박의 깊이는 5cm(2인치) 이상, 압박속도는 분당 100회 이상으로 적절한 압박과 이완을 동반한 힘의 작용이 뒷받침되어야 한다.When the rescuer perform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n a patient with cardiac arrest,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airbag (41) by moving the handle (1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he pressure and the number of times a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31. The measured pressure and the number of times are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by the control unit 60 formed inside the handle 11, To assist the rescuer in maintaining the appropriate pressure and frequency in CPR, and when the pressure and the number of time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31 are below or exceed a certain level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 controller 60 operates the red LED 34 to allow the rescuer to recognize and correct it. When performing CPR, the baseline value should be at least 5 cm (2 inches) in depth of chest compressions and at least 100 compressions per minute and should be accompanied by appropriate compression and relaxation forces.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에 구비된 데이터 연결단자(51)는 외부 모니터 및 외부 컴퓨터 등과 본체(1)를 연결하는 것으로 컨트롤 제어부(60)에서 수집한 본체(1)의 각 센서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심폐 소생술의 압박 압력, 압박 깊이 등을 컨트롤 제어부(60)를 통해서 외부 모니터에 표시하거나 외부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data connection terminal 5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11 connects the main body 1 with an external monitor or an external computer and displays the status of each sensor of the main body 1 collected by the control and control unit 60 And the pressure and pressure of the CPR currently performed can be displayed on an external monitor through the control and control unit 60 or data can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computer.

도 3은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정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3 is a front view of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본 발명에 의한 심폐 소생술 장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어깨부와 측면부에 형성된 벨트(21) 및 벨트 결합부(22), 상기 본체(1) 전면의 중앙상부에 청색LED(33)와 적색LED(34)를 구비하고 일측에 데이터 연결단자(51)와 내부에 컨트롤 제어부(60)가 형성된 손잡이(11), 본체(1)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백(41)과 상기 에어백(41)의 하단에 형성된 압력센서(31), 상기 본체(1) 전면의 하단부에 에어커넥터(12) 및 에어호스(13)와 외부에 에어펌프(14)로 구성된다.A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 a belt 21 and a belt engaging portion 22 formed on a shoulde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 a blue LED A handle 11 having a data connection terminal 51 at one side and a control control unit 60 at an inner side and an air bag 41 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 A pressure sensor 3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 and an air connector 12 and an air hose 13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 and an air pump 14 at the outside.

상기의 압력센서(31)는 흉부압박을 시행할 때 압박의 깊이와 압박횟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상기의 컨트롤 제어부(60)에서 압박 깊이 값과 압박 횟수 값을 기준값(압박 깊이 : 최소 5cm(2인치), 압박 횟수 : 분당 최소 100회)과 비교하여 청색LED(33) 또는 적색LED(34)를 제어하며 발광하게 한다. The pressure sensor 31 has a function of sensing the depth of the pressure and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when performing the chest compressions. The control controller 60 controls the pressing depth value and the pressing frequency value to a reference value (pressing depth: To control the blue LED 33 or the red LED 34 and to emit light in comparison with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5 cm (2 inches), the number of presses: 100 times per minute).

표준화된 2010년 공용 심폐 소생술 가이드라인은 30회의 흉부압박과 2회의 환기를 1주기로 반복하여 시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고, 흉부압박은 분당 100회의 속도로 최소 5cm(2인치) 이상의 깊이로 시행되도록 권장되고 있다. 그러므로 흉부압박을 시행할 때 압박 깊이가 최소 5cm(2인치), 압박 횟수가 분당 최소 100회 이상이면, 이를 압력센서(31)에서 감지하고 컨트롤 제어부(60)에서 압박 깊이와 압박 횟수를 판별하여 청색LED(33)를 점등하게 되어 구조자가 정상적인 심폐 소생술을 시행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흉부압박을 시행할 때 압박 깊이가 최소 5cm(2인치), 압박 횟수가 분당 최소 100회에 미치지 못하면 컨트롤 제어부(60)에서 이를 감지하여 손잡이(11)에 구비된 적색LED(34)를 점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시행하고 있는 구조자가 이를 인지하여 시행자세 또는 압박의 깊이, 횟수를 수정 보완할 수 있게 된다.The standardized 2010 CPR Guidelines recommend that 30 cycles of chest compressions and 2 cycles of ventilation be repeated in a single cycle and that chest compressions should be performed at a rate of at least 5 cm (2 inches) at a rate of 100 per minute . Therefore, if the compression depth is at least 5 cm (2 inches) and the number of compressions is at least 100 times per minute at the time of compressing the chest, this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31 and the control depth and the number of pressing The blue LED 33 is turned on to recognize that the rescuer is performing normal CPR. If the pressing depth is less than 5 cm (2 inches) and the pressing frequency is less than 100 times per minute when the chest compressions are performed, the control controller 60 senses the pressing of the red LED 34 provided on the handle 11 By illuminating, the rescuer performing the chest compressions can recognize this and correct the depth and frequency of the posture or pressure.

상기 에어펌프(14)는 에어호스(13)와 에어커넥터(12)를 통해서 본체(1)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백(41)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며, 환자가 본체(1)를 착용한 상태에서 에어펌프(14)를 작동시키면 본체(1)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백(41)에 압축공기가 채워지면서 본체(1)의 흉부와 복부 부분이 팽창되게 되며 이때, 본체(1) 내부의 에어백(41)의 팽창 압력은 최대 230 ~ 310mmhg 되도록 한다. 상기의 에어백(41)에 압축공기가 가득 채워지면 에어펌프(14)는 작동을 멈추게 되며 에어백(41)의 압축공기는 빠져나가게 된다. 다시 에어펌프(14)가 동작을 시작하며 에어백(41)의 압축공기가 채워지고, 이를 반복하면서 환자의 몸과 밀착된 본체(1)는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게 되고 자동방식으로 심폐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 air pump 14 injects the compressed air into the airbag 41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 through the air hose 13 and the air connector 12 so that when the patient wears the main body 1 When the air pump 14 is operated, compressed air is filled in the airbag 41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 and the chest and abdomen portions of the main body 1 are inflated. At this time, the airbag 41 ) Should be 230 ~ 310mmhg at the maximum. When the compressed air is filled in the air bag 41, the air pump 14 stops operating and the compressed air in the air bag 41 escapes. The air pump 14 starts to operate again,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bag 41 is filled, and the main body 1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body repeatedly presses the patient's chest and performs CPR .

도 4는 본 발명인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의 착용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FIG. 4 is a view showing the wear of a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본 발명에 의한 심폐 소생술 장치의 본체(1)는 인체의 전면부만을 덮는 조끼의 형태로서 상기의 본체(1)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여야 하는 환자의 몸을 견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서 본체(1)의 어깨부와 측면에 위치한 벨트(21)와 벨트 결합부(22)에 의해 환자의 등과 어깨 부위를 단단히 결속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벨트(21)와 벨트 결합부(22)는 본체(1)와 환자를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며 특히 신속하고 견고한 체결을 위해서는 벨크로 타입의 벨트(21)와 벨트 결합부(2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 of the CP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st form covering only the front face of the human body and is a vest of the main body 1 in order to firmly close the body of the patient, The belt 21 and the belt engaging portion 22 can firmly bind the back and shoulder portions of the patient by the belt 21 and the belt engaging portion 22 located on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 It is preferable to use the belt-type belt 21 and the belt-engaging portion 22 in order to fast and secure the fastening.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thing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ing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체
11. 손잡이
12. 에어커넥터
13. 에어호스
14. 에어펌프
21. 벨트
22. 벨트 결합부
31. 압력센서
33. 청색LED
34. 적색LED
41. 에어백
51. 데이터 연결단자
60. 컨트롤 제어부
1. Body
11. Handle
12. Air Connector
13. Air hose
14. Air pump
21. Belt
22. The belt-
31. Pressure sensor
33. Blue LED
34. Red LED
41. Airbags
51. Data connection terminal
60. Control unit

Claims (6)

인체의 상반신 전면부에 착용 가능한 조끼 형태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어깨부와 측면부에 형성된 벨트(21) 및 본체(1) 전면의 측단에 형성된 벨트 결합부(22)와;
상기 본체(1) 전면의 중앙상부에 청색LED(33) 및 적색LED(34)와 데이터 연결단자(51)와 내부에 컨트롤 제어부(60)를 구비한 손잡이(1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백(41) 및 상기 에어백(41)의 하단 밑면에 형성된 압력센서(31)와;
상기 에어백(41)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커넥터(12) 및 에어호스(13)와 상기 에어백(41)에 에어호스(13)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14)로 구성되고, 심폐 소생술의 방식이 상기 본체(1) 전면의 중앙상부에 위치한 손잡이(11)의 피스톤 운동에 의한 수동방식 또는 상기 에어펌프(14)를 사용하여 본체(1) 내부에 구비된 에어백(41)의 팽창압력을 이용하는 자동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
A body 1 in the form of a vest which can be worn on the front 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human body;
A belt 21 formed on a shoulde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 and a belt engaging portion 22 formed on a side of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A handle 11 having a blue LED 33 and a red LED 34 and a data connection terminal 51 at a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a control control unit 60 inside;
An airbag 41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 and a pressure sensor 3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bag 41;
An air connector 12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airbag 41 and an air pump 14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airbag 41 and the airbag 13 through an air hose 13, The CPR is performed manually by the piston movement of the handle 11 located at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or by the manual operation of the airbag 41 provided in the main body 1 using the air pump 1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automatic method using an inflation press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컨트롤 제어부(60)는 압력센서(31)로부터 입력되는 압박 깊이 값과 압박 횟수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청색LED(33) 및 적색LED(34)를 동작시켜 심폐 소생술의 실시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controller (60) compares the pressing depth value and the pressing frequency value inputted from the pressure sensor (31) with the reference value to operate the blue LED (33) and the red LED Wherein the state of the vest is expressed visually. ≪ RTI ID = 0.0 > 18.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데이터 연결단자(51)가 본체(1)와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The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connection terminal (51) connects the main body (1) and an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 내부의 에어백(41)의 팽창 압력은 230 ~ 310mmhg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The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ation pressure of the airbag (41) inside the main body (1) is in the range of 230 to 310 mmHg. 청구항 5 에 있어서, 압박 깊이와 압박 횟수의 기준 값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
The vest type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ference value of the pressing depth and the number of pressing times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KR1020120119550A 2012-10-26 2012-10-26 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KR1014378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50A KR101437835B1 (en) 2012-10-26 2012-10-26 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50A KR101437835B1 (en) 2012-10-26 2012-10-26 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23A KR20140053523A (en) 2014-05-08
KR101437835B1 true KR101437835B1 (en) 2014-09-04

Family

ID=5088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550A KR101437835B1 (en) 2012-10-26 2012-10-26 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8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28B1 (en) * 2015-06-09 2017-02-06 현대다이모스(주)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id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0291A (en) 2006-12-15 2008-10-16 Laerdal Medical As Display unit for chest compression signal
KR20090123963A (en) * 2007-03-23 2009-12-02 웨스트라이히+파트너 게엠베하 Device for the medical care of a patient in an emergency
JP2010540162A (en) 2007-10-03 2010-12-24 エレクトロメ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ortable compression device with chest treatment clothes
JP2012096044A (en) 2001-05-25 2012-05-24 Zoll Circulation Inc Cpr assist device provided with pressure bag feedb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6044A (en) 2001-05-25 2012-05-24 Zoll Circulation Inc Cpr assist device provided with pressure bag feedback
JP2008250291A (en) 2006-12-15 2008-10-16 Laerdal Medical As Display unit for chest compression signal
KR20090123963A (en) * 2007-03-23 2009-12-02 웨스트라이히+파트너 게엠베하 Device for the medical care of a patient in an emergency
JP2010540162A (en) 2007-10-03 2010-12-24 エレクトロメ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ortable compression device with chest treatment clot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23A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906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ncrease survival with favorable neurological function after cardiac arrest
US20050085799A1 (en) Emergency medical kit, respiratory pump, and face mask particularly useful therein
US6155257A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ventilator and methods
US8702633B2 (en) Guided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s and methods
US7862525B2 (en) Automated therapy device for biomechanical rehabilitation massage and method for use
EP3702000A1 (en) Integrated resuscitation
US9953548B2 (en) Removable tension-pneumothorax-simulator cartridge for use with a patient simulating mannequin
US20160213560A1 (en) Autom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device
KR20010032189A (en) A device for 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L223004A (en) System for providing non-invasive ventilation
KR101355963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love
CN108969339A (en) A kind of method of device for resuscitating heart and pulmones and its CPR
WO2009147678A2 (en) Pocket defibrillating system
KR101298488B1 (en) Simulator for training of CPR
KR101437835B1 (en) Vests in the form of automatic and manual CPR device
US20210085899A1 (en) Medical device for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CN115427000A (en) Portable automatic lifesaving system with dynamic adaptation
KR101671274B1 (en) Guide-patch for hands-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WM574038U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ssist device
Paul et al. Design of auto adjustable CPR assistive device for non-expertise usability scenarios
CN111514012A (en) Portable pre-hospital emergenc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685684A (en) A kind of Heart-lung restoring instrument
KR20160079324A (en) Subsidiary utensil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