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938B1 - Bag Combined with Chair - Google Patents

Bag Combined with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938B1
KR101436938B1 KR1020130006055A KR20130006055A KR101436938B1 KR 101436938 B1 KR101436938 B1 KR 101436938B1 KR 1020130006055 A KR1020130006055 A KR 1020130006055A KR 20130006055 A KR20130006055 A KR 20130006055A KR 101436938 B1 KR101436938 B1 KR 101436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rame
inlet
frames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3874A (en
Inventor
노광현
Original Assignee
노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광현 filed Critical 노광현
Priority to KR102013000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938B1/en
Publication of KR2014009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2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sea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간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 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1)은, 골격을 형성하는 제1 사각틀(10);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사각틀(10)과 서로 중간 부분에서 X자로 교차하는 제2 사각틀(20); 상기 사각틀(10, 20)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좁은 각도의 접은 상태와 넓은 각도의 펼친 상태로 접철 가능하게 상기 사각틀(10, 20)을 결합하는 힌지(30); 펼쳐진 상기 사각틀(10, 2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사각틀(10)의 상부가로틀(11)과 상기 제2 사각틀(20)의 상부가로틀(21)에 상부가 결속되어 있고, 상측에 입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틀(10, 20)의 접철에 따라 상기 입구(41)가 개폐되는, 물건이 수납되는 가방부(40); 개방된 상태의 상기 입구(41)를 덮고, 고정단인 일단(51)은 상기 사각틀(10, 20)의 일측 상부가로틀(11 또는 21)에 결합되어 있고, 자유단인 타단(52)에는 상기 입구(4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틀(20, 10)의 타측 상부가로틀(21, 11)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판(50); 및 상기 가방부(40)의 상기 입구(41)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50)을 상기 가방부(40)의 외면에 부착하기 위한 개폐 가능한 고정구(70)을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combined bag which can be used as a simple chair as required. A chair-combined ba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rectangular frame (10) forming a skeleton; A second square frame 20 forming a skeleton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quare frame 10 at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m; A hinge (30)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of the rectangular frames (10, 20) for engaging the rectangular frames (10, 20) so as to be foldable at a narrow angled folded state and at a wide angle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 of the first square frame 10 and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of the second square fram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opened square frames 10, A bag portion 40 in which an inlet 41 is formed on an upper side and in which the inlet 41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folding of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One end 51 as a fixed end covering the inlet 41 in an open state is coupled to one side upper transverse frame 11 or 21 of the frame 10 and 20 and the other end 52 as a free end A latching part 53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lateral frames 21 and 11 on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frames 20 and 10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41 is opened is formed, 50); And an opening and closing fixture 70 for attaching the seat panel 5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part 40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41 of the bag part 40 is closed.

Description

의자 겸용 가방{Bag Combined with Chair}{Combined with Chair}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간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 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combined bag that can be used as a simple chair as needed.

각종 물건을 넣어 소지하고 다니는 가방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생활용품 중에 하나로서, 그 용도와 구조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소지하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손으로 들고 다니는 손가방(핸드백), 바퀴가 달려 끌고 다닐 수 있는 캐리어 가방 및 등에 메고 다니는 배낭 등이 있다. A bag carrying various things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aily necessities in everyday life, and there are many kinds according to its use and structure.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arrying it, a bag (handbag) , A carrier bag that can be dragged around by wheels, and a backpack carrying its back.

일상생활을 하다보면, 앉고 싶지만 앉을 수 있는 의자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의자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수에 비하여 의자가 부족한 환경에 처할 수 있으며, 이런 환경에서는 앉는 것을 포기하고 서 있거나 의자 없이 바닥에 앉는 것으로 만족하곤 한다. In everyday life, even if you do not have a chair that you want to sit on, or if you have a chair, you can be in an environment that lacks a chair compared to the number of people you want to use. I would be happy to sit on the floor without a chair.

또한, 앉을 곳이 적당하지 않는 환경에서 때마침 가방을 소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임시방편으로 가방을 깔고 앉는 것으로 의자를 대신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방은 앉는 용도로 제작된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가방을 깔고 앉을 경우, 앉은 자세가 편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낭과 같이 경질이 아닌 연질 소재(예, 천 등)의 가방일 경우에 그 형상이 구겨지고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이 손상될 수 있는 불편을 겪게 된다. Also, if you are carrying a suitcas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eat is not suitable, you can replace the chair by sitting on the bag with a temporary measure. However, since the bag is not a product made for sitting, it is not comfortable to sit on the bag when sitting on the bag, and when the bag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cloth) So that the contents which are stored in a large amount can be damaged.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평소에는 가방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경우에 의자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의자 겸용 가방에 관한 기술이 매우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이런 의자 기능을 구비한 가방에 관한 기술은, 의자와 가방을 모두 필요로 하는 예를 들어 낚시분야의 낚시가방 등에서도 제안되어 왔다. According to this background, there have been proposed various technologies relating to a chair-combined bag which can be used as a bag as a usual chair and can also be used as a chair when necessary, and a technique relating to a bag having such a chair function is a chair For example, a fishing bag in a fishing field, which requires both a bag and a bag.

의자 겸용 가방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58076호(2012. 06. 07. 공개)의 "의자 겸용 배낭",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450호(2007. 10. 05. 등록공고)의 "의자가 결합된 가방",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4145호(2012. 05. 09. 등록공고)의 "접이식 의자를 갖춘 배낭",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973호(2011. 09. 05. 등록)의 "의자가 일체로 구비되는 낚시가방",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5064호(2000. 09. 01. 등록공고)의 "접철의자가 부설된 낚시가방" 등이 있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ing to a chair combination bag, there is known a so-called "backpack combined with a chair"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58076 (published on June 28, 2012), Korean Patent No. 10-0762450 (Oct. Register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61973 (2011.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44145 (Registered on May 05, 2012.), "backpack with folding chair" 09. 05. Registration), and a fishing bag with a folding chair attached to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5064 (registered on September 21, 2000) have.

그러나 종래의 의자 기능을 구비한 가방들은, 가방의 구조에 의자의 구조를 단지 결합한 것으로서, 그 구조와 조작이 복잡하고,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ags having the chair function merely incorporate the structure of the chair into the structure of the bag,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are complicat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목적은, 평소에는 가방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때에 간이 의자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한 의자 겸용 가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use bag which is normally used as a bag, can be conveniently used as a simple chair when necessary,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operate.

본 발명에 따라 의자 겸용 가방을 제공한다.A chair-combined bag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은, 제1 사각틀, 제2 사각틀, 힌지, 가방부 및 좌판을 포함한다. The chair-combine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ctangular frame, a second rectangular frame, a hinge, a bag portion and a seat plate.

상기 제1 사각틀과 상기 제2 사각틀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제1 사각틀과 상기 제2 사각틀은 서로 중간 부분에서 X자로 교차한다.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rmed as a frame member that forms an overall frame,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tersect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rame.

상기 힌지는 상기 사각틀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기 사각틀을 좁은 각도의 접은 상태와 넓은 각도의 펼친 상태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한다. The hinge is installed at a crossing point of the rectangular frame so that the rectangular frame foldably engages with the narrow angle folded state and the wide angle opened state.

상기 가방부는, 펼쳐진 상기 사각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사각틀의 상부가로틀과 상기 제2 사각틀의 상부가로틀에 상부가 결속되어 있고, 상측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틀의 접철에 따라 상기 입구가 개폐되는, 물건이 수납되는 부재이다. Wherein the bag portion is loca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opened squarer, an upper portion is bound to an upper horizontal frame of the first squar, and an inle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quar, And the inlet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f the door.

상기 좌판은, 개방된 상태의 상기 입구를 덮고, 고정단인 일단은 상기 사각틀의 일측 상부가로틀에 결합되어 있고, 자유단인 타단에는 상기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틀의 타측 상부가로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준다. Wherein the seat has a first end that is a fixed end and is coupled to one side upper side frame of the frame and a second end that is a free end of the frame, An optional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seated pers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은, 상기 사각틀에 부착된, 등에 메기 위한 멜빵을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hair-combine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uspenders attached to the skeleton and pierced on the back.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은, 상기 가방부의 상기 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을 상기 가방부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hair-combine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ture for detachably fixing the seat plat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portion with the inlet of the bag portion being close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각틀의 상부는 상기 제2 사각틀 보다 높게 신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사각틀의 상기 상부가로틀의 상측에는 손잡이로서도 기능하는 등받이틀이 형성되어 있다.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ctangular frame is extended higher than the second rectangular frame, and a back frame functioning as a hand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frame of the first rectangular frame.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은, 평소에는 물건을 넣고 다니는 가방으로 사용하다가, 앉을 수 있는 다른 편이시설이 없는 환경에서 앉고자 할 경우에, 접철되는 상기 사각틀의 벌려 상기 가방부를 열고 상기 사각틀의 일측 상부가로틀과 상기 사각틀의 타측 상부가로틀 사이에 상기 좌판을 펼쳐서 걸친 상태에서 상기 좌판에 착석하여 앉을 수 있는 간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가방으로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며 제작이 용이한 의자 겸용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chair-combine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used as a carrying bag for carrying articles. When the user wishes to sit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other room to sit, the bag portion of the folding carton is opened to open the bag portion, The bag can be used as a simple chair that can sit on the seat and spread between the upper side frame and the upper side upper side frame of the square frame so that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easy to operate and easy to manufactur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one chair combination bag.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의자 겸용 가방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의자 겸용 가방의 분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의자 겸용 가방의 작동도.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xemplary chair-and-boun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n exemplary chair-and-luggag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view of an exemplary chair-and-luggag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chair-combine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1)은, 제1 사각틀(10), 제2 사각틀(20), 힌지(30), 가방부(40) 및 좌판(5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1 to 5, a chair-combined ba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ctangular frame 10, a second rectangular frame 20, a hinge 30, a bag portion 40, 50).

상기 제1 사각틀(10)과 제2 사각틀(20)은, 본 발명의 가방(1)이 의자로 사용될 때 착석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예를 들어 경고한 금속관이나 강화 플라스틱관 등을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사각틀(10)과 제2 사각틀(20)을 사각이라고 하는 것은 엄밀한 의미의 사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사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함은 당연하다. The first and second squarers 10 and 20 are frame members that form a skeleton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seated person when the ba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hair. A plastic tube or the like can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quares 10 and 20 are square, which does not mean that they are square in the strict sense,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first and second squares have a shape similar to a square.

제1 사각틀(10)과 제2 사각틀(20)은 제1 사각틀(10)의 폭을 제2 사각틀(20)의 폭보다 약간 크게 하고 제1 사각틀(10) 내에 제2 사각틀(20)이 꼭 맞게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그 대략 중간 부분에서 X자로 교차하게 배치한다. The first and second squarers 10 and 20 ar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first squar 1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quare 20 so that the second square 20 In the state of being fit in, it is arranged so as to intersect with an X-letter in the middle part thereof.

상기 힌지(30)는 X자로 배치된 사각틀(10, 20)의 교차점에 설치된다. 힌지(30)는 X자로 교차된 사각틀(10, 20)을 좁은 각도로 접거나(도1 및 도5의 B 참조), 넓은 각도로 펼칠 수 있도록(도3 및 도5의 A 참조), 두 사각틀(10, 20)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The hinge 30 is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arranged in X-shape. The hinge 30 can be folded at a narrow angle (see Figs. 1 and 5B) or at wide angles (see Figs. 3 and 5A) so that the crossed squares 10, Thereby coupling the square frames 10 and 20 in a rotatable manner.

상기 가방부(40)는 본 발명의 가방(1)을 가방의 용도로 사용할 때 각종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펼쳐진 사각틀(10, 2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The bag portion 40 is a member which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articles when the ba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bag, and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opened square frames 10,

펼쳐진 사각틀(10, 20) 내에 위치한 가방부(40)의 상측은, 물건을 투입하고 인출하는 입구(41)가 된다. 입구(41)를 형성하는 가방부(40)의 상부 모양이 대략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을 때, 가방부(40)의 상부 중에 제1 사각틀(10)의 상부가로틀(11)과 제2 사각틀(20)의 상부가로틀(21)에 대응하는 위치의 대향하는 두 단부는 제1 사각틀(10)의 상부가로틀(11)과 제2 사각틀(20)의 상부가로틀(21)에 각각 결속(결합)됨으로써 사각틀(10, 20)에 구속된다. The upper side of the bag portion 40 located in the opened square frames 10 and 20 becomes an inlet 41 for inputting and withdrawing objects.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 of the first rectangle frame 10 and the second rectangle frame 11 of the first rectangle frame 10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g part 40 when the upper part of the bag part 40 forming the inlet 41 form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20 are fixed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 of the first rectangular frame 10 and the upper lateral frame 21 of the second rectangular frame 20 So that they are constrained to the square frames 10 and 20.

가방부(40)의 상부를 상부가로틀(11, 21)에 결속하는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가방부(40)의 상부를 상부가로틀(11, 21)에 감아서 고정적으로 재봉하는 구조나 가방부(40)의 상부에 매직테이프를 부착하여 탈착식으로 결속하는 구조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구체예와 같이, 가방부(40)의 상부에 탈착식 걸고리(42)를 부착하여 상부가로틀(1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The structure of binding the upper part of the bag part 40 to the upper side frames 11 and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bag part 40 is wound around the upper side frames 11 and 21, A structure for sewing, or a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magic tape to the upper part of the bag part 40 so as to be coupled thereto may be applied. 4, a detachable hook 42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g 4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s 11 and 21.

가방부(40)의 상부를 상부가로틀(11, 21)에 고정적이 아닌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하면, 가방부(40)를 세탁하고자 할 때 이를 사각틀(10, 2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When the upper part of the bag part 40 is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side frames 11 and 21 so that the bag part 40 can be washed away from the square frames 10 and 20, .

가방부(40)의 입구(41)는 사각틀(10, 20)을 펼치면 개방되고(도5의 A), 사각틀을 접으면 폐쇄된다(도5의 B).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방부(40)의 입구(41)에는 예를 들어 똑딱단추(스냅단추) 등과 같은 적당한 잠금장치를 추가로 부착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하지 않으면 폐쇄된 입구(41)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The inlet 41 of the bag part 40 is opened when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are expanded (A in Fig. 5) and closed when the square frame is folded (Fig. Although not shown, an appropriate locking device such as a snap button (snap button)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inlet 41 of the bag part 40 to open the closed inlet 41 without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It can also be disabled.

가방부(40)는 그 상부를 상부가로틀(11, 21)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의자 겸용 가방으로서 작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사각틀(10, 20)에 구속된다. 그러나 가방부(40)의 다른 위치도 추가적으로 사각틀(10, 20)에 결속함으로써, 가방부(40)의 사각틀(10, 20)에 대한 구속 상태를 강화하여, 사각틀(10, 20)의 개폐에 따른 가방부(40)의 형태를 바람직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bag part 40 is restrained to the square frames 10 and 20 to such an extent as to be sufficient to serve as a combination bag only by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bag part 40 to the upper side frames 11 and 21. [ However, another position of the bag part 40 is further bound to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so that the state of restraint of the bag part 40 to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is strengthened, The shape of the bag par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intained.

도4와 도5 등에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는, 가방부(40)의 하측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끼움고리(43)를 부착하여 전방 2개의 끼움고리에는 제1 사각틀(10)을 끼우고, 후방 2개의 끼움고리에는 제2 사각틀(20)을 끼운 예이다. 4, 5, and the like, the fitting hooks 43 are attached to the lower four corners of the bag portion 40, the first square fittings 10 are inserted into the front two fitting rings, And two rear hooks are fitted with the second box 20.

이때 끼움고리(43)가 사각틀(10, 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사각틀의 접철에 따른 가방부의 상대적인 위치변화에 순응할 수 있다. 물론 끼움고리(43)를 사각틀(10, 2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면 세탁을 위해 가방부(40)를 사각틀(10, 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fitting ring 43 can freely move along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the relative position change of the bag portion due to folding of the rectangular frame can be complied with.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detachably attach the fitting ring 43 to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in order to separate the bag portion 40 from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for washing.

가방부(40)의 전면 외측에는 주머니(44)를 부착함으로써, 작은 소지품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By attaching the bag 44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g part 40, a small article can be stored.

상기 좌판(50)은, 본 발명의 가방(1)을 의자로 사용할 때 개방된 가방부(40)의 입구(41)를 덮은 상태에서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고, 가방부(40)에 물건을 입출하고자 할 때에는 한쪽으로 젖혀서 입구(41)가 노출되도록 하는 판상의 부재이다. The seat 50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seated person in a state in which the bag 4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hair while covering the opening 41 of the opened bag part 40, And is a plate-shaped member which is turned to one side so as to expose the inlet 41 when it is desired to enter and exit.

좌판(50)으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판과 같이 쉽게 변형되지 않는 경성의 단단한 판을 적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천과 같이 유연한 연성의 판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구체예는 경성의 판을 적용한 예이다. 좌판(50)으로서 연성의 천을 사용할 경우 그 재질은 가방부(40)와 어울리는 천을 사용할 수 있고, 경성의 플라스틱판을 사용할 경우에 가방부(40)와 어울리는 천으로 플라스틱판을 피복하여 마감할 수 있다. As the seat 50, for example, a rigid rigid plate that is not easily deformed, such as a plastic plate, may be used, or a soft flexible plate such as cloth may be applied.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plate of FIG. When a soft cloth is used as the seat 50, a material that matches the bag 40 can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a hard plastic plate, a cloth that matches the bag 40 can be covered with a plastic plate have.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판(50)의 일단(51)은 고정단으로서 제1 사각틀(10)의 상부가로틀(11)에 결합하고, 좌판(50)의 타단(52)은 자유단으로서 입구(4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사각틀(20)의 상부가로틀(21)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53)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ne end 51 of the seat 50 is coupled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 of the first square 10 as a fixed end, and the other end 52 of the seat 50 Is formed with a latching portion 53 which is selectively locked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of the second rectangular frame 20 in a state where the inlet 41 is opened as a free end.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사각틀(10, 20)을 펼친 상태에서 걸림부(53)를 상부가로틀(21)에 걸면, 좌판(50)은 서로 일정거리 사이들 두고 마주보는 2개의 상부가로틀(11, 21) 사이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사각들에 의해 받쳐서 고정되고, 사용자는 둔부를 좌판(50)에 걸쳐 앉음으로써 본 발명의 가방(1)을 의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3 참조). In the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engaging portions 53 are extended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in a state in which the square frames 10, 20 are extended, the seat 50 is provided with two upper transverse frames 11 21), and the user can use the bag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hair by sitting the buttocks over the seat 50 (see FIG. 3).

그리고 걸림부(53)를 상부가로틀(21)에서 이탈시켜 좌판(50)의 타단(52)을 위로 들어 올리면(도2 참조), 그 일단(51)이 상부가로틀(11)을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좌판(50)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입구(41)가 개방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입구(41)를 통해 가방부(40)에 대해 물건을 입출할 수 있다. 2) of the seat 50 is lifted up so that the one end 51 of the seat 51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 The inlet 41 is opened as the seat 50 is turned or the shape of the seat 50 is deformed so that the user can make an entry into the bag 40 through the inlet 41. [

걸림부(53)를 상부가로틀(21)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사각틀(10, 20)을 접고, 좌판(50)을 아래로 내리면, 좌판(50)이 닫힌 입구(41)를 덮는 뚜껑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도1 참조). When the latch frames 53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and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are folded and the seat plate 50 is lowered downward, the seat plate 50 is closed like the lid covering the closed inlet 41 (See FIG. 1).

좌판(50)의 타단(52)은 자유단이므로, 입구(41)를 덮은 좌판(50)을 그대로 두면, 의도하지 않게 움직이거나 미관에 좋지 않을 수 있음으로, 입구(41)를 덮은 좌판(50)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방(1)에는 입구(41)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판(50)을 가방부(40)의 외면(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전방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7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Since the other end 52 of the seat 50 is a free end, if the seat 50 covering the mouth 41 is left as it is, It may be desirable to immobilize it. To this end, the ba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ixture (not shown) for detachably fixing the seat plate 50 to the outer surface (front outer surface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xample) of the bag portion 40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41 is closed 70).

상기 고정구(70)로서는, 좌판(50)을 가방부(4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매직테이프, 스냅단추, 버클 등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The fastener 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etachably fix the seat panel 5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part 40. For example, a magic tape, a snap button, a buckle, Can be applied.

좌판(50)의 일단(51)의 상부가로틀(11)에의 결합은 착석자의 하중이 가해져도 의도하지 않게 그 고정이 풀리지 않은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재봉에 의한 결합, 경첩에 의한 결합, 매직테이프에 의한 결합,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착식 걸고리(51a)에 의한 결합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The engagement of the one end 51 of the seat 50 with the upper side frame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eat 5 is not unintentionally unintentionally unintentionally even when a load of a seated person is applied thereto. For example, A coupling by a magic tape, a coupling by a detachable hook 51a as shown in FIG. 4, or the like can be applied.

좌판(50)의 타단(52)을 상부가로틀(21)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상기 걸림부(53)로서는, 예를 들어 좌판(50)의 재질이 플라스틱판과 같은 경성인 경우에는 좌판(50)의 타단(52) 자체를 상부가로틀(21)을 감싸는 예를 들어 걸고리 형상으로 둥글게 성형하여 걸림부(53)를 형성할 수 있고, 좌판(50)이 천과 같은 연성의 재질인 경우에는 별도로 걸고리와 같은 걸림부(53)를 형성하여 좌판(50)의 타단(52)에 부착할 수 있다. As the engaging portion 53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other end 52 of the seat 50 to the upper frame 21, for example, when the material of the seat 50 is rigid like a plastic plate, The other end 52 of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itself can be formed into a rounded shape by wrapping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to form a hook 53. When the seat 5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cloth A hook 53 such as a hook can be formed and attached to the other end 52 of the seat 50. [

도4 등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좌판(50)의 일단(51)을 고정단으로 하여 제2 사각틀(20)의 상부가로틀(21)에 결합하고 좌판(50)의 타단(52)을 자유단으로 하여 제1 사각틀(10)의 상부가로틀(11)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53)를 형성하는 것도 배제되지 아니하며, 이 경우 전술한 구체예에서 설명한 고정구(70) 등의 설치 위치는 본 변형에 맞게 적용하면 된다. One end 51 of the seat 5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of the second square 20 and the other end 52 of the seat 50 is fixed to the free end It is not excluded to form the engaging portion 53 selectively constrained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 of the first rectangular frame 10.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ture 70 or the like described in the above- This can be applied to this variation.

본 발명의 가방(1)은 제1 사각틀(10)의 상부를 제2 사각틀(20) 보다 높게 신장하여서, 제1 사각틀(10)의 상부가로틀(11)의 상측에 등받이틀(1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등받이틀(12)은 좌판(50)에 착석하였을 때 착석자의 등을 가볍게 받쳐줌으로써 보다 안락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한다. The ba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ectangular frame 10 higher than the second rectangular frame 20 to form a back frame 12 on the upper side frame 11 of the first rectangular frame 10 Can be formed. The backrest frame 12 supports the seat back lightly when the seatback 50 is seated, so that the seat back 12 can sit comfortably.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1)은, 손으로 들고 다니는 형식, 등에 메고 다니는 형식, 끌고 다니는 형식 등 여러 가지 형식의 가방에 적용할 수 있다.The chair-combined ba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ags, such as a carrying type by hand, a carrying type, and a dragging type.

본 발명의 가방을 손으로 들고 다니는 형식에 적용하는 경우에, 상기 등받이틀(12)에 손잡이(13)를 형성함으로써 들기 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손잡이(13)는 본 발명의 가방(1)을 벽의 고리와 같은 곳에 걸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make the bag 13 easy to lift by forming the handle 13 on the backrest frame 12 when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rrying type by hand, It can also be used for hanging like a ring on a wall.

본 발명의 가방(1)을 등에 메고 다니는 배낭의 형식에 적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가방(1)은 등에 메기 위한 멜빵(60)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멜빵(60)의 상단과 하단은, 제1 사각틀(10)의 상측과 하측의 적당한 위치에 결속구(61)를 사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으며, 멜빵(60)의 부착 위치는 등에 메기 편리하고 등에 메었을 때 가방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bag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orm of a backpack carried on the back, the bag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uspenders 60 for putting on the back.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spender 6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t appropriate posi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box 10 using binding means 61, The 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onvenient to put on the back and the bag can maintain balance when put on the back.

아울러 본 발명의 가방(1)을 배낭의 형식에 적용하는 경우, 가방부(40)의 정면, 좌우면 및 저면은 사각틀(10, 20)의 접철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등에 메었을 때 사용자의 등에 접하게 되는 가방부(40)의 배면(40a)은, 통상적인 등산용 배낭에서와 같이, 보다 견고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사각틀(10, 20)의 접철에 따라 배면(40a)의 형상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등에 메었을 때의 등에의 접촉감이 양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ba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orm of a backpack, the front,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of the bag portion 40 are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folding of the frame 10, The back surface 40a of the bag part 40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when the back is put on the back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more rigid like the ordinary climbing backpack, 40a are minimiz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feeling on the back and the like is good.

도시된 구체예에서 제2 사각틀(20)의 하단에 절곡부(22)를 형성한 것은 사각틀(10, 20)을 펼쳤을 때에는 절곡부(22)가 지면 쪽을 향해 뻗어서 지면에 접하도록 하고, 사각틀(10, 20)을 접고 가방(1)을 등에 메었을 때에는 절곡부(22)가 외부 쪽으로 향해 뻗도록 함으로써 의자로 사용할 때 지면에서 묻은 흙과 같인 이물이 사용자의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ent portion 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ctangular frame 20 so that when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are extended, the bent portion 22 is extended toward the ground, The folded portion 22 is extended toward the outside when folding the bags 10 and 20 and putting the back of the bag 1 on the back so as to prevent a foreign object such as soil adhered to the ground from being buried on the user's back.

본 발명의 가방(1)을 끌고 다닐 수 있는 형식에 적용한 경우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제2 사각틀(20)에 바퀴를 설치하고, 제1 사각틀(10)의 상부에 안테나와 같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틀을 설치함으로써, 끌고 다니기 편리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가방을 의자로 사용할 때 상기 바퀴는 지면을 따라 주행할 수 없도록 한다. (Not shown), for example, in a case where a wheel is provided on the second rectangular frame 20, and the length of the first rectangular frame 20 It is possible to form the handle frame so as to be convenient for dragging. Of course, when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hair, the wheel can not travel along the ground.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방(1)은, 기본적으로 입구(41)를 통해 가방부(40)로 물건을 입출하지만, 본 발명의 가방(1)을 의자로 사용하고 있는 중에도 물건을 입출할 수 있고, 좌판(50)을 들어 올려 입구(41)를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물건을 입출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가방부(40)의 전면과 같은 위치에 제2의 입구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런 제2의 입구는 가방부(40)를 절개하여 지퍼나 매직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llows the bag to be taken in and out through the inlet 41. However, even when the ba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hair, A second inlet is ad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bag 40,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so that the object can be taken in and out even if the inlet 41 is not exposed by raising the seat 50. [ And such a second inlet can be formed by cutting the bag part 40 and attaching a zipper or a magic tap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은, 기본적으로 가방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멜빵(60) 등과 같이 가방의 용도로서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제거하면, 실내에 비치하여 물건을 담아두는 용기(바구니)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의자 겸용 가방에서의 가방의 이미는 실내에 비치하는 물건을 담아두는 용기인 것으로도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In addition, the chair-combine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used for the purpose of a bag. However, if the necessary components such as the suspenders 60 are removed, And in such a case, it is natural that the bag in the combination of the chair and th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tainer for storing a thing to be kept in the room.

1: 본 발명의 의자 겸용 가방 10: 제1 사각틀
11: 상부가로틀 12: 등받이틀
20: 제2 사각틀 21: 상부가로틀
30: 힌지 40: 가방부
41: 입구 42: 걸고리
43: 끼움고리 50: 좌판
51: 좌판의 일단 51a: 걸고리
52: 좌판의 타단 53: 걸림부
60: 멜빵 70: 고정구
1: chair-combined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1: upper side frame 12: back frame
20: second frame 21: upper side frame
30: hinge 40: bag portion
41: inlet 42: hook
43: insert ring 50: seat plate
51: One end of the seat plate 51a:
52: the other end of the seat plate 53:
60: suspenders 70: fasteners

Claims (3)

골격을 형성하는 제1 사각틀(10);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사각틀(10)과 서로 중간 부분에서 X자로 교차하는 제2 사각틀(20);
상기 사각틀(10, 20)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좁은 각도의 접은 상태와 넓은 각도의 펼친 상태로 접철 가능하게 상기 사각틀(10, 20)을 결합하는 힌지(30);
펼쳐진 상기 사각틀(10, 2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사각틀(10)의 상부가로틀(11)과 상기 제2 사각틀(20)의 상부가로틀(21)에 상부가 결속되어 있고, 상측에 입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틀(10, 20)의 접철에 따라 상기 입구(41)가 개폐되는, 물건이 수납되는 가방부(40);
개방된 상태의 상기 입구(41)를 덮고, 고정단인 일단(51)은 상기 사각틀(10, 20)의 일측 상부가로틀(11 또는 21)에 결합되어 있고, 자유단인 타단(52)에는 상기 입구(4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틀(20, 10)의 타측 상부가로틀(21, 11)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판(50); 및
상기 가방부(40)의 상기 입구(41)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50)을 상기 가방부(40)의 외면에 부착하기 위한 개폐 가능한 고정구(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가방.
A first frame 10 forming a skeleton;
A second square frame 20 forming a skeleton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quare frame 10 at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m;
A hinge (30)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of the rectangular frames (10, 20) for engaging the rectangular frames (10, 20) so as to be foldable at a narrow angled folded state and at a wide angle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 of the first square frame 10 and the upper transverse frame 21 of the second square fram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opened square frames 10, A bag portion 40 in which an inlet 41 is formed on an upper side and in which the inlet 41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folding of the rectangular frames 10 and 20;
One end 51 as a fixed end covering the inlet 41 in an open state is coupled to one side upper transverse frame 11 or 21 of the frame 10 and 20 and the other end 52 as a free end A latching part 53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lateral frames 21 and 11 on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frames 20 and 10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41 is opened is formed, 50); And
An opening and closing fixture (70) for attaching the seat (5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part (40) in a state where the inlet (41) of the bag part (40) is closed;
And a backr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틀(10, 20)에 부착된, 등에 메기 위한 멜빵(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가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spenders (60) attached to the square frames (10, 20), for hanging on the back.
삭제delete
KR1020130006055A 2013-01-18 2013-01-18 Bag Combined with Chair KR101436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055A KR101436938B1 (en) 2013-01-18 2013-01-18 Bag Combined with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055A KR101436938B1 (en) 2013-01-18 2013-01-18 Bag Combined with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874A KR20140093874A (en) 2014-07-29
KR101436938B1 true KR101436938B1 (en) 2014-09-03

Family

ID=5173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055A KR101436938B1 (en) 2013-01-18 2013-01-18 Bag Combined with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93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741A (en) * 2014-10-10 2016-04-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Bag Combined with Chair
CN105852359A (en) * 2016-06-08 2016-08-17 厦门大学嘉庚学院 Retractable and ridable electric suitcase car and use method thereof
KR102241101B1 (en) 2019-12-29 2021-04-1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al carrying bas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803Y1 (en) * 1996-08-21 1999-03-20 원성희 Hinge type fishing chair
KR200164295Y1 (en) 1999-02-12 2000-02-15 박호진 Folding chair having knapsack
KR200314776Y1 (en) 2002-12-27 2003-05-27 김종희 Bag having of function chair
KR100762450B1 (en) 2003-04-10 2007-10-05 장병수 Rucksack combined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803Y1 (en) * 1996-08-21 1999-03-20 원성희 Hinge type fishing chair
KR200164295Y1 (en) 1999-02-12 2000-02-15 박호진 Folding chair having knapsack
KR200314776Y1 (en) 2002-12-27 2003-05-27 김종희 Bag having of function chair
KR100762450B1 (en) 2003-04-10 2007-10-05 장병수 Rucksack combined chai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741A (en) * 2014-10-10 2016-04-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Bag Combined with Chair
KR101637988B1 (en) * 2014-10-10 2016-07-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Bag Combined with Chair
CN105852359A (en) * 2016-06-08 2016-08-17 厦门大学嘉庚学院 Retractable and ridable electric suitcase car and use method thereof
KR102241101B1 (en) 2019-12-29 2021-04-1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al carrying bas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874A (en) 201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869B2 (en) Child seat liner
US8490230B2 (en) Diaper bag having an integral changing pad
US10986911B2 (en) Backpack carrier
US7100982B2 (en) Versatile shopping cart seat cover
US8973757B2 (en) Accessory container and changing table
US20030230612A1 (en) Convertible travel tote bag for use in a vehicle
US10314375B2 (en) Storage bag convertible into a travel seat
CA3012474C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y placement of a living object on a seat
US11793287B2 (en) Stroller caddy
US20090188881A1 (en)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436938B1 (en) Bag Combined with Chair
CN104486974A (en) An arrangement convertible into baby care items
US20090236379A1 (en) bag having a shopping trolley insert
US20100307878A1 (en) Weight-Balanced Modular Carrying Apparatus
KR101219152B1 (en) backpack with folding chair
US7686391B2 (en) Cover for an infant seat
CZ27797U1 (en) Rucksack type variable luggage
GB2430143A (en) Baby changing bag and changing mat
KR20140112143A (en) A bag combined with mat
US20230320477A1 (en) Combination playmat and backpack
KR200324172Y1 (en) Embryo sac
KR200367476Y1 (en) Backpack with folding chair
KR20170004244U (en) bag that change into chair and bed for children
KR20090001757U (en) Backpack with folding chair
US20110181080A1 (en) Baby car seat side handle adaptabl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