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640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640B1
KR101436640B1 KR1020080028101A KR20080028101A KR101436640B1 KR 101436640 B1 KR101436640 B1 KR 101436640B1 KR 1020080028101 A KR1020080028101 A KR 1020080028101A KR 20080028101 A KR20080028101 A KR 20080028101A KR 101436640 B1 KR101436640 B1 KR 10143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torage box
driving motor
refrigera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2577A (en
Inventor
유명근
유옥선
신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640B1/en
Publication of KR2009010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3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드로어 인출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draw-in mouth structure of a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박스 인출입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납 박스 입력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수납 박스가 자동 인출 또는 인입되므로, 어린이나 노약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수납 박스가 자동 인출 가능하므로, 수납 박스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중량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수납 박스를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torage box draw-out opening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rage box is automatically drawn or drawn only by the user pressing the storage box input button, the convenience for use for a child or the elderly is increased. Further, since the storage box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orage box can be drawn out conveniently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ox.

수납 박스, 인출 장치 Storage box, drawe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드로어 인출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draw-in mouth structure of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stores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상세히,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및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대별된다. In detail, the refrigerator is divided into a top mount type, a bottom freezer type, and a side by side type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바텀 프리저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제공되는 구조로서,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는 냉장고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수납 박스 타입으로 제공된다. Wherein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is rotatably provided at one side edge of the refrigerator body and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storage box type .

한편, 상기 냉동실이 냉장고의 하측에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냉동실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도어를 앞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똑바로 선 자세에서 도어를 당기는 경우보다 큰 힘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냉장실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 비하여 불편함이 있다. Meanwhile, since the freezer compartmen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tor, in order to open the freezer compartment, the user has to pull the door forward with the waist bent. Therefore, since the user has to apply a greater force than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in the straight posture, the refrigerator door is inconvenient compared to open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등장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 structure for facilitating the opening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has appeared.

일예로서,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 핸들을 잡고 당기는 동작을 감지하여, 냉동실 도어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분리되도록 하는 자동 개방 구조가 제시되었다. As an example, an automatic opening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user senses the pulling and pulling action of the door handle to open the freezing chamber door so that the freezing chamber door is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다른 방법으로서, 냉동실 바닥면에 모터가 고정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냉동실 도어가 인출되도록 하는 구조도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동실 바닥면에 모터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기어와 같은 회전 부재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냉동실 서랍의 저면이 상기 회전 부재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냉동실 서랍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As another method,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motor is fixedly mounted on the floor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is drawn out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More specifically, a motor is fixedly mounted on the floor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a rotating member such as a gea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he bottom of the freezer compartment draw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tary member,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rawer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납 박스 타입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orage box type refrigerator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먼저, 수납 박스 자동 인출 구조가 없는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사용자가 수납 박스의 전면에 돌출되는 핸들을 잡고 힘을 주어 잡아당겨야 한다. 그러나, 냉장고 수납 박스의 배면에는 냉기 유출을 막기 위하여 가스켓과 같은 실링 부재가 장착되며, 실링 부재의 내부에는 자석과 같은 밀착 부재가 제공된다. 따라서, 수납 박스가 닫히면 냉장고 본체에 자력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수납 박스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자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수납 박스를 잡아 당겨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박스가 냉장고의 하측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잡아당겨야 하므로, 신체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즉, 어린이나 노약자 및 부녀자가 냉장고 수납 박스를 열기에는 다소 힘이 드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First,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without a storage box automatic drawing-out structure, a user must grasp a handle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and pull it with a force. However, a sealing member such as a gasket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rigerator storage box to prevent outflow of cold air, and a sealing member such as a magnet is provided inside the sealing member. Therefore, when the storage box is closed, the refrigerator body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refrigerator body by the magnetic force. In this state, in order for the user to pull out the storage box, a force larger than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pull the storage box.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box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tor, the waist should be pulled out in a bent state, so that the body may be overloaded. In other words, there may be a problem that a child, an elderly person, and a woman are somewhat hard to open a refrigerator storage box.

또한, 상기 수납 박스를 잡아당기기 위한 핸들이 수납 박스의 전면에 돌출되므로, 냉장고의 포장재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가 실내에 설치된 경우, 상기 핸들이 돌출된 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Further, since the handle for pulling the storage box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box, the volume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refrigerator becomes large. In addition, when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a room,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pace utilization is low because the space required for the protrusion of the handle is required.

나아가, 상기 핸들이 냉장고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딪히거나, 어린이들이 뛰어다니는 과정에서 부딪힐 수 있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Furthermore, since the handle is protrud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 may bump in the process of moving or hit the child in the course of running.

한편, 상기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수납 박스가 냉장고 본체로부터 분리될 정도의 거리만큼 밀어주는 수납 박스 분리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경우도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lso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storage box separating device which pushes the storage box by a distance enough to separate the storage box from the refrigerator body, there is also the following disadvantage.

첫째, 수납 박스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경우도 핸들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수납 박스를 잡아당기려고 할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납 박스가 본체로부터 분리만 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핸들이 필수 구성 요소이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First, even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evice for separating the storage box from the main body, a handle is necessarily required. That is, when the user tries to pull the storage box by holding the handle, the storage box is automatical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by sensing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is an essential component, exist.

둘재,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대비,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수납 박스 분리 장치를 구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즉, 수납 박스 인출 동작에 따른 상기 수납 박스 분리 장치의 반응 속도가 늦어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편리함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This is because the time taken to drive the storage box separating apparatus by sensing th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is shorter than the time taken for the user to grasp and pull the handle, resulting in an inefficiency. That is, the reaction speed of the storage box separa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torage box withdrawing operation is slow, so that the user does not substantially recognize the convenience.

셋째, 상기 수납 박스 분리 장치는 단순히 수납 박스가 냉장고 본체로부터 분리될 정도로만 밀어주기 때문에, 그 이후부터는 사용자가 핸들을 직접 잡아당겨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수납 박스에 수납된 음식물의 중량이 클 경우, 수납 박스 인출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Third, since the storage box separating device pushes the storage box only to the extent that the storage box is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bod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must pull the handle directly after that. In this case, when the weight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ox is large, withdrawal of the storage box is not easy.

또한, 냉장고 본체의 바닥면에 모터가 고정 장착되어 수납 박스를 인출하는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경우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Also,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otor is fixedly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a refrigerator main body to draw out a storage box, the following problem also arises.

첫째, 상기와 같은 구조가 냉장고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구동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가 냉장실 또는 냉동실 바닥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고내 용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First, in order to apply the above structure to the refrigerator, the driving motor and the gear assembly must be mounted on the floo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둘째, 상기 구동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가 냉장고의 인너 케이스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장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냉장고 본체의 단열 손실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 본체는 아우터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 및 그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모터 장착을 위하여 인너 케이스가 함몰되는 경우, 그만큼 단열층이 얇아져서 냉장고 고내와 실내 사이의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Secondly, even if the driving motor and the gear assembly are mounted downward from the inner case of the refrig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insulation loss of the refrigerator body may be caused. In other words, the refrigerator main body is composed of an outer case, an inner case, and a heat insulating layer provided therebetween. Under such a structure, when the inner case is recessed for mounting the mo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thinned so that the heat insulating effect between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deteriorated.

셋째,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가 냉장고 고내 바닥면에 고정 장착되는 경우, 기어에 맞물리는 랙이 수납 박스의 바닥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랙의 최대 길이는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면 전장 길이까지 가능하다. 그리고, 냉장고의 하측 후단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수용되는 기계실이 제공된다. 따라서,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 수납 박스 후면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냉동실 수납 박스의 상단부 전장 길이보다 하단부 전장 길이가 짧은 구조를 이룬다. Third, when the motor and the gear assembly are fixedly mounted on the floor of the refrigerator, the rack engaged with the gear should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maximum length of the rack may be up to the full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x. A machine room in which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are accommodated is provided at a lower rear end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bottom freezer-type refrigerator is inclined forward. That is, the length of the lower end electrical length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end electrical length of the freezer compartment box.

만일, 상기 수납 박스 인출 구조가 상기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 수납 박스에 제공된다면, 상기 랙이 상기 냉동실 수납 박스의 바닥면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냉동실 수납 박스가 최대로 인출되는 경우에도, 냉동실 수납 박스의 상측 후단부는 냉동실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If the storage box draw-out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storage box of the bottom freezer-type refrigerator, the rack should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storage box. In this case, even when the freezing chamber storage box is drawn out to the maximum, the upper rear end portion of the freezing chamber storage box can not be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freezing chamber.

넷째, 냉장고의 수납 박스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경우, 상측 수납 박스가 인출되도록 하는 별도의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가 제공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상측 수납 박스와 하측 수납 박스에 별도의 배리어가 제공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Fourthly,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of the refrigerator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parate motor and gear assembly for pulling out the upper storage box must be provided. To this end, a separate barrier should be provided in the upper storage box and the lower storage box .

다섯째, 냉장고 본체의 바닥면에 모터가 고정 장착되어 수납 박스를 인출하는 구조가 구비된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수납 박스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 박스의 인출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는 기능이 수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바닥면에 설치된 랙의 전단과 후단에 리드 스위치(lead switch)가 장착되어, 단순히 수납 박스가 끝까지 인출되었는지 여부와, 완전히 닫혔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뿐이다. 따라서, 수납 박스가 정상 속도로 인출되는지 여부, 수납 박스의 인출 동작이 장애물에 의하여 방해받는지 여부 및 수납 박스에 수납된 음식물의 중량에 관계없이 설정된 속도로 인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Fifth,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otor is fixedly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a refrigerator main body to draw out a storage box, a function of sensing and controlling the drawing speed of the storage box during the drawing- It does no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a lead switch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ack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or, and only detects whether or not the storage box is completely drawn to the end and whether or not it is completely closed. According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be detected whether or not the storage box is drawn out at a normal speed, whether or not the draw-out operation of the storage box is obstructed by the obstacle, and whether it is drawn at a set speed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ox .

여섯째, 냉장고 본체의 바닥면에 모터가 고정 장착되는 구조의 경우, 구동 모터로 전류와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리드 와이어가 연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리드 와이어의 처리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Sixth,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 motor is fixed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the lead wire for transmitting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al signals to the driving motor must be extended.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단점 및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수납 박스 타입의 냉장고에서 수납 박스 인출을 위한 핸들 구조가 필요없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handle structure for withdrawing a storage box in a storage box type refrigerator is not required.

또한, 냉장고의 수납 박스 인출입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동으로 수납 박스가 인출입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improve the storage box draw-in / out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nd automatically draw out a storage box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또한, 냉장고의 수납 박스 인출입을 위한 구동부가 냉장고 본체에 고정 장착되는 종래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장고 고내 용적 감소 및 단열 효과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reduce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and reduce the adiabatic effect 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unit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the storage box of the refrigerator is fixedly mounted on the refrigerator body.

또한, 수납 박스에 수납된 음식물의 중량에 관계없이 항상 설정된 속도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be pulled out or drawn in at a predetermined speed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ox.

또한, 수납 박스의 인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모터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과 신호 송수신을 위한 리드 와이어가 필요없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drive motor for allowing the storage box to be drawn in and out, and which does not require a lead wire for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음식물 저장을 위한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제공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저장 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며, 음식물이 수납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터; 상 기 드로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수단이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food; An evapora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cool air; A drawer which is drawably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in which foods are stored; A drive motor for supplying rotational force to move the draw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draw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power supply mean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o supply electric power.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결빙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실과, 결빙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어, 냉기가 생성되도록 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하는 팽창 부재;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동 모터; 상기 드로어의 이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버튼; 상기 입력 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명령이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신호 전달 수단이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including a refrigerating chamb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a freezing temperature and a freezing chamb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a freezing temperature; An evapora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generate cold air;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compressor; An expansion member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to a low temperature and a low pressure; A drawer provided so as to be drawable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A drive moto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awer; An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move command of the drawer; And signal transmission means provided to allow a driving command inputted from the input button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motor.

더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 수단;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신호가 상기 구동 모터로 전송되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 수단이 포함된다.In yet another aspect,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rawer provided to be drawable inside the main body; A driv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draw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ireless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and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for allowing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or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e motor.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박스 인출입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torage box draw-in / ou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dvantages and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사용자가 수납 박스 입력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수납 박스가 자동 인출 또는 인입되므로, 어린이나 노약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수납 박스가 자동 인출 가능하므로, 수납 박스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중량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수납 박스를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storage box is automatically drawn or drawn only by the user pressing the storage box input button, the convenience for use for a child or the elderly is increased. Further, since the storage box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orage box can be drawn out conveniently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ox.

둘째, 냉장고의 수납 박스 인출입을 위하여 별도의 핸들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수납 박스 인출입을 위한 핸들이 필요 없게 되므로, 냉장고의 외관 디자인이 깔끔하게 처리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핸들이 냉장고 본체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냉장고 설치 장소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고, 안전 사고의 위험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handle is not required to draw out the storage box of the refrigerator. In detail, there is no need for a handle for taking out the storage box,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can be cleaned neatly.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does not protrude from the refrigerator body,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refrigerator installation place is increased and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reduced.

셋째, 수납 박스의 자동 인출을 위한 구동 모터가 냉장고 본체에 고정 장착되지 않고, 수납 박스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므로, 고내 용적이 감소되는 단점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Third, since the driving motor for automatic withdrawal of the storage box is not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but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storage box,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advantage that the capacity is reduced is eliminated.

넷째, 수납 박스의 자동 인출을 위한 구동 모터가 냉장고 본체에 고정 장착되지 않고, 수납 박스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냉장고 본체의 단열층 두께 감소로 인하여 단열 효과가 감소되는 단점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Fourth, since the driving motor for automatic withdrawal of the storage box is not fixedly mounted on the refrigerator body but is provided movably together with the storage box,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advantage that the heat insulating effect is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of the refrigerator body is eliminated .

다섯째, 드로어의 후측에 연결되는 구동 모터로 전원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별도의 리드 와이어가 연장될 필요가 없게 되어, 리드 와이어 처리 문제가 해결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드로어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 모터에 리드 와이어가 연장될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lead wire does not need to be extended for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drawer,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lead wire processing. In addition, since the lead wire does not need to be extended to the driving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draw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stability is ensu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 shown,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Can be propo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입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드로어 인출입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드로어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draw-out mouth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draw-out state of a refrigerator having the drawer draw-out mouth structur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내부에 냉장실(미도시)과 냉동실(111)이 제공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제공되는 상기 냉동실(111)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13)가 포함된다. 1 and 2, a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provided with a refrigerating chamber (not shown) and a freezing chamber 111 there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 rotatably mounted 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drawer 13 provided be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freezer compartment 111.

상세히, 상기 드로어(13)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냉동실(111)을 개폐하는 도어(131)와, 상기 도어(131)의 배면에 제공되어 음식물이 수납되는 수납 박스(132)로 구성된다. The drawer 13 includes a door 131 that forms a front surface and opens and closes the freezing chamber 111 and a storage box 132 tha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31 and accommodates food .

또한,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131)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 박스(132)를 지지하는 프레임(15)과, 상기 수납 박스(132)가 상기 냉동실(111)로부터 인출입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1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레일 어셈블리(16)의 일단은 상기 냉동실(111)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15)에 고정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refrigerator 10 further includes a frame 15 extending rearward from a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and supporting the storage box 132, And a rail assembly 16 for allowing the rail assembly 16 to be drawn in and out. In detail, one end of the rail assembly 16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11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frame 15, and the length thereof is adjustable.

또한,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수납 박스(132)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 요 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 장치와, 상기 냉동실(111)의 양 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레일 어셈블리(16)가 수용되는 레일 가이드(17) 및 상기 수납 박스(132)가 자동으로 인출입되도록 하는 인출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요동 방지 장치는, 상기 프레임(15)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 박스(132)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서스펜션부(18)와, 상기 레일 가이드(17)에 제공되어, 상기 서스펜션부(18)의 이동을 가이하는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레일 가이드(17)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16)가 수용되도록 하는 레일 안착홈(1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안착홈(171)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해당하는 가이드 랙(172)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freezing chamber 11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eezer compartment 111 to prevent the rail box assembly 132 from being pinched by the rail assembly 16, A rail guide 17 for accommodating the storage box 132 and a drawing device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storage box 132 therefrom. The suspension device includes a suspension unit 18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frame 15 to prevent the storage box 132 from being sway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ur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storage box 132, And a guide member for moving the suspension unit 18. More specifically, the rail guide 17 is formed with a rail seating groove 171 for receiving the rail assembly 16. A guide rack 172 corresponding to the guide member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ail seating groove 171 in a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상기 서스펜션부(18)에는,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15)에 연결되는 샤프트(181)와, 상기 샤프트(181)의 양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피니언(182)이 포함된다. 상기 피니언(182)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랙(172)의 상부면에는 상기 피니언(182)이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 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182)이 상기 가이드 랙(172)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드로어(3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똑바로 인출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드로어(13)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The suspension unit 18 includes a shaft 181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air of frames 15 and a pinion 18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181. A plurality of gear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ion 182, and a gea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ck 172 to rotate the pinion 182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182. Accordingly, when the pinion 182 is rotated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guide rack 172, the drawer 32 is pulled straight without being biased to the left or right. In addition, a phenomenon of shak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oes not occur in the process of drawing the drawer (13).

또한, 냉장고(10) 내부에는 상기 드로어(13)의 자동 인출을 위한 드로어 인출 장치가 제공된다. In the refrigerator 10, a drawer drawing device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13 is provided.

상세히, 상기 드로어 인출 장치에는, 상기 한 쌍의 피니언(182) 중 어느 하 나 또는 모두에 제공되어, 상기 피니언(182)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력 발생부와, 상기 구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수납 박스(132)가 인출되도록 하는 구동력 전달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피니언(18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력 전달부는 상기 서스펜션부(18)와 가이드 랙(172)으로 이루어지는 요동 방지 장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요동 방지 장치는 상기 드로어(13)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드로어(13)의 자동 인출을 위한 구동력 전달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냉동실 도어(131)와 한 몸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구동 모터(20)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수납 박스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액추에이터와 같이, 상기 드로어(13)의 자동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구동 수단이 포함됨을 밝혀 둔다. More specifically, the drawer draw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pair of pinions 182 to supply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182, and a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And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storage box 132 to be drawn out. Here,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may be a driving motor 20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182. The outflow force transmitting portion may be a rock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the suspension portion 18 and the guide rack 172. That is, the rocking prevention device also functions as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for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13,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drawer 13 from swinging to the left and right. Then,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moves with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in one body.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is not limited to the driving motor 20 but includes all the driving means for enabling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13, such as an actuator using a solenoid of the storage box.

한편, 상기 구동력 발생부, 즉 상기 구동 모터(20)의 외주면과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면에는 전력 공급 장치(7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전력 공급 장치(70)에는, 옥내로 인입되는 상용 전압이 흐르는 어댑터(adapter)(72)와, 상기 구동 모터(2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어댑터(7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저장하는 충전부(71)가 포함된다. 상기 전력 공급 장치(70)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power supply device 70 is provided on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that i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otor 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2. The power supply device 70 includes an adapter 72 through which a commercial voltage flows into a room and a power supply 70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ing motor 20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adapter 72, And a charging unit 71 for charging the battery.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device 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16)에는, 상기 레일 안착홈(171)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161)과, 상기 프레임(15)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162) 및 상기 고정 레일(161)과 이동 레일(162)을 연결하는 연장 레일(163)이 포함된다. The rail assembly 16 includes a fixed rail 161 fixed to the rail seating groove 171, a movable rail 162 fixed to the frame 15, And an extension rail 163 for connecting the extension rail 162.

상세히, 상기 고정 레일(161)과, 이동 레일(162) 및 연장 레일(163)은 다단 인출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16)에는, 상기 수납 박스(132)의 전후 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연장 레일(163)이 하나 또는 그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16)는 상기 고정 레일(161)과 이동 레일(162)로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부(18)를 구성하는 샤프트(181)와 상기 구동 모터(20)는, 설계 방법에 따라 상기 프레임(15)의 후단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 레일(162)의 후단에 고정될 수도 있다. In detail, the fixed rail 161, the movable rail 162 and the extension rail 163 are connected so as to be capable of multi-stage drawing. The rail assembly 16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extension rails 163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torage box 132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lternatively, the rail assembly 16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xed rail 161 and the movable rail 162. The shaft 181 constituting the suspension unit 18 and the drive motor 20 may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15 according to a design method and may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ovable rail 162 It may be fixed.

또한, 상기 수납 박스(132)는 상기 프레임(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상기 수납 박스(132)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torage box 13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15 so that the user can periodically clean the storage box 132. [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19)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 dispenser 19 capable of taking out water or ic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19)의 전면 일부에는 용기 수용부(193)가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수용부(193)의 천장 부분에는 얼음이 취출되는 아이스 슈트(194)와, 물이 취출되는 취출구(미도시)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194)의 후측에는 얼음 취출을 위한 취출 레버(19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수용부(193)의 바닥면에는 잔수 받이(196)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19)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냉장고의 운전 상태 또는 냉장고 고내 온도와 같은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91)와, 얼음 취출 버튼 또는 상기 수납 박스의 인출입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 버튼(192a)을 포함하는 버튼부(192)가 제공될 수 있다. In detail,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19 has a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93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 ice chute 194 through which ice is taken out and 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water is taken out are provided in the ceiling portion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93. A take-out lever 195 for taking out ice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ice chute 194. A reservoir receiver 196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93. The display 191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o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at the one edge of the dispenser 19 and an input button 192a for inputting the input / May be provided.

더욱 상세히, 상기 수납 박스의 인출입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 버튼(192a)은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한 정전 용량 스위치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택트 스위치 또는 토글 스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put button 192a for the input / output command input of the storage box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apacitive switch using a capacitance change and a commonly used tact switch or a toggle switch.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 버튼(192a)은 상기 디스펜서(19)의 일측에 제공될 수도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냉동실 도어(131)의 전면 또는 측면부에 터치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button 192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enser 19, or alternatively,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as a touch button.

또는, 상기 입력 버튼(192a)은, 상기 냉동실 도어(131)의 전면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131)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진동 감지 스위치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양손을 쓸 수 없는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상기 냉동실 도어(131)에 약한 충격을 가하는 경우, 상기 충격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 모터(20)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the input button 192a may be a vibration detection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and sens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a weak shock to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1 by using his or her feet in a state where both hands can not be used, the driving motor 20 may be operated by sensing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hock will b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의 장착 모습을 보여주는 드로어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rawer assembly showing an install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drawer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 공급 장치(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72)와 충전부(71)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ower supply apparatus 70 includes an adapter 72 and a charging unit 71 as described above.

상세히, 상기 어댑터(72)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배면에 고정 장착되고,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에 구비되는 인버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71)는 상기 구동 모터(20)의 외주면에 둘러져서, 상기 어댑터(72)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71)와 어댑터(72)는 상기 구동 모터(20)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되도록 하여, 충전부(71)와 어댑터(72)의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adapter 72 is fixed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verte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The charging unit 71 is surround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otor 20 and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dapter 72. The charging unit 71 and the adapter 72 are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otor 20 so that the charging unit 71 and the adapter 72 can be easily contact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어댑터(72)와 상기 충전부(71)가 밀착되는 면에는 충전 단자(미도시)가 제공되어, 상기 드로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충전부(71)로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adapter 72 and the charging part 7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charging part 71 in a state where the drawer 13 is closed .

다른 방법으로서,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mission)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어댑터(72)로부터 상기 충전부(7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하면, 상기 충전부(71)가 어댑터(7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비접촉식 에너지 전송 시스템(Contactless Energy Transmission Systems : CEETS)이라고도 하며, 전기 에너지를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어떠한 기계적 연결이 없이 전달한다. Alternatively,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adapter 72 to the charging unit 71 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In detail,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s used,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charging unit 71 is disconnected from the adapter 72.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also referred to as Contactless Energy Transmission Systems (CEETS), delivers electrical energy from one device to another without any mechanical connection.

상기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미국 특허 공개 2004-0150934, 미국 특허 제7,126,450 및 제7,212,414 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냉장고의 드로어 인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is disclosed in detail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150934, U.S. Patent Nos. 7,126,450 and 7,212,414,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n be applied to a drawer drawer of a refrigerator.

한편,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면 일측에는 상기 입력 버튼(192a)에 이하여 입력되는 동작 신호가 상기 구동 모터(20)로 무선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전달 수단(80 : 도 6 참조)의 일부가 장착된다. 즉,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면에는 상기 구동 모터(20)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81)가 장착된다. 상기 신호 전달 수단(8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 하도록 한다. 6) for allowing an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input button 192a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driving motor 20 is transmitted to one side of the rear wall of the inner case 112, Some are mounted. That is, a transmitting unit 81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driving motor 20 is mounted on the rear wall of the inner case 112.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어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전력 전송 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상태에서의 전력 전송 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a state where a drawer is drawn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장치(70)는 드로어(13)의 인출입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 및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어(13)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부(71)가 충전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부(71)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상기 구동 모터(20)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 모터(20)가 회전하도록 한다. 만일, 상기 전력 전송 장치(70)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한다면, 상기 충전부(71)가 상기 어댑터(7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충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and 5,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contacts and separates according to the draw-out state of the drawer 13. When the drawer 13 i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unit 71, the charging unit 71 is charged. In the separated state, the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charging unit 71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motor 20, ). If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70 us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the charging unit 71 may be charged even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adapter 72.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riving motor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to a drawer draw-o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20)는 홀센서가 구비된 BLDC 모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riving motor 20 provided in the drawer draw-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LDC motor having a hall sensor.

상세히, 상기 구동 모터(20) 내부에는 모터 제어부가 PCB 기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B 기판 형태의 모터 제어부에는 신호 전달 수단(80)을 구성하는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In detail, the motor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iving motor 20 in the form of a PCB substrate. The motor control unit in the form of the PCB board may includ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80. [

더욱 상세히, 구동 모터(2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자(26)와, 상기 회전자(26)의 외측에 둘러지는 고 정자 및 상기 회전자(26)의 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모터축(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자(25)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송신부(81)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8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82)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부(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접속부(83)가 제공된다. 즉, 상기 접속부(83)를 통하여 상기 충전부(71)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상기 수신부(82) 및 모터 제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82)의 일측에서 상기 송신부(8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84)가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84)는 상기 접속부(83)를 통하여 구동 모터(2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82)는 모터 제어부를 구성하는 PCB 기판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기판 형태로 고정자(25)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81)에도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motor 20 includes a housing 21 which forms an outer shape, a rotor 26 which rotates inside the housing 21, a retainer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rotor 26, And a motor shaft 22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otor 26 and rotating. A receiving portion 82 for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portion 81 is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stator 25. A connection part 8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charging part 7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82. That is, the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charging unit 71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82 and the motor controller through the connection unit 83. An antenna 84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81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 82 and the antenna 84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motor 20 Lt; / RTI > The receiving unit 82 may be embedded in a PCB substrate constituting the motor control unit or may be mounted on the stator 25 in the form of a separate substrate. Also, the transmitter 81 may be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한편, 상기 송신부(81)와 수신부(82)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송신부(81)와 수신부(82)는 RF-ID(Radio-Fri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하여 동작 명령 신호를 주고 받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송수신 방법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무선 송수신 수단을 적용하여 입력 버튼에 의하여 입력되는 구동 모터 작동 신호가 상기 구동 모터로 전송되도록 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와 상기 송신부(81)는 유선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Meanwhile, the transmitter 81 and the receiver 82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relessly. That is, the transmitter 81 and the receiver 82 can transmit and receive an operation command signal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Bluetooth or Zigbee . Her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iving motor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input button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motor by applying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and the transmitter 81 may be connected by wire.

상기와 같은 무선 송수신 수단에 의하여, 상기 드로어(13)에 일체로 연결되 는 구동 모터(20)가 드로어(13)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신호 송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 모터와 메인 제어부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가 필요없게 되므로, 드로어 인출 장치의 구현이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tha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facilitat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driving motor 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awer 13 together with the drawer 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ddition, since the lead wire connecting the driving motor and the main control unit is not required, the drawer drawing apparatus can be realized much more easily.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드로어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drawer.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구동 모터(20)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20)는 상기 서스펜션부(18)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and 8,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the drawer draw-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driving motor 20, and the driving motor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spension unit 18 As shown in Fig.

상세히, 상기 요동 방지 장치는 상기 서스펜션부(18)와 가이드 랙(172)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스펜션부(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181)와 피니언(18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랙(172)과 피니언(182)은 요동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에 해당되며, 요동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조로 설계 변경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상기 피니언(182) 대신 외주면에 마찰 부재가 둘러지는 롤러가 적용되고, 상기 가이드 랙(172) 대신 상기 롤러와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 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피니언(182)과 가이드 랙(172) 구조와 같이, 구름 부재가 가이드 부재에 접촉하여 헛돌지 않고 회전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어떤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The suspension unit 18 includes the suspension unit 18 and the guide rack 172. The suspension unit 18 may include the shaft 181 and the pinion 182 as described above. Here, the guide rack 172 and the pinion 182 correspond to one embodiment of the rocking prevention device, and the design can be changed to another structure that performs the rocking prevention function. For example, instead of the pinion 182, a roller around which a friction member surrounds may be applied, and instead of the guide rack 172, a friction member that generates a frictional force in contact with the roller may be applied. In other words, it is noted that any structure is possible in which the rolling member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hile rotating without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like the pinion 182 and guide rack 172 structure.

한편, 상기 구동 모터(20)에 인너 로터 타입의 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에 연결되는 모터축(22)에 상기 피니언(18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0)는 정역 회전 및 속도 가변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모터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An inner rotor type motor can be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20, and the pinion 182 is connected to a motor shaft 22 connected to the rotor. It is to be noted that the drive motor 20 is capable of all kinds of motor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variable speed.

상세히, 상기 구동 모터(20)를 구성하는 로터와 스테이터는 하우징(20)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5)의 후단에는 상기 구동 모터(20)가 고정되는 체결단(31)이 연장되고, 상기 체결단(31)과 상기 구동 모터(20)의 하우징(21)은 브라켓(3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20)와 서스펜션부(28)의 결합체는 상기 프레임(15)의 후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182)은 상기 모터축(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In detail, the rotor and the stator constituting the drive motor 20 are protected by the housing 20. A fastening end 31 to which the driving motor 20 is fixed is extend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15 and the fastening end 31 and the housing 21 of the driving motor 20 are fixed to the bracket 30 ). Accordingly, a combined body of the driving motor 20 and the suspension unit 28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15, and the pinion 18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tor shaft 22 do.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20)가 상기 프레임(15)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 가능할 것이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0)는 프레임(15) 외에 상기 이동 레일(162)의 후단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동 모터(20)가 상기 프레임(15)과 한몸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 박스(132) 및 냉동실 도어(131)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든 결합 구조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하겠다. Here, various methods for fixing the driving motor 20 to the frame 15 may be proposed, and these are all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tor 20 may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oving rail 162 in addition to the frame 15. In other words, all the coupling structures in which the driving motor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15 and move together with the storage box 132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서스펜션부의 타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ther end of the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20)가 상기 서스펜션부(18)의 일측 단부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구동력 발생부, 즉 구동 모터(20)가 상기 한 쌍의 피니언(182)에 각각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motor 20 is provided only at one end of the suspension unit 18.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i.e., the driving motor 20 may be provided to the pair of pinions 182, respectively.

상세히, 상기 서스펜션부(18)의 타단에도 상기 피니언(18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0)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샤프트(181)가 상기 피니언(182)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5)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레임(15)의 후단에 브라켓(30)이 제공되고, 상기 샤프트(181)가 상기 피니언(182)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3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스펜션부(18)의 양 단부가 상기 프레임(15)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수납 박스 인출입 과정에서 일단이 프레임(15)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수납 박스(132)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In detail, the pinion 18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spension unit 18 as well. When the drive motor 20 is not connected, the shaft 181 may be inserted into the frame 15 through the pinion 182. In other words, a bracket 3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rame 15, and the shaft 181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30 through the pinion 182. Both ends of the suspension part 18 are stably coupled to the frame 15 so that one end of the suspension part 18 is separated from the frame 15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extracting the storage box or the storage box 132 is swung in the left- Is prevented.

이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810가 상기 이동 레일(162)의 후단에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as well,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haft 1810 may be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movable rail 162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수납 박스 인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서 수행되는 수납 박스(132)의 자동 인출입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utomatic withdrawal and insertion process of the storage box 132 performed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storage box withdrawing devic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상기 수납 박스(132)를 인출하여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반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펜서(19) 또는 냉장고(10)의 어느 일측에 제공된 입력 버튼(192a)을 누른다. 상기 입력 버튼(192a)을 눌러서 수납 박스 인출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냉장고(10)의 제어부로 명령이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0)의 메인 제어부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로 동작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동작 신호에는 상기 수납 박스의 이동을 위한 방향 정보와, 상기 수납 박스의 이동 속도 정보가 포함된다. 즉, 상기 방향 정보에 의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속도 정보에 의하여 상기 구 동 모터의 RPM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모터 제어부로의 동작 신호 전달은 상기 신호 전달 수단(80)에 의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192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enser 19 or the refrigerator 10 in order to take out the storage box 132 and store or deliver the food. When the input button 192a is pressed to input the storage box draw command, a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10. [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1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20. [ Specifically, the operation signal includes direction information for moving the storage box and mo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storage box. That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is determined by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RPM of the driving motor is determined by the speed information. Here, th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the motor control unit may be performed wirelessly by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80. [

더욱 상세히,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상기 냉동실 도어(131)가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0)로의 전력 공급은 상기 전력 전송 장치(70)에 의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motor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is drawn forward. Power supply to the drive motor 20 may be performed wirelessly b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70. [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인출 조작이 없어도 수납 박스(132)가 자동으로 인출 가능하므로, 냉동실 도어(131)의 전면에 별도의 핸들 부재가 부착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131)는, 돌출부가 없이 매끈한 전면부를 이루는 아우터 커버와, 상기 아우터 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는 인너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커버와 인너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orage box 132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even if there is no user's pull-out ope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attach a separate handle member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 That is,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1 may include an outer cover having a smooth front surface without protrusions, an inner cov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outer cover,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over.

한편, 상기 냉장고(10)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20)의 회전 속도(RPM)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상기 수납 박스(132)의 인출 속도(m/s)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모터(20)의 회전 속도와, 상기 피니언(182)의 원주값을 가지고, 단위 시간당 상기 수납 박스(132)의 이동 속도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 박스(132)가 설정 속도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박스(132)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상기 수납 박스(132)가 설정 속도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10 receives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driving motor 20 in real time and calculates the drawing speed m / s of the storage box 132.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moving speed of the storage box 132 per unit time with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20 and the circumferential value of the pinion 182. The storage box 132 can be taken out at a set speed us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 storage box 132 can be drawn out at a set speed regardless of the load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ox 132. [

또한, 상기 입력 버튼(192a)의 조작 방법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132)가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box 132 can be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pulled in and o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 button 192a.

예를 들어, 상기 입력 버튼(192a)을 한번 누르면 상기 수납 박스(132)가 끝 까지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버튼(192a)를 일정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눌러서 상기 수납 박스(132)가 다단 인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input button 192a is pressed once, the storage box 132 can be drawn to the end. Alternatively, the input button 192a may be repeatedly depressed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to allow the storage box 132 to be drawn out multiple times.

또한, 상기 수납 박스(132)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장애물에 부딪히면 자동으로 정지하거나 다시 인입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box 132 hits an obstacle in the process of being drawn out, it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or retracted.

또는, 상기 수납 박스(132)가 소정 거리 인출된 상태에서 멈추게 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시 인입되거나 완전히 인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납 박스(132)가 소정 거리 인출되고 멈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 도어(131)를 당기면 이를 감지하여 수납 박스(132)가 완전히 인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 도어(131)를 밀면 이를 감지하여 수납 박스(132)가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the storage box 132 may be st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box 132 is drawn ou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controlled so as to be retracted or completely retra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ulls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box 132 is drawn out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tops, the storage box 132 is completely drawn out. When the user opens the freezing chamber door 131, It may be detected that the storage box 132 is pulled in.

또한, 상기 입력 버튼(192a)을 통하여 수납 박스 인출 명령이 입력되었음에도, 수납 박스(132)가 인출되지 않거나 인출 도중에 중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에러 경고 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f the storage box 132 is not pulled out or stopped during the withdrawal even though the storage box retrieval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button 192a, it may be detected and an error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박스(132)는 자동 인출 뿐 아니라, 수동으로도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정전이 되어 상기 구동 모터(20)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입력 버튼(192a)을 조작하지 않고 손으로 상기 냉동실 도어(131)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수납 박스(132)는 상기 구동 모터(20)에 의한 저항력을 받지 않고 부드럽게 인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동 모터(2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 모터(20)에 의하여 수납 박스의 인출이 방해받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storage box 132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rawn out not only automatically but also manually. For example, when the power is not applied to the drive motor 20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user pulls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1 by hand without manipulating the input button 192a, Is smoothly drawn out without being subjected to the resistance force of the drive motor (20).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drive motor 20 is not operated, the drawing of the storage box by the drive motor 20 is not hindered.

또한, 상기 수납 박스(132)가 인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box 132 is drawn out, it is automatically close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o that the cooling los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입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draw-in mouth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드로어 인출입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out state of a storage box assembly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drawer draw-out mouth structure.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의 장착 모습을 보여주는 드로어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rawer assembly showing a mounting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drawer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어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전력 전송 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a state where a drawer is drawn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상태에서의 전력 전송 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riving motor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to a drawer draw-o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인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상기 드로어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drawer.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서스펜션부의 타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ther end of the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음식물 저장을 위한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food storage;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제공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An evapora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cool air; 상기 저장 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며, 음식물이 수납되는 드로어;A drawer which is drawably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in which foods are stored; 상기 드로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터;A drive motor for supplying rotational force to move the drawer; 상기 구동 모터를 상기 드로어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A bracket for mounting the driving motor to the drawer; 상기 드로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drawer; And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수단이 포함하고,At least a part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o supply electric power,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드로어의 인출 또는 인입 시 상기 드로어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Wherein the driving motor is moved together with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drawn or draw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동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구름 부재와, A rolling member connected to a shaft of the driving motor, 상기 드로어가 수용되는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구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And a guide member provided in a space in which the drawer is accommodated to guide movement of the roll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력 공급 수단에는, The power supply means includes: 상기 드로어가 수용되는 공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어댑터와, An adapter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a space in which the drawer is accommodated, 상기 구동 모터에 장착되고, 상기 어댑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부가 포함되는 냉장고.And a charging unit mounted on the driving motor and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adapter to receive power.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어댑터와 상기 충전부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전류 이동을 위한 단자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Wherein a terminal for current movement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adapter and the charging uni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충전부는 상기 어댑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Wherein the charging unit receives power wirelessly from the adapter. 결빙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실과, 결빙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구비되는 본체;A main body in which a refrigerating chamb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temperature and a freezing chamb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reezing temperature are provided; 상기 본체에 제공되어, 냉기가 생성되도록 하는 증발기;An evapora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generate cold air;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compressor;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하는 팽창 부재;An expansion member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to a low temperature and a low pressure;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A drawer provided so as to be drawable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상기 드로어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동 모터;A drive moto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awer; 상기 구동 모터를 상기 드로어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A bracket for mounting the driving motor to the drawer; 상기 드로어의 이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버튼;An input button for inputting a move command of the drawer; 상기 입력 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명령이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신호 전달 수단;Signal transmission means provided for allowing a drive command inputted from the input button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e motor;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드로어의 인출 또는 인입 시 상기 드로어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Wherein the driving motor is moved together with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drawn or drawn.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드로어의 후측에 제공되어, 상기 드로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 장치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Further comprising a rocking prevention device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drawer to prevent rocking in a process of moving the drawer.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요동 방지 장치에는, In the swing prevention device, 상기 드로어의 후단에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구름 부재가 포함되는 서스펜션부; 및A suspension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drawer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rolling memb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shaft; And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름 부재가 접촉되는 가이드 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 And a guide member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freezing chamber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guide member contacting the rolling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is connected to the shaft.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신호 전달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Wherein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i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제 11 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는, RF-ID, 블루투스 및 지그비가 포함되는 냉장고.Where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cludes RF-ID, Bluetooth, and ZigBee.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신호 전달 수단에는,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includes: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송신부와,A transmitting unit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상기 구동 모터의 내측에 제공되는 수신부 및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driving motor,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가 포함되는 냉장고.And an antenna for allowing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A drawer provided to be drawable inside the main body; 상기 드로어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 모터;A driv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drawer;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상기 구동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 수단;및Wireless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신호가 상기 구동 모터로 전송되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 수단이 포함되는 냉장고.And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driving motor.
KR1020080028101A 2008-03-26 2008-03-26 Refrigerator KR101436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101A KR101436640B1 (en) 2008-03-26 2008-03-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101A KR101436640B1 (en) 2008-03-26 2008-03-26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77A KR20090102577A (en) 2009-09-30
KR101436640B1 true KR101436640B1 (en) 2014-09-01

Family

ID=4136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101A KR101436640B1 (en) 2008-03-26 2008-03-2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6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9528B1 (en) 2015-11-04 2023-01-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386709B1 (en) * 2015-11-04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358755B1 (en) * 2015-11-04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043211B1 (en) * 2016-01-05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491969B1 (en) * 2015-11-04 202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373830B1 (en) * 2015-11-04 202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N110579070B (en) * 2018-08-08 2021-07-23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sliding rail routing mechanism
KR102595327B1 (en) 2018-08-30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KR102580773B1 (en) 2018-08-30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KR20210007647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7641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drawer type door
KR20210007648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7639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7645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7646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7644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7642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drawer type door
KR20210007643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7638A (en)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008708A (en)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8707A (en)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8709A (en)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51602A (en) 2020-10-19 202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410222B1 (en) * 2021-02-16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306Y1 (en) * 1993-04-29 1997-05-08 삼성전자 주식회사 Fresh box draw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JPH1194455A (en) * 1997-09-17 1999-04-09 Sankyo Seiki Mfg Co Ltd Casing and refrigerator having automatic drawer
KR100223423B1 (en) 1997-08-26 1999-10-15 윤종용 Lead-in device and method of refrigerator shelf
JP2003003746A (en) 2001-06-26 2003-01-08 Ntn Corp Door ope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306Y1 (en) * 1993-04-29 1997-05-08 삼성전자 주식회사 Fresh box draw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KR100223423B1 (en) 1997-08-26 1999-10-15 윤종용 Lead-in device and method of refrigerator shelf
JPH1194455A (en) * 1997-09-17 1999-04-09 Sankyo Seiki Mfg Co Ltd Casing and refrigerator having automatic drawer
JP2003003746A (en) 2001-06-26 2003-01-08 Ntn Corp Door op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77A (en)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40B1 (en) Refrigerator
KR101532796B1 (en) Refrigerator
KR101441133B1 (en) Controlling method for driving drawer of refrigerator
KR1015056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in a refrigerator
KR1014768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in a refrigerator
KR1013805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in a refrigerator
KR101592573B1 (en) A refrigerator
KR101547700B1 (en) Refrigerator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of the refrigerator
KR101592572B1 (en) A refrigerator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US856208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217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of a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employing same
EP2730865A2 (en) Refrigerator
CN107076502A (en) Door for refrigerator opens and closes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10024883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395334B2 (en) Refrigerator
KR20160099523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40072849A (en) Controlling method for driving drawer of refrigerator
KR101598627B1 (en) A refrigerator
EP3951294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