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796B1 - 복합세탁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796B1
KR101435796B1 KR1020070057876A KR20070057876A KR101435796B1 KR 101435796 B1 KR101435796 B1 KR 101435796B1 KR 1020070057876 A KR1020070057876 A KR 1020070057876A KR 20070057876 A KR20070057876 A KR 20070057876A KR 101435796 B1 KR101435796 B1 KR 10143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laundry
washing mach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488A (ko
Inventor
최경아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96B1/ko
Priority to US12/137,245 priority patent/US8215136B2/en
Priority to DE102008027977.3A priority patent/DE102008027977B4/de
Publication of KR2008010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88A/ko
Priority to US13/484,656 priority patent/US846886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4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water j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세탁 대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세탁장치는 케이싱과, 서로 다른 세탁방식으로 세탁을 수행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역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세탁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합세탁장치, 개별세탁장치

Description

복합세탁장치{Multiplex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수 재활용을 위한 연결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1세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제1세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제1세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2세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제2세탁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합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세탁 대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하는 복합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 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펄세이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수평으로 눕혀진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러한 세탁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세탁기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기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데,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 대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 대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세탁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세탁기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 대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펄세이터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 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 대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세탁기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소량의 세탁 대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세탁기는 적합히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 대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 대상물을 모은다.
속옷류나 아기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 대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종래 대형 세탁기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세탁기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세탁기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량의 세탁 대상물 등에 대한 세탁이 가능하고, 세탁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해서 세탁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케이싱과, 서로 다른 세탁방식으로 세탁을 수행 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역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세탁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탁공간은 서로 다른 구동방식의 개별 세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세탁 대상물을 고정시켜 세탁을 수행하는 제1세탁장치와, 세탁 대상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제2세탁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세탁장치의 배수관은 상기 제2세탁장치의 급수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세탁장치에서 헹굼 수행을 마친 세탁수를 제2세탁장치에서 재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에 형성된 상기 세탁공간 및 하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은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형성된 상기 세탁공간은 상기 케이싱 상면에 도어가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상기 세탁공간은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세탁 대상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랙과, 상기 랙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의 전면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개방면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여 전면으로 세탁 대상물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랙이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터브 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랙은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세탁 대상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랙과, 상기 랙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세탁장치는 터브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도록 열풍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를 진동시켜 세탁 대상물을 세탁하는 초음파 세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음파 세탁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를 요동시키는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돌이 방식의 세탁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아웃터브와,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 대상물을 요동시키는 이너터브와, 상기 이너터브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제1세탁장치 및 제2세탁장치는 상기 터브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가열시켜 삶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히 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별 세탁장치의 전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상기 개별 세탁장치 중 어느 하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개별 세탁장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행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 세탁장치가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상기 개별 세탁장치 각각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개별 세탁장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행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독립제어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세탁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탁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싱 상면에 도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1)과 서로 다른 세탁방식으로 세탁을 수행하도록 상기 케이싱(111) 내부에 구역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세탁공간(11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100)는 종래의 세탁장치와는 달리 소량의 세탁 대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도록 개별 세탁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속옷류나 아기옷 등 모양이 쉽게 변하는 섬세의류를 세탁할 수 있는 제1세탁장치와, 신발등과 같이 강력세탁을 필요로 하는 세탁 대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제2세탁장치로 나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 대상물을 고정시켜 세탁을 수행하며, 상기 제2세탁장치는 세탁 대상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공간(110)은 공간활용을 위해 상하로 구역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세탁장치가 제1세탁장치에 비해 더 큰 진동을 발생하므로 상기 제2세탁장치는 하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에 구비되며, 제1세탁장치는 상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탁공간(110)은 상기 케이싱(111)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합세탁장치(100)는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드로워(112)를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상기 세탁공간은 케이싱(111) 상면에 도어(120)가 형성된 탑로딩 방식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드로워(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세탁장치(100)는 컨트롤 패널(140)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140)은 상기 개별 세탁장치가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상기 복합세탁장치(100)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개별세탁장치는 각각 컨트롤 패널(140)을 구비하며, 개별세탁장치 각각은 독립적으로 제어 및 행정이 진행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40)은 상기 드로워(110)의 전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위치상에 제한이 없는 한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140)은 상기 개별 세탁장치의 전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상기 복합세탁장치(100)에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개별 세탁장치를 모두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40)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과, 상기 개별세탁장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41)와, 상기 키입력부(141)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행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40)은 상기 개별세탁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는 개별 세탁장치가 동시에 세탁을 수행할 경우, 상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에서 헹굼수행을 마친 세탁수를 하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에서 선택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에 형성된 세탁공간(410)의 배수관(130)과 하부에 형성된 세탁공간(420)의 급수관(440)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부의 세탁공간(410)에는 제1세탁장치가 형성되고, 하부의 세탁공간(420)에는 제2세탁장치가 구비되므로, 오염도가 심하지 않은 섬세의류의 경우 헹굼수행을 마친 세탁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감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세탁공간(410)에 형성된 제1세탁장치가 오염도가 심한 세탁 대상물을 세탁할 경우에는 재활용하지 않고 제1밸브(431)를 오픈하고 제2밸브 (432)를 닫아 배수관(430)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세탁공간(420)의 급수도 제2밸브(432)가 닫힌 상태에서 제3밸브(442)을 오픈하여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급수관(440)을 통해 상기 하부 세탁공간(420)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세탁공간(410)에서 사용한 세탁수를 하부 세탁공간(420)에서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431)와 제3밸브(432)를 닫고 제2밸브(442)를 오픈하여 상부 세탁공간(410)에서 사용한 세탁수가 하부 세탁공간(420)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세탁장치, 특히 개별 세탁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세탁장치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21); 세탁 대상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랙(128); 및 상기 랙(128)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장치(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브(121)는 적어도 전면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수를 수용하고 세탁 대상물 및 랙(128)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브(121)의 개방면을 개폐시키는 도어(12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29)는 힌지 결합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세탁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서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 가능하다.
상기 분사장치(126)는 상기 랙(128)에 안착된 세탁 대상물을 향해 세탁수를고압으로 분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장치(126)의 상면에는 세탁수를 분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126a)이 설치되며, 저면의 양 끝단에는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분사장치(126)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부노즐(미도시)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분사장치(126)가 상하 및 전후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랙(128)에 안착된 세탁 대상물에 세탁수를 분출함으로써 세탁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터브(121) 내에 세탁수를 수용하여 세탁 대상물이 세탁수에 잠기도록 하여 상기 분사장치(126)의 회전력에 의해 세탁수를 요동시켜 세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브(121) 내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외부급수원과 연결된 급수관(122)과 세탁에 사용되어 오염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1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급수관(122)을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면 섬프(125)는 세탁수를 집 수하여 상기 분사장치(126)를 통해 상기 터브(121)내로 공급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섬프(125)에는 집수된 세탁수를 펌핑하여 분사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세탁펌프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21)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하는 스팀발생장치(12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24a)는 종래 세탁기에 사용되는 스팀발생장치(124a)와 그 구조가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121)내로 공급되는 세탁수 급수량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122)을 개폐시키는 터브측 밸브(122b)와, 상기 스팀공급장치로 공급되는 스팀측 밸브(124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128)은 세탁 대상물을 안착시키며, 상기 랙(128)이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터브(121)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랙(128)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랙(128)은 양 측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돌기(128a)를 포함하며, 상기 터브(121)의 내측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8a)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28b)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128b)은 상기 랙(128)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세탁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랙(128)에 안착된 세탁 대상물이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에 잠겨 세탁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의 개방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향할수록 터브의 저면을 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탁 수행 전 상기 랙(128)을 상기 터브(121)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세탁 대상물을 안착시킨 후, 상기 랙(128)을 상기 터브(121)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안착된 세탁 대상물이 상기 터브(121) 내부의 세탁수에 잠겨 세탁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세탁장치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수을 수용하는 세탁조와(150) 상기 세탁조(150) 내의 세탁수를 진동시켜 세탁 대상물을 세탁하는 초음파 세탁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세탁장치는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드로워(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세탁장치는 상기 케이싱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 상면형성된 도어를 통해 세탁 대상물을 인출입할 수 있다.
상기 세탁조(150)의 상부 개구에는 세탁조 도어(15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비교적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세탁조(150) 내의 세탁수가 튀어나갈 수 있는데, 상기 세탁조 도어(151)가 있으면 그것이 방지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초음파 세탁 수단(160)은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진폭을 확대시키는 부스터와 상기 부스터에 결합되어 부스터에서 확대된 초음파를 세탁조 내부의 세탁수에 전달하는 혼(hor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진동부에 전기 신호가 가해지면 상기 진동부에 내장된 압전 세타믹스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진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전 세라믹스의 진동은 그 진폭이 크지 않으므로, 진동부에 결합된 부스터에서 상기 압전 세라믹스의 진동을 전달받아 그 진폭을 더욱 크게 확대시킨다.
확대된 진동을 혼에 의하여 세탁조(150) 내의 세탁수로 전해지게 되며, 세탁수에 진동이 전해지게 되면 물속에 공동화 기포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공동화 기포 내부는 고온과 고압이 형성되어 세탁수 속의 세균들이 살균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압력과 고온은 수백분의 1초에서 수천분의 1초 단위의 짧은 시간동안 발생하며, 이러한 강력한 힘에 의하여 오염 물질을 분산, 분해시켜 세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세탁조(150)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155)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155)의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156)으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드로워(14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주름관(156)이 신장된다.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세탁조(150)의 상부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관(153)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153) 또한 마찬가지로 주름관(154)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세탁장치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31)와, 상기 터브(131) 내에 건조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랙(138), 및 상기 터 브(131)의 내벽면에 다수개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랙(138)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출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세탁장치는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드로워(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세탁장치는 상기 케이싱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 상면형성된 도어를 통해 세탁 대상물을 인출입할 수 있다.
상기 터브(131)의 상부 개구에는 터브 도어(139)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비교적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터브(131) 내의 세탁수가 튀어나갈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도어(139)가 있으면 그것이 방지된다.
상기 분출구(132)는 상기 터브(131)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순환되는 세탁수를 상기 터브(131) 내로 세탁수를 고압으로 분출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즉,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2세탁장치에는 순환펌프(134a)와 상기 순환펌프(134a)에 연결된 배출관(134)과, 상기 순환펌프(134a)의 배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131)의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 공급관(133)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134) 및 공급관(133)의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133a, 134b)으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드로워(13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주름관(133a, 134b)이 신장된다.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131)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135)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135) 또한 마찬가지로 주름관(135a)을 포함한다.
상기 터브(131) 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분출구(132)를 통해 세탁수와 함께 기포를 분사될 수 있도록 에어공급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131) 내로 세탁수와 기포를 함께 분출시켜 세탁 대상물과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131) 내에 세탁수를 채워 상기 분출구(132)에서 분사되는 세탁수와 기포를 통해 상기 세탁수를 요동시켜 세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75) 및 에어공급장치는 종래 세탁기에 사용되는 스팀발생장치(175) 및 에어공급장치와 그 구조가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터브(240)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270)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270)에는 배수펌프(272)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세탁장치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40)와, 상기 터브(24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 대상물을 요동시키는 이너터브(250)와, 상기 이너터브(25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세탁장치는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드로워(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220)에는 아웃터브(240)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아웃터브(240)의 지지를 위해 지지장치(260, 2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웃터브(240)와 드로워(220) 사이로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연한 실링재인 가스켓(2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터브(240)의 상부 개구에는 아웃터브 도어(24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비교적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아웃터브(240) 내의 세탁수가 튀어나갈 수 있는데, 상기 아웃터브 도어(241)가 있으면 그것이 방지된다.
상기 아웃터브(240) 내에는 이너터브(250)가 위치한다. 상기 이너터브(250)에는 세탁수의 유출입을 위한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240)의 바닥 하면에는 모터(290)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291)은 상기 아웃터브(240)의 바닥을 관통하여 이너터브(250)의 바닥에 직결된다.
상기 아웃터브(240)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270)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270)에는 배수펌프(272)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70)의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271)으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드로워(22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주름관(271)이 신장된다.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아웃터브(240)의 상부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관(28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280)은 급수밸브(282)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280) 또한 마찬가지로 주름관(281)을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브(240) 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285)가 설 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아웃터브(240) 내의 세탁수를 가열시켜 삶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285) 및 히터는 종래 세탁기에 사용되는 스팀발생장치 및 히터와 그 구조가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세탁장치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340)와, 상기 터브(34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를 요동시키는 펄세이터(350)와, 상기 펄세이터(35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세탁장치는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드로워(3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320)에는 터브(340)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브(340)의 지지를 위해 지지장치(360, 3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브(340)와 드로워(320) 사이로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연한 실링재인 가스켓(3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340)의 상부 개구에는 터브 도어(34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비교적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터브(340) 내의 세탁수가 튀어나갈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도어(341)가 있으면 그것이 방지된다.
상기 터브(340) 내에는 펼세이터(350)가 위치한다. 상기 펄세이터(350)는 워 블링(wobbling)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터브(340)에는 오목한 형태의 안내 가이드(3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터브(340)의 바닥 하면에는 모터(390)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391)은 상기 터브(340)의 바닥을 관통하여 펄세이터(350)의 바닥에 직결된다.
상기 터브(340)의 하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370)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370)에는 배수펌프(372)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370)의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371)으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드로워(32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주름관(371)이 신장된다.
상기와 같은 주름관 형태 대신에 텔레스코픽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340)의 상부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관(38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380)은 급수밸브(382)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380) 또한 마찬가지로 주름관(381)을 포함한다.
상기 터브(340) 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38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터브(340) 내의 세탁수를 가열시켜 삶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385) 및 히터는 종래 세탁기에 사용되는 스팀발생장치 및 히터와 그 구조가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세탁장치는 소량의 세탁 대상물 등에 대한 세탁이 가능하고, 세탁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해서 세탁할 수 있다.
개별 세탁장치가 동시에 세탁을 수행할 경우 헹굼을 수행한 세탁수를 재활용하여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2)

  1. 케이싱;
    서로 다른 세탁방식으로 세탁을 수행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역되어 형성되고, 서로 다른 구동방식의 개별 세탁장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세탁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세탁장치의 전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개별 세탁장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행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세탁 대상물을 고정시켜 세탁을 수행하는 제1세탁장치와, 세탁 대상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제2세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세탁공간 상부에는 제1세탁장치 가 구비되고 세탁공간 하부에는 제2세탁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탁장치의 배수관은 상기 제2세탁장치의 급수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부에 형성된 세탁공간 및 하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은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은 상기 케이싱 상면에 도어가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세탁공간은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탁 대상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랙; 및
    상기 랙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전면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개방면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랙이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터브 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랙은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탁장치는
    세탁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건조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랙; 및
    상기 터브의 내벽면에 다수개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랙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3. 제 8항 및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탁장치는 터브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도록 열풍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를 진동시켜 세탁 대상물을 세탁하는 초음파 세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를 요동시키는 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아웃터브;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 대상물을 요동시키는 이너터브; 및
    상기 이너터브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세탁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가열시켜 삶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싱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싱 상면에 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장치.
KR1020070057876A 2007-06-13 2007-06-13 복합세탁장치 KR10143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76A KR101435796B1 (ko) 2007-06-13 2007-06-13 복합세탁장치
US12/137,245 US8215136B2 (en) 2007-06-13 2008-06-11 Laundry machine having multiple laundry treatment devices
DE102008027977.3A DE102008027977B4 (de) 2007-06-13 2008-06-12 Mehrfachwäschemaschine
US13/484,656 US8468860B2 (en) 2007-06-13 2012-05-31 Multiple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76A KR101435796B1 (ko) 2007-06-13 2007-06-13 복합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88A KR20080109488A (ko) 2008-12-17
KR101435796B1 true KR101435796B1 (ko) 2014-08-29

Family

ID=4007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876A KR101435796B1 (ko) 2007-06-13 2007-06-13 복합세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215136B2 (ko)
KR (1) KR101435796B1 (ko)
DE (1) DE102008027977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82A1 (ko) * 2016-01-18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31395A1 (ko) * 2016-01-29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11B1 (ko) * 2007-11-21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063014B1 (en)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P2063012B1 (en)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090052458A (ko)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063013B1 (en)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467752B1 (ko) 2007-11-2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99859B1 (ko) * 2009-04-28 2016-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2991B1 (ko) *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DE112011106124B9 (de)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US9386904B2 (en) * 2010-11-18 2016-07-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movable liquid conduit
US8043437B1 (en) 2010-12-03 2011-10-2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multiple treating chambers
CN103850084A (zh) * 2012-11-30 2014-06-11 海尔集团公司 洗衣洗鞋一体机
CN103572547B (zh) * 2013-09-23 2016-06-08 蒋新东 一种卧式或者斜卧式滚筒洗衣机
KR101555757B1 (ko) 2013-11-21 2015-09-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15115827A1 (en) * 2014-01-29 2015-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JP6409241B2 (ja) * 2014-03-26 2018-10-24 アクア株式会社 靴洗浄ユニットおよび洗濯機
KR102244839B1 (ko) * 2014-08-01 2021-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759911S1 (en) * 2014-12-09 2016-06-2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D759910S1 (en) * 2014-12-09 2016-06-2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JP6458968B2 (ja) * 2014-12-12 2019-01-30 青島海爾滾筒洗衣机有限公司 複数槽洗濯機の水を繰り返し利用する制御方法
AU2016226784B2 (en) * 2015-03-02 2018-11-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4878560A (zh) * 2015-05-12 2015-09-02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三厢式洗衣机
CN106283485B (zh) * 2015-05-14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显示方式
KR102397005B1 (ko) * 2015-06-30 202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6A (ko)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7A (ko)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8A (ko)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86960B1 (ko) * 2015-06-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TW201702453A (zh) 2015-06-30 2017-01-16 Lg電子股份有限公司 洗衣處理裝置
USD811028S1 (en) * 2015-09-03 2018-02-20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D815376S1 (en) * 2015-09-03 2018-04-10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D816283S1 (en) * 2015-09-03 2018-04-24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D814722S1 (en) * 2015-09-03 2018-04-03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2407511B1 (ko) * 2015-09-04 202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801604S1 (en) * 2015-09-15 2017-10-3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sterilizing and deodorizing machine forgarments
KR102493407B1 (ko) * 2016-01-04 202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948124A (zh) * 2016-01-06 2017-07-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多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170087737A (ko) 2016-01-21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87676A (ko) * 2016-01-21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E539513C2 (en) 2016-02-09 2017-10-03 Roderinno Ab Washing machine
SE540050C2 (en) 2016-03-23 2018-03-06 Roderinno Ab Washing machine
KR20170135209A (ko) 2016-05-30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252197B1 (en) * 2016-05-30 2019-05-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622717B1 (ko) 2016-11-23 202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D836264S1 (en) * 2016-11-28 2018-12-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D828966S1 (en) * 2016-11-28 2018-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D827226S1 (en) * 2016-11-28 2018-08-2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180074484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1913161B2 (en) 2016-12-23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180074459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80076945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348088B1 (ko) * 2017-01-02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KR102620364B1 (ko) * 2017-02-23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407650B1 (ko) * 2017-05-24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SE543459C2 (en) * 2017-06-29 2021-02-23 Roderinno Ab Washing machine with a progressive intensity washing zone
KR101929783B1 (ko) * 2017-07-19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245853B (zh) * 2017-08-02 2019-09-10 宁波吉母电器有限公司 具有能移动辅助洗涤单元的洗衣机
KR101962149B1 (ko) * 2018-08-13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DE102020209034A1 (de) 2020-07-20 2022-01-20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Steuerung
US11578448B2 (en) 2020-08-07 2023-02-14 Whirlpool Corporation Color sensor for washing machines
CN112981845A (zh) * 2021-02-07 2021-06-1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多筒洗衣机
CN113152023A (zh) * 2021-05-01 2021-07-23 林靖枫 一种夹持式拍打挤压洗涤袜子内裤并自动晾晒的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0529A (en) 1948-08-09 1951-10-09 Joseph A Dolan Washing machine
US6618887B2 (en) * 2000-10-12 2003-09-16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and process of washing laundr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378353A1 (es) * 1969-04-18 1973-02-01 Beges A G Una maquina automatica, gobernada por un regulador de pro- grama, destinada a limpiar ropa.
US3555701A (en) * 1969-05-15 1971-01-19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FR2075196A5 (ko) * 1970-01-07 1971-10-08 Zanussi A Spa Industrie
DE2100373C3 (de) 1971-01-15 1979-04-12 Institut Chimitscheskich Nauk Akademii Nauk Kasachskoj Ssr Katalysator zum Hydrieren von Nitroverbindungen
DE2834351B2 (de) * 1978-08-04 1981-06-19 G. Bauknecht Gmbh, 7000 Stuttgart Programmwahleinrichtung
KR950009229Y1 (ko) * 1991-10-16 1995-10-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삶아 세탁하는 세탁기의 급수장치
EP1674028B1 (en) * 1991-12-20 2011-05-04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Dishwasher with a thick film heating plate
KR930023525A (ko) * 1992-05-30 1993-12-21 강진구 전자석 세라믹층을 부설한 초음파 세탁기
DE4404759A1 (de) 1994-02-15 1995-08-17 Foron Waschgeraete Gmbh Trommelwaschmaschine
US5784901A (en) * 1995-08-31 1998-07-28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US7624600B2 (en) * 2000-07-25 2009-12-01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TR200300634T1 (tr) 2000-08-09 2004-02-23 Ar�El�K Anon�M ��Rket� Birden çok tambura sahip çamaşır yıkama makinası.
KR100517613B1 (ko) * 2003-03-31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US7060106B2 (en) * 2003-04-15 2006-06-13 Richard George Kleker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garments
DE202004010585U1 (de) 2004-07-05 2004-09-30 Barski, Olaf Trommelwaschmaschine in Frontlader-Bauweise
US20060069360A1 (en) 2004-09-29 2006-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nsult indica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0529A (en) 1948-08-09 1951-10-09 Joseph A Dolan Washing machine
US6618887B2 (en) * 2000-10-12 2003-09-16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and process of washing laundry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82A1 (ko) * 2016-01-18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31395A1 (ko) * 2016-01-29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0934653B2 (en) 2016-01-29 2021-03-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15136B2 (en) 2012-07-10
US8468860B2 (en) 2013-06-25
US20120234054A1 (en) 2012-09-20
US20090113945A1 (en) 2009-05-07
DE102008027977B4 (de) 2016-12-08
DE102008027977A1 (de) 2009-01-02
KR20080109488A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96B1 (ko) 복합세탁장치
EP2118358B1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4677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28953B1 (ko) 세탁장치
KR10159985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811B1 (ko) 의류처리장치
EP2298981B1 (en) Laundry device
KR101306712B1 (ko) 페데스탈 세탁기
KR20090052458A (ko) 의류처리장치
CN101328670A (zh) 复合洗衣装置
KR2018005318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70894B1 (ko) 복합 세탁장치
KR101320675B1 (ko) 페데스탈 세탁기
JP6253468B2 (ja) 洗濯機または乾燥機
KR20080060706A (ko) 복합 세탁장치
KR101608656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KR101365555B1 (ko) 페데스탈 세탁기
KR101328935B1 (ko) 세탁장치
CN218492013U (zh) 一种衣物局部洗护设备
KR20080053000A (ko) 페데스탈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245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19885B1 (ko) 페데스탈 세탁기
KR20150029438A (ko) 의류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