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284B1 - 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 - Google Patents

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284B1
KR101435284B1 KR1020120145236A KR20120145236A KR101435284B1 KR 101435284 B1 KR101435284 B1 KR 101435284B1 KR 1020120145236 A KR1020120145236 A KR 1020120145236A KR 20120145236 A KR20120145236 A KR 20120145236A KR 101435284 B1 KR101435284 B1 KR 10143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external memory
auxiliary devi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0656A (en
Inventor
신한수
Original Assignee
신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수 filed Critical 신한수
Priority to KR102012014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284B1/en
Publication of KR2014008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2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케이스와 착탈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 연결부에 외장 메모리를 삽입하고 이러한 케이스 연결부를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외장 메모리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말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uxiliary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auxiliary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uxiliar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an external memory and a terminal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Description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uxiliary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케이스와 착탈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 연결부에 외장 메모리를 삽입하고 이러한 케이스 연결부를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외장 메모리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말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uxiliary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auxiliary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uxiliar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an external memory and a terminal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최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컴퓨터, 휴대용 정보기기, 휴대용 디스플레이기 등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0002] As the industry has developed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terminals such as mobile terminals, tablet computers, portable computers, smart computers,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portable display devices and the like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단말기들은 하루가 다르게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사람들에게 있어서 일상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성인 및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어린 아이들에 이르기까지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통화, 영화 시청, 게임, 정보 저장 등 다양한 IT 서비스를 누리고 있다.
These terminals are being developed variously in different kinds and sizes, and they are becoming essential necessities for people in everyday life. Specifically, it enjoys a variety of IT services such as phone calls, movie watching, games, and information storage using terminals as well as adults and young children.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말기들은 고가이기 때문에 사용시의 긁힘과 낙하 및 기타 외부 충격 등의 이유로 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 사용자들은 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Generally, since terminals are expensive, terminal users use a terminal protection case to prevent the terminals from being damaged due to scratches, falling, and other external shocks during use.

또한 이러한 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상술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본질적인 기능과 함께 미적인 기능을 포함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개성을 표출하는 수단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protection case is also used as a means for expressing the personality of the terminal user including an aesthetic function together with an essential function of protecting the terminal from the outside.

한편, 단말기의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내장 메모리의 용량(예를 들어, 512램 또는 1G 등)은 그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의 정보 저장 능력을 일시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외장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외장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인식시킬 수 있는 별도의 메모리 인식 장치 역시 필요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pacity of the built-in memory (for example, 512 RAM or 1G, etc.) that is basically set in the terminal is limited, the terminal user uses the external memory card to temporarily improve the information storage capability of the terminal And a separate memory recognition device capable of inserting and recognizing such an external memory card is also required.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메모리 인식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 단말기 사용자는 별도의 외장 메모리 인식 장치를 구매하여야 하며, 또한 이동시 주머니 또는 가방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 및 그 인식 장치를 소지 및 보관하게 됨에 따라 휴대의 불편함이 가중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분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장 메모리 인식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장 메모리 카드를 인식 장치에 삽입한 후 케이블 등과 같은 전선을 단말기와 연결해서 사용하거나 혹은 단말기를 단말기 케이스로부터 분리한 후에 외장 메모리를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order to use such a separate memory recognizing device, the user of the terminal must purchase a separate external memory recognizing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memory and the recognizing device are held and stored by using a pocket or a bag when mov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be lost in some cas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external memory recognition device, the external memory card is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device and then connected to a terminal such as a cable or used after inserting the external memory into the terminal after detaching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use.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던 중, 단말기 케이스와 착탈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 연결부에 외장 메모리를 삽입하고 이러한 케이스 연결부를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편리하게 외장 메모리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말기 보조 장치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a terminal case by inserting an external memor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case connection to the terminal,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vented a terminal auxiliary devic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an external memory and a terminal conveniently without a separate device.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16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1648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를 수용 및 보관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측에 외장 메모리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ase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storing a terminal. And a case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and capable of receiving an external memory inside the terminal case.

그로 인해, 별도의 인식 장치가 없이도 외장 메모리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말기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auxiliary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an external memory and a terminal without a separate recogni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케이스를 단말기와 분리한 후 외장 메모리를 교체하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단말기의 메모리를 확장시켜 단말기의 정보 저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외장 메모리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of replacing the external memory after detaching the terminal case from the terminal and to improve the information storage capacity of the terminal by expanding the memory of the terminal, And to provide a terminal auxilia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보조 장치는,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연결부는, 그 내측에 외장 메모리가 삽입될 수 있는 외장 메모리 삽입부; 및 상기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는 제1 연결잭;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연결부에 삽입된 외장 메모리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ermin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ase accommodating a terminal; And a case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wherein the case connection part includes: an external memory insertion part into which an external memory can be inserted; And a first connection jack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wherein data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external memory inserted in the case connection part and the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연결부는, 충전 모듈의 제2 연결잭이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는 보조 장치 커넥터홈;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as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n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ion jack of the charging modul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n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잭 및 상기 제2 연결잭은 상기 단말기의 커넥터홈에 상호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dvantageously, the first connection jack and the second connection jack can be used interchangeably in a connector groove of the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연결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에 상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 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as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terminal cas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잭과 상기 외장 메모리 삽입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1 연결잭과 상기 보조 장치 커넥터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ase connection includes: a first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jack and the external memory insert; And a second circu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jack and the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 연결부의 제1 연결잭이 상기 단말기의 커넥터홈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terminal cas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jack of the case connection par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groove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 연결부에 외장 메모리를 삽입하고 이러한 케이스 연결부를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외장 메모리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memory is inserted into a case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terminal case, and the case connection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so that data between the external memory and th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케이스를 단말기와 분리한 후 외장 메모리를 교체하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단말기의 메모리를 확장시켜 단말기의 정보 저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외장 메모리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replacing the external memory after detaching the terminal case from the terminal, improve the information storage capacity of the terminal by expanding the memory of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을 단말기 보조 장치에 포함시킴으로써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성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용량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function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a terminal in a terminal auxiliary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expand the data storag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and to limit the capacity of programs such as various applications executed in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또한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이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연결부를 제공하고 이러한 케이스 연결부에 외장 메모리 인식 기능을 포함시켜, 외장 메모리의 소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그로 인해 외장 메모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se connect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 terminal case used by a plurality of terminal users to protect the terminal and an external memory recognizing function is included in the case connecting portion to facilitate holding and storing of the external memor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external mem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의 케이스 연결부(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terminal assist apparatus 100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2 (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auxiliary apparatus 100 including the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3 is a view showing the case connection part 30 of the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ing the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rminal assistance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는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유의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ty of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part, .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comprises"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or elements.

<< 실시예Example >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의 케이스 연결부(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auxiliary apparatus 100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auxiliary apparatus 100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auxiliary apparatus 100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nd FIG. 3 (30) of a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to 3, a terminal auxiliary apparatus 100 including an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는 단말기 케이스(20) 및 케이스 연결부(30)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auxiliary apparatus 100 including the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ase 20 and a case connection 30. [

단말기 케이스(20)는 그 내부에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10)를 수용 및 보관하고, 단말기(10)를 외부의 이물질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미적인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단말기(10) 사용자의 개성을 표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The terminal case 20 accommodates and stores various sizes of the terminal 10 therein and protects the terminal 10 from foreign substances and shocks. The terminal case 20 includes an aesthetic function, It also serves to display the user's personality.

이러한 단말기 케이스(20)는 단말기(10)가 탈부착 및/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케이스(20)에는 단말기(10)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특정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단말기(1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케이스(20)와 단말기(10) 간의 결합 방식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The terminal case 20 is configured so that the terminal 10 can be detached and / or fixed. For example, a specific type of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erminal case 20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shape of the terminal 10, so that the terminal 10 can be f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terminal case 20 and the terminal 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can be performed in various known forms.

한편 단말기 케이스(2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단말기(10)를 탈착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상이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terminal case 20 is preferably elastic rubber material,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materials may be used as long as the terminal 10 can be detached, and a partly different material may be used. do.

케이스 연결부(30)는 단말기 케이스(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장 메모리(40)를 그 내부에 수용 및 인식하고 외장 메모리(40)와 단말기(1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20 and accommodates and recognizes the external memory 40 therein and assists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external memory 40 and the terminal 10. [ Role.

이를 위해, 케이스 연결부(30)는 그 내측에 외장 메모리(40)가 삽입될 수 있는 외장 메모리 삽입부(31); 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는 제1 연결잭(32); 및 외장 메모리 삽입부(31)와 제1 연결잭(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회로부(35);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case connection portion 30 includes an external memory insertion portion 31 into which an external memory 40 can be inserted; A first connection jack 32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10; And a first circuit unit 35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memory insertion unit 31 and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

외장 메모리 삽입부(31)는 외장 메모리(40)(예를 들면,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멀티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등)가 삽입 및 인식될 수 있도록 케이스 연결부(30)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외장 메모리 삽입부(31)는 삽입된 외장 메모리(40)를 수용 및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external memory inserting section 3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connecting section 30 so that the external memory 40 (for example,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 multimedia card (Multi Media Card) And the external memory inserting unit 31 functions to accept and recognize the inserted external memory 40.

제1 연결잭(32)은 단말기(10)의 커넥터홈(11)에 삽입 및 고정되어 단말기(10)와 케이스 연결부(30)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케이스 연결부(30)의 타 측면에 형성된다.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nector groove 11 of the terminal 10 to electrically connect and connect the terminal 10 and the case connection portion 30, An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제1 회로부(35)는 상술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 삽입부(31)와 제1 연결잭(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케이스 연결부(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The first circuit unit 35 electrically connects the external memory insertion unit 31 and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and is located inside the case connection unit 30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외장 메모리 삽입부(31), 제1 회로부(35) 및 제1 연결잭(32)의 전기적 연결 구성으로 인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외장 메모리(40)의 메모리 용량을 이용하여 단말기(10)의 메모리 용량을 증가시키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user can use the memory capacity of the external memory 40 to connect to the terminal (not shown)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memory insertion portion 31, the first circuit portion 35 and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The memory capacity of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increased an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단말기 케이스(20)와 케이스 연결부(30)의 착탈 결합을 위해서, 케이스 연결부(3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34a, 34b)가 제공되고, 그리고 단말기 케이스(2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34a, 34b)에 상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 홈(21a, 21b)이 제공될 수 있다. One or more engaging projections 34a and 34b are provided on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and one or more engaging projections 34a and 34b are provided on the terminal case 20 in order to attach and detach the terminal case 20 and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 34a, 34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그리고, 단말기 케이스(20)에는 케이스 연결부(30)의 제1 연결잭(32)이 단말기(10)의 커넥터홈(11)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도록 관통홀(22)이 더 제공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케이스 연결부(30)가 단말기 케이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케이스 연결부(30)가 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The terminal case 20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2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of the case connection part 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groove 11 of the terminal 10 So that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0 effectively in a state where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20.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기 케이스(20)와 케이스 연결부(30)의 착탈 결합을 위해서 강제 끼움 결합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단말기 케이스(20)와 케이스 연결부(30)의 결합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된 결합 방식이 채택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force fitting is used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terminal case 20 and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but the connecting manner of the terminal case 20 and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noted that known combining schemes may be employed.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스 연결부(30)가 단말기 케이스(20)의 하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Note that although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is described herein as be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20,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단말기(10)에 단말기 케이스(20) 및 케이스 연결부(30)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가 결합되고 상기 단말기 보조 장치(100)에 외장 메모리(40)가 삽입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10)의 내장 메모리의 저장 용량을 전부 사용한 경우에도 단말기 케이스(20)와 단말기(10)를 분리하고 단말기(10)에 외장 메모리(40)를 삽입하는 번거로움 없이 외장 메모리(40)의 저장 용량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장 메모리(40)의 소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그로 인해 외장 메모리(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ing the terminal case 20 and the case connection part 30 is coupled to the terminal 10 and the external memory 4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The terminal user can separate the terminal case 20 and the terminal 10 and use the external memory 40 without the hassle of inserting the external memory 40 into the terminal 10 even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uil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40 can be additionally u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hold and store the external memory 40, thereby preventing the external memory 40 from being lost.

추가적으로, 케이스 연결부(30)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충전 모듈(50))가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도록 보조 장치 커넥터홈(33); 및 보조 장치 커넥터홈(33)과 제1 연결잭(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회로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includes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s 33 so that an external device (e.g., the charging module 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nected thereto; And a second circuit unit 36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33 and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to each other.

이러한 보조 장치 커넥터홈(33)의 역할을 충전 모듈(50)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이러한 충전모듈(40)은 공지된 구성 요소로서 단말기(10)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보조 장치(100)와 관련된 내용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auxiliary module connector groove 3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charging module 50, for example. Since the charging module 40 performs a function of charging the terminal 10 as a known compon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sic functions will be omitted, and only contents related to the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explain.

보조 장치 커넥터홈(33)은 충전모듈(50)의 제2 연결잭(52)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 연결부(30)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 장치 커넥터홈(33)은 충전모듈(50)의 제2 연결잭(52)을 전기적으로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3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jack 52 of the charging module 50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electrically recognizes the second connection jack 52 of the second connector 50.

제2 회로부(36)는 상술된 바와 같이, 보조 장치 커넥터홈(33)과 제1 연결잭(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케이스 연결부(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The second circuit unit 36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33 and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and is located inside the case connection unit 30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보조 장치 커넥터홈(33), 제2 회로부(36) 및 제1 연결잭(32)의 전기적 연결 구성으로 인하여,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를 단말기(10)에 결합시킨 상태로 충전모듈(40)을 이용하여 단말기(10)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Due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33, the second circuit portion 36 and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the terminal user can connect the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to the terminal 10, It is possible to easily charge the terminal 10 using the portable terminal 40.

한편, 충전모듈(50)의 제2 연결잭(52)은 케이스 연결부(30)의 제1 연결잭(32)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구비하도록 제조되며, 그로 인해 제1 연결잭(32) 및 제2 연결잭(52)은 단말기(10)의 커넥터홈(11)에 상호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The second connection jack 52 of the charging module 50 is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first connection jack 32 of the case connection portion 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jacks 32,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nector 52 may b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connector groove 11 of the terminal 10.

또한, 본 명세서에 외부 기기로서 충전 모듈(50)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외부 기기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PC, PDA, 노트북, 외장 하드 등 다양한 외부 기기가 채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charging module 50 has been described as an external device in this specification, the extern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 PC, a PDA, a notebook, and an external hard disk may be employed.

특히 충전 모듈(50) 이외의 외부 기기들이 사용되어 케이스 연결부(30)에 전기적으로 접속 및 연결되는 경우에는, 케이스 연결부(30)에 삽입된 외장 메모리(40) 또는 단말기(10) 내부에 위치하는 내장 메모리(도시 안됨)와 외부 기기들 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when external devices other than the charging module 50 are used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the external memory 40 inserted in the case connecting portion 30, Various types of data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internal memory (not shown) and external devices.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단말기(10)에 단말기 케이스(20) 및 케이스 연결부(30)를 포함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100)가 결합되고 외부 기기가 단말기 케이스(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단말기 케이스(20)와 단말기(10)를 분리할 필요 없이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기기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termin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ing the terminal case 20 and the case connection part 30 is coupled to the terminal 10 and the external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case 20, The terminal user can easily charge the terminal 10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terminal 20 and the terminal 10 from each other and easil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케이스와 착탈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 연결부에 외장 메모리를 삽입하고 이러한 케이스 연결부를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편리하게 외장 메모리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n external memory into a case connection portion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case connection portion to the terminal,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 : 단말기
11 : 커넥터홈
20 : 단말기 케이스
21a, 21b : 결합 홈
22 : 관통홀
30 : 케이스 연결부
32 : 제1 연결잭
33 : 보조 장치 커넥터홈
34a, 34b : 결합 돌기
35 : 제1 회로부
36 : 제2 회로부
40 : 외장 메모리
50 : 충전 모듈
52 : 제2 연결잭
10: Terminal
11: Connector groove
20: Terminal case
21a, 21b:
22: Through hole
30: Case connection part
32: First connection jack
33: Auxiliary connector connector groove
34a, 34b:
35: first circuit part
36:
40: External memory
50: Charging module
52: Second connection jack

Claims (5)

단말기 보조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를 수용하며 하나 이상의 결합 홈이 제공되는 단말기 케이스; 및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연결부는,
그 내측에 외장 메모리가 삽입될 수 있는 외장 메모리 삽입부;
상기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는 제1 연결잭; 및
충전 모듈의 제2 연결잭이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는 보조 장치 커넥터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연결부에 삽입된 외장 메모리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 및 하나 이상의 결합 홈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
A terminal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terminal case accommodating the terminal and provided with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And
And a cas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The case-
An external memory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external memory can be inserted;
A first connection jack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And an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ion jack of the charging modul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nected,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external memory inserted in the case connection part and the terminal,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are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erminal auxiliar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잭 및 상기 제2 연결잭은 상기 단말기의 커넥터홈에 상호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jack and the second connection jack can be used interchangeably in a connector groove of the terminal.
Terminal auxiliar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잭과 상기 외장 메모리 삽입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1 연결잭과 상기 보조 장치 커넥터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A first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jack and the external memory insertion unit; And a second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jack and the auxiliary device connector groove.
Terminal auxiliary device.
KR1020120145236A 2012-12-13 2012-12-13 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 KR101435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36A KR101435284B1 (en) 2012-12-13 2012-12-13 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36A KR101435284B1 (en) 2012-12-13 2012-12-13 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56A KR20140080656A (en) 2014-07-01
KR101435284B1 true KR101435284B1 (en) 2014-08-29

Family

ID=5173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236A KR101435284B1 (en) 2012-12-13 2012-12-13 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2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831B1 (en) * 2018-06-18 2019-08-28 (주)플렉스컴 Flexible protection case to witch a flexible external memory is mounte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72A (en) * 2007-07-11 2009-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 c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72A (en) * 2007-07-11 2009-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56A (en)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288B2 (en) Adapter for a mobile device
KR101880181B1 (en) Insert type card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8360485B2 (en) H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19319B1 (en) Connector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US9859936B2 (en) Electronic device
US20100264671A1 (en) Latch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874360B1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onic equipments having a stylus pen
US20150189058A1 (en) Smart case for mobile phone having recording function
EP2773086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for inserting card type external device
KR101668461B1 (en) A Device for interface of an electronic equipment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KR200469127Y1 (en) case for mobile phone
US9992887B2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57297B1 (en) Usb combined phone case
KR101631467B1 (en) Spare Battery
KR101435284B1 (en) Auxiliary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external memory
US76619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receptacle connector thereof
US20210135700A1 (en) Protective case
KR101581113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External Interface of Mobile Device
KR200467206Y1 (en) Carrying case for mobile device with attachable connection cable
KR101109319B1 (en) Detachable terminal cap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ve case including the same
US20120071086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eparable communications elements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KR101578304B1 (en) Case for mobile phone
US20090113103A1 (en) Cascade type charge assembly
KR20170052369A (en) Smart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