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998B1 - 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 - Google Patents

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998B1
KR101434998B1 KR1020120099881A KR20120099881A KR101434998B1 KR 101434998 B1 KR101434998 B1 KR 101434998B1 KR 1020120099881 A KR1020120099881 A KR 1020120099881A KR 20120099881 A KR20120099881 A KR 20120099881A KR 101434998 B1 KR101434998 B1 KR 10143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front surface
ope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3711A (en
Inventor
임동구
Original Assignee
임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구 filed Critical 임동구
Priority to KR102012009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998B1/en
Publication of KR2014003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가 개시된다. 상기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는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인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are disclosed. Wherein the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coupl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open / close the receiving space,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 front surface facing the surfac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and a light emitting par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urnitur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sound function,

본 발명은 가구 및 가구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and a furniture 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최근 들어 실내 공간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으며, 이로 인하여 실내 가구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도 점차 변화해 가고 있다. 오늘날의 가구 사용자들은 화려하고 부피가 큰 가구에서 벗어나, 차지하는 공간은 적되 수납은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 활용의 폭이 넓은 실용적인 가구를 추구하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the use of indoor space has become very high, and the user's preference for indoor furniture is gradually changing. Today's furniture users are seeking practical furniture with a wide range of space that maximizes the space occupied by the space, occupying a space away from colorful and bulky furniture.

또한,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가구의 가장 기본적인 용도(예를 들어, 수납장의 경우 물건들을 수납하는 용도)에 충실하면서 외관이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가구에 대한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interest in interior decorations continues to increase, there is a continuing increase in the demand for furniture that can be aesthetically pleasing, while being faithful to the most basic uses of furniture (for example, for storing articles in a cabinet) have.

등록실용신안 제20-0274254호 (등록일자 : 2002.04.22, 고안의 명칭 : 조명장치가 내장된 수납가구)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74254 (Registered Date: Apr. 22, 2002, design name: storage furniture with light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에서 밤하늘의 별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having a lighting function capable of providing the same effect as viewing a star in the night sk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내에서 밤하늘의 별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와 함께 전자기기를 통하여 전송받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set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capable of outputting sound received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effect as viewing a star in the night sk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는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인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rniture having a lighting function, the furniture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storage unit coupled to an opened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 front surface thereof facing a surface coupled to an open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s.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의 교체를 위하여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art may be detachable in whole or in part on one side for replacement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는, 상기 발광부의 온, 오프 및 점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capable of selecting one of on, off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이 통과하는 전원용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accommodation part may include a power supply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passes when the light emit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앞면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개폐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들을 통하여 빛이 발산되며,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된 음향을 외부로 전달하는 스피커 시스템이 구비된 수납장 및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과 통신하는 상기 전자기기가 도킹되는 도킹부가 일 면에 형성된 장식장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wherein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and light is e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opening / A cabinet provided with a speaker system for transmitting sound transmitted from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outside, and a docking portion for docking th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peaker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상기 수납장은,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고,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 opening / closing unit coupled to an opened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open / close the storage space, And a light emitting unit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상기 수납장은,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인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having the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storage unit coupled to an opened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storage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상기 장식장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이 형성된 내부에 발광부가 결합되어 상기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The cabinet has a cavity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vity,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상기 장식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의 교체를 위하여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cabinet may be detachable in whole or in part for the replacement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장식장은, 상기 발광부의 온, 오프 및 점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abine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on, off,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도킹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도킹부에 도킹되는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electronic equipment to be docked in the docking uni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는 가구 앞면에 형성된 홀들을 통하여 빛이 방출됨으로써 수납장으로 사용하는 기능적인 측면과 밤하늘의 별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심미적인 측면을 모두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는 소량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최소한의 전력 사용으로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는 이와 같은 기능적인 측면과 심미적인 측면으로 만족시킴과 동시에,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된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furniture set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sound function are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side used as the storage space by emitting light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furniture, And aesthetic aspects that have the same effect as viewing the images. The furniture set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furniture set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acousti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sufficient effect even by using a small amount of light emitting diod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furniture set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acous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 the functional aspect and the aesthetic aspect, And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device is built in,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utiliz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의 일 실시예에 따른 X-Y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에 포함되는 장식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식장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장식장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가 벽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의 실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스피커 시스템의 실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장식장에 전자기기가 도킹된 실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furnitur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of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XY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binet included in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abinet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abinet of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is mounted on a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furniture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of Fig. 1.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n actual state of the speaker system of FIG. 4.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n actual state where an electronic apparatus is docked in the cabinet of FIG. 5;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X-Y 방향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100 having a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100 having a lighting functio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urniture 1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of FIG. 1,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furniture 1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of FIG. Sectional view in the XY direc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는 수납부(110),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130) 및 발광부(210 또는 22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4, the furniture 100 having a lighting func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110,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and a light emitting unit 210 or 220.

수납부(110)는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은 복수의 칸막이를 가질 수도 있고, 단일칸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storage portion 110 may be opened at the front side and a storage space may be formed therein. The storage space may have a plurality of partitions or a single space.

개폐부(130)는 수납부(110)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문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하여 개폐부(130)와 수납부(110)가 결합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개폐부(130)가 수납부(110)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개폐부(130)들 각각이 수납부(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개폐부(130)들이 수납부(110)와 결합된 경우, 개폐부(130)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관통홀(150)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art 130 is coupled to the opened front side of the storage part 110 to open / close the storage space. The opening / closing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order to open / close the storage space. The furniture 1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on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110 And the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portions 130 may be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0. When the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portions 130 are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through holes 150 may be formed i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s 130 as described below.

개폐부(130)는 발광부(210 또는 220)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개폐부(130)의 일 실시예인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개폐부(1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납부(110)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인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1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의 면(도 2의 경우 개폐부(130)의 우측면)에 관통홀(150)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part 210 or 220 is coupled. 2,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is formed with a hollow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which is a surface fac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part 110, (150) may be formed. That is, the through holes 15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user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130 in FIG. 2).

그리고, 개폐부(130)의 내부에 발광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210)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조명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발광부(210)는 개폐부(130)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150)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관통홀(150)들을 통하여 빛이 발산되므로 사용자에게 밤하늘의 별빛을 보는 것과 같이 심미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various other lighting means may be used. The light emitting part 210 may emit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150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That is, since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50 as shown in FIG. 1, the user can give an aesthetic effect such as seeing the starlight of the night sky.

본 발명에서 발광부(210)가 개폐부(130)의 내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도 2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홀(150)을 통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210)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이 일렬로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가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FIG. 2,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be coupled to other various positions as long as light can be em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50. have. In addition,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arranged in a line,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도 2와 같이 발광부(210)가 개폐부(13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경우, 발광부(210)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부(130)는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as shown in FIG. 2,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may be detachably or parti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unit 210, .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발광부(210)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발광부(210)와 상기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이 통과하는 전원용 관통홀이 개폐부(130) 및 수납부(1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용 관통홀이 개폐부(130)에만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선은 상기 전원용 관통홀을 통하여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용 관통홀이 개폐부(130)와 수납부(110)에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선은 개폐부(130)와 수납부(110)에 형성된 상기 전원용 관통홀들을 통하여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through hole for power supply through which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passes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1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through hole is formed only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the connection line may extend outside the furniture 100 having a lighting function through the power supply through hol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When the power supply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and the accommodation part 110, the connection line is connected to the furniture 1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through the power supply through hole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and the accommodation part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개폐부(130)의 다른 일 실시예인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개폐부(130)에는 복수의 관통홀(150)들이 형성되고, 수납부(110)의 내부 수납공간에 발광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220)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조명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발광부(220)는 개폐부(130)에 형성된 관통홀(150)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관통홀(150)들을 통하여 빛이 발산되므로 사용자에게 밤하늘의 별빛을 보는 것과 같이 심미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3,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0 are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and the light emitting part 220 is coupled to the inside storing sp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 The light emitting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various other lighting means may be used. The light emitting part 220 may emit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150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That is, since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50 as shown in FIG. 1, the user can give an aesthetic effect such as seeing the starlight of the night sky.

본 발명에서 발광부(220)가 수납부(1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도 3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홀(150)을 통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220)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이 일렬로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가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FIG. 3, but may be any other position as long as light can be em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50 . In addition,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arranged in a line, and each light emitting diode may have a different position.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발광부(220)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발광부(220)와 상기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이 통과하는 전원용 관통홀이 수납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선은 상기 전원용 관통홀을 통하여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 power supply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unit 220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passes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unit 11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line may extend outside the furniture 100 having a lighting function through the power supply through hol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는 발광부(210 또는 220)의 온, 오프 및 점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다.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발광부(210 또는 220)가 계속 빛을 발산하는 온 상태, 발광부(210 또는 220)가 빛을 발산하지 않는 오프 상태 또는 발광부(210 또는 220)가 온 상태와 오프상태를 반복하는 점멸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he furniture 1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not shown) capable of selecting one of on, off,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r 220. The switch may be of various forms and may be coupled or connect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furniture 100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thus is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user turns on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r 220 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r 220 does not emit light or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r 220 turns on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r 220, One of the blinking states in which the OFF state is repeated can be selected.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소정의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등)로부터 전달된 음향을 외부로 전달하는 스피커 시스템(4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피커 시스템(410)은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을 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조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시스템(41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구(100)의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피커 시스템(410)은 가구(100)의 좌측면, 상면, 하면 또는 전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The furniture 100 having a lighting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system 410 for transmitting sound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outside. The speaker system 4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predetermined data, modulates and amplifies the data, and outputs the sound through a speaker. The speaker system 410 may b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furniture 100 as shown in FIG. 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the speaker system 410 may be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furniture 100, , Bottom, front, or the like.

이와 같은 스피커 시스템(410)을 이용하기 위한 장식장과 이상에서 설명한 가구인 수납장을 포함하는 가구세트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urniture set including the cabinet for using the speaker system 410 and the cabinet which is the furnit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에 포함되는 장식장(5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장식장(5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장식장(5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A-B 방향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inet 500 included in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inet 500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abinet 500 of Fig. 5, and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장식장(500)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도 4의 스피커 시스템과 통신하는 상기 전자기기가 도킹되는 도킹부(530)가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킹부(530)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 to 7, the cabinet 500 may be formed with a docking unit 530 on one side, in which the electronic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the speaker system of FIG. 4 is dock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pecific embodiments of the docking station 5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킹부(53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식장(500)의 일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장착될 수 있는 부분이 함몰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식장(500)의 일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장착될 수 있는 부분이 돌출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7의 경우, 상기 돌출된 도킹부(530)는 별도로 제작되어 장식장(50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장식장(50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킹부(53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도킹되는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6, the docking unit 530 may b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500 as shown in FIG. 6, or may be formed in a cabinet 500, A portion wher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7, the protruding docking unit 53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abinet 50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500. The docking unit 53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electronic equipment to be docked.

장식장(5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550)들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이 형성된 내부에 발광부(610)가 결합되어 관통홀(550)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즉, 장식장(500)은 도 3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도 3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장식장(5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장일 수도 있고, 수납용이 아닌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장식장(500)이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발광부(6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의 교체를 위하여 장식장(500)의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50 ar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500. The light emitting portion 61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500 so that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550. [ It can diverge. That is, the cabinet 500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3, and such a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abinet 500 may be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s shown in FIGS. 1 to 4, or may be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not for storage. When the decorative cabinet 500 is used for decorating, all or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decorative cabinet 50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to replac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610.

그리고, 장식장(500)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발광부(610)의 온, 오프 및 점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와 관련하여서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abinet 50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not shown) capable of selecting one of on, off,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61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1 to 4,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는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도 1 내지 도 4의 가구(100)와 도 5 내지 도 7의 장식장(500)을 포함할 수 있다.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urniture 100 of Figs. 1 to 4 and the cabinet 500 of Figs. 5 to 7, .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가 벽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의 실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스피커 시스템(410)의 실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5의 장식장(500)에 전자기기가 도킹된 실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urniture se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n acoustic function is mounted on a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0 shown in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n actual state of the speaker system 410 of FIG. 4,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n actual state where an electronic device is docked in the cabinet 500 of FIG.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가구(수납장)(100)와 도 5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한 장식장(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100)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100, 500)가 반드시 벽에 장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생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가구(수납장)(100) 중 발광부(210 또는 220)가 온 되어 관통홀(150)들을 통하여 빛이 발산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모습을 보면서 밤하늘에 별들이 빛을 내는 것과 동일한 심미감을 느낄 수 있다. 도 10의 경우 도 4의 스피커 시스템(410)에 포함되는 스피커가 외부로 보이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410)이 반드시 도 10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가구(수납장)(100)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달받은 음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에는 전자기기인 스마트폰이 장식장(500)에 도킹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가 장식장(500)에 도킹될 수 있다.8 to 11, the furniture set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acoustic function is divided into a furniture (storage compartment)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the cabinet 5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Each of which may be mounted to a wall as shown in Fig. However, the furniture 1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furniture set 100, 500 hav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sound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mounted on the wall, . 9 shows a case where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50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r 220 among the furniture (storage spa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s turned on, You can feel the same aesthetic feeling as the stars in the night sky. FIG. 10 shows a speaker included in the speaker system 410 of FIG. 4 as seen from the outside. However, the speaker system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0 and is not necessarily coupled to the furniture (storage space) 100, Lt; / RTI > 11 shows a case where a smart phone as an electronic device is docked in the cabinet 5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other various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enabled electronic devices may be docked in the cabinet 500 .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인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의 교체를 위하여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which is opposed to a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ne opening / closing part;
And a light emitt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 light-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The opening /
Wherein all or a part of one surface is removable for replacement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는,
상기 발광부의 온, 오프 및 점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2.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on, off, and flash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이 통과하는 전원용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pening /
And a power supply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passes.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앞면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개폐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들을 통하여 빛이 발산되며,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된 음향을 외부로 전달하는 스피커 시스템이 구비된 수납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시스템과 통신하는 상기 전자기기가 도킹되는 도킹부가 일 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이 형성된 내부에 발광부가 결합되어 상기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장식장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의 교체를 위하여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A storage unit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speaker system for emitting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openable and closable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ransmitting sound transferred from the electronic equipmen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cking uni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cking unit, wherein the electronic equipment communicates with the speaker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abinet coupled to the cabinet for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The light-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In the cabinet,
Wherein all or part of one surface is removable for replacement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은,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고,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A storage unit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 opening / closing part coupled to an open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part to open / close the storage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light emitt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은,
앞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앞면에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인 앞면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의 앞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A storage unit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which is opposed to a surface coupled to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
And a light emitt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or 8,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은,
상기 발광부의 온, 오프 및 점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or 8,
And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on, off,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의 교체를 위하여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The opening /
Wherein all or part of one surface is removable for replacement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장은,
상기 발광부의 온, 오프 및 점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The cabinet of claim 6,
And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on, off,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도킹부에 도킹되는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a charging unit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electronic equipment to be docked in the docking unit.
KR1020120099881A 2012-09-10 2012-09-10 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 KR101434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81A KR101434998B1 (en) 2012-09-10 2012-09-10 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81A KR101434998B1 (en) 2012-09-10 2012-09-10 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11A KR20140033711A (en) 2014-03-19
KR101434998B1 true KR101434998B1 (en) 2014-09-02

Family

ID=5064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881A KR101434998B1 (en) 2012-09-10 2012-09-10 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9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477B1 (en) 2016-03-14 2016-11-23 정재식 Cabinets with decorative lighting featu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083A (en) * 2005-12-16 2008-08-21 인프라-콤 엘티디. Wireless infrared multimedia system
KR20090012651U (en) * 2008-06-07 2009-12-10 김선종 Sink Door With LED Lamp
KR101029834B1 (en) * 2008-03-31 2011-04-18 이건무 Light device built in door for cabin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083A (en) * 2005-12-16 2008-08-21 인프라-콤 엘티디. Wireless infrared multimedia system
KR101029834B1 (en) * 2008-03-31 2011-04-18 이건무 Light device built in door for cabinet
KR20090012651U (en) * 2008-06-07 2009-12-10 김선종 Sink Door With LED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477B1 (en) 2016-03-14 2016-11-23 정재식 Cabinets with decorative lighting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11A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11086A (en) Cosmetic toy and cosmetic toy fitting body
USD621101S1 (en) Pet carrier
US20120118014A1 (en) Ornamental Illuminating Bullet Necklace with Imbedded Functionality
WO2019156973A1 (en) Solar-powered lighting devices
US6505951B1 (en) Wall-mountable, battery-operated light-emitting device
KR101434998B1 (en) Furnitur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furniture set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and sound function
JP3170604U (en) Accessories for mobile devices
CN202978345U (en) Multifunctional mobile power supply
JP2007189722A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CN203734826U (en) Fountain sound box
US10368714B2 (en) Cleaning apparatus having an audio device
US20220049842A1 (en)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CN109985394A (en) Building block plays even summation system
US10045614B2 (en) Assembled replaceable frame structure
US9677756B1 (en) Curio door
CN105996344A (en) Multi-functional Buddhist rosary with variable functions
US11510009B2 (en) Decorative garden fountain with a speaker
CN205265895U (en) Water dance sound box
CN215923125U (en) Storage box
CN211154262U (en) L ED cosmetic mirror
US9644835B2 (en) Twinkling door hanger
EP3912733A1 (en) Decorative garden fountain with a speaker
CN202551270U (en) Sound box
CN209267776U (en) A kind of LED luminescence sounding
CN210781279U (en) Head-wearing Bluetooth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