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62B1 -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62B1
KR101432062B1 KR1020120023275A KR20120023275A KR101432062B1 KR 101432062 B1 KR101432062 B1 KR 101432062B1 KR 1020120023275 A KR1020120023275 A KR 1020120023275A KR 20120023275 A KR20120023275 A KR 20120023275A KR 101432062 B1 KR101432062 B1 KR 10143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terminal
unit
even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2217A (en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062B1/en
Publication of KR2013010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2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은 위험을 알리기 위한 표시판의 구비가 가능하고, 원격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시 주변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 및 이동시 이벤트(event)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안전장치, 및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며, 안전장치로부터 촬영 영상 및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촬영 영상을 표시하거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ystem, a method for installing a safety device, a safety device, a method for driving the device, a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for the terminal, and a safe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t least one of an imag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area and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when the user moves to a desire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mote control, A safety device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photographed shot image and a sensing signal sensed by a sensing unit, and a safety device,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a photographed image and a sensing signal from the safety device, And a termi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a sensing signal.

Description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ystem, a safet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구동유닛을 갖는 교통안전 삼각대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하여 원하는 장소에 설치 가능한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ystem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safety device, a safety device,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a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of the termi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tripod with a driving unit, A safety device,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a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행중 이상이 발생하여 정차 후 수리를 수행하거나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을 도로에 정차할 시에는 도로를 운행중인 후방 차량에 이를 알려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 삼각대가 설치한다.Generally, a safety tripo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informing the vehicle in the rear of the roa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due to an abnormalit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stall it.

그런데 종래에는 안전 삼각대를 차량의 후방에 설치하기 위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해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고속도로와 같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안전 삼각대의 설치시 타차량에 의해 안전에 위협을 느끼게 되고,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install a safety tripod on the rear of a vehicle, a driver who drives the vehicle must directly move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install a safety tripod. Thus, when a safety tripod is installe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causing a safety threat and causing various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격제어를 통해 안전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고 이동시 발생하는 상황을 판단하여 안전장치를 설치하려는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ystem for installing a safety device by moving a safety device to a place desired by a user through a remote control and determining a situation occurring when the device moves, a safety device,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은 위험을 알리기 위한 표시판의 구비가 가능하고, 원격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시 주변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 및 상기 이동시 이벤트(event)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안전장치; 및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며, 상기 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display panel for informing of a danger and can move to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and includes an image pickup unit for photographing a surrounding area when moving,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e sensing unit sensing at least one of a sensed image photographed by the sensing unit and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afety device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r informing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the sensing signal .

상기 안전장치 및 상기 단말기는 서로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device and the terminal each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t least one of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상기 단말기는 상기 촬상부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안전장치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includes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hooting direction of the imaging unit and adjus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safety device.

상기 센싱부는 충격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충격센서에 의한 충격량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mpact sensor, and the safety device may determin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y using the amount of impact by the impact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표시판의 구비가 가능하고, 원격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시 주변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 및 상기 이동시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판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unit capable of providing a display panel for informing of a danger and moving to a desired place according to remote control; And a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installed to move together with the drive unit, and at least one of an imaging unit for taking an image of a surrounding area when moving, and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at the time of the movement.

상기 촬상부 및 상기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시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of the image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상기 센싱부는 충격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판단유닛은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센싱된 충격량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mpact sensor, and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the amount of impact sensed by the impact sensor.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촬상부의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performing the remote control,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processes the sensing image of the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안전장치가 이동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안전장치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상황을 알리는 상황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a safety device to move to a desired location by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safety device and a sensing signal for occurrence of an event sensed by the safety device, and informing the status of the safety device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sensed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And a status display unit.

상기 상황표시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tatus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상기 상황표시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경고등 점멸, 경고음 출력 및 경고 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tus display unit includes an event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at least one of a flashing warning light, a warning sound output, and a warning message display using the sensing signal.

상기 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apable of at least one of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경고 관련 신호 또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rning related signal or message using the sensing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은 원격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안전장치를 이동하되, 상기 이동시 주변 영역의 촬영 및 상기 이동시 이벤트(event)의 발생 여부 판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고, 상기 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stall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moving at least one of a safety device in a desired location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Providing at least one of a photographed image and a sensing signal informing occurrence of the event by performing an operation;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sensed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afety device to display the sensed image or notify the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the sensed signal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동방법은 원격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구동유닛을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유닛과 함께 이동하는 촬상부 및 센싱부에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이벤트(event)의 발생에 대한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driv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ving a drive unit to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And a sensing signal for sensing the generation of an image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n event sensed by the sensing unit in the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mov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And informing the terminal of the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동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안전장치가 이동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장치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comprising: remotely controlling a safety device to move to a desired lo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safety device and a sensing signal for occurrence of an event sensed by the safety device, and informing the status of the safety device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sensed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단말기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안전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도 1의 단말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도 3의 안전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도 3의 단말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shows a safety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llustrate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terminal of FIG. 1,
3 shows a safety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llustrate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terminal of FIG. 3,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method of the safety device of FIG. 1;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riving the terminal of FIG. 1;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method of the safety device of FIG. 3;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riving the terminal of FIG. 3;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afety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terminal of FIG. 1. Referring to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은 안전장치(100) 및 단말기(11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fety device 100 and a terminal 110. [

여기서, 안전장치(100)는 예컨대 차량 고장시 도로에 설치되는 안전 삼각대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표시판(101)과 구동유닛(103)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afety device 100 is an apparatus having a safety tripod, for example, installed on a road in the event of a vehicle failure, and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01 and a drive unit 103.

표시판(101)은 후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고장 차량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표면에는 빨간색 및 노란색과 같은 필름 또는 형광물질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101)은 가령 교통법상 삼각 형상을 갖는 것이라면, 도로가 아닌 공사장과 같은 다른 보호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당 분야의 법률이 규정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display panel 101 is for visually recognizing the driver of the trailing vehicle that there is a faulty vehicle ahead, and may have a film or fluorescent material such as red and yellow on its surface. At this time, if the display panel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other protected area such as a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if it has a triangular shape in the traffic law, the display panel 101 may have a form prescribed by the law of the relevant field.

또한 표시판(101)은 가령 삼각 프레임의 일측, 더 정확하게는 상측 부위에 카메라와 같은 촬상부(10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촬상부(101a) 및 통신모듈(101c)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0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촬상부(101a) 및 통신모듈(101c)과 제어기(101b)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촬상부(101a)는 안전장치(100)가 이동하는 방향을 촬영하여 그 촬영 영상을 단말기(110)로 전송해 주어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등을 감시하면서 안전장치(100)를 설치하도록 한다. 제어기(101b)는 촬상부(101a)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제어하여 통신모듈(101c)을 통해 단말기(11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통신모듈(101c)은 차량에서 삼각대의 설치 지점까지의 거리가 교통법규상 100미터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통신을 위한 모듈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그 중 비용 등의 측면을 더 고려하면 단순히 신호 처리만 가능한 블루투스 방식의 모듈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display panel 101 may include an imaging section 101a such as a camera on one side of the triangular frame or more precisely on the upper side and a controller 101b for controlling the imaging section 101a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01c ). Of course, the imaging unit 101a, the communication module 101c, and the controller 101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 The image sensing unit 101a captur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afety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sensed image to the terminal 110. The user of the terminal 110 monitors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100 is installed. The controller 101b control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section 101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01c. Also, considering that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tripod is about 100 meters in terms of traffic regulations, the communication module 101c preferably ha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infrared communication and the like Among them, a Bluetooth type module which can only process a signal is most preferable considering cost aspects.

지금까지 촬상부(101a), 제어기(101b) 및 통신모듈(101c)이 표시판(101)에 구비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상부(101a)가 삼각대의 상측 프레임의 일부에 홀을 형성함으로써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차치하고서라도 제어기(101b) 및 통신모듈(101c)은 서로 통합되어 하나의 모듈 또는 유닛을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유닛(103)에 설치되거나 구동유닛(103)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디에 어떻게 설치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imaging section 101a, the controller 101b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01c are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101 so far.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01b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01c can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even though the imaging section 101a can easily be mounted by forming a hole in a part of the upper frame of the tripod A single module or a unit can be constituted, and it may be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103 or a part of the driving unit 103,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how it is installed.

또한 구동유닛(103)은 구동륜(미도시), 구동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표시판(101)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륜은 원형을 이루는 이륜 이상의 바퀴이거나 전차에서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바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축이란 둥근 바퀴나 컨베이어 형태의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구동유닛(103)은 통신모듈(101c)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기(101b)의 제어 하에 동작하며, 지지 프레임은 표시판(101)을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이 평판이라면 표시판(101)을 클립 형태로서 고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이는 어디까지나 차량 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안전장치(100)를 더욱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라 볼 수도 있다. 물론 대부분의 운전자는 이들을 모두 조립한 형태로서 차량에 소지하게 될 것이다.The drive unit 103 may include a drive wheel (not shown) and an axis (not shown) for rotating the drive wheel. Preferably, the drive unit 103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rame (not shown) have. The drive wheel means a wheel having two or more circles, or a conveyor belt-like wheel in a train, and the shaft can be understood as a drive shaft for driving a round wheel or a conveyor type wheel. Of course, the drive unit 103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1b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01c, and the support frame may be of any form as long as the display board 101 can be fixed. For example, if the support frame is a flat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display plate 101 as a clip. This may be considered to be more convenient for installing the safety device 100 in an emergency such as a car accident. Of course, most drivers will have all of these in their vehicles.

한편,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와 통신선로(120) 등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의 제어를 위하여 별도로 제조될 수 있지만, 운전자들이 소지하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가령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인 경우에는 안전장치(100)의 종류별로 가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전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110)가 어떤 것이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Meanwhile, the terminal 110 is a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afety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line 120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 terminal 11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for the control of the safety device 100, but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carried by drivers. In the case of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t may includ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fety device 100.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for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컨대 단말기(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견상으로는 외부 프레임 즉 케이스(case)(110a)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10b), 송수신안테나(110c) 및 조절부(110d)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절부(110d)의 경우는 스틱 형태의 레버일 수 있지만, 버튼일 수 있으며,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조절부(110d)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조절부(110d)가 스틱 형태의 레버인 것으로 설명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erminal 110 includes an outer frame or case 110a,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10b, a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110c, and a control unit 110d. Or the lik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d may be a stick type lever, but may be a button, or may not have a control unit 110d when the touch screen type is used.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control unit 110d will be described as a stick type lever.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단말기(110)의 파워를 온시켜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가령,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110)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가동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단말기(110)의 조절부(110d) 즉 스틱 형태의 레버를 조정하여 안전장치(10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안전장치(100)의 촬상부(101a)에 의해 촬영되어 제공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b)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전장치(100)의 이동 상황을 감시하면서 설치 장소로 안전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조절부(110d)의 조정을 통해 촬상부(101a)의 초점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installation of the safety device 100 is necessary, the terminal 110 turns on the power of the terminal 110 to prepare for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terminal 110 is a mobile phon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Then, the user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afety device 100 by adjusting the adjusting part 110d of the terminal 110, that is, the stick type lever. At this time, the image picked up by the image sensing part 101a of the safety device 100, The user can move the safety apparatus 100 to the installation site while monitoring the movement of the safety apparatus 100. [ Also, the terminal 110 can adjust the focus direction of the image sensing unit 101a through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unit 110d.

도 2를 참조하여, 단말기(110)의 구동 메커니즘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기(110)의 구동부는 통신모듈(200), 조절부(210),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저장부(2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모듈(200)은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통신을 이용해 안전장치(1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안전장치(100)로부터 촬영 영상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10)는 스틱 형태의 레버가 움직이는 좌우상하 방향을 센싱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조절부(210)는 안전장치(100)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지만, 촬상부(101a)의 시점, 즉 초점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어부(220)는 해당 신호를 통신모듈(200)로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220)는 단말기(110) 내의 통신모듈(200), 조절부(210), 디스플레이부(230) 및 저장부(24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안전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하며, 저장부(240)는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 제어부(220)의 요청시 출력할 수 있다.2, the driving unit of the terminal 11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00, a control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 display unit 230, and a storage unit 230. [ (240). ≪ / RTI >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afety device 100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0 and receives the shot image or the like from the safety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control unit 22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may sense the left and right vertical directions of the stick-shaped lever, generate a signal for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vide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220. At this time, the adjustment unit 210 can adjust the movement of the safety device 100, but may also be used to change the viewpoint of the image pickup unit 101a, that is, the focus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outputs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overall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the control unit 210, the display unit 230, and the storage unit 240 in the terminal 110.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provided by the safety apparatus 100 and the storage unit 240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and outputs the photographed image upon request of the control unit 220. [

여기서 조절부(210) 또는 저장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110)인 경우 안전장치(100)의 조정을 위한 가령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형태의 메시지를 생성해 주고, 해당 메시지에서 안전장치(100)를 선택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도 1의 촬상부(101a) 등을 선택하여 함께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or the storage unit 240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adjustment of the safety device 100 in the case of the terminal 110 such as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uch an application may generate a menu-type message, select a safety device 100 in the message, and drive the device.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101a,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단말기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afety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terminal of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은 안전장치(300) 및 단말기(310)를 포함한다.3 and 4, the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fety device 300 and a terminal 310. [

여기서, 안전장치(300)는 도 1을 참조한 안전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표시판(301) 및 구동유닛(303)을 포함한다. 이때 표시판(301)은 센싱부(301a) 및 통신모듈(301b)을 포함하게 된다. 물론 도 1에서와 같은 촬상부(101a)를 더 포함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safety device 300 includes a display panel 301 and a drive unit 303 like the safety device 100 with reference to Fig.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301 includes the sensing unit 301a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01b.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the image sensing unit 101a as in Fig.

여기서 센싱부(301a)는 안전장치(300)가 넘어지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있을 때 이를 감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301a)는 충격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부(301a)는 일정값 이상의 충격이 있다고 판단될 때, 해당 충격에 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301b)을 통해 단말기(310)로 제공되도록 한다. 물론 여기에서의 충격은 이벤트 발생에 해당된다.Here, the sensing unit 301a senses when the safety device 300 is tripped or when there is a shock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sensing unit 301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n impact sensor. The sensing unit 301a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the impa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mpac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provides the sensed signal to the terminal 3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1b. Of course, the impact here corresponds to the event occurrenc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300)는 가령 충격센서 등을 통해 안전장치(300)에 충격이 발생하여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되면, 단말기(310)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게 된다.Accordingly, the safet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occurrence of an event to the terminal 3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due to an impact on the safety device 300 through, for example, an impact sensor.

위와 같은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300)는 도 1을 참조한 안전장치(100)와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Except for the above points, the safet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safety device 100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refore it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단말기(310)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외견상으로는 경고등부(310a), 경고음 출력부(310b) 및 송수신안테나(310c)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의 단말기(110)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조절부(미도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는 도 1과의 차이점만을 대비해 나타내기 위하여 경고등부(310a) 및 경고음 출력부(310b)만을 도시하여 나타내었다. 여기서, 경고등부(310a), 경고음 출력부(310b)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알림부(410)라 명명될 수 있다.The terminal 310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and may include a part or all of the lightweight unit 310a, the alarm output unit 310b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310c, And may further include a part or all of a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adjustment unit (not shown) as in the case of the terminal 110. In FIG. 3, only the light-weight portion 310a and the warning sound output portion 310b are shown to show only the difference from FIG. Here, the light control unit 310a, the alarm output unit 310b,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may be referred to as an event notification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안전장치(30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알리는 신호가 송수신안테나(310c)를 통해 통신선로(320)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수신되면, 단말기(310)는 이에 대한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신호를 통해 경고등부(310a)의 경고등을 점렬시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경고음 출력부(310b)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기(310)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해 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from the safety device 300 is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310c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such as the communication line 320, the terminal 310 generates a warning signal The warning light of the light control unit 310a is sorted through the generated warning signal to inform the user of the dangerous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alarm sound output unit 310b can output a warning sound. Furthermore, the terminal 310 can generate a warning message and display it on a display unit (not shown).

도 1의 단말기(110)와 비교해 볼 때, 도 3에서의 단말기(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400), 이벤트 알림부(410), 제어부(420), 경고신호 생성부(430) 및 저장부(4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알림부(4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시 경고등을 점렬시키기 위한 경고등부(310a),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310b)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이다.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310 in FIG. 3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400, an event notification unit 410, a control unit 420, a warning signal generation unit 420, A memory 430, and a storage unit 44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event notification unit 410 includes a warning unit 310a for igniting a warning light when an event occurs, a warning sound output unit 310b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It is meant to include one.

여기서 경고신호 생성부(430)는 가령 도 1에서와 같이 촬상부(101a)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센싱부(301a)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주변 상황의 파악이 어려우므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센싱부(301a)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310)는 안전장치(3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게 되고, 경고신호 생성부(430)를 통해 경고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경고신호는 제어부(420)의 제어 하에 이벤트 알림부(410)로 제공되어 경고등 점렬, 경고음, 경고 메시지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1, the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430 may not be separately provided when the image sensing unit 101a is provided. However, when the sensing unit 301a is provided as shown in FIG. 3, It will be very useful because it is hard to grasp. Accordingly,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is received by the sensing unit 301a, the terminal 310 recogniz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safety device 300, and transmits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430 Respectively. The generated warning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event notification unit 4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0 and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warning light,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message.

상기와 같은 점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한 단말기(310)는 도 1은 참조한 단말기(11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해당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Except for the above points, the terminal 310 referring to FIG. 3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erminal 110 referred to in FIG. 1,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통해 가령 고속도로와 같은 곳에서 차량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의 상황을 안전하게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고, 또한 안전장치(100, 3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위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인명 손실은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vehicle failure occurs in a place such as a highway,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following the situation safely, and the safety devices 100 and 300 In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install it safely. In case of sudden dangerous situation, loss of life will be prevented.

또한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곡선 도로에서 위험성 없이 안전장치(100)를 멀리 이동시킬 수 있어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afety device 100 can be moved away from the curved road, which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due to the camera, the second accident can be prevent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afety device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도 1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먼저 도 1의 <상황 1>에 근거해 볼 때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의 설치를 준비하기 위하여 파워를 온시킨다. 이를 통해 단말기(110)와 안전장치(100) 간 통신을 위한 준비 동작이 수행된다. 예컨대 단말기(110)가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라면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해당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과정에 의해 안전장치(100)의 조정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S501).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S. 1 and 3, the terminal 110 turns on the power to prepar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device 100, based on <Condition 1> of FIG. A preparation oper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safety device 100 is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terminal 110 i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the terminal 110 may start adjusting the safety device 100 by implemen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or program for driving the safety device 100 (S501).

이어 단말기(110)는 조절부(110d)의 조정에 의해 안전장치(100)로 촬상부(101a)의 시점 변경 및 구동유닛(103)의 이동을 명령하게 된다(S503).The terminal 110 then instructs the safety device 100 to change the viewpoint of the imaging unit 101a and to move the driving unit 103 by adjusting the adjusting unit 110d (S503).

이에 따라 안전장치(100)는 주변 상황을 촬영하면서 설치될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S505). 또한 설치된 상태에서는 시점 변경에 의해 주변 상황을 촬영한다.Accordingly, the safety device 100 moves to a place where the safety device 100 is to be installed while shoot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S505). In the installed state, the surrounding situation is photographed by changing the viewpoint.

그리고 안전장치(100)는 촬영 영상을 단말기(110)로 제공해 준다(S507). 이때 촬영 영상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기(100)가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safety device 100 provide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terminal 110 (S507). At this time, the photographed image is preferably provided by near-field communication.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100 is a portab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한편, 도 3의 <상황 2>에 근거하여 안전장치(300)가 도 1에서와 같이 촬상부(101a)가 아닌 충격센서와 같은 센싱부(301a)를 구비하였다고 가정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on the basis of <Situation 2> of FIG. 3 that the safety device 300 includes a sensing unit 301a such as an impact sensor other than the image sensing unit 101a as shown in FIG.

이의 경우, 도 3의 안전장치(300)는 단말기(310)의 제어에 따라 이동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편의상 S501 내지 S505 단계로 대신한다.In this case, the safety device 300 of FIG. 3 moves to the moving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310. This is replaced by steps S501 to S505 for convenience.

이동 중 안전장치(300)는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지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511).The safing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a collision occurs or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511).

만약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안전장치(300)는 이벤트 발생을 단말기(310)에 알리게 되며(S513), 단말기(310)는 이에 따라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이벤트를 사용자 가령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S515). 이때 이벤트의 알림이란 경고등 점멸, 경고음 출력, 또는 경고 메시지 표시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If an event occurs, the safety device 300 notifies the terminal 310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S513), and the terminal 310 generates an alarm signal accordingly to notify the user, e.g., the driver of the event (S515). At this time, notification of an event may include flashing warning light,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통해 가령 고속도로와 같은 곳에서 차량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의 상황을 안전하게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고, 가령 안전장치(100, 3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위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인명 손실은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vehicle failure occurs in a place such as a highway,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following the situation safely.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sudden dangerous situation, loss of life will be prevented.

도 6은 도 1의 안전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method of the safety device of FIG.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안전장치(100)는 단말기(110)로부터 촬영 및 이동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명령에 따라 안전장치(100)의 제어기(101b)는 촬상부(101a)의 초점 방향 또는 시점을 변경하고, 안전장치(100)를 설치될 장소로 이동시키게 된다(S601, S603).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 1, the safety device 100 receives a shooting and moving command from the terminal 110, and the controller 101b of the safety device 100 controls the imaging unit 101a, And shifts the safety device 100 to a place where the safety device 100 is to be installed (S601, S603).

이때 이동하는 과정에서 안전장치(100)는 시점 변경에 따라 전방의 상황을 촬영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다(S605).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afety device 100 captures the forward sit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iewpoint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110 (S605).

이를 통해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가령 고속도로와 같은 위험 장소에서도 안전하게 안전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고, 이때 주변 상황을 촬상부(101a)를 통해 감시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인명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of the terminal 110 can securely install the safeguard apparatus 100 even in a dangerous place such as a highway, and the safety can be further enhanced by monitor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01a. In other words, loss of life can be prevented.

도 7은 도 1의 단말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the terminal of FIG.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6의 연장선상에서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파워를 온시켜 안전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가령 단말기(110)가 이동성이 보장되는 휴대폰이라면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 가령 구동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10)는 메뉴 창에 나타내는 메뉴를 선택하여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S701).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 1, when the terminal 110 determines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device 100 is necessary on the extension line of FIG. 6, the terminal 110 turns on the power to prepar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afety device 100 . At this time, if the terminal 110 is a mobile phone whose mobility is guaranteed, the terminal 110 can select a driving program for driving the safety device 100, for example, a driving application. For this, the terminal 110 may select a menu shown in the menu window and execute it (S701).

이어 단말기(110)는 도 1의 조절부(110d) 등을 조정함으로써 안전장치(100)로 촬영과 동시에 이동을 명령하게 된다(S703). 이때 단말기(110)는 조절부(110d)의 조정에 따라 촬상부(101a)의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이동 방향의 초점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terminal 110 instructs the safety device 100 to take a photograph at the same time by adjusting the adjusting part 110d or the like of FIG. 1 (S703). At this time, the terminal 110 can change the viewpoint of the imaging unit 101a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unit 110d. The focus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like.

또한 단말기(110)는 안전장치(100)에서 시점 변경에 따라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촬영 영상을 화면에 표시해 주게 된다(S705).The terminal 110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change in the safety device 100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photographed image on the screen (S705).

이를 통해 가령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촬영 영상을 주시하면서 안전장치(100)를 안전하게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us, for example, the user of the terminal 110 can securely place the safety device 100 in a desired place while watching the photographed image.

도 8은 도 3의 안전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method of the safety device of Fig.

도 8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안전장치(300)는 단말기(310)로부터 이동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명령에 따라 설치될 장소로 이동한다(S801, S803).Referring to FIG. 8 together with FIG. 3, the safety device 300 receives a move command from the terminal 310 and moves to a place to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S801, S803).

이와 같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령 안전장치(300)가 넘어지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안전장치(300)는 이를 판단하여 단말기(310)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게 된다(S805).When the safety device 300 is tripped or an external shock occurs, the safety device 300 determines the event and notifies the terminal 310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S805) ).

이에 따라 단말기(310)의 사용자는 안전장치(300)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여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of the terminal 310 can determine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safety device 300 and take subsequent actions.

도 9는 도 3의 단말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riving the terminal of FIG. 3;

도 9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도 8의 연장선상에서 단말기(310)는 안전장치(300)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파워를 온시켜 안전장치(300)와의 통신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만약 단말기(310)가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310)라면 해당 안전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가동시키게 된다(S901).Referring to FIG. 9 together with FIG. 3, when the terminal 310 determines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device 300 is required on the extension line of FIG. 8, the power is turned on to prepar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afety device 300. At this time, if the terminal 310 is a terminal 310 such as a mobile phone, a driv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300 is activated (S901).

이어 단말기(310)는 안전장치(300)로 이동을 명령하며, 이에 따라 안전장치(300)는 설치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S903).Then, the terminal 310 instructs the safety device 300 to move, and the safety device 300 moves to the installation place (S903).

만약 이동하는 과정에서, 안전장치(300)가 가령 넘어지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있을 때, 단말기(310)는 안전장치(300)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S905). 이때 알림의 형태는 경고등 점멸, 경고음 출력 및 경고 메시지 표시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If the safety device 300 is tripped or an external shock occurs during the movement, the terminal 31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from the safety device 300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S905). At this time, the type of notification may be flashing warning light, warning sound output and warning message display.

이에 따라 본원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고가의 촬상부(101a)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보다 저렴하고 안전하게 안정장치(300)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zer device 300 can be installed at a desired place inexpensively and safely without installing the expensive imaging unit 101a as shown in FIG.

지금까지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두 가지 상황을 상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나아가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실시예를 적절히 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100, 300)는 야간 상황이라 조명이 부족할 때 사용하기 위한 헤드라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기(110, 310)는 촬상부(101a)를 통해 주위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벤트 발생은 경고등 점멸, 경고음 및 경고 메시지의 형태로 동시에 출력해 줄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it is also possible to appropriately combin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fety devices 100 and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dlight unit for use when the illumination is insufficient at nighttime. In this case, the terminals 110 and 310 may include an imaging unit 101a Even if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 event occurrence can be outputted in the form of flashing warning light, warning sound and warning message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도 1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부(101a) 및 도 3의 센싱부(301a)는 상황판단유닛이라 통칭될 수 있으며, 도 2의 디스플레이부(230) 및 도 4의 이벤트 알림부(410)는 상황표시부라 통칭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nsing unit 101a including the camera of FIG. 1 and the sensing unit 301a of FIG. 3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tatus determination unit. The display unit 230 of FIG. The event notification unit 41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tatus display uni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300: 안전장치 101, 301: 표시판
101a: 촬상부 101b: 제어기
101c, 301b, 200, 400: 통신모듈 103, 303: 구동유닛
110, 310: 단말기 110a, 케이스
110b, 230: 디스플레이부 110c, 310c: 송수신안테나
110d, 210: 조절부 120, 320: 통신선로
220, 420: 제어부 240, 440: 저장부
301a: 센싱부 310a: 경고등부
310b: 경고음 출력부 410: 이벤트 알림부
430: 경고신호 생성부
100, 300: safety device 101, 301: display panel
101a: Imaging section 101b:
101c, 301b, 200, 400: communication module 103, 303: drive unit
110, 310: a terminal 110a, a case
110b, 230: display portions 110c, 310c: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110d, 210: regulating unit 120, 320: communication line
220, 420: control unit 240, 440:
301a: sensing unit 310a:
310b: a warning sound output unit 410: an event notification unit
430: a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Claims (17)

위험을 알리기 위한 표시판의 구비가 가능하고, 원격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시 주변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 및 상기 이동시 이벤트(event)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안전장치; 및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며, 상기 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촬상부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안전장치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는 조절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상황을 알리는 상황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표시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at the time of the movement, wherei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for informing of a danger, A security device for providing a sensed image photographed by the sensing unit and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nd a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and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afety device to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 and inform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the sensing signal,
The terminal comprises:
An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image sensing unit and adjus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safety device; And
And a status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sensed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sensing unit and a sensing signal for occurrence of an event sensed by the safety device and informing the status of the safety device using the sensing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Wherein the status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Wherein th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t least one of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riving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 및 상기 단말기는 서로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ty device and the terminal each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충격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센싱된 충격량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impact sensor, and the safety device determines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the amount of impact sensed by the impact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안전장치가 이동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안전장치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상황을 알리는 상황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표시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a safety device,
A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to move to a place desired by the user; And
And a status display unit for receiving a sensed image photographed by the safety device and a sensing signal for occurrence of an event sensed by the safety device and informing the status of the safety device using the sensed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apable of communicating at least one of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표시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경고등 점멸, 경고음 출력 및 경고 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atus display unit comprises an event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at least one of a flashing warning light, a warning sound output, and a warning message display using the sensing signal.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경고 관련 신호 또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warn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rning related signal or message using the sensing signal.
원격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안전장치를 이동하되, 상기 안전장치가 상기 이동시 주변 영역의 촬영 및 상기 이동시 이벤트(event)의 발생 여부 판단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상기 촬영에 의한 촬영 영상 및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고, 상기 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촬상부의 촬영 방향 및 상기 안전장치의 이동방향을 조정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상황표시부를 통해 상기 안전장치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상황을 알리며,
상기 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이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Wherein the safety device moves the safety device to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wherein the safety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of photographing the peripheral area and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during the movement, And providing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nd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nd inform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using the sensing sig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sensing signal and a sensing signal from the safety device;
Wherein the terminal adjust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the peripheral reg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afeguarding unit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safety device and the safety device through a status display unit hav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ing a sensing signal for the occurrence of an event sensed by the sensor, informing the status of the safety device using the sensing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Wherein th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t least one of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riving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삭제delete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상기 안전장치가 이동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
상기 안전장치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 및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영상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장치의 상황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상을 상황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안전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A driving method of a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a safety device,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to move to a place desired by the user;
Receiving a sensed image photographed by the safeguard apparatus and a sensed signal of an event sensed by the safeguard apparatus and informing the status of the safeguard apparatus using the sensed image and the sensing signal; And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a status display unit,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a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apable of at least one of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KR1020120023275A 2012-03-07 2012-03-07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4320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275A KR101432062B1 (en) 2012-03-07 2012-03-07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275A KR101432062B1 (en) 2012-03-07 2012-03-07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217A KR20130102217A (en) 2013-09-17
KR101432062B1 true KR101432062B1 (en) 2014-08-21

Family

ID=4945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275A KR101432062B1 (en) 2012-03-07 2012-03-07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0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59A (en) * 2015-06-26 2017-01-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Traffic safety signs for car accidents relay with a beacon
KR101797310B1 (en) * 2015-12-08 2017-11-15 김규식 High safety 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7169B (en) * 2016-04-26 2018-10-16 郑光辉 A kind of alarming device
CN111152718B (en) * 2020-03-04 2020-09-11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Warning device for rear driving in danger of vehicles on expressw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360A (en) * 2007-11-26 2009-05-29 이정대 Apparatus for notifying accident and method of notifying accident
KR20100084612A (en) * 2010-07-07 2010-07-27 하태희 Warning triangle remote control insta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360A (en) * 2007-11-26 2009-05-29 이정대 Apparatus for notifying accident and method of notifying accident
KR20100084612A (en) * 2010-07-07 2010-07-27 하태희 Warning triangle remote control instal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효익 외 1인, ‘무선경보가 가능한 안전삼각대’, 제32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2010.06.04*
김효익 외 1인, '무선경보가 가능한 안전삼각대', 제32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2010.06.0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59A (en) * 2015-06-26 2017-01-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Traffic safety signs for car accidents relay with a beacon
KR101712272B1 (en) 2015-06-26 2017-03-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Traffic safety signs for car accidents relay with a beacon
KR101797310B1 (en) * 2015-12-08 2017-11-15 김규식 High safety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217A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772B1 (en) The warning on rear approaching and the method of accident warning using that
KR101511900B1 (en) Wireless safety tripod for vehicle
KR101432062B1 (en)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afety Device, Safet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9251637A (en) Vehicle accident prevention robot and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KR101323227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TWI780414B (en) Warning device and safety auxiliary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778614B1 (en) Safety guide cone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KR101681525B1 (en) Emergency warning indication device for a vehicle using razer
WO2019163980A1 (en) Dangerous behavior elimination system,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048582B1 (en) Lane departure warning and black box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ystem
JP2015035181A (en) Remote travel control system, remote travel control unit, and on-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CN105094121A (en) Vehicle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of vehicle system
KR20150101072A (en) vehicle passing heigh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090011022U (en) TFT LCD Can Moving Fired Image Seeing And Checking System for looking out electric fire by TFT LCD scene
KR101527932B1 (en) Apparatus for warning an emergency brakeage or collision accident of vehicl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625498B1 (en) An Apparatus for Monitering A Running Circumstance Used a Vehicle Having Two Wheels
US10046697B2 (en) Road traffic warning device and communicator and method thereof
KR101746579B1 (en) Car black box system using the drones
WO2020113557A1 (en) Vehicle rear-end collision early-warn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69645A (en)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KR20210040529A (en) Traffic rod for worker warning system
KR101454857B1 (en) Detection robot system
KR101809895B1 (en) Notifying emergency system of a driver
KR102042548B1 (en) System for Assisting Safe Riding of Bicycle
KR101476678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mirror integrated camera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