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005B1 - 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 Google Patents

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005B1
KR101431005B1 KR1020120058393A KR20120058393A KR101431005B1 KR 101431005 B1 KR101431005 B1 KR 101431005B1 KR 1020120058393 A KR1020120058393 A KR 1020120058393A KR 20120058393 A KR20120058393 A KR 20120058393A KR 101431005 B1 KR101431005 B1 KR 10143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waveguide
radio wav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4692A (en
Inventor
김종철
이기진
이정하
장영수
김승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릿치마이크로웨이브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릿치마이크로웨이브,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릿치마이크로웨이브
Priority to KR1020120058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005B1/en
Priority to PCT/KR2013/003017 priority patent/WO2013180380A1/en
Publication of KR2013013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6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3차원 적층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는, 내측으로 유전 물질이 충진되어 전파를 전달하고, 외측으로 도전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호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unit) 및 전파의 이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유전체 공진 유닛 각각은 도전 코팅층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유전 물질을 통해 전파를 전달하는 커플링 윈도우(coupling window)를 형성함으로써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을 통해 다른 연결 단자로 출력하며,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은 전파의 전달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The three-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nce units mutually bond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n inlet and an outlet of a traveling path of a radio wave,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being filled with a dielectric material inward to transmit a radio wave, Each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being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to form a coupling window for transmitting the radio wave through the dielectric material, The signal is output to the other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nce units, and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nce units connected are stack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the radio waves.

Description

3차원 적층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 RTI ID = 0.0 >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기를 적층하여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waveguid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reson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electric waveguide formed by laminating and assembl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s.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무선 중계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으며, 특히 소형/경량화된 중계 장치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유전체 공진기(dielectric resonator)는 유전체 공진 특성을 가진 전자 소자로서, 통신 장비 및 기지국과 중계기와 같은 RF(radio frequency) 장치의 부품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휴대용 장비가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소형화와 높은 파워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이 높은 필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As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comes popular, the demand for the wireless relay device is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a demand for a small / light relay device is increasing rapidly. A dielectric resonator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dielectric resonance characteristics, and is widely used as a component of an RF (radio frequency)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device,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dramatically, portable equipment utilizing various frequency bands is on the increase. With this trend,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a compact size and a high power, and a demand for a filter having a high temperature stability of frequency is increasing.

유전체 공진기 또는 유전체 세라믹 필터는 이러한 요구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RF 장치의 부품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유전체 공진기는 일반적인 LC 회로를 이용한 필터에 비해 고주파에서도 공진특성이 우수하고,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높은 동작파워를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비특허문헌은 유전체 공진기의 분류와 이러한 공진기에서의 공진주파수, 공진 모드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Dielectric resonators or dielectric ceramic filters are widely used as components of RF devices because they are well suited to this demand. The dielectric resonator has a resonance characteristic at a high frequency as compared with a filter using a general LC circuit, has a high temperature stability of frequency, and is able to withstand high operating power. The following non-patent documents disclose classification of a dielectric resonator and resonance frequency, resonance mode, and utilization method in such a resonator.

이러한 환경 하에서, 현재는 주파수특성과 파워(power)가 우수한 금속의 캐비티(cavity) 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나 시장의 흐름은 크기와 무게가 작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필터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Under such circumstances, a cavity filter of a metal having excell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power is currently used, but the flow of the market is going to demand a filter having a small size and a relatively small weight and a relatively low price.

마이크로 웨이브에서의 유전체 공진기, 홍의석, 전기학회논문지 32,3('83.3) pp.22-27 ISSN 1975-8359 KCI 등재, 대한전기학회, 1983. A dielectric resonator in microwave, Hong Seok, The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32, 3 ('83 .3) pp.22-27 ISSN 1975-8359 KCI list, KIEE, 198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파관(waveguide)의 TE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 활용되는 유전체 공진기가 주파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유전율이 높은 유전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소형화된 유전체 도파관의 구현이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electric resonator for use in a TE mode of a waveguide that solves the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ncreases in order to mainta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Even if a dielectric material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is used,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miniaturized dielectric wavegu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는, 내측으로 유전 물질이 충진되어 전파를 전달하고, 외측으로 도전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호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unit); 및 상기 전파의 이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 각각은 상기 도전 코팅층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유전 물질을 통해 전파를 전달하는 커플링 윈도우(coupling window)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연결 단자로 출력하며, 상기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은 상기 전파의 전달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including: a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each having a dielectric material filled therein to transmit a radio wave,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unit); 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entrance and an exit of the movement path of the radio wave to transmit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wherein each of the dielectric resonance units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to transmit a radio wave through the dielectric material A coupling window for coupling the input signal to the coupling terminal, and outputting a signal input from the coupling terminal to the other coupling terminal through the coupled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nce unit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서, 상기 적층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개수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In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stack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onanc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adio wav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서, 상기 적층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높이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 무관한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은 TE101 모드(mode)에 따라 동작한다.In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to be stacked is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value regardless of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of the radio wave. Further,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TE 101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유닛은 구형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의 형태로 형성된다.In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waveguid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서,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이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에 상기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커플링의 수직 방향으로 홀(hole)이 천공됨으로써 N-타입(type) 또는 SMA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connector)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by a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upling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at the entrance and the exit of the movement path, thereby forming an N-type or SMA Ty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서, 상기 연결 단자는, 입출력 커플링 부분에 스트립 라인(strip line)을 삽입하여 SMD 타입의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may form a SMD type connector by inserting a strip line in the input / output coupling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서, 상기 상호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은,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과 다른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도전 코팅층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In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utually bonded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are formed by bonding electrod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and a conductive coating layer of another dielectric resonato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도파관의 TE 모드를 사용하여 주파수의 특성과 파워의 우수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전체 공진기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저주파수 대역에서도 별도의 유전 물질의 교체 없이도 저렴하고 소형화된 유전체 도파관을 제작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siz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o be relatively small while maintaining the superior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the power by using the TE mode of the waveguide by stacki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dielectric waveguide which is inexpensive and small in siz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dielectric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는 일체형 유전체 도파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는 어레이 타입(array type)의 유전체 도파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유전체 도파관의 크기와 공진 주파수 대역 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어레이 타입의 유전체 도파관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이용한 유전체 도파관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유전체 도파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의 실험예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grated dielectric waveguid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y type dielectric waveguid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the dielectric waveguide and the resonant frequency band.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ducing an area of an array type dielectric waveguide and a problem caused by the method.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type of a dielectric waveguide using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of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erimental example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graph measured using the dielectric waveguide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유전체 공진기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도파관의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한 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Prior to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udying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waveguides utilized in the field of the prior art dielectric resonator technology, technical solutions adop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re outlined .

도 1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는 일체형 유전체 도파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체형 유전체 도파관은 해당 도파관이 활용되는 환경이 요구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미리 공진기의 크기가 결정되어 생산되게 된다. 특히, 현재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필터 특성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필터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구성하고 있는 공진기를 조건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일체형 유전체 도파관은 다양한 주파수 특성의 변화를 고려한 것이 아니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가 제안되었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grated dielectric waveguid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integrated dielectric waveguide is produced 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resonato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requir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waveguide is utilized. In particular, currently u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rovide various services using various frequencies, which require various filte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pe with these various filter characteristics, the resonator constituting the filter must be able to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That is, the integrated dielectric waveguide does not consider various changes in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s shown in FIG. 2 has been proposed.

도 2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는 어레이 타입(array type)의 유전체 도파관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a)의 프레임 구조와 (b)의 외관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y type dielectric waveguid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frame structure of (a) and the appearance of (b), respectively.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필터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 일체형으로 구현되던 공진기를 다수의 공진기 유닛(unit)으로 분할하고, 이를 활용되는 환경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접합하는 공진기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진기 유닛(210)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도 2에서는 4개의 공진기 유닛을 전파의 전달 방향인 d 방향으로 접합하였다.)를 접합하여 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for dividing a resonator, which has been integrally implemented in order to cope with various filter characteristics, into a plurality of resonator units and joining the resonator in a suitable form according to the utilized environment. As shown in FIG. 2, the resonator unit 210 is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resonator units 210 (in FIG. 2, four resonator units are joined in the direction d, which is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radio waves) Can be achieved.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하고 있다.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한다는 것은 상호간의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주파수만 선별적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단방향 통신의 경우 필터(filter)가 사용되고, 쌍방향 통신의 경우 듀플렉서(duplexer, DPX)가 사용된다. 즉, 필터나 듀플렉서는 다양한 명세(specification)에 따른 특성이 요구된다. 유전체 도파관의 경우, 주파수에 따라 도파관의 형상 내지 크기가 결정되는데 도 1에 예시된 일체형 유전체 공진기를 활용한 모노블럭(monoblock) 이나 도 2에 예시된 어레이 타입의 공진기 필터와 같은 TEM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큰 형태를 갖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유전율이 높은 유전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저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이 될 수 있다.)에서는 구현상의 한계를 갖게 되어 활용하기가 어렵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various services using various frequencies. The use of various frequencies means that only the desired frequency is selected selectively while minimizing mutual interference. For this purpose, a filter is used for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a duplexer (DPX) is use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at is, filters and duplexers are required to ha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ous specifications. In the case of a dielectric waveguide, the shape or size of the waveguide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d is relatively larger than a TEM mode such as a monoblock using the integrated dielectric resonator shown in FIG. 1 or an array type resonator filter shown in FIG. It will have a large shap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possible to use a dielectric material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but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dielectric material in a low frequency band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of 1 GHz or less).

무선 통신 시장은 4G의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방송용 주파수 대역과 같이 해당 주파수의 스펙트럼이 계속 넓어지고 있으며, 특히 시장성이 큰 황금 주파수 대역으로 알려진 450MH 내지 900MHz 대역에서는 그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현재는 주파수 특성과 파워가 우수한 금속의 캐비티 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나, 시장의 흐름은 크기와 무게가 작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필터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저주파수 대역에서도 도파관의 TE 모드를 사용하여 주파수 특성 및 파워의 우수성을 유지하면서 유전체를 사용하여 크기를 소형화한 유전체 도파관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rket, the spectrum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is continuously widening, such as the 4G long term evolution (LTE) or the broadcasting frequency band, and the competition is very intense in the 450MHz to 900MHz band, which is known as the highly marketable golden frequency band. Currently, metal cavity filters with excell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power are used, but the market trend is moving towards requiring filters that are small in size and weight and relatively inexpensive. Considering this market situa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ielectric waveguide which is miniaturized by using a dielectric while maintaining excell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power using a TE mode of a waveguide even in a low frequency band.

따라서, 이하에서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TE 모드에서 주파수 특성과 유전체 공진기의 크기와의 상관 관계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유전체 도파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pay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and the siz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in the TE mode, and propose a technical mean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dielectric waveguide.

도 3은 유전체 도파관의 크기와 공진 주파수 대역 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파관은 동축선로의 유전체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절연체를 공기 등으로 활용하고, 도체 손실의 원인이 되는 중심 도체를 제거한 전송선로를 말한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a dielectric waveguide and a resonant frequency band. In order to overcome dielectric loss of a coaxial line, a waveguide utilizes an insulator as air or the like and removes a center conductor Transmission line.

유전 물질로 채워진 TE 모드 도파관의 크기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도파관 파장)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른다.The change in frequency (waveguide wave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 mode waveguide filled with the dielectric material is given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1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2
,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3
이고, λ0은 자유 공간에서의 파장이고, λc는 도파관의 차단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이며, c는 빛의 속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4
는 유전 물질의 유전율을 나타낸다.here,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2
,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3
Λ 0 is the wavelength in free space, λ c is the wavelength corresponding to the cutoff frequency of the waveguide, c is the speed of light,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4
Represent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ielectric material.

fc 는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로서 TE 모드 도파관 형태의 공진기가 가지는 특징 중 하나이다. 도파관의 구조에 따른 특성으로 인해 도파관은 특정 주파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전송이 불가능하며, 파동의 진행 없이 제자리에서 반사만 이루어지는 시점의 파장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차단 주파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차단 주파수를 가지는 모드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며 이하에서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TE101 모드를 기본 도파관 공진기로 사용하여 설계한 필터를 예시하고 있다.f c is a cut-off frequency and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 mode waveguide type resonato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veguide, the waveguide can not be transmitted when the waveguide is not higher than a specific frequency, and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at which the waveguide only reflects in place without proceeding is referred to as a cutoff frequency. In general, a mode having the lowest cutoff frequency is basically used, an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below, a filter designed by using the TE 101 mode as a fundamental waveguide resonator is illustrated.

공진 주파수 대역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의 크기는 아래의 수학식 2로부터 결정된다.The size of the dielectric waveguide according to the resonant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2).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5
Figure 112012043726852-pat00005

여기서, m, n, l은 각각 도파관 단면의 가로, 세로 및 도파관 길이에 따른 전계 분포가 반주기의 몇 배인가에 따라 결정되는 도파관 모드의 첨자이며, a, b, d는 각각 도파관 단면의 가로, 세로 및 도파관 길이를 나타낸다.Here, m, n and l are subscripts of a waveguide mode in which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long the width, length and waveguide length of the waveguide s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several times the half period, and a, b, Length and waveguide length.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TE101 모드를 사용하므로 TEmnl 모드, 즉 m=1, n=0, l=1 이므로, 이상의 수학식 2에서 도파관 단면의 세로에 관한 항이 삭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TE101 모드에서는 도파관 단면의 세로 성분, 즉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높이가 차단 주파수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유전체 공진기에서, b의 크기는 주파수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the TE 101 mode, the TE mnl mode, that is, m = 1, n = 0, and l = 1 can be understood. In other words, in the TE 101 mode,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waveguide section, that is,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does not affect the determination of the cut-off frequency. Therefore, in the dielectric resonator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b is not greatly affected by the frequency.

도 4는 어레이 타입의 유전체 도파관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ducing an area of an array type dielectric waveguide and a problem caused by the method.

앞서 도 2를 통해 간략히 소개한 바와 같이, 어레이 타입의 유전체 공진기를 활용한 도파관 필터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2개 이상 접합함으로써 필터를 설계하게 된다. 만약, 저주파수 대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도파관 필터를 설계할 경우, 그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 종래의 어레이 타입의 유전체 공진기의 제작 방법에 따를 경우, 아무리 b의 높이를 감소시키더라도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도 3의 z축 방향을 의미한다.)으로 공진기를 접합하므로 무게는 감소할지라도 면적에 따른 공진기의 크기는 감소하지 않아, RF 필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As described briefly in FIG. 2, a waveguide filter using an array type dielectric resonator generally has two or more junctions according to a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thereby designing the filter. If a waveguide filter is designed for use in a low frequency band and the size and weight of the waveguide filter are designed to be reduced according to the fabrica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array type dielectric resonator, Since the resonator is bonded in the lengthening direction (which means the z-axis direction in FIG. 3), the size of the resonator according to the area is not reduced even if the weight is reduced, which is not very helpful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RF filter.

또한,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도파관 필터의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기 유닛(410)을 연결한 어레이 타입의 유전체 공진기를 활용한 도파관 필터를 수직 방향으로 세운다고 할지라도 그 높이가 너무 높아지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의 경우, 억지로 높이 d를 낮춘다면, 이상의 수학식 2에 따라 주파수가 증가하므로, 해당 유전체 도파관은 저주파수 대역에서 활용이 불가능하다.Further, in order to reduce the area of the waveguide filter us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even if the waveguide filter utilizing the array type dielectric resonator connected with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410 as shown in Fig. 4 is set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can be a problem because the height is too high. Further, in the case of FIG. 4, if the height d is forcibly decreased, the frequency increases according to Equation (2), so that the dielectric waveguide can not be used in the low frequency band.

다시, 앞서 도 2를 통해 예시된 종래의 어레이 타입의 유전체 도파관을 살펴보면, 해당 유전체 도파관은 공진기 유닛을 4개 접합하여 설계한 것으로서, z축을 따라 공진기를 접합하여 필터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낮은 주파수가 요구되는 상황 하에서 이상의 도 2의 도파관 필터 설계 방법을 활용할 경우, 유전체 도파관의 크기 및 무게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파수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축의 크기(도 3에서는 y축의 b 값을 의미한다.)를 감소시켜 유전체 공진기 유닛을 적층하는 새로운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2, the dielectric waveguide is designed by joining four resonator units, and a filter is manufactured by joining resonators along the z-axis. However, when the waveguide filter designing method of FIG. 2 is used under the situation where a low frequency is requir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dielectric waveguide are excessively increased. Therefore,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 a novel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axis (meaning b value in the y-axis in FIG. 3) without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frequency to laminate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d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적층 유전체 도파관을 제안하고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ggests a three-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waveguide that can be utilized even in a low frequency band.

도 5에서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510)는 b축을 따라 상호 접합되어 적층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유전체 공진 유닛은, 내측으로 유전 물질이 충진되어 전파를 전달하고, 외측으로 도전 코팅층이 형성된다. 또한,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510)는 전파의 이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단자(520)를 포함한다. 유전체 공진 유닛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5,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5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stacked and bonded together along the b axis. Such a dielectric resonance unit is filled with a dielectric material inward to transmit a radio wave, and a conductiv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51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520 connected to the entrance and the exit of the movement path of the radio wave to transmit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Since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itself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러한 유전체 공진 유닛 각각은 도전 코팅층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유전 물질을 통해 전파를 전달하는 커플링 윈도우(coupling window)를 형성함으로써 연결 단자(52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연결 단자로 출력한다. 또한, 도 5의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510)는 인덕티브(inductive)를 이용하여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일면에 패턴(pattern)으로 커플링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은 상기 전파의 전달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즉 b 축을 따라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to form a coupling window for transmitting a radio wave through the dielectric material so that a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520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To the other connection terminal. 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510 of FIG. 5 implement coupling in a pattern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using inducti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joined are stack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the radio wave, that is, along the b axis.

이렇게 적층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개수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수치는 앞서 소개한 수학식 2에 따른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고 있는 유전체 공진기 유닛은 구현의 특성상 구형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가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육면체가 아닌 다른 형태의 다면체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numb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stacked in this mann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onanc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adio wave, and the specific numerical values thereof are as shown in Equation (2).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proposed b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waveguide by the nature of the implementation. However, to the extent that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Bu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of the polyhedron.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전체 공진 유닛은 TE101 모드에 따라 동작하므로, 상기 적층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높이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 무관한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가장 작은 값이란, 유전체 공진 유닛을 구현함에 있어 비용과 공정을 고려하여 물리적으로 제작 가능한 보편적인 수준에서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이렇게 설계된 유전체 도파관을 활용할 경우,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은 여전히 1GHz 이하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물론, 적층되는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1G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활용 가능한 유전체 도파관의 설계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510)는 제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그 두께(높이)를 상대적으로 더욱 얇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유전율 90 이하의 경우 및 1GHz 이하의 구현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In particular, since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TE 101 mode,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stacked can be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value regardless of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of the radio wave. In this case, the smallest value means a minimum value at a universal level that can be physically fabricated in consideration of cost and process in realizing the dielectric resonance unit. When the dielectric waveguide designed in this way is utilized,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of the radio wave can still operate at 1 GHz or les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dielectric waveguide which can be used in a high frequency band of 1 GHz or more by adjusting the number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stacke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510 has a feature that its thickness (height) can be relatively thinned due to easiness of fabricatio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dielectric constant of 90 or less and an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1 GHz or les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이용한 유전체 도파관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총 8개의 유전체 공진기 유닛(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접합하여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형성하였다. 이 때, 유전체 공진기 유닛 각각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설계, 제작하더라도 저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호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은, 유전체 공진기 유닛(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과 다른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도전 코팅층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입출력 단자(port)로서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커넥터(connector)(690)를 연결하여, 범용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6 illustrates a prototype of a dielectric waveguide using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of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eight dielectric resonator units 610, 620, 630, 640, 650, 660, 670, and 680 are vertically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a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t this time, even if the height of each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the minimum, there is no problem in maintain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low frequency ban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mutually bonded dielectric resonator units are formed by bonding the electrod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610, 620, 630, 640, 650, 660, 670, and 680 to the conductive coating layers of the other dielectric resonator units . Furthermore, a connector 690, which is commonly used as an input / output port, is connected to realize a universal application.

이상에서 제안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활용하면, 유전체 도파관 밴드 패스 필터(BPF), 듀플렉서(DPX), 또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3차원 적층 유전체 도파관의 구조는, 공진기에 커플링(coupling)을 형성시켜 필터나 듀플렉서의 형태를 제작하는 것인데, 공진기의 길이나 커플링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명세(specification)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시켜 부피를 최소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에 따라 최초의 설계시에 정해지는 공진기의 폴(pole) 수만큼 적층하여 다양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의 크기는 수직 적층형 공진기의 일면에 전극을 도체의 접합부에 형성시켜(예를 들어, 패턴(pattern)을 프린트(print)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하게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가변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다양한 명세의 유전체 도파관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유전체 공진기 유닛 간의 접합은 실버 및 무연납 등으로 완성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dielectric waveguide band-pass filter (BPF), the duplexer (DPX), or the multiplexer by utilizing th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waveguide is to form a filter or a duplexer by forming a coupling in a resonator. Various specifications are shown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resonator and the size of the coupl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various products by stacking the number of poles of the resonator determined in the initial design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by stacking the respective dielectric resonator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inimize the volume.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coupling can be variously formed by forming electrodes (for example, by printing a pattern) at the junction of the conductors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laminate resonator, Thus, dielectric waveguides of various specifications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ly.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can be completed by silver and non-soldering.

또한, 이렇게 구현된 유전체 도파관 밴드 패스 필터, 듀플렉서, 멀티플렉서, 그리고 공진기 센서의 입출력 연결 단자는, 전파의 이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에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커플링의 수직 방향으로 홀(hole)이 천공됨으로써 N-타입(type) 또는 SMA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connector)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입출력 연결 단자는, 입출력 커플링 부분에 스트립 라인(strip line)을 삽입하여 SMD 타입의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PCB에 붙혀 메인보드에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입출력 연결 단자 또는 폴(pole)과 폴 사이의 커플링은 서로 마주하는 적층 공진기의 일면을 패턴으로 프린팅한 전극으로 형성시킨 후, 두 블록(block)을 실버 및 무연납 등으로 접합하여 완성할 수 있다.The input and output connection terminals of the dielectric waveguide bandpass filter, the duplexer, the multiplexer, and the resonator sensor thus formed are formed by drilling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upling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ovement path of the radio wave And may form a connector of either N-type or SMA type. Alternatively, the input / output connection terminal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main board by attaching a strip line to the input / output coupling portion to form an SMD type connector. The coupling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connection terminals or the pole and the pole can be completed by forming a pattern printed electrode on one side of the laminated resonator facing each other and then joining two blocks with silver and non- have.

도 7은 도 6의 유전체 도파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의 실험예이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의 x축은 주파수(MHz)를 나타내고, y축은 신호의 크기(dB)를 나타낸다. 신호는 '0'을 기준으로 '-' 값이 커질수록 약해져 차단된다. 도 7에서 도시된 그래프는 중심 주파수 844MHz에 25MHz의 대역폭을 가져 831.5MHz에서 856.5MHz까지는 안테나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 대역은 차단하는 밴드 패스 필터(bandpass filter, BPF)를 보인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 그래프는, 삽입 손실이 1.5dB 근방에 리플(ripple) 이 1.0dB 이내이고, 8단을 사용하여 주파수의 스커트(skirt)가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유전체 필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7 is an experimental example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graph measured using the dielectric waveguide of FIG. The x-axis of the graph shown in Fig. 7 represents the frequency (MHz),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size (dB) of the signal. The signal is weakened as '-' increases with '0'. The graph shown in FIG. 7 shows a bandpass filter (BPF) having a bandwidth of 25 MHz at a center frequency of 844 MHz and pas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antenna end from 831.5 MHz to 856.5 MHz and blocking the remaining frequency bands. The graph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shown in Fig. 7 confirms that the dielectric filter has a very excellent characteristic of skirt of frequency using ripple of less than 1.0dB at an insertion loss of about 1.5dB and using eight stages .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3차원 적층함으로써 도파관의 TE 모드를 사용하여 주파수의 특성과 파워의 우수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전체 공진기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저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Ghz 이항의 주파수가 될 수 있다.)에서도 별도의 유전 물질의 교체 없이도 저렴하고 소형화된 유전체 도파관을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resonator is dimensionally reduced in size while maintaining the superiority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power by using the TE mode of the waveguide by three-dimensionally stacking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mplemented, and inexpensive and miniaturized dielectric waveguides can be fabricat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ielectric material replacement, especially at low frequencies (e.g., 1 GHz binar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10, 410, 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 : 유전체 공진기 유닛
510 : 적층형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520, 690 : 연결 단자
210, 410, 610, 620, 630, 640, 650, 660, 670, 680: dielectric resonator unit
510: stack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520, 690: connection terminal

Claims (9)

내측으로 유전 물질이 충진되어 전파를 전달하고, 외측으로 도전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호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unit); 및
상기 전파의 이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 각각은 상기 도전 코팅층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유전 물질을 통해 전파를 전달하는 커플링 윈도우(coupling window)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을 통해 다른 연결 단자로 출력하며,
상기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은 상기 전파의 전달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A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mutually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ductive coating layer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entrance and an exit of the movement path of the radio wave to transmit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Each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to form a coupling window for transmitting a radio wave through the dielectric material so that a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To other connection terminals,
Wherein the plurality of dielectric resonator units are lamin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the radio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개수는 유전체 도파관의 크기를 결정하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s stacke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adio wave that determines the size of the dielectric wavegu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높이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 무관한 값으로서, 파동의 진행 없이 제자리에서 반사만 이루어지는 시점의 파장에 해당하는 차단 주파수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which is stacked is a value independent of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of the electric wave and does not affect the determination of the cutoff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at which the reflection only occurs in place without progressing the wav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유닛은 구형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wavegu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은 1GHz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onant frequency band of the radio wave is 1 GHz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은 TE101 모드(mode)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operates according to a TE 101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이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에 상기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커플링의 수직 방향으로 홀(hole)이 천공됨으로써 N-타입(type) 또는 SMA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connector)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nd a hole is dri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oupling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at an entrance and an exit of the movement path to form a connector of either N-type or SMA typ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입출력 커플링 부분에 스트립 라인(strip line)을 삽입하여 SMD 타입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nd a strip line is inserted into the input / output coupling portion to form an SMD typ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접합된 복수 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은,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과 다른 유전체 공진기 유닛의 도전 코팅층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utually bonded dielectric resonator units comprise:
And the electrode is formed by bonding an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electric resonator unit to a conductive coating layer of another dielectric resonator unit.
KR1020120058393A 2012-05-31 2012-05-31 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KR101431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93A KR101431005B1 (en) 2012-05-31 2012-05-31 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PCT/KR2013/003017 WO2013180380A1 (en) 2012-05-31 2013-04-11 Three-dimensional layer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93A KR101431005B1 (en) 2012-05-31 2012-05-31 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692A KR20130134692A (en) 2013-12-10
KR101431005B1 true KR101431005B1 (en) 2014-08-20

Family

ID=4967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393A KR101431005B1 (en) 2012-05-31 2012-05-31 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1005B1 (en)
WO (1) WO2013180380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3608B2 (en) 2015-04-09 2019-11-19 Cts Corporatio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US11081769B2 (en) 2015-04-09 2021-08-03 Cts Corporatio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US11437691B2 (en) 2019-06-26 2022-09-06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trap reson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87B1 (en) * 2014-05-02 2015-12-3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dimentional laminate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duplexer
CN105244571B (en) 2015-09-17 2018-03-09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A kind of dielectric waveguide fil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895A (en) * 2007-12-26 2009-07-0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Dielectric-composite-type, high-sensitive resonator without radiation loss
KR20100094173A (en)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릿치마이크로웨이브 Junction dielectric resonator, band pass filter and duplexer
KR20110092886A (en) * 2010-02-10 2011-08-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Assembly of dielectric resonator with high sensitivity using triple mod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7608A (en) * 1991-03-20 1994-06-24 Fujitsu Ltd Dielectric filter
JP3344280B2 (en) * 1996-06-25 2002-11-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Dielectric filter and dielectric duplexer
JPH11205006A (en) * 1998-01-20 1999-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minated filter
US20050270120A1 (en) * 2004-06-02 2005-12-08 Jiunn-Sheng Guo Dielectric resonator filter and multiplexer
US8171617B2 (en) * 2008-08-01 2012-05-08 Ct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wavegui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895A (en) * 2007-12-26 2009-07-0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Dielectric-composite-type, high-sensitive resonator without radiation loss
KR20100094173A (en)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릿치마이크로웨이브 Junction dielectric resonator, band pass filter and duplexer
KR20110092886A (en) * 2010-02-10 2011-08-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Assembly of dielectric resonator with high sensitivity using triple mo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3608B2 (en) 2015-04-09 2019-11-19 Cts Corporatio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US11081769B2 (en) 2015-04-09 2021-08-03 Cts Corporatio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US11437691B2 (en) 2019-06-26 2022-09-06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trap reson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380A1 (en) 2013-12-05
KR20130134692A (en)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456B1 (en) Dielectric ceramic waveguide duplexer
KR101431005B1 (en) 3-dimensional laminated dielectric resonator assembly
JP3852598B2 (en) Dielectric filter and branching filter
US7652548B2 (en) Bandpass filter, high-frequency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equipment
KR101442220B1 (en) Multilayer-type dielectric waveguide filter including notch pole
JPH10270909A (en) Dielectric filter and dielectric duplexer
US20140097913A1 (en) Multi-mode filter
KR20170048753A (en)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and designing method thereof
CN103236572B (en) The distributed bimodule band-pass filter of a kind of Compact microwave
CN103794838B (en) S-band high-performance micro band based on LTCC leads to balance filter
KR101812490B1 (en) Designs and methods to implement surface mounting structures of SIW
CN108448211A (en) Slab Dielectric Waveguide terahertz filter
JPH11186819A (en) Band rejection filter and duplexer
KR101616768B1 (en) Waveguide resonator filter with notch
CN116759779B (en) 5G millimeter wave filtering power division module
CN207368186U (en) A kind of bandstop filt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4148423B2 (en) Dielectric device
JP6262437B2 (en) Polarized bandpass filter
He et al. A dual-band bandpass filter based on hybrid structure of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and substrate integrated coaxial line
CN115997320A (en) Dielectric filter and AU, RU or BS having the same
KR100896969B1 (en) Ku-band Suspended Hairpin Band Pass Filter
KR20070061093A (en) The band rejection filter using dielectric waveguide
KR101681899B1 (en) Dielectric filter
Rehman et al. Microwave bandpass filter using QMSIW
KR102339254B1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