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464B1 - Laundry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64B1
KR101430464B1 KR1020070124527A KR20070124527A KR101430464B1 KR 101430464 B1 KR101430464 B1 KR 101430464B1 KR 1020070124527 A KR1020070124527 A KR 1020070124527A KR 20070124527 A KR20070124527 A KR 20070124527A KR 101430464 B1 KR101430464 B1 KR 10143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housing
washing
bushing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7792A (en
Inventor
김나은
김성민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64B1/en
Publication of KR2009005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or drying cloth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1세탁조; 상기 제1세탁조의 인근에 배치되고,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2세탁조; 상기 제2세탁조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세탁조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감쇠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first washing tub for containing laundry; A housing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install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A second washing tub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receiving laundry;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econd washing tub against the housing and elastically damping v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의류 처리장치, 진동, 감쇠, 부싱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vibration, damping, bushing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Laundry Machine}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or drying clothes.

세탁기는 의류 등을 세탁하는 가전 기기이며, 건조기는 젖은 의류 등을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기능이 복합된 가전 기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탁기와 건조기 및 이들의 기능이 복합된 가전 기기를 통칭하여 의류 처리장치라고 칭한다.The washing machine is an appliance for washing clothes and the like, and the dryer is a household appliance for drying wet clothes. In recent years, home appliances having combined functions of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have been widely used.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combination of these function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넣는 위치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드럼이나 펄세이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수평으로 눕혀진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Generall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divided into a top loading method and a front loading method depending on a laundry loading position. There is a vertical type in which the drum or pulsator rotates depending on the manner of washing, and a horizontal type in which the drum lies horizontall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horizontal type is a drum washing machine or drum dryer.

종래의 의류 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바닥면에 직접 설치되는데, 프런트 로딩 방식의 의류 처리장치는 그 입구가 낮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고 빼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의류 처리장치의 입구의 높이를 보다 높일 필요성이 대두된다.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re generally installed directly on the floor surface. Since the front loading typ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a low entrance,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insert and remove laundr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ent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의류 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Generally, each household is equipped with one garment disposal device.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기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세탁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aundry is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aundry, the washing machine is used several tim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washing laundry such as adult clothes and laundry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after the washing of the electronic is completed, the washing machine is used again for the latter washing. As a result, the washing time is long and the energy consumed is also large.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의류 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펄세이터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Further,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saving to use a conventional large-siz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wash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The laundry course provided in the large-siz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predominantly 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laundry, so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is large. Further, a large amount of power is consumed because a large drum or pulsator must be rotated.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의류 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Also, since the laundry course is intended for mass laundry, the washing time is relatively long. In addition, since the large-siz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laundry course predominantly for general clothes, it may not be suitable for washing delicate clothes such as underwear or baby clothes.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세탁기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Even if a small amount of laundry is frequently washed, a large washing machine is not suitable. Consumers collect laundry for a few days or longer to collect the laundry at once.

속옷류나 아기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Underwear and baby clothes are not good for long-term cleanliness. When the laundry is left for a long time, the laundry is stuck to the cloth and the laundry is not cleaned.

그래서, 종래 대형 의류 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 처리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 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Thu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small-siz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has a capacity much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large-siz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owever, even if it is small, it is not preferable to use two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in a single home, which is not preferable for space utilization, and is not good for aesthetic appear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의 세탁물 투입구의 위치가 높아 편의성이 증대되면서도, 적어도 1개 이상의 세탁조가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r more washing tubs with increased convenience due to a high position of a laundry loading port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1세탁조; 상기 제1세탁조의 인근에 배치되고,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2세탁조; 상기 제2세탁조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세탁조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감쇠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first washing tub for containing laundry; A housing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install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A second washing tub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receiving laundry;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econd washing tub against the housing and elastically damping v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세탁조의 변위를 소정폭내로 제한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limit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washing tank to a predetermined width.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 의 공간내에 수납되거나 상기 케이스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housed in the space of the case o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세탁조와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1부분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2부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a first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and a second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housing.

상기 지지부재는 강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세탁조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바아; 상기 지지바아와 상기 제1부분 및 제2부분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세탁조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감쇠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second washing tub; And a bushing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bar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s, respectively, for attenuating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washing tub.

상기 부싱은 상기 지지바아의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bushing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and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상기 부싱은 상기 지지바아와 결합하기 위한 홀과, 상기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bushing may have a hole for engaging with the support bar and a groove for engaging the first and second parts.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세탁조로부터 연장된 어퍼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로워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bracket extending from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second portion may include a lower bracket extending from the housing.

상기 어퍼 브라켓 및 로워 브라켓에는 상기 부싱과 결합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may be formed with holes for engaging with the bushing.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세탁조의 외주면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ashing tub.

상기 제2세탁조의 좌우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vibrations of the second washing tub.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2세탁조와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1부분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2부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pring may be coupled to a first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a second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housing.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2부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pring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which is a portion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housing.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의류 처리장치의 제1세탁조의 높이가 상승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상기 제1세탁조에 투입하거나 제1세탁조로부터 꺼낼때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washing tub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increased, the user does not have to swallow the excessive amount of laundry when the laundry is put into the first washing tub or taken out from the first washing tub.

둘째, 제1세탁조의 인근에 소용량의 제2세탁조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의 양에 적절한 세탁조를 선택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세탁수 및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Secondly, by providing a small-capacity second washing tub near the first washing tub, the user can select a washing tub suitable for the amount of laundry,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washing water and waste of energy.

셋째, 상기 제2세탁조를 제1세탁조와는 다른 세탁방식을 사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세탁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Third, the second washing tank may be configured to use a washing metho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washing tub, and a washing method suitable for the type of laundry may be selected.

넷째, 협소한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제2세탁조가 자체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며,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변위폭을 제한하며 진동을 감쇠할 수 있어 제2세탁조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second washing tank disposed in the narrow space can reduce the displacement caused by its own load to a minimum,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By limiting the vibration displacement width and damping the vibration by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size of the washing tub can be maximized.

이하, 상기 과제 해결 수단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u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제1세탁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first washing tub 120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10. [

상기 캐비닛(110)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112)와 양 측면을 이루는 측벽, 후면을 이루는 후벽(114), 상면을 이루는 탑 플레이트(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abinet 110 includes a front cover 112, a front wall 112, a rear wall 114, and a top plate 116.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프론트 커버(112)에는 도어(140)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19)이 구비된다. A door 140 is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12 of the cabinet 110 and a control panel 119 for operat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1세탁조(120)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제1터브(122)와 상기 제1터브(122)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드럼(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washing tub 120 may include a first tub 122 for storing washing water and a first drum 124 rotatably disposed in the first tub 122.

상기 제1터브(122) 및 제1드럼(124)은 상기 도어(140)가 개방되었을 때 세탁물의 인출입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드럼(124)은 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며, 내면에 다수의 리프트(126)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시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들어올린후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세탁을 진행한다.The first tub 122 and the first drum 124 are formed to have an opening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or drawing out laundry when the door 140 is opened. In addition, the first drum 124 is rotated by the motor 130, and a plurality of lifts 126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hereby washing the laundry in the drum while lifting and dropping the laundry in the drum.

한편, 상기 개구부가 캐비닛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세탁조가 뉘여져 있는 형태가 아닌 지면 에 대하여 세워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opening may be formed not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but may be directed upward, or may be formed on the ground instead of the first washing tub.

한편,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1)의 도어(140)가 캐비닛(110)의 전면에 형성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1세탁조(120) 내부에 세탁물을 집어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세탁조(120)가 소정높이 이상에 위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When the door 140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0, the user must bend his or her back in order to insert or remove the laundry into the first washing tub 120.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excessively bending the waist, the washing tub 120 needs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이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 장치(1) 밑에 제1세탁조의 높이를 소정높이로 올리는 케이스(2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S. 1 and 2, a case 200 for raising the height of the first washing tub to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installed und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상기 케이스(200)는 의류 처리장치(1)의 캐비닛을 상부측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2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raise the cabinet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to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케이스(2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 내부에 세탁용품을 수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2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the laundry can be stored in the space so that the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또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 물건을 편리하게 넣고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는 물품이 수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200)의 공간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200 has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article can be stored,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insert and remove the article from the case 200, The housing 210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스(200)는 상기 캐비닛(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상측 또는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20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or may be located at an upper side or a side portion, if necessar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한편, 상기와 같은 하우징(210)은 전술한 바와같이 제1세탁조(120)를 수용하는 캐비닛(110)과 별개로 구비된 케이스(2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캐비닛(110)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도 있다.Th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200 separate from the cabinet 110 housing the first washing tub 120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to be integrated with the cabinet 110, as shown in FIG.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세탁조(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210 is detachably disposed in the cabinet 110 and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washing tub 120.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1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도 있다.Th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200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for housing the housing 210.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세탁조(120)와는 별도로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제2세탁조(220)가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washing tub 22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210 to receive laundry and wash the washing tub 120 separately from the first washing tub 120.

상기 제2세탁조(220)는 캐비닛(110)에 구비된 콘트롤부(119)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ub 220 can be operated by a control unit 119 provided in the cabinet 110.

상기 제2세탁조(220)는 상기 제1세탁조(120)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2터브와, 상기 제2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드럼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2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기타 본 설명에서 기술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의 세탁조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ub 220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first washing tub 120 and may include a second tub which receives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drum rotatably disposed in the second tub . Or a pulsator rotatably installed in a second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or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washing machine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따라서,제1세탁조(120)와는 별개로 제2세탁조(220)가 따로 구비됨으로써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적당한 세탁조를 선택하여 세탁수나 에너지의 낭비없이 신속하게 세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washing tub 220 is separate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washing tub 120,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a suitable washing tub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undry and quickly wash the laundry without wasting the washing water or energy.

또한, 상기 제1세탁조(120)와 제2세탁조(220)가 서로 별개로 구비됨으로써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므로, 서로다른 세탁방식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는 세탁물의 종류 및 성격에 따라 보다 적합한 세탁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세탁효율이 향상되며 세탁물의 포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washing tub 120 and the second washing tub 220 are separately provided, they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y can have different washing methods, and the user can be more suitable according to the type and nature of the laundry A washing tub can be selected and used, thereby improving the wash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bodily damage of the laundry.

또한, 색이 짙은 옷과 색이 옅은 옷은 이염을 방지하고자 서로 분리해서 세탁하는데, 제1세탁조(120)와 제2세탁조(220)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빨래를 두 번 할 필요없이 한번으로 진행할 수 있어 세탁시간이 단축된다.Since the first washing tub 120 and the second washing tub 220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laundry without having to double the laundry. And the washing time is shortened.

한편, 상기 케이스(200)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210)은 실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그 높이가 높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케이스(200)의 높이가 너무 높게 형성된다면, 상기 케이스(200)가 제1세탁조(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세탁조(120)의 개구부의 위치가 너무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오히려 사용자의 편의성이 나뻐지며, 상기 케이스(200)가 제1세탁조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세탁조(220)의 높이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나뻐질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210 provided inside the case 200 is generally formed not to have a high height for practical use. That is, if the height of the case 200 is too high, if the case 20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washing tub 120, the opening of the first washing tub 120 may be positioned too high If the case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the h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may be excessively high, and the user's comfort may be deteriorated.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은 그 높이가 너무 높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210)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서 상기 제2세탁조(220)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며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지지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housing 210 is not too high.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member 210 can efficiently support the second washing tank 220 in a limited space inside the housing 210, (230) may be provided.

일반적으로, 세탁조의 지지 및 감쇠는 실린더 및 피스톤, 그리고 스프링 및 댐퍼등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진 현가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나, 상기와 같은 종 래의 현가장치는 신축하면서 세탁조를 현가하도록 이루어져 세탁조의 변위가 크게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높이와 폭이 매우 협소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세탁조(220)를 지지하는데에 사용되기는 불리하다.Generally, the support and attenuation of the washing tub is made by a suspension device made of a cylinder, a piston, a spring, a damper, and the like, which are stretchable and extendable. It is disadvantageous to be used for supporting the second washing tub 2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0 having a very small height and width.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되는 제2세탁조(220)를 지지하며 진동을 감쇠하는 지지부재(230)는 상기 제2세탁조(220)가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며, 상기 제2세탁조(220)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는 소정폭 내로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support member 230 for supporting the second washing tub 2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amping the vibration suppresses the second washing tub 220 from being lowered by the load as much as possible , And the displacement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is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제2세탁조(220)와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과 상기 하우징(210)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230 may be coupled to a portion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220 and a portion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housing 210.

이하, 상기 제2세탁조(220)와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을 제1부분(222)이라 칭하고, 상기 하우징(210)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을 제2부분(212)이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ion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22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portion 222, and a portion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housing 210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portion 212.

즉,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제1부분(222)과 제2부분(21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부분(222)과 제2부분(212)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member 23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rtion 222 and the second portion 212 and is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222 and the second portion 212, respectively.

또한,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제2세탁조(220)를 하우징(21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바아(232)와, 상기 제2세탁조(220)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감쇠하는 부싱(2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30 may include a support bar 232 that substantially supports the second washing tub 22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10 and a bushing 250 that attenuates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washing tub 220 234).

상기 지지바아(232)는 상기 제2세탁조(220)가 무게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질적으로 강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바아(232)는 신축하지 않는 것이다.The support bar 232 may be substantially rigid to prevent the second washing tub 220 from falling due to its weight. That is, the support bar 232 does not extend or contract.

그리고, 상기 부싱(234)은 진동의 흡수를 위하여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진 고무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아(232)와 상기 제1부분(222) 및 제2부분(212)이 결합하는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bushing 234 may be made of rubber or the like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and rigidity for absorbing vibrations and the support bar 232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s 222 and 212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즉, 상기 지지바아(232)의 양단에 상기 부싱(234)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부싱(234)이 상기 제1부분(222)과 제2부분(212)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bushing 234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232, and the bushing 234 is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222 and the second portion 212, respectively.

그리고, 제1부분(222)은 상기 제2세탁조(220)로부터 연장되어 제2세탁조(220)와 일체로 진동하는 어퍼브라켓(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부분(212)은 상기 하우징(210)과 연장되어 하우징(210)과 일체로 이동하는 로워브라켓(2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art 222 may include an upper bracket 224 extending from the second washing tub 220 and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220, And a lower bracket 214 extending from the housing 210 and moving integrally with the housing 210.

따라서, 상기 부싱(234)은 상기 어퍼브라켓(224)과 로워브라켓(214)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bushing 234 is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224 and the lower bracket 214, respectively.

물론, 상기 제1부분(222)과 제2부분(212)은 상기 어퍼브라켓(224)과 로워브라켓(21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세탁조(220)와 하우징(210) 그 자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f course, the first part 222 and the second part 212 are not limited to the upper bracket 224 and the lower bracket 214 bu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tub 220 and the housing 210 itself .

즉, 상기 부싱(234)이 상기 어퍼브라켓(224)과 로워브라켓(214)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세탁조(220)와 하우징(2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That is, the bushing 23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224 and the lower bracket 214, or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washing tub 220 and the housing 210.

도 5는 상기 어퍼브라켓(224)과 부싱(234)과 지지바아(232)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in which the upper bracket 224, the bushing 234, and the support bar 232 are engaged.

상기 어퍼브라켓(224)에는 상기 부싱(234)과 결합하기 위한 홀(2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234)의 외주면에는 상기 어퍼브라켓(224)의 홀(226)에 결 합되기 위한 홈(236)이 형성된다.The upper bracket 224 is formed with a hole 226 for engaging with the bushing 234. A groove 23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234 to be engaged with the hole 226 of the upper bracket 224.

또한, 상기 지지바아(232)의 끝단에는 상기 부싱(234)에 삽입되는 위한 핀(233)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234)에는 상기 지지바아(232)의 핀(233)을 수용하기 위한 홀(235)이 형성된다.A pin 233 for insertion into the bushing 23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bar 232 and a hole 233 for receiving the pin 233 of the support bar 232 is formed in the bushing 234. (235) are formed.

즉, 상기 핀(233)이 상기 부싱(234)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부싱(234)과 지지바아(232)가 결합되고, 상기 어퍼브라켓(224)의 홀(235)의 내주면과 부싱(23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236)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부싱(234)이 상기 어퍼브라켓(224)에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pin 233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bushing 234 to couple the bushing 234 and the support bar 232 to each oth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e 235 of the upper bracket 224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shing 234 The bushing 234 is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224 by engaging a groove 23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224.

그리고, 상기 지지바아(232)의 직경은 상기 부싱(234)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바아(232)가 상기 부싱(234)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ar 232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ushing 234. This is because the support bar 232 supports the bushing 234 more reliably.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부싱(234)과 로워브라켓(214) 및 로워브라켓(214)과 결합하는 부싱(234)과 지지바아(232)의 결합도 상기와 유사하며, 당업자라면 능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upling between the bushing 234 coupled to the bushing 234 and the lower bracket 214 and the lower bracket 214 and the support bar 232 are also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Therefore,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제2세탁조가 진동할 때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vibrates.

상기 제2세탁조(220)에 세탁수 또는 세탁물을 투입하면 그 무게에 증가된다. 이때, 상기 제2세탁조(2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30)중 상기 부싱(234)은 다소간 압축되어 제2세탁조(220)가 하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바아(232)가 실질적인 강체로 이루어지므로 지지바아(232) 자체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제2세탁조(220)가 하강하는 거리는 부싱(234)이 변형되는 양에 한정된다.When washing water or laundry is put into the second washing tub 220, the weight of the laundry is increased. At this time, the bushing 234 of the support member 230 supporting the second washing tank 220 is slightly compressed and the second washing tank 220 can be lowered. Since the support bar 232 is made of a rigid body, the supporting bar 232 itself is not deformed. Therefore,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washing tub 220 descends is limited to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bushing 234.

또한, 상기 제2세탁조(220)가 진동하게 되면 제2세탁조(220)의 좌/우변위량에 따라 상기 지지바아(232)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지지바아(232)는 변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바아(232)와 제1부분(222) 및 제2부분(212)에 결합된 부싱(234)이 변형되면서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하게 된다.When the second washing tub 220 is vibrated, the supporting bar 232 is tilted to the left or r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The support bar 232 is not deformed and the bushing 234 coupled to the support bar 232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222 and 212 is deformed to absorb and attenuate vibration .

즉, 상기 제2세탁조(220)가 상기 지지부재(230)에 의해 지지되며, 제2세탁조(220)의 진동이 상기 지지부재(230)에 의해 감쇠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washing tub 2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230, and the v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is attenuated by the supporting member 230.

상기와 같은 제2세탁조(220)의 진동변위의 폭 및 진동량은 상기 지지바아(232)의 길이 및 부싱(234)의 강성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width and vibration amount of the 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can b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bar 232 and the rigidity of the bushing 234 and the lik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2세탁조(220)의 좌우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vibrations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may be further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제2세탁조(220)에 스프링(240)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pring 240 is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220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스프링(240)의 일단은 상기 제2세탁조(220)와 일체로 진동하는 제1부분(22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210)과 일체로 움직이는 제2부분(2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pring 240 is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222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2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212 moving integrally with the housing 210 Respectively.

즉, 상기 스프링(240)의 일단은 상기 제2세탁조(22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제2세탁조(220)와 일체로 진동하는 어퍼브라켓(22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240)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210)에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하우징(210)과 일체로 움직이는 로워브라켓(214)에 결합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spring 2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bracket 224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washing tub 220 or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220,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2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214 directly coupled to the housing 210 or moving integrally with the housing 210.

따라서, 상기 스프링(240)이 상기 제2세탁조(220)의 좌우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세탁조(220)의 진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감쇠될 수 있다.Therefore, the v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can be more effectively attenuated by the spring 240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vibrations of the second washing tub 220. [

물론, 상기 스프링(240) 대신에 고무줄이나 다른 탄성을 가진 구성요소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spring 240 with a member having elasticity or other elasticity.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딩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3; Fig.

도 5는 지지부재와 어퍼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upper bracket;

도 6은 제2세탁조가 진동할 때 지지부재의 거동을 도시한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behavior of a support member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is vibrated;

도 7은 스프링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ring is provided.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Drawings]

110 : 캐비닛 120 : 제1세탁조110: cabinet 120: first washing tub

200 : 케이스 210 : 하우징200: Case 210: Housing

212 : 제2부분 214 : 로워브라켓212: second part 214: lower bracket

220 : 제2세척조 222 : 제2부분220: second washing tank 222: second part

224 : 어퍼브라켓 226 : 홀224: upper bracket 226: hole

230 : 지지부재 232 : 지지바아230: support member 232: support bar

233 : 핀 234 : 부싱233: pin 234: bushing

235 : 홀 236 : 홈235: Hole 236: Home

240 : 스프링240: spring

Claims (13)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1세탁조;A first washing tub for containing laundry; 상기 제1세탁조의 인근에 배치되고,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A housing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install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2세탁조;A second washing tub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receiving laundry; 상기 제2세탁조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세탁조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감쇠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econd washing tub against the housing and elastically damping v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세탁조로부터 연장된 어퍼 브라켓을 포함하는 상기 제2세탁조와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1부분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로워 브라켓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2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including an upper bracket extended from the second washing tub and a second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housing including a lower bracket extending from the housing And a second portion that is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세탁조의 변위를 소정폭내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the support member limits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washing tub within a predetermined wid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의 공간내에 수납되거나 상기 케이스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forming a space therein, and the housing is housed in the space of the case or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세탁조가 무게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강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세탁조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바아;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rigid material to prevent the second washing tub from descending due to its weight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second washing tub; 상기 지지바아와 상기 제1부분 및 제2부분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세탁조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감쇠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 처리장치.And a bushing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bar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the bushing being adapted to damp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washing tub.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부싱은 상기 지지바아의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the bushing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부싱은 상기 지지바아와 결합하기 위한 홀과, 상기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the bush has a hole for engaging with the support bar and a groove engag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어퍼 브라켓 및 로워 브라켓에는 상기 부싱과 결합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are formed with holes for engaging with the bush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세탁조의 외주면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ashing tu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세탁조의 좌우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Further comprising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v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2세탁조와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1부분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2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one end of the spring is coupled to a first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second portion that is a portion that vibrates integrally with the housing.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진동하는 부분인 제2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Wherein one end of the spring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second portion that is a portion vibrating integrally with the housing.
KR1020070124527A 2007-12-03 2007-12-03 Laundry Machine KR1014304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527A KR101430464B1 (en) 2007-12-03 2007-12-03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527A KR101430464B1 (en) 2007-12-03 2007-12-03 Laundry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792A KR20090057792A (en) 2009-06-08
KR101430464B1 true KR101430464B1 (en) 2014-08-18

Family

ID=4098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527A KR101430464B1 (en) 2007-12-03 2007-12-03 Laundry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4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609A (en) * 2015-10-16 2018-06-20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1106124B9 (en)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659A (en) * 1990-12-28 1992-06-02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washer suspension system
KR19990079503A (en)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2 tank type washing machine
KR100381163B1 (en) * 2000-10-12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rawer type washing machine
KR20040006683A (en) * 2002-07-13 2004-01-24 이영란 Washing machine having plural dr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659A (en) * 1990-12-28 1992-06-02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washer suspension system
KR19990079503A (en)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2 tank type washing machine
KR100381163B1 (en) * 2000-10-12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rawer type washing machine
KR20040006683A (en) * 2002-07-13 2004-01-24 이영란 Washing machine having plural dru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609A (en) * 2015-10-16 2018-06-20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washer
US20180258574A1 (en) * 2015-10-16 2018-09-13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Washing Machine
EP3363944A4 (en) * 2015-10-16 2019-05-22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Washing machine
KR102089280B1 (en) * 2015-10-16 2020-03-17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washer
US10774457B2 (en) 2015-10-16 2020-09-15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792A (en)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627B1 (en) Laundry Machine
KR102482550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2597820B1 (en) A laundry apparatus
KR101414628B1 (en) Laundry Machine
EP2757186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ES2363263T3 (en) LAUNDRY MACHINE.
EP2700743A2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US9267228B2 (en) Laundry treating device
US9487900B2 (en) Washing machine
KR101430464B1 (en) Laundry Machine
KR102014786B1 (en)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EP2065507B1 (en) Laundry machine
KR102434105B1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356498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1068959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080101381A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20100105203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080101382A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