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120B1 - earphone on tragus - Google Patents

earphone on trag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120B1
KR101427120B1 KR1020130100405A KR20130100405A KR101427120B1 KR 101427120 B1 KR101427120 B1 KR 101427120B1 KR 1020130100405 A KR1020130100405 A KR 1020130100405A KR 20130100405 A KR20130100405 A KR 20130100405A KR 101427120 B1 KR101427120 B1 KR 10142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earphone main
tragus
ear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희
Original Assignee
김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희 filed Critical 김철희
Priority to KR102013010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1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earphone on the trag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earphone on the tragus includes an earphone body (10) having a vibration plate inside; an output tube (20) which outputs sound outputted from the earphone body (10); and a fixing plate (30) formed on one side of the earphone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late has elasticity.

Description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earphone on tragus}Earphone on tragus}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라거스에 고정시킬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that can be fixed to a tragus.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진동판이 내장된 이어폰 본체의 일측에 탄성을 갖는 고정판을 형성하여 이어폰 본체와 고정판 사이에 귀의 트라거스 부분이 끼워질 수 있게 하여 귀에 쉽게 착용할 수 있게 한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main body having a built-in diaphragm and having a resilient fixing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earphone main body so that the ear trassus portion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earphone main body and the fixing plate to be worn on a trass Gt; headphone < / RTI >

휴대용 오디오 기기 및 전화기는 시간이나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Portable audio devices and telephones are increasingly used as means of listening to music and making call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or place.

이러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나 휴대폰을 사용할 때 소리가 외부로 출력되면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조작하며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어야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When using such a portable audio device or a mobile phone, the sound is output to the outside, which may interfere with other users. In addition, since the device needs to be operated, .

이러한 이어폰과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내지 5가 있다. Patent Literatures 1 to 5 are techniques related to such earphones.

이러한 기술 들 중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이어폰 본체 전면에 연장되게 고정되고 귀의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긴 길이를 가지며 첨단부 내부에는 공지의 진동소자가 내장되고 외표면부에는 상기 진동소자에서 발생되는 음을 외부로 방출되게 하는 다수의 음파공을 갖는 연질의 음파생부재와; 상기 음파생부재가 귀의 외이도 속에 착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귀의 이주 부분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를 이어폰 본체 하단에 형성한 유선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고, Among these techniques,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ear and is extend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arphone main body, and a well-known vibration element is built in the tip portion, A soft sound derivation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ound waves for causing the generated sound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amlined earphone in which a catch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an earphone main body so as to allow the sound-deriving member to be caught in a transitional portion of the ear so as to be worn in the ear canal of the ear,

특허문헌 2내지 5는 무선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허문헌 2는 외향산곡형으로 되는 지지판의 일면에 연질의 재질로 된 귀걸이테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판에는 송수신장치를 장착하되, 송수신기기와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송수신 할 수 있게 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무선이어폰 본체는 구부려진 하부에 곡면을 이루어 귀에 걸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이어폰 본체 내부에 무선 RF모듈 혹은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고, 일측 하단에 마이크가 설치된 연결 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기 무선이어폰 본체의 타측 고정암에 순차적으로 제1연결 암과 제2연결 암과 제3연결 암이 다각도로 회전 및 구부려 질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 암의 끝단에는 스피커가 연결된 것이며, 특허문헌 4는 사용자의 귓불에 착용하는 귀걸이형 이어폰과 음향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미적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선에 의한 귀의 당김이나 배선의 엉킴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장신구를 이용하여 귀에 장착하므로 음향발생부가 귀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귀에 압박감 없이 장시간을 편안하게 음향을 들을 수 있으며, 결합장신구에 자석을 안착시켜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 기능적, 심미적, 건강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게한 것이다. Patent Documents 2 to 5 relate to a wireless earphone, 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a earring frame made of a soft material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a support plate having an outwardly curved shape, and a transceiver is mounted on a support plate, The wireless earphone main body is formed so as to be curved in a curved shape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wireless RF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is mounted inside the earphone main body, and a microphone The first connection arm, the second connection arm, and the third connection arm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other fixed arm of the wireless earphon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be rotated and bent, A speake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arm.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earphone-type earphone worn on a user's earlobe, Not only can the aesthetic decoration effect be enhanced by connecting the fragrance machine wirelessly, but also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such as the pulling of the ear due to the wiring and the tangling of the wiring and also the sound generator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ear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comfortably for a long time without feeling pressure in the ears, and the magnet can be seated on the joint ornaments to smooth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user, thereby relieving the mental and physical stresses and thereby providing functional, aesthetic and healthful help will be.

또한, 특허문헌 5는 MP3 플레이어와 무선 발신 장치 및 스피커가 내장된 MP3 발신 이어폰과, 무선수신 장치와 스피커가 내장된 수신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MP3 발신 이어폰이 내장된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된 음악을 스피커로 출력하며 음악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면, 수신 이어폰이 상기 MP3 발신 이어폰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음악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Also, Patent Document 5 discloses a mobile phone that includes an MP3 originating earphone having an MP3 player, a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and a speaker, a receiving earphone having a wireless receiving device and a speaker, and a music player When the music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he receiving earphone receives the music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P3 originating earphone and outputs the music information to the speaker.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 들은 대부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진동판이 설치된 스피커부(110)의 일측에 외이도에 끼워져 고정되는 출력부(120)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 이어폰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귀걸이(130)를 더 형성하여 귓바퀴와 머리 사이에 귀걸이를 걸어 귀에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most of the conventional earphones have an output unit 120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a speaker unit 110 having a diaphragm installed therein and is fixed to an ear canal. In the case of a wireless earphone, The earring 130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ear canal can be worn between the ear canal and the head so as to be worn on the ear.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이어폰 중 귀걸이를 귓바퀴에 걸어 사용하는 무선 이어폰의 경우 안경을 쓴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귀걸이가 안경테와 겹쳐져 귓바퀴 뒤에 걸리므로 귓바퀴 뒤에 이물감을 느낄 수 있고, 지나치게 커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귀걸이가 다른 물건에 걸려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earphone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a user wearing glasses wears the earphone to the ear canal, the earphone is overlapped with the eyeglass frame to be caught behind the ear canal so that the user can feel a foreign object behind the ear canal,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easily damaged by being caught by other objects.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00-0021067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002106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31133호Korea Patent No. 033113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4782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54782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5719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55719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53812호Korea Patent No. 085381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귀의 트라거스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phone that can be worn on a tragus which can be fixed to an ear trass.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진동판이 내장된 이어폰 본체의 일측에 고정판을 형성하여 고정판과 이어폰 본체 사이의 틈에 귀의 트라거스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한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which can be worn on a tragus, in which a fixing plate is formed on one side of an earphone main body having a built-in diaphragm so that an ear trass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a gap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earphone main body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은 적어도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이어폰에 있어서, 내부에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 본체; 상기 이어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출력하는 출력튜브: 상기 이어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arphon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n earphone main body having a diaphragm therein; An output tube for outputting sound output from the earphone main body; and a fixing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earphone main body and having elasticity.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목에 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줄이 연결될 수 있다. The neckband may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main body for carrying the earphone.

또한, 상기 출력튜브의 지름은 외이도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으로 형성되어 외이도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output tube is preferably set to a diameter enough to form a gap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ear canal, so that no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ear can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와 고정판 사이에 트라거스가 끼워져 이어폰이 귀에 착용될 수 있으므로 이어폰의 착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arphone which can be worn on the tra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earphone can be easily worn because the earphone can be worn on the ear by inserting the trass between the earphone main body and the fixing plate.

또한, 출력튜브의 지름을 외이도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작게 형성하여 외이도의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Further, the diameter of the output tube is formed to be sm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ear canal, so that no sou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ear ca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이도 내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이도 내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유선형 이어폰의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무선형 이어폰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that can be worn on a trass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ear canal in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 cana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streamlined earphone.
6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wireless type earpho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n earphone that can be worn on a trag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귀의 트라거스(tragus)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 본체(10)의 일측에 고정판(30)을 구비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which can be worn on a tragus of an ear,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30) on one side of the earphone main body (10).

상기 고정판(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본체(10)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어폰 본체(10)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어 이 틈에 트라거스가 끼워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fixing plate 30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earphone main body 10,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arphone main body 10 and a tragus in the gap .

상기 고정판(30)은 탄성을 가지므로 트라거스가 이어폰 본체(10)와 고정판(30) 사이에 끼워졌을 때 트라거스를 가압하여 이어폰 본체(10)가 트라거스에 고정되는 것이다. Since the fixing plate 30 has elasticity, when the tragacer is inserted between the earphone main body 10 and the fixing plate 30, the earphon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tragus by pressing the tragacer.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의 상기 이어폰 본체(10)에는 목에 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줄(40)이 탈착 가능하게 더 설치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유선보다는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무선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이어폰이 트라거스로부터 분리되면 분실할 염려가 있으므로 목줄(40)을 연결하여 목줄(40)을 목에 걸거나 옷깃에 고정시킴에 의해 이어폰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earphone main body 10 of the earphone which can be worn on the tra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ckband 40 for carrying on the neck can be detachably installed. As described below,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wireless rather than wired. When the earphone is detached from the tragus when the earphone is detached from the tragus, the earphone 40 may be connected to the neck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arphone from being lost by hanging or fixing it to the collar.

상기 이어폰 본체(10)는 통상의 이어폰과 같이 내부에 수신된 음향의 전기 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경도가 우수한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arphone main body 10 includes a magnet, which generates magnetic force by an electric signal of sound received therein, such as a conventional earphone, and a diaphragm that vibrates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has a housing with excellent hardness. Preferably, the housing is made of synthetic resin so as not to be influenc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이러한 이어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과 대향되는 부분에 상기 출력튜브(20)가 설치되어 있다. One side of the earphon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hole through which soun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utput tube 20 is provided at a portion opposed to the hole.

상기 출력튜브(20)는 이어폰 본체(10)에 구비된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귀로 전달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연성이 우수하고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이 외이도(外耳道)의 내경보다 작아 외이도와 출력튜브(20) 사이에 틈이 생기게 하였다.
이렇게 출력튜브와 외이도 사이에 틈이 생기게 한 이유는 출력튜브(2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이 외이도를 통해 고막에 전달될 때 음압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음압이 지속적으로 외이도 내부에 작용할 경우 고막이나 청신경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음압이 발생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output tube 20 serves as a passage for transmitt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diaphragm provided in the earphone main body 10 to the ear and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elasticity, As shown in Fig. 3, the out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ar canal, so that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ear canal and the output tube 20.
The reason why the gap between the output tube and the ear canal is generated is because when the vibration outputted from the output tube 20 is transmitted to the eardrum through the ear canal,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f the generated negative pressure continuously acts inside the ear canal, So that the sound pressure can be discharged without being generated.

이렇게 출력튜브(20)의 외경을 외이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외이도 내부의 음압이 배출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어폰 본체(10)도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put tube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ar canal so that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ear canal is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arphone main body 10 is also prevented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ar canal.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유선으로 음향기기나 핸드폰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신호선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 sound device or a mobile phone by wire, and a signal line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arphone main body.

이렇게 유선으로 이어폰을 연결할 경우, 선이 걸려 사용상 많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earphone is wired in this way, there may be a lot of problems due to the wire hanging, so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relessly.

이렇게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이어폰 본체(10)의 내부에는 근거리 통신용 무선통신모듈(4)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통상적으로 근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In order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he earphone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that is typically us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30)과 이어폰 본체(10) 사이에 트라거스가 끼인 상태가 되도록 착용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4,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worn so that the strap is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late 30 and the earphone main body 10.

또한, 상기 고정판(30)과 이어폰 본체(10)는 자성을 지닌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호 인력이 작용함에 의해 트라거스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30 and the earphone main body 10 are made of magnetic material and can be firmly worn by the mutual attraction force.

즉, 상기 이어폰 본체(10)와 고정판(30)의 서로 대향되는 면이 서로 반대극을 갖는 자성체로 만들어져 서로 인력이 작용함에 의해 트라거스가 둘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인력이 작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surfaces of the earphone main body 10 and the fixed plate 30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re made of magnetic materials having mutually opposite poles, so that the attracting force acts on each other, It can be.

10: 이어폰 본체
20: 출력튜브
30: 고정판
40: 목줄
10: earphone body
20: Output tube
30: Fixing plate
40: collar

Claims (4)

내부에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 본체(10);
상기 이어폰 본체(10)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출력하는 출력튜브(20):
상기 이어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정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본체(10)와 고정판(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귀의 트라거스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판(30)이 트라거스를 가압하여 이어폰 본체(10)가 트라거스에 고정되며,
상기 출력튜브(20)의 외경이 외이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출력튜브(20)와 외이도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됨으로써 외이도 내부에 음압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An earphone main body 10 having a diaphragm therein;
An output tube 20 for outputting sound output from the earphone main body 10;
And a fixing plate (30) formed on one side of the earphone main body (10) and having elasticity,
The earphon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tragus by pressing the tragus in the state where the ear trusses are inserted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earphone main body 10 and the fixed plate 30,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put tube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ar canal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put tube 20 and the ear canal so that no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ear canal. ear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10)에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줄(4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eckband (40) for hanging on the neck of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main body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00405A 2013-08-23 2013-08-23 earphone on tragus KR101427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5A KR101427120B1 (en) 2013-08-23 2013-08-23 earphone on trag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5A KR101427120B1 (en) 2013-08-23 2013-08-23 earphone on trag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120B1 true KR101427120B1 (en) 2014-08-07

Family

ID=5174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05A KR101427120B1 (en) 2013-08-23 2013-08-23 earphone on trag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1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37Y1 (en) * 2019-11-06 2020-04-07 김기남 Wireless earphone for preventing lo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95U (en) * 1993-11-15 1995-06-16 千恵子 新實 Fixed earphone
KR20050052099A (en) * 2003-11-29 2005-06-02 주식회사 이어메카 Wireless earring type earphone
KR100615827B1 (en) * 1998-02-16 2006-08-25 죠니스 폰 컴퍼니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KR20080049539A (en) * 2006-11-30 200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eparation prevention unit and ear set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95U (en) * 1993-11-15 1995-06-16 千恵子 新實 Fixed earphone
KR100615827B1 (en) * 1998-02-16 2006-08-25 죠니스 폰 컴퍼니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KR20050052099A (en) * 2003-11-29 2005-06-02 주식회사 이어메카 Wireless earring type earphone
KR20080049539A (en) * 2006-11-30 200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eparation prevention unit and ear set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37Y1 (en) * 2019-11-06 2020-04-07 김기남 Wireless earphone for preventing lo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2221U (en) Universal earpiece
US9762989B2 (en) Earset
EP1843627B1 (en) A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KR100937159B1 (en) Bone conductive headphone
JPWO2009116272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and listening device using the same
US10623842B2 (en) Sound output apparatus
JP2018516033A (en) Ear equipment for fixing earphones
US20070160245A1 (en)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JP2019186801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acoustic equipment
US20160073187A1 (en) Earset
US10257604B2 (en) Headset with ear support
KR101694706B1 (en) Earset
JP6246949B2 (en) Earbud set, hearing aid and earphone using the same
KR101366001B1 (en) Vibrating headphones
KR20110010033A (en) A ear phone of bone conduction
KR101427120B1 (en) earphone on tragus
JP2002369295A (en) Sound collector and cover for earphone
EP3509319B1 (en) Sound output device
KR100689881B1 (en) Wireless headset using receiver
KR20120000147A (en) The headset with soundproof microphone
KR20210088201A (en) Over-ear wireless earphone silicone cover with bluetooth antenna
JP2017135446A (en) Cal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US10149040B2 (en) Audio listening arrangement
KR101756648B1 (en) Earphone and hearing aids for enjoyable putting on and no easy detachment on dynamic motion
JP3187151U (en) Dialogue hear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