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918B1 -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 Google Patents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918B1
KR101426918B1 KR1020130121852A KR20130121852A KR101426918B1 KR 101426918 B1 KR101426918 B1 KR 101426918B1 KR 1020130121852 A KR1020130121852 A KR 1020130121852A KR 20130121852 A KR20130121852 A KR 20130121852A KR 101426918 B1 KR101426918 B1 KR 10142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
editing
user
command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김길원
Original Assignee
김경철
김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철, 김길원 filed Critical 김경철
Priority to KR102013012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918B1/ko
Priority to PCT/KR2014/009597 priority patent/WO20150569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4Buffers; Shared memory; P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광고 수신 단말장치로 광고를 전송하는 통신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역설정명령에 근거하여 광고 전송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광고 수신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관리자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광고 수신 단말장치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광고 전송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광고 수신 단말장치로 광고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마다 자신의 이용 목적 또는 취향에 적합하게 응용 프로그램의 GUI를 편집 및 수정하고, 이를 타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SYSTEM FOR SHARING GUI EDITED BY USER, AND APPARATUS FOR EDITING GUI}
본 발명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GUI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편집하고, 편집 후 GUI를 중계서버에 업로드하여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GUI 공유 시스템 및 GUI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란 기존의 문자 위주의 컴퓨터 운영방식이 아닌 그림 위주의 새로운 컴퓨터 운영방식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텍스트가 아니라 그래픽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인터페이스로서 컴퓨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최근 스마트폰, PC 등의 단말장치에 대한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이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이용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잠재적 응용분야 역시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수익 창출 가능성이 높아 지고 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가능한 단말장치 등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마다 특화된 GUI를 제공하고 있으나,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의 디자인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고정된 상태로 배포되고 있으므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이미 정해진 디자인의 GUI를 그대로 활용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서, 자신의 취향이나 필요에 적합하게 하위 메뉴들의 위치 또는 크기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하지만 아직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에 소개되어 있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사용자에 의한 하이퍼링크 선택에 상응하여 위젯을 생성하고 일정 영역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또는 이미지, 색상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취향에 맞게 선택 가능한 다양한 샘플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소프트웨어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 또한 단순히 위젯의 스킨을 변경하거나 이미 정해져 있는 샘플을 적용하는 데에 그쳤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제대로 부응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의 GUI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가능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편집하고, 편집 후 GUI를 중계서버에 업로드하여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1112호: 홈 메뉴 세팅 장치 및 방법(2013.03.2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GUI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가 사용자에 의해 편집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편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마다 자신의 이용 목적 또는 취향에 적합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사용자에 의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편집 후 GUI를 별도의 외부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타 사용자가 이를 다운로드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무선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편집 후 GUI를 전송하는 통신부(110),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GUI의 편집 과정이 디스플레이되는 출력부(120),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GUI에 대한 편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30),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 GUI의 편집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 또는 삭제되는 저장부(140) 및 상기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상기 출력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편집명령을 상기 GUI에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GUI 편집 장치(10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편집명령에는, 위치 이동 명령, 크기 변경 명령 및 프레임 수정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구동 모듈(151), 상기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120)에 디스플레이하는 GUI 생성 모듈(152) 및 상기 편집명령을 상기 GUI에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GUI 편집 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 편집 모듈(153)은, 상기 GUI에 포함된 각 대상 컴포넌트(10)에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고유코드 부여 수단(154), 상기 대상 컴포넌트(10)에 상기 편집명령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 컴포넌트(10)가 편집된 편집 컴포넌트(20)를 생성하는 편집 수단(155) 및 상기 편집 컴포넌트(20)를 상기 대상 컴포넌트(10)의 고유코드와 연결하는 컴포넌트 매칭 수단(1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수정 명령에는 색상, 명암, 질감, 3차원 효과, 음성 삽입, 테두리 굵기, 애니메이션 효과 또는 테두리 모양에 대한 수정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집 수단(155)은,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임의의 형상을 갖는 테두리가 상기 테두리 모양에 대한 수정 명령으로 입력되면, 상기 테두리를 상기 대상 컴포넌트(10)에 적용하여 편집 컴포넌트(2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집 수단(155)은, 상기 테두리의 평탄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값 미만의 평탄도를 갖도록 자동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GUI에 대한 편집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편집명령을 상기 GUI에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며, 상기 편집 후 GUI를 중계 서버(200)로 업로드 하는 GUI 편집 장치(100), 상기 GUI 편집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상기 GUI 편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편집 후 GUI를 저장하는 중계 서버(200) 및 상기 중계 서버(200)로부터 상기 편집 후 GUI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는 GUI 공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GUI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마다 다운로드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편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마다 자신의 이용 목적 또는 취향에 적합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사용자에 의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편집 후 GUI를 별도의 외부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편집 후 GUI를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편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명령을 적용하여 GUI를 편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GUI 공유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임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공유 시스템은, GUI 편집 장치(100), 중계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먼저, GUI 편집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내부 저장공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 중에서 특정한 용도 또는 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을 말하며, 예를 들어 날씨정보 제공 프로그램, 은행업무 처리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또는 영화 예매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다.
한편, GUI 편집 장치(100)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 단말 또는 외부 서버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구동되거나 타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으로서 구동될 수도 있다.
GUI 편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GUI에 대한 편집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편집명령을 GUI에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고, 편집이 완료된 GUI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200)로 업로드하거나, 사용자 단말(3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로드된 GUI에 대한 타 사용자로부터의 다운로드 횟수에 따라 소정 수수료가 GUI 편집 장치(100)의 사용자가 보유한 계좌 등으로 지급될 수 있다.
중계 서버(200)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편집 전 또는 편집 후 GUI(40)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GUI 편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편집 후 GUI(40)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300)로 편집 후 GUI(40)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 때, 편집 후 GUI(40)는 이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의 목적이나 용도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200)는 편집된 특정 GUI의 다운로드 횟수를 카운팅하여 GUI 편집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과금하거나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GUI 편집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200)에 접속하여 GUI 편집 장치(100)에 의해 등록(즉, 업로드)된 편집 후 GUI(40)를 다운로드하거나, GUI 편집 장치(100)로부터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다운로드한 편집 후 GUI(40)를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GUI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편집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편집 장치(100)는 통신부(110), 출력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제어부(150)에 의해 편집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GUI를 중계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또는 RF(Radio Frequency),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EW(Bib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또는 와이브로(WiBRO)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 또는 규격에 따라 작동된다.
출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GUI의 편집 과정이 디스플레이되는 수단으로서, 모니터, 스피커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받는 수단으로서 대표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GUI에 대한 편집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편집명령이란 응용 프로그램의 현재 GUI의 색상, 크기, 모양 등을 변화시키는 데이터값으로서 예를 들어, 위치 이동 명령, 크기 변경 명령 및 프레임 수정 명령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이 적용되어 GUI가 편집되는 과정은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편집 전 GUI(30)를 출력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편집명령을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구동 모듈(151), GUI 생성 모듈(152) 및 GUI 편집 모듈(153)을 포함한다.
구동 모듈(151)은 GUI를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써 GUI의 편집 과정이 시작된다.
GUI 생성 모듈(152)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편집 전 GUI(30)를 생성하여 출력부(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명령을 적용하여 GUI를 편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 내지 도 4(D)의 좌측은 편집 전 GUI(30)를 도시한 것이며, 우측은 편집 후 GUI(4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응용프로그램의 편집 전 GUI(30) 또는 편집 후 GUI(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GUI는 PC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를 실행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바탕화면 또는 배경화면일 수 있으며,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시 디스플레이되는 도 4(A) 내지 도 4(D)와 같은 전체적인 화면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GUI 편집 모듈(153)은 편집명령을 편집 전 GUI(30)에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편집 모듈(153)은 고유코드 부여 수단(154), 편집 수단(155) 및 컴포넌트 매칭 수단(156)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란 각 GUI의 하위 요소로서 예를 들어, PC의 바탕화면 GUI의 경우 아이콘(예, 인터넷, 가계부, 휴지통 등)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배경화면 GUI의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생성되는 각종 위젯(예, 날씨, 뮤직, 메모)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젯을 실행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하위 메뉴나 키패드 또는 전자버튼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고유코드 부여 수단(154)은 GUI에 포함된 각 대상 컴포넌트(10)에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수단이다. 대상 컴포넌트(10)란 편집 전 GUI(30)에 포함된 컴포넌트 중에서 사용자가 편집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컴포넌트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도 4(A)의 "예금조회" 메뉴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고유코드 부여 수단(154)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문장 분석, 즉 파싱(parsing) 등을 통하여 편집 전 GUI(30)의 각 대상 컴포넌트(10)에 고유코드를 부여하며, 이러한 고유코드는 이후 편집 컴포넌트(2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편집 후 GUI(40)를 통해 편집 전 GUI(30)와 동일한 기능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편집 수단(155)은 대상 컴포넌트(10)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편집명령을 적용하는 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대상 컴포넌트(10)를 편집하여 편집 컴포넌트(20)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좌측을 참조하면, 하나은행의 은행업무 처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사용자에 의해 해당 GUI(32)의 대상 컴포넌트(10) 중 "예금조회" 메뉴와 "자금이체" 메뉴의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편집 수단(155)은 "예금조회" 메뉴와 "자금이체" 메뉴에 대한 위치 이동 명령에 따라 이들의 상하 위치를 변경하여 도 4(A) 우측과 같이 편집 컴포넌트(20)가 포함된 편집 후 GUI(4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B) 좌측을 참조하면, 통신사 고객센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사용자에 의해 해당 GUI(34)의 대상 컴포넌트(10) 중 "잔여 데이터" 메뉴에 대하여 크기 변경 명령이 입력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수단(155)은 사용자의 동작(예, 손가락에 의한 드래그 또는 마우스를 통한 조작)에 따라 감지된 방향과 이동거리를 대상 컴포넌트(10)에 적용하여 도 4(B) 우측과 같이 대상 컴포넌트(10)인 "잔여 데이터" 메뉴의 크기가 변경된 편집 후 GUI(44)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수정 명령이란 대상 컴포넌트(10)의 위치 및 크기를 제외한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으로서 예를 들어, 대상 컴포넌트(10)의 색상, 명암, 질감, 3차원 효과, 음성 삽입, 테두리 굵기, 애니메이션 효과 또는 테두리 모양에 대한 수정 명령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수단(155)은 사용자에 의해 대상 컴포넌트(10)의 테두리 모양에 대한 수정 명령 즉,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임의의 형상을 갖는 테두리가 입력되면 이를 대상 컴포넌트(10)에 적용하여 편집 컴포넌트(2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를 참조하면, 영화예매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사용자에 의해 해당 GUI(36)의 사각형 테두리로 제작된 대상 컴포넌트(10) 중 "영화", "영화관", "리뷰" 및 "상영시간" 메뉴에 대하여 프레임 수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편집 수단(155)은 사용자의 편집명령에 따라 상술한 대상 컴포넌트(10)들 각각의 테두리를 타원, 오각형, 편지지 모양 및 하트 모양의 편집 컴포넌트(20)로 변경하여 편집 후 GUI(46)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삽입이란 특정 대상 컴포넌트(10)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목소리를 녹음하거나 기타 특수음을 삽입하는 편집명령으로서, 추후 사용자가 해당 컴포넌트를 실행하면 삽입된 음성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애니메이션 효과란 특정 대상 컴포넌트(10)에 대하여 깜빡임, 떨림 등의 효과를 부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 예로서 도 4(C)의 "상영시간" 메뉴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날씨의 이미지 애니메이션 효과가 부가(미도시)될 수 있다.
또한, 편집 수단(155)은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테두리의 평탄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를 기준값 미만의 평탄도를 갖는 테두리가 되도록 자동 보정할 수 있다. 테두리는 터치스크린 등을 통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나 마우스 조작이 입력부(130)에 의해 감지되어 그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 좌측에는 지하철 정보 응용 포로그램의 대상 컴포넌트(10)로서 테두리가 사각형인 "노선도"의 각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편집 컴포넌트(20) 및 편집 후 GUI(47)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노선도"의 우측하단에는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테두리의 소정부분에 흔들리거나 끊어지는 등 평탄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결점부가 발생하였다. 편집 수단(155)은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테두리에 결점부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 결정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값 미만의 평탄도를 갖도록 보정하여 결점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도 4(D) 우측에는 테두리의 결점부가 자동 보정된 편집 후 GUI(48)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GUI 공유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GUI 공유 방법은, 우선 제1 단계로서 GUI 편집 장치(100)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200)에 접속하여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510). 이후, 중계 서버(200)가 GUI 편집 장치(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520). 다음으로, GUI 편집 장치(100)가 전송된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편집 전 GUI(30)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과정이 이어진다(S530). 이어, GUI 편집 장치(100)가 편집 후 GUI(40)를 중계 서버(200)에 등록(업로드)하는 단계가 실행된다(S540). 이후, 사용자 단말(300)은 중계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GUI를 검색한 후 하나 이상의 편집 후 GUI(40)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550). 이어, 마지막 단계로서 중계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편집 후 GUI(40)를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560).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중계 서버(200)에 접속하지 않고 GUI 편집 장치(100)로부터 직접 편집 후 GUI(40)를 전달받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GUI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GUI 공유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GUI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GUI 공유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GUI 편집 장치 110 : 통신부
120 : 출력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151 : 구동 모듈 152 : GUI 생성 모듈
153 : GUI 편집 모듈 154 : 고유코드 부여 수단
155 : 편집 수단 156 : 컴포넌트 매칭 수단
10 : 대상 컴포넌트 20 : 편집 컴포넌트
30, 32, 34, 36 : 편집 전 GUI
40, 42, 44, 46, 47, 48 : 편집 후 GUI

Claims (8)

  1. 유무선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편집 후 GUI를 전송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GUI의 편집 과정이 디스플레이되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GUI에 대한 편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 GUI의 편집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 또는 삭제되는 저장부; 및
    상기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편집명령을 상기 GUI에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명령을 상기 GUI에 적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GUI 편집 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GUI 편집 모듈은 상기 GUI에 포함된 각 대상 컴포넌트에 상기 편집명령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 컴포넌트가 편집된 편집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편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명령은 프레임 수정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수정 명령은 테두리 모양 수정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임의의 형상을 갖는 테두리가 상기 테두리 모양에 대한 수정 명령으로 입력되면, 상기 테두리의 평탄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값 미만의 평탄도를 갖도록 자동 보정하여 상기 테두리를 상기 대상 컴포넌트에 적용하여 편집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GUI 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명령은 위치 이동 명령 또는 크기 변경 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UI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GUI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는 GUI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GUI 편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 편집 모듈은,
    상기 각 대상 컴포넌트에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고유코드 부여 수단; 및
    상기 편집 컴포넌트를 상기 대상 컴포넌트의 고유코드와 연결하는 컴포넌트 매칭 수단;
    을 더 포함하는 GUI 편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정 명령은 색상, 명암, 질감, 3차원 효과, 음성 삽입, 테두리 굵기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GUI 편집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121852A 2013-10-14 2013-10-14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KR10142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852A KR101426918B1 (ko) 2013-10-14 2013-10-14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PCT/KR2014/009597 WO2015056942A1 (ko) 2013-10-14 2014-10-14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852A KR101426918B1 (ko) 2013-10-14 2013-10-14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918B1 true KR101426918B1 (ko) 2014-08-05

Family

ID=5174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852A KR101426918B1 (ko) 2013-10-14 2013-10-14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6918B1 (ko)
WO (1) WO20150569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664B1 (ko) 2023-03-08 2023-09-13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6249A (zh) * 2022-05-17 2022-09-02 苏州佳祺仕信息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233A (ko) * 2007-08-23 2009-02-26 (주)모비루스 유무선 정보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기능을 구비한 유무선정보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5530B2 (en) * 2005-06-10 2010-03-23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KR20090110202A (ko) * 2008-04-17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6505B1 (ko) * 2009-06-19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233A (ko) * 2007-08-23 2009-02-26 (주)모비루스 유무선 정보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기능을 구비한 유무선정보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664B1 (ko) 2023-03-08 2023-09-13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941417B1 (en) 2023-03-08 2024-03-26 Studio Xid Korea, Inc. Method for producing prototyp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942A1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421B1 (ko) 터치 감응형 이차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들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201903324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oss-platform sharing of virtual assistants
CN107820701B (zh) 开发者交换系统
US1038237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ard interaction and assigning cards to devices
US9647967B2 (en) Method of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multiple services expanded from instant messaging service
CN102754352B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EP4002107B1 (en) Data bind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of mini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70294212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US201402982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 for executing application
Lal Digital design essentials: 100 ways to design better desktop, web, and mobile interfaces
CN111343074B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和设备以及存储介质
WO20121543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platform
CN110582018A (zh) 一种视频文件处理的方法、相关装置及设备
KR20130073974A (ko)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확장 장치 및 방법
US20190138165A1 (en) Web parts integration in social networking system
CN107113467A (zh) 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US95965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frame message exchange between personal mobile devices
KR101426918B1 (ko) Gui 공유 시스템과 gui 편집 장치
JP2019532385A (ja) 仮想現実シーケンスを構成又は修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構成方法、及びそのシーケンスを読み取るためのシステム
US9628573B1 (en) Location-based interaction with digital works
CN109891445A (zh) 经由跨iframe信令重新归位嵌入式网络内容
CN105765985B (zh) 统一内容表示
KR20150008947A (ko) 어플리케이션 상세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EP4220368A1 (en) Multimedia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7742832A (zh) 页面引导的配置方法、页面引导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