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920B1 - 버퍼링 상태에 기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버퍼링 상태에 기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920B1
KR101423920B1 KR1020107019278A KR20107019278A KR101423920B1 KR 101423920 B1 KR101423920 B1 KR 101423920B1 KR 1020107019278 A KR1020107019278 A KR 1020107019278A KR 20107019278 A KR20107019278 A KR 20107019278A KR 101423920 B1 KR101423920 B1 KR 10142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ing
information
service
multimedia
star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727A (ko
Inventor
김광혁
하성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3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타임쉬프트 모드 및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하는 출력 모드에 기초한 디지털 멀티디미어 녹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버퍼링에 의해 녹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타임쉬프트 모드 및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하는 출력 모드에 기초한 디지털 멀티디미어 녹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소정 출력 모드를 위한 버퍼링을 수행하고,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버퍼링 정보를 관리며, 버퍼링 정보 중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버퍼링되는 모든 수신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버퍼링 상태를 확인하고, 버퍼링이 중단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재생하거나 녹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퍼링 상태에 기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MULTIMEDIA BASED ON BUFFERING STATES OF THE MULTIMEDIA SERVICE}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버퍼링하여 버퍼링 상태를 관리하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재생 또는 녹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녹화 시스템에서는 타임쉬프트 모드, 백그라운드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버퍼링에 의해 수신된다. 버퍼링에 의해 저장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처리되므로 버퍼링 상태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처리 결과가 결정된다.
도 1a 는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에서 녹화 제어부와 서비스 수신기의 타임쉬프트 모드의 버퍼링 관련 매커니즘을 도시한다.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100)에서는 녹화 제어부(110)가 타임쉬프트 모드를 위한 버퍼링 상태 변경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타임쉬프트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130)한다. 녹화 제어부(110)가 서비스 수신기(120)에 대해 타임쉬프트 모드를 위한 버퍼링을 개시할 것을 지시하면(140), 서비스 수신기(120)는 타임쉬프트 이벤트 정보를 녹화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타임쉬프트 이벤트 정보는 타임쉬프트 모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이 있는지 여부, 버퍼링이 발견됐는지 여부, 타임쉬프트 모드의 기본 속성의 변경 여부를 나타낸다. 타임쉬프트 이벤트 정보에 의해 타임쉬프트 모드의 버퍼링의 개시, 종료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도 1b 는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에서 녹화 제어부와 서비스 수신기의 백그라운드 모드의 버퍼링 관련 매커니즘을 도시한다.
타임쉬프트 이벤트 정보는 타임쉬프트 모드의 버퍼링에 대한 정보만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백그라운드 모드의 버퍼링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100)에서는 녹화 제어부(110)가 타임쉬프트 모드의 버퍼링에 대한 이벤트 리스너만을 등록(130)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수신기(120)에 대한 백그라운드 버퍼링에 대한 개시 명령(160)이 있더라도, 서비스 수신기(120)는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는다(170). 따라서, 백그라운드 모드의 버퍼링의 개시, 종료 등의 버퍼링 상태에 관한 정보는 확인될 수 없다.
도 2 는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에서 녹화 제어부와 서비스 수신기의 버퍼링 요청 목록 관련 매커니즘을 도시한다.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100)에서 녹화 제어부(110)는 버퍼링의 개시 여부를 알기 위해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의 버퍼링 요청 목록을 서비스 수신기(120)에 대해 요구(210)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수신기(120)는 녹화 제어부(110)에 버퍼링 요청 목록을 제공(220)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모드에 대한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었다면 그 요청 사실이 버퍼링 요청 목록에 기재되어 있어, 백그라운드 모드에 대한 버퍼링 개시 요청 사실은 확인될 수 있다.
타임쉬프트 이벤트 정보는 타임쉬프트 모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이 있는지 여부, 버퍼링이 발견됐는지 여부, 타임쉬프트 모드의 기본 속성의 변경 여부를 나타낸다. 타임쉬프트 이벤트 정보에 의해 타임쉬프트 모드의 버퍼링의 개시, 종료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 모드에 대한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었다면 그 요청 사실이 버퍼링 요청 목록에 기재되어 있어, 백그라운드 모드에 대한 버퍼링 개시 요청 사실은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백그라운드 모드에 대한 버퍼링이 개시되었는지 여부 처리 중인지 등의 정보는 확인될 수 없다. 따라서, 백그라운드 보드에 대한 버퍼링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시점에 버퍼링 관련 요청이 있거나 버퍼링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요청 또는 이벤트는 처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녹화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타임쉬프트 모드 또는 백그라운드 모드 등의 출력 모드로 처리되는 경우 모든 출력 모드에 대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버퍼링 진행 상태, 버퍼링 상태 변경 여부를 구체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버퍼링 상태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재생 또는 녹화 등의 출력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는 , 타임쉬프트 모드 뿐만 아니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가 확인될 수 있으므로 , 해당 버퍼링 상태에 기초하여 백그라운드 모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
또한 , 버퍼링의 개시 또는 종료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진행 상태가 설정되므로 ,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처리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접근할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련된 처리가 가능하다 .
또한, 각종 장애로 인해 버퍼링이 중단된 경우에도, 구체적인 버퍼링 정보 및 버퍼링 중단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버퍼링이 중단되어 데이터가 없는 구간에 대해 접근하지 않고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며, 버퍼링이 중단된 구간에 대한 보정 작업 등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는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에서 녹화 제어부와 서비스 수신기의 타임쉬프트 모드의 버퍼링 관련 매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b 는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에서 녹화 제어부와 서비스 수신기의 백그라운드 모드의 버퍼링 관련 매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 는 기존 OCAP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에서 녹화 제어부와 서비스 수신기의 버퍼링 요청 목록 관련 매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 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대한 서비스 제어부 및 버퍼링 정보 관리부의 관계도를 도시한다.
도 6 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에 대한 서비스 제어부 및 버퍼링 정보 관리부의 관계도를 도시한다.
도 7a 는 버퍼링이 한번 중단되는 경우 버퍼링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b 는 버퍼링이 복수 회 중단되는 경우 버퍼링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은 버퍼링이 중단된 서비스 구간을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9 은 버퍼링이 중단된 서비스 구간을 녹화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은 ,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소정 출력 모드를 위한 버퍼링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버퍼링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 및 상기 버퍼링 정보 중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출력 모드는 , 미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호출되어 재생되는 타임쉬프트 모드 및 현재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버퍼링되는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한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 버퍼링 개시 요청 , 버퍼링 개시 취소 , 버퍼링 동작중 , 버퍼링 초기화 및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낼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버퍼링 정보는 ,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리스트가 포함된 ,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 상기 버퍼링 요청 리스트 정보는 ,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상태 , 버퍼링 서비스 타입 ,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버퍼링 정보는 ,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상태 , 버퍼링 서비스 타입 ,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 및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은 ,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 상기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처리할 소정 작업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정보 관리 단계는 ,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 변경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 버퍼링 상태 변경이 있으면 상기 버퍼링 상태 변경에 따라 버퍼링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 및 상기 갱신된 버퍼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출력 제어 단계는 , 상기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출력 제어 단계는 , 상기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버퍼링 출력 제어 단계는 ,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로부터 , 상기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버퍼링 정보 관리 단계는 , 소정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 및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버퍼링 정보 관리 단계는 ,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해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상기 버퍼링이 중단되기 이전의 제 1 분할 구간 , 이후의 제 2 분할 구간 및 상기 버퍼링이 중단된 버퍼링 중단 구간이 발생하면 ,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에 대한 중단 이유 정보 , 중단 시각 정보 및 중단 구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를 각각의 버퍼링 중단 구간마다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출력 처리 단계는 , 상기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 및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을 제외한 상기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및 상기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출력 처리 단계는 , 상기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 및 상기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모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는 ,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소정 출력 모드를 위한 버퍼링을 수행하는 서비스 버퍼링부 ;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버퍼링 정보를 관리하는 버퍼링 정보 관리부 ; 및 상기 버퍼링 정보 중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 상기 출력 모드는 , 미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호출되어 재생되는 타임쉬프트 모드 및 현재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버퍼링되는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한다 .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도 3 내지 10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가 상술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300)는 서비스 버퍼링부(310),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 및 서비스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300)는 타임쉬프트 모드 및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하는 출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서비스 버퍼링부(310)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타임 쉬프트 재생 모드 및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하는 출력 모드 중 하나로 출력하기 위해 버퍼링을 수행하고,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서비스 제어부(330)로 출력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장치(300)가 IPTV 규격을 따를 때,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접속함으로써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장치(300)가 브로드캐스팅 통신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채널 형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타임쉬프트 모드, 백그라운드 모드 등의 출력 모드로 처리될 수 있다. 타임쉬프트 모드에서는, 수신되어 미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호출되어 재생된다. 즉 현재 버퍼링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재생되던 중에, 이미 버퍼링되어 지나간 시점에 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호출되어 재생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 모드에서는, 현재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버퍼링되어 저장된다. 백그라운드 모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백그라운드 모드 상태에서 녹화될 수도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장치(300)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타임쉬프트 모드로 처리되는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 모드로 처리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타임쉬프트 모드로 처리되는 동시에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은 백그라운드 모드로 처리될 수도 있다. 다만, 백그라운드 모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화면에 표시되면 타임쉬프트 모드로 전환되므로, 일반적으로 동일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백그라운드 모드로 처리되는 동시에 타임쉬프트 모드로 처리될 수는 없다.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는 서비스 제어부(330)의 버퍼링 관련 요청에 따라, 서비스 버퍼링부(310)에서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버퍼링 정보를 관리한다. 버퍼링 정보는 서비스 제어부(330)로 출력될 수 있다.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는 서비스 버퍼링부(310)의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 변경 여부 등을 확인하고, 버퍼링 상태 변경 여부를 버퍼링 정보에 반영한다.
본 발명에서, 버퍼링 관련 정보는 출력 모드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설정된다. 즉, 출력 모드가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각각의 버퍼링 정보는 서로 다른 버퍼링 정보이며, 출력 모드가 같더라도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라면 각각의 버퍼링 정보는 서로 다른 버퍼링 정보이다.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버퍼링 이벤트 정보 등 네 종류의 버퍼링 정보가 제안된다.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들 각각에 대해,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i) 버퍼링 개시 요청, (ii) 버퍼링 개시 취소, (iii) 버퍼링 동작중, (iv) 버퍼링 초기화, 및 (v)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낸다.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보충적으로 설명된다.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서비스 제어부(330)로부터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버퍼링에 대한 리스트가 포함된다. 어느 출력 모드를 특정하여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을 수 있고, 어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특정하여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해당 출력 모드 또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록할 수 있다.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에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는, 각각의 버퍼링 상태의 변경 여부, 및 버퍼링 서비스 타입 및 버퍼링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버퍼링 속성의 변경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제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및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다면,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내의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가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서비스 버퍼링부(310)로부터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입력받고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로부터 버퍼링 정보를 입력받아, 버퍼링 정보 중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330)는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재생 또는 녹화 등과 관련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어부(330)의 서비스 출력 제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모듈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범용 컴퓨터의 프로세서, 특정 목적을 위한 컴퓨터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이 소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래밍으로 제어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각종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으로 제어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가 접근할 수 있는 컴퓨터 메모리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각종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으로 제어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처리하는 소정 작업을 결정하는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은 버퍼링 정보가 어떤 처리 작업에 필요할지 판단하여 상기 처리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로 버퍼링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서비스 버퍼링부(310)에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관련 동작을 지시하는 버퍼링 지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링 관련 동작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개시, 버퍼링 개시 취소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어부(330)의 버퍼링 지시 모듈이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관련 동작을 지시하여, 서비스 버퍼링부(310)에서의 버퍼링 관련 동작이 변경되고,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가 버퍼링 관련 동작의 변경으로 인해 버퍼링 상태가 변경됨을 확인하면, 변경된 버퍼링 상태에 따라 버퍼링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갱신된 버퍼링 정보는 서비스 제어부(330)의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에 의해 입력된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이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필요로 하면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은 버퍼링 정보를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로 안내하여,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이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에 의해 입력된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모듈이 버퍼링 개치 요청 리스트 정보를 필요로 하면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은 버퍼링 정보를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로 안내하여,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모듈이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모듈에서 획득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로부터 소정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에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것을 지시하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요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링 이벤트 정보 내의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가 아니라,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가 직접적으로 지정됨으로써,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통하지 않고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는, 서비스 제어부(330)로부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에 대한 요구 지시가 입력되면, 서비스 버퍼링부(310)으로의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버퍼링부(310)으로의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이 확인되면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갱신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서비스 제어부(330)로 전송된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330)의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은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요구 모듈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로부터,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의 각종 버퍼링 관련 정보 획득 모듈들을 통해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각종 버퍼링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기존에 서비스 제어부(330)가 보유하고 있던 기존 버퍼링 정보와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로부터 획득한 버퍼링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 제어 기능을 수행하거나, 획득된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가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로부터 버퍼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충하여 기술된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획득된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재생 또는 녹화와 관련된 제반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출력 제어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버퍼링이 일시적인 장애로 인해 버퍼링이 중단된 경우를 상정한다.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구간에 버퍼링이 중단되기 이전의 제 1 분할 구간, 이후의 제 2 분할 구간 및 버퍼링이 중단된 버퍼링 중단 구간이 발생하면, 버퍼링 중단 구간에 대한 중단 이유 정보, 중단 시각 정보 및 중단 구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를 각각의 버퍼링 중단 구간마다 구비하는 버퍼링 중단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고, 버퍼링 중단 구간을 제외한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및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타임쉬프트 재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300)의 출력 모드가 녹화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서비스 제어부(330)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고,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버퍼링 중단 구간 정보 및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모두 기록하는 분할 녹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출력 제어 방법은 이하 도 7a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충 설명된다.
도 4 는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400)는, 각각의 출력 모드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의 현재 진행 상태를 나타낸다. 버퍼링 진행 상태는, (i) 버퍼링 개시 요청 상태(410), (ii) 버퍼링 취소 상태(420), (iii) 버퍼링 초기화 상태(430), (iv) 버퍼링 실패 상태(440) 및 (v) 버퍼링 동작중 상태(450)의 다섯 가지 상태가 있을 수 있다.
(i) 버퍼링 개시 요청 상태(410)는 해당 버퍼링이 개시될 것이 요청된 상태를 나타낸다. 서비스 제어부(330)의 버퍼링 개시 명령 또는 요청에 의해 버퍼링이 개시될 수 있다.
(ii) 버퍼링 취소 상태(420)는 버퍼링이 취소된 상태를 나타낸다. 서비스 제어부(330)의 버퍼링 취소 명령 또는 요청에 의해 버퍼링이 취소될 수 있다. 버퍼링 개시 요청이 취소되어 버퍼링 개시 요청 상태(410)로부터 버퍼링 취소 상태(420)로 변경될 수 있다. 버퍼링 초기화된 후 버퍼링이 취소되어 버퍼링 초기화 상태(430)로부터 버퍼링 취소 상태(420)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중인 버퍼링이 취소되어 버퍼링 동작 중 상태(450)로부터 버퍼링 취소 상태(420)로 변경될 수 있다.
(iii) 버퍼링 초기화 상태(430)는 버퍼링이 동작되기 위해 초기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개시 요청된 버퍼링이 동작되기 위해 초기화됨으로써 버퍼링 개시 요청 상태(410)로부터 버퍼링 초기화 상태(430)로 변경될 수 있다.
(iv) 버퍼링 실패 상태(440)는 버퍼링 관련 동작이 실패된 상태를 나타낸다.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었으나 개시되지 못한 경우 버퍼링 개시 요청 상태(410)로부터 버퍼링 실패 상태(440)로 변경될 수 있다. 개시된 버퍼링이 초기화되었으나 버퍼링 동작이 실패함으로써 버퍼링 초기화 상태(430)로부터 버퍼링 실패 상태(440)로 변경될 수 있다. 버퍼링이 이미 동작 중이었으나 실패됨으로써 버퍼링 동작중 상태(450)로부터 버퍼링 실패 상태(440)로 변경될 수 있다.
(v) 버퍼링 동작중 상태(450)는 개시 및 초기화된 버퍼링이 동작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버퍼링 초기화 상태(430)로부터 버퍼링 동작중 상태(450)로 변경될 수 있다.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400)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300)는 각각의 버퍼링 진행 상태를 알 수 있고, 현재 버퍼링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서비스 처리 작업이 가능해진다.
도 5 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대한 서비스 제어부 및 버퍼링 정보 관리부의 관계도를 도시한다.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서비스 제어부(510)는 버퍼링 정보 관리부(520)에 관하여 각종 버퍼링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처리하는 소정 작업을 결정하는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512)을 등록한다.
서비스 제어부(510)는 서비스 버퍼링부(520)에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관련 동작을 지시하는 버퍼링 지시 모듈(514)을 더 포함한다.
서비스 제어부(510)의 버퍼링 지시 모듈(514)이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관련 동작을 지시하면 서비스 버퍼링부(310)에 버퍼링 관련 동작이 변경되고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는 버퍼링 관련 동작의 변경에 버퍼링 상태가 변경됨을 확인하면, 변경된 버퍼링 상태에 따라 버퍼링 이벤트 정보(530)를 갱신한다. 그리고 갱신된 버퍼링 이벤트 정보(530)를 서비스 제어부(330)의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512)로 전송(522)한다. 본 발명의 버퍼링 관련 정보는 모든 출력 모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에 대해 설정되므로 타임쉬프트 모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뿐만 아니라 백그라운드 모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관련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512)은 각종 버퍼링 관련 정보가 어떤 작업에 필요할지 판단하여 해당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로 버퍼링 관련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510)가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516)을 구비하는 경우,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512)은 입력된 버퍼링 이벤트 정보(530)를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516)로 전달할 수 있다.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516)은 버퍼링 이벤트 정보(530)에 접근하여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또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540)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510)가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518)을 구비하는 경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518)은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540)에 접근하여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어부(510)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및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링 정보에 접근하여 버퍼링되는 모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 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에 대한 서비스 제어부 및 버퍼링 정보 관리부의 관계도를 도시한다.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통하지 않고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만이 필요한 경우, 서비스 제어부(610)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모듈(61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모듈(612)은 버퍼링 정보 관리부(620)에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630)를 요구하고, 이에 버퍼링 정보 관리부(620)는 서비스 버퍼링부(310)으로의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이 확인되면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로써, 버퍼링 정보 관리부(620)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요구에 따라, 서비스 제어부(610)로 갱신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630)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도 서비스 제어부(610)는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614)을 구비할 수 있으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614)은 제공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630)에 접근하여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어부(610)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접근하지 않고,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만을 획득하여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었던 출력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확인하고 그 중 관심 있는 출력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7a 는 버퍼링이 한번 중단되는 경우 버퍼링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전체 버퍼링 구간(700) 중 버퍼링이 진행된 버퍼링 구간(702, 704, 706), 앞으로의 잔여 버퍼링 구간(708)이 있을 수 있다. 예외적인 상황으로 인한 버퍼링 장애로 인해 일부 버퍼링 구간(704)에서 버퍼링이 중단된 상태다. 본 발명의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는 버퍼링 중단 구간이 발생하는 경우, 버퍼링 중단 구간을 관리하는 버퍼링 중단 관리부를 포함한다. 버퍼링 중단 구간 정보는 해당 버퍼링의 중단 이유에 관한 정보, 멀티미디어 상 중단된 시각에 관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상 중단된 서비스 구간의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버퍼링 중단 이유에 관한 정보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300)가 녹화 모드로 전환된 경우 녹화물을 완전하게 복원하거나, 녹화에 관련된 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버퍼링 중단 관리부는 버퍼링 중단 구간(704)에 대한 중단 이유 정보, 중단 시각 정보 및 중단 구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714)를 관리하고, 버퍼링 중단 구간(704)의 이전 버퍼링 구간(702)의 멀티미디어 서비스(712) 및 이후 버퍼링 구간(704)의 멀티미디어 서비스(716)를 버퍼링이 중단되어 전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분할되어 있는 상태대로 각각의 분할 구간에 따라 관리한다. 또한, 버퍼링 잔여 구간(708)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도 분할 구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7b 는 버퍼링이 복수 회 중단되는 경우 버퍼링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버퍼링이 복수 회 중단되어,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전체 버퍼링 구간(750)이 현재 버퍼링이 진행된 버퍼링 구간(752, 754, 756, 758, 762), 앞으로의 잔여 버퍼링 구간(764)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버퍼링 중단 구간마다 버퍼링이 중단된 이유가 다를 수 있으므로, 버퍼링 정보 관리부(320)의 버퍼링 중단 관리부는 버퍼링이 중단된 구간(754, 758)마다 각각의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774, 778)를 생성한다. 만약 버퍼링 중단 구간마다 버퍼링이 중단된 이유가 동일하다면, 버퍼링 중단 관리부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중 버퍼링 중단 이유에 관한 정보는 하나만으로 관리할 수 있다.
버퍼링이 중단된 구간을 제외하고 버퍼링이 진행된 구간(752, 756, 762)에 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772, 776, 782)는 각각 분할 구간으로 관리되며, 잔여 버퍼링 구간(764)에 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784)도 분할 구간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8 은 버퍼링이 중단된 서비스 구간을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전체 버퍼링 구간(800) 중 버퍼링이 진행된 버퍼링 구간(802, 804, 806), 앞으로의 잔여 버퍼링 구간(808)이 있는 경우, 서비스 제어부(330)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버퍼링 정보 및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를 이용한다. 버퍼링 정보를 통해 해당 출력 모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현재 진행 상태, 버퍼링 상태 변경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의 시각 또는 위치, 버퍼링 중단 이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버퍼링 정보 및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804)을 검출하고, 버퍼링 중단 구간(804)을 제외한 이전/이후 버퍼링 구간(802, 804)의 멀티미디어 서비스(812, 814)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서비스(832)로 재생하는 타임쉬프트 재생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타임쉬프트 방식으로 재생될 때에는 마치 버퍼링 구간 822 동안 버퍼링 중단 없이 멀티미디어 서비스 832가 수신된 것처럼 재생될 수 있다.
버퍼링 중단 구간(804)의 이전/이후 버퍼링 구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812, 816)를 연속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타임쉬프트 재생 모듈은 버퍼링 중단 이유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사유를 진단하거나 보정할 수 있다.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서비스(832)가 재생된 후, 앞으로 버퍼링될 구간(808)의 멀티미디어 서비스(818)도 이어서 재생될 수 있다.
도 9 은 버퍼링이 중단된 서비스 구간을 녹화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에서 참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구간을 다시 참고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300)의 출력 모드가 녹화 모드로 전환되어, 녹화 요청 구간(910)이 버퍼링이 중단된 구간 및 버퍼링이 진행된 구간에 걸쳐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타임쉬프트 재생 시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고, 녹화 요청 구간 동안 버퍼링 중단 구간이 존재하면 버퍼링 중단에 의해 분할된 구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대로 기록하는 분할 녹화 모듈을 포함한다. 즉, 분할 녹화 모듈은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814)를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이전 버퍼링 구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812) 및 이후 버퍼링 구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816) 중 녹화 요청 구간(910)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812, 826)를 분할 구간 형태(920)대로 기록한다.
분할 녹화 모듈은 버퍼링 정보 및 버퍼링 중단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이 중단되어 리소스가 없는 구간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할 구간으로 즉시 접근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010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소정 출력 모드를 위한 버퍼링이 수행된다. 출력 모드는 타임쉬프트 모드, 백그라운드 모드, 녹화 모드 등을 포함한다.
단계 1020에서,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버퍼링 정보가 관리된다.
버퍼링 정보로써, 버퍼링 이벤트 정보,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가 있다.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 및 버퍼링 상태의 변경 여부에 따라 버퍼링 정보가 갱신될 수 있으며, 버퍼링 관련 동작에 대한 요청에 따라 해당 버퍼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만을 제공하라는 요청에 의해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
단계 1030에서, 버퍼링 정보 중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이 제어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은 재생 또는 녹화 모드가 있을 수 있다. 각종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여 재생, 저장 또는 녹화 등의 출력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버퍼링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버퍼링 정보가 필요한 출력 작업을 결정한다. 제공된 버퍼링 정보로부터 원하는 버퍼링 관련 정보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일시적인 버퍼링 장애 등에 의해 버퍼링이 중단되는 경우, 버퍼링 중단 이유, 중단 시각, 중단 위치 등의 버퍼링 중단 구간 정보 및 버퍼링 중단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의 중단 여부을 진단하거나 버퍼링이 중단된 구간을 보정 또는 복원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재생, 저장, 녹화 등의 출력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3)

  1.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소정 출력 모드를 위한 버퍼링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버퍼링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 및
    상기 버퍼링 정보 중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출력 모드는, 미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호출되어 재생되는 타임쉬프트 모드 및 현재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버퍼링되는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버퍼링 개시 요청, 버퍼링 개시 취소, 버퍼링 동작중, 버퍼링 초기화 및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리스트가 포함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상태, 버퍼링 서비스 타입,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상태, 버퍼링 서비스 타입,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및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처리할 소정 작업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 변경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버퍼링 상태 변경이 있으면 상기 버퍼링 상태 변경에 따라 버퍼링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버퍼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 버퍼링 서비스 타입,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에 관한 이벤트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 정보로부터,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서비스의 리스트가 포함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버퍼링 개시 요청, 버퍼링 개시 취소, 버퍼링 동작중, 버퍼링 초기화 및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소정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리스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로부터,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버퍼링 개시 요청, 버퍼링 개시 취소, 버퍼링 동작중, 버퍼링 초기화 및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해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상기 버퍼링이 중단되기 이전의 제 1 분할 구간,
    이후의 제 2 분할 구간 및 상기 버퍼링이 중단된 버퍼링 중단 구간이 발생하면,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에 대한 중단 이유 정보, 중단 시각 정보 및 중단 구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를 각각의 버퍼링 중단 구간마다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을 제외한 상기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및 상기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모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16.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소정 출력 모드를 위한 버퍼링을 수행하는 서비스 버퍼링부;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별로 버퍼링 설정에 관련된 버퍼링 정보를 관리하는 버퍼링 정보 관리부; 및
    상기 버퍼링 정보 중 소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드는, 미리 버퍼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호출되어 재생되는 타임쉬프트 모드 및 현재 수신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버퍼링되는 백그라운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버퍼링 개시 요청, 버퍼링 개시 취소, 버퍼링 동작중, 버퍼링 초기화 및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리스트가 포함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상태, 버퍼링 서비스 타입,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상태, 버퍼링 서비스 타입,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버퍼링 이벤트 타입 정보, 및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처리하는 소정 작업을 결정하는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버퍼링부에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관련 동작을 지시하는 버퍼링 지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 관리부는,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 변경이 있는지 확인하고, 버퍼링 상태 변경이 있으면 상기 변경된 버퍼링 상태에 따라 버퍼링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버퍼링 정보를 상기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에 의해 상기 버퍼링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버퍼링 정보로부터 버퍼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버퍼링 이벤트 정보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이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 상태, 버퍼링 서비스 타입, 및 버퍼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에 관한 이벤트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정보 판단 모듈에 의해 상기 버퍼링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버퍼링 정보로부터, 상기 버퍼링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버퍼링 개시 요청이 있는 서비스의 리스트가 포함된,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상기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버퍼링 개시 요청, 버퍼링 개시 취소, 버퍼링 동작중, 버퍼링 초기화 및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정보 관리부에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것을 지시하는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요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에 대한 요구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서비스 버퍼링부로의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의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로부터,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 획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개시 요청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진행 상태 정보는, 해당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진행 상태가, 버퍼링 개시 요청, 버퍼링 개시 취소, 버퍼링 동작중, 버퍼링 초기화 및 버퍼링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3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정보 관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버퍼링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해 소정 멀티미디어 서비스 구간에 상기 버퍼링이 중단되기 이전의 제 1 분할 구간, 이후의 제 2 분할 구간 및 상기 버퍼링이 중단된 버퍼링 중단 구간이 발생하면,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에 대한 중단 이유 정보, 중단 시각 정보 및 중단 구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를 각각의 버퍼링 중단 구간마다 구비하는 버퍼링 중단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을 제외한 상기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및 상기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타임쉬프트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버퍼링 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분할 구간의 서비스, 상기 버퍼링 중단 구간 정보 및 상기 제 2 분할 구간의 서비스를 모두 기록하는 분할 녹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7019278A 2008-02-26 2008-02-26 버퍼링 상태에 기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 KR101423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1092 WO2009107881A1 (en) 2008-02-26 2008-02-26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multimedia based on buffering states of the multimedia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727A KR20100135727A (ko) 2010-12-27
KR101423920B1 true KR101423920B1 (ko) 2014-07-28

Family

ID=4101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278A KR101423920B1 (ko) 2008-02-26 2008-02-26 버퍼링 상태에 기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5725B2 (ko)
KR (1) KR101423920B1 (ko)
CN (1) CN101960841B (ko)
WO (1) WO2009107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0528A (zh) * 2010-10-22 2011-02-2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进入epg业务的方法
US8862554B2 (en) * 2010-11-23 2014-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rioritizing service restoration activities in the event of a catastrophic failure
EP2487609A1 (en) 2011-02-07 2012-08-15 Alcatel Lucent A cache manager for segmented multimedia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cache management
CN112040302B (zh) 2019-06-03 2023-01-03 优视科技有限公司 视频缓冲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984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콘텐트의 재생 제어방법과 장치
KR20050037292A (ko) * 2003-10-18 200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적 재생이 가능한 데이터 재생장치및 그 방법
KR20070040285A (ko) * 2005-10-11 2007-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070112461A (ko) * 2005-02-16 2007-11-26 드로플렛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이미징 애플리케이션, 장치 구조, 서비스 플랫폼구조 및 서비스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03343A1 (es) * 2000-03-08 2004-04-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Grabador versátil personal y su procedimiento de implantación y uso.
KR100762580B1 (ko) 2001-10-22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의 저장공간 관리방법
US7263280B2 (en) * 2002-06-10 2007-08-28 Lsi Corporation Method and/or apparatus for retroactive recording a currently time-shifted program
KR100895859B1 (ko) * 2005-05-18 2009-05-06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분산형 멀티미디어 서버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정보분배방법
US8788933B2 (en) * 2005-12-01 2014-07-22 Nokia Corporation Time-shifted presentation of media streams
KR100807735B1 (ko) * 2006-04-10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984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콘텐트의 재생 제어방법과 장치
KR20050037292A (ko) * 2003-10-18 200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적 재생이 가능한 데이터 재생장치및 그 방법
KR20070112461A (ko) * 2005-02-16 2007-11-26 드로플렛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이미징 애플리케이션, 장치 구조, 서비스 플랫폼구조 및 서비스들
KR20070040285A (ko) * 2005-10-11 2007-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지털 방송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0841B (zh) 2012-12-05
KR20100135727A (ko) 2010-12-27
US20100329647A1 (en) 2010-12-30
WO2009107881A1 (en) 2009-09-03
CN101960841A (zh) 2011-01-26
US8385725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985B2 (en)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ent receiving method
KR101355237B1 (ko)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WO2018192183A1 (zh) 无线传屏中视频文件的处理方法及装置
KR101423920B1 (ko) 버퍼링 상태에 기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녹화 방법 및 장치
KR101533280B1 (ko) 복합 디바이스의 콘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US9721617B2 (en) Adaptive media content recording
CN1395419A (zh) 组合系统及其自动拷贝方法
JP2012514944A (ja) 2つの高解像度ビデオソース間の移行
JP2012099869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191221B2 (ja) 記録再生装置、同時記録再生制御方法、および同時記録再生制御プログラム
US20070294381A1 (en) Method of controlling services between network services, network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at stores the method
JP200510833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US9378300B2 (en) Interface method and display device
US20210112310A1 (en)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playback device and schedule management system
JP6903419B2 (ja) 表示システム、放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番組表示システム
KR102462867B1 (ko)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녹화손실방지
JP2007006350A (ja) ハー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5130330A (ja) ストリーム再生装置、ストリーム再生方法、ストリーム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ストリーム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0187924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10009571B2 (en) Reproducing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8102874A (ja) デバッグ装置及びデバッグ方法
JP2010219672A (ja) 編集システム、記録再生装置及び映像素材編集方法
EP4133739A1 (en) Dynamically customizing media content
JP2009009406A (ja) デバッグ装置およびデバッグ方法
JP201305549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