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640B1 -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640B1
KR101423640B1 KR1020140044040A KR20140044040A KR101423640B1 KR 101423640 B1 KR101423640 B1 KR 101423640B1 KR 1020140044040 A KR1020140044040 A KR 1020140044040A KR 20140044040 A KR20140044040 A KR 20140044040A KR 101423640 B1 KR101423640 B1 KR 10142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front cover
cover
mobile terminal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움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움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움디자인
Priority to KR102014004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또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의 전면커버에 의해 휴대단말기 전면의 액정화면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커버에 흡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면커버를 고정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는 보강부와,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며, 상기 보강부에 부착되는 휴대단말기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면커버에 대해 상기 전면커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에 회동부를 갖으며,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에 휴대단말기를 수납하여 상기 전면커버를 덮었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흡착되는 흡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로서, 상세하게는 전면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커버에 흡착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파손이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의 수요 또한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합성피혁이나 천연피혁의 경우 제조원가가 비싸고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한 경질 재질의 케이스 또는 연질 재질의 케이스의 생산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중, 경질 재질 케이스의 경우, 휴대단말기와 결합 시 고정력이 강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지만, 결합 또는 분리 과정 중에 휴대단말기 외측 부위가 긁히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연질 재질의 케이스는 긁힘 방지에 유리하지만 낙하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휴대단말기 외측면에 장착되는 연질 케이스와 경질 케이스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로서, 압입 구조의 케이스와 보강부재의 장착과 분리 동작이 용이하고, 케이스에 수납된 휴대단말기를 외부로 쉽게 빼낼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뛰어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관하여, 한국특허 제1,369,297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단말기를 수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또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액정화면이 마련된 휴대단말기의 전면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 전면의 액정화면이 쉽게 긁히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369,29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또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의 전면커버에 의해 휴대단말기 전면의 액정화면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커버에 흡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면커버를 고정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는 보강부와,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며, 상기 보강부에 부착되는 휴대단말기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면커버에 대해 상기 전면커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에 회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힌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에 휴대단말기를 수납하여 상기 전면커버를 덮었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흡착되는 흡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상기 흡착부는, 상기 전면커버 내측면의 상기 회동부 반대쪽 테두리측 중심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상기 전면커버는, 외측으로 접어 삼각받침대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후면커버를 상기 전면커버에 의해 형성된 삼각받침대의 경사면으로 기울여 지지했을 때, 상기 전면커버에 마련된 흡착부의 흡착판이 상기 후면커버의 외측면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상기 보강부는 사각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는 사각형상의 저부와, 상기 저부의 각 테두리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위로 더 연장하여 형성된 집게부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의 집게부는 상기 삽입부보다 상기 보강부의 측벽부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바닥부와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삽입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보강부의 측벽부의 외측면과 상기 집게부의 외측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는 상기 집게부의 테두리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 내에 휴대단말기를 수납했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단 테두리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의하면, 후면커버 상에 경질의 보강부 및 연질의 휴대단말기 수납부로 이루어진 보호 케이스 내에 휴대단말기를 수납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 수납부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의하면, 전면커버를 마련하여 수납된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흡착부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상기 전면커버를 고정함으로써, 전면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떨어트리더라도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서 휴대단말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를 삼각대를 형상으로 접어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삼각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흡착판이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커버가 안정적으로 삼각대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 전면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로서, 전면커버를 삼각받침대로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다음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 전면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1)는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를 포함하는 커버부(100)와, 상기 커버부(100)의 후면커버(120) 상에 부착되는 보강부(200)와, 상기 보강부(200) 내에 삽입하여 부착된 휴대단말기 수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00)는, 전면커버(110) 및 후면커버(120)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110)의 내측 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함 또는 신용카드 등을 꽂을 수 있는 카드수납부(150) 및 흡착판(140)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커버부(100)에 있어서 내측과 외측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10)를 덮었을 때를 기준으로 겉으로 드러난 부분을 외측, 속 부분을 내측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 평면상에서의 위(상)와 아래(하)의 구분은 통상적인 기준에 따라 정하여 진다.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는, 각각 내피,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매립된 심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의 내피와 외피는, 박막으로 가죽, 직물, 비닐, 고무 등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로서, 내피와 외피는 같은 재질의 연질 시트로 할 수 있고, 또 내피와 외피는 서로 다른 재질의 연질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는 각각 휴대단말기의 전면 형상 및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상으로서 경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드수납부(150)는, 상기 전면커버(110)의 내피와 심재 사이의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하고, 상기 내피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상기 카드수납부(150)의 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의 내피, 심재 및 외피는, 상기 카드수납부(150)의 수납공간으로 되는 상기 전면커버(110)의 내피와 심재 사이의 공간을 제외하고,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핫멜트 등으로 열융착에 의하여 접착함으로써 일체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의 내피, 심재 및 외피가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하여 접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는 견고한 보호커버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 사이의 심재가 포함되지 않은 부위, 즉 내피와 외피만으로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하여 접착되어 일체화된 부위가 상기 전면커버(11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회동부가 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10)의 내측면에는 흡착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착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부(140)의 흡착판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흡착하여 상기 전면커버(1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액정화면에 손상의 염려가 없는 고무재질의 진공 흡착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흡착부(140)는 진공 흡착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액정화면에 손상의 염려가 없는 것이라면 다른 흡착부재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착부(140)의 흡착판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흡착할 수 있다면, 상기 전면커버(110)의 내측면의 어느 위치에도 마련될 수 있으나, 하나의 진공 흡착판만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회동부의 반대측 변의 단부 중심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에는 휴대단말기(400)에 형성된 이어폰잭 삽입부, 안테나 돌출부, 카메라부, 스피커부, 충전잭 삽입부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400)의 작동과 관련된 장치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개방구(130a, 130b, 130c, 130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개방구(130a, 130b, 130c, 130d)에 관하여는 휴대단말기의 형상 및 구성에 대응하여 마련하는 것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면커버(120)의 내측면에는 보강부(200)가 부착되어 마련되는데, 상기 보강부(200)는 바닥부(210)와 측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210)와 측벽부(220)는 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200)의 바닥부(210)는, 상기 후면커버(120)에 매립된 심재의 크기와 같은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이 상기 후면커버(120) 내측면의 상기 심재가 매립된 위치에 부착된다. 다만, 상기 바닥부(210)의 강성이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후면커버(120)에 매립된 심재를 생략함으로써 상기 후면커버(12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보강부(200)의 측벽부(220)는, 상기 바닥부(210)의 각 변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220)의 높이는 수납되는 휴대단말기(400) 두께의 1/2 정도가 바람직하고, 상기 측벽부(220)의 각 모서리는 휴대단말기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200)의 바닥부(210)와 측벽부(220)에는 휴대단말기(400)에 형성된 이어폰잭 삽입부, 안테나 돌출부, 카메라부, 스피커부, 충전잭 삽입부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400)의 작동과 관련된 장치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개방구(230a, 230b, 230c, 230e) 및 끼움홈(230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개방구(230a, 230b, 230c, 230e) 및 끼움홈(230d)에 관하여는 휴대단말기의 형상 및 구성에 대응하여 마련하는 것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300)는, 휴대단말기(400)를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 휴대단말기(400)를 보호하기 위한 범퍼로서, 저면을 이루는 저부(310)와, 상기 바닥부(310)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삽입부(320), 및 상기 삽입부(320)로부터 상측으로 더 연장하여 형성되는 집게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300)는, 휴대단말기(400)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엘라스토머,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에폭시 수지, 합성피혁 또는 직물 소재 등의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300)의 저부(310) 및 삽입부(320)는, 상기 보강부(200)의 바닥부(310) 및 측벽부(2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부착되며, 상기 집게부(330)는 상기 삽입부(320)로부터 상측으로 더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집게부(330)의 외측면은 상기 집게부(330)가 상기 삽입부(320)로부터 상기 보강부(200)의 측벽부(220) 두께만큼 외측으로 단차를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집게부(330)의 두께는 상기 삽입부(320)의 두께보다 상기 보강부(200)의 측벽부(220) 두께만큼 더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200)의 바닥부(310) 및 측벽부(220)에 이루어지는 수용공간 내에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300)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삽입부(320)와 집게부(330)가 이루는 내측면은 동일 평면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200)의 측벽부(220)의 외측면과 상기 집게부(330)의 외측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집게부(330)의 상단 테두리는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300) 내에 휴대단말기(400)를 수납했을 때, 상기 연장부가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상단 테두리를 잡아주어 상기 휴대단말기(400)가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30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300)의 저부(310), 삽입부(320) 및 집게부(330)에는, 휴대단말기(400)에 형성된 이어폰잭 삽입부, 안테나 돌출부, 카메라부, 스피커부, 충전잭 삽입부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400)의 작동과 관련된 장치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개방구(340a, 340b, 340c, 340e) 및 상기 보강부(200)의 끼움홈(230d)에 끼워지는 누름구(340d)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개방구(340a, 340b, 340c, 340e) 및 누름구(340d)에 관하여는 휴대단말기의 형상 및 구성에 대응하여 마련하는 것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로서, 전면커버를 삼각받침대로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는 전면커버(110)의 구조가 다른 것으로,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명칭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의 전면커버(110)는 접철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3개의 구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커버(110)의 심재는 상기 구역과 구역 사이의 경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커버(110)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역과 구역 사이의 경계에서 각 구역이 외측으로 회동하여 삼각대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110)를 삼각대 형상으로 조립한 후,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블릿 PC등의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후면커버(120)를 상기 전면커버(110)에 의해 형성된 삼각 받침대의 경사면으로 기울임으로써 지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10)의 내측면에 마련된 흡착부(140)의 흡착판은 상기 후면커버(120)의 외측면과 접하여 흡착됨으로써, 테블릿 PC등의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후면커버(120)를 상기 전면커버(110)에 의해 형성된 삼각 받침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테블릿 PC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단순히 시청 기능만 있는 것과는 달리, 액정화면의 터치 등 지속적으로 휴대단말기를 접촉하며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자의 지속적인 접촉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는, 삼각 받침대를 형성하는 전면커버(110)와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후면커버(120)를 상기 흡착부(140)가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 중에 상기 전면커버(110)에 의해 형성된 삼각 받침대의 형상이 무너지거나 흐트러지는 일없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의하며,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휴대단말기(400)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커버(110)를 덮으면 상기 전면커버(110)의 흡착부(140)의 흡착판이 상기 휴대단말기(400)의 액정화면에 흡착되어 고정하기 때문에, 휴대하여 이동 중에 예상치 못하게 상기 전면커버(110)가 열리게 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에는 삼각 받침대를 형성하는 전면커버(110)와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후면커버(120)를 상기 흡착부(140)가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1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100 커버부
110 전면커버 120 후면커버
130a, 130b, 130c, 130d 제 1 개방구 140 흡착부
150 카드 수납부 200 보강부
210 바닥부 220 측벽부
230a, 230b, 230c, 230e 제 1 개방구 230d 끼움홈
300 휴대단말기 수납부 310 저부
320 삽입부 330 집게부
340a, 340b, 340c, 340e 제 1 개방구 340d 누름구
350 연장부 400 휴대단말기

Claims (6)

  1. 삭제
  2.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는 보강부와,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며, 상기 보강부에 부착되는 휴대단말기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면커버에 대해 상기 전면커버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에 회동부를 갖으며,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흡착되는 흡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고무재질의 흡착판으로서, 상기 전면커버 내측면의 상기 회동부 반대쪽 테두리측 중심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외측으로 접어 삼각받침대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후면커버를 상기 전면커버에 의해 형성된 삼각받침대의 경사면으로 기울여 지지했을 때, 상기 전면커버에 마련된 흡착부가 상기 후면커버의 외측면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사각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는 사각형상의 저부와, 상기 저부의 각 테두리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위로 더 연장하여 형성된 집게부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의 집게부는 상기 삽입부보다 상기 보강부의 측벽부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바닥부와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삽입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보강부의 측벽부의 외측면과 상기 집게부의 외측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의 테두리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 수납부 내에 휴대단말기를 수납했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단 테두리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20140044040A 2014-04-14 2014-04-14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42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040A KR101423640B1 (ko) 2014-04-14 2014-04-14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040A KR101423640B1 (ko) 2014-04-14 2014-04-14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640B1 true KR101423640B1 (ko) 2014-08-04

Family

ID=5174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040A KR101423640B1 (ko) 2014-04-14 2014-04-14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6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19Y1 (ko) * 2014-08-20 2014-12-01 서경림 모바일 단말기의 액정보호부재 부착케이스
KR101635403B1 (ko) * 2015-03-24 2016-07-01 오지석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및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용 원판형 단말기보호케이스판과 원판형 덧판의 제조장치
KR20200026345A (ko) * 2018-08-29 2020-03-11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5978A (ko) * 2011-06-08 2012-12-18 박문성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101369297B1 (ko) * 2013-08-19 2014-03-0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5978A (ko) * 2011-06-08 2012-12-18 박문성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101369297B1 (ko) * 2013-08-19 2014-03-0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19Y1 (ko) * 2014-08-20 2014-12-01 서경림 모바일 단말기의 액정보호부재 부착케이스
KR101635403B1 (ko) * 2015-03-24 2016-07-01 오지석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및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용 원판형 단말기보호케이스판과 원판형 덧판의 제조장치
KR20200026345A (ko) * 2018-08-29 2020-03-11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KR102170931B1 (ko) * 2018-08-29 2020-10-29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TWI580333B (zh)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保護殼體結構
JP5890057B1 (ja) モバイル端末機の液晶保護部材付着ケース
US20130193006A1 (en)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KR20160022755A (ko)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KR1014236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EP2827564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6040898A (ja) 保護ケース
KR200478168Y1 (ko)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US9432073B2 (en) Housing-protect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1379Y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9182787B2 (en) Removable cover panel for display housing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2086718B1 (ko) 멀티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보호 장치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101560241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422196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78264Y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91657Y1 (ko) 호환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1620780B1 (ko)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JP2013156336A (ja) 電子機器用の防水ケース
KR102028687B1 (ko)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구조
KR200479258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