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990B1 - Elevator control panel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990B1
KR101420990B1 KR1020137012699A KR20137012699A KR101420990B1 KR 101420990 B1 KR101420990 B1 KR 101420990B1 KR 1020137012699 A KR1020137012699 A KR 1020137012699A KR 20137012699 A KR20137012699 A KR 20137012699A KR 101420990 B1 KR101420990 B1 KR 101420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hook
control panel
normal posi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4160A (en
Inventor
도모히코 야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은, 승강로 내에 배치된 지지체, 지지체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 회동부재에 마련된 보수대상기기 및 회동부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조작부재를 가지고 있다. 보수대상기기는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통상위치와, 회동축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검위치와의 사이에서 지지체에 대해서 변위된다. 조작부재는 외부로부터의 인하력을 받음으로써, 보수대상기기가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에 회동부재를 회동시킨다.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has a support disposed in the hoistway, a pivotable member pivotable about a pivot axis provided on the support, a maintenance object provided on the pivotal member, and an operat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ivotal member.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support body between the normal position located above the rotary shaft and the inspection position located below the rotary shaft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The operating member receives a downward force from the outside, thereby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ELEVATOR CONTROL PANEL}[0001] ELEVATOR CONTROL PANEL [0002]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installed in a hoistway.

종래, 승강로 내에 설치된 제어반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상로부터의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부분 제어반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어반을 접기 가능하게 한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통상 운전시에, 제어반이 접혀진 상태에서 승강로 내의 상단부에 유지되어, 보수점검시에, 제어반의 접힌 상태를 해제하여 각 부분 제어반이 일렬로 매달리도록 되어 있다. 보수점검시에는, 엘리베이터칸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칸상의 작업자가 각 부분 제어반의 위치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an elevator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control panel provided in a hoistway is collapsibl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artial control boards to each other in order to facilitate maintenance work from the elevator car. In this conventional elevator, during the normal operation, the control panel is hel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istway in the folded state, and the control panel is released from the folded state at the time of maintenance inspection, so that the respective control panels are suspended in a line. The operator on the elevator car can easily reach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control panels by moving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at the time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29057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90573

그러나, 제어반이 승강로 내의 피트(pit)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칸상에 올라타고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수 없으므로, 승강로 내의 바닥에 족장대(足場臺)(예를 들면 발판 사다리(脚立, stepladder) 등)를 두고, 족장대에 올라탄 작업자가 제어반에 대해서 보수 작업을 행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control panel is installed in the pit in the hoistway, the operator can not carry out the maintenance check operation because the worker rides on the elevator car. Therefore, a chief pedestal (for example, a step ladder Staple, stepladder, etc.), and a worker climbing on the patriarchal stand performs repair work on the control panel.

여기서,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 등, 복수의 기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내에서 제어반을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수평방향에 대해서 넓히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어반의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어반의 높이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Here, since a plurality of equipments such as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are disposed in the hoistway, there is a limit in widening the space for arranging the control panel in the hoistwa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volume of the control pane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eight dimension of the control panel.

그러나, 족장대를 올라타도 작업자가 닿지 않는 등과 같은 높은 위치(예를 들면, 족장대의 상면으로부터 1800㎜의 높이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보수점검의 대상이 되는 기기(보수대상기기)를 배치해도, 작업자는 보수대상기기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작업자가 닿지 않는 등과 같은 높은 위치에는 보수점검의 대상은 되지 않는 고장 나기 어려운 기기(예를 들면 회생저항 등)밖에 배치하지 못하고, 보수대상기기를 설치하는 위치가 제한되어 버린다.However, even if a device (maintenance subject device) to be subjected to maintenance and inspection is disposed at a high position such as a position where a worker does not touch even when the leader is lifted (for example,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1800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ader) The operator can not perform th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n the equipment subject to maintenance. Therefore, conventionally, only a device (for example, a regenerative resistor or the like), which is not subject to maintenance or inspection, can be placed at a high position such as an area where the operator does not touch, and the position of installing the repair target device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수대상기기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a repair target devic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은, 승강로 내에 배치된 지지체, 지지체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 회동부재에 마련되고,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통상위치와, 회동축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검위치와의 사이에서 지지체에 대해서 변위되는 보수대상기기 및 회동부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인하력(引下力)을 받음으로써, 보수대상기기가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있다.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including a support disposed in a hoistway, a pivotable member pivotable about a pivot shaft provided on a support, a pivotable member provided at a normal position And a maintenance position which is lower than the rotation axis, and which receives a downward pulling force from the outside, whereby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And an operating member for rotating the pivoting member in a direction displacing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서는, 지지체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에 보수대상기기가 마련되고,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통상위치와, 회동축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검위치와의 사이에서 보수대상기기가 변위되므로, 통상 운전시에는, 작업자가 닿지 않는 액세스(access) 불가 영역에 보수대상기기를 배치해 두고, 보수점검시에만, 작업자에 의한 보수점검이 가능한 액세스 가능 영역으로 보수대상기기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반의 설치 스페이스를 수평방향에 대해서 넓히지 않고, 보수대상기기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s provided in the tilting member that is rotatable around the pivot shaft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By the rotation of the tilting member, the normal position,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is displaced between the maintenance position and the lower maintenance position. Therefore, during normal operation,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is disposed in the access impossible area not reachable by the operator,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can be displaced to an accessible area where inspection is possible.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trol panel is not wid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layout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이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작레버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의 제어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조작레버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제어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대해 조작레버와 후크가 맞물려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서 조작레버와 후크와의 맞물림이 어긋나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서 보수대상기기가 점검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회동패널이 폐색(閉塞)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위될 때까지의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회동패널이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며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istway.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1; Fig.
Fig. 3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2;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2;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trol panel when the operating lever of Fig. 4 is in the engaging position. Fig.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trol panel when the operation lever of Fig. 4 is in the release position; Fig.
7 is a front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on lever and a hook are engaged with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Fig. 9 is a front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hook is shifted in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7; Fig.
10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Fig. 11 is a front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is displaced to the inspection position in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9; Fig.
12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f Fig.
Fig. 15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anel of Fig. 14 is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anel is displac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Fig.
Fig. 16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anel of Fig. 14 is in the open pos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이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모두 도시생략)가 승강되는 승강로 내의 피트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어반(1)은 기계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으로 되어 있다. 제어반(1)은 수평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istway. In the figure, a control panel 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is provided in a pit in a hoistway in which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all not shown) are lifted and lowered. In this example, the control panel 1 is a control panel of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The control panel 1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avoid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제어반(1)에 대한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때는, 족장대(2)가 승강로의 피트면(바닥면)(3)에 놓여진다. 작업자는 피트면(3)에 놓여진 족장대(2)의 상면을 올라탄 상태에서 제어반(1)에 대해서 보수점검작업을 행한다.When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for the control panel 1 is performed, the fulcrum platform 2 is placed on the pit side (bottom surface) 3 of the hoistway. The operator carries out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on the control panel 1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chief stand 2 placed on the pit surface 3 is raised.

피트면(3)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에는, 족장대(2)를 올라탄 상태에서 작업자가 액세스 가능한 높이의 한계(즉, 작업자에 의한 보수점검작업이 가능한 높이의 한계)를 나타내는 작업 한계 레벨(A)이 설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피트면(3)상에 놓여진 족장대(2)의 상면으로부터 1800㎜의 높이의 위치에 작업 한계 레벨(A)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 한계 레벨(A)보다도 위쪽의 영역은, 작업자가 액세스 불가능한 액세스 불가 영역이 되며, 작업 한계 레벨(A)보다도 아래쪽의 영역은 작업자가 액세스 가능한 액세스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At a position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pit surface 3, the limit of the height accessible by the operator (i.e., the limit of the height at which maintenance work by the operator can be performed) A work limit level (A) is set. In this example, a working limit level A is set at a position of 1800 mm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pad 2 placed on the pit surface 3. Therefore, an area above the operation limit level A becomes an access-disabled area in which the operator can not access, and an area below the operation limit level A is an accessible area in which the operator can access.

제어반(1)은 일부가 액세스 가능 영역에 배치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액세스 불가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수점검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제어반(1) 가운데, 액세스 불가 영역에 배치된 부분에 액세스할 수 없고, 액세스 가능 영역에 배치된 부분으로만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ontrol panel 1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control board 1 is disposed in the accessible area and a part of the control board 1 is disposed in the inaccessible area. Therefore, the operator performing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can not access the portion disposed in the inaccessible area in the control panel 1, but can access only the portion disposed in the accessible area.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제어반(1)은 승강로 내에 세워서 배치된 케이스(지지체)(4)와, 케이스(4)에 마련된 회동축(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패널(회동부재)(6)과, 회동패널(6)에 마련된 보수대상기기(7)와, 회동패널(6)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조작레버(조작부재)(8)를 가지고 있다.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In the figure, the control panel 1 is provided with a case (support) 4 disposed upright in the hoistway, a rotation panel (rotating member) 6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5 provided in the case 4, (7) provided on the panel (6), and an operation lever (operation member) (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panel (6).

케이스(4)는 일부(상부)가 액세스 불가 영역에 배치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액세스 가능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4)의 정면에는 개구부(9)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9)는 액세스 불가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9)의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In the case 4, a part (upper part) is arranged in the inaccessible area, and a part of the case 4 is arranged in the accessible area. On the front face of the case 4, an opening 9 is provided. The opening 9 is located in the inaccessible area.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opening 9 has a rectangular shape.

회동축(5)은 개구부(9)의 아래쪽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회동축(5)은 케이스(4)의 폭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회동축(5)이 작업 한계 레벨(A)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rotary shaft 5 is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opening 9. The pivot shaft 5 is horizontally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4.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rotary shaft 5 is disposed above the operation limit level A.

회동패널(6)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됨으로써, 개구부(9)를 폐색하는 폐색위치(도 3의 실선)와, 폐색위치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개구부(9)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또, 회동패널(6)은 보수대상기기(7)가 장착된 기기장착판(기기장착부)(6a)과, 기기장착판(6a)의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회동축(5)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접속판(접속부)(6b)과, 기기장착판(6a)의 양측부로부터 회동축(5)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판(돌출부)(6c)을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기기장착판(6a), 접속판(6b) 및 각 측판(6c)이 한 장의 판을 굽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3, the rotation panel 6 rotates about the pivot 5 so that the rotation panel 6 is located at a closed position (solid line in Fig. 3) for closing the opening 9 an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where the opening 9 is opened. The rotating panel 6 is provided with a device mounting plate 6a on which the device 7 to be maintenance is mounted and a mounting plate 6b which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5 And a pair of side plates (protruding portions) 6c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shaft 5. The connecting plate 6b has a connecting plate In this example,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the connection plate 6b, and the side plates 6c ar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single plate.

접속판(6b)은 기기장착판(6a)을 포함하는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기장착판(6a)의 단부로부터 돌출해 있다. 이 예에서는, 접속판(6b)이 기기장착판(6a)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어 있다.The connection plate 6b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ane including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In this example, the connection plate 6b is perpendicular to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기기장착판(6a)은,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에 있을 때, 회동축(5)보다도 케이스(4)의 내측에 배치된다. 회동패널(6)은 기기장착판(6a)과 회동축(5)과의 거리가 접속판(6b)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회동축(5)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될 때는, 케이스(4)에 대한 기기장착판(6a)의 간섭이 회피된다.The device mounting plate 6a is disposed inside the case 4 more than the pivotal shaft 5 when the pivotal panel 6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rotating panel 6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5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and the rotating shaft 5 is constantly maintained by the connecting plate 6b. Thus, when the rotating panel 6 is displac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e interference of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with the case 4 is avoided.

각 측판(6c)은,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에 있을 때, 케이스(4)의 배면을 향하여 기기장착판(6a)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각 측판(6c) 가운데, 어느 한쪽에는, 회동축(5)에 평행한 핀(10)이 고정되어 있다. 핀(10)은 회동패널(6)의 외측으로 측판(6c)으로부터 돌출해 있다.Each side plate 6c protrudes from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toward the back side of the case 4 when the turning panel 6 is in the closed position. A pin 10 parallel to the rotary shaft 5 is fixed to either one of the side plates 6c. The pin (10) protrudes from the side plate (6c)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panel (6).

보수대상기기(7)는 보수점검의 대상이 되는 기기이다. 즉, 보수대상기기(7)는 엘리베이터의 제품 수명보다도 수명의 짧은 기기로서, 보수점검시에 확인, 조작, 조정 또는 정비 등이 필요한 기기이다. 보수대상기기(7)로서는, 예를 들면 반도체를 탑재한 인버터(전자부품 탑재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케이스(4) 내에는 보수대상기기(7) 외에 복수의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s a device to be subjected to maintenance and inspection. That is,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is a device whose life is shorter than the lifetime of the elevator, and is a device that requires confirmation, operation, adjustment, or maintenance at the time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As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for example, an inverter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device) on which a semiconductor is mounted can be given. In the case 4, a plurality of devices other than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are accommodated.

보수대상기기(7)는 각 측판(6c)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기장착판(6a)에 장착되어 있다. 또, 보수대상기기(7)는 회동패널(6)과 일체로 변위된다. 보수대상기기(7)는 회동패널(6)의 회동축(5)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회동축(5)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통상위치(도 3의 실선)와, 회동축(5)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검위치와의 사이에서 케이스(4)에 대해서 변위된다. 즉, 보수대상기기(7)는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로 변위됨으로써 통상위치로 변위되고, 회동패널(6)이 개방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점검위치로 변위된다.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s mounted on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in a state where it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plates 6c. In additio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laced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panel 6. [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rotated in the normal position (solid line in Fig. 3) positioned above the rotary shaft 5 and in the normal position (solid line in Fig. And the check position located lower than the check position. That is,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laced to the normal position by displacing the rotation panel 6 to the closed position, and is displaced to the maintenance position by displacing the rotation panel 6 to the open position.

보수대상기기(7)는 통상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액세스 불가 영역에 배치되고, 점검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액세스 가능 영역에 배치된다. 또, 보수대상기기(7)는 통상위치에 있을 때에 케이스(4) 내에 수용되고, 점검위치에 있을 때에 케이스(4) 밖으로 노출된다. 보수대상기기(7)에 대한 보수점검작업은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수대상기기(7)에는 전원선이나 신호선 등의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 보수대상기기(7)에 접속된 배선은 보수대상기기(7)의 변위에 수반하여 굽힘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osed in the access-prohibited area by reaching the normal position, and is disposed in the accessible area by reaching the check positio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accommodated in the case 4 when it is in the normal posi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4 when it is in the check position.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for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becomes possible wh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connected to a wiring such as a power line or a signal line. The wiring connected to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is capable of bending along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

조작레버(8)는 핀(10)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장착부(8a)와, 레버장착부(8a)에 고정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조작봉(8b)을 가지고 있다.The operating lever 8 has a lever mounting portion 8a displaceably mounted on the pin 10 and an operating rod 8b fixed to the lever mounting portion 8a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레버장착부(8a)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봉(8b)에 따른 장공(長穴)(11)이 마련되어 있다. 장공(11)에는 핀(10)이 삽입되어 있다. 조작레버(8)는 장공(11)에 핀(10)이 삽입된 상태에서 핀(10)에 유지되어 있다. 핀(10)은 장공(11) 내를 장공(11)의 장경(長徑) 방향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8)는 핀(10)이 장공(11) 내에서 변위되는 범위 내에서 핀(10)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장착부(8a)에는 조작봉(8b)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조작봉(8b)의 하단부는 액세스 가능 영역에 도달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ever mounting portion 8a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hole 11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rod 8b. A pin 1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1. The operation lever 8 is held by the pin 10 in a state where the pin 10 is inserted into the slot 11. The pin 10 is displace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11 in the long hole 11. Therefore, the operating lever 8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pin 10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in 10 is displaced in the long hole 11.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8b is fixed to the lever mounting portion 8a.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rod 8b reaches the accessible area.

케이스(4)의 상단부에는 보수대상기기(7)를 통상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후크(12)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12)는 개구부(9)의 위쪽에서 케이스(4)의 정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판 모양의 수평 고정부(12a)와, 수평 고정부(12a)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판 모양의 맞물림부(12b)를 가지고 있다. 후크(12)는 회동패널(6) 및 보수대상기기(7)가 케이스(4)에 대해서 변위되는 범위를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case 4, there is provided a hook 12 for holding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at a normal position. The hook 12 has a plate-like horizontal fixing portion 12a projecting horizontally from the front face of the case 4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9 and a plate-like horizontal fixing portion 12a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12a. And has an engaging portion 12b. The hook 12 is disposed so as to avoid the range in which the rotation panel 6 and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are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ase 4. [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조작레버(8)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의 제어반(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조작레버(8)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제어반(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조작레버(8)는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에 있을 때(즉,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에 있을 때), 후크(12)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도 5)와, 후크(1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도 6)와의 사이에서 회동패널(6)에 대해서 변위된다. 해제위치는 맞물림 위치보다도 아래쪽의 위치로 되어 있다. 통상위치와 점검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조작레버(8)의 변위는 핀(10)에 대한 레버장착부(8a)의 변위에 의해 행해진다.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trol panel 1 when the operation lever 8 in Fig. 4 is in the engagement posi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1 when the operation lever 8 in Fig. 1). Fig. 5) that engages with the hook 12 when the rotation panel 6 is in the closed position (that is, wh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in the normal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Fig. 6) where the engagement with the hook 12 is released. And the release posit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engagement position. The displacement of the operation lever 8 between the normal position and the check position is performed by displacement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8a with respect to the pin 10. [

폐색위치에 있을 때의 회동패널(6)은 조작레버(8)가 맞물림 위치로 변위되어 조작레버(8)와 후크(12)가 맞물려짐으로써, 개방위치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즉, 보수대상기기(7)는 조작레버(8)가 후크(12)에 맞물려짐으로써, 통상위치로 유지된다. 또, 폐색위치에 있을 때의 회동패널(6)은 조작레버(8)가 해제위치로 변위되어 조작레버(8)와 후크(12)와의 맞물림이 풀려짐으로써, 개방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즉, 보수대상기기(7)는 조작레버(8)와 후크(12)와의 맞물림이 풀려짐으로써,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된다.When the operating lever 8 is displaced to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operating lever 8 and the hook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ivotal panel 6 in the closed position is prevented from rotating to the open position. That is,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held at the normal position by engaging the operation lever 8 with the hook 12. When the operating lever 8 is displaced to the releasing position and the operating lever 8 and the hook 12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the rotating panel 6 when in the closed position becomes rotatable to the open position. That is,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can be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12.

케이스(4)의 외측면에는 조작레버(8)를 맞물림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용 나사(유지장치)(13)가 마련된다. 유지용 나사(13)로서는, 예를 들면 손으로 잡으면서 돌릴 수 있는 나비 나사(thumb screw) 등이 이용되고 있다. 유지용 나사(13)가 마련되는 위치는 액세스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8)(조작봉(8b))의 하단부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용 나사(13)가 통과되는 나사통과구멍(14)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레버(8)는 나사통과구멍(14)에 통과된 유지용 나사(13)가 케이스(4)의 외측면에 마련된 나사구멍(도시생략)에 나합(螺合, 나사결합)됨으로써, 맞물림 위치로 유지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4, a holding screw (holding device) 13 for holding the operating lever 8 at the engaged position is provided. As the holding screw 13, for example, a thumb screw or the like which can be turned while being held by hand is used. The position where the holding screw 13 is provided is an accessible area. As shown in Fig. 6, a screw passage hole 14 through which the holding screw 13 passes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lever 8 (operating rod 8b). The operating lever 8 is provided with a holding screw 13 which is passed through the screw passing hole 14 is screwed and screwed into a screw hole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4, Lt; / RTI >

조작레버(8)는 유지용 나사(13)에 의한 유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인하력을 받음으로써, 해제위치로 변위됨과 아울러,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즉,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하는 방향)로 회동패널(6)을 회동시킨다.The operation lever 8 is displac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receiving the down force from the out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tenance by the maintenance screw 13 is relea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ry panel 6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다음으로, 제어반(1)에 탑재된 보수대상기기(7)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수점검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통상 운전시에는,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로 변위되어 있으며, 보수대상기기(7)가 케이스(4)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통상 운전시에는, 회동패널(6)이 개방위치로 변위되지 않도록, 조작레버(8)와 후크(12)가 서로 맞물려진 상태에서 조작레버(8)가 유지용 나사(13)에 의해 케이스(4)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에는, 보수대상기기(7)는 작업자가 닿지 않는 액세스 불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Next, the procedure for performing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1 will be described. During the normal operation in which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is not performed, the rotation panel 6 is displaced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is housed in the case 4. [ When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 panel 6 is not displaced to the open position during normal operation, the operation lever 8 is rotated by the retaining screw 13 And is held in the case 4. At this time,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osed in the inaccessible area not reachable by the operator.

보수대상기기(7)의 보수점검시에는, 우선 피트면(3)에 족장대(2)가 놓여진다. 이 후, 작업자가 족장대(2)를 올라타서 유지용 나사(13)를 케이스(4)로부터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8)가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변위되며, 조작레버(8)와 후크(12)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At the time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first the chief stand 2 is placed on the pit side 3. Thereafter, the worker lifts up the chief stand 2 and removes the holding screw 13 from the case 4. [ As a result, the operation lever 8 is displac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engagement between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12 is released.

이 후, 작업자가 조작레버(8)를 인하(引下)하면서, 회동축(5)을 중심으로 회동패널(6)을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보수대상기기(7)는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되어, 액세스 가능 영역에 도달한다.Thereafter, the operator rotates the rotating panel 6 about the rotating shaft 5 while pulling down the operating lever 8. As a result,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inspection position and reaches the accessible area.

이 후, 작업자가 보수대상기기(7)에 대해서 보수점검을 행한다. 이 후, 상기와 반대의 순서에 의해, 회동패널(6)을 폐색위치로 되돌리고, 유지용 나사(13)로 조작레버(8)를 케이스(4)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보수대상기기(7)의 보수점검작업이 종료한다.Thereafter, the operator carries out a maintenance check on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 Thereafter, the rotating panel 6 is returned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ration lever 8 is fixed to the case 4 by the retaining screw 13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Thereby, th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s complet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에서는, 케이스(4)에 마련된 회동축(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패널(6)에 보수대상기기(7)가 마련되고, 회동패널(6)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5)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통상위치와, 회동축(5)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검위치와의 사이에서 보수대상기기(7)가 변위되므로, 통상 운전시에는, 작업자가 닿지 않는 액세스 불가 영역에 보수대상기기(7)를 배치해 두고, 보수점검시에만, 작업자에 의한 보수점검이 가능한 액세스 가능 영역으로 보수대상기기(7)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반(1)의 설치 스페이스를 수평방향에 대해서 넓히지 않고 , 보수대상기기(7)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such a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provided on the rotation panel 6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5 provided in the case 4,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s displaced between the normal position located above the rotary shaft 5 and the check position located below the rotary shaft 5 so that the maintenance person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n the accessible area where maintenance by the operator can be performed only at the time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trol panel 1 is not wid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can be improved.

또, 회동패널(6)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조작레버(8)는,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에 있을 때, 후크(12)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후크(1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패널(6)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회동패널(6)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보수대상기기(7)를 통상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을 조작레버(8)로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으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The operation lever 8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rotation panel 6 is positioned at the engagement position where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engaged with the hook 12 and the engagement with the hook 12 The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panel 6 and the means for holding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n the normal position are provided on the operation lever (not shown) 8).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 회동패널(6)은 보수대상기기(7)가 장착되는 기기장착판(6a)을 가지고 있고, 기기장착판(6a)은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에 있을 때에 회동축(5)보다도 케이스(4)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기기장착판(6a)과 회동축(5)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회동패널(6)을 폐색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동패널(6)이 변위될 때의 케이스(4)에 대한 기기장착판(6a)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대상기기(7)의 보수점검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rotating panel 6 has a device mounting plate 6a on which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mounted and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ry shaft 5 The rotating panel 6 is displac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and the rotating shaft 5 is kept constant. . This makes it possible to avoid the interference of the device mounting plate 6a with the case 4 when the rotating panel 6 is displaced. Therefore, th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조작레버(8)를 맞물림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장치가 유지용 나사(13)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4)에 대해서 조작레버(8)의 조작봉(8b)을 누르는 판 스프링을 유지장치로서 케이스(4)에 마련하고, 케이스(4)와 판 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조작봉(8b)을 파지함으로써, 조작레버(8)를 맞물림 위치에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 조작봉(8b)에 마련된 절결부(切缺部)에 끼우는 유지장치로 하여 케이스(4)에 마련하여, 조작봉(8b)의 절결부를 돌기에 끼움으로써 조작레버(8)를 맞물림 위치에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holding device for holding the operating lever 8 at the engaged position is the holding screw 1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plate spring for pressing the operating rod 8b of the operating lever 8 with respect to the case 4 is provided in the case 4 as a holding device, and between the case 4 and the leaf spring, The operating lever 8 may be held at the engaging position by grasping the operating lever 8b.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holding member in the case 4 as a holding device that fits in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the operating rod 8b so that the notch of the operating rod 8b is fitted in the projection, Position.

실시형태 2.Embodiment 2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에서 조작레버(8)와 후크(21)가 맞물려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에서 조작레버(8)와 후크(2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더욱이 또한, 도 11은 도 9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에서 보수대상기기(7)가 점검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when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9 is a front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when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21 are disengaged from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7,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control panel 1). 11 is a front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s displaced to the inspection position in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9, Fig. 12 is a front view of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Side view of the main part.

도면에서, 케이스(4)의 정면에는, 후크(21)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21)는 액세스 불가 영역에서 개구부(9)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후크(21)는 케이스(4)의 정면으로부터 케이스(4) 밖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받이부(21a)와, 받이부(21a)의 선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맞물림부(21b)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4)와 맞물림부(21b)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figure, a hook 21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case 4. [ The hook 2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9 in the inaccessible area. The hook 21 has a receiving portion 21a projecting horizontally out of the case 4 from the front face of the case 4 and an engaging portion 21b project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21a . Therefore,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case 4 and the engaging portion 21b.

조작레버(8)의 레버장착부(8a)에는 후크(21)가 통과되는 후크통과구멍(22)이 마련되어 있다. 후크통과구멍(22)의 크기는 케이스(4)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후크통과구멍(22) 내에 맞물림부(21b)의 전체가 수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The lever mounting portion 8a of the operating lever 8 is provided with a hook passing hole 22 through which the hook 21 passes. The size of the hook passing hole 22 is such that when the case 4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whole of the engaging portion 21b is received in the hook passing hole 22. [

조작레버(8)는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에 있을 때(즉,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에 있을 때), 후크(21)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도 7 및 도 8)와, 후크(2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도 9 및 도 10)와의 사이에서 회동패널(6)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맞물림 위치는 해제위치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7 and 8) engaged with the hook 21 when the rotation panel 6 is in the closed position (i.e., wh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in the normal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Figs. 9 and 10) where the engagement with the hook 21 is released. The engagement position is located below the release position.

조작레버(8)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는, 케이스(4)를 정면에서 보면, 후크통과구멍(22) 내에 후크(21)의 전체가 수용되어 있다. 조작레버(8)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는, 케이스(4)를 정면에서 보면, 후크통과구멍(22)이 후크(21)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벗어나 있다.When the operation lever 8 is in the release position, the whole of the hook 21 is accommodated in the hook passing hole 22 when the case 4 is viewed from the front. When the operation lever 8 is in the engaging position, the hook passing hole 22 i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ok 21 when the case 4 is viewed from the front.

조작레버(8)가 후크(21)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에 유지되고,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에 유지된다. 조작레버(8)와 후크(21)와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8 is engaged with the hook 21, the rotation panel 6 is held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is held in the normal position. The engagement of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21 is released so that the rotation panel 6 can be displac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can be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

또한, 이 예에서는, 실시형태 1의 유지용 나사(13)는 마련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In this example, the holding screw 13 of the first embodiment is not provide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보수대상기기(7)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는, 조작레버(8)와 후크(21)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순서와, 조작레버(8)를 후크(21)에 맞물림 시키는 순서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The order of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21 and the order of engaging the operation lever 8 with the hook 21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조작레버(8)와 후크(21)와의 맞물림을 해제할 때는, 우선 조작봉(8b)을 위쪽으로 밀어 올려 조작레버(8)를 맞물림 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변위시킨다. 이 후, 조작레버(8)를 케이스(4)의 정면으로부터 앞으로 당기면서, 회동패널(6)을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부(21b)가 후크통과구멍(22)을 통과하며, 회동패널(6)이 개방위치로 변위된다.When the engagement of the operation lever 8 with the hook 21 is released, first the operation rod 8b is pushed upward and the operation lever 8 is displaced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Thereafter, while the operating lever 8 is pulled forward from the front face of the case 4, the rotating panel 6 is rotated. Thereby, the engaging portion 21b passes through the hook passing hole 22, and the turning panel 6 is displaced to the open position.

조작레버(8)를 후크(21)에 맞물리게 할 때에는, 우선 조작레버(8)를 해제위치로 변위시킨 상태에서, 회동패널(6)을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변위시킨다. 이 때, 맞물림부(21b)가 후크통과구멍(22)을 통과한다.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에 도달한 후, 조작봉(8b)을 인하하여, 조작레버(8)를 해제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8)가 후크(21)에 걸린 상태에서, 조작레버(8)와 후크(21)가 서로 맞물린다.When the operation lever 8 is engaged with the hook 21, the rotation panel 6 is first displac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while the operation lever 8 is displaced to the release position. 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21b passes through the hook passing hole 22. After the turning panel 6 reaches the closing position, the operating rod 8b is lowered to displace the operating lever 8 from the releasing position to the engaging position. Thus,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8 is hooked on the hook 21,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에서도, 조작레버(8)가 후크(21)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후크(2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패널(6)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회동패널(6)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보수대상기기(7)를 통상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을 조작레버(8)로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으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Even in such a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the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lever 8 relative to the rotation panel 6 between the engagement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lever 8 is engaged with the hook 21 and the release position where the engagement with the hook 21 is released, The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panel 6 and the means for holding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n the normal position can also be used as the operation lever 8. [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 맞물림부(21b)를 가지는 후크(21)가 케이스(4)에 마련되고, 후크(21)가 통과되는 후크통과구멍(22)이 조작레버(8)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조작레버(8)를 후크(21)에 거는 것에 의해 조작레버(8)를 맞물림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8)를 맞물림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전용의 유지장치를 케이스(4)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점수를 더욱 줄일 수 있으며, 코스트의 저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hook 21 having the engaging portion 21b is provided in the case 4 and the hook passage hole 22 through which the hook 21 passes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lever 8, The operating lever 8 can be held at the engaged position by hooking the hook 21 on the hook 21. Thereb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dedicated holding device for holding the operating lever 8 at the engaging position in the case 4,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cost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형태 3.Embodiment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14는 도 13의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또한, 또 15는 도 14의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위될 때까지의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더욱이 또한, 도 16은 도 14의 회동패널(6)이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1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1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1 of the elevator of Fig. 15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rning panel 6 shown in Fig. 14 is in a middle posi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16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anel 6 in Fig. 14 is in the open position.

도면에서, 보수대상기기(7)는 회동축(5)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회동패널(6)에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4) 내에는 보수대상기기(7)와 다른 보수 비대상기기(31)가 수용되어 있다. 보수 비대상기기(31)는 케이스(4)에 장착되어 있다. 또, 보수 비대상기기(31)는 액세스 불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수 비대상기기(31)의 일부는 통상위치에 있을 때의 보수대상기기(7)와 회동축(5)과의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수 비대상기기(31)는 보수대상기기(7)의 통상위치의 높이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mounted on the rotation panel 6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tation shaft 5. [ In the case 4,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and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31 other than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are accommodated. The maintenance-ratio target device 31 is mounted on the case 4. [ In addition, the maintenance-ratio subject device 31 is disposed in the inaccessible area. A part of the maintenance-subject device 31 is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and the rotary shaft 5 when the maintenance-subject device 31 is in the normal position. Therefore, the maintenance-ratio target device 31 is disposed below the height of the normal position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

보수 비대상기기(31)는 보수점검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 있는 기기이다. 즉, 보수 비대상기기(31)는 엘리베이터의 제품 수명보다도 수명이 긴 기기이며, 교환 작업이나 배선의 장착 부분의 재체결(retightening)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기이다. 보수 비대상기기(31)로서는, 예를 들면 트랜스포머(transformer)나 리액터(reactor), 저항 등을 들 수 있다.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31) is a device that is excluded from the object of maintenance and inspection. That is, the maintenance-target device 31 is a device that has a longer life than the lifetime of the elevator, and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work or retight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iring. The maintenance-subject device 31 may be, for example, a transformer, a reactor, or a resistor.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또, 보수대상기기(7)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때의 순서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lso, the sequence of the maintenance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에서는,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에 있을 때에 보수대상기기(7)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보수 비대상기기(31)가 케이스(4)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수점검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보수대상기기(7)뿐만이 아니라, 보수점검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 있는 보수 비대상기기(31)도, 액세스 불가 영역에 배치할 수 있어, 액세스 불가 영역을 더욱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the control panel 1 of such an elevator, since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31 disposed below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provided in the case 4 wh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in the normal position, Not only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to be inspected but also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31 which is excluded from the maintenance target can be disposed in the access disable area so that the inaccessible area can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hav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통상위치에 있을 때의 보수대상기기(7)와 회동축(5)과의 사이의 높이에 보수 비대상기기(31)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지만, 통상위치에 있을 때의 보수대상기기(7)와 회동축(5)과의 사이의 높이에 보수 비대상기기(31)의 전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a part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31 is disposed at the height between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and the rotary shaft 5 when the normal maintenance target device 7 is in the normal position. However, The entirety of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31 may be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and the rotary shaft 5. [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보수대상기기(7)의 통상위치의 높이보다도 아래쪽에 보수 비대상기기(31)가 배치되어 있지만, 보수대상기기(7)의 통상위치의 높이보다도 위쪽에 보수 비대상기기(31)을 배치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31 is disposed below the normal position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but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31 is disposed above the normal position of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7, The device 31 may be disposed.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보수대상기기(7)를 통상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실시형태 1의 조작레버(8) 및 후크(12)가 이용되고 있지만, 실시형태 2의 조작레버(8) 및 후크(21)를, 보수대상기기(7)를 통상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 12 of the first embodiment are used as means for holding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n the normal position. However, And the hook 21 may be used as means for holding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n the normal position.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레버(8)가 맞물림 위치로 변위되어 조작레버(8)와 후크(12, 21)가 맞물려짐으로써,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지만, 보수대상기기(7)를 통상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면, 후크(12, 21)는 없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패널(6)을 가압하는 가압체(예를 들면, 비틂 스프링 등)를 회동축(5)에 마련함으로써, 보수대상기기(7)를 통상위치에 유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레버(8)는 회동패널(6)에 대해서 맞물림 위치와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될 필요는 없고, 조작레버(8)가 핀(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로부터 점검위치로 변위될 때에는, 가압체의 가압력에 거슬러 회동패널(6)이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위된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operation lever 8 is displaced to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operation lever 8 and the hooks 12 and 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intenance object device 7 is held at the normal position , The hooks 12 and 21 may be omitted if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can be held at the normal position.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rotary shaft 5 with a pressing member (for example, a bevel spring or the like) for pressing the rotary panel 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laced to the normal position, (7) may be held at the normal position. In this case, the operating lever 8 does not need to be displaced between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releas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panel 6, but only if the operating lever 8 is rotatable about the pin 10 . Wh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the turning panel 6 is displac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body.

또, 보수대상기기(7)가 통상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패널(6)을 가압하는 가압체를 회동축(5)에 마련했을 경우, 회동패널(6)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조작부재를 조작레버(8)가 아니라, 예를 들면 로프, 벨트 또는 체인 등, 굽힘 가능한 연속체로 하여도 된다.When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rotating panel 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7 is displaced to the normal position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5, the operat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ng panel 6 It may be a bendable continuous body such as a rope, a belt, or a chain instead of the operation lever 8. [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동축(5)이 마련된 지지체가 케이스(4)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지체를 직사각형 모양의 프레임으로 해도 된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support body provided with the rotary shaft 5 is the case 4. However, the support body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the support body may be a rectangular frame.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동축(5)이 작업 한계 레벨(A)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작업 한계 레벨(A)과 동일한 높이 또는 작업 한계 레벨(A)보다도 아래쪽에 회동축(5)을 배치해도 된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lthough the turning shaft 5 is disposed above the working limit level A, the turning shaft 5 (see FIG. 5)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working limit level A or below the working limit level A. However, ) May be disposed.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동패널(6)의 각 측판(6c) 가운데, 한쪽에만 핀(10)을 통하여 조작레버(8)가 장착되어 있지만, 각 측판(6c)의 양쪽에 핀(10)을 통하여 조작레버(8)를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조작레버(8)는 회동패널(6)에 대해서 별개 독립적으로 변위되도록 해도 되고, 각 조작레버(8)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각 조작레버(8)의 상단부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회동패널(6)에 대해서 일체가 되어 변위되도록 해도 된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operation lever 8 is mounted on only one side of each side plate 6c of the rotating panel 6 through the pin 10. However, the pins 10 The operation lever 8 may be mounted. In this case, each of the operation levers 8 may be displaced independently of the pivotal panel 6,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espective operation levers 8 may be fix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operation levers 8, It may be integral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panel 6. [

4 케이스(지지체), 5 회동축,
6 회동패널(회동부재), 6a 기기장착판(기기장착부),
7 보수대상기기, 8 조작레버(조작부재),
9 개구부, 12 후크,
31 보수 비대상기기.
4 cases (supporting body), 5 times coaxial,
6 rotating panel (rotating member), 6a device mounting plate (device mounting portion),
7 Maintenance target device, 8 Operating lever (operating member),
9 opening, 12 hook,
31 Equipment subject to maintenance fee.

Claims (5)

승강로 내에 배치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축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통상위치와, 상기 회동축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검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체에 대해서 변위되는 보수대상기기, 및
상기 회동부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인하력(引下力)을 받음으로써, 상기 보수대상기기가 상기 통상위치로부터 상기 점검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A support disposed in the hoistway,
A pivoting member rotatable about a pivot shaft provided on the support,
Wherein the maintenance object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between a normal position located above the rotary shaft and a check position located below the rotary shaft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 And
And an operating member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pivoting member and receives a downward force from the outside to rotate the pivot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check position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보수대상기기를 상기 통상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보수대상기기가 상기 통상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크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상기 후크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회동부재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보수대상기기는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후크에 맞물려짐으로써, 상기 통상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ody is provided with a hook for holding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n the normal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pivoting member between an engagement position where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s in the normal position and an engagement position where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s engaged with the hook and a release position where the engagement with the hook is released ,
And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s held in the normal position by engaging the operating member with the hoo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굽힘 가능한 연속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a bendable continuous body.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대상기기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회동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보수대상기기가 상기 통상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보수대상기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보수 비대상기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is mounted on the pivoting member away from the pivot shaft,
Wherein the maintenance object is provided with a maintenance-ratio target device disposed under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when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s at the normal position.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개구부가 마련된 케이스이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보수대상기기가 장착되는 기기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기기장착부는 상기 보수대상기기가 상기 통상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축보다도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upport is a case provided with an opening,
Wherein the rotation axis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opening,
Wherein the pivoting member has a devic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maintenance subject device is mounted,
Wherein the device mounting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case more than the pivotal shaft when the maintenance target device is at the normal position.
KR1020137012699A 2010-10-20 2010-10-20 Elevator control panel KR1014209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8487 WO2012053074A1 (en) 2010-10-20 2010-10-20 Elevator control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160A KR20130114160A (en) 2013-10-16
KR101420990B1 true KR101420990B1 (en) 2014-07-17

Family

ID=4597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699A KR101420990B1 (en) 2010-10-20 2010-10-20 Elevator control pane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23576B2 (en)
KR (1) KR101420990B1 (en)
CN (1) CN103167998B (en)
WO (1) WO201205307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0896B2 (en) 2000-04-12 2013-11-26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handling devices and systems
US8616552B2 (en) 2001-09-28 2013-12-31 Shfl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automatic card handling de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same
US8011661B2 (en) 2001-09-28 2011-09-06 Shuffle Master, Inc. Shuffler with shuffling completion indicator
US7677565B2 (en) 2001-09-28 2010-03-16 Shuffle Master, Inc Card shuffler with card rank and value reading capability
US7764836B2 (en) 2005-06-13 2010-07-27 Shuffle Master, Inc. Card shuffler with card rank and value reading capability using CMOS sensor
US8579289B2 (en) 2006-05-31 2013-11-12 Shfl Entertainment, Inc. Automatic system and methods for accurate card handling
US8353513B2 (en) 2006-05-31 2013-01-15 Shfl Entertainment, Inc. Card weight for gravity feed input for playing card shuffler
US8342525B2 (en) 2006-07-05 2013-01-01 Shfl Entertainment, Inc. Card shuffler with adjacent card infeed and card output compartments
US8070574B2 (en) 2007-06-06 2011-12-06 Shuffle Master, Inc.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asino card handling with multiple hand recall feature
US8919775B2 (en) 2006-11-10 2014-12-30 Bally Gaming, Inc. System for billing usage of an automatic card handling device
US8800993B2 (en) 2010-10-14 2014-08-12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 handling systems, devices for use in card handl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485527B2 (en) 2011-07-29 2013-07-16 Savant Shuffler LLC Card shuffler
US8960674B2 (en) 2012-07-27 2015-02-24 Bally Gaming, Inc. Batch card shuffling apparatuses including multi-card storage compartments, and related methods
US9566501B2 (en) 2014-08-01 2017-02-14 Bally Gaming, Inc. Hand-forming card shuffling apparatuses including multi-card storage compartments, and related methods
US9504905B2 (en) 2014-09-19 2016-11-29 Bally Gaming, Inc. Card shuffling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WO2016098189A1 (en) * 2014-12-17 2016-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US9993719B2 (en) 2015-12-04 2018-06-12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 handl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0933300B2 (en) 2016-09-26 2021-03-02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 handl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0339765B2 (en) 2016-09-26 2019-07-02 Shuffle Master Gmbh & Co Kg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real-time monitoring and display of related data for casino gaming devices
EP3564174B1 (en) 2018-05-03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Openable elevator car wall panels
US11376489B2 (en) 2018-09-14 2022-07-05 Sg Gaming, Inc. Card-handl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1896891B2 (en) 2018-09-14 2024-02-13 Sg Gaming, Inc. Card-handl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1338194B2 (en) 2018-09-28 2022-05-24 Sg Gaming, Inc. Automatic card shufflers and related methods of automatic jam recovery
US11898837B2 (en) 2019-09-10 2024-02-13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handling devices with defect detection and related methods
US11173383B2 (en) 2019-10-07 2021-11-16 Sg Gaming, Inc. Card-handl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ssemblies, and components
KR102312838B1 (en) 2020-11-03 2021-10-15 김석현 Untact elevato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247A (en) 2000-03-24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KR20070084378A (en) * 2005-04-13 2007-08-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board for elevator
KR20080063393A (en) * 2008-05-07 2008-07-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ar rescue device
JP2010180019A (en) 2009-02-05 2010-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Operation equipment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150Y2 (en) * 1990-02-02 1997-02-19 日本電気株式会社 Cover opening and closing link mechanism
CN2211993Y (en) * 1994-06-21 1995-11-08 尹文三 Complex control board for small winch
CN2880778Y (en) * 2006-01-26 2007-03-21 川方企业股份有限公司 Dynamic winche with portable and separating handle and controlling case
CN101588980B (en) * 2007-02-27 2012-03-07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panel
CN201372172Y (en) * 2008-11-15 2009-12-30 王来朋 Frequency-change variable-speed win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247A (en) 2000-03-24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KR20070084378A (en) * 2005-04-13 2007-08-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board for elevator
KR20080063393A (en) * 2008-05-07 2008-07-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ar rescue device
JP2010180019A (en) 2009-02-05 2010-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Operation equipment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7998B (en) 2015-06-10
JP5523576B2 (en) 2014-06-18
JPWO2012053074A1 (en) 2014-02-24
CN103167998A (en) 2013-06-19
WO2012053074A1 (en) 2012-04-26
KR20130114160A (en)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990B1 (en) Elevator control panel
JP2009184792A (en) Elevator control panel
JP2013095571A (en) Elevator device
US20180251340A1 (en) Accessible elevator buffer
KR20110118625A (en) Article receiving facility
JP2013018618A (en) Working platform device for inspection of equipment in hoistway
JP2010149967A (en) Elevator device
JP2007031109A (en) Elevator device
JP2013018649A (en) Elevator apparatus
JP2009208917A (en) Safety fence on elevator car
JP2019203249A (en) Mobile scaffold equipment
JP2007182281A (en) Control panel inspection table device for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2007261692A (en) Lifting device for control panel of passenger conveyor
CN102736053B (en) Lifting device for electric energy meter calibration device
JP5570612B2 (en) elevator
JP5421232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995901B1 (en) Apparatus for carrying and installing hi-fix board
CN111655603B (en) Elevator work table and elevator
WO2003104130A1 (en) Elevator
JP7099423B2 (en) Ladder device
JP2008297056A (en) Floor plate of passenger conveyer
JP2005008335A (en) Elevator apparatus
JP2016098106A (en) Car fixation device for elevator
JP4249006B2 (en) Mobile work floor for elevator guide rail mounting
JP2005187087A (en) Working bench mounting structure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