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318B1 -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318B1
KR101417318B1 KR1020120089920A KR20120089920A KR101417318B1 KR 101417318 B1 KR101417318 B1 KR 101417318B1 KR 1020120089920 A KR1020120089920 A KR 1020120089920A KR 20120089920 A KR20120089920 A KR 20120089920A KR 101417318 B1 KR101417318 B1 KR 101417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input
area
scree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679A (ko
Inventor
신향임
박예슬
정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8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318B1/ko
Priority to US13/919,234 priority patent/US20140053097A1/en
Priority to EP13173483.2A priority patent/EP2698708A1/en
Priority to CN201310306846.3A priority patent/CN103593108A/zh
Publication of KR2014002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내의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having multi-tasking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멀티태스킹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단말기는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모듈만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였으나, 근래의 이동 단말기는 들어 하나의 화면에서 두 개 이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표시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 등을 탑재하고 있다.
멀티태스킹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화면에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핀치 인(pinch in)과 같은 특정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경우, 화면이 반으로 분할되어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화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특정 기능, 예를 들어, SMS, 메모, SNS, DMB, 갤러리, 동영상 재생과 같은 기능들이 실행되는 경우에만 멀티태스킹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가 점점 고성능 CPU와 대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들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멀티태스킹 작업을 할 때,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효율적인 형태로 구성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한 실정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태스킹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제한이 없으며, 효율적인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내의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활성화 영역과 비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영역을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화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활성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 1 태스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라 정의할 때,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 2 태스크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상기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과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소정의 색상의 테두리로 둘러싸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화면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홈 화면 바로가기 아이콘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집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조회할 수 있는 즐겨찾기 아이콘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감지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입력경로와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경로가 상기 입력경로와 매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경로가 상기 입력경로와 매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으로 판단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경로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의 중앙 영역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경로이거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의 일 측단에서 화면의 중앙 영역을 향하는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면의 중앙 영역은 상기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화면 폭의 30%~50%를 차지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종료하거나 시작하는 위치에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거나 상기 화면의 정중앙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상기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포그라운드에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포그라운드에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멀티태스킹바 내의 상기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상기 포그라운드로 드래그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포그라운드에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포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며, 상기 포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제 2 태스크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포그라운드의 활성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제 1 태스크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즐겨찾기 등록 아이콘을 터치하여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즐겨찾기 메뉴에 등록하거나 상기 멀티태스킹바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즐겨찾기 아이콘으로 드래그하여 즐겨찾기 메뉴에 등록하는 즐겨찾기 등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즐겨찾기 아이콘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즐겨찾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즐겨찾기 아이콘을 다시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즐겨찾기 메뉴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활성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비활성화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비활성화 영역인 경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홀딩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은 최종 화면이 캡쳐된 채로 표시되거나 업데이트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상기 비활성화 영역을 터치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거나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거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태스킹바의 양 측의 임의의 두 개 포인트를 상기 멀티태스킹바의 중심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는 단계; 및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는 사용자 입력과 반대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포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체 화면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멀티태스킹 바의 일 영역을 일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터치하는 형태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상기 화면의 중앙 영역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면 분할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표시된 아이콘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계속적으로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상기 멀티태스킹바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의해 분할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터치 인식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화면을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의해 분할되도록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2 영역을 분할하여 멀티태스킹하며,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제한이 없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바를 통해 사용자가 보기 쉽게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고,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율적이고 편리한 멀티태스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멀티태스킹바 표시 및 화면 분할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순서도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순서도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에 실행시키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즐겨찾기 아이콘과 관련된 단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바를 감추거나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면 분할 비율 조절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입력감지부, 저장부, 제어부, 표시부를 포함한다.
입력감지부(110)는 멀티태스킹 및 그 밖의 명령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터치 입력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입력감지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터치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초음파 인식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입력감지부(110)는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송신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감지부(110)는 키패드 등의 수단을 통해서도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유용한 그 밖의 방법 및 수단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입력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과 사용자 입력과 비교되는 데이터 및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를 제공하며, 특정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고 한다.)을 실행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이 감지된 경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 및 판단들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명령된 기능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멀티태스킹바 및 앱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팝업창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멀티태스킹바가 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용어에 대한 정의부터 설명한다. ‘포그라운드(foreground)’란 이동 단말기의 화면(141)에 표시되는 실행영역을 의미하며‘백그라운드(background)’란 이동 단말기의 화면(141)에 표시되지 않는 실행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활성화’란 사용자 입력이 직접적으로 가능한 앱 실행 상태를 의미하며 ‘비활성화’란 사용자 입력이 직접적으로 불가능한 앱 실행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앱 A와 B는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앱 B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앱 B는 비활성화된 상태를 활성화된 상태로 바꾸고 나서야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므로 비활성화된 앱 B에는 직접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141) 전체에 표시되며, 적어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영역(142)과 비활성화 영역(143)으로 분할 될 수 있으며, 분할의 기준은 멀티태스킹바(150)가 된다.
멀티태스킹바(150)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141)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멀티태스킹바(150)는 화면(141)의 장변(a long side)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멀티태스킹 바의 위치, 모양 등은 다양한 실시예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태스킹 바는 화면의 장변에 대해 수평하거나 대각의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막대 모양이 아닌 타원 모양 또는 다양한 다각형 모양이 될 수도 있다.
멀티태스킹바(150)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의 아이콘, 홈 화면 바로가기 아이콘(153), 즐겨찾기 아이콘(15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일 방향을 향해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멀티태스킹바(150)는 이와 같은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행되고 있는 앱이 무엇인지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무수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멀티태스킹바(150)는 상기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의 아이콘을 제 1 태스크영역(151)에 표시하며,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의 아이콘을 제 2 태스크영역(152)에 표시한다. 제 1 및 제 2 태스크영역(151, 152)은 일 방향을 향해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태스크영역(151)이 제 2 태스크영역(152)보다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태스크영역(151)은 활성화된 앱의 아이콘과 비활성화된 앱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때, 활성화된 앱의 아이콘이 비활성화된 앱의 아이콘보다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 앱과 비활성화된 앱의 아이콘은 명도, 채도, 선명도 등에 차이가 나도록 표시되어 사용자가 활성화와 비활성화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아이콘은 대응되는 앱이 실행된 영역과 연결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 2 태스크영역(152)에 표시된 아이콘의 앱은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구분없이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가장 근래에 실행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 2 태스크영역(152)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9개 ~ 10개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화 영역(142)은 소정의 색상을 가진 테두리(141a)에 의해 둘러 싸여질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앱의 아이콘도 테두리(141a)에 의해 둘러 싸여질 수 있다. 테두리(141a)는 활성화 영역(142)이 어느 위치인지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서의 작업을 하지 않은 후, 얼마간의 시간 뒤에 다시 이동 단말기의 화면(141)을 보더라도 앱 A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테두리(141a)외에 활성화 영역(142)과 비활성화 영역(143) 간의 명도, 채도, 선명도와 같은 색상에 차이를 두어 사용자에게 각 영역의 구분이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멀티태스킹바 표시 및 화면 분할 단계를 도 3 내지 도 5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입력이 이동 단말기의 화면(141) 상에 입력되는지 감지한다(S101).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가 터치 입력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가 화면(141)에 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화면(141)의 일 단에 사용자의 신체가 최초로 접촉하게 되면, 화면(141)의 일 단에 인디케이터(indicator)(145)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45)는 도면에 표시된 모양 및 형태에 한하지 않으며, 곡선 형태나 다각형 형태 또는 그 밖의 다양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사용자의 두 손가락(160)이 화면(141) 상단에 접촉하는 경우 소정의 다각형 형태의 인디케이터(145)가 표시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두 손가락(160) 사이에 멀티태스킹바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두 손가락(160)은 멀티태스킹바의 표시 위치를 지정해주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5a와 같이, 사용자의 두 손가락(160)이 화면(141)의 좌단에 접촉할 때 사용자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도 5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초기 입력이 화면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입력으로 인지된다면,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초기 입력이 시작되는 위치와 초기 입력의 패턴을 저장하고 있어, 사용자 입력이 저장된 위치와 패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면,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초기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단의 중앙 영역(위치)에서 하단을 향해 소정의 속도로 이동(패턴)하는 초기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입력이 아닌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초기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일 영역(위치)을 일정한 시간동안 터치(패턴)하는 입력을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초기 입력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 밖에 다른 다양한 예들을 통해 초기 입력 형태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 입력의 경로가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 경로와 매칭하는지 판단한다(S102). 이동 단말기의 저장부에는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 경로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 경로가 저장된 입력 경로와 매칭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입력 경로는 화면(141)의 중앙 영역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경로는 도 4b와 같이 화면(141) 상단에 터치된 두 손가락(160)이 화면(141) 하단으로 드래그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경로는 불연속적이어서는 안되며, 화면(141)의 하단 끝까지 도달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입력 경로의 위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으며, 화면(141) 하단의 일정 영역까지 도달하는 경로가 입력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드래그하는 속도가 일정한 수준 이상일 때, 바람직한 입력 경로로 인식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 입력의 속도를 입력 경로의 일부 패턴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145)가 사용자 입력의 방향으로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145)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145)와 연결된 삼각형 형태의 인터페이스(146)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삼각형 형태의 인터페이스(146)는 사용자의 두 손가락(160)에 의해 책의 페이지가 찢어지는 듯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145)가 지퍼와 같은 모양으로 표시될 경우에는 지퍼가 열리는 듯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경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141)의 일 측단에서 화면(141)이 중앙 영역(141b)을 향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경로는 도 5a와 같이 화면(141)의 좌단에 터치된 두 손가락(160)이 화면(141)의 중앙 영역(141b)을 향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b를 참조하면, 화면(141)은 좌 영역(141a), 중앙 영역(141b), 우 영역(141c)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좌 영역(141a)과 우 영역(141c)은 화면(141) 폭의 20%~40%가 될 수 있으며, 중앙 영역(141b)은 화면(141) 폭의 30%~50%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좌 영역(141a)과 우 영역(141c)은 30%, 중앙 영역(141b)은 40%가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경로가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경로와 매칭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멀티태스킹바가 표시되지 않으며 화면(141)에는 아무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S103).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화면(141)의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단의 끝까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멀티태스킹바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이 화면(141)의 일 단에서 시작하여 좌 영역(141a)이나 우 영역(141c)에서 끝나는 경우 멀티태스킹바가 표시되지 않는다.
반면, 사용자의 입력 경로가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경로와 매칭한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입력이 시작되거나 종료된 위치에 멀티태스킹바(150)를 표시한다(S104). 예를 들어, 도 4c에서 사용자 입력의 시작점(또는 종료점), 즉, 두 손가락(160)의 드래그가 시작하는 지점(또는 종료하는 지점)의 x축 좌표가 멀티태스킹바(150)가 표시될 x축 좌표가 되며, 멀티태스킹바(150)는 y축 방향으로 표시된다. 반면, 도 5a의 경우는, 사용자 입력의 종료점이 화면(141)의 중앙 영역(141b)에 있기만 한다면, 종료점의 x축 좌표가 멀티태스킹바(150)가 표시될 위치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예들에 한하지 않으며, 도 4c의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드래그하는 방향에 따라 위치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c의 실시예에서 멀티태스킹바(150)는 화면의 중앙 영역(141b)에 사용자 입력의 종료점이 감지되기만 한다면, 항상 화면(141)의 정중앙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150)에 의해 화면(141)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표시된다(S105).
그리고 화면(141)이 분할되기 바로 전에 화면에 표시되었던 앱을 활성화 영역(142)에 표시한다(S106).
이어서, 비활성화 영역(143)에 표시할 앱을 선택하기 위해, 먼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었던 앱이 적어도 하나 있는지 판단한다(S107). 만약 적어도 하나의 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장 최근에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백그라운드 앱을 비활성화 영역(143)에 표시한다(S108). 반면, 앱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홈 화면(141)을 비활성화 영역(143)에 표시한다(S109). 한편, S107단계는 화면 분할이 실행되었을 때 비활성화 영역(143)에 항상 홈 화면(141)이 표시되도록 설정되거나, 활성화 영역(142)에 표시되고 있는 앱을 비활성화 영역(143)에 동일하게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 후, 활성화 영역(142)에 표시된 앱의 아이콘과 비활성화 영역(143)에 표시된 앱의 아이콘을 제 1 태스크영역(151)에 표시하며, 포그라운드에 표시되지 않은 백그라운드의 앱들의 아이콘들을 제 2 태스크영역(152)에 표시한다(S110).
예를 들어, 도 4c와 같이, 최초 화면(141) 상에 표시되었던 앱 A를 활성화 영역에 표시하고, 백그라운드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앱 B를 비활성화 영역(143)에 표시한다. 그리고 앱 A와 B의 아이콘은 제 1 태스크영역에 표시하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 C, D 및 E의 아이콘은 제 2 태스크영역에 표시한다. 그러나, 화면 분할이 실행되었을 때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었던 앱이 하나도 없는 경우, 도 4d와 같이 비활성화 영역(143)에 홈 화면이 표시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서 백그라운드의 앱을 포그라운드에 활성화하는 단계를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백그라운드 앱을 포그라운드에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S201).
상기 사용자 입력은 도 7a와 같이 멀티태스킹바(150)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도 7b와 같이 멀티태스킹바(150)에 표시된 아이콘을 원하는 포그라운드(활성화 영역(142)이나 비활성화 영역(143))로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화면(141)은 변화하지 않는다(S202).
이어서, 해당하는 포그라운드의 앱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S203), 상기 해당 앱의 아이콘을 제 2 태스크영역(152)에 표시한다(S204). 예를 들어, 도 7a와 도 7c를 참조하면, 백그라운드 앱 E의 아이콘이 터치된 경우, 활성화 영역(142)에 표시되던 앱 A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 그와 동시에, 제 1 태스크영역(151)에 표시되던 애플리케이션 A의 아이콘은 제 2 태스크영역(152)에 표시된다.
그 후, 선택된 백그라운드의 앱을 포그라운드에 실행하고(S205), 선택된 앱의 아이콘을 제 1 태스크영역(151)에 표시한다(S206). 예를 들어, 도 7a와 도 7c에서, 앱 E가 활성화 영역(142)에 표시되고 앱 E의 아이콘이 제 1 태스크영역(151)에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 입력이 상기 드래그 앤 드랍 형태인 경우, 백그라운드 앱의 아이콘이 비활성화 영역(143)으로 드래그 될 때, 비활성화 영역(143)에 표시되던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서 즐겨찾기 아이콘과 관련된 단계를 도 8a 내지 도 8c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즐겨찾기 메뉴(154a)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즐겨찾기 아이콘(154)은 사용자가 원하는 앱을 모아둔 즐겨찾기 메뉴(154a)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즐겨찾기 메뉴(154a) 활성화 역시 소정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즐겨찾기 아이콘(154)을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활성화된 즐겨찾기 메뉴(154a)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즐겨찾기 메뉴(154a)는 도 8a와 같이 아이콘들을 일 방향에 대해 직렬적으로 배열하는 모양이 될 수 있으며, 이때, 멀티태스킹바(15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비활성화 영역(143)과 활성화 영역(142)과 거의 오버랩되지 않는 모양이 될 수 있다. 또한, 즐겨찾기 메뉴(154a)는 도 8b와 같이 아이콘들을 일 방향에 대해 바둑판 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모양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양은 도 8a의 모양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즐겨찾기 메뉴(154a)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는 즐겨찾기 메뉴(154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즐겨찾기 아이콘(154)을 한번 더 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앱을 즐겨찾기 메뉴(154a)에 등록하는 단계는 도 8c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활성화 영역(142)에 표시된 즐겨찾기 등록 아이콘(154b)을 터치함으로써 활성화된 앱을 즐겨찾기 메뉴(154a)로 등록할 수 있으며, 멀티태스킹바(150)에서 선택된 아이콘을 즐겨찾기 아이콘(154)으로 드래그 앤 드랍함으로써 드래그된 아이콘의 앱을 즐겨찾기 메뉴(154a)로 등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서 비활성화 영역의 앱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도 9 및 도 10a 및 도 10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비활성화 영역(143)의 앱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S301). 상기 사용자 입력은 도 10a와 같이 멀티태스킹바(150)의 아이콘을 터치하는 형태(①)나 화면(141)의 일 영역을 터치하는 형태 (②)가 될 수 있다.
이어서, 터치된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비활성화 영역(143)인지 판단한다(S302). 만약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활성화 영역(142)이라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앱 명령을 실행한다(S203).
반면, 도 10a와 같이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비활성화 영역(143)이거나, 비활성화된 앱 B의 아이콘 인 경우, 활성화 영역(142)을 홀딩함과 동시에 활성화되던 앱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킨다(S304). 그리고 비활성화 영역(143)을 활성화한다(S305).
이때, 홀딩된 활성화 영역(142)은 활성화되던 앱의 마지막 실행장면을 표시하는 상태이거나, 조도가 활성화되던 때보다 어둡게 표시되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갱신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서 앱 A가 표시되는 영역이 홀딩된 활성화 영역(142)이다. 따라서, 앱 B가 활성화되는 한, 앱 A의 마지막 실행장면이 캡쳐되어 지속적으로 캡쳐된 장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비활성화 영역(143)이 활성화 영역(142)보다 조도가 낮게 표시되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앱 A의 갱신 정보가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서 멀티태스킹바(150)를 숨기고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도 11a 내지 도 11c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멀티태스킹바(150)를 숨기는 단계는 도 11a와 같이 멀티태스킹바(150)의 양 측면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실행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160)으로 멀티태스킹바(150) 양 측의 임의의 포인트를 집고 오므리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도 11b와 같이 멀티태스킹바(150)가 숨겨지며, 활성화 영역(142)과 비활성화 영역(143)은 멀티태스킹바(150)보다 얇은 선(150a)으로 분할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앱 표시 영역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멀티태스킹바(150)의 표시가 요구될 때에는, 도 11c와 같이 사용자가 도 11a의 입력 방향과 반대방향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숨겨진 멀티태스킹바(150)가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서 선택된 영역을 전체 화면(141)에 활성화하는 단계를 도 12a 내지 도 12e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체 화면(141)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 1 태스크영역에서 선택된 하나의 아이콘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전체 화면(141)에 표시될 앱이 결정된다. 그리고 드랍된 아이콘이 화면(141)의 중앙 영역을 넘어 좌 영역이나 우 영역에 위치할 때, 전체 화면(141) 모드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도 12a와 같이, 앱 A의 아이콘을 우측으로 드래그 앤 드랍할 경우, 도 12e와 같이 앱 A가 전체 화면(141)에 표시된다. 또한 도 12b와 같이, 앱 B의 아이콘을 우측으로 드래그 앤 드랍할 경우, 도 12e와 같이 앱 A가 전체 화면(141)에 표시된다. 즉, 상기 드래그로 인해 화면(141) 면적이 더 넓어진 영역의 앱이 전체 화면(141)에 표시된다. 또한, 도 12a에서 우측으로 드랍된 앱 A의 아이콘이 도 5b에서 표시된 중앙 영역을 벗어나야만 전체 화면(141) 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화면(141)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도 12c와 같이, 더블 클릭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더블 클릭된 앱이 전체 화면(141)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앱 A의 아이콘이나 앱 A의 실행화면 영역을 손가락(160)으로 더블 클릭할 경우, 앱 A가 전체 화면(14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화면(141)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도 12d와 같이, 화면(141)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160)을 드래그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활성화 영역(142)의 앱이 전체 화면(141)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멀티태스킹바(150)가 표시된 위치의 화면(141) 하단에서 두 개의 손가락(160)을 화면(141)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 소정의 인디케이터(145)가 표시되면서, 앱 A가 전체 화면(14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전체 화면(141)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설정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멀티태스킹바를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경우 활성화 영역 또는 비활성화 영역을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는 방식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멀티태스킹바의 일 영역을 더블 클릭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활성화 영역 또는 비활성화 영역을 전체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방식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서 멀티태스킹바(150)의 위치를 조절하여 화면 분할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도 13, 도 14a 및 도 14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의 아이콘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401).
상기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는 화면(141)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S402).
반면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멀티태스킹바(150)는 사용자 입력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멀티태스킹바(150)의 최종 위치가 화면(141)의 중앙 영역(141b) 이내에 배치되는지 판단한다(S403). 예를 들어, 도 14a와 같이, 앱 A의 아이콘을 좌측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멀티태스킹바(15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멀티태스킹바(150)를 드랍하는 위치가 화면(141)의 중앙 영역(141b) 이내인지 판단한다.
멀티태스킹바(150)가 화면(141)의 중앙 영역(141b)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 입력을 전술한 바와 같은 전체 화면(141)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여, 해당하는 앱을 전체 화면(141)에 표시한다(S405).
반면에 멀티태스킹바(150)가 화면(141)의 중앙 영역(141b) 내에 배치된 경우, 드랍된 멀티태스킹바(150)의 위치를 고정하며, 그에 따른 비율로 화면(141)이 분할된다(S404). 예를 들어, 도 14b와 같이, 멀티태스킹바(150)가 화면(141)의 중앙 영역(141b) 내에 배치되는 경우, 멀티태스킹바(15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앱 A의 화면(141) 폭이 앱 B의 화면(141) 폭보다 좁은 비율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앱을 확대하여 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호도가 높은 앱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표시된 아이콘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삭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삭제하고자 하는 아이콘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계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된 아이콘을 상기 멀티태스킹바에서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 및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입력감지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141 : 화면
142 : 활성화 영역 143 : 비활성화 영역
150 : 멀티태스킹바 151 : 제 1 태스크영역
152 : 제 2 태스크영역 153 : 홈 화면 바로가기 아이콘
154 : 즐겨찾기 아이콘

Claims (30)

  1.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된 영역은 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활성화 영역과 비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영역이며,
    상기 비활성화 영역의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후, 사용자에 의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활성화 영역과 상기 비활성화 영역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라 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라 정의할 때,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포그라운드 또는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가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화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활성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 1 태스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 2 태스크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 2 태스크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사용자에 의해 가장 최근에 실행된 순서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홈 화면 바로가기 아이콘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집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조회할 수 있는 즐겨찾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상기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화면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영역과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소정의 색상의 테두리로 둘러싸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감지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입력경로와 매칭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경로가 상기 입력경로와 매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경로가 상기 입력경로와 매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으로 판단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경로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의 중앙 영역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경로이거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의 일 측단에서 화면의 중앙 영역을 향하는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종료하거나 시작하는위치에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거나, 상기 화면의 정중앙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상기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포그라운드에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포그라운드에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멀티태스킹바 내의 상기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상기 포그라운드로 드래그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포그라운드에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포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며, 상기 포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제 2 태스크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포그라운드의 활성화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백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제 1 태스크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즐겨찾기 등록 아이콘을 터치하여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즐겨찾기 메뉴에 등록하거나 상기 멀티태스킹바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즐겨찾기 아이콘으로 드래그하여 즐겨찾기 메뉴에 등록하는 즐겨찾기 등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즐겨찾기 아이콘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즐겨찾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즐겨찾기 아이콘을 다시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표시된 즐겨찾기 메뉴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비활성화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상기 비활성화 영역인 경우,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홀딩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은 최종 화면이 캡쳐된 채로 표시되거나 업데이트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상기 비활성화 영역을 터치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거나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거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태스킹바의 양 측의 임의의 두 개 포인트를 상기 멀티태스킹바의 중심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는 단계; 및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감추는 사용자 입력과 반대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5.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포그라운드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멀티태스킹 바의 일 영역을 일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터치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상기 화면의 중앙 영역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화면 분할 비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표시된 아이콘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계속적으로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아이콘을 상기 멀티태스킹바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9.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멀티태스킹바 표시를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된 영역은 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활성화 영역과 비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영역이며,
    상기 비활성화 영역의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후, 사용자에 의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활성화 영역과 상기 비활성화 영역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라 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라 정의할 때,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포그라운드 또는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가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30. 터치 인식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
    상기 사용자 입력이 멀티태스킹바(multi-tasking bar) 표시를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화면을 일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멀티태스킹바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멀티태스킹바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된 영역은 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활성화 영역과 비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영역이며,
    상기 비활성화 영역의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후, 사용자에 의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활성화 영역과 상기 비활성화 영역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라 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라 정의할 때, 상기 멀티태스킹바는, 상기 포그라운드 또는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가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89920A 2012-08-17 2012-08-17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41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20A KR101417318B1 (ko) 2012-08-17 2012-08-17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13/919,234 US20140053097A1 (en) 2012-08-17 2013-06-17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having multi-tasking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he same
EP13173483.2A EP2698708A1 (en) 2012-08-17 2013-06-25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having multi-tasking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he same
CN201310306846.3A CN103593108A (zh) 2012-08-17 2013-07-22 提供具有多任务功能的用户界面的方法和移动通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20A KR101417318B1 (ko) 2012-08-17 2012-08-17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79A KR20140023679A (ko) 2014-02-27
KR101417318B1 true KR101417318B1 (ko) 2014-07-09

Family

ID=4874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920A KR101417318B1 (ko) 2012-08-17 2012-08-17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53097A1 (ko)
EP (1) EP2698708A1 (ko)
KR (1) KR101417318B1 (ko)
CN (1) CN103593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7214B2 (en) 2013-08-30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JP5204326B1 (ja) * 2012-03-16 2013-06-05 株式会社東芝 電子装置、電子装置の制御方法、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957173B1 (ko) 2012-09-24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970469B (zh) 2013-02-05 2015-12-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返回主屏幕的方法及移动终端
US9594603B2 (en) 2013-04-15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to-application launch windowing
US20140310642A1 (en) * 2013-04-15 2014-10-16 Microsoft Corporation Deferred placement prompt
JP6132644B2 (ja) * 2013-04-24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754536B2 (en) 2013-04-29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directional placement application launch
CN105103106B (zh) * 2013-05-16 2019-08-20 英特尔公司 自动调节显示区域以降低功率消耗
KR102266198B1 (ko) * 2013-08-02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그룹을 나타내는 탭 윈도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3859501B1 (en) * 2013-08-22 2022-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by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2144553B1 (ko) * 2013-08-30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EP3096214B1 (en) * 2014-01-15 2019-03-20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Terminal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ontrol device
CN105556454A (zh) * 2014-01-15 2016-05-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操作装置和终端操作方法
US9658734B2 (en) * 2014-02-17 2017-05-23 Beijing Lenovo Software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785340B2 (en) 2014-06-12 2017-10-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navigating between applications with linked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9648062B2 (en) 2014-06-12 2017-05-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tasking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KR102218041B1 (ko) * 2014-06-17 2021-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619120B1 (en) 2014-06-30 2017-04-11 Google Inc. Picture-in-picture for operating systems
US20160026358A1 (en) * 2014-07-28 2016-01-28 Lenovo (Singapore) Pte, Ltd. Gesture-based window management
US10324733B2 (en) 2014-07-30 2019-06-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utdown notifications
US10592080B2 (en) *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9787576B2 (en) 2014-07-31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pagating routing awareness for autonomous networks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KR102264220B1 (ko) * 2014-09-02 2021-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4407827B (zh) * 2014-10-31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知栏中显示消息的方法及移动终端
KR102358749B1 (ko) * 2014-12-26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520227B2 (ja) * 2015-03-04 2019-05-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5988662B (zh) * 2015-03-06 2020-06-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移动终端上多应用窗口的显示方法及其系统
KR102337177B1 (ko) * 2015-04-21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60342290A1 (en) * 2015-05-19 2016-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924017B2 (en) * 2015-05-28 2018-03-20 Livi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 vehicle computing system to launch an application
KR102422181B1 (ko) * 2015-06-02 202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389150B (zh) * 2015-11-05 2018-10-12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5553826A (zh) * 2015-12-18 2016-05-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消息展示方法及装置
CN106020592A (zh) * 2016-05-09 2016-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屏显示方法及装置
CN106126226A (zh) * 2016-06-22 2016-11-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在近期任务中显示应用当前状态的方法及装置
KR20180019392A (ko) * 2016-08-1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1208A (ko) * 2016-09-19 2018-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2279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2698B1 (ko) * 2017-03-17 2019-01-16 주식회사 리코시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및 장치
CN107102793A (zh) * 2017-04-21 2017-08-29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任务管理界面的管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2205235B1 (ko) * 2017-06-09 2021-01-20 주식회사 하이딥 즐겨찾기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CN107273036A (zh) * 2017-06-30 2017-10-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分屏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94718B1 (ko) * 2017-08-22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11966578B2 (en) 2018-06-03 2024-04-2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video with user interface navigation
WO2020087303A1 (zh) * 2018-10-30 2020-05-0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图形用户界面以及多任务交互控制方法
CN112703472A (zh) * 2018-10-30 2021-04-23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图形用户界面以及多任务交互控制方法
KR102206875B1 (ko) * 2019-02-28 2021-01-22 임용순 다국어 통역 시스템
KR102206874B1 (ko) * 2019-02-28 2021-01-22 임용순 차량 시청각 시스템
KR102059915B1 (ko) * 2019-03-25 2019-12-27 (주)프리미어뮤직 음악 레슨 관리 시스템
KR102124882B1 (ko) * 2019-10-01 2020-06-19 공동관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시스템
US11127321B2 (en) * 2019-10-01 2021-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transitions and optimizations for foldable computing devices
WO2021075760A1 (en) * 2019-10-15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toggled application icon
CN112965642A (zh) 2019-11-27 202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驱动方法、驱动模块、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82823A (zh) * 2019-11-29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222700B1 (ko) * 2019-12-19 2021-03-04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수업 관리 시스템
KR20220140546A (ko) 2020-04-27 202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385775B2 (en) * 2020-04-30 2022-07-12 Citrix Systems, Inc. Intelligent monitor and layout management
JP2022070081A (ja) * 2020-10-26 2022-05-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CN113342230A (zh) * 2021-06-29 2021-09-03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5833B2 (en) * 2006-12-29 2010-04-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58B1 (ko) *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82639B1 (ko) * 2010-06-16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5833B2 (en) * 2006-12-29 2010-04-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7214B2 (en) 2013-08-30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93108A (zh) 2014-02-19
US20140053097A1 (en) 2014-02-20
KR20140023679A (ko) 2014-02-27
EP2698708A1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318B1 (ko)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10936190B2 (en)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processing touch events
US94054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sturally changing object attributes
US20210004141A1 (en) Desktop generation and operation methods for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devices thereof
KR101705872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상의 영역 선택 방법 및 장치
US9395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EP2174210B1 (en)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US9189144B2 (en) Multi-touch gesture-based interface for network design and management
US9176657B2 (en) Gesture-based selection and manipulation method
US20130047119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touchscreen
CN102830893B (zh) 屏幕显示控制方法及系统
JP2015055861A (ja) 地図情報表示装置、地図情報表示方法、及び地図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30005733A (ko) 터치 내비게이션 기능을 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US9891812B2 (en) Gesture-based selection and manipulation method
JP602636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0895979B1 (en)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positioning a selection, selecting, and editing, on a computing device running under a touch-based operating system, using gestures on a touchpad device
JP2012208636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デバイスの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96283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091815B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20130077137A (ko)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