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684B1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684B1
KR101414684B1 KR1020100061890A KR20100061890A KR101414684B1 KR 101414684 B1 KR101414684 B1 KR 101414684B1 KR 1020100061890 A KR1020100061890 A KR 1020100061890A KR 20100061890 A KR20100061890 A KR 20100061890A KR 101414684 B1 KR101414684 B1 KR 10141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ata
image
dimensional
synchroniz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1207A (en
Inventor
이봉호
방건
윤국진
정원식
이광순
이현
허남호
정광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684B1/en
Publication of KR2012000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3Aspects relating to the "2D+depth" image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및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혼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 시 동기화되지 않은 시점에 컨텐츠를 삽입하여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은,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단계와, 2차원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시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여부 검출 결과,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동기화 구간에서 발생되는 불연속 구간 동안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serting and providing contents at a point in time that is unsynchronized when switching from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from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in which two- To a multimedia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 method of receiving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toring content for synchronization in advance, receiving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receiving the multimedia data as the thre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multiplex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nto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nd when the display of the 3D multimedia data is requested during the display of the 2D multimedia data, 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f the synchronization of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video is not matched, / RTI >

Figure R1020100061890
Figure R1020100061890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원 및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혼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in which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are mixed.

현재 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과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혼재해 있는 상황이다.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은 초기의 흑백을 기본으로 하는 방송부터 칼라를 기본으로 하는 방송까지 많은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이 가지는 송/수신의 어려움, 잡음 영향 등의 단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보다 많은 서비스의 요구로 인하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Currently, the broadcasting system is a mixture of analog broadcasting system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The analog broadcasting system has made a lot of progress from the broadcasting based on the initial black and white to the broadcasting based on the color. However, interes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is increasing due to the difficulties of transmission / reception of analog broadcasting systems, the drawbacks of noise effects, and the demand for more services by users.

그리하여 현재 방송 시스템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과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의 단점과 사용자의 보다 많은 서비스의 요구로 인하여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시스템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system and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oexist in the present broadcasting system, due to the disadvantage of the analog broadcasting system and the demands of the user's more services, the analog broadcasting system gradually changes to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제작, 편집, 전송, 수신의 모든 방송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방송 시스템으로, 고화질 HDTV를 넘어 입체감을 제공하는 3차원 입체 방송(3DTV)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상기 3DTV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3DTV 서비스 및 다시점 TV 서비스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3DTV 서비스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이용하여 단일 시점에서 입체감을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다시점 TV 서비스는 한 대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여러 방향에서 입체감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 a broadcasting system that processes all broadcasting, including production, edi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as digital signals, and is entering the era of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broadcasting (3DTV), which provides a stereoscopic effect beyond high-definition HDTV. The 3DTV includes a stereoscopic 3DTV service and a multi-view TV service. The stereoscopic 3DTV service is a service for providing stereoscopic effect at a single view us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a multi-view TV service is a service for providing a stereoscopic feeling in various directions using images photographed through one or more cameras .

스테레오스코픽 3DTV 서비스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기존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의 호환성을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으로 고려하고 있다. 만약, 수신측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혼용되어 사용될 경우, 송신측에서는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서 시그널링 정보를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삽입하여 수신측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측은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시청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tereoscopic 3DTV service, compatibility with existing 2D multimedia data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If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and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are used in combination on the receiving side,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s signaling information to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and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wo- And transmits it to the receiving side. Then, the receiving side can automatically convert the viewing mode from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from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using the signaling information.

또한,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 예컨대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시청 모드를 단말로 요구할 수 있고, 상기 단말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시청 모드를 전환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quest the viewing mode to the terminal using an input interfac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and the terminal can receive 3D multimedia data from 2D multimedia data or 3D multimedia data from 3D multimedia data, To switch the viewing mode.

하지만,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시청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동기화할 때,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서로 다른 이기종 코덱을 사용한다면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버퍼링 단위가 달라 동기화 과정에서 불연속 지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서 시청 모드를 전환할 경우에 화면이 부드럽게 전환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synchronized in order to switch the viewing mode from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from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buffering units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fferent, and discontinuous points may occur in the synchronization process. In addition, a phenomenon may occur that the screen is not smoothly switched when the viewing mode is switched at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원 및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혼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 시 동기화되지 않은 시점에 컨텐츠를 삽입하여 방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2D multimedia data to 3D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in which 2D and 3D multimedia data are mixed,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by inserting and broadcasting contents.

상기한 목적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는,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시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동기화 구간에서 발생되는 불연속 구간 동안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 for synchronization in advan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3D multimedia data while displaying 2D multimedia dat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synchronized beforeh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during a discontinuity interval occurring in a synchronization interval of the 3D multimedia dat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은,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단계와, 2차원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시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여부 검출 결과,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동기화 구간에서 발생되는 불연속 구간 동안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receiving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toring content for synchronization in advance, receiving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receiving the multimedia data as the thre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multiplex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nto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nd when the display of the 3D multimedia data is requested during the display of the 2D multimedia data, Dimensional multimedia data in a discontinuous period occurring in a synchronization interval of the 3D multimedia data when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video is not match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은, 2차원 및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혼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시 동기화되지 않은 시점에 컨텐츠를 삽입하여 방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화면이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환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거나 광고 영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contents at a time point that is not synchronized when switching from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from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in which tw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en from being disconnected to the user by broadcasting, and to provide guidance on multimedia data conversion or to generate profit through advertisement vide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장치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화하였을 시 발생되는 불연속 지점에 저장부(107)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in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process of displaying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7 at a discontinuity point generated when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and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are synchronized in a data receiving apparatus of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2차원 및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혼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 시 동기화되지 않은 시점에 컨텐츠를 삽입하여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media system in which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are mixed, a content is inserted and provided at a point in time when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s converted into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when thre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are proposed.

그러면,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신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방송의 송신은 아날로그 방송의 송신과는 달리 제작, 편집, 전송, 수신 등의 모든 방송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고화질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transmission of analog broadcasting, transmission of digital broadcasting can convert all broadcasting such as production, edi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to digital, thereby providing broadcasting with high image quality compared with analog broadcasting.

일반적으로, 상기 디지털 방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유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이다. 반면, 무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은 공중파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댁내의 셋톱박스로 디지털 방송을 송신할 수 있다.Generally, the digital broadcast is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 A typical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ing using a wired line is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ing using radio. In general, a broadcasting station can transmit digital broadcasting directly or via a repeater using air waves. In addition, digital broadcasting can be transmitted to a set-top box in the house using a satellite.

상기에서는 유선 및 무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방법 예를 설명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디지털 방송을 송신할 수 있다.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의 전환에 따른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무선 송신과정을 통해서 전송된 방송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ing using wired and wireless has been described.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 digital broadcasting can also be transmitted. The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version from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receives the broadcast multimedia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in the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송되는 경우의 수신기를 갖는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유선으로 전송되는 경우 안테나를 갖지 않게 되며, 수신기의 내부 구조가 유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in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having a receiver when multimedia data is wirelessly transmitted. When the multimedia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it does not have an antenn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ceiver can be changed to a structure for receiving wired data.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는 수신부(101), 역다중화부(102), 동기화부(103), 삽입부(104), 디스플레이부(105), 제어부(106), 저장부(107), 입력부(108) 및 컨텐츠 제공부(109)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화부(103)는 제 1 버퍼(113) 및 제 2 버퍼(123)를 포함한다.1, the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ing unit 101, a demultiplexing unit 102, a synchronizing unit 103, an inserting unit 104, a display unit 105, a control unit 106, 107, an input unit 108,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109.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includes a first buffer 113 and a second buffer 123.

상기 수신부(101)는 상기에서 방송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02)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즉,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역다중화기(102)는 바이패스 경로만을 제공하게 된다.The receiving unit 101 receives the multimedia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The demultiplexer 102 outputs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6, or demultiplexes the multimedia data into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Here,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directly output, it may be the case that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provides only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at is, when only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s provided, since different image data are not received, the demultiplexer 102 provides only a bypass path.

반면에,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경우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하여 출력되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이 다를 수 있다. 먼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demultiplexed into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6,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provides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It can be the cas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method of providing 3D multimedia data. First, a case wher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is provided us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서로 다른 이기종 코덱에 의해서 부호화되어 수신되거나, 서로 다른 프레임으로 또는 동일 프레임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102)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여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영상 즉,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처리 과정은 후술되는 동기화부(103)에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may be encoded or received by different heterogeneous codecs or may be received as different types of data in different frames or in the same frame. Accordingly, the demultiplexing unit 102 demultiplexe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nd outputs the result. The processing of the different images, i.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described later.

다른 예로 2차원 영상과 2차원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2차원 영상과 2차원 영상에 대한 깊이 정도는 서로 다른 이기종 코덱에 의해서 부호화되어 수신되거나, 서로 다른 프레임 또는 동일 프레임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역다중화부(102)는 2차원 영상과 2차원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를 구분하여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e and the two-dimensional image are received, the degree of depth of the two-dimensional image and the two-dimensional image may be encoded by different codec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can be received as different kinds of data in the same frame. Therefore, the demultiplexing unit 102 demultiplexes and outputs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e and the two-dimensional image as described above.

상기 동기화부(103)는 내부에 상기 제 1 버퍼(113) 및 제 2 버퍼(123)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제 1 버퍼(113) 또는 제 2 버퍼(123) 중 하나의 버퍼에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unit 103 includes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therein. Accordingly,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image can be stored in one buffer of the first buffer 113 or the second buffer 123. [

만약,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동기화부(103)는 버퍼링 없이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로 출력할 수도 있다.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영상들이 수신되지 않으므로 버퍼링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동기화부(103)는 버퍼링 없이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로 출력할 수도 있다.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may directly output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without buffering. In the case of providing only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buffering is not necessary since different images are not received. Therefore,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may directly output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without buffering.

반면에,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버퍼링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2개의 영상들을 수신하기 때문이다. 이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서로 다른 이기종 코덱에 의해 부후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데이터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3D multimedia data, it may require buffering. This is because, 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3D multimedia data, two different images are received to provide 3D multimedia data. For example, when a three-dimensional image is received by receiving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data sizes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may differ from each other when the different types of codecs are rendered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이러한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동기를 맞춰줘야만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 1 버퍼(113)에 좌안 영상이 저장된다면, 제 2 버퍼(123)에는 우안 영상이 저장된다. 여기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저장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Therefore, in this case, it is only necessary to synchroniz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Therefore, if the left eye image is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to provid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right eye image is stored in the second buffer 123. Here, the storage positions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may be mutually different.

다른 예로, 2차원 영상과 함께 깊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2차원 영상과 깊이 정보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2차원 영상을 제 1 버퍼(113)에 저장하는 경우라면 깊이 정보는 제 2 버퍼(123)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동기화부(103)는 2차원 영상과 깊이 영상을 각각 제 1 버퍼(113) 및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하여 상호간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depth information together with a two-dimensional image, the size of the two-dimensional image and the depth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if the two-dimensional image is to be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the depth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buffer 123. As described above,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stores the two-dimensional image and the depth image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and adjusts the mutual synchronization.

상기 제어부(106)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6)는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상기 역다중화부(102)에서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역다중화가 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는 2차원 영상 데이터인 경우 역다중화할 데이터가 없기 때문이다.The control unit 106 can determine whether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Accordingly,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control unit 106 sets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n the demultiplexing unit 102 not to be demultiplexed. This is because there is no data to be demultiplexed in the case of two-dimensional image data.

또한, 제어부(106)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103)의 제 1 버퍼(113) 및 제 2 버퍼(123) 중 하나의 버퍼에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controller 106 transmits only the multimedia data to the buffer of either the first buffer 113 or the second buffer 123 of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Or to prevent buffering of the multimedia data.

한편, 제어부(106)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영상 제공 모드를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제공 모드는 제어부(106) 내에 포함된 메모리(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 또는 외부의 별도 메모리 등에 저장된 값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제공 모드는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음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106) 내에 포함된 메모리 또는 외부의 별도 메모리 등에 저장될 수 있다.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controller 106 may check a preset image providing mode by the user. The image providing mode may be detected through a value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in FIG. 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06 or an external separate memory. The image providing mode may be received from a user using a mouse, keyboard, remote control, voice, etc., and may be stored in a memory included in the controller 106 or in a separate external memory.

만일,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경우라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영상 제공 모드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본으로 제공하도록 설정한 경우라면, 제어부(106)는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만 가능하도록 제어한다.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if the user sets a preset image providing mode to provide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as a basis, the control unit 106 controls the multimedia And controls so that the data can only b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반면에,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경우라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영상 제공 모드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우선 제공하도록 설정한 경우라면, 제어부(106)는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경될 때,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제어에 관하여는 후술되는 저장부(107) 및 삽입부(104)를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f the user sets a preset image providing mode to provide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first, When data is changed from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control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must be performed. The storage unit 107 and the inserting unit 1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below.

다른 한편,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이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영상 제공 모드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우선 제공하도록 설정한 경우는 2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모두 동기화부(103)에서 수신하여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버퍼링하고 있는 경우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set to provid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the image providing mode preset by the user to provide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re are two cases. First,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re received by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and are buffe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이러한 경우 동기화부(103)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서 각각 영상들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언제든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이 가능한 경우이다. 따라서 동기화부(103)가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모두 수신하여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제어부(106)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에 입력부(108)로부터 사용자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이 요청되는 경우에도 즉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synchronize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with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Therefore,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always synchronizes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with the three- It is possible to switch. Therefore, when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receives both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store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the control unit 106 outputs the 3D multimedia data The input unit 108 can immediately provide the 3D multimedia data even when the user is requested to switch to the 3D multimedia data.

두 번째 경우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였으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영상 제공 모드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설정되어있어 상기 동기화부(103)는 하나의 버퍼에만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저장하거나 또는 영상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하지 않고 있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어부(106)는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에 입력부(108)로부터 사용자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즉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다.In the second case, the information on the 3D multimedia data is received. However, since the preset image providing mode is set as the 2D multimedia data by the user, the synchronizing unit 103 synchronizes the first image or the second image Or buffering of image data is not performed. In such a case, when the user is requested to switch from the input unit 108 to the 3D multimedia data while outputting the 2D multimedia data, the control unit 106 can not immediately provide the 3D multimedia data.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역다중화부(102)를 제어하여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하여 출력되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역다중화부(102)를 설명하며 언급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rder to output 3D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controller 106 controls the demultiplexer 102 to demultiplex the 3D multimedia data into a first video and a second video and output the 3D video data. Her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hat are demultiplexed and outputted according to a method of providing 3D multimedia data may be differ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emultiplexing unit 102, .

제어부(106)는 상기 역다중화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은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하여 상호간 동기를 맞추도록 제어한다. 이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06)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환 정보(프로그램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이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6 stores the demultiplexed first and second images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and controls them to synchroniz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6 controls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to synchronize the first and second images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using multimedia data switching information (program switching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프로그램 전환 정보는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의 전환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의 전환 정보이며, 상기 제어부(106)는 제 1 버퍼(113) 및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영상들에서 프로그램 전환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프로그램 전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program switch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switching from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switching from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control unit 106 controls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 And controls to output the 3D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by comparing the program switching information.

그러면 이하에서,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디스크립터 방식을 예로 하여 프로그램 전환 정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 1>은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디스크립터이다. 상기 송신측은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를 정의하고, 프로그램 전환 정보를 PMT(Program Map Table, 이하 'PMT'라 칭하기로 함.) 내에 삽입하여 유/무선으로 송신하여 상기 수신부(101)로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 TV, 케이블 TV 또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의 경우 양방향 연결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전환 정보를 상기 수신부(101)로 제공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ogram switch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taking the stereoscopic program descriptor system as an example. Table 1 below is a stereoscopic program descriptor. The transmitting side defines a stereoscopic program descriptor, inserts the program switching information into a PMT (Program Map Table), and transmits it to the receiving unit 101 via wire / wireles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nternet TV, a cable TV, or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the program switch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receiving unit 101 through a bidirectional connection.

Figure 112010041897026-pat00001
Figure 112010041897026-pat00001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는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 length), 3D 플래그(3D_flag)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립터 태그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디스크립터의 식별 태그 값으로 "OxC0"값을 가질 수 있다. 디스크립터 길이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디스크립터의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3D 플래그는 현재 상영 중인 프로그램이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구분하는 구분 정보이다.The stereoscopic program descriptor includes a descriptor tag, a descriptor length, a 3D flag (3D_flag), and the like. The descriptor tag may have the value "OxC0" as the identification tag value of the stereoscopic program descriptor. The descriptor length includes length information of the stereoscopic program descriptor. The 3D flag 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program currently being played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06)는 PTS 및 DTS를 이용해서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영상들이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PTS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화면 투사 시작 시간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한 후 실제 재생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DTS는 비디오 데이터가 복원되는 시간을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06 may control the images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to be synchronized using the PTS and the DTS. The PTS includes an actual reproduction start time after decoding the video data, restoring the screen projection start time and the audio data, and the DTS includes a time at which the video data is restored.

상기 제어부(106)는 PTS 및 DTS에 포함된 디코딩 후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이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상기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이 동기화되지 않아 불연속 지점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6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images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to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using the post-decod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TS and the DT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6 can control the discontinuous points when the first and second images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are not synchronized, respectively.

상기 불연속 지점이 발생되면, 사용자에게는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 시 동기화 지연으로 인하여 화면이 잠시 정지하거나 깜빡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저장부(107)에 저장된 컨텐츠, 예컨대 광고 문구, 이미지 및 비디오 등을 상기 삽입부(104)를 통해 불연속 지점에 디스플레이부(105)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텔레비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If the discontinuity occurs, the user may temporarily stop or flicker due to the synchronization delay when switching from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o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ontrol unit 106 controls the display unit 105 to display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7, for example, advertisement text, image, video,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105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monitor, a television,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106)는 불연속 지점에 상기 저장부(107)에 저장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 후,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이 동기화되었는지 판별한다. 상기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이 동기화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06)는 불연속 지점에 상기 저장부(107)에 저장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6 controls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7 to be displayed at a discontinuous point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video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 I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are not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06 displays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7 at the discontinuous point, Respectively.

제어부(106)는 상기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이 동기화될 때까지 상기와 같이 불연속 지점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저장부(107)는 방송국, 각종 정보 제공 업체, 및 사용자로부터 편집 및 제작된 각종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06 repeats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contents to be displayed at the discontinuous points until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video are synchronized with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The storage unit 107 receiv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edited and manufactured by a broadcasting station, various information providers, and users by wire or wireless, and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그러면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2D multimedia data to the 3D multimedia data in the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of the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에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a 2D multimedia data to a 3D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of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부(101)는 상기에서 방송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02)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eceiving unit 101 receives multimedia data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in a wireless manner. The demultiplexer 102 outputs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6, or demultiplexes the multimedia data into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여기서,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역다중화기(102)는 바이패스 경로만을 제공하게 되기 때문이다.Here,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directly output, it may be the case that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provides only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is is because, if only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s provided, different image data is not received, so that the demultiplexer 102 provides only a bypass path.

반면에,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경우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demultiplexed into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6 and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provides the 3D multimedia data .

상기 동기화부(103)는 내부에 상기 제 1 버퍼(113) 및 제 2 버퍼(123)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제 1 버퍼(113) 또는 제 2 버퍼(123) 중 하나의 버퍼에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unit 103 includes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therein. Accordingly, when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image can be stored in one buffer of the first buffer 113 or the second buffer 123. [

반면에, 만약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버퍼링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2개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it may require buffering. This is because 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3D multimedia data, two different data are received in order to provide 3D multimedia data.

그러면 여기서,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이나, 영상 제공 모드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우선 제공하도록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부(101)가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였지만, 최초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는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동기화부(103)는 하나의 버퍼에만 영상을 저장하거나 버퍼링 없이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로 출력하고 있다.Here, the case where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set to provide the 3D multimedia data or the image providing mode first provides the 2D multimedia data will be described. Since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01 receives the 3D multimedia data but provides the 2D multimedia data from the time t0 to the time t1,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stores the image in only one buffer Dimensional multimedia data without buffering.

상기와 같이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에 t1 시점에서 입력부(108)로부터 사용자의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환 요청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수신부(101)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영상 제공 모드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동기화부(103)가 하나의 버퍼에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영상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제어부(106)는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에 입력부(108)로부터 사용자의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환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즉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다.Assume that the 3D multimedia data conversion request of the user i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108 at time t1 while outputting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receiving unit 101 receives the 3D multimedia data but the image providing mode preset by the user is set as the 2D multimedia data, the synchronizing unit 103 stores the image data in only one buffer, Since the buffering of the data is not performed, the controller 106 can immediately provide the 3D multimedia data when the 3D multimedia data conversion request of the user i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108 while outputting the 2D multimedia data none.

따라서 제어부(106)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 역다중화부(102)가 수신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역다중화부(102)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6)는 상기 역다중화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하여 상호간 동기를 맞추도록 제어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06 controls the demultiplexer 102 so that the demultiplexer 102 demultiplexes the received 3D multimedia data and outputs the 3D multimedia data in order to output the 3D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control unit 106 stores the demultiplexed first and second images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and controls them to synchronize with each other.

이때, 동기화부(103)에 2차원 영상 중 일부가 미리 버퍼링되어 있는 경우,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는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해서는 t1 시점부터 t3 시점까지 시간이 소요된다고 가정한다.At this time, when some of the two-dimensional images are buffered in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s provided from the time t1 to the time t2. Also, it is assumed that it takes time from the time t1 to the time t3 in order to receive and synchronize all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이때, 수신기에서 t2의 시점과 t3의 시점이 동일할 수도 있다. 즉, 불연속 구간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신할 때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불연속 구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t2 시점과 t3 시점이 동일한 시점이 아니라고 가정한다.At this time, the time point of t2 and the time point of t3 may be the same in the receiver. That is, a discontinuous section may not exist. However, in general, since it takes a long time to receive data to switch from 2D multimedia data to 3D multimedia data, a discontinuous interval exists. Therefore, it is assumed here that the time t2 and the time t3 are not the same time.

이와 같이 t2 시점까지 버퍼링되어 있는 2차원 영상의 제공이 완료된 후 t3의 시점까지 불연속 구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화면의 껌벅거림 또는 심한 경우 수 초간 신호가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때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한다.Thus, a discontinuous section occurs until the time t3 after the provis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e buffered until the time t2 is completed, which may result in a gumbling of the screen or a state of no signal for a few seconds in severe cas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contents are provided at this time.

즉, 제어부(106)는 t2 시점에 맞춰 저장부(107)에 저장된 데이터를 삽입부(104)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연속하여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공되는 컨텐츠는 t2 시점부터 t3 시점까지 제공되도록 하며, 3차원 영상의 동기화가 완료된 시점에서는 다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삽입부(104)의 입출력 경로를 스위칭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06 output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7 to the inserting unit 104 at the time of t2 so that the display is continuously performed. At this time, the provided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time t2 to the time t3, and when the synchroniz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completed, the input / output path of the insertion unit 104 is switched to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again.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은 2차원 영상이 제공되다가 3차원 영상으로 영상이 전환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3차원 영상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수신기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proces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two-dimensional image is provided and then an image is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preferentially provided in the receiver. Hereinafter, the process of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the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부(101)는 301단계에서 상기에서 방송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302단계에서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01, the receiving unit 101 receives multimedia data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in a wireless manner. In step 302, the controller 106 determines whether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1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or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상기 302단계에서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판별되면, 상기 역다중화부(102)에서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역다중화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103)의 제 1 버퍼(113) 및 제 2 버퍼(123) 중 하나의 버퍼에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s determined to b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n step 302, the demultiplexing unit 102 sets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not to be demultiplexed, In the case where the multimedia data is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the multimedia data is stored only in the buffer of one of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of the synchronization unit 103, or the multimedia data is not controlled to be buffered can do.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307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상기 302단계에서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라면, 303단계로 이동하여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영상 제공 모드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판별한다.After the above process, the process moves to step 307 to display the 2D multimedia data. However, if the multimedia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01 in step 302 is 3D multimedia data, the flow proceeds to step 303, w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mage providing mode preset by the user is 2D multimedia data or 3D multimedia data.

상기 영상 제공 모드는 제어부(106) 내에 포함된 메모리 또는 외부의 별도 메모리 등에 저장된 값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303단계에서 영상 제공 모드가 2차원을 우선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307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The image providing mode can be detected through a value stored in a memory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06 or in an external separate memory or the lik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3 that the image providing mode is set to provide two-dimensional first, step 307 is performed to display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하지만, 상기 303단계에서 영상 제공 모드가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우선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106)는 304단계에서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도록 상기 역다중화부(102)를 제어하고, 상기 역다중화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들을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하여 상호간 동기를 맞추도록 제어한 후, 불연속 지점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However, if the image providing mode is set to provide the 3D multimedia data in step 303, the controller 106 displays the 3D multimedia data in step 304 in order to output the 3D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Multiplexes the demultiplexed first and second images into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respectively, and controls them to synchronize with each other The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discontinuity point has occurred.

상기 304단계에서 불연속 지점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307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상기 304단계에서 불연속 지점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6)는 305단계에서 상기 저장부(107)에 저장된 컨텐츠, 예컨대 광고 문구, 이미지 및 비디오 등을 상기 삽입부(104)를 통해 불연속 지점(불연속 구간)에 디스플레이부(105)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4 that a discontinuity point has not occurred, the flow advances to step 307 to display the 3D multimedia data.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4 that a discontinuity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106 controls the insertion unit 104 to transmit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7, for example, an advertisement text, an image,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05 to display a discontinuous point (discontinuous section).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06)는 306단계에서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들의 상호간 동기화가 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306 단계에서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들의 상호간 동기화가 되었다면, 307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Then, in step 306, the controller 106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images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113 and 123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step 306, the flow advances to step 307 to display the 3D multimedia data.

하지만, 306 단계에서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들의 상호간 동기화가 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6)는 305단계에서 제 1 버퍼(113)와 제 2 버퍼(123)에 각각 저장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들이 동기화될 때까지 상기 저장부(107)에 저장된 컨텐츠, 예컨대 광고 문구, 이미지 및 비디오 등을 상기 삽입부(104)를 통해 불연속 지점에 디스플레이부(105)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However, i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stored in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are not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step 306, the control unit 106 controls the first buffer 113 and the second buffer 123, Images, video, and the lik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7 until the first and second images stored in the second buffer 123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serting unit 104, On the display unit 105. [0043] FIG.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therefore,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1 : 수신부 102 : 역다중화부
103 : 동기화부 113 : 제 1 버퍼
123 : 제 2 버퍼 104 : 삽입부
105 : 디스플레이부 106 : 제어부
107 : 저장부 108 : 입력부
109 : 컨텐츠 제공부
101: Receiving unit 102: Demultiplexing unit
103: synchronization unit 113: first buffer
123: second buffer 104:
105: display unit 106:
107: storage unit 108: input unit
109: Content provider

Claims (8)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시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동기화 구간에서 발생되는 불연속 구간 동안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A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s for synchronization in advance,
When a display of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is required during the display of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control is performed to provide content for synchronization, which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section during a discontinuity section generated in the synchronization section of the three-
And transmitting the multimedia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시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 여부를 검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를 맞추어 출력하는 동기화부와,
상기 동기화부의 출력 또는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출력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동기화 구간에서 발생되는 불연속 구간 동안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A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when receiving the 3D multimedia data from the receiver,
A synchronization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synchronization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outputt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n insertion unit for outputting an output of the synchronization unit or one of contents for synchroniz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Wherein,
And controls the content to be provided during a discontinuous interval occurring in a synchronization interval of the 3D multimedia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방송국 또는 정보 제공 업체 또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편집 및 제작되어 방송 신호, 인터넷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roadcast station, an information provider, or a user device, and is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the Internet, and an infrared r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또는 2차원 영상 및 깊이 정보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lt;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r a two-dimensional image and depth informa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단계와,
2차원 또는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으로 역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시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여부 검출 결과,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의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동기화 구간에서 발생되는 불연속 구간 동안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동기화를 위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A method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Storing content for synchronization in advance;
Receiving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Demultiplexing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into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when the received multimedia data is the 3D multimedia data,
Detecting whether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synchronized when display of the 3D multimedia data is requested during displaying the 2D multimedia data,
And displaying content for synchronization, which is stored in advance in a storage unit during a discontinuous interval occurring in a synchronization interval of the 3D multimedia data when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video is not matched
And transmitting the multimedia dat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시 상기 2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display of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is requested while displaying the three-dimensional multimedia data, controlling to provide the two-dimensional multimedia data
And transmitting the multimedia dat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방송국 또는 정보 제공 업체 또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편집 및 제작되어 방송 신호, 인터넷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 broadcast station, an information provider, or a user device, and is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the Internet, and an infrared ra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또는 2차원 영상 및 깊이 정보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lt;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r a two-dimensional image and depth information.
KR1020100061890A 2010-06-29 2010-06-29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KR101414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890A KR101414684B1 (en) 2010-06-29 2010-06-29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890A KR101414684B1 (en) 2010-06-29 2010-06-29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07A KR20120001207A (en) 2012-01-04
KR101414684B1 true KR101414684B1 (en) 2014-07-07

Family

ID=4560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890A KR101414684B1 (en) 2010-06-29 2010-06-29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6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175A (en) * 2006-12-08 2008-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eal sense transmitting/receiving based on non-realtime
KR20090066386A (en) * 2007-12-20 200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file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ree dimensional image
KR20100046485A (en) * 2008-10-27 2010-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3d broadcasting service by using region of interest depth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175A (en) * 2006-12-08 2008-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eal sense transmitting/receiving based on non-realtime
KR20090066386A (en) * 2007-12-20 200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file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ree dimensional image
KR20100046485A (en) * 2008-10-27 2010-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3d broadcasting service by using region of interest depth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07A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04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604827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2342113B (en) Stereoscopic image data transmitter and stereoscopic image data receiver
KR101771262B1 (en) Video transmission device,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system, video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10141232A1 (en) Image data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137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o that viewers selectively view a 2D or a 3D service
US91853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PIP image
US2011014123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ransmission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reception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reception method
EP2574064A1 (en) Image data transmitting device, image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image data receiving device
US20120113113A1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for 3d images and audio/video system
US20120081516A1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US20110229106A1 (en) System for playback of ultra high resolution video using multiple displays
US20110141238A1 (en) Stereo image data transmitting apparatus, stereo image data transmitting method, stereo image data receiving data receiving method
US91548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two-dimensional video content for insertion into three-dimensional video content
WO2012060198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ransmitting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ransmitting metho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receiv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receiving method
JP2011166757A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US20130278718A1 (en) Stereoscopic image data transmission device, stereoscopic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stereoscopic image data reception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ata reception method
US20140327740A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on method,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KR101414684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KR20140029982A (en) Display device, set top box and method of judging whether stereoscope video content is or not
KR201401354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lay in receiving 3d image
KR20130079458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
KR20120015666A (en) A method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playing device
US20120218383A1 (en) Video output apparatus and video output method
KR201201404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hree-dimensional imag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