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000B1 - 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 Google Patents

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000B1
KR101414000B1 KR1020110075737A KR20110075737A KR101414000B1 KR 101414000 B1 KR101414000 B1 KR 101414000B1 KR 1020110075737 A KR1020110075737 A KR 1020110075737A KR 20110075737 A KR20110075737 A KR 20110075737A KR 101414000 B1 KR101414000 B1 KR 10141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ltering member
shaft
biodegradabl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3855A (en
Inventor
조대행
Original Assignee
조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행 filed Critical 조대행
Priority to KR102011007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000B1/en
Publication of KR2013001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8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66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biodegradable or bio-solubl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가 개시된다. 유체 여과용 필터는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쪽 단부가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도록 소정 두께로 감겨진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링 부재를 포함한다. 부직포는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 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PCL),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 hydroxy butyric acid, PHB), D-3-히드록시 부틸산(D-3-hydroxy butyric acid),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코아디페이트(Polybutylene Succinate-[0036] co-adipate, PBSA) 및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푸마릭(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구비한다. A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is disclosed. The fluid filtration filter includes a filtering member made of a nonwoven fabric wound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to form a hollow having open ends at both ends thereof. The nonwoven fabric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lactic acid (PLA), poly glycolic acid (PGA), poly caprolactone (PCL), aliphatic polyester resin, polyhydroxybutyric acid (PHB D-3-hydroxy butyric acid,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 succinate co-adipate (D-3-hydroxybutyric acid) , PBSA), and 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

Description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로부터 오염원을 여과할 수 있는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capable of filtering contaminants from a fluid.

최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발생되는 각종 산업 쓰레기로부터 침출수가 지하로 스며들고, 오염된 공기가 빗물과 함께 낙하한 뒤 지하로 스며들어 인간 생활에 중요한 요소인 물의 오염이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Recently, leachate leaks from various industrial wastes generated along with industrial development, and polluted air falls down with rainwater and permeates into the underground, and water pollut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human life, is very serious.

이에 따라 물에 대한 불신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다 깨끗한 물을 음용하기 위하여 많은 가정, 학교 및 직장에서는 정수기에 의해 물을 정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유체 여과용 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는데, 최근 필터 자체에 의한 물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장수명을 가지며,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필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Accordingly, the distrust of water is increasing, and in order to drink more clean water, many households, schools, and workplaces use water purifiers to purify water. Such a water purifier purifies water by using a filter for filtrating fluid.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a filter that can prevent secondary pollution of water by a filter itself, have a long life, and can be manufactured by a simple method .

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는 일반적으로 인공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는데, 필터는 소모품으로서 사용 후의 폐필터는 친환경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친환경적인 제품 생산 및 폐제품 처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폐필터 역시 이러한 요구에 맞게 친환경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Filters for filtering water are generally manufactured using artificial synthetic resins, and the filter is used as a consumable, and the spent filter after use must be treat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and disposal of waste products in the world. Waste filters must also be eco-friendly to meet these demand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 후 친환경적으로 처리될 수 있고, 유체 여과 능력이 우수한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for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that can be eco-friendly after use and has excellent fluid filtration cap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는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쪽 단부가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도록 소정 두께로 감겨진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는 하고, 상기 부직포는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 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PCL),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 hydroxy butyric acid, PHB), D-3-히드록시 부틸산(D-3-hydroxy butyric acid),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코아디페이트(Polybutylene Succinate-[0036] co-adipate, PBSA) 및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푸마릭(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구비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백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탈크(Talc) 및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구비하는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memb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wound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form a hollow having both ends open in one direction. The nonwoven fabric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PGA), poly caprolactone (PCL), aliphatic polyester resin, polyhydroxybutyric acid polyhydroxy butyric acid (PHB), D-3-hydroxy butyric acid,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 succinate- A biodegradable resin having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adipate (PBSA) and 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may further comprise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uscovite, gold mica,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talc, and calcium carbonate (CaCO3) .

상기 필터링 부재는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내부면 및 상기 내부면에 대향하는 외부면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내부면에 인접한 상기 필터링 부재의 제1 부분에서의 상기 부직포의 적층밀도는 상기 외부면에 인접한 상기 필터링 부재의 제2 부분에서의 상기 부직포의 적층밀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부분에서의 기공률은 상기 제2 부분에서의 기공률보다 작을 수 있다. Wherein the filter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surface forming the hollow and an outer surface opposite the inner surface, wherei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first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adjacent the inner surface is greater than a density of the no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adjacent to the first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may be greater tha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For example, the porosity in the first portion may be less than the porosity in the second portion.

상기 외부면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면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중공의 직경은 상기 필터링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단부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curvature. The diameter of the hollow can be reduced from one end of the filtering member toward the other end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분해성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터링 부재를 포함하므로, 폐필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터링 부재의 내부 부분에서 필터링 부재의 외부 부분보다 부직포의 적층 밀도를 크게 하므로, 필터링 효과 및 필터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필터링 부재의 외부면에만 그루브를 형성하고 내부면에는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채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ltering member manufactured using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s included, the waste filter can be eco-friendl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s increas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than i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filtering effect and the life of the filter. Furthermore, the channel phenomenon can be prevented by forming the groove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member and not forming the groove on the inner surface.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에 적용되는 필터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압축롤로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압축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ing member applied to a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shown in FIG. 1A.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shown in FIG. 1A.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ompression roll shown in Fig. 2. Fig.
3B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ompression roller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aft shown i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parator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or reduced from the actual size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Filter for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에 적용되는 필터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ing member applied to a filter for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 'shown in FIG. 1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n in FIG.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는 필터링 부재(110)를 포함한다. 필터링 부재(110)는 내부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130)이 형성되도록 부직포를 소정 횟수만큼 감아서 형성될 수 있다. 중공(130)은 필터링 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링 부재(110)는 별도의 코어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부직포만을 소정 횟수만큼 감아서 제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A to 1C, a fluid filter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member 110. The filtering member 110 may be formed by winding a nonwoven fabric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o that a hollow 130 extend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therein. The hollow (130) may be open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tering memb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member 110 can be manufactured by winding only the nonwoven fabric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ithout using a separate core member.

상기 부직포는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 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PCL),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 hydroxy butyric acid, PHB), D-3-히드록시 부틸산(D-3-hydroxy butyric acid),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코아디페이트(Polybutylene Succinate-[0036] co-adipate, PBSA),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푸마릭(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직포는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및 상기 무기물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생분해성 수지의 기계적,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상기 무기물은 백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부직포는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상기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수지 및 상기 무기물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상기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수지 및 상기 무기물이 각각 50 내지 92 중량%, 7 내지 45 중량% 및 1 내지 5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내에서 제조된 부직포가 물성이 우수하며 부직포 제조시 카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The nonwoven fabric may be produced using a biodegradable resin. The biodegradable resi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PGA), poly caprolactone (PCL), aliphatic polyester resin, polyhydroxybutyric acid 3-hydroxybutyric acid,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 succinate (PHB), and the like. co-adipate, PBSA, 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 and the like. In one example, the nonwoven fabric may be prepared from a mixture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and the inorganic material. The inorganic material is added to improve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biodegradable resin. The inorganic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inorganic particle selected from muscovite, gold mica,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talc, calcium carbonate (CaCO3) . As anothe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may be prepared from a mixture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 polybutylene succinate resin and the inorganic material. Specifically, the polylactic acid resin, the polybutylene succinate resin and the inorganic material may be mixed in an amount of 50 to 92% by weight, 7 to 45% by weight and 1 to 5% by weight, respectively.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within the above range is excellent in physical properties and excellent in carding property in the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

상기 부직포는 앞에서 설명된 원료 물질을 이용하여 공지의 부직포 제조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직포는 스판본드(Spun Bond)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스판본드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타방식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보다 가공시 보풀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부직포 가공시 보풀이 발생하면, 여과된 유체 내에 부직포에 의해 발생된 보풀이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nonwoven fabric may be produced by any one of known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s using the raw material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may be produced by a spun bond method.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pan bond method has a merit that fluff is less generated during processing than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other method. If napping occurs during the nonwoven fabric process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apweed generated by the nonwoven fabric is contained in the filtered fluid.

상기 필터링 부재(110)는 상기 중공(130)을 형성하는 내부면(113) 및 상기 내부면(113)에 대향하는 외부면(111)을 갖는다. 상기 외부면(111)과 상기 내부면(113) 사이에 적층된 부직포에 의해 유체가 여과될 수 있다. 일정 비율의 기공을 갖는 부직포를 적층하여 필터링 부재(110)를 형성하므로, 필터링 부재(110)의 외부면(111)과 접촉하는 유체는 필터링 부재(110)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이렇게 필터링 부재(110)의 내부로 침투한 유체는 필터링 부재(1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최종적으로 여과된 유체는 필터링 부재(110)의 내부면(11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중공(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filtering member 110 has an inner surface 113 forming the hollow 130 and an outer surface 111 facing the inner surface 113. The fluid can be filtered by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111 and the inner surface 113. The flui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filtering member 110 can penetrate into the filtering member 110 because the nonwoven fabric having a certain ratio of pores is stacked to form the filtering member 110. The fluid that has permeated the inside of the filtering member 11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member 110 and finally the filtered fluid flows through the hollow 130 formed by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filtering member 110. [ Lt; / RTI >

이와 같은 여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고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 부재(110)는 부직포의 적층밀도 구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여과되지 않은 유체와 접하는 외부면(111)에 인접한 필터링 부재(110)의 제1 부분에서는 부직포의 적층밀도를 작게 하고, 여과된 유체와 접하는 내부면(113)에 인접한 필터링 부재(110)의 제2 부분에서는 부직포의 적층밀도를 크게 하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부직포의 적층밀도라 함은 단위 길이당 적층된 부직포의 장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적층밀도가 커지면 기공률이 감소하고, 부직포의 적층밀도가 작아지면 기공률이 증가한다. 즉, 상기 필터링 부재(110)의 제1 부분에서는 기공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상대적으로 큰 오염원을 여과하고, 상기 필터링 부재(110)의 제2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기공률이 작게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오염원을 여과하도록 구성한다. 부직포의 적층 밀도는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고, 불연속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effectively exhibit such a filtering function and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fil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ing member 110 has a lamination density gradient of the nonwoven fabric. For example, in a first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110 adjacent the outer surface 11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nfiltered fluid,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s reduced and the filtering member 110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113, )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In this specification, the lamination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means the number of nonwoven fabrics stacked per unit length. Generally, whe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s increased, the porosity is decreased, and whe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s decreased, the porosity is increased. That is, in the first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110, the relatively large porosity is relatively large due to the relatively large porosity, and the relatively small porosity is reduced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110, . The lamination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may be ch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상기 필터링 부재(110)의 외부면(111)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그루브는 원통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폐곡선, 즉 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인접한 그루브 사이의 간격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외부면(111)과 달리, 상기 필터링 부재(110)의 내부면(113)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 부재(110)의 내부면(113)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일 수 있다. 필터링 부재(110)의 외부면(111)뿐만 아니라 내부면(113)에도 그루브를 형성하는 경우, 외부면(111)의 그루브와 이에 대응하는 내부면(113)의 그루브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부직포가 압축되어 높은 적층밀도를 갖게 되고, 외부면(111)의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및 이에 대응하는 내부면(113)의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부직포가 상대적으로 낮은 적층밀도를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 부재(110)의 내부에는 부직포의 밀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유체가 필터링 부재의 특정 부분으로만 통과하는 채널(Channel)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필터링 부재(110)에 있어서 채널 현상이 발생하면 유체가 이동하지 않는 필터링 부재(110)의 부분에서는 미생물 등이 서식하게 되어 필터링 부재에 의해 여과되는 유체가 오염될 가능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필터링 부재(110)의 내부면(113)에도 외부면(111)과 동일하게 그루브를 형성하면, 필터링 부재(1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샤프트로부터 이에 감긴 필터링 부재(110)를 분리하는 동안 필터링 부재(110)와 샤프트의 접촉 마찰로 인하여 필터링 부재(110)가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filtering member 110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As shown in FIG. 1B, each groove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curve, or circle,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er, and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groove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Unlike the outer surface 111, a groove may not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filtering member 110. That is,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filtering member 110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curvature. When a groove is formed not only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filtering member 110 but also on the inner surface 113,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111 located between the groove of the outer surface 111 and the groove of the inner surface 113 corresponding thereto, The nonwoven fabric is compressed to have a high lamination density, and at the portion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in the outer surface 111 and the region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in the corresponding inner surface 113, It can have density. Accordingly, a difference in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may occur in the filtering member 110, thereby causing a channel phenomenon in which the fluid passes through only a specific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If a channel phenomenon occurs in the filtering member 110, microorganisms and the like may be present at the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110 where the fluid does not move, and the fluid filtered by the filtering member may be contaminated. If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filtering member 110 in the same manner as the outer surface 111 while the filtering member 110 is detached from the shaf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ltering member 110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iltering member 110 is deformed due to th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filtering member 110 and the shaft.

상기 필터링 부재(110)의 중공(130)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되 바와 같이 필터링 부재(110)의 일 단부에서의 중공(130)의 직경(R1)이 타단부에서의 중공(130)의 직경(R2)보다 클 수 있다. 필터링 부재(1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샤프트에 감긴 필터링 부재(110)를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는 동안 샤프트와 필터링 부재(110)의 접촉 마찰에 의해 필터링 부재(110)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는데, 필터링 부재(110)에 형성된 중공(130)의 직경을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샤프트와 이에 감긴 필터링 부재(1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hollow 130 of the filtering member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diameter decrease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B, the diameter R1 of the hollow 130 at one end of the filtering member 110 may be great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hollow 130 at the other en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ltering member 11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tering member 110 is deformed by th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filtering member 110 while separating the filtering member 110 wound on the shaft from the shaft. When the diameter of the hollow 130 formed in the member 11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haft and the filtering member 110 wound there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러한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에 따르면, 필터링 부재(130)가 생분해성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로 이루어지므로 폐필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스판본드(Spun Bond) 방식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므로 필터 자체에 의한 유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링 부재(110)의 밀도 구배를 형성하고 외부면(111)에만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필터링 효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채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링 부재(110)에 형성된 중공(130)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필터링 부재(110)를 제조하는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since the filtering member 13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made of a biodegradable raw material, the waste filter can be eco-friendly. In addition, since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s made of a spun bond method, contamination of the fluid by the filter itself can be prevented, a density gradient of the filtering member 110 is formed, and grooves are formed only on the outer surface 111 The channel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ltering member 110 can be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diameter of the hollow 130 formed in the filtering member 110. [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압축롤로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압축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샤프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filter for filtering biodegradable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ompression roll shown in Fig. 2, 2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ompression roller.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shaft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or shown in Fig. 2. Fig.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제1 지지롤러(210), 제1 압축롤러(220), 제2 지지롤러(230), 제2 압축롤러(240), 절단기(250) 및 분리기(2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제1 지지롤러(210) 및 제1 압축롤러(2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분리기(26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가열 박스(270), 온도 센서(280) 및 송풍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2 to 5,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roller 210, a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a second support roller 230, A compression roller 240, a cutter 250, and a separator 260.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a rotation speed of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separator 260.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box 270, a temperature sensor 280, and a blower (not shown).

유체 여과용 필터에 적용되는 필터링 부재는 생분해성 부직포를 샤프트(10)에 감아서 형성할 수 있다. 생분해성 부직포는 샤프트(10)에 단순히 감기는 것이 아니라, 샤프트(10)의 온도 등을 제어하여 특정 형태로 성형된 후, 상기 샤프트(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10)는 내부에 유로(11)가 형성된 원통형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11)는 상기 파이프의 양쪽 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개구된다. 성형된 생분해성 부직포를 샤프트(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부직포가 감기는 샤프트(10)의 외면에 테프론 테이프(13)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부직포를 샤프트(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외경을 갖는 샤프트(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filtering member applied to the fluid filtration filter can be formed by wind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round the shaft 10.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may be separated from the shaft 10 after being formed into a specific shap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haft 10 and the like, rather than being simply wound around the shaft 10. The shaft 10 includes a cylindrical pipe in which a flow path 11 is formed. The flow path 11 is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both ends of the pipe.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molded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from the shaft 10, a Teflon tape 13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10 to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formed nonwoven fabric from the shaft 10, a shaft 10 having an outer diameter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changing may be used.

샤프트(10)에 감기는 부직포는 샤프트(10)의 온도에 따라 성형 또는 가공되는 정도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 부직포의 녹는점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샤프트(10)에 부직포를 감는다면, 부직포는 샤프트(10)에 의해 녹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 부직포의 녹는점보다 지나치게 낮은 온도의 샤프트(10)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감는다면 상기 부직포는 단순히 감기기만 할 뿐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사항을 고려하면, 생분해성 부직포가 감기기 전, 샤프트(10)는 생분해성 부직포의 녹는점 부근의 온도에 해당하는 기준 온도를 갖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생분해성 부직포가 감기기 전 샤프트(10)의 온도를 기준 온도로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가열 박스(270), 온도 센서(280) 및 냉각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nt to which the nonwoven fabric wound on the shaft 10 is formed or processed varies with the temperature of the shaft 10. For example, if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around the shaft 10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is melted by the shaft 10. If the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is wound around the shaft 10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may not be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without being simply wound. Considering the above points, before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s wound, the shaft 10 needs to be controlled to have a referenc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near the melting point of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haft 10 before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s wound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box 270, a temperature sensor 280, Time).

가열 박스(270)는 다수의 샤프트(10)를 내부에 수납하고, 수납된 샤프트(10)를 상기 기준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온도 센서(280)는 가열 박스(270)에 의해 가열된 후 가열 박스(270) 외부로 이송된 샤프트(1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냉각기는 상기 온도 센서(280)에서 감지된 샤프트(10)의 온도를 기초로 샤프트(10)의 온도를 기준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각기는 샤프트(10)에 형성된 유로(11)에 기체를 주입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를 이용하여 샤프트(10)를 냉각시키는 경우, 샤프트(10)의 가장자리 부분은 샤프트(10)의 중앙 부분보다 먼저 냉각되어, 샤프트(10)의 가장자리 부분과 샤프트(10)의 중앙 부분 사이에 온도 구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가열 박스(270) 외부로 이송된 샤프트(10)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가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온도로 냉각된 샤프트(10)에 하기와 같이 생분해성 부직포를 감아서 필터링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heating box 270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shafts 10 therein and can heat the received shaft 10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or higher. The temperature sensor 280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shaft 10 which is heated by the heating box 270 and then deliver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box 270. The cooler may cool the temperature of the shaft 10 to a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shaft 1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80. For example, the cool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jecting gas into the flow path 11 formed in the shaft 10. The edge portion of the shaft 10 is cooled before the center portion of the shaft 1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shaft 10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haft 10 A temperature gradient may occu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the edge of the shaft 10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box 270 have. As described above,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may be wound around the shaft 10 cooled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as described below to form the filtering member.

제1 지지롤러(210)는 부직포가 감기는 샤프트(10) 또는 부직포가 감긴 샤프트(10)를 소정 위치에 지지하고,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에 지지된 샤프트(1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1 지지롤러(210)는 샤프트(10)를 회전시켜 샤프트(10)에 부직포가 감기도록 한다. 샤프트(10)를 소정 위치에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지지롤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롤러(210a, 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롤러(210a, 210b)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롤러(210a, 210b)의 사이에 지지된다.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supports the shaft 10 wound with the nonwoven fabric or the shaft 10 wound with the nonwoven fabric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o rotate the shaft 10 supported thereon in the first direction . That is,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rotates the shaft 10 to allow the nonwoven fabric to be wound on the shaft 10. In order to support the shaft 1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may include two rollers 210a and 210b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two rollers 210a and 210b may have different sizes, but preferably have the same size. The shaft 10 is supported between the two rollers 210a and 210b, as shown in Fig.

제1 압축롤러(220)는 제1 지지롤러(210)와 함께 샤프트(10)를 회전시키고, 샤프트(10)에 감기는 부직포에 압력을 인가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압축롤러(220)는 부직포가 감긴 샤프트(10)를 사이에 두고 제1 지지롤러(2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축롤러(220)가 부직포에 인가하는 압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압축롤러(220)는 압력조절부재(221)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221)는 복수의 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롤러(210) 및 제1 압축롤러(220)의 외면은 일정한 곡률의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지지롤러(210) 및 제1 압축롤러(220)에 의해 가공되는 부직포의 외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rotates the shaft 10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applies pressure to the nonwoven fabric wound around the shaft 10. To this e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with the shaft 10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221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by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to the nonwoven fabric.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2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weights. As shown in FIGS. 2 and 3A,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are preferably curved surfaces having a constant curvatur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no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processed by the first supporting roller 210 and the first pressing roller 220.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제어부는 제1 지지롤러(210) 및 제1 압축롤러(2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롤러(210) 및 제1 압축롤러(220)에 의해 성형된 부직포 성형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부직포 적층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부는 부직포가 샤프트(10)에 감기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제1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1 지지롤러(210)와 상기 제1 압축롤러(220)를 제1 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시간이 경한 후 제2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1 지지롤러(210)와 제1 압축롤러(220)를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어부를 통하여 제1 지지롤러(210)와 제1 압축롤러(2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면, 상기 제1 시간 동안 권취된 필터링 부재의 제1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부직포 적층 밀도를 갖게 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권취된 필터링 부재의 제2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부직포 적층 밀도를 갖게 될 수 있다. 즉, 내부 중공을 형성하는 내부면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부직포의 적층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외부면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부직포의 적층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필터링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control unit can adjust the rotation speeds of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That is, the nonwoven fabric formed by the first supporting roller 210 and the first pressing roller 220 may have a different nonwoven fabric laminated density depending on the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rotates the first supporting roller 210 and the first pressing roller 220 at a first speed for a first time from the moment when the nonwoven fabric starts to be wound on the shaft 10,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may be rotated at a second speed that is faster than the first speed during a second time after the first time has elaps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s of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a relatively high nonwoven fabric lamination density can be obtained in the first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wound for the first time ,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wound for the second time may have a relatively low nonwoven fabric lamination density.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filtering member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of nonwoven fabric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inner hollow and a relatively low density of nonwoven fabric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제2 지지롤러(230)는 제1 지지롤러(210)와 이격되고, 제1 지지롤러(2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지지롤러(230)는 제1 지지롤러(210) 및 제1 압축롤러(220)에 의해 부직포가 감겨진 샤프트(10)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1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2 지지롤러(230)는 제1 지지롤러(210)와 유사하게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롤러(230a, 230b)를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가 감겨진 샤프트(10)는 상기 2개의 롤러(230a, 230b)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2 지지롤러(230)의 2개의 롤러(230a, 230b)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second support roller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The second support roller 230 supports the shaft 10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by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the first compression roller 220 and rotates the shaft 10 in the first direction . That is, the second support roller 230 may include two rollers 230a and 230b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similar to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 The shaft 10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rollers 230a and 230b and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two rollers 230a and 230b of the second support roller 230. [

제2 압축롤러(240)는 제2 지지롤러(230)와 함께 부직포가 감겨진 샤프트(10)를 회전시키고, 샤프트(10)에 감긴 부직포의 외면에 다수의 그루브를 형성한다. 제2 압축롤러(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가 감겨진 샤프트(10)를 사이에 두고 제2 지지롤러(2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축롤러(240)의 외면에는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폐곡선, 즉, 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The second compression roller 240 rotates the shaft 10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together with the second support roller 230 and forms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ound around the shaft 10. The second compression roller 24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cond support roller 230 with the shaft 10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wound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2 and 3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mpression roller 240,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 forming the grooves may be forme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curve, that is, a circle.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절단기(250)는 제1 지지롤러(210)와 제2 지지롤러(23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10)에 감기는 생분해성 부직포를 절단할 수 있다. 절단된 부직포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롤러(230) 및 제2 압축롤러(240)에 의해 가공된다. 절단기(250)로는 다양한 도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 또는 저항선을 상기 절단기(250)로 사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 부직포의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된 열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부직포를 절단할 수 있다. The cutter 250 may cut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wound around the shaft 10 at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roll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roller 230. The cut nonwoven fabric is processed by the second supporting roller 230 and the second pressing roller 240 as described above. A variety of tools may be used as the cutter 25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wire or a resistance wire that generates heat by receiving electrical energy may be used as the cutter 250. The nonwoven fabric can be cut by moving the hot wire heated to the melting point of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분리기(260)는 제2 지지롤러(230) 및 제2 압축롤러(240)에 의해 성형된 부직포 성형체를 상기 샤프트(10)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가 감긴 샤프트(1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기(260)를 좌우 방향, 즉 상기 샤프트(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성형된 부직포 성형체를 상기 샤프트(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샤프트(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샤프트 지지부재(310) 및 샤프트 압축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0)의 일 단부에 인접한 샤프트(10) 부분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310)는 상기 돌출부의 직경보다는 작으나, 상기 샤프트(1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압축부재(330)는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310)의 홈에 끼워진 샤프의 일 단부를 밀어 줌으로써 샤프트(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샤프트 압축부재(330)에 의해 상기 샤프트(10)의 돌출부가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310)에 압착되어 상기 샤프트(10)가 고정되는 것이다. The separator 260 separates the nonwoven fabric molded body formed by the second supporting roller 230 and the second pressing roller 240 from the shaft 10. The separator 260 is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0 in a state where the shaft 10 with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wound thereon is fixed, 10).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uid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haft support member 310 and a shaft compression member 330 for fixing the shaft 10. A portion of the shaft 10 adjacent to one end of the shaft 10 may have a protrus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shaft support member 310 may have a diameter But it may have a groove having a size such that the shaft 10 can be inserted. The shaft compression member 330 can fix the shaft 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pushing one end of the shaft inserted in the groove of the shaft support member 310. That is,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shaft 10 is pressed on the shaft support member 310 by the shaft compression member 330 to fix the shaft 10.

분리기(260)는 샤프트(10)의 직경보다는 크고, 샤프트(10)에 감긴 부직포 성형체의 직경보다는 작은 홈을 구비한다. 분리기(260)는 고정된 샤프트(10)에 감긴 부직포 성형체를 일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샤프트(10)로부터 부직포 성형체를 분리할 수 있다. 샤프트(10)에 감긴 부직포 성형체를 샤프트(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갑작스럽게 큰 힘을 부직포 성형체에 인가하게 되면, 부직포 성형체가 변형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필터의 제조 장치는 분리기(260)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는 상기 분리기(260)가 이동하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최대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제어부는 상기 분리기(260)는 이동하기 시작하여 제1 시간 동안에는 점차적으로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분리기(260)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의 제2 시간동안에는 상기 분리기(260)를 상기 제1 시간동안 증가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제어부를 이용하여 분리기(26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샤프트(10)에 감긴 부직포 성형체가 분리 단계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parator 260 has a groove tha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aft 1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onwoven fabric molded body wound on the shaft 10. The separator 260 can separate the nonwoven fabric molded body from the shaft 10 by pushing the nonwoven fabric molded body wound around the fixed shaft 10 in one direction. If a sudden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molded body for separating the nonwoven fabric molded body wound on the shaft 10 from the shaft 10, there is a risk that the nonwoven fabric molded body is deform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separator 260. The second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ime taken from the moment the separator 260 starts to move to reach the maximum speed. That is, the second control unit moves the separator 260 such that the separator 260 starts to move and gradually increases in speed during the first time, and during the second time after the first time elapses, the separator 260 260 may be moved at an increased rate during the first time. By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separator 260 using the second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nwoven fabric body wound on the shaft 10 from being deformed in the separating step.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 샤프트 11 : 유로
13 : 테프론 테이프 110 : 필터링 부재
130 : 중공 210 : 제1 지지롤러
220 : 제1 압축롤러 230 : 제2 지지롤러
240 : 제2 압축롤러 250 : 절단기
260 : 분리기 270 : 가열 박스
280 : 온도 센서 310: 샤프트 지지부재
330 : 샤프트 압축부재
10: shaft 11:
13: Teflon tape 110: Filtering member
130: hollow 210: first support roller
220: first compression roller 230: second support roller
240: second compression roller 250: cutter
260: separator 270: heating box
280: Temperature sensor 310: Shaft support member
330: shaft compression member

Claims (6)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쪽 단부가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도록 소정 두께로 감겨진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부재는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내부면 및 상기 내부면에 대향하는 외부면을 가지며,
상기 부직포는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 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PCL),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히드록시부틸산(poly hydroxy butyric acid, PHB), D-3-히드록시 부틸산(D-3-hydroxy butyric acid),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코아디페이트(Polybutylene Succinate-[0036] co-adipate, PBSA) 및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푸마릭(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구비하는 생분해성 수지 및 백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탈크(Talc) 및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구비하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
And a filtering member made of a nonwoven fabric wound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form a hollow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thereof,
Wherein the filtering member has an inner surface forming the hollow and an outer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The nonwoven fabric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PGA), poly caprolactone (PCL), aliphatic polyester resin, polyhydroxybutyric acid PHB), D-3-hydroxy butyric acid,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 succinate-co- biocomposite, barium sulfate,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talc), a biodegradable resin having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vinylpyrrolidone (PVP), adipate, PBSA and 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And calcium carbonate (CaCO3). 2. The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arbonate (CaCO3) and calcium carbonate (CaCO3).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부재는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내부면 및 상기 내부면에 대향하는 외부면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내부면에 인접한 상기 필터링 부재의 제1 부분에서의 상기 부직포의 적층밀도는 상기 외부면에 인접한 상기 필터링 부재의 제2 부분에서의 상기 부직포의 적층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
The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surface forming the hollow and an outer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Wherei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first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is greater than the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fil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의 기공률은 상기 제2 부분에서의 기공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 The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orosity in the firs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porosity in the secon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면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inner surface is a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curv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직경은 상기 필터링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유체 여과용 필터. The filter for biodegradable fluid filt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meter of the hollow decreases from one end of the filtering member to the other end opposite thereto.
KR1020110075737A 2011-07-29 2011-07-29 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KR101414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37A KR101414000B1 (en) 2011-07-29 2011-07-29 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37A KR101414000B1 (en) 2011-07-29 2011-07-29 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55A KR20130013855A (en) 2013-02-06
KR101414000B1 true KR101414000B1 (en) 2014-08-06

Family

ID=4789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737A KR101414000B1 (en) 2011-07-29 2011-07-29 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0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48B1 (en) * 2015-04-30 2016-12-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Natural filter
KR102339567B1 (en) * 2021-03-02 2021-12-16 에콜그린텍(주) Pla sediment filt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228A (en) 1995-09-29 2000-05-16 Biotec Biologische Natuverpackungen Gmbh & Co., Kg Biodegradable filter materia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50107822A1 (en) 2003-11-18 2005-05-19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lar filter with bioabsorbable centering element
KR20090052827A (en) * 2007-11-21 2009-05-26 이베에스 필트란 쿤스츠토프-/메탈러조이그니세 게엠베하 A filter element
KR20100033795A (en) * 2008-09-22 2010-03-3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Cylindrical depth filter for filtering fl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228A (en) 1995-09-29 2000-05-16 Biotec Biologische Natuverpackungen Gmbh & Co., Kg Biodegradable filter materia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50107822A1 (en) 2003-11-18 2005-05-19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lar filter with bioabsorbable centering element
KR20090052827A (en) * 2007-11-21 2009-05-26 이베에스 필트란 쿤스츠토프-/메탈러조이그니세 게엠베하 A filter element
KR20100033795A (en) * 2008-09-22 2010-03-3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Cylindrical depth filter for filtering fl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55A (en)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927B1 (en) Filter web comprising fine fiber and reactive, adsorptive or absorptive particulate
KR102109724B1 (en) Filter Media for Liquid Filter and Liquid Filter Using the Same
US20080060328A1 (en) Filter and filter media
US7988860B2 (en) Superabsorbent-containing web that can act as a filter, absorbent, reactive layer or fuel fuse
EP2086714B1 (en) Filter elemen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KR101026928B1 (en) Water fil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414000B1 (en) Biodegradable filters of filtering fluid
KR101739845B1 (en) Cartridge filter using composition adiabatic fiber yarn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9174152B2 (en) Filter mediu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50079700A (en) Hot stamping machine
EP1448826A1 (en) Three-dimensional non-woven media, filter and process
US11944926B2 (en) Filter media ribbons with nanofibers formed thereon
JP6353532B2 (en) Depth filter cartridge by melt blow
KR101054533B1 (en) Filters of filtering fluid and apparatuses of manufacturing the filters
JP7103757B2 (en) Filtration device
KR200206449Y1 (en) Cylindrical filter having multi-layer
JPWO2019163400A1 (en) Oil adsorb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il adsorbent
KR20160083561A (en) Filter assembly comprising media of gradually decreasing dens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20085399A (en) Filter to check replacement time by activating patterns
WO2018159724A1 (en) Organic-inorganic mixture, use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40142611A (en) Non-woven fabric having activated carbon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717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dia for packed tower
JP5267837B2 (en) Adsorbent heat-fixed mesh fabric form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JP2018059249A (e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biodegrad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using the same, and biodegradable beverage extraction capsule using the beverage extraction filter
KR20160079352A (en) Multi-stage filtration induced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