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781B1 -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 Google Patents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781B1
KR101410781B1 KR1020130092218A KR20130092218A KR101410781B1 KR 101410781 B1 KR101410781 B1 KR 101410781B1 KR 1020130092218 A KR1020130092218 A KR 1020130092218A KR 20130092218 A KR20130092218 A KR 20130092218A KR 101410781 B1 KR101410781 B1 KR 101410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central portion
stacked
capacity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용
방승현
이경호
김민지
최원준
심정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8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between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01C1/028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the resistive element being embedded in insulation with outer enclosing she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applyin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형 구조로 이루어진 대용량 저항체에 있어서 층간 전자기적 반발력이 최소화되고 발열성이 향상된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저항체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하판; 상기 하판 내에 수용되며 지그재그형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하측 도선; 일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측 도선에 면대칭되도록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상측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일단부와 상기 하판의 일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연결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측 도선과 상기 상측 도선이 접속되며, 상기 하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은 상기 상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Stacked Type High Capacity Current Limit Resister}
본 발명은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형 구조로 이루어진 대용량 저항체에 있어서 층간 전자기적 반발력이 최소화되고 발열성이 향상된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장측정장비 또는 고장전류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한류기 등에는 일시적으로 대용량 저항을 감당하기 위하여 대용량 저항체가 필요하다. 즉, 대용량 저항체는 일시적으로 매우 큰 전류가 통전될 때 발생되는 강한 전자기력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대용량 저항체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록특허 제10-0208046호 '대용량 저항체'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 저항체에서는 통상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발열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초전도체를 이용한 대용량 저항체가 많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초전도체를 이용한 저항체의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5054호 '초전도 저항형 한류기'외 여러 문헌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초전도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커다란 단점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저항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도선을 활용하여 제작하되 도선의 길이를 길게 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공간적 제한사항이 있다. 대용량 저항체가 넓은 공간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공간상 제약이 없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한류기와 같이 규격화되어 있는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등 공간상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주어진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적 한계를 고려하여, 도선의 흐름을 지그재그 형태로 흐르도록 설계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판을 다수개 이어붙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처럼 대용량 저항체를 박판적층형(薄板積層形)으로 하였을 경우, 두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는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발열의 문제이고, 둘째는 층간 전자반발력의 문제이다.
적층된 판 사이에는 밀집되어 형성되는 도선으로 인해 전자기적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인접한 두 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도선에 전류가 같은 방향으로 흐를 때는 인력이 발생하고, 도선에 전류가 반대 방향으로 흐를 때는 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두 층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밀어내는 전자기력이 크게 발생하여 층간에 비틀림이나 분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손이 발생하거나 내구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층형 구조로 된 대용량 저항체에 있어서 각 층간 전류의 흐름에 따른 전자반발력이 최소화되는 대용량 저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형 저항체 유닛들의 단순 결합에 의해 임의의 대용량 저항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은 일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하판; 상기 하판 내에 수용되며 지그재그형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하측 도선; 일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측 도선에 면대칭되도록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상측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일단부와 상기 하판의 일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연결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측 도선과 상기 상측 도선이 접속되며, 상기 하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은 상기 상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중앙부와 상기 하판의 중앙부 사이에는 절연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일부에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 제공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는 일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하판; 상기 하판 내에 수용되며 지그재그형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하측 도선; 일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측도선에 면대칭되도록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상측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일단부와 상기 하판의 일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연결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측 도선과 상기 상측 도선이 접속되며, 상기 하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은 상기 상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 다수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상판 타단부 및 이에 인접하여 위에 놓이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하판 타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결합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상판 중앙부와 하판 중앙부 사이 및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 사이에는 절연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판은 상기 절연판 아래에 배치되는 하판 또는 상판에 부착되며, 상기 절연판은 상기 절연판 위에 배치되는 상판 또는 하판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일부에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지지로드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에는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을 서로 이격시킨 채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에 의하면, 적층형 구조로 된 대용량 저항체에 있어서 각 층간 전류의 흐름이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층간 전자반발력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층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판 및 공기층으로 인해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출되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절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층형 저항체 유닛의 단순 결합에 의해 임의의 크기의 대용량 저항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작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상판 및 하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하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저항체는 일단부(11)는 중앙부(12)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타단부(13)는 중앙부(12)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하판(10); 상기 하판(10) 내에 수용되며 지그재그형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하측 도선(19); 일단부(21)는 중앙부(22)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23)는 중앙부(22)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판(20); 및 상기 상판(20)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측 도선(19)에 면대칭되도록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상측 도선(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상판 및 하판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100)은 크게 하판(10)과 상판(20) 및 절연판(50)으로 구성된다.
하판(10)은 장방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판(1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가볍고 튼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에폭시 동판이나 페놀 동판 등 PCB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10)은 크게 중앙부(12)와 도면상 중앙부(12)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일단부(11) 및 타단부(13)로 구분될 수 있다.
하판(10) 중앙부(12)는 넓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하측 도선(19)의 대부분이 배치되는 공간이 된다. 또한 중앙부(12)에는 후술하는 절연판(50)이 결합된다.
하판(10) 일단부(11)는 중앙부(12)와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하판(10) 일단부(11)는 상판(20) 일단부(21)와 접촉하여 연결부(30)를 이루게 된다.
하판(10) 타단부(13)는 하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형태를 이루면서 하판 결합부(41)를 형성한다. 절곡되는 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하판 결합부(41)는 하향 절곡됨에 따라 중앙부(12)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게 된다.
하측 도선(19)이 하판(10)에 부착된다. 하측 도선(19)은 하판(10)과는 별도로 구분된 도선이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에 의해 하판(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판(10)이 에폭시 동판이나 페놀 동판 등으로 하측 도선(19)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칭 기법이나 프린팅 기법에 의해 도선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도선(19)의 경로는 하판(10)의 폭을 따라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다.
하측 도선(19)의 일단에는 입력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출력단자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판(10)의 타단부(13)에는 입력단자(14)가 형성되고, 일단부(11)에는 출력단자(15)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14)와 출력단자(15)는 각각 하판(10)의 상면과 하면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단자(14)와 출력단자(15)는 단순히 전도성을 지닌 접촉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판(20)은 장방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상판(20)은 하판(10)과 같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20)의 재질 역시 하판(1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20)은 크게 중앙부(22)와 도면상 중앙부(22)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일단부(21) 및 타단부(23)로 구분될 수 있다.
상판(20) 중앙부(22)는 넓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상측 도선(19)의 대부분이 배치되는 구역이다. 또한, 중앙부(22)에는 후술하는 절연판(50)이 결합된다.
상판(20) 일단부(21)는 하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형태를 이룬다. 일단부(21)는 하향 절곡됨에 따라 중앙부(12)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판(20) 일단부(11)는 하판(10) 일단부(11)와 접촉하여 연결부(30)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연결부(30)는 세부적으로 상판 연결부(31)와 하판 연결부(32)로 구분할 수 있다. 상판 연결부(31)와 하판 연결부(32)의 결합은 접착이나 융착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판(20) 일단부(21)는 중앙부(22)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판(20)과 하판(10)이 연결부(30)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상판(20) 중앙부(22)는 하판(10) 중앙부(12)와 이격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판(20) 타단부(23)는 중앙부(22)와 평행하게 이루어져 상판 결합부(42)를 형성한다.
상측 도선(29)이 상판(20)에 부착된다. 상측 도선(29)은 상판(20)과는 별도로 구분된 도선이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에 의해 상판(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판(20)이 에폭시 동판이나 페놀 동판 등으로 상측 도선(19)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칭 기법이나 프링팅 기법에 의해 도선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도선(29)의 경로는 상판(20)의 폭을 따라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측 도선(29)은 하측 도선(19)에 면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판(20)의 폭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하판(10)의 폭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도선(29)의 일단에는 입력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출력단자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판(20)의 일단부(21)에는 입력단자(24)가 형성되고, 타단부(23)에는 출력단자(25)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24)와 출력단자(25)는 각각 상판(20)의 상면과 하면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단자(24)와 출력단자(25)는 단순히 전도성을 지닌 접촉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판(20)과 하판(10)의 일부에는 각각 관통홀(16,26)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상판(20)과 하판(1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판(20)과 하판(1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이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절연판(50)은 상판(20) 중앙부(22)와 하판(10) 중앙부(12) 사이에 결합된다. 절연판(50)이 상판(20)과 하판(1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판(20)과 하판(10)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적 힘을 차단하게 되며, 상판(20)과 하판(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100)의 전류 흐름을 살며보면, 하판(10)의 타단부(13)에 형성된 입력단자(14)에서 전류가 들어오는 경우, 하측 도선(19)의 도전경로를 따라 하판(10)의 일단부(11)로 이어지고, 연결부(30)에서 상판(20)의 일단부(21)에 형성된 입력단자(24)로 연결되며, 상측 도선(29)의 도전경로를 따라 상판(20)의 타단부(23)에 형성된 출력단자(25)로 흘러나가게 된다.
도 4에는 연결부(30)에서 상측 도선(29)과 하측 도선(19)의 결합이 점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연결부(30)에서 상측 도선(29)과 하측 도선(19)의 결합이 선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200)는 전술한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100)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단위체가 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100)의 세부구성은 같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200)는 전술한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100)을 임의의 갯수만큼 포개어 쌓아올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는 3개의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101,102,103)으로 이루어진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2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적층되는 유닛의 결합은 결합부(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유닛(101)의 상판 결합부(42)에 제2유닛(102)의 하판 결합부(91)가 결합됨으로써 제1유닛(101)과 제2유닛(102)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각 유닛의 사이에도 절연판(55)이 개재되어 각 유닛의 절연성을 높이고 결합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각 유닛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지지로드(95)가 삽입되고 나사결합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200)가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적층하는 유닛의 갯수를 달리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크기로 대용량 저항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200)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유닛(101) 하판(10)의 입력단자(14)를 통해 들어온 전류는 제1유닛(101) 상판(20)의 출력단자(25)를 통해 제2유닛(102) 하판(60)의 입력단자(64)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유닛에는 전류의 흐름이 연결되며, 각 유닛의 폭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판 사이에는 전자기적 척력으로 인한 파손이 일어나지 않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각 절연판에 의해서 전기적 절연이 유지되므로 전자기적 영향력은 감소되고 안정성은 더욱 증대하게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201)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200)와 전체적으로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각 유닛(101,102,103)의 상판 및 하판 위에 절연판(51,56)이 결합된다. 절연판(51,56)은 인접하여 위에 놓이는 상판 또는 하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절연판(51,56)과 절연판(51,56) 위에 놓이는 상판(또는 하판)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된다. 이를 위해, 지지로드(95)에는 스페이서(96)가 구비되어 각 판 및 각 유닛 사이의 간격이 이격된 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하판 11 일단부
12 중앙부 13 타단부
14 입력단자 15 출력단자
16,26 관통홀 19 하측 도선
20 상판 21 일단부
22 중앙부 23 타단부
24 입력단자 25 출력단자
29 상측 도선 30 연결부
31 하판 연결부 32 상판 연결부
40 결합부 41 하판 결합부
42 상판 결합부 50,55 절연판
51,56 절연판 60 하판
64 입력단자 91 하판 결합부
95 지지로드 96 스페이서
100 적측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 101,102,103 제1,제2,제3유닛
200, 201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Claims (8)

  1. 일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하판;
    상기 하판 내에 수용되며 지그재그형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하측 도선;
    일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측 도선에 면대칭되도록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상측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일단부와 상기 하판의 일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연결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측 도선과 상기 상측 도선이 접속되며, 상기 하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은 상기 상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부와 상기 하판의 중앙부 사이에는 절연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일부에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4. 일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 하판; 상기 하판 내에 수용되며 지그재그형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하측 도선; 일단부는 중앙부보다 낮은 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측도선에 면대칭되도록 전도경로를 형성하는 상측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이 다수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은 상기 상판의 일단부와 상기 하판의 일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연결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측 도선과 상기 상측 도선이 접속되며, 상기 하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은 상기 상측 도선의 폭방향 전류 흐름의 방향과 일치하며,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상판 타단부와 이에 인접하여 위에 놓이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하판 타단부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상판 중앙부와 하판 중앙부 사이 및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 사이에는 절연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은 상기 절연판 아래에 배치되는 하판 또는 상판에 부착되며, 상기 절연판은 상기 절연판 위에 배치되는 상판 또는 하판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의 일부에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지지로드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에는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상기 각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유닛을 서로 이격시킨 채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KR1020130092218A 2013-08-02 2013-08-02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KR10141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18A KR101410781B1 (ko) 2013-08-02 2013-08-02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18A KR101410781B1 (ko) 2013-08-02 2013-08-02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781B1 true KR101410781B1 (ko) 2014-06-23

Family

ID=5113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218A KR101410781B1 (ko) 2013-08-02 2013-08-02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99Y1 (ko) * 2017-07-18 2018-02-23 백용호 태양광 및 풍력 발전기용 댐핑 저항기 및 그 어셈블리
US10282024B2 (en) 2014-09-25 2019-05-07 Qeexo, Co. Classifying contacts or associations with a touch sensitiv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046B1 (ko) 1996-11-04 1999-07-15 김용철 대용량 저항기와 그 제조 방법
KR100280330B1 (ko) 1997-11-19 2001-02-01 조현복 저항기및그제조방법
KR100505054B1 (ko) 2003-09-30 2005-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전도 저항형 한류기
KR100715511B1 (ko) 2000-06-21 2007-05-08 주식회사진영정기 대용량 저항기의 방열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046B1 (ko) 1996-11-04 1999-07-15 김용철 대용량 저항기와 그 제조 방법
KR100280330B1 (ko) 1997-11-19 2001-02-01 조현복 저항기및그제조방법
KR100715511B1 (ko) 2000-06-21 2007-05-08 주식회사진영정기 대용량 저항기의 방열구조
KR100505054B1 (ko) 2003-09-30 2005-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전도 저항형 한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2024B2 (en) 2014-09-25 2019-05-07 Qeexo, Co. Classifying contacts or associations with a touch sensitive device
KR200485799Y1 (ko) * 2017-07-18 2018-02-23 백용호 태양광 및 풍력 발전기용 댐핑 저항기 및 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7455B2 (en) Power module and power device
CN204859861U (zh) 一种模块电源
JP4892637B2 (ja) ワイヤ・プリント回路基板
CN107534424B (zh) 噪声滤波器
EP3203625B1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apparatus
KR830008358A (ko) 마이크로 코일(microcoil)
CN102129925B (zh) 具有消游离装置的断路器灭弧室
CN105051840A (zh) 线圈一体型印刷基板、磁器件
KR101410781B1 (ko) 적층형 대용량 저항체
CN101553888A (zh) 多层导电结构和包括该结构的电位计
WO2011021156A4 (en) Integrated multi-phase planar transformer
JP2007202103A5 (ko)
JP2014053390A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CN110429009B (zh) 一种错层结构的2类固体继电器
US10381540B2 (en)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KR20150062957A (ko) 배선 기판
JP6680850B2 (ja) 金属塊溶接コラム組合せ及びそれを適用する電源モジュール
WO2002082542A1 (fr) Dispositif de puissance à semi-conducteurs
KR101380603B1 (ko) 인덕터
JP2017208531A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CN210245421U (zh) 一种错层结构的2类固体继电器
CN113096933A (zh) 多相耦合电感、多相耦合电感阵列及两相反耦合电感
JP6255236B2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構造
KR20200094423A (ko) 트랜스포머
CN202435711U (zh) 一种pcb板及包括该pcb板的电子元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