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995B1 - vegetables cultivation vessel - Google Patents

vegetables cultivation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995B1
KR101408995B1 KR1020120025164A KR20120025164A KR101408995B1 KR 101408995 B1 KR101408995 B1 KR 101408995B1 KR 1020120025164 A KR1020120025164 A KR 1020120025164A KR 20120025164 A KR20120025164 A KR 20120025164A KR 101408995 B1 KR101408995 B1 KR 10140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base
soi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4036A (en
Inventor
강영채
강성훈
김기풍
Original Assignee
강성훈
강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훈, 강영채 filed Critical 강성훈
Priority to KR102012002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995B1/en
Publication of KR2013010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0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9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를 가정에서 소비자가 직접 재배하여 수확할 수 있고, 수확 후 다시 파종하여 반복적으로 식물를 재배가 가능한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용기는 내부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도록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커버부와, 커버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시키되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반대방향으로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커버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시 상기 토양에 뿌리 내린 식물의 잎 또는 줄기를 상기 뿌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수확수단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vessel capable of directly harvesting a plant by a consumer at home and harvesting the plant after harvesting, thereby planting the plant repeatedly.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oil can be filled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opened, a cylindrical cover portion opened at the bottom, and a cover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 cover portion and a base portion, the cover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cover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like.

Description

식물 재배용기{vegetables cultivation vessel}Vegetable cultivation vessel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와 같은 식물을 가정에서 직접 재배하여 수확할 수 있고, 수확 후 다시 파종하여 반복적으로 식물 재배가 가능한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vessel capable of harvesting a plant such as a vegetable directly at home, and harvesting the plant after harvesting and repeating planting.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채식의 중요성 때문에 식물의 소비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Due to the recent interest in health and the importance of vegetarians, consumption of plants is steadily increasing.

소비되는 채소의 대부분은 농장에서 재배되는데, 대부분의 농장에서는 수확량 증대를 위해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등 인체에 유해한 농약을 사용한다.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는 소비자들도 부득이하게 농약이 사용된 채소를 구입하여 먹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무공해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Most of the vegetables consumed are grown on farms. Most farms use pesticides that are toxic to humans, such as insecticides, fungicides, and herbicides, to increase crop yields. Consumers who know this fact inevitably purchase and use the pesticide-used vegetables, so the demand of the consumers for the pollution-free vegetables is increasing.

그래서 직접 채소를 재배하여 식탁에 올리는 소비자들도 일부 있으나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둘러싸인 곳에서 생활하는 도시인들이 채소를 직접 재배하여 먹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고, 아파트에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더욱 그렇다.Therefore, some consumers raise their own vegetables and put them on the tabl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urban people who live in concrete and asphalt to grow vegetables and eat them more.

물론, 실내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채소를 키울 수는 있으나, 도시 주변에서 식물성장에 적합한 양질의 토양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고, 화분과 종자도 별도로 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기존의 화분은 화훼용으로 생산되어 심는 면적이 좁고 깊이가 깊어 넓은 면적이 필요한 채소재배에 부적합하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grow vegetables using indoor pollen, but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good quality soil suitable for plant growth around the city, and it is troublesome to purchase pollen and seed separately. It is not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of vegetables requiring a large area because of its narrow area and deep depth.

또한, 기존의 화분은 무겁고 깨지기 쉬워 그 유통 및 보관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물을 이용한 수경재배방법은 화분크기가 너무 크며 액체비료를 타서 주어야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으며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가 필요해 계속적인 유지보수와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ts are heavy and fragil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y require careful attention to their distribution and storage.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using wa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pollen is too large and inconvenience and troublesomeness to be given to the liquid fertilizer are required and the pump for circulating the water is required.

이와 같이 일반인들이 쉽게 가정에서 채소를 직접 재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나 제품이 현재까지 마땅히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작은 공간에서도 무공해 채소를 간편하게 직접 키울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Thus, there is no effective way or product to be able to grow vegetables directly at home easily. Therefore, even in a small space like a veranda of an apartment, a new product that can easily raise the pollution-free vegetables is desperately needed.

이를 위해 가정에서 손쉽게 채소를 키울 수 있는 식물재배용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0056839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식물재배용기는 음료수, 식품 용기 폐자재를 변형 조립 구성시켜 내부 배수공 외부 배수공을 뚫고 용기 주입구에 물 흡착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유도하는 " 스폰지" 기둥을 용기 하단에 세워 수분 흡착 전도하게 형성시켰다.A plant cultivation vessel capable of easily growing vegetables at home for this purpos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56839.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was constructed by deforming and assembling the drinking water and the food container waste material, and a "sponge" column for introducing moisture into the vessel inlet port through water discharge capillary phenomenon through the outer drain hole wa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vessel to adsorb moistur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물재배용기는 채소를 길러 수확시 식물의 뿌리를 흙으로부터 뽑은 후 잎이나 줄기와 같이 먹을 수 있는 가식 부위를 얻기 위해 다시 뿌리를 절단하여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plant cultivation vessel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plant roots after harvesting the vegetables by harvesting the roots and then cutting the roots again to obtain edible parts such as leaves and stem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채소와 같은 식물을 소비자가 직접 길러서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확이 용이한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vessel which can provide a safe food by cultivating plants such as vegetables directly and can be easily harvest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용기는 내부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도록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시키되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반대방향으로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시 상기 토양에 뿌리 내린 식물의 잎 또는 줄기를 상기 뿌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수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vessel comprising: a base part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filled with soil; A tubular cover portion with its bottom opene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cover unit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and coupling the cover unit and the base unit so that the cover unit and the base unit are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cover unit is coupled to the base unit; And harvesting means for separating leaves or stems of plants rooted on the soil when the cover or the base rotates.

상기 수확수단은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에서 발아된 식물의 싹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회전시 상기 커버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 1절단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arvesting means includes a first cutting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unit and having first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buds of the plant germinated in the soil can pass and is rotatable together with the cover unit when the cover unit rotates .

상기 제 1절단유니트는 상기 제 1관통홀들이 형성된 제 1망체와, 상기 제 1망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 1고정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cutting unit includes a first net having the first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first support frame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net, a first support fram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a fixed holder.

상기 수확수단은 상기 제 1절단유니트와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에서 발아된 상기 식물의 싹이 통과할 수 있는 제 2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 2절단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harvesting means is formed with second through holes which ar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to face the first cutting unit and through which the shoots of the plant germinated in the soil can pass, And a second cutting unit that is rotatable.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토양을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다수의 유통홀들이 형성된 토양받침판과,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유통홀들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oil support plate which supports the soil and is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and has a plurality of flow holes; a moisture absorbing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se to absorb moistur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holes, And an absorptive pad is provided.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는 중앙에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상의 배수홈을 갖는 요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n uneven portion having radial drain grooves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양에 씨앗을 파종 후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가정에서도 소비자가 용이하게 식물를 재배할 수 있어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plant easily at home even at home by simply seeding seeds in a soil and supplying appropriate moisture, thereby providing safe food.

또한, 다 자란 식물를 수확시 커버부 또는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면 제 1 및 제 2절단유니트에 의해 식물의 줄기나 잎이 뿌리로부터 절단되므로 용이하게 식물를 수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ulti-grown plant is harvested, the stem or leaf of the plant is cut from the root by the first and second cutting units when the cover or the base is rotated, so that the plants can be harvested easily.

그리고 식물의 수확 후 다시 씨앗을 파종하여 반복적으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므로 생활에 매우 유용하다. And it is very useful for life since plants can be planted repeatedly by sowing seed again after harvesting of pla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물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제 1절단유니트의 A부분을 통과하는 식물의 모습을 발췌하여 나타낸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기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nt passing through part A of the first cutting unit applied to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lant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기는 크게 베이스부(10)와, 커버부(20)와, 결합부와, 수확수단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10, a cover unit 20, a coupling unit, and a harvesting unit.

베이스부(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10)의 내부에는 토양(1)이 채워진다. 베이스부(10)의 바닥에는 다수의 유통홀들(13)이 형성된다. 유통홀(13)을 통해 배수나 통기가 이루어진다. 유통홀(13)은 베이스부(10)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의 하부에는 통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베이스부(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he soil (1) is filled in the base portion (10). A plurality of flow-through holes 13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0. Drainage or ventil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low-through hole 13. The flow hole 13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s well. A base portion 10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ith a support portion for separating the base portion 10 from the ground to increase air permeability.

베이스부(10)의 바닥에는 토양이 유통홀(13)을 통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의 부직포 시트(17)가 설치된다. 부직포 시트(17)는 물은 통과시키고 토양의 통과는 차단한다. 부직포 소재 외에도 물은 통과시키고 토양의 통과는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토양에는 각종 채소, 화훼 등의 각종 식물의 씨앗이 파종된다. A circular nonwoven fabric sheet 17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0 to prevent the soil from being lost through the flow hole 13.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passes water and blocks the passage of soil. In addition to nonwoven materials, sheets can be formed from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pass water and block the passage of soil. The seeds of various plants such as various vegetables and flowers are planted in the soil.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커버부(20)가 결합된다. 커버부(2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20)의 외경은 베이스부(10)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커버부(20)는 식물이 충분히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커버부(20)의 측면 및 상면에는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관통홀들(21)이 다수 형성된다. 특히, 커버부(2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서 물이 급수될 수도 있다. The cover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The cover portion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its bottom opene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ver portion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e portion 10. The cover portion 20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so as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plant can grow sufficientl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0). In particular,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0. [

상술한 베이스부(10) 및 커버부(20)는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채광을 위해 광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base portion 10 and the cover portion 20 described above can be molded and formed of synthetic resin for light weigh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ver portion 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passing light for mining.

베이스부(10)와 커버부(20)는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커버부(20)가 베이스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20) 및 베이스부(10)가 반대방향으로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portion 10 and the cover portion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base portion 10 can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in a state where the cover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0. [

도시된 결합부는 일 예로 커버부(20)의 하단에 형성된 립(30)과, 베이스부(10)의 상단에 형성되어 립(30)에 걸리는 고정구(31)를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lip 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portion 20 and a fastener 3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0 and hooked to the lip 30, for example.

립(30)은 커버부(2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립(30)의 외경은 베이스부(1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커버부(20)를 베이스부(10)에 결합시키면 립(30)이 베이스부(10)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구(31)가 립(30)의 상부에 걸려 커버부(20)가 베이스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lip (30)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ver portion (20). The outer diameter of the lip 3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se portion 10. When the cover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0, the rib 30 is seated on the top of the base portion 10. In this state, the fastener 31 is hoo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p 30 to prevent the cover portion 20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base portion 10.

고정구(31)는 베이스부(10)의 상단에 다수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31)에는 베이스부(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3)이 형성된다. 고정구(31)는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더라도 다시 안쪽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A plurality of fixtures 31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0. A total of four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s shown in FIG. The fastener (31)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33) protruding inward of the base part (10). The fastener 31 has an elastic force so as to be able to return to the inside direction again even if it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베이스부(10)에 커버부(2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고정구(31)는 바깥 방향으로 벌어져 립(30)이 베이스부(10)의 상단까지 진입한다. 립(30)이 베이스부(10)의 상단에 안착되면 고정구(31)는 복귀하여 걸림턱(33)이 립(30)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립(30)이 걸림턱(33)에 걸려 커버부(20)가 베이스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fixing member 31 spreads outward in the course of coupling the cover unit 20 to the base unit 10 so that the lip 30 enters the upper end of the base unit 10. When the lip 3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0, the fastener 31 is returned and the fastener 33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p 30. The lips 30 are caught by the latching jaws 33 to prevent the cover portion 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se portion 10.

상술한 결합부는 커버부가 베이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이므로 베이스부(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버부(2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베이스부(1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 및 베이스부(10)를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Since the above-described coupling portion only prevents the cover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portion, the cover portion 20 can be rotated in either direction while the base portion 10 is fixed. Further, the base portion 10 can be rotated in either direction while the cover portion 20 is fixed. Further,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base portion 10 can b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은 수확시 토양(1)에 뿌리 내린 식물의 잎 또는 줄기를 뿌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수확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확수단은 채소의 재배시 매우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rvesting means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leaves or stems of plants rooted in the soil (1) at the time of harvest from the roots. These harvesting methods are very useful for the cultivation of vegetables.

수확수단으로 커버부(20)의 하부에 결합된 제 1절단유니트(50)와,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결합된 제 2절단유니트(70)를 구비한다. A first cutting unit 5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unit 20 as harvesting means and a second cutting unit 7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10.

제 1절단유니트(50)는 제 1관통홀들(52)이 형성된 제 1망체(51)와, 제 1망체(5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지지프레임(53)과, 지지프레임(53)의 상부에 형성되어 커버부(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 1고정홀더(55)를 구비한다. The first cutting unit 50 includes a first net 51 formed with first through holes 52, a first support frame 53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net 51, And a first fixing holder 55 formed on the top of the cover 20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0.

제1지지프레임(53)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 1지지프레임(53)의 외경은 커버부(2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 1망체(51)는 제 1지지프레임(53)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 1망체(51)에는 다수의 제 1관통홀들(52)이 마련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망체(51)는 금속와이어를 엮어서 형성한 그물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그물코가 제 1관통홀(52)이 된다. 그물 구조와 달리 제 1망체(51)는 원판 형상의 패널에 다수의 제 1관통홀들을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frame 53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frame (53)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ver portion (20). The first netting 51 is formed inside the first support frame 53.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52 are formed in the first net 51.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net 51 has a net structure formed by weaving metal wires. Therefore, the mesh becomes the first through hole 52. Unlike the net structure, the first net 51 may b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in a disk-shaped panel.

제 1고정홀더(55)는 제 1지지프레임(53)의 상단에 다수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홀더(55)의 각각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57)이 형성된다. 제 1고정홀더(55)는 안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다시 바깥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A plurality of first fixed holders 55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53. A total of four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s shown in FIG. Each of the first fastening holders 55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57 protruding outward. The first fixing holder 55 has an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return to the outward direction even if it is tilted inward.

커버부(20)에 제 1절단유니트(5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 1고정홀더(55)는 안쪽방향으로 기울어져 제 1절단유니트(50)가 커버부(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 1고정홀더(55)의 걸림턱(57)이 커버부(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제 1절단유니트(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커버부(20)에 결합된 제 1절단유니트(50)는 커버부(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The first fixing holder 55 is inclined inward to insert the first cutting unit 50 into the cover 20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cutting unit 50 to the cover 20. [ The engaging step 57 of the first fixing holder 5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0 to prevent the first cutting unit 50 from being separated. The first cutting unit 50 coupled to the cover unit 20 rotates together with the cover unit 20 when the cover unit 20 rotates.

제 2절단유니트(70)는 제 1절단유니트(50)와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에 결합된다. 제 2절단유니트(70)는 제 2관통홀들(72)이 형성되며 상기 토양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망체(71)와, 상기 제 2망체(7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지지프레임(73)과, 상기 제 2지지프레임(73)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 2고정홀더(75)를 구비한다. The second cutting unit 70 is coupled to the base unit 10 to face the first cutting unit 50. The second cutting unit 70 includes a second net 71 formed with second through holes 72 and located on the top of the soil and a second supporting frame 71 formed on the edge of the second net 71 And a second fixing holder 75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73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이러한 제 2절단유니트(70)는 상술한 제 1절단유니트(50)와 상하 위치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다.The second cutting unit 7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cutting unit 50 except that the second cutting unit 70 is vertically positioned.

베이스부(10)에 제 2절단유니트(7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 2고정홀더(75)는 안쪽방향으로 기울어져 제 2절단유니트(70)가 베이스부(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 2고정홀더(75)의 걸림턱(77)이 베이스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홈(15)에 끼워져 제 1절단유니트(70)의 이탈을 방지한다. 베이스부(10)에 결합된 제 2절단유니트(70)는 베이스부(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The second fixing unit 75 is inclined inward to insert the second cutting unit 70 into the base unit 10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second cutting unit 70 to the base unit 10. The engaging step 77 of the second fixing holder 7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0 to prevent the first cutting unit 70 from being separated. The second cutting unit 70 coupled to the base unit 10 rotates together with the base unit 10 while rotating.

이하에서 상술한 식물 재배용기의 작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lant cultivation vessel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베이스부(10)의 바닥에 부직포 시트(17)를 깐 후 베이스부(10)의 내부에 토양(1)을 채운다. 그리고 제 2절단유니트(70)를 베이스부(10)에 설치한 후 재배하고자 하는 채소의 씨앗을 파종한다. 파종 후 물을 뿌려 토양(1)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파종을 먼저 하고 제 2절단유니트(70)를 베이스부(10)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rst,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n the soil 1 is filled in the base portion 10. After the second cutting unit 70 is installed on the base 10, seeds of vegetables to be cultivated are sown. After sowing, water is sprayed to supply the soil (1) with appropriate moistu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econd cutting unit 70 can be installed on the base 10 before seeding.

다음으로 제 1절단유니트(50)를 커버부(20)에 설치한 후 커버부(20)를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결합시킨 후 적절한 온도에서 발아시킨다. 발아된 식물의 싹은 자라면서 제 2절단유니트(70) 및 제 1절단유니트(50)를 통과하여 상부로 자란다. 제 1절단유니트(50)를 통과하여 자란 식물의 줄기(3)가 제 1망체(51)의 제 1관통홀(52)에 삽입된 모습을 도 3에 나타내고 있다. Next, after the first cutting unit 50 is installed on the cover 20, the cover 20 is glued to the top of the base 10 and germinated at a suitable temperature. The sprouts of germinated plants grow through the second cutting unit 70 and the first cutting unit 50 while growing. 3 shows a state where a stem 3 of a plant that has grown through the first cutting unit 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52 of the first netting 51. [

재배기간 동안 수분의 공급은 커버부(20)의 상부에 형성된 급수홀(21)을 통해 이루어진다. 물을 커버부(20)의 위에서 뿌리면 물이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21)을 통해 커버부(20)의 내부로 유입된다.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2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20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When water is sprayed from the top of the cover part 20,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over part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수확이 가능할 정도로 채소가 충분히 자라면 수확수단을 통해 채소를 수확하게 된다. 베이스부(1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커버부(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절단유니트(50)와 제 2절단유니트(70)는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망체(51) 및 제 2망체(51)를 통과하여 자라는 채소의 줄기는 비틀어져 끊어진다. 따라서 채소의 줄기 또는 잎은 뿌리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확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채소의 줄기 또는 잎을 수확할 수 있다. If enough vegetables are available to harvest, they will harvest vegetables through harvesting means. The first cutting unit 50 and the second cutting unit 70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base unit 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cover unit 2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a result, the stem of the vegetable growing through the first net 51 and the second net 51 is twisted and broken. Therefore, the stem or leaf of the vegetable is cut off from the root and separate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harvest stem or leaf of vegetables through harvesting means.

또한, 채소의 수확 후 토양에 남은 뿌리를 제거한 후 다시 씨앗을 파종하여 채소를 반복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grow vegetables repeatedly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roots in the soil after harvesting the vegetables, and seeding the seeds again.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재배용기는 수확수단으로 커버부(20)에 결합되는 제 1절단유니트(50)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4,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ly the first cutting unit 50 that is coupled to the cover unit 20 by the harvesting means.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of FIG. 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커버부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80)는 하부가 개방된 다각형의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커버부(80)는 팔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사각, 오각, 육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 cov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5, the cover portion 80 has a polygonal tubular structure with its bottom ope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ver portion 80 is made of an octagon. Alternatively, it may have a square, pentagonal or hexagonal structure.

그리고 커버부(80)의 상부에는 요철부(90)가 구비된다. 요철부(90)는 다수의 배수홈(95)으로 이루어진다. 배수홈(95)은 커버부(80)의 중앙에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상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부(90)에 의해 과잉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 배수홈(95)을 따라 물을 외부로 신속히 흘려 보낼 수 있다. A concave / convex portion 9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80.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9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drainage grooves 95. The drainage groove 95 is formed in a radial shap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cover portion 80. When excess water is supplied by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90, water can be rapidly flowed to the outside along the drain groove 9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기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도시된 베이스부(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의 내부에는 베이스부(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판형의 토양받침판(100)이 설치된다. 토양받침판(100)은 베이스부(1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토양받침판(100)에는 다수의 유통홀들이 형성된다. 토양받침판(100)의 상부에는 토양(1)이 채워진다. 이 경우 토양(1)이 유통홀을 통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시트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base portion 10 shown in Fig. 6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In the interior of the base portion, a plate-like soil support plate 100 for vertically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10 is provided. The soil receiving plate 100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0. In the soil receiving plate 100, a plurality of flow holes are formed. The soil (1) is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oil receiving plate (100).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nonwoven fabric sheet can be installed to prevent the soil 1 from being lost through the flow holes.

베이스부(10)의 하부에 위치한 빈 공간에는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부직포나 압착솜 등으로 만들어진 수분흡수패드(110)가 설치된다. A moisture absorbing pad 110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a press-bonding pad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is installed in an empty spac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토양(1)에 공급되고 남은 잉여의 물은 토양받침판(100)의 유통홀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수분흡수패드(110)에 흡수된다. 수분흡수패드(110)에 흡수된 물은 서서히 증발되어 토양(1)으로 수분을 공급하므로 토양(1)의 건조를 방지하여 토양(1)이 적절한 수분을 갖도록 유지시킨다. Surplus water supplied to the soil 1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flow hole of the soil supporting plate 100 and absorbed by the water absorbing pad 110. The water absorbed in the water absorbing pad 110 gradually evaporates to supply moisture to the soil 1, thereby preventing the soil 1 from drying and maintaining the soil 1 to have proper moisture.

도 6에서 베이스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6, except for the base portio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of FIG. 1,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베이스부 17: 부직포시트
20: 커버부 50: 제1절단유니트
70: 제 2절단유니트
10: base portion 17: nonwoven sheet
20: cover part 50: first cutting unit
70: a second cutting unit

Claims (6)

내부에 토양이 채워질 수 있도록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형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시키되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반대방향으로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시 상기 토양에 뿌리 내린 식물의 잎 또는 줄기를 상기 뿌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수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기.
A base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so that the soil can be filled therein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 tubular cover portion with its bottom opene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cover unit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and coupling the cover unit and the base unit so that the cover unit and the base unit are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cover unit is coupled to the base unit;
And harvesting means for separating a leaf or stem of a plant rooted on the soil when the cover or the base rotates, from the ro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수단은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에서 발아된 식물의 싹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회전시 상기 커버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 1절단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rvesting means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and is formed with first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sprouts of the plant germinated in the soil can pass, A plant growing vessel comprising a first cutt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절단유니트는 상기 제 1관통홀들이 형성된 제 1망체와, 상기 제 1망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 1고정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기.[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cutting unit comprises: a first netting having the first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first support frame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netting; And a first fixing holder fixed to the side su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수단은 상기 제 1절단유니트와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에서 발아된 상기 식물의 싹이 통과할 수 있는 제 2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 2절단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arvesting means is formed with second through hole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so as to face the first cutting unit, through which the sprouts of the plant germinated in the soil can pass, And a second cutting unit rotatable together with the bas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토양을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다수의 유통홀들이 형성된 토양받침판과,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유통홀들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unit comprises: a soil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soil and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flow holes; And a water absorbing pad for absorbing moisture that is generated by the water absorbing p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는 중앙에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상의 배수홈을 갖는 요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기.[2] The plant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having a radial drain groove extending from a center to an outer side.
KR1020120025164A 2012-03-12 2012-03-12 vegetables cultivation vessel KR1014089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64A KR101408995B1 (en) 2012-03-12 2012-03-12 vegetables cultivation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64A KR101408995B1 (en) 2012-03-12 2012-03-12 vegetables cultivation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36A KR20130104036A (en) 2013-09-25
KR101408995B1 true KR101408995B1 (en) 2014-06-17

Family

ID=4945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64A KR101408995B1 (en) 2012-03-12 2012-03-12 vegetables cultivation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9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9205B (en) * 2014-01-15 2015-08-26 华南理工大学 A kind of rhizosphere soil is separated and the plant roots bag Synthetical cultivation device collected
KR102235075B1 (en) * 2018-07-04 2021-04-02 주식회사 시스비젼 Apparatus for hydroponics
GB201814237D0 (en) * 2018-08-31 2018-10-17 Morris Brothers And Company Holdings Ltd An improved plant pot
KR102160899B1 (en) * 2020-05-29 2020-09-29 최은희 Hydroponics apparatus
US20220095552A1 (en) * 2020-09-30 2022-03-31 Cambridge Research & Development, Inc. Methods for cultivation using protected growing wells and related structu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596U (en) * 1989-09-26 1991-05-23
KR200362222Y1 (en) 2004-06-23 2004-09-16 전영곤 A culture medium of sprout vegetable
KR200393056Y1 (en) 2005-05-18 2005-08-17 박성숙 Multipurpose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596U (en) * 1989-09-26 1991-05-23
KR200362222Y1 (en) 2004-06-23 2004-09-16 전영곤 A culture medium of sprout vegetable
KR200393056Y1 (en) 2005-05-18 2005-08-17 박성숙 Multipurpos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36A (en)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94B1 (en) The high yield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trawberry and the small-sized vegetable type which uses the multilayer structural implement
CN110476730B (en) Plant grow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said system
CA2733098C (en) Plant growing assembly
KR101408995B1 (en) vegetables cultivation vessel
CA2473590A1 (en) Seed germination and plant supporting utility
EP2341766A1 (en) Container gardening system
US6370820B1 (en) Self-watering vertical supporting planter
KR101035022B1 (en) Preengineered flowerpot apparatus
KR101362925B1 (en) Multifunctional household device for cultivating vegetable and sprout
KR101419119B1 (en) Vertical type planting structure
KR100653373B1 (en) An assemble type flowerpot for growing gardening
JP2018191560A (en) Simple hydroponic device for general household
JP2004208611A (en) Method for cultivating japanese yam by nutritious liquid,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the same
KR200370417Y1 (en) Home plant cultivation
US20110289837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KR101685568B1 (en) Bed set for hydroponic culture screen cup is set
KR20130022838A (en) Cultivating pot for growing vegetables and device for growing vegetables
JP6981084B2 (en) Planter for wall greening
JP6535663B2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US11871711B2 (en) Root trellis for use in hydroponic growing and methods of using same
JP6704024B2 (en) Plant cultivation device,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20120056080A (en) Stacking type plantpot
KR101341841B1 (en) Seedling pots for soiless culture
KR200455257Y1 (en) Potted Plants for Horticulture
US6389750B1 (en) Apparatus for watering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