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796B1 -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 Google Patents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796B1
KR101406796B1 KR1020070113217A KR20070113217A KR101406796B1 KR 101406796 B1 KR101406796 B1 KR 101406796B1 KR 1020070113217 A KR1020070113217 A KR 1020070113217A KR 20070113217 A KR20070113217 A KR 20070113217A KR 101406796 B1 KR101406796 B1 KR 101406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igital camera
monitor
imag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7179A (en
Inventor
장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796B1/en
Publication of KR2009004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내부에 저장된 많은 이미지들을 검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모니터, 좌향 버튼 및 우향 버튼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상기 모니터에 재생할 때 상기 좌향 버튼과 우향 버튼 중 하나가 복수번 연속적으로 눌러지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복수개 건너뛰어 재생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witching image reproduction of a digital camera that shortens the time required to retrieve a large number of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witching image playback of a digital camera having a memory, a monitor, a left button, and a right button, wherein when one of the left button and the right button is selected 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continuously pressed,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re skipped.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및 그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0001]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onverting image thereof [0002]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에 재생되는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verting an image reproduced on a monitor to another image.

디지털 카메라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memory)를 내장함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모니터에 재생하여 볼 수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는 아날로그 방식의 카메라와 같이 촬영된 사진을 보관하기 위하여 필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진을 촬영하는데 많은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디지털 카메라는 또한,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아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를 구비하여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촬영될 사진을 미리 모니터에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들로 인하여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인들에게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The digital camera incorporates a memory capable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data, so that the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a subjec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and reproduced on a monitor whenever necessary. That is, a digital camera does not use a film to store a photographed image, such as an analog camera, and thus does not require much cost for photographing. The digital camera is also small in size, thin in thickness and easy to carry, and has a monitor that displays a picture to be photographed in advance before taking a picture. Due to these various advantages, digital cameras are rapidly becoming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는 필요 여부를 떠나 많은 양의 사진을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 때, 메모리에 저장된 많은 이미지들 중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모든 이미지 들을 모니터에 재생해 보아야 하는데, 지금은 이미지들을 하나씩 재생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에 저장된 많은 이미지들을 모두 재생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이미지들을 검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gital camera does not need a film, the user takes a large amount of photographs, regardless of necessity, and stores them in the memory. At this time, in order to find the desired image among the many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ll the images must be reproduced on the monitor. Since the images are reproduced one by one,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reproduce all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do.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shorten the time taken to search a large amount of images.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내부에 저장된 많은 이미지들을 검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witching image reproduction of a digital camera that shortens the time required to retrieve a large number of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camera for performing the image reproduction switching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 모니터, 메뉴 버튼, 좌향 버튼 및 우향 버튼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상기 모니터에 재생할 때 상기 좌향 버튼과 우향 버튼 중 하나가 복수번 연속적으로 눌러지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복수개 건너뛰어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switching image playback of a digital camera having a memory, a monitor, a menu button, a left button, and a right button, the method comprising: when one of the left button and the right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a plurality of times And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re skipped and reproduced.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 모니터, 메뉴 버튼, 좌향 버튼 및 우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상기 모니터에 재생할 때 상기 좌향 버튼과 우향 버튼 중 하나가 복수번 연속적으로 눌러지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복수개 건너뛰어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A memory, a monitor, a menu button, a left button, and a right button, and when one of the left button and the right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a plurality of times when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re reproduced on the monitor, And to provide a digital camera that skips and plays back.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는 좌향 버튼(도 2의 221) 또 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2번 연속적으로 푸시될 때 제1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건너뛰어 재생하고, 좌향 버튼(도 2의 221) 또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3번 연속적으로 푸시될 때 제1 복수개보다 많은 제2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건너뛰어 재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camera (101 of FIG. 1) skips the first plurality of images when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or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 The left button (221 in FIG. 2), or the right button (222 in FIG. 2) are pushed three times successively.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많은 이미지들을 검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Therefore, the time taken to search many images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of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is shorte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 및 상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셔터 릴리즈 버튼(shutter release button)(111), 파워 버튼(power button)(121), 모드 세팅 버튼(mode setting button)(131), 플래시(flash)(141), 보조광 조사부(151) 및 촬영 렌즈(161)를 구비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surface and a top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digital camera 101 includes a shutter release button 111, a power button 121, a mode setting button 131, a flash button, A light source 141, a light irradiation unit 151, and a photographing lens 161.

셔터 릴리즈 버튼(111)은 디지털 카메라(101)의 일면, 예컨대 상면에 설치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11)은 1단과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11)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11)은 초점 신호(S1)를 발생한다. 그러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촬영 렌즈(161)의 길이를 조절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고, 조리개(미도시)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여 촬영 렌 즈(161)를 통해서 입사되는 광의 양을 적정하게 조절한다. 그러다가 초점이 맞고 광량이 적절하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이 사실을 모니터(도 2의 211)에 표시하거나 또는 그의 일면에 설치되는 특정한 칼라의 LED(Light Emitting Diode)(미도시), 예컨대 녹색의 LED를 점등시켜서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11)을 2단까지 누르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촬영 신호(S2)를 발생하며, 그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0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내장된 메모리(도 3의 341)에 저장한다. 셔터 릴리즈 버튼(111)은 1단으로 구성되어 한번 누름에 의해 피사체를 곧바로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hutter release button 1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camera 101, for example, on the upper side.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1 has a structure of a first stage and a second stage.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1 by one step,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1 generates the focus signal S1. Then, the digital camera 101 adjusts the length of the photographing lens 161 to accurately focus on the subjec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iaphragm (not shown),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hrough the photographing lens 161 Adjust properly. Then, if the light is focused and the light quantity is appropriate, the digital camera 101 displays this fact on a monitor (211 in FIG. 2) or a specific color LED (Light Emitting Diode) (not shown) The LED of the user is informed to the user.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1 to the second position, the digital camera 101 generates the photographing signal S2, and accordingly, the digital camera 101 photographs the subject, 341).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1 is configured in one stage so that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1 can be configured to shoot the subject immediately by pressing it once.

파워 버튼(121)은 디지털 카메라(101)의 일면, 예컨대 상면에 설치된다. 파워 버튼(121)은 디지털 카메라(101)가 촬영 동작 및 그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셔터 릴리즈 버튼(111), 모드 세팅 버튼(131), 이펙트 버튼(141), 플래시(141), 촬영 렌즈(161), 모니터(도 2의 211) 등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The power button 1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camera 101, for example, on the upper side. The power button 121 is provided with a shutter release button 111, a mode setting button 131, an effect button 141, a flash 141, a photographing lens 141, and a photographing lens 141 so that the digital camera 101 can perform a photographing operation and an operation related thereto. (161 in Fig. 2), and the monitor (211 in Fig. 2).

모드 세팅 버튼(131)은 디지털 카메라(101)의 일면, 예컨대 상면에 설치된다. 모드 세팅 버튼(131)은 디지털 카메라(101)의 촬영 모드 및 동작 모드 예컨대, 재생 모드, 풍경 모드, 야간 촬영 모드 등을 선택할 때 사용된다. 이용자가 모드 세팅 버튼(131)을 누르면, 디지털 저장 장치(101)는 선택된 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도 있고, 동작 메뉴를 통해 진입할 수도 있다. 즉, 촬영 모드 및 동작 모드 설정을 위한 메뉴를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가 상기 메뉴에 포함된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할 때, 디지털 카메라(101)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mode setting button 1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camera 101, for example, on the upper side. The mode setting button 131 is used to select a shooting mode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camera 101, for example, a playback mode, a landscape mode, a night shooting mode, and the like. When the user presses the mode setting button 131, the digital storage device 101 may directly enter the selected mode or enter through the operation menu. That is, when the user displays a menu for setting the photographing mode and the operation mode on the monitor (211 of FIG. 2)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items included in the menu, the digital camera 101 displays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And performs an operation.

플래시(141)는 디지털 카메라(101)의 일면, 예컨대 전면에 설치된다. 플래시(141)는 피사체가 어두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 피사체를 밝히기 위하여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조사하여 피사체를 밝게 해준다. 플래시(141)의 동작 모드는 자동 플래시, 강제 발광, 발광 금지, 슬로우 싱크로(slow synchro) 등을 포함한다. The flash 14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camera 101, for example, on the front side. The flash 141 brightens the subject by momentarily illuminating bright light to illuminate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located in a dark place. The operation mode of the flash 141 includes automatic flash, forced flash, prohibited flash, slow synchro, and the like.

보조광 조사부(151)는 디지털 촬영 장치(101)의 일면, 예컨대 플래시(141)의 하부에 설치된다. 보조광 조사부(151)는 야간 촬영 또는 주간이라도 날씨기 흐려서 피사체를 촬영하는데 필요한 광량이 부족할 경우에 디지털 촬영 장치(101)가 빠르고 정확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광을 조사한다.The auxiliary light irradiating unit 15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1, for example, below the flash 141. [ The auxiliary light irradiating unit 151 irradiates the light so that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1 can quickly and accurately focus the light when the amount of light necessary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is insufficient due to weather conditions even at night or during the day.

촬영 렌즈(161)는 디지털 카메라(101)의 일면, 예컨대 전면에 설치된다. 촬영 렌즈(161)를 통해서 피사체의 이미지가 디지털 카메라(101)의 내부로 입력된다. 촬영 렌즈(161) 앞에는 가리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파워 버튼(121)이 온(on)되면 상기 가리개가 열려서 촬영 렌즈(161)는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파워 버튼(121)이 오프(off)되면 상기 가리개가 닫혀서 촬영 렌즈(161)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입력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가리개의 열려진 정도에 따라 촬영 렌즈(161)로 입사되는 광의 양이 달라진다.The photographing lens 16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camera 101, for example, on the front side. The image of the subject is input to the inside of the digital camera 101 through the photographing lens 161. [ When the power button 121 is turned on, the screen is opened so that the photographing lens 161 is ready to input an image of the subject, and when the power button 121 is turned on, When the button 121 is turned off, the screen is closed and the photographing lens 161 can not input the image of the subjec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photographing lens 161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visor.

디지털 카메라(101)는 모드 다이얼(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드 다이얼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디지털 카메라(101)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모드 다이얼은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기능을 일부 담당하기도 한다. The digital camera 101 may have a mode dial (not shown). The mode dial is configured to rotate and is used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camera 101. [ The mode dial also takes part of the function of the menu displayed on the monitor (211 in FIG. 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1)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광각 줌 버튼(W), 망원 줌 버튼(T), 모니터(211), 입력 버튼들(B1~B14), 메뉴 버튼(220) 및 방향 버튼들(221∼224)을 구비한다.2 is a schematic rear view of the digital camera 101 shown in Fig. 2, the digital camera 101 includes a wide angle zoom button W, a telephoto zoom button T, a monitor 211, input buttons B1 to B14, a menu button 220, 221-224.

광각 줌 버튼(W)과 망원-줌 버튼(T)은 피사체의 화각을 넓히거나 좁힐 때 사용된다. 즉, 광각 줌 버튼(W)이 눌려지면 디지털 카메라(101)가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를 짧게 하기 때문에 피사체에 대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 줌 버튼(T)이 눌려지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줌 렌즈의 초점 길이를 길게 하며, 그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화각이 좁아진다.The wide-angle zoom button (W) and telephoto-zoom button (T) are used to widen or narrow the angle of view of the subject. That is, when the wide-angle zoom button W is depressed, the digital camera 101 shortens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so that the angle of view with respect to the subject becomes wider. When the telephoto zoom button T is depressed, 101) lengthen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thereby narrowing the angle of view with respect to the subject.

모니터(211)는 촬영된 이미지나 메뉴를 사용자가 볼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모니터(21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성된다. The monitor 211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or menu so that the user can view it. The monitor 211 is composed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 the like.

입력 버튼들(B1~B14)은 모니터(211)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입력 버튼들(B1~B14)은 터치식 또는 접점식으로 구성된다. 입력 버튼들(B1~B14)이 터치식으로 구성될 경우 접점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가 요구되고, 접점식으로 구성될 경우 터치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가 요구된다. 입력 버튼들(B1~B14)은 이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모니터(211)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켜서 메뉴에 포함된 임의의 값, 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를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 메뉴 아이콘을 활성화시킨다. 입력 버튼틀(B1~B14)에 의해 메뉴의 특정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01)는 상기 선택된 항목을 위한 기능을 실행한다.The input buttons B1 to B14 are provid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of the monitor 211. [ The input buttons B1 to B14 are constituted by a touch type or a contact type. When the input buttons B1 to B14 are formed by a touch type, a relatively weak touch is required compared to the contact type, and when the input type is formed by a contact type, a relatively strong touch is required compared with the touch type. The input buttons B1 to B14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monitor 211 up, down, left, and r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selects one or the other to select any value included in the menu, for example, color or brightness , Activates the submenu icon included in the main menu icon. As a specific item of the menu is selected by the input button frames B1 to B14, the digital camera 101 executes a function for the selected item.

메뉴 버튼(220)은 디지털 카메라(101)의 동작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이용자가 메뉴 버튼(220)을 누름에 의하여 어느 한 동작 모드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모니터(211)에 디스플레이된다. A menu button 220 is used to display an operation menu of the digital camera 101. [ That is, a menu for setting the condition of any opera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211 by the user pressing the menu button 220.

방향 버튼들(221∼224)은 모니터(211)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용자가 좌향 버튼(221)을 누르면 커서가 좌측으로 이동되며, 우향 버튼(222)을 누르면 커서가 우측으로 이동되며, 상향 버튼(223)을 누르면 커서가 위로 이동되며, 하향 버튼(224)을 누르면 커서가 아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커서가 모니터(211)에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어느 한 선택 항목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OK 버튼(220)을 누르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상기 선택 항목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그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The direction buttons 221 to 224 are used to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monitor 211 up, down, left, and right. 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button 221, the cursor moves to the left. When the right button 222 is pressed, the cursor moves to the right. When the user presses the upward button 223, the cursor moves upward. When the down button 224 is pressed The cursor is moved down. When the user presses the OK button 220 in a state where the cursor is positioned on any one of the menu items displayed on the monitor 211, the digital camera 101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Mode.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1)는 이미지 처리부(311), 데이터 입력부(321), 메모리(memory)(331), 디스플레이부(341), 인터페이스부(351) 및 제어부(361)를 구비한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101 of FIG. 3, the digital camera 101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311, a data input unit 321, a memory 331, a display unit 341, an interface unit 351, and a control unit 361 do.

이미지 처리부(311)는 촬영 렌즈(도 1의 161)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을 받아서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미지 처리부(311)는 촬상 소자(미도시), 예컨대 CCD(Charge Coupled Device)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 소자는 복수개의 반도체 소자들로 구성되어 촬영 렌즈(도 1의 161)를 통해서 입력되는 광을 받아서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광량에 따라서 다른 크기의 전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receives the image input through the photographing lens (161 in FIG. 1),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includes an image pickup element (not shown), for exampl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nd the image pickup eleme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elements, And outputs them as electric signal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In order to obtain a color image using the image pickup element, a color filter is required, and a filter (not shown) called CFA (Color Filter Array) is employed in most cases. The CFA has a structure that regularly arranges light passing through only one color for each pixel, and has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이미지 처리부(311)는 또한, 디지털 신호를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이미지 처리부(311)는 온도 변화에 민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 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이미지 처리부(311)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이미지 처리부(311)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미지 처리부(311)는 상기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미지 처리부(311)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고, 메모리(331)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이미지 처리부(311)의 모든 동작은 제어부(361)의 제어하에 이루어진다.The image processing section 311 also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a monitor (211 in FIG. 2).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removes a black level due to the dark current generated in the CCD and the CFA filter which are sensitive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performs gamma correction to encod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nonlinearity of human vis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interpolates the Bayer pattern embodied with the gamma corrected predetermined data RGRG line and the GBGB line into RGB lines. The image processor 311 converts the interpolated RGB signal into a YUV signal, performs edge compensation for filtering the Y signal by a high-pass filter, and generates a color value of the U & V signal using a standard color coordinate system. And removes the noise of these pixels.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compresses and processes the noise-canceled Y and U & V signals to generate a JPEG file. The generated JPEG fil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211 in FIG. 2) and stored in the memory 331 do. All the operation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ar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61. [

데이터 입력부(321)는 입력 버튼들(도 2의 B1~B14)을 통해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제어부(361)에 전달하거나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 입력부(321)는 또한, 모니터(도 2의 211)에 연결되며,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촬영자가 선택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내용을 받아서 제어부(361)로 전달한다. The data input unit 321 receives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s (B1 to B14 in FIG. 2)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361 or displays the data on the monitor (211 in FIG. 2). The data input unit 321 is also connected to the monitor 211 (see FIG. 2). The data input unit 321 receives the selected content from the monitor (211 of FIG. 2) and transmits the selected content to the control unit 361.

메모리(331)는 제어부(36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지털 카메라(101)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331)에 저장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삭제 요청이 없는 한 영구적으로 보관된다. 메모리(331)는 램(RAM)이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31)의 용량 크기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01)의 사진 저장 용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메모리(331)의 용량 크기가 클수록 많은 사진이 저장되며, 또한, 제어부(361)의 데이터 처리 속도도 빨라진다. 디지털 카메라(101)에 외부의 저장 장치, 예컨대 메모리 카드가 부착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1)의 저장 용량이 확장된다. 메모리(331)는 또한, 하나 이상의 포토 프레임을 저장한다. The memory 331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361 or stores an operation program of the digital camera 101. [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331 is permanently stored unless the user requests deletion. The memory 331 may be composed of a RAM or a flash memory. The picture storage capacity of the digital camera 10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pacity size of the memory 331. [ Therefore, the larger the capacity of the memory 331 is, the more pictures are stored, and the data processing speed of the controller 361 is also increased. By attaching an external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card to the digital camera 101,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igital camera 101 is expanded. The memory 331 also stores one or more photo frames.

디스플레이부(341)는 제어부(361)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341 receive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61 and displays it on the monitor (211 in FIG. 2). The image data includes preview image data.

인터페이스부(351)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장치에 연결되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특정한 연결 매체를 통해서 외부 장치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부(351)는 메모리(331)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때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가 서로 호환되도록 인터페이스시킨다. The interface unit 35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specific connection medium such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The interface unit 351 interface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331 so that the transmitted data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when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331 to an external device.

제어부(361)는 이미지 처리부(311)를 통해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331)에 저장한다. 제어부(361)에 디지털 촬영 장치(101)를 동작하는데 필요한 OS(Operating Program)가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부(361)는 디지털 촬영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6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 이크로 콘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1 stores the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311 in the memory 331. [ An OS (Operating Program) necessary for operat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1 is stored in the control section 361.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6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1. [ The control unit 361 may be configured by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micro-controller, or a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은 제1 내지 도 8 단계(411∼481)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4 and 5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switching image reproduction of a digital camera (101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the image reproduction switching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101 (FIG. 1) includes steps 1 to 8 (steps 411 to 481). The image reproduction switching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shown in Figs. 4 and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제1 단계(411)로써,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는 촬영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즉, 이용자가 파워 버튼(도 1의 121)을 누르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에 전원이 공급되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상태인 촬영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촬영 대기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다.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용자는 모드 세팅 버튼(도 1의 131)을 조작할 수도 있고, 메뉴 버튼(도 3의 220)을 이용하여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작 모드 선택 메뉴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step 411,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enters a shooting standby state.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121 in Fig. 1), power is supplied to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and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enters a shooting standby state in which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 In the shooting standby state, the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is selected. The user can operate the mode setting button 131 of FIG. 1 or the monitor 211 of FIG. 2 using the menu button 220 (FIG. 3) to select the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camera (101 of FIG. 1)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may be used.

제2 단계(421)로써, 이용자가 모드 세팅 버튼(도 1의 131) 또는 메뉴 버튼(도 2의 220)을 조작하여 재생 모드를 선택하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는 재생 모드로 진입하고, 이 때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시킨다. 이 때, 모니터(도 2의 221)에 재생되는 이미지는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에 디폴트로 설정된 방법에 따른 특정한 이미지, 예컨대 가장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이다. 재생 모드에서, 이용자는 이미 촬영하여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모든 이미지들을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여 볼 수가 있다. If the user operates the mode setting button 131 (FIG. 1) or the menu button 220 (FIG. 2) to select the reproduction mode at the second step 421, the digital camera 101 And reproduces one of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to the monitor (211 in FIG. 2)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image reproduced in the monitor (221 in Fig. 2) is a specific image according to the method set to the default in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e.g., the most recently captured image. In the playback mode, the user can view all the images already capt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by watching them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제3 단계(431)로써,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선택되면, 즉, 이용자가 좌향 버튼(도 2의 221)을 푸시(push)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순서대로 재생되도록 설정한다. 즉, 이미지들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순서대로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도록 설정된다. If the user pushes the left button (221 in FIG. 2), the control unit (361 in FIG. 3) 3, 331) are sequentially reproduced on the monitor (211 of FIG. 2). That is, the images are set to be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in FIG. 2) in the order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제4 단계(441)로써, 제어부(도 3의 361)는 좌향 버튼(도 2의 221)의 푸시 횟수를 카운트한다. 즉, 제어부(도 3의 361)는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연속적으로 몇 번이나 푸시되었는지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의 전환 숫자를 결정한다. In the fourth step 441,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counts the number of pushes of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That is,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counts how many times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is continuously pushed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images to be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of FIG. 2) .

제5 단계로써,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1번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를 1개씩 다른 이미지로 순서대로 전환하여 재생시킨다(단계 451). 예컨대, 10개의 이미지들(제1 이미지 내지 제10 이미지)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고, 현재 제1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1번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2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고, 다시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1번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3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한다. In the fifth step, when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is pushed once, the controller (361 of FIG. 3) sequentially reproduces the images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of FIG. 2) (Step 451). For example, when 10 images (first to tenth images) are stored in order in the memory (331 in Fig. 3) and the current first image is reproduced on the monitor (211 in Fig. 2) When the button (221 of FIG. 2) is pushed once, the control section (361 of FIG. 3) reproduces the second image to the monitor (211 of FIG. 2) and once again the left button , The control unit (361 in Fig. 3) reproduces the third image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2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를 제1 복수개, 예컨대 3개씩 앞으로 건너뛰어 재생시킨다(단계 452). 예컨대, 10개의 이미지들(제1 이미지 내지 제10 이미지)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고, 현재 제1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2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4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고, 다시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2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7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한다. When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is pushed twice consecutively, the controller (361 of FIG. 3) advances the image reproduced to the monitor (211 of FIG. 2) 452). For example, when 10 images (first to tenth images) are stored in order in the memory (331 in Fig. 3) and the current first image is reproduced on the monitor (211 in Fig. 2) When the button (221 of FIG. 2) is pushed twice consecutively, the control section (361 of FIG. 3) reproduces the fourth image to the monitor (211 of FIG. 2) When continuously pushed, the control section (361 in Fig. 3) reproduces the seventh image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3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를 제2 복수개, 예컨대 5개씩 앞으로 건너뛰어 재생시킨다(단계 453). 예컨대, 12개의 이미지들(제1 이미지 내지 제12 이미지)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되어 있고, 현재 제1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3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6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고, 다시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3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11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한다. When the left button (221 in Fig. 2) is pushed three times consecutively, the controller (361 in Fig. 3) skips forward the image to be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in Fig. 2) 453). For example, when 12 images (first to 12th images) are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and the first image is currently being reproduced on the monitor (211 in Fig. 2) 2) 221 is pushed three times consecutively, the control section (361 of FIG. 3) reproduces the sixth image to the monitor (211 of FIG. 2) and again the left button When pushed, the control section (361 in Fig. 3) reproduces the eleventh image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제5 단계(451∼453)가 완료된 상태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예컨대, 파워가 오프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든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2 단계(421)의 재생 모드로 돌아간다. When the end signal is input in the state where the fifth step 451 to 453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ends all operations when the power is off, The reproduction mode of the second step 421 is returned.

상기 제3 단계(431)에서,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선택되지 않고 우향 버 튼(도 2의 222)이 선택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도 5에 도시된 제6 단계 내지 제8 단계(461∼481)를 수행한다. If the left button (221 in FIG. 2) is not selected and the right button (222 in FIG. 2) is selected in the third step 431, the controller (361 in FIG. 3) The eighth step (461-481) is performed.

제6 단계(461)로써,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선택되면, 즉, 이용자가 우향 버튼(도 2의 222)을 푸시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역순으로 재생되도록 설정한다. 즉, 이미지들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순서와 반대로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도록 설정된다. 2) is selected, that is, when the user pushes the right button (222 in FIG. 2), the control section (361 in FIG. 3) Are reproduced in reverse order on the monitor (211 of FIG. 2). That is, the images are set to be reproduced on the monitor (211 in FIG. 2), as opposed to the order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제7 단계(471)로써, 제어부(도 3의 361)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의 푸시 횟수를 카운트한다. 즉, 제어부(도 3의 361)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연속적으로 몇 번이나 푸시되었는지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의 역전환 숫자를 결정한다. In a seventh step 471, the controller (361 in FIG. 3) counts the number of pushes of the right button (222 in FIG. 2). That is,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counts how many times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is continuously pushed and determines the reverse conversion number of the image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of FIG. 2) do.

제8 단계로써,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1번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를 1개씩 다른 이미지로 역순으로 전환하여 재생시킨다(단계 481). 예컨대, 10개의 이미지들(제1 이미지 내지 제10 이미지)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고, 현재 제10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1번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9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고, 다시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1번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8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한다. In the eighth step, when the right button (222 in FIG. 2) is pushed once, the controller (361 in FIG. 3) switches the images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in FIG. 2) (Step 481).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en images (first to tenth images) are stored in order in the memory (331 in Fig. 3) and the current tenth image is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in Fig. 2) When the button (222 of FIG. 2) is pushed once, the control section (361 of FIG. 3) reproduces the ninth image to the monitor (211 of FIG. 2) and once again the right button , The control section (361 in Fig. 3) reproduces the eighth image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2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를 제1 복수개, 예컨대 3개씩 역으로 건너뛰어 재생시킨다(단계 482). 예컨대, 10개의 이미지들(제1 이미지 내지 제10 이미지)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고, 현재 제10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2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7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고, 다시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2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4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한다. When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is pushed twice consecutively, the controller (361 of FIG. 3) jumps back the image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of FIG. 2) backward by a first plurality Step 482).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en images (first to tenth images) are stored in order in the memory (331 in Fig. 3) and the current tenth image is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in Fig. 2) When the button (222 of FIG. 2) is pushed twice consecutively, the control section (361 of FIG. 3) reproduces the seventh image to the monitor (211 of FIG. 2) When continuously pushed, the control section (361 in Fig. 3) reproduces the fourth image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3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는 이미지를 제2 복수개, 예컨대 5개씩 앞으로 건너뛰어 재생시킨다(단계 483). 예컨대, 12개의 이미지들(제1 이미지 내지 제12 이미지)이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되어 있고, 현재 제12 이미지가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3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7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고, 다시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3번 연속적으로 푸시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2 이미지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한다. When the left button (221 in Fig. 2) is pushed three times consecutively, the controller (361 in Fig. 3) skips forward the image to be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in Fig. 2) 483).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welve images (first to twelfth images) are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and the current twelfth image is reproduced on the monitor (211 in FIG. 2) 2) is pushed three times consecutively, the control section (361 of FIG. 3) reproduces the seventh image to the monitor (211 of FIG. 2), and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When pushed, the control section (361 in Fig. 3) reproduces the second image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제8 단계(481∼483)가 완료된 상태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예컨대, 파워가 오프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든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2 단계(도 4의 단계 421)의 재생 모드로 돌아간다. When the end signal is input in the state where the eighth step 481 to 483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ends all operations when power is off, Returns to the reproduction mode of the second step (step 421 in FIG. 4).

도 4 및 도 5에서, 좌향 버튼(도 2의 221)과 우향 버튼(도 2의 222)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은 서로 바뀌어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좌향 버튼(도 2의 221)이 푸시될 때 이미지가 역순으로 재생되고,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푸시될 때 이미지가 순서대로 재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4 and 5, the image reproduction switching method of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and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may be set to be mutually changed. That is, the images may be set to be reproduced in order when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is pushed and the images are reproduced in reverse when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is pushed.

도 6은 도 4의 방법을 수행하기 전에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에 이미지 전환 숫자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이미지 전환 숫자 설정 방법은 제1 내지 도 4 단계(611∼641)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이미지 전환 숫자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FIG.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n image transition number to the digital camera 101 (FIG. 1) shown in FIG. 1 before performing the method of FIG. Referring to FIG. 6, the image switching number setting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101 (FIG. 1) includes steps 1 to 4 (611 to 641). The image switching number setting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101 (FIG. 1)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제1 단계(611)로써,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는 촬영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이용자가 파워 버튼(도 1의 121)을 누르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상태인 촬영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촬영 대기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다.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용자는 모드 세팅 버튼(도 1의 131)을 조작할 수도 있고, 메뉴 버튼(도 3의 220)을 이용하여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작 모드 선택 메뉴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step 611,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enters a shooting standby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121 in Fig. 1), power is supplied to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Therefore,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enters a shooting standby state in which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In the shooting standby state, the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is selected. The user can operate the mode setting button 131 of FIG. 1 or the monitor 211 of FIG. 2 using the menu button 220 (FIG. 3) to select the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camera (101 of FIG. 1)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may be used.

제2 단계(621)로써, 이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하면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는 재생 모드로 진입하며,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시킨다. 이 때, 상기 이미지는 디지털 카메라(도 1의 101)에 디폴트로 설정된 방법에 따른 특정한 이미지, 예컨대 가장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이다. 재생 모드에서, 이용자는 이미 촬영하여 메모리(도 3의 331)에 저장 된 모든 이미지들을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하여 볼 수가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playback mode at the second step 621,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enters the playback mode, and one of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 At this time, the image is a specific image according to a method set to a default in the digital camera (101 in FIG. 1), for example, the most recently captured image. In the playback mode, the user can view all the images that have already been capt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331 in FIG. 3) on the monitor (211 in FIG. 2).

제3 단계(631)로써, 이용자가 메뉴 버튼(도 2의 222)을 누르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이미지 건너뜀 설정 메뉴를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지 건너뜀 설정 메뉴는 연속 2번 항목과 연속 3번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연속 2번 항목은 좌향 버튼(도 2의 221) 또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2번 푸시되는 것을 가리키고, 상기 연속 3번 항목은 좌향 버튼(도 2의 221) 또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2번 푸시되는 것을 가리킨다.In the third step 631, when the user presses the menu button (222 in Fig. 2), the control unit (361 in Fig. 3) displays the image skip setting menu on the monitor (211 in Fig. The image skip setting menu includes two consecutive items and three consecutive items. 2) 221 or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is pushed twice, and the consecutive item 3 indicates that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or the right button 2 of 222) is pushed twice.

이용자가 상기한 연속 2번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2개 이상의 숫자 항목들 예컨대 2개, 3개, 4개, 5개 등을 모니터(도 2의 211)에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가 연속 3번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3개 이상의 숫자 항목들 예컨대 3개, 4개 5개, 5개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2개 이상의 숫자 항목들과 3개 이상의 숫자 항목들은 모니터(도 2의 211)의 이미지들이 전환될 때 건너뛰어지는 숫자들을 가리킨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above-mentioned two consecutive items,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displays two or more numeric items such as 2, 3, 4, 5, etc. on the monitor (211 in FIG. 2) When the user selects item 3 in series continuously, the control section (361 in FIG. 3) displays three or more numerical items such as 3, 4, 5, 5, and so on. The two or more numeric items and the three or more numeric items indicate the numbers to be skipped when the images of the monitor (211 in FIG. 2) are switched.

제4 단계(641)로써, 이용자가 숫자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전환되는 이미지의 숫자를 상기 선택된 숫자로 설정한다. 즉, 제어부(도 3의 361)는 상기 연속 2번 항목에서 3개 항목이 선택되면 좌향 버튼(도 2의 221) 또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푸시될 때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전환되는 이미지가 3개씩 건너뛰어 재생되도록 하고, 연속 3번 항목에서 5개 항목이 선택되면 좌향 버튼(도 2의 221) 또는 우향 버튼(도 2의 222)이 푸시될 때 모니터(도 2의 211)에 재생되어 전환되는 이미지가 5개씩 건 너뛰어 재생되도록 설정한다. In the fourth step 641,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numeric items, the control unit 361 of FIG. 3 sets the number of the image reproduced in the monitor (211 in FIG. 2) is pushed when the left button (221 of FIG. 2) or the right button (222 of FIG. 2) is pushed, And when the five items are selected from the items in the third row to the third row, when the left button (221 in FIG. 2) or the right button (222 in FIG. 2) is pushed, 2 of 211) to be reproduced by five images.

제4 단계(641)가 완료된 상태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예컨대, 파워가 오프되면 제어부(도 3의 361)는 모든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도 3의 361)는 제2 단계(621)의 재생 모드로 돌아간다.When the power is off, the controller (361 in FIG. 3) ends all operations. When the end signal is not input, the controller (361 in FIG. 3) The reproduction mode of the second step 621 is return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 및 상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surface and a top surface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rear view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switching image reproduction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에 이미지 전환 숫자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n image conversion number to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 1.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1; 디지털 촬영 장치, 111; 셔터 릴리즈 버튼101;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11; Shutter release button

121; 파워 버튼, 131; 모드 세팅 버튼121; Power button, 131; Mode setting button

141; 플래시, 151; 보조광 조사부141; Flash 151; The auxiliary light-

161; 촬영 렌즈, 211; 모니터161; A photographing lens, 211; monitor

220; 메뉴 버튼, 221; 좌향 버튼220; Menu button, 221; Left button

222; 우향 버튼, 223; 상향 버튼222; Right button, 223; Up button

224; 하향 버튼, W; 광각 줌 버튼224; Down button, W; Wide-angle zoom button

T; 망원 줌 버튼, B1~B14; 입력 버튼들T; Tele zoom button, B1 to B14; Input buttons

311; 이미지 처리부, 321; 데이터 입력부311; An image processing unit 321; Data input section

331; 메모리, 341; 디스플레이부331; Memory, 341; Display portion

351; 인터페이스부, 361; 제어부351; An interface unit, 361; The control unit

Claims (7)

메모리, 모니터, 메뉴 버튼, 좌향 버튼 및 우향 버튼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switching image playback of a digital camera having a memory, a monitor, a menu button, a left button, and a right button,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상기 모니터에 재생할 때 상기 좌향 버튼과 우향 버튼 중 하나가 연속적으로 복수번 눌러지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상기 좌향 버튼과 상기 우향 버튼 중 하나가 연속적으로 복수번 눌러진 수보다 많은 개수만큼 건너뛰어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When one of the left button and the right button is successively pressed a plurality of times when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re reproduced on the monitor,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can be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one of the left button and the right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And the image is reproduced by a larger number of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향 버튼이 복수번 연속적으로 눌러지면, 상기 이미지들을 순서대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the left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a plurality of times, the images are sequentially played 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향 버튼이 복수번 연속적으로 눌러지면, 상기 이미지들을 역순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right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a plurality of times, the images are reproduced in reverse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번은 2번과 3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imes are 2 and 3 tim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향 버튼 또는 우향 버튼이 3번 연속적으로 눌러질 때 건너뛰는 이미지의 개수는 상기 좌향 버튼 또는 우향 버튼이 2번 연속적으로 눌러질 때 건너뛰는 이미지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images skipped when the left button or the right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consecutively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images skipped when the left button or the right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twice How to switch the image playback of a digital camer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의 건너뛰는 개수는 상기 좌향 버튼 또는 상기 우향 버튼이 연속적으로 눌러진 수보다 많은 개수인 것으로, 이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재생 전환 방법.6. The digital camera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number of skips of the image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nsecutive presses of the left button or the right button. .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A digital camera performing the method of claim 1.
KR1020070113217A 2007-11-07 2007-11-07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KR101406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17A KR101406796B1 (en) 2007-11-07 2007-11-07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17A KR101406796B1 (en) 2007-11-07 2007-11-07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79A KR20090047179A (en) 2009-05-12
KR101406796B1 true KR101406796B1 (en) 2014-06-12

Family

ID=4085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217A KR101406796B1 (en) 2007-11-07 2007-11-07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7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3572A1 (en) 1998-11-30 2000-06-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3572A1 (en) 1998-11-30 2000-06-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79A (en)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32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mage when the image enlarged or reduced
US9374520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14604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79512A1 (en) Imaging apparatus
JP578281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00026873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CN101668121A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09485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US7847851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JP4189820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US20130167089A1 (en) Electronic device
KR20080044132A (en)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composition guide function
KR10141131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capable of multi-disiaplay using television and thereof method
KR101396355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iplaying slideshow of a number of continuous captured image and thereof method
KR101406796B1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ed images thereof
US7825939B2 (en) Image reproducing method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KR100919982B1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having function of screen partition
KR101298647B1 (en) D-day setting and managing metho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8243181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113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ing image in digital image device
KR101464531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convenient photographing function for both hands
KR101385963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color correction function and color correction method thereof
KR101058023B1 (en) Image Rotating Device and Method
KR20090044243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files thereof
KR201000012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lide moving pi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