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734B1 - 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 - Google Patents

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734B1
KR101405734B1 KR1020120128910A KR20120128910A KR101405734B1 KR 101405734 B1 KR101405734 B1 KR 101405734B1 KR 1020120128910 A KR1020120128910 A KR 1020120128910A KR 20120128910 A KR20120128910 A KR 20120128910A KR 101405734 B1 KR101405734 B1 KR 10140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ackets
subscriber terminal
pair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2322A (en
Inventor
한철규
강영태
Original Assignee
나리넷(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리넷(주) filed Critical 나리넷(주)
Priority to KR102012012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734B1/en
Publication of KR2014006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29Packet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망을 적어도 한 쌍의 전송경로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는 상기 서비스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들의 헤더로부터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Fragment offset)의 두번째 자리수에 해당하는 비트(bit)값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에 포함되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에 상기 패킷들을 분배하는 제1 포트 결합부; 및 상기 분배된 패킷들을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1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통신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시에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증가방식 유형에 관계없이 데이터 패킷이 특정 포트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와 전송 선로가 가지고 있는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고속의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n internet service network with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via at least on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 first port included in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nd a second port included in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bit value corresponding to a second digit of a binary offset of a binary state from a header of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network. A first port combiner for distributing the packets to each of the two ports; And a first transceiver transmitting the distributed packets to the subscriber terminal through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ata packet from being biased at a specific port regardless of the type of increase in the fragment offset of the data packet transmitted at the tim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packet using the pair of communication line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high-speed and smooth communication using the available bandwidth.

Description

광대역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송수신 장치{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Broadband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 RTI ID = 0.0 > [0001] <

본 발명은 광대역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네트워크 상에서 광대역으로 상호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와 가입자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band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 access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packets in a wide band on a local area network.

최근 스마트 TV, 3D TV, 비디오 컨퍼런스, 클라우드 서비스 및 E-헬스케어 또는 E-러닝(learning) 등의 높은 속도와 보다 넓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융합형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광대역 인프라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통신망구축을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이러한 기술들을 기반으로 하는 인프라의 구축이 점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면적인 광대역 인프라의 구축은 기존 장비를 재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고가의 신설 장비들과 전송선로의 높은 포설비용에 대한 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즉, 이러한 광대역 인프라의 구축은 설비 투자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하여 단기간 내에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투자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중간 단계의 솔루션으로서 기존의 인프라를 통하여 전송 속도 등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Recently, the need for broadband infrastructure has been increasing as the convergence of multimedia services such as smart TVs, 3D TVs, video conferences, cloud services and E-healthcare or e-learning, . Therefore, technologies for the construction of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have been proposed and an infrastructure based on these technologies has been gradually being built. However, the construction of a full-scale broadband infra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ycle existing equipment, and investment is required for high installation cost of high-priced new equipment and transmission lines. In other words, building such a broadband infrastructure is a difficult task to solv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problems such as facility investment costs. Therefore, as an intermediate solution that can minimize the investment cost and time, a method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mission speed and the like through the existing infrastructure is proposed.

한편, 하나의 서버에 이더넷 스위치 장치를 통하여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가 연결 된 경우,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게 되면 서버 쪽의 네트워크 노드에 심한 부하가 걸리게 된다. 그런데 서버와 연결된 이너넷 스위치 장치의 각각의 포트를 개별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서 서버 쪽 노드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안으로 포트 통합이 사용될 수 있다. 포트 통합은 서버와 스위치 사이의 대역폭을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clients are connected to one server through an Ethernet switch device, when each client requests data transmission at the same time, a heavy load is imposed on the server side network node. However, if you can reduce the load on the server-side node by activating each port of the Ethernet switch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individually, this problem can be solved and the network speed can be improved as a result. Port consolidation can be used as a solution to this. Port consolidation increases the bandwidth between the server and the switch.

예를 들어 서버에 대역폭이 100Mbps인 2개 이상의 카드를 장착하거나 2포트 혹은 4포트를 가진 네트워크 카드를 장착하고 이 포트들을 하나로 통합하면, 서버는 200Mbps 또는 400Mbps의 대역폭을 갖게 된다. 물론 이것은 서버와 네트워크 스위치 장치 사이에만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봤을 때 여러 클라이언트들의 요청이 동시에 들어온다 할지라도 로드 배분이 되므로 대역폭 향상의 효과가 매우 크게 된다.For example, if a server is equipped with two or more cards with bandwidths of 100 Mbps, a network card with two or four ports, and consolidating these ports into one, the server will have a bandwidth of 200 Mbps or 400 Mbps. This, of course, is only possible between the server and the network switch device. However, as a result, even if multiple clients' requests arrive at the same time, the bandwidth allocation is very effective because the load is distributed.

그러나 이러한 포트 통합(port aggregation) 기술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때로는 특정 포트로 데이터 패킷이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데이터 패킷들을 배분할 때 참조하는 프라그먼트 오프셋(fragment offset)의 작성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다.However, even when such a port aggregation technique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data packet is sometimes biased to a specific port.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how to create a fragment offset that is referred to when distributing data packets.

본 발명은 한 쌍의 통신선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access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at high speed using a pair of communication lines.

동시에 본 발명은 데이터 패킷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증가방식의 유형에 관계없이 데이터 패킷이 특정 포트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제공한다.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access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that prevent a data packet from being biased to a specific port regardless of the type of increase in the fragment offset of the data packet.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통신선에 포함되는 포트 각각의 회선 상태에 따라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 transmission mode according to a line state of each port included in a pair of communication lines.

한 쌍의 전송선로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는 상기 서비스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들의 헤더로부터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Fragment offset)의 두번째 자리수에 해당하는 비트(bit)값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에 포함되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에 상기 패킷들을 분배하는 제1 포트 결합부및 상기 분배된 패킷들을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1 송수신부를 포함한다.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to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via a pair of transmission lines, the apparatus for aggregating network conn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gment offse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from a header of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network, A first port combining unit for distributing the packets to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included in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bit value corresponding to a second digit of the packet, And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ubscriber terminal through a pair of transmission paths.

또한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는 상기 서비스망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해당 패킷이 목적하는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하는 스위치부를 가입자 단말 장치를 연결할 포트 수에 따라 다수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 units for distributing data packets input from the service network to a target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rts to which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is connected.

나아가 상기 제1 포트 결합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의하여 분배된 패킷들을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의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에 분배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port coupling unit may distribute the packets distributed by the switch unit to the first port or the second port of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서비스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들을 비순차적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할 수 있다.Also, the switch unit may distribute the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network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in a non-sequential manner.

또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는 듀얼 1 페어(4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connected to any of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s may be configured as a dual 1 pair (4-wire).

또한 상기 내부 전송경로는 이더넷 케이블 또는 전화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nal transmission path may be either an Ethernet cable or a telephone line.

또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을 통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까지의 전송속도, 지연시간 및 손신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를 측정하는 제1 품질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quality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t least any one of a transmission quality, a delay time, and a hand extension rate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나아가 상기 제1 포트 결합부는 상기 제1 품질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가 기 설정된 품질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상기 패킷들을 분배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circuit quality result of any one of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measured by the first quality measuring uni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quality, the first port combining unit distributes the packets to the remaining ports except for the port .

또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에 분배 및 전송되는 패킷 중 동일한 패킷 식별자(identification)을 갖는 패킷들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포트 결합부는 상기 카운터에 의하여 각 포트에 분배되는 동일 패킷 식별자의 패킷들을 카운팅한 결과 특정 포트에 패킷이 편중되는 경우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한다.And a first counter for counting packets having the same packet identification among the packet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port combining unit counts the packets of the same packet identifier distributed to each port by the counter,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binary offset flags offset when the packet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port.

나아가 상기 제1 포트 결합부는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점층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port coupling unit may incrementally increase the number of digits of the binary offset in the reference binary state.

한편, 사용자 단말기를 적어도 한 쌍의 전송경로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와 연결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들의 헤더로부터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Fragment offset)의 두번째 자리수에 해당하는 비트(bit)값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에 포함되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에 상기 패킷들을 분배하는 제2 포트 결합부; 및 상기 분배된 패킷들을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로 전송하는 제2 송수신부;를 포함한다.Meanwhile, in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for connecting a user terminal with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through at least on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from a header of packet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econd port combiner for distributing the packets to a first port and a second port included in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bit value corresponding to a second digit of an offset (Fragment offset); And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istributed packets to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through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또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을 통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까지의 전송속도, 지연시간 및 손신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를 측정하는 제2 품질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quality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quality, the delay time, and the hand extension rate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나아가 상기 제2 포트 결합부는 상기 제2 품질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가 기 설정된 품질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상기 패킷들을 분배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line quality result of either the first port or the second port measured by the second quality measuring unit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quality, the second port combining unit distributes the packets to the remaining ports except the corresponding port .

또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에 분배 및 전송되는 패킷 중 동일한 패킷 식별자(identification)을 갖는 패킷 들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포트 결합부는 상기 카운터에 의하여 각 포트에 분배되는 동일 패킷 식별자의 패킷들을 카운팅한 결과 특정 포트에 패킷이 편중되는 경우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변경한다.And a second counter for counting packets having the same packet identification among the packet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econd port combining unit counts the packets of the same packet identifier distributed to each port by the counter, and as a result, changes the number of binary offset state flag fragments to be referred to when a packet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port.

나아가 상기 제2 포트 결합부는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점층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port coupling unit may increase the number of binary offset state fractional offset in a stepwise manner.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통신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시에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증가방식 유형에 관계없이 데이터 패킷이 특정 포트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속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air of communication line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ata packet from being biased to a specific port regardless of the type of increasing the fragment offset of the data packet transmitted at the tim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packet,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통신선에 포함되는 포트 각각의 회선 상태에 따라 고속 전송방식을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일반적인 단일 포트에 의한 데이터 패킷 전송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의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data packet transmission can be improved by transmitting data packets through a high-speed transmission scheme or selecting a general single-port data packet transmission scheme according to a line state of each port included in a pair of communication lin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은 인터넷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1씩 증가하는 경우의 포트 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2씩 증가하는 경우의 포트 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3씩 증가하는 경우의 포트 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전송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전송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전송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et network.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cal network including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for explaining port allocation when the fragment offset increases by 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table for explaining port allocation when the fragment offset is increased by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table for explaining port allocation when the fragment offset increases by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cal network including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cal network including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인터넷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 structure of a network includ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et network.

사용자 단말기(30)들은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 제공하는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각각 가입자 단말장치(20)에 접속한다. 가입자 단말장치(20)는 흔히 모뎀이라 불리우는 장치로서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들을 네트워크에 접속 시킨다. 가입자 단말장치(20)들은 다시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는 예를 들면, 집선장치 혹은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와 같이 다수의 가입자 단말장치(20)들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통신장치를 의미한다.The user terminals 30 first access the subscriber terminal 20 to use the Internet provided by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The subscriber terminal 20 is a device often called a modem and connects the user terminals 30 to the network b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s 20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again.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refers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subscriber terminal devices 20 such as a concentrator or a 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 (DSLAM)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MDF(Main distribution frame, 주배선반)는 아파트 단지나 큰 빌딩에 구비되어 ISP가 제공하는 외부 회선과 MDF 이하의 내부 회선을 연결하는 연결단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 이하 또는 MDF 이하를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라 한다.The main distribution frame (MDF) is provided in an apartment complex or a large building, and is a connection node connecting the inner circuit provided by the ISP and the inner circuit provided below the MDF. In general,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or below or MDF or less is referred to as a local area network (LAN).

본 발명은 이 중에서도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와 가입자 단말장치(20) 사이의 데이터 패킷 송수신과 관련된다.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와 가입자 단말장치(20)는 현재 전화선 또는 랜케이블 등으로 구축되어 있다. 전화선인 경우에는 2 와이어(single 1 pair)로 구성되어 있으며, 랜케이블인 경우에는 4 와이어(dual 1 pair)로 구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packets between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and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20 among them.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and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20 are currently constructed with a telephone line, a LAN cable, or the like. In case of a telephone line, it is composed of two single wires (single 1 pair), and in case of a LAN cable, it is composed of four wires (dual one pair).

한편, 특정 장비에서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인 MTU(Maximum Transmit Unit) 이상의 데이터는 데이터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된다.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최대 크기는 보통 1518바이트(byte)이며, 이보다 큰 데이터는 송신측에서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로 분할되어 전송되고, 이러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수신측에서 재조립된다.On the other hand, data exceeding the maximum transmission unit (MTU), which is the maximum size of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t a time in a specific device, is divided into data packets and transmitted. The maximum size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in an Ethernet network is usually 1518 bytes. Larger dat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ata packets at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reassembles the data packet.

즉, 데이터 패킷이란 데이터 전송에서 송신측과 수신측에 의하여 하나의 단위로 취급되어 전송되는 단위를 의미한다. 전자우편이나 HTML·GIF 등 어떤 종류의 파일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아래의 표 1은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헤더의 구조를 나타낸다.That is, a data packet means a unit which is handled as a unit by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in data transmission and transmitted. It can be applied to any kind of file such as e-mail or HTML / GIF. Table 1 below shows the structure of the header included in the data packet.

[표 1][Table 1]

Figure 112012093666591-pat00001
Figure 112012093666591-pat00001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IP, ARP, ICMP, FTP 등이 있으며 통신에서 어드레싱을 담당한다. 여기서 데이터 단위는 패킷이라 하며 패킷의 앞부분에 32x6 bit 사이즈의 헤더가 포함되어 있다.The protocols used in the network layer are IP, ARP, ICMP, FTP, and addressing in communication. Here, the data unit is called a packet, and a header of 32x6 bits size is included in the beginning of the packet.

이 중 중요 사항들을 살펴보면, 송신할 데이터가 1,518byte 이상일 경우 여러조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게 되는 데, 패킷 식별자(identification)는 이 조각들이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된 것임을 나타내는 식별 번호를 의미한다. 또한 프라그먼트 오프셋(fragment offset)은 패킷 식별자(Identification)에서 분할된 순서를 의미한다. 수신측에서는 이러한 프라그먼트 오프셋을 이용하여 패킷들을 재조립(re-assemble)함으로써 원래 전송하고자 했던 온전한 데이터로 조립한다.If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more than 1,518 bytes,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transmitted. The packet identification means an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that the pieces are divided into one piece of data. The fragment offset refers to the order in which the packet identifiers are divided. At the receiving end, the packet offset is used to re-assemble the packets to assemble the complete data that was originally intended to be transmitted.

이외에도 헤더는 Source IP Address나 Destination IP Address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중계장치들이 참조하게 함으로써 목적하는 대상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header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source IP address and a destination IP address so that the network relay devices refer to the header, thereby enabl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a target user terminal.

[실시예 1][Example 1]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각각 1, 2 및 3씩 증가하는 경우의 포트 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전송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cal network including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through FIG. 5 illustrate a case where fragment offse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re 1,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는 제1 송수신부(101), 제2 송수신부(102), 제1 스위치부(110) 및 제1 포트 결합부(120)를 포함한다.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1,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2, a first switch unit 110, and a first port coupling unit 120.

제1 송수신부(1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은 MDF 측 또는 ISP 서버에 연결되어 MDF 측 또는 ISP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MDF 측 또는 ISP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1 is connected to the MDF side or the ISP server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to the MDF side or the ISP server, or transmitted from the MDF side or the ISP server.

제1 스위치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포트와 복수의 출력 포트를 연결하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패브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스위치부(110)는 MDF 측으로부터 전송되거나 ISP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해당 패킷이 목적하는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switch unit 110 includes a switching fabric that connects at least one input port to a plurality of output ports and performs switching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The first switch 110 performs a function of distributing a data packet,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MDF side or input from the ISP server, to the intended subscriber terminal device.

제1 포트 결합부(120)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송라인의 밴드폭을 확장하기 위하여 한 쌍의 포트를 외부적으로는 하나의 전송선로처럼 기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포트 결합부(120)는 하나의 패킷 식별자를 갖는 데이터 패킷들을 목적하는 가입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하여 두 개의 포트를 이용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패킷들을 양 포트로 분배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The first port coupling unit 120 functions to control a pair of ports externally to function as one transmission line in order to extend a bandwidth of a transmission line through which data is transmitted. That is, the first port combining unit 120 uses two ports to transmit the data packets having one packet identifier to the desired subscriber terminal device 20.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packets are distributed to both ports as follows.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프라그먼트 오프셋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조립에 필요한 패킷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프라그먼트 오프셋(2진수)의 두번째 자리수 에 해당하는 비트값을 참조하여 프라그먼트 오프셋을 양 포트에 분배한다.The fragment offset contained in the header of the packet include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packet necessary for reassembly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fragment offset is distributed to both ports with reference to the bit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git of the fragment offset (binary number).

프라그먼트 오프셋은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전송 단위인 패킷으로 나눌 때 임의의 규칙에 기반하여 작성되어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다. 이 때 프라그먼트 오프셋은 1씩 증가하는 것으로 작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2씩 또는 그 이상의 수만큼 증가하도록 작성되는 경우도 있다.The fragment offset is created based on an arbitrary rule and is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packet when the transmitting side divides the data into packets, which are transmission units. At this time, the fragment offset is generally made by incrementing by 1, but in some cases, the offset may be increased by 2 or more.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첫번째 자리수 비트(20 자리)를 기준으로 양 포트로 패킷을 분배하는 경우에는 2씩 증가하는 프라그먼트 오프셋들을 분배하는 경우 한쪽으로 편중되는 결과가 발생하여 어느 한쪽의 포트로만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When allocation of the first digit packet to both port relative to the bit (2 0 place) of the plaque garment offset, the packet only to the port of either one and the result is biased to one side occurs if the distribution of plaque garment offset that increases by 2 May be transmitted.

그러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두번째 자리수 비트(21 자리)를 기준으로 포트 분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1씩 증가하는 경우 두번째 자리수 비트는 순차적으로 0, 0, 1, 1, 0, 0, 1, 1 … 과 같이 나타난다. 이 경우 각 패킷들은 순서대로 1, 1, 2, 2, 1, 1, 2, 2 … 번째 포트로 분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2씩 증가하는 경우 두 번째 자리수 비트는 0, 1, 0, 1, 0, 1 …과 같이 나타난다. 이 때 각 패킷들은 순차적으로 1, 2, 1, 2, 1, 2… 번째 포트로 분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3씩 증가하는 경우에는 두 번째 자리수 비트는 0, 1, 1, 0, 0, 1, 1 …과 같이 나타나며, 순차적으로 1, 2, 2, 1, 1 … 번째 포트로 각각 분배된다.However, this problem can be solved when port allo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econd digit bit (2 1 digit) of the fragment offset.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when the fragment offset is incremented by 1, the second digit bit is sequentially set to 0, 0, 1, 1, 0, 0, 1, 1 ... . In this case, each packet is in sequence 1, 1, 2, 2, 1, 1, 2, 2 ... Lt; th > port. As shown in FIG. 4, when the fragment offset increases by 2, the second digit bit is 0, 1, 0, 1, 0, 1 ... . In this case, each packet is sequentially 1, 2, 1, 2, 1, 2 ... Lt; th > port. As shown in FIG. 5, when the fragment offset increases by 3, the second digit bit is 0, 1, 1, 0, 0, 1, 1 ... 1, 2, 2, 1, 1, ..., and so on. Lt; th > port.

이와 같이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두번째 자리수 비트를 참조하여 패킷들을 분배하는 경우, 한 번에 특정 포트로 분배되는 패킷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나 각 포트에 분배되는 패킷의 총 수는 균등하게 분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way, when distributing packets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digit bit of the fragment offset, the number of packets distributed to a specific port at a time can be varied, but the total number of packets distributed to each port is distributed equally .

한편, 전송되는 패킷들은 네트워크 중계 장치를 거치면서 최초에 전송을 시작한 순서가 바뀌어 목적된 장치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엔 입력된 패킷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두 번째 비트를 참조하여 각 패킷들을 양 포트에 분배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패킷이 하나의 포트로 편중되어 분배되는 경우는 있을지라도 각 포트에 분배되는 패킷들의 총 수는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tted packets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relay device, and the order of starting transmission may be changed to arrive at the target device. In this case, the fragment offset of the input packet is not sequentially input. However, if each packet is distributed to both ports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bit of the fragment offset, the total number of packets distributed to each port is uniformly distributed even though packets are temporarily distributed to one port .

한편, 한 쌍의 전송경로(300)를 구성하는 각 전송경로, 즉 양 포트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 와이어(dual 1 pair)로 구성되는 랜케이블인 경우에는 각각의 와이어 페어가 하나의 포트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transmission path constituting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300, that is, both ports, may be constituted by one or more wir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N cable consisting of a dual 1 pair, each pair of wires may correspond to one port.

제2 송수신부(102)는 이러한 한 쌍의 전송경로(300)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들을 가입자 단말장치(20)에 전송한다.The second transceiver 102 transmits data packets to the subscriber terminal 20 through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300.

가입자 단말장치(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와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10)간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송수신부(201)는 통신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계층구조를 가지고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하거나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10)를 향하여 데이터들을 전송한다. 제2 포트 결합부(220)는 앞서 설명한 제1 포트 결합부(1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2 포트 결합부(220)는 제1 포트 결합부(120)와 대칭적으로 구성된다는 점만 상이할 뿐 제2 스위치부(210)에 통하여 외부를 향하는 데이터들을 양 포트와 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전송경로(300)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배 기준은 앞서 설명한 제1 포트 결합부(120)의 경우와 동일하다.The subscriber terminal 20 performs a function of relaying between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transceiver 201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or transmits data to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conform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The second port coupling unit 220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port coupling unit 12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econd port coupling unit 220 is symmetrical to the first port coupling unit 120, and only the data dir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switch unit 210 is transmitted to both ports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300 of the pair. The distribution criter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port coupling portion 120 described above.

제2 스위치부(210)는 앞서 설명한 제1 스위치부(110)와 스위치 패브릭의 규모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을 뿐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2 스위치부(210)는 가입자 단말장치(20)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1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4 송수신부(202)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switch unit 210 perform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switch unit 110 described above and may differ from the switch fabric in size and the like. That is, the second switch unit 210 performs a function of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20 and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device 10. The four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2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user terminal.

즉,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10)와 가입자 단말 장치(20)는 한 쌍의 전송경로(300)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패킷 헤더에 포함된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두 번째 자리수 비트(21 자리)를 참조하여 각 전송경로에 패킷들을 분배하는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network-connected set of the device 10 and the subscriber terminal equipment 20 performs the data transmission via the transfer path 300 a pair of second digit bit (2 1 place of plaque garment offset included in a packet header ) To distribute packets to each transmission path.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먼저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또는 가입자 단말장치가 각각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면(S10), 각 장치들은 목적하는 장치로 데이터 패킷들을 스위칭하고(S20), 한 쌍의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포트 분배(S30)를 수행한다. 각 포트에 분배된 패킷들은 한 쌍의 전송선로를 통하여 목적하는 장치로 전송된다(S40).
The data transfer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when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or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receives data packets (S10), each apparatus switches data packets to a target apparatus (S20), and transmits data packets using a pair of transmission lines And performs port distribution (S30). The packets distributed to the respective ports are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device through a pair of transmission lines (S40).

[실시예 2][Example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패킷 전송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cal network including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실시예 2의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a)와 가입자 단말장치(20a)는 실시예 1에 비하여 제1 품질측정부(130)를 더 포함한다.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a and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20a of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 the first quality measurement unit 130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제1 품질측정부(130)와 제2 품질측정부(230)는 양 포트(port1, port2)에 대응한 한 쌍의 전송경로(300)의 통신품질을 각각 측정한다. 이 때 통신품질의 측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품질측정부(130)는 한 쌍의 전송경로(300)를 통한 가입자 단말장치(20a)까지의 전송속도, 지연시간 및 손신율 등의 회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품질측정부(230)의 경우에는 한 쌍의 전송경로(300)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10a)까지의 전송속도, 지연시간 및 손신율 등의 회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quality measuring unit 130 and the second quality measuring unit 230 measure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300 corresponding to the ports port1 and port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of the communication quality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rst quality measuring unit 130 may measure the line quality such as the transmission speed, the delay time, and the hand lengthening rate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20a through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300. [ In the case of the second quality measuring unit 23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line quality such as the transmission speed, the delay time, and the hand lengthening rate to 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a through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300.

제1 포트 결합부(120)와 제2 포트 결합부(220)는 각각 제1 품질측정부(130)와 제2 품질측정부(230)에 의하여 측정된 회선 품질을 참조하여 포트의 분배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품질측정부(130)에 의하여 측정된 제1 포트(port1)를 통한 가입자 단말장치(20a)까지의 회선 품질이 관리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1 포트 결합부(120)는 데이터 패킷들이 제1 포트(port1)에 분배되지 않고 제2 포트(port2)를 통하여 모든 패킷들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2 포트 결합부(220)의 경우에도 동일하다.The first port coupling unit 120 and the second port coupling unit 220 refer to the line quality measured by the first quality measurement unit 130 and the second quality measurement unit 230, . For example, when the line quality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20a through the first port (port1) measured by the first quality measuring unit 130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set by the manager, May control that data packets are not distributed to the first port (port 1) but all packet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ort (port 2). This is also the case with the second port coupling portion 220.

도 8을 참조하여 이러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 패킷의 전송과는 별개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각 포트를 통한 회선 통신 품질을 측정한다(S100). 이 때 특정 포트의 회선 품질이 기준치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실시예 1에 따른 프로세스를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다. 반면, 측정된 어느 한 포트의 통신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포트로의 패킷 분배를 금지하고, 나머지 다른 포트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게 된다.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rst, the quality of the line communication through each port is measured through a process separate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packet (S100).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ine quality of the specific por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if the line qual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ata packets ar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d communication quality of one por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packet distribution to the corresponding port is prohibited, and data packets are transmitted using only the remaining ports.

[실시예 3][Example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예 3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데이터 패킷 전송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ocal network including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실시예 3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10b) 및 가입자 단말장치(20b) 실시예 1에 비하여 각각 제1 카운터(140)와 제2 카운터(240)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10b and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2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iffer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first counter 140 and a second counter 240 are provided.

제1 카운터(140)와 제2 카운터(240)는 각각 제2 송수신부(102)와 제3 송수신부(201)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 중 동일한 패킷 식별자(identification)을 갖는 패킷들을 전송되는 포트 별로 각각 카운팅한다. 즉, 제1 카운터(140)와 제2 카운터(240)는 특정 포트를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 수를 측정하여 패킷이 특정 포트로 편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counter 140 and the second counter 240 transmit packets having the same packet identification among the data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102 and the third transceiver 201, Each port is counted. That is, the first counter 140 and the second counter 240 measure the number of packet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port and determine whether the packet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4씩 증가하는 경우에는 두 번째 자리수 비트를 참조하는 경우 0이 반복되며, 분배되는 포트도 1로 편중된다. 이와 같이 프라그먼트 오프셋이 증가하는 양에 따라 프라그먼트 오프셋 중 참조하여야 하는 자리 수가 변경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fragment offset increases by 4, 0 is repeated when referring to the second digit bit, and the port to be distributed is also biased to 1. Thus, the number of digits to be referred to in the fragment offset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crease in the fragment offset.

이러한 이유로 제1 포트 결합부(120)와 제2 포트 결합부(220)는 각각 제1 카운터(140) 및 제2 카운터(240)에 의하여 각 포트에 분배되는 동일 패킷 식별자의 패킷들을 카운팅한 수를 참조하여 특정 포트에 패킷이 편중되는 경우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변경한다. 이 때 제1 포트 결합부(120)와 제2 포트 결합부(220)는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점층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first port coupling unit 120 and the second port coupling unit 220 are formed by counting the packets of the same packet identifier distributed to the respective ports by the first counter 140 and the second counter 240 To change the number of digits of the fragment offset of the binary state to be referred to when a packet is biased to a specific port. In this case, the first port coupling unit 120 and the second port coupling unit 220 may increase the number of binary offset flags in reference.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시예 1의 프로세스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수신(S10)하고, 목적하는 장치에 따라 스위칭하며(S20), 포트를 분배(S30)한 후 각 패킷들을 전송(S40)한다. 이 때 별도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분배되는 패킷들을 카운팅(50)하여 편중 여부를 판단(S60)하고, 데이터 패킷들이 편중되어 분배되고 있는 경우에는 참조 비트를 변경(S70)한 후 다시 실시예 1에 따른 패킷 전송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11, a data packet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S10), the packe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target device (S20), the port is distributed (S30) S40). At this time, packets to be distributed through a separate process are counted (50) to judge whether the packets are biased (S60). If data packets are distributed in a biased manner, reference bits are changed (S70) And performs a packet transmission proces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데이터 패킷 분산 송수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 및 가입자 단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and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10, 10a, 10b: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20, 20a, 20b: 가입자 단말 장치
101: 제1 송수신부 102: 제2 송수신부
110: 제1 스위치부 120: 제1 포트 결합부
130: 제1 품질측정부 140: 제1 카운터
201: 제3 송수신부 202: 제4 송수신부
210: 제2 스위치부 220: 제2 포트 결합부
230: 제2 품질측정부 240: 제2 카운터
10, 10a, 10b: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device
20, 20a, 20b:
101: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2: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first switch part 120: first port coupling part
130: first quality measuring unit 140: first counter
201: thir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2: fourth transmission /
210: second switch part 220: second port coupling part
230: second quality measuring unit 240: second counter

Claims (15)

인터넷 서비스망을 적어도 한 쌍의 전송경로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들의 헤더로부터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Fragment offset)의 두번째 자리수에 해당하는 비트(bit)값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에 포함되는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패킷들을 분배하는 제1 포트 결합부; 및
상기 패킷들을 분배된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1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A network access aggrega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n internet service network with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via at least a pair of transmission paths,
A first port or a second port included in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bit value corresponding to a second digit of a fragment offset in a binary state from a header of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network, A first port coupling unit for distributing the packets to be transmitted through any one of the ports; And
And a first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packets to the subscriber terminal through a first port or a second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망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해당 패킷이 목적하는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itch unit for distributing a data packet input from the service network to a subscriber terminal device of interes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서비스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들을 비순차적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 분배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 unit distributes the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network to the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in a non-sequential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는 듀얼 1 페어(4 와이어)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s comprises a dual 1 pair (4 wi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는 이더넷 케이블 또는 전화선 중 어느 하나인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is any one of an Ethernet cable and a telephon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을 통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까지의 전송속도, 지연시간 및 손실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를 측정하는 제1 품질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quality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at least any one of a transmission rate, a delay time, and a loss rate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결합부는 상기 제1 품질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가 기 설정된 품질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상기 패킷들을 분배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port combining unit is configured to distribute the packets to ports other than the port when the line quality result of the first port or the second port measured by the first quality measuring uni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quality, Connection aggreg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에 분배 및 전송되는 패킷 중 동일한 패킷 식별자(identification)을 갖는 패킷 들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포트 결합부는 상기 카운터에 의하여 각 포트에 분배되는 동일 패킷 식별자의 패킷들을 카운팅한 결과 특정 포트에 패킷이 편중되는 경우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변경하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unter for counting packets having the same packet identification among the packet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The first port combining unit counts packets of the same packet identifier distributed to each port by the counter, and when a packet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 as a result of counting packets, the first port combining unit changes the number of binary offset flag fragments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결합부는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점층적으로 증가시키는 네트워크 접속 집합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port coupling unit increases the number of digits of the binary offset in the reference binary state.
사용자 단말기를 적어도 한 쌍의 전송경로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와 연결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들의 헤더로부터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Fragment offset)의 두번째 자리수에 해당하는 비트(bit)값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전송경로에 포함되는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패킷들을 분배하는 제2 포트 결합부; 및
상기 패킷들을 분배된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집합장치로 전송하는 제2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장치.
A subscriber terminal apparatus for connecting a user terminal to a network connection aggregation apparatus via at least on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 first port or a second port included in the pair of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bit value corresponding to a second digit of a binary offset of a binary state from a header of packet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econd port combining unit for distributing the packets to be transmitt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nd
And a secon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packets to the network access aggregation apparatus through the first port or the second po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을 통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까지의 전송속도, 지연시간 및 손실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를 측정하는 제2 품질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econd quality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t least any one of a transmission rate, a delay time, and a loss rate from the first port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po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트 결합부는 상기 제2 품질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회선 품질결과가 기 설정된 품질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상기 패킷들을 분배하는 가입자 단말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 port coupling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acket to the other port except for the port when the line quality result of the first port or the second port measured by the second quality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quality, Terminal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에 분배 및 전송되는 패킷 중 동일한 패킷 식별자(identification)을 갖는 패킷 들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포트 결합부는 상기 카운터에 의하여 각 포트에 분배되는 동일 패킷 식별자의 패킷들을 카운팅한 결과 특정 포트에 패킷이 편중되는 경우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변경하는 가입자 단말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unter for counting packets having the same packet identification among the packet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Wherein the second port combining unit counts packets of the same packet identifier distributed to each port by the counter, and changes the number of binary offset flag fragments to be referred to when a packet is biased to a specific po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트 결합부는 참조하는 2진수 상태의 프라그먼트 오프셋의 자리수를 점층적으로 증가시키는 가입자 단말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port combining unit increases the number of digits of the binary offset in the reference binary state.

KR1020120128910A 2012-11-14 2012-11-14 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 KR1014057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10A KR101405734B1 (en) 2012-11-14 2012-11-14 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10A KR101405734B1 (en) 2012-11-14 2012-11-14 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22A KR20140062322A (en) 2014-05-23
KR101405734B1 true KR101405734B1 (en) 2014-06-10

Family

ID=5089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910A KR101405734B1 (en) 2012-11-14 2012-11-14 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7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346A (en)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ort selection in equal cost multipath router
WO2007098405A2 (en) 2006-02-16 2007-08-30 Techguard Securit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flow of data
US7362735B2 (en) 2000-05-25 2008-04-22 Soma Networks Inc. Quality dependent data communication channel
US20090116490A1 (en) 2005-09-20 2009-05-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2735B2 (en) 2000-05-25 2008-04-22 Soma Networks Inc. Quality dependent data communication channel
KR20040062346A (en)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ort selection in equal cost multipath router
US20090116490A1 (en) 2005-09-20 2009-05-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7098405A2 (en) 2006-02-16 2007-08-30 Techguard Securit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flow of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22A (en)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hari et al. Evaluation of concurrent multipath transfer over dissimilar paths
CN101997916B (en) Method and device for file transmission based on network
JP614521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8989237B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EP2391070A1 (en) 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hybri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267116B1 (en) Packet transmission method, proxy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6464567B (en) Dynamic flow control method, device, gateway and fusion access convergent point
KR101405734B1 (en) Broadband transmitter/ receiver for local area network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Cisco Frame Relay Comm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