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455B1 -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455B1
KR101405455B1 KR1020100055501A KR20100055501A KR101405455B1 KR 101405455 B1 KR101405455 B1 KR 101405455B1 KR 1020100055501 A KR1020100055501 A KR 1020100055501A KR 20100055501 A KR20100055501 A KR 20100055501A KR 101405455 B1 KR101405455 B1 KR 10140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network
subflow
flow
media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072A (ko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61,80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141893A1/en
Priority to JP2010272403A priority patent/JP2011125009A/ja
Publication of KR2011006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58Modification of priorities while in trans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with rate being modified by the source upon detecting a change of network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는 서브 플로우 전달부 및 서브 플로우 제어부를 포함한다. 서브 플로우 전달부는 미디어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고, 동일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에 포함된 플로우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서브 플로우 제어부는 미디어 트래픽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며,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미디어 트래픽이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될 수 있도록 서브 플로우 전달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BASED SUB-FLOW}
본 발명은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디어 트래픽을 서브 플로우(sub-flow)로 분류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64-04, 과제명: BcN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기술연구].
최근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증가로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고 함) 보장, 사용자 체감 품질(Quality of Experience, 이하 "QoE"라고 함) 보장 및 대역폭 보장 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네트워크에서의 QoS/QoE는 멀티미디어 세션(session) 단위로 트래픽의 대역폭을 조절하여 멀티미디어 세션이 요구하는 수준의 대역폭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세션은 IP 플로우를 기반으로 정의되어 왔으며 IP 플로우는 IP 패킷 헤더와 L4 계층(TCP 또는 UDP)헤더에 정의된 5-tuple(source address, destination address,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protocol) 정보와 DSCP(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로 사용되는 TOS(Type of Service) 필드의 조합으로 정의되어 왔다.
한편, 고화질 멀티미디어의 출현으로 대용량의 미디어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인코딩(encoding)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트래픽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코딩되며,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인코딩된 정보는 중요도에 따라 분류되어 패킷화된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SVC)의 경우 기본 해상도의 영상과 고화질의 영상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서로 다른 계층(tier)으로 인코딩하여 전송된다. 그리고,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파일의 특정시간의 정치화면의 정보는 I 프레임에 정지화면으로부터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무빙벡터(moving vector)를 B 프레임과 P 프레임에 각각 분리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종래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전달기술은 플로우 기반으로 트래픽을 제어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고화질의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플로우 내에서 미디어의 성격에 따라 서브 플로우가 존재하므로 플로우 기반의 패킷의 헤더만을 바탕으로 플로우를 고려하여 QoS/QoE를 제어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트래픽의 성격에 관계없이 세션기반으로 정의된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의 환경 및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서브 플로우로 세분화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고, 동일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에 포함된 플로우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전달부, 그리고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필요한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플로우 전달부를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경계점에 위치하며,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진입 전달 제어부,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달되는 경계점에 위치하며,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패킷의 플로우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는 진출 전달 제어부, 그리고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필요한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와 진출 전달 제어부를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출 전달 제어부는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전달되는 미디어 트래픽을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세분화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소정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응용계층의 특성에 따라 상기 소정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며, 상기 사용자 중 유사한 조건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따라 상기 소정의 서브 플로우를 이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트래픽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서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미디어 플로우의 패킷을 서브 플로우(sub-flow)로 세분화하여 네트워크의 상황 및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전달함에 따라,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품질 및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가 적용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의 서브 플로우 전달부에서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세분화하는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의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적용된 네트워크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의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적용된 네트워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가 적용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의 서브 플로우 전달부에서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세분화하는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 상에서 미디어 트래픽을 세분화 하여 미디어 플로우를 미디어의 특성에 맞는 서브 플로우(sub-flow)로 세분화하여 네트워크를 제어한다. 이러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10)는 서브 플로우 제어부(100) 및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2개 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네트워크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플로우 제어부(100)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디어 트래픽의 효과적인 전달과 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서브 플로우 제어부(100)는 정보 수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간별 네트워크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미디어 트래픽이 경로상에서 겪는 지연(delay), 손실(loss) 및 지터(jitter)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고 함)로 현재 네트워크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의 경로상의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서브 플로우 제어부(100)는 필요 시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를 제어하여 미디어 트래픽을 변경하는 장비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는 네트워크의 경계점에서 미디어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고, 동일 세션(session)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의 플로우를 여러 개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여 네트워크의 상황에 맞도록 세분화하고, 사용자 중 유사한 조건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따라 세분화된 서브 플로우를 조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동일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들은 다양한 성격의 패킷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로는 미디어 트래픽과 제어 트래픽, MPEG 영상 미디어 트래픽의 I 프레임과 B와 P 프레임, 미디어 트래픽이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이하 "SVC"라고 함)로 이루어졌을 경우 각 계층의 정보 및 미디어 트래픽과 동일 세션을 가장해 전달되는 악성 트래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5-tuple 을 이용하여 모든 패킷의 미디어 트래픽이 플로우(300)(flow)들로 구분된 상태에서 동일 플로우 안에서 응용 계층의 특성에 따라 다른 성격의 데이터로 세분하여 서브 플로우(400)별로 세분화한다. 여기서, 5-tuple에는 소스 주소(source address),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소스 포트(source port),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 및 프로토콜(protocol)가 포함된다. 그리고,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는 사용자 중 유사한 조건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따라 이러한 서브 플로우(400)들을 조합하여 필요한 정보를 구성한 그룹 서브 플로우(500)(grouped sub-flow)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400)를 이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500)로 매핑하는 것은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에 의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단말의 특성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된 최적화된 그룹 서브 플로우(500)를 전달받는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 전달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의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적용된 네트워크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는 각각 네트워크의 경계점에 위치하는 진입 전달 제어부(Ingress Transport Control, 이하 "ITC"라고 함)(210) 또는 진출 전달 제어부(Egress Transport Control, 이하 "ETC"라고 함)(220)로 형성될 수 있다.
ITC(210)는 미디어 서버(600)를 통해 미디어 트래픽이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경계 지점에 위치한다. ITC(210)는 동일 미디어로 전달되는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 내용을 분석하며, 우선순위에 따라 미디어 트래픽을 구분하여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이때, ITC(210)에서 플로우 내의 서브 플로우의 우선순위를 구분한 예는 표 1과 같으며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 1에서와 같이 미디어 트래픽의 우선순위가 제어 트래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트래픽과 제어 트래픽의 우선순위는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우선순위로 여러 단계로 확장될 수도 있다. 이때, 우선순위는 IP 헤더의 DSCP(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필드를 사용하거나 그 외의 필드를 사용하여 구분될 수 있으며, 드롭 순위(dropping priority)를 나타낸다. 즉, 네트워크 전달과정에서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혼잡(congestion)이 감지 될 경우 드롭 순위가 낮은 등급의 패킷을 먼저 드롭(drop)한다.
Figure 112010037693610-pat00001
ETC(220)는 미디어 트래픽이 코어를 통과한 후 사용자들이 위치한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경계 지점에 위치한다. ETC(220)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네트워크로 미디어 트래픽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트래픽을 제어하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미디어 트래픽을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ETC(220)는ITC(210)를 통해 전달되는 트래픽과 ITC(210)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전달된 트래픽 모두를 처리한다. 즉, ITC(210)를 통해 트래픽이 전달되는 경우, ETC(220)는 ITC(210)에서 명시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패킷을 드롭시킨다. ITC(210)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트래픽이 직접 전달되는 경우, ETC(220)는 트래픽의 내용을 분석하여 서브 플로우로 구분하며, 필요 시 서브 플로우 별로 드롭시킨다.
또한, ETC(220)는 서브 플로우 단위로 멀티캐스팅(multicasting)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ETC(220)는 유무선 액세스와 공유되는 경계 노드에 위치하여 미디어 트래픽을 멀티캐스팅 형태로 모든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달할 경우, 각 액세스 구간의 상태에 따라 미디어 트래픽을 차별하여 전달한다. 즉, ETC(220)는 자원이 부족한 무선 구간의 사용자에게는 최소한의 대역폭으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우선 순위가 높은 서브 플로우(high priority sub-flow)만을 전달하고, 자원상태가 풍부한 유선 액세스 사용자에게는 모든 서브 플로우를 전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는 ITC(210) 및 ETC(220)로 형성되어 라우터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로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로 형성된 서브 플로우 전달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의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적용된 네트워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 전달부(200a-200b)는 각각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23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230)는 일정 세션의 트래픽을 수신하여 서브 플로우로 구분한 후 현재 네트워크 상황에 맞게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형태로 서브 플로우를 전달한다.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230)는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Multimedia Flow Management)(231), 서브 플로우 그룹 관리부(Sub-flow Group Management)(232),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Multimedia Content Aware Process Engine)(233) 및 서브 플로우 트래픽 제어부(Sub-flow Traffic Control)(234)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231)는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230)를 통해 전달 되는 미디어의 세션의 정보를 보관하며, 미디어 트래픽의 현재 상태에 따라 우선순위를 관리한다.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231)는 멀티미디어 정책 관리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상태 변경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태 변경요청 신호가 서브 플로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233)으로 전달한다. 즉, 멀티미디어 정책 관리자에 의해 일정 플로우의 상태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231)는 멀티미디어 정책 관리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상태 변경요청 신호를 전달받아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233)으로 전달한다.
서브 플로우 그룹 관리부(232)는 미디어 트래픽을 서브 플로우 단위로 멀티캐스팅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브 플로우 그룹 관리부(232)는 여러 개의 서브 플로우로 나뉜 미디어 트래픽에 대해서 멀티캐스팅을 수행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성능 및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수신대역폭을 제한한다. 이 경우 비슷한 대역의 미디어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여 멀티캐스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성능에 따라 서로 다른 해상도의 SVC 트래픽을 처리하는 경우, 서브 플로우 그룹 관리부(232)는 동일한 성능을 갖는 단말 그룹의 환경에 맞는 해상도의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233)은 동일한 플로우로 정의되어 들어오는 미디어 트래픽을 응용 계층의 특성에 따라 서브 플로우로 세분화하며, 세분화된 서브 플로우들을 조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생성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233)은 응용계층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응용계층을 인식할 수 있는 응용 프로파일과 네트워크의 정책을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231)로부터 전달받는다.
서브 플로우 트래픽 제어부(234)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233)으로부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전달받으며, 네트워크의 상황 및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전달된 그룹 서브 플로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즉, 서브 플로우 트래픽 제어부(234)는 네트워크의 상황 및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스케줄링(scheduling), 마킹(marking) 및 쉐이핑(shaping)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 상에서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미디어 플로우를 서브 플로우로 세분화하여 네트워크의 상황 및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전달함에 따라,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품질 및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삭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고, 동일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에 포함된 플로우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전달부, 그리고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필요한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플로우 전달부를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플로우 전달부는,
    상기 사용자 중 유사한 조건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를 조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생성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우 전달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진입 전달 제어부 또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달되는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진출 전달 제어부로 형성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진입 전달 제어부인 경우,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의 혼잡이 기준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먼저 드롭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우 전달부가 진출 전달 제어부인 경우,
    상기 진출 전달 제어부는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는 미디어 트래픽과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전달되는 미디어 트래픽 각각을 수신하며, 상기 각 미디어 트래픽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여 처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 전달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드롭시키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 전달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지 않고 직접 전달되는 경우,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에 포함된 플로우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구분하며 필요 시 상기 서브 플로우 별로 상기 패킷을 드롭 시키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우 전달부는,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 및 상기 진출 전달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로 형성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세션의 정보를 보관하며,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현재 상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수신대역폭을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그룹 관리부,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응용 계층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를 이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트래픽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경계점에 위치하며,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진입 전달 제어부,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달되는 경계점에 위치하며,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패킷의 플로우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는 진출 전달 제어부, 그리고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필요한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와 진출 전달 제어부를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출 전달 제어부는,
    상기 진입 전달 제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전달되는 미디어 트래픽을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 중 유사한 조건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플로우를 이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생성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멀티캐스팅을 수행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는 네트워크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지연(delay), 손실(loss) 및 지터(jit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며,
    상기 네트워크 구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의 구간별 경로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5.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디어 트래픽을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소정의 서브 플로우로 세분화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소정의 서브 플로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트래픽이 상기 소정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을 응용계층의 특성에 따라 상기 소정의 서브 플로우로 분류하며, 상기 사용자 중 유사한 조건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따라 상기 소정의 서브 플로우를 조합하여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트래픽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세션의 정보를 보관하며, 상기 미디어 트래픽의 현재 상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 그리고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수신대역폭을 제어하는 서브 플로우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웨어 프로세싱 엔진은,
    상기 응용계층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기 응용계층을 인식할 수 있는 응용 프로파일과 상기 네트워크의 정책을 상기 멀티미디어 플로우 관리부로부터 전달받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우 트래픽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의 환경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스케줄링(scheduling), 마킹(marking) 및 쉐이핑(shaping)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그룹 서브 플로우를 전달하는 서브 플로우 관리 장치.
KR1020100055501A 2009-12-10 2010-06-11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10140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61,806 US20110141893A1 (en) 2009-12-10 2010-12-07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on per-subflow basis
JP2010272403A JP2011125009A (ja) 2009-12-10 2010-12-07 サブフローを基盤でネットワーク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2685 2009-12-10
KR1020090122685 2009-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72A KR20110066072A (ko) 2011-06-16
KR101405455B1 true KR101405455B1 (ko) 2014-06-11

Family

ID=4439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501A KR101405455B1 (ko) 2009-12-10 2010-06-11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4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6908B (zh) * 2013-08-28 2019-05-28 Kt株式会社 基于多流式分组的带宽提供方法
KR101537991B1 (ko) * 2013-12-18 2015-07-21 한국과학기술원 이종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방법
KR101684456B1 (ko) * 2015-02-10 2016-12-20 엑사비스 주식회사 패킷 저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검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14A (ko) * 2000-11-17 2004-02-1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케이블 모뎀 서비스 플로내의 다중 서비스 서브플로
WO2008025666A1 (fr) * 2006-08-16 2008-03-06 Ipanema Technologies Procede d'optimisation du transfert d'informations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US7417950B2 (en) * 2003-02-03 2008-08-26 Cien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flow ingress/egress admission control in a provider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14A (ko) * 2000-11-17 2004-02-1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케이블 모뎀 서비스 플로내의 다중 서비스 서브플로
US7417950B2 (en) * 2003-02-03 2008-08-26 Cien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flow ingress/egress admission control in a provider network
WO2008025666A1 (fr) * 2006-08-16 2008-03-06 Ipanema Technologies Procede d'optimisation du transfert d'informations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72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656B1 (ko) 적응형 스트리밍 트래픽을 관리 및 조절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689430B1 (ko) 디지털 홈 서비스에서 하이브리드 모니터링을 통한 동적서비스 품질 매핑 장치 및 방법
US7389356B2 (en) Generalized differenti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daptive multimedia communications
KR101757771B1 (ko) 상호 계층 최적화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187780B2 (ja) 通信システム、受信端末、送信端末、および流量制御方法
EP257399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bandwidth and corresponding device
US113167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ultimedia data packet using cross-layer optimization
WO2009146621A1 (zh) 数据处理方法及宽带网络网关、策略控制器和接入设备
Bagci et al. Compete or collaborate: Architectures for collaborative DASH video over future networks
Yu et al. Genetic algorithm‐based routing method for enhanced video delivery over software defined networks
KR101405455B1 (ko) 서브 플로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US994216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nd updating session-based quality of service for multimedia traffic in a local area network
CN101741752B (zh) 视频流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JP2011125009A (ja) サブフローを基盤でネットワーク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
Paramasivam et al. Quality of service aware routing in software defined video streaming: a survey
Athanasopoulos et al. End-to-end quality aware optimization for multimedia clouds
Kalan et al. Implementation of sand architecture using sdn
Mohamed et al. An IPv6 flow label based approach for IPTV quality of service
Kleinrouweler Using DASH Assisting Network Elements for Optimizing Video Streaming Quality
Şahin VSP-managed DASH video services
Al-Qassab et al. EPIQ: A new Active Queue Management paradigm for Packet video
Park et al. Quality of service (QoS) for video transmission
Rani et al. Literature Survey for Improving Quality of Service for Multimedia Applications
Furht Abdulmotaleb El Saddik 2
Feng et al. Scalable video transmission over priority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