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893B1 - 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 Google Patents

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893B1
KR101402893B1 KR1020130007073A KR20130007073A KR101402893B1 KR 101402893 B1 KR101402893 B1 KR 101402893B1 KR 1020130007073 A KR1020130007073 A KR 1020130007073A KR 20130007073 A KR20130007073 A KR 20130007073A KR 101402893 B1 KR101402893 B1 KR 10140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acetabular cup
acetabular
insert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중명
김정성
신태진
심보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3000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8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6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 A61B17/166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for the acetabul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1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fo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used in removing the acetabular cup inserted in acetabul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capable of minimizing the loss of the acetabular cut by using fixing force between the acetabular and an insert through using the insert directly combin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ular cup without a liner instead of a conventional ball type insert inserted and combined to the liner of the acetabular cup, wherein the insertion part of the end of a main shaft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inside of the insert is hinge combined to the main shaft for moving the main shaft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hinge as an axis with the insertion part being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wherein the system comprises a cutting blade posi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cutting blade for cutting the acetabul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ular cup, so a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to coincide with the pivot of the acetabular positioned in the acetabular. The system additionally comprises a handle detachably combined to the main shaft for a user to easil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using the handle and the combination of the main shaft and the handle.

Description

비구컵 제거시스템{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본 발명은 비구골 내에 삽입결합된 비구컵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와 같이 비구컵의 라이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볼 형태의 삽입부 대신에, 라이너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 내주면에 직접 결합고정되는 인서트를 사용함으로써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고정력을 이용하여 절삭되는 비구골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서트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되는 메인샤프트 말단의 삽입부가 메인샤프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는 힌지를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비구골을 절삭하게 되는 컷팅날의 위치를 조절하는 컷팅날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컷팅날의 위치를 비구골 내에 위치하는 비구컵의 구심점에 맞도록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메인샤프트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메인샤프트와 핸들 간의 결합 및 핸들을 이용한 메인샤프트의 회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inserted and coupled into an acetabular bone, and more particularly, The insertion loss of the acetabular bone cut us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acetabular cup and the insert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insert which is directly coupl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ular cup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sert, The main shaft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distal end is hinged to the main shaft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The main shaft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so as to mat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shaft and the main shaf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for easily adjusting the rotation of a shaft.

고관절은 인체의 대퇴골과 골반의 비구골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로서, 사람이 앉거나 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관절이다. 고관절은 결핵과 같은 병적 원인 및 질병 등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치유하기 위해서 외과 수술을 통해서 인공고관절용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인공고관절용 기기는 대퇴스템과 비구컵으로 이루어진다. The hip joint is the joint between the femur of the human body and the acetabular bone of the pelvi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joint for human sitting and standing. The hip joint can be damaged by pathological causes such as tuberculosis and diseases, and the artificial hip joint device can be applied through a surgical operation to heal it. Typically, the artificial hip joint device consists of a stem and an acetabular cup.

도 1은 인체의 고관절에 인공고관절용 기기가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tificial hip joint device is applied to a hip joint of a human body.

도 1을 참조하면, 골반의 비구골(1)에는 비구컵(2)이, 대퇴골(3)에는 대퇴스템(4)이 각각 시술된 상태에서 상기 대퇴스템(4)의 대퇴골두(41)가 비구컵(2) 내의 라이너(21)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되면, 상기 인공고관절용 기기는 고관절을 대체하여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고관절용 기기는 제품 수명이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경과 이후에는 교체 시술을 하여야 하고, 이러한 교체 시술이나 또는 기 시술된 비구컵(2)에 대한 재시술이 행해져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비구골(1) 내에 삽입된 기 시술된 비구컵(2)을 먼저 제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1, the femoral head 41 of the femoral stem 4 is inserted into the acetabular cup 4 in the state where the acetabular cup 2 is inserted into the acetabular bone 1 of the pelvis and the stem 4 is inserted into the femur 3, And the liner 21 in the body 2, the artificial hip joint device replaces the hip joint. However, since the device for the artificial hip joint has a life span,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replacement oper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replacement operation or the re-operation of the acetabular cup 2 is performed, (2) should be removed first.

비구골(1) 내에 기 시술되어 있는 비구컵(2)을 제거하기 위한 장비로는, 아래 (특허 문헌)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은 비구컵 제거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As the equipment for removing the acetabular cup 2 which has been used in the acetabular bone 1, there is used an acetabular cup removing device a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특허 문헌)(Patent Literature)

미국등록특허공보 US6,565,575 B2(2003. 05. 20. 공고)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US 6,565,575 B2 (published on May 20, 2003)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비구컵 제거장치들은 제거장치 말단에 볼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부가 비구컵(2)이 아닌 비구컵 내 삽입되어 있는 라이너(21) 내에 삽입(즉, 도 1에서 대퇴골두(41)가 삽입되는 부분에 동일하게 삽입됨)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종래의 비구컵 제거장치를 이용한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구골(1) 내에 고정되어 있는 비구컵(2)에서 라이너(21)를 빼내고 비구컵(2)을 비구골(1)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비구컵 고정용 나사를 제거한 후, 다시 라이너(21)를 비구컵(2)에 끼워 넣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라이너(21)를 비구컵(2)에서 빼내고 다시 넣고 하는 과정에서 라이너(21)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거나, 다시 끼워진 라이너(21)가 비구컵(2)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라이너(21)를 비구컵(2)에서 빼낸 후 다시 끼워 넣게 되면 다시 끼워진 라이너(21)와 비구컵(2) 간에 축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다시 끼워진 라이너(21)와 비구컵(2) 간 고정력이 더욱 감소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종래의 비구컵 제거장치는 시술을 위한 사전작업으로 비구컵(2)에서 라이너(21)를 빼내고 다시 끼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이너(21)의 변형 및 파손과 라이너(21)와 비구컵(2) 간의 고정력 감쇠 문제로 인해, 다시 끼워진 라이너(21)에 비구컵 제거장치 말단부의 볼 형태의 삽입부를 끼워 넣고 시술하는 과정에서, 비구컵 제거장치 말단부의 볼 형태의 삽입부와 라이너(21) 간 그리고 다시 끼워진 라이너(21)와 비구컵(2) 간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없어, 비구컵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비구컵(2) 주위의 비구골(1)에 대한 컷팅(절삭) 작업을 수행시 필요 이상으로 비구골(1)이 과도하게 절삭되어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such conventional apparatus for removing the acetabular cups,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ball shape at the end of the remov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liner 21 inserted in the acetabular cup rather than the acetabular cup 2 (i.e., the femoral head 41 The liner 21 is pulled out from the acetabular cup 2 fixed in the acetabular bone 1 and the acetabular cup 2 is inserted into the acetabular cup 2. In order to perform the procedure using the conventional acetabular cup removing apparatus, After the screw for fixing the acetabular cup used for fixing the acetabular cup to the acetabular bone 1 is removed and then the liner 21 is inserted into the acetabular cup 2 again. Howev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receding work, the liner 21 may be deformed or damag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liner 21 from the acetabular cup 2 and reinserting the liner 21, 2)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en the liner 21 is pulled out of the acetabulum cup 2 and then reinserted, there is a case that the axe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between the liner 21 and the acetabocainer 2, The fixation force between the acetabular cup 2 can be further reduced.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removing the acetabular cup has a problem that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liner 21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and reattaching the liner 21 from the acetabular cup 2,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all-shaped insertion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acetabular cup removing device into the reinserted liner 21 due to the fixing force damping problem, the ball-shaped insertion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acetabular cup removing device and the liner 21, (1) around the acetabular cup (2) by using an acetabular cup removing device because there is no fixing force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between the acetabular cup (21) and the acetabular cup (2) 1) is excessively cut and lost.

또한, 종래의 비구컵 제거장치는 비구컵 제거장치의 샤프트 상에 힌지 연결부분이 없기 때문에 항상 사프트 전체를 동일하게 움직여야 함에 따른 시술상의 불편한 문제가 있고, 샤프트에 장착된 컷팅날 구성의 경우에도 컷팅날이 결합된 위치에 고정될 뿐 그 위치를 비구컵(2)의 형상 특히,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추어 조절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removing the acetabular cup, since there is no hinge connection part on the shaft of the acetabular cup remov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operation that the whole of the shaft must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ll the time. In case of the cutting blade structure mounted on the shaft, Since the position of the cup 2 can not be adjusted to match the shape of the cup 2, especially the cup 2, the problem can not be solved.

또한, 비구컵 제거장치의 샤프트 회동을 위해 사용되는 핸들 역시 샤프트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거나 또는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자체만 별도로 회동하지 않도록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구조가 갖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핸들을 사용한 시술도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used for rotating the shaft of the cup removal device is also integrally mounted on the shaft or is not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essentially shutting off itself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shaf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비구컵의 라이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볼 형태의 삽입부 대신에, 라이너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 내주면에 직접 결합고정되는 인서트를 사용함으로써,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고정력을 이용하여 절삭되는 비구골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king an insert by using an insert which is directly coupled and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ular cup in a state in which a liner is removed in place of a ball- And to provide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loss of the acetabular bone to be c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결합부위가 비구컵 내주면의 암페이퍼와 인서트 외주면의 수테이퍼 및 비구컵 내주면 정점부위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과 인서트 외주면 정점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양자 간의 결합력(고정력)을 극대화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n inser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sert, wherein the joint between the insert and the insert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the apex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And to provide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that maximizes the binding force (fixing force) between the tw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서트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되는 메인샤프트 말단의 삽입부가 메인샤프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는 힌지를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nge, wherein an insert portion of a main shaft end inserted and seated in an insert groove formed in the insert is hinged to a main shaf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along an ax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샤프트에 결합되는 컷팅날이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면취된 면취부에 결합하여, 상기 면취부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는 있으나 상기 면취부에 의해 메인샤프트와 별도로 컷팅날만 따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ounting a main shaft and a main shaft on a main shaft of a main shaf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that can prevent a separate cutting edge from being rotated separat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비구골을 절삭하게 되는 컷팅날의 위치를 조절하는 컷팅날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컷팅날의 위치를 비구골 내에 위치하는 비구컵의 구심점에 맞도록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tting blade position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utting blade that cuts an acetabular bon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ular cup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is matched with the crown of the acetabular cup And to provide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to be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샤프트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메인샤프트와 핸들 간의 결합 및 핸들을 이용한 메인샤프트의 회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that further includes a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so that a user can easily adjust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using a coupling between the main shaft and the handle, will b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구컵 제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은 라이너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는 결합부위를 포함하여 비구컵 내에 결합고정되는 인서트; 상기 인서트에 삽입결합되며, 컷팅날을 회동시켜 상기 비구컵 주위에 부착된 비구골을 절삭시키는 메인샤프트;를 포함하여,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고정력을 이용하여 절삭되는 비구골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se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cluding an engag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ular cup in a state where a liner is removed, And a main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 and rotating the cutter blade to cut the acetabular bone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acetabular cup to reduce the loss of the acetabular bone cut us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acetabular cup and the insert.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위는 비구컵 내주면의 암페이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테이퍼에 결합고정되는 수테이퍼와, 비구컵 내주면 정점부위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male tape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m pap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olic cup and fixed to the arm taper,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인서트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되는 메인샤프트 말단의 삽입부가 메인샤프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는 힌지를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haft is hinged to the main shaft at an end portion of the main shaft,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sert, And the main shaft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axis of the hinge while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는 비구골 내에 위치하는 비구컵의 구심점에 맞도록 상기 컷팅날의 위치를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컷팅날위치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haft moves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up and dow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so as to match the center point of the acetabular cup located in the acetabular bone And further comprising a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cutting bla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컷팅날은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면취된 면취부에 결합하여, 상기 면취부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는 있으나 상기 면취부에 의해 메인샤프트와 별도로 컷팅날만 따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blade may be coupled to a chamfered portion that is chamfer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and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chamfered portion However, it is prevented that the cutting blade separately rotates separately from the main shaft by the chamfered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컷팅날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컷팅날을 중심으로 컷팅날의 상측에서 메인샤프트와 나사결합하여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원위부너트와, 컷팅날의 하측에서 메인샤프트와 나사결합하여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근위부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원위부너트와 근위부너트의 상하이동을 통해 상기 컷팅날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moves upward and downwar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by screwing with the main shaft on the upper side of the cutting blade about the cutting blade And a proximal nut that i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main shaft at a lower side of the cutting blad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distal nut and the proximal nut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은 상기 메인샤프트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wherein the handle can be used to easily adjust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각형 형태로 면취된 제1다각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말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의 내주면에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태로 면취된 제2다각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haft includes a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that is chamfered in a polygon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t one side of the handle, And a second polygonal coupling portion that is chamfered in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polygonal coupling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to be inserted.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비구컵의 라이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볼 형태의 삽입부 대신에, 라이너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 내주면에 직접 결합고정되는 인서트를 사용함으로써,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고정력을 이용하여 절삭되는 비구골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sert which is directly coupl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ular cup in a state in which the liner is removed in place of the ball-shaped insert inserted into the liner of the acetabular cup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acetabular bone.

본 발명은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결합부위가 비구컵 내주면의 암페이퍼와 인서트 외주면의 수테이퍼 및 비구컵 내주면 정점부위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과 인서트 외주면 정점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양자 간의 결합력(고정력)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ortion between an acetabular cup and an insert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by being embedded in a male taper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ocainer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insert and a vertex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ular cup, It ha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bonding force (fixing force).

본 발명은 상기 인서트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되는 메인샤프트 말단의 삽입부가 메인샤프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는 힌지를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sert is hinged to the main shaft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메인샤프트에 결합되는 컷팅날이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면취된 면취부에 결합하여, 상기 면취부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는 있으나 상기 면취부에 의해 메인샤프트와 별도로 컷팅날만 따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utting blade coupled to a main shaft is coupled to a chamfered portion that is chamfered along a direction of an axis of the main shaft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chamfered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rotating separately.

본 발명은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비구골을 절삭하게 되는 컷팅날의 위치를 조절하는 컷팅날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컷팅날의 위치를 비구골 내에 위치하는 비구컵의 구심점에 맞도록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blade positioning device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cutting blade for cutting an acetabular bon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olic cup, So that it can be fixed up and down.

본 발명은 메인샤프트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메인샤프트와 핸들 간의 결합 및 핸들을 이용한 메인샤프트의 회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shaft and the handle and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using the handle.

도 1은 인체의 고관절에 인공고관절용 기기가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비구컵 제거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비구컵 내에 인서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인서트 내 삽입홈에 메인샤프트의 삽입부가 삽입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힌지를 축으로 메인샤프트가 좌우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근위부너트를 이동시킨 다름 원위부너트를 이동시켜 컷팅날을 조절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메인샤프트의 제1다각형결합부에 핸들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메인샤프트를 회동시키면서 컷팅날로 비구컵 주위의 비구골을 절삭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vice for artificial hip joint is applied to a hip joint of a human body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 is engaged in an acetabular cup;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ng portion of a main shaft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an inserting groove in the insert;
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shaft moves right and left with the hinge as an axis
FIG. 7 is a side eleva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moving the distal nut to move the proximal nut to fix the cutting edge to the adjusted position
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engaged with the first polygonal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shaft
9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cutting the acetabular bone around the acetabular cup with the cutting blade while rotating the main shaft
10 is a cro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컵 제거시스템은 라이너(21)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2)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는 결합부위(51)를 포함하여 비구컵(2) 내에 결합고정되는 인서트(5); 상기 인서트(5)에 삽입결합되며, 컷팅날(63)을 회동시켜 상기 비구컵(2) 주위에 부착된 비구골(1)을 절삭시키는 메인샤프트(6); 상기 메인샤프트(6)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핸들(7);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10, an acetabular cup remo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51 that is fixed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acetabular cup 2 with a liner 21 removed, An insert (5) which is fixedly coupled in the body (5); A main shaft 6 inserted into the insert 5 and rotating the cutter blade 63 to cut the acetabular bone 1 attached around the acetabocain 2; And a handle (7)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6).

상기 인서트(5)는 라이너(21)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2)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는 결합부위(51)를 포함하여 비구컵(2) 내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구성으로, 비구컵(2) 내에 직접 삽입되어 결합된 후 상기 인서트(5)는 후술할 메인샤프트(6)의 삽입부(61)와 결합하게 된다.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구컵 제거장치들은 제거장치 말단에 볼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부가 비구컵(2)이 아닌 비구컵 내 삽입되어 있는 라이너(21) 내에 삽입(즉, 도 1에서 대퇴골두(41)가 삽입되는 부분에 동일하게 삽입됨)되기 때문에, 비구컵 제거장치 말단부의 볼 형태의 삽입부와 비구컵 간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없어 비구컵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비구컵(2) 주위의 비구골(1)에 대한 컷팅(절삭) 작업을 수행시 필요 이상으로 비구골(1)이 과도하게 절삭되어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제거장치 말단에 단순히 볼 형태로 형성되어 비구컵(2)(또는 라이너(21))에는 전혀 고정되지 않는 볼 형태의 삽입부 대신에,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21)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2) 내주면에 직접 결합고정되는 결합부위(51)를 포함하여 결합후 비구컵(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기 인서트(5)를 활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서트(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위(51)로 비구컵(2) 내주면의 암테이퍼(2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테이퍼(22)에 결합고정되는 수테이퍼(511)와, 비구컵(2) 내주면 정점부위에 함입(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용홈(23)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5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sert 5 is inserted into the cup 2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cup 2 by including the engaging portion 51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2 with the liner 21 removed. The insert 5 is engag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61 of the main shaft 6 to be described later. As mentioned above, the conventional acetabular cup removing devices are inserted into the liner 21 inserted in the acetabular cup, not the acetabular cup 2, in the form of a ball at the end of the removal device (i.e., (2) around the acetabular cup (2) using an acetabular cup removal device because there is no fixing force in the state where the ball-shaped insertion part of the acetabular cup removing device is coupled with the acetabular cu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etabular portion 1 is excessively cut and lost when the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acetabular portion 1 of the acetabular portion 1 more than necessar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5, in place of a ball-shaped insertion part which is formed simply in the form of a ball at the end of a conventional removal device and is not fixed at all to the acetabular cup 2 (or the liner 21) The insert 5 including the engaging portion 51 which is directly engag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ocain 2 in a state where the liner 21 is removed is firmly fixed to the acetabular cup 2 after the engaging. 4, the insert 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m taper 22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ocainer 2 as the engaging portion 51, and is fixed to the arm taper 22 And a coupling protrusion 512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23 which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or penetrated through) the apex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ular cup 2.

상기 수테이퍼(511)는 상기 인서트(5)의 외주면에서 비구컵(2) 내주면의 암페이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테이퍼(22)에 결합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5)의 외주면에 테이퍼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수테이퍼(511)는 비구컵(2)의 내주면에 역시 테이퍼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암테이퍼(22)의 형성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비구컵(2) 내에 상기 인서트(5)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수테이퍼(511)는 상기 암테이퍼(22)에 압입되어 쐐기 효과와 같은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The male taper 5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m pap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2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5 and fixed to the arm taper 22, The male taper 511 which forms a tapered inclined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5 corresponds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arm taper 22 which also forms a tapered inclined surfac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ocain 2 The male taper 511 is pressed into the female taper 22 and exerts a fixing force such as a wedge effect when the insert 5 is inserted into the acetabulum cup 2. [

상기 결합돌기(512)는 비구컵(2) 내주면 정점부위에 함입(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용홈(23)에 삽입결합되도록 상기 인서트(5)의 외주면 정점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5)의 외주면 정점부위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상기 결합돌기(512)는 비구컵(2)의 내주면 정점부위에서 역시 함입(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용홈(23)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비구컵(2) 내에 상기 인서트(5)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512)는 상기 수용홈(23) 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The coupling protrusions 512 are protruded from the apex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 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23 formed by penetrating (or penetrating) the vertic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2, The engaging protrusion 512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apex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5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 formed at the apex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ocainer 2 When the insert 5 is inserted into the cup 2, the engaging protrusion 51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 and exerts a clamping force.

상기 메인샤프트(6)는 상기 인서트(5)에 삽입결합되며, 컷팅날(63)을 회동시켜 상기 비구컵(2) 주위에 부착된 비구골(1)을 절삭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인서트(5)와의 결합을 위해 메인샤프트(6)의 말단에는 상기 인서트(5)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52) 내에 삽입,안착되는 삽입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61)와 메인샤프트(6) 간에는 힌지(62)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61)가 상기 삽입홈(52) 내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6) 자체는 상기 힌지(62)를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메인샤프트(6)에 결합하게 되는 컷팅날(63)은 메인샤프트(6)의 일정 부위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면취된 면취부(64)에 결합하여 상기 면취부(64)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는 있으나 상기 면취부(64)에 의해 메인샤프트(6)와 별도로 컷팅날(63)만 따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되고, 상기 메인샤프트(6)에는 비구골(1) 내에 위치하는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도록 상기 컷팅날(63)의 위치를 메인샤프트(6)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컷팅날위치조절수단(6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shaft 6 is inserted into the insert 5 and cuts the acetabular bone 1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acetabulous cup 2 by rotating the cutting blade 63. The insert 5, And an insertion portion 61 which is inserted and seated in an insertion groove 52 formed in the insert 5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6 for coupl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61 and the main shaft 6 The main shaft 6 itself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62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6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2 and is seated in the hinge 62. [ And the cutting blade 63 engaged with the main shaft 6 is engaged with the chamfered portion 64 chamfer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shaft 6, But the cutting blade 63 separately rotates separately from the main shaft 6 by the chamfered portion 64 And the position of the cutting edge 63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6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acetabocain 2 located in the acetabolic groove 1 in the main shaft 6 And a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65)

상기 삽입부(61)는 상기 인서트(5)와의 결합을 위해 메인샤프트(6)의 말단에서 상기 인서트(5)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52) 내에 삽입,안착되는 구성으로,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샤프트(6) 말단의 상기 삽입부(61)는 상기 인서트(5)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52) 내에 삽입되어 안착,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인서트(5)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6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삽입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52) 내에 상기 삽입부(61)가 삽입되어 안착,결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61) 및 삽입홈(52)은 모두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삽입부(61)의 삽입홈(52)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결합 후 삽입홈(52) 내에서 상기 삽입부(61)의 정위치에서의 회동(자전)이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insertion portion 61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52 formed in the insert 5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6 for engagement with the insert 5, The insertion portion 61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6 is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2 formed in the insert 5 and inserted into the insert 5, An insertion groove 52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61 is formed and the insertion portion 6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2 to be seated and engaged. 5 and the like, the insertion portion 61 and the insertion groove 52 are all formed in a multi-stage structure so that inse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61 into the insertion groove 52 is facilitat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61 can be rotated (rotated) in a stable position in the insertion groove 52 in a stable and easy manner.

이때, 상기 삽입부(61)와 메인샤프트(6) 간에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62) 결합 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61)가 상기 삽입홈(52) 내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6) 자체는 상기 힌지(62)를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61)를 비구컵(2) 내에 끼워진 상기 인서트(5)의 삽입홈(52) 내에 삽입,결합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힌지(62)를 중심으로 상기 메인샤프트(6)가 삽입부(61)로부터 꺽이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시술자가 상기 메인샤프트(6)를 파지하고 상기 삽입부(61)를 인서트(5)의 삽입홈(52) 내에 삽입,결합시키게 되므로 제한된 시술공간하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삽입부(61)와 삽입홈(52) 간의 결합시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컷팅날(63)을 이용한 비구골(1)의 절삭 시술을 위해서는 상기 메인샤프트(6)를 상기 힌지(62)를 중심으로 좌(또는 우)로 이동시켜 상기 삽입부(61)와 메인샤프트(6)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 되며, 시술 중 필요에 따라 역시 상기 메인샤프트(6)를 힌지(62)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Since the hinge 62 is coupl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61 and the main shaft 6 as shown in FIG. 5 and the like, the insertion portion 6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2, The main shaft 6 itself can move left and right with the hinge 62 as an axis. 5,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inserting the inserting portion 61 into the inserting groove 52 of the insert 5 inserted into the acetaborate cup 2, The operator grips the main shaft 6 and inserts the insertion portion 61 into the insertion groove 52 of the insert 5 while the main shaft 6 is moved away from the insertion portion 61,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coupling operation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61 and the insertion groove 52 even under a limited treatment space. 6, in order to perform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acetabular bone 1 using the cutting blade 63, the main shaft 6 is moved leftward (or rightward) around the hinge 62 The insertion portion 61 and the main shaft 6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in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main shaft 6 can be easily moved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62 have.

또한, 메인샤프트(6)에 결합하여 메인샤프트(6)의 회동에 연동하여 비구컵(2) 외주부에 부착되어 있는 비구골(1)을 절삭하게 되는 컷팅날(6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프트(6)의 일정 부위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면취된 면취부(64)에 결합하여 상기 면취부(64)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는 있으나 상기 면취부(64)에 의해 메인샤프트(6)와 별도로 컷팅날(63)만 따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된다. 상기 면취부(64)는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메인샤프트(6)의 일정 부위에서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이 원통형 외주부가 면취되어 편평한 면을 갖게 되는 부위를 지칭하며, 따라서, 상기 면취부(64)에 결합하는 되는 상기 컷팅날(63)은 상기 면취부(64)의 면취된 편평한 면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6)와 별도로 상기 컷팅날(63)만 따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메인샤프트(6)가 회동하는 것에 정확히 연동되어 상기 컷팅날(63)이 정확히 상기 메인샤프트(6)가 회동한 만큼만 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컷팅날(63)은 상기 면취부(64)의 면취된 편평한 면을 따라 메인샤프트(6)의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컷팅날(63)의 위치를 컷팅하고자 하는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구컵 제거장치에서는 샤프트에 장착된 컷팅날이 결합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뿐 그 위치를 비구컵(2)의 형상 즉,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추어 조절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비구컵(2)의 형상에 맞는 컷팅날(63)로 시술때마다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발생시키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상기 컷팅날(63)의 위치를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정확한 위치로 이동된 상기 컷팅날(63)은 조절된 위치에서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샤프트(6)에 후술할 컷팅날위치조절수단(65)을 포함하게 된다. The cutter blade 63 that is engaged with the main shaft 6 and cuts the acetabolic portion 1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acetabocainer 2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6, The main shaft 6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chamfered portion 64 by being coupled to the chamfered portion 64 chamfer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shaft 6, It is prevented that only the cutting edge 63 is rotated separately from the main shaft 6. As shown in FIG. 7 and the like, the chamfered portion 64 is chamfer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at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shaft 6, which is normal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have a flat surface The cutting blade 63 engaged with the chamfered portion 64 is separated from the main shaft 6 by the chamfered flat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64 so that only the cutting blade 63 The main shaft 6 is rotated in exactly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haft 6, so that the cutting blade 63 is rotated exactly as the main shaft 6 rotates. The cutter blade 63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lat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64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6 so that the cutter blade 63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6, 2). That is, as pointed out earlier in the related art,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the cutting blade mounted on the shaft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the cutting blade is engage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an accurate operation. In the end, it is troublesome to change the cutting blade 63 every time the cut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cetabolic cup 2.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edge 63 can be accurately adjuste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cetabocain (2) so that the conventional problem can be fundamentally solved. The cutting blade 63, which has been moved to the correct position, must be firmly fixed at the adjusted position. To this end, the cutting blade 63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65 .

상기 컷팅날위치조절수단(65)은 메인샤프트(6)에 결합된 상기 컷팅날(63)의 위치를 비구골(1) 내에 위치하는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도록 메인샤프트(6)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컷팅날위치조절수단(65)은 상기 컷팅날(63)을 중심으로 컷팅날(63)의 상측(메인샤프트(6)의 축방향으로 위쪽을 지칭함)에서 메인샤프트(6)와 나사결합(이는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결합방식이 활용될 수 있음)하여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원위부너트(651)와, 컷팅날(63)의 하측(메인샤프트(6)의 축방향으로 아래쪽을 지칭함)에서 메인샤프트(6)와 나사결합하여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근위부너트(652)를 포함하여, 상기 원위부너트(651)와 근위부너트(652)의 상하이동을 통해 상기 컷팅날(63)의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The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65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63 coupled to the main shaft 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63 of the main shaft 6 is adjusted so as to match the center point of the non- As shown in FIG. 7 and the like, the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65 is configured to move the cutting blade 63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cutting blade 63,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coupling methods can be utilized) at the upper side of the main shaft 6 (referring to the upp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6) The movable distal nut 651 and the cutting blade 63 can be vertically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screwed with the main shaft 6 at a lower s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ow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6) Including the proximal nut 652, the proximal nut 651 and proxim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edge 63 can be adjusted and fixed firmly at the adjusted position by moving the nut 652 up and down.

상기 원위부너트(651)와 근위부너트(652)는 상기 메인샤프트(6)의 외주면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게 되는 구성으로, 따라서, 상기 원위부너트(651) 및/또는 근위부너트(652)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원위부너트(651) 및/또는 근위부너트(652)는 메인샤프트(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프로파일(나사산 또는 나사골)을 따라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The distal nut 651 and the proximal nut 652 are thread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6 so that the distal nut 651 and / The distal nut 651 and / or the proximal nut 652 can move upward or downwar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rotating along a thread profile (thread or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6.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원위부너트(651)와 근위부너트(652)를 활용한 컷팅날(63)의 위치 조절 및 고정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7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위부너트(651)를 최상부로 이동시켜 놓은 다음, 상기 근위부너트(652)를 회동시키면서 메인샤프트(6)의 축방향을 따라 상측(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시술하고자 하는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는 위치에 상기 컷팅날(63)이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상기 근위부너트(652)의 상측과 상기 컷팅날(63)의 하측은 서로 맞닿게 되므로, 상기 근위부너트(65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컷팅날(63)의 위치 역시 조절되게 된다. 목표하는 위치에 상기 컷팅날(63)을 정위치시킨 다음에는, 도 7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위부너트(651)를 회동시키면서 메인샤프트(6)의 축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위부너트(651)의 하측이 상기 컷팅날(63)의 상측과 맞닿게 되어 컷팅날(63)을 중심으로 상하에서 각각 가압하는 원위부너트(651)와 근위부너트(652)에 의해 정위치의 컷팅날(63)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구컵(2)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하면서 비구골(1)을 절삭하게 되는 상기 컷팅날(63)의 (상하)위치를 시술대상이 되는 비구컵(2)의 구심점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컷팅날(63)을 교체할 필요없이 상황에 맞는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process of adjusting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63 using the distal nut 651 and the proximal nut 652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7 (1) The distal nut 651 is moved to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n moved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6 while rotating the proximal nut 652, So that the cutting blade 63 can be positioned at a proper position. The upper side of the proximal nut 652 and the lower side of the cutting blade 6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63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roximal nut 652. 7 (2), the distal end nut 651 is rotated while being moved down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6, as shown in Fig. 7 (2) The lower portion of the distal nut 65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utting blade 63 and is urged by the distal nut 651 and the proximal nut 652 which press the upper blade nut 651 upward and downward about the cutting blade 63, So that the cutting edge 63 of the position can be firmly fix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up and down) of the cutting blade 63, which rotat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olic cup 2 and cuts the acetabular bone 1, can be adjusted to match the point of the acetabular cup 2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 the procedure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cutting edge 63. [

상기 핸들(7)은 상기 메인샤프트(6)에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시술시 메인샤프트(6)의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핸들(7)과 메인샤프트(6) 간의 탈착식 결합을 위해, 상기 메인샤프트(6)에는 일정 부위에서 외주면을 따라 다각형 형태로 면취된 제1다각형결합부(66)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7)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샤프트(6)의 말단이 삽입되는 결합공(71)의 내주면에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66)의 형상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태로 면취된 제2다각형결합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6 so as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6 during the operation. The handle 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6, The main shaft 6 includes a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66 chamfered in a polygon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rtion and a distal end of the main shaft 6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andle 7 And a second polygonal coupling portion 72 that is chamfered in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polygonal coupling portion 66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71 to be inserted.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66)는 도 3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프트(6)의 일정 부위에서 외주면을 따라 다각형 형태(바람직하게는 6각형 형태)로 면취되어, 통산 원형 단면을 갖게 되는 메인샤프트(6)의 단면과 달리 다각형(바람직하게는 6각형 형태) 단면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66)에 결합하게 되는 상기 핸들(7)은 결합 후 메인샤프트(6)와 별개로 회동할 수 없고 핸들(7)의 회동이 그대로 메인샤프트(6)에 전달되어 핸들(7)을 이용하여 메인샤프트(6)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3 and 8, the first polygonal coupling portion 66 is chamfered in a polygonal shape (preferably hexagonal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a certain portion of the main shaft 6, (Preferably hexagonal) cross-section, unlike the cross-section of the main shaft 6 which has the hexagonal cross section. Therefore, the handle 7 coupled to the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66 can not rotate separately from the main shaft 6 after the engagement, and the rotation of the handle 7 is transmitted to the main shaft 6 as it is So that the main shaft 6 can be easily rotated using the handle 7.

상기 제2다각형결합부(7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7)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샤프트(6)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결합공(71)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결합공(71)의 내주면에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66)의 형상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태로 면취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프트(6)의 말단에서 커버부(67)를 제거한 후, 메인샤프트(6)의 말단을 상기 핸들(7)의 결합공(71)에 삽입하여 상기 제2다각형결합부(72)에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66)가 삽입되어 양자가 맞닿도록 결합시킨 후, 다시 상기 커버부(67)를 메인샤프트(6)의 말단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핸들(7)과 메인샤프트(6) 간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시술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핸들(7)을 메인샤프트(6)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66)에 결합하게 되는 상기 핸들(7)은 결합 후 메인샤프트(6)와 별개로 회동할 수 없고 핸들(7)의 회동이 그대로 메인샤프트(6)에 전달되어 핸들(7)을 이용하여 메인샤프트(6)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핸들(7)을 이용하여 메인샤프트(6)를 회동시키면서 메인샤프트(6)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컷팅날(63)이 비구골(1)에 삽입된 비구컵(2) 외주면을 따라 비구컵(2)에 부착된 비구골(1)을 컷팅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polygonal coupling part 72 has a coupling hole 71 formed at one side of the handle 7 so as to penetrate the distal end of the main shaft 6, An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71 in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polygonal coupling portion 66. 8, after the cover 67 is remov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main shaft 6, the distal end of the main shaft 6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71 of the handle 7 The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6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olygonal engaging portion 72 so that the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66 is engaged with the second polygonal engaging portion 72 and then the cover portion 67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main shaft 6, (7) and the main shaft (6).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easily detach the handle 7 from the main shaft 6 as necessary, and the handle 7,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66, The rotation of the handle 7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shaft 6 as it is and the main shaft 6 can be easily rotated using the handle 7. 9 shows a cutter blade 63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6 while rotating the main shaft 6 using the handle 7. The cutter blade 63 is inserted into the acetabular cup 2,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acetabular bone 1 attached to the acetabular cup 2 is cu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 비구골 2: 비구컵
21: 라이너 22: 암테이퍼
23: 수용홈 3: 대퇴골
4: 대퇴스템 41: 대퇴골두
5: 인서트 51: 결합부위
511: 수테이퍼 512: 결합돌기
52: 삽입홈
6: 메인샤프트 61: 삽입부
62: 힌지 63: 컷팅날
64: 면취부 65: 컷팅날위치조절수단
651: 원위부너트 652: 근위부너트
66: 제1다각형결합부 67: 커버부
7: 핸들 71: 결합공
72: 제2다각형결합부
1: acetabular bone 2: acetabular cup
21: liner 22: female taper
23: receiving groove 3: femur
4: Femoral stem 41: Femoral head
5: insert 51: bonding site
511: number taper 512: engaging projection
52: insertion groove
6: Main shaft 61: Insertion part
62: Hinge 63: Cutting blade
64: Face attachment 65: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ment means
651: distal nut 652: proximal nut
66: first polygonal engaging part 67: cover part
7: Handle 71: Coupling ball
72: second polygonal coupling part

Claims (8)

라이너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는 결합부위를 포함하여 비구컵 내에 결합고정되는 인서트;
상기 인서트에 삽입결합되며, 컷팅날을 회동시켜 상기 비구컵 주위에 부착된 비구골을 절삭시키는 메인샤프트;를 포함하여,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고정력을 이용하여 절삭되는 비구골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인서트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되는 메인샤프트 말단의 삽입부가 메인샤프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는 힌지를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
An insert including an engag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ular cup with the liner removed;
And a main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 and rotating the cutter blade to cut the acetabular bone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acetabular cup to reduce the loss of the acetabular bone cut us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acetabular cup and the insert,
Wherein the main shaft is hinged to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main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sert and hinged to the main shaft and the main shaft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cap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위는 비구컵 내주면의 암테이퍼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테이퍼에 결합고정되는 수테이퍼와, 비구컵 내주면 정점부위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male tape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arm tap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ocainer and coupled to the arm taper and an engag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at the apex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ular cup, Of the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는 비구골 내에 위치하는 비구컵의 구심점에 맞도록 상기 컷팅날의 위치를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컷팅날위치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shaft further comprises a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moving the cutting blad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so as to correspond to a center point of the acetabular cup located in the acetabular bone, Removal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날은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면취된 면취부에 결합하여, 상기 면취부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는 있으나 상기 면취부에 의해 메인샤프트와 별도로 컷팅날만 따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utter blade may be coupled to a chamfered chamfer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so a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chamfered chamfer. Wherein the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compri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날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컷팅날을 중심으로 컷팅날의 상측에서 메인샤프트와 나사결합하여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원위부너트와, 컷팅날의 하측에서 메인샤프트와 나사결합하여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는 근위부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원위부너트와 근위부너트의 상하이동을 통해 상기 컷팅날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utting blade posit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a distal nut which is screwed on the cutting blade at an upper side of the cutting blade and rotates in an axial direction while being screwed with the main blade, Wherein the position of the cutting blade is adjusted through vertical movement of the distal nut and the proximal nut, including a proximal nut that can move up and down in an axial direction.
라이너가 제거된 상태의 비구컵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는 결합부위를 포함하여 비구컵 내에 결합고정되는 인서트;
상기 인서트에 삽입결합되며, 컷팅날을 회동시켜 상기 비구컵 주위에 부착된 비구골을 절삭시키는 메인샤프트;를 포함하여, 비구컵과 인서트 간의 고정력을 이용하여 절삭되는 비구골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상기 메인샤프트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
An insert including an engag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etabular cup with the liner removed;
And a main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 and rotating the cutter blade to cut the acetabular bone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acetabular cup to reduce the loss of the acetabular bone cut us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acetabular cup and the insert,
Further comprising a han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such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using the hand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각형 형태로 면취된 제1다각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말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의 내주면에 상기 제1다각형결합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태로 면취된 제2다각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컵 제거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in shaft includes a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that is chamfered in a polygonal shap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second polygonal engag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the second polygonal engaging portion being chamfered in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polygonal engaging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in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main shaft is inserted.
KR1020130007073A 2013-01-22 2013-01-22 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KR101402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073A KR101402893B1 (en) 2013-01-22 2013-01-22 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073A KR101402893B1 (en) 2013-01-22 2013-01-22 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893B1 true KR101402893B1 (en) 2014-06-02

Family

ID=5113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073A KR101402893B1 (en) 2013-01-22 2013-01-22 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89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0A1 (en) * 2015-07-31 2017-02-09 아이메디컴(주) Acetabular cup detach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KR101917301B1 (en) 2015-07-31 2018-11-12 아이메디컴(주) Separation device of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WO2019039786A1 (en) * 2017-08-23 2019-02-28 아이메디컴(주) Acetabular cup remov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KR20190022336A (en) * 2017-08-23 2019-03-06 아이메디컴(주) Separation device of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EP4223237A1 (en) * 2022-02-07 2023-08-09 MicroPort Orthopedics Holdings Inc. Acetabular cup remover assembly
WO2024039034A1 (en) * 2022-08-18 2024-02-22 아이메디컴(주) Apparatus for separating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051A (en) 1993-02-08 1993-10-05 Zimmer, Inc. Acetabular cup positioner with slaphammer mechanism for the removal of the sighting guide
US20080021481A1 (en) 2006-05-01 2008-01-24 Precimed S.A. Inserter for minimally invasive joint surgery having interchangeable thread
US20100228259A1 (en) 2005-03-01 2010-09-09 Howmedica Osteonics Corp. Acetabular shell removal instru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051A (en) 1993-02-08 1993-10-05 Zimmer, Inc. Acetabular cup positioner with slaphammer mechanism for the removal of the sighting guide
US20100228259A1 (en) 2005-03-01 2010-09-09 Howmedica Osteonics Corp. Acetabular shell removal instrument
US20080021481A1 (en) 2006-05-01 2008-01-24 Precimed S.A. Inserter for minimally invasive joint surgery having interchangeable thread
US20100106159A1 (en) 2006-05-01 2010-04-29 Greatbatch Medical Sa Inserter For Minimally Invasive Joint Surgery Having an Interchangeable Prosthesis Engaging Pisto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0A1 (en) * 2015-07-31 2017-02-09 아이메디컴(주) Acetabular cup detach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KR101917301B1 (en) 2015-07-31 2018-11-12 아이메디컴(주) Separation device of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US10653534B2 (en) 2015-07-31 2020-05-19 Imedicom Acetabular cup detach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WO2019039786A1 (en) * 2017-08-23 2019-02-28 아이메디컴(주) Acetabular cup remov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KR20190022336A (en) * 2017-08-23 2019-03-06 아이메디컴(주) Separation device of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KR102103774B1 (en) 2017-08-23 2020-04-23 아이메디컴(주) Separation device of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EP4223237A1 (en) * 2022-02-07 2023-08-09 MicroPort Orthopedics Holdings Inc. Acetabular cup remover assembly
EP4275659A3 (en) * 2022-02-07 2024-01-17 MicroPort Orthopedics Holdings Inc. Acetabular cup remover assembly
WO2024039034A1 (en) * 2022-08-18 2024-02-22 아이메디컴(주) Apparatus for separating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893B1 (en) An universal acetabular cup removal system
US10159499B2 (en) Bone implants and cutting apparatuses and methods
CA2588368C (en) Offset tool guide for femoral head preparation
EP2638881B1 (en) Joint implant trial components
EP2067443B1 (en) Pin centering guide with goniometer
US2017011251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hip replacement
AU2009202497B2 (en) Prosthesis removal cutting guide, cutting tool and method
EP3847979B1 (en) Augmented glenoid
KR20210021402A (en) System for reverse shoulder implants
CA2992582C (en) Tool and method for separating a femoral cup from an acetabular ball in an implanted hip prosthesis
US10881514B2 (en) Implant assembly tools and methods
EP1388329B1 (en) Femoral prosthesis for hip joint
US8052687B2 (en) Calcar planar
EP3334384B1 (en) Glenoid fossa prosthesis
AU2009332740A1 (en) Surgical jig
US11331133B2 (en) Orthopaedic redressing device
US9282983B2 (en) Device for guiding piercing tools for placing a glenoid implant
US10603178B2 (en) Prosthetic hip system
EP3111897B1 (en) Orthopedic impactor
KR101860636B1 (en) Drill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KR102186599B1 (en) Hip implant system
JP2543483Y2 (en) Acetabular resection device
WO2021115960A1 (en) Total hip or shoulder prosthesis and kit of instruments for placement of the same
CN113855206A (en) But quick adjustment's orthopedics kirschner wire location dir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